KR20150018350A -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350A
KR20150018350A KR1020140011408A KR20140011408A KR20150018350A KR 20150018350 A KR20150018350 A KR 20150018350A KR 1020140011408 A KR1020140011408 A KR 1020140011408A KR 20140011408 A KR20140011408 A KR 20140011408A KR 20150018350 A KR20150018350 A KR 20150018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ircuit
integrated circuit
layer
mol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
문영준
박태상
장경운
오승희
정창규
이동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278B1/ko
Priority to EP14881377.7A priority patent/EP3101589A4/en
Priority to US15/114,982 priority patent/US10229306B2/en
Priority to JP2016548162A priority patent/JP2017511162A/ja
Priority to PCT/KR2014/008585 priority patent/WO2015115716A1/ko
Priority to CN201480074552.5A priority patent/CN105940413B/zh
Priority to AU2014380483A priority patent/AU2014380483B2/en
Publication of KR2015001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16227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17Multilayer substrate
    • H01L2924/15192Resurf arrangement of the internal vi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집적회로의 구동소자가 내구성을 가지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지문인식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 상기 집적회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 상기 제 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집적회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회로기판,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 및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Fingerprint Recogniz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리적 및 환경적 요인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Mobile Terminal)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테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Key Pad)나 터치 패드(Touch Pad) 등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다.
근래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나 인터넷 서비스의 지원을 위하여,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및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 되었으며,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지원을 위하여 윈도우즈 모바일(Windows Mobile), 안드로이드(Android) 등과 같은 운영체제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상기 유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GUI기반의 운영체제는 휴대 전자기기에 의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전자기기의 보다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포인팅 장치가 사용되는데, 피사체인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커서(Cursor)와 같은 포인터를 움직이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포인팅 장치에는 손가락의 변화를 감지하여 커서(화면상의 포인터)가 움직일 수 있도록 센서가 적용되고, 또한 커서가 위치한 메뉴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돔 스위치 등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문인식 기술은 사용자 등록 및 인증 절차를 거치게 해 보안사고를 예방하게 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기술로서, 개개인들 및 조직의 네트워킹 방어, 컨텐츠와 데이터의 보호, 컴퓨터나 모바일 장치 등의 안전한 액세스(Access) 제어 등에 적용된다.
최근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손가락 지문의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여 포인터의 조작을 수행하는 포인팅 장치 바이오트랙패드(BTP) 등의 장치에도 지문인식 기술이 적용되는 등 그 활용 정도가 더욱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문인식 기술을 위해서는 지문인식센서가 포인팅 장치의 센서로 적용되는데,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인간 손가락의 지문의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문인식센서는 감지 원리에 따라 광학식 센서, 전기식(정전용량방식 및 컨덕티브방식), 초음파 방식 센서, 열감지식 센서로 구분되며, 각 타입의 지문인식센서는 각각의 구동 원리에 의해 손가락으로부터 지문 이미지 데이터를 얻어내게 된다.
지문인식센서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는 각 타입별로 다양한 방식의 패키지 공정이 제안되어 있으나, 전기식 센서의 경우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개별 부품화 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타입의 센서에 비하여 패키지 기술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지문인식 센서의 패키지 기술로 웨이퍼 레벨 팬 아웃 패키지 공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웨이퍼 레벨 팬 아웃 패키지 공정을 이용할 경우, 집적회로의 구동소자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 레벨 팬 아웃 패키지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포인팅장치를 버튼과 같이 주기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전자제품에 사용하면 집적회로의 구동소자 손상을 피하기 어렵다.
또한, 웨이퍼 레벨 팬 아웃 패키지 공정은 포인팅 장치의 면적이 집적회로의 면적보다 넓을수록 웨이퍼 상에 집적회로의 I/O를 재배열하는 효율이 떨어지므로 공정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포인팅 장치의 집적회로는 면적이 작으므로, 스마트 폰의 홈키와 같은 일정 크기의 버튼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웨이퍼 레벨 팬 아웃 패키지 공정을 이용하면 경제적인 손실이 크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364호(포인팅 장치 및 전자기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문인식장치를 기계적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집적회로의 구동소자가 내구성을 가지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 상기 집적회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 상기 제 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집적회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회로기판,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 및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회로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재배열되는 복수의 회로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은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제 1회로기판의 표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은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제 1회로기판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회로기판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위치하는 제 1회로층, 상기 제 1회로기판의 하부에 마련되는 전극이 위치하는 제 2회로층 및 상기 제 1회로층 및 상기 제 2회로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마이크로비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는 상기 제 1회로층 및 상기 제 2회로층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비아는 적층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 1회로층,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 및 상기 제 2회로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를 통해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상기 전극 및 상기 집적회로는 접속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는 솔더 범프(Solder Bum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는 상기 접속부재의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집적회로와 마주하는 상기 제 1회로기판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언더필수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회로기판은 경성기판, 연성기판, 리지드플렉스기판 및 리지드플렉스 분리접합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몰딩층을 통과하여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쓰루몰드비아(Through Mold Via) 및 솔더볼(Solder Bal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골드틴 유테틱 접합, ACA/NCA 접합, 솔더 접합 및 골드-골드 접합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제 2회로기판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로기판의 상단부에는 미감을 고취하도록 다양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몰딩층은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세라믹 또는 금속필러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몰딩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집적회로를 향해 함몰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회로기판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몰딩층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제 2회로기판은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몰딩층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몰딩층 바닥면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몰딩층 바닥면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몰딩층이 상기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상기 구조물을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집적회로를 향해 함몰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는 상기 제 2회로기판이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도록 고정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층은 상기 수용홈 및 상기 제 2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구조물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 2회로기판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층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제 2회로기판을 감쌀 수 있다.
상기 고정층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실리콘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층은 상기 제 2회로기판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수용홈 및 상기 제 2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회로기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몰딩층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집적회로에 대응하도록 상기 집적회로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몰딩층은 상기 제 2회로기판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는 상기 제 2회로기판 또는 몰딩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보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 상기 집적회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제 1회로기판,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제 1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재 및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접속부재를 감싸는 몰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집적회로를 향해 함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회로기판의 일 단부는 상기 집적회로의 하부면과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로기판의 일 단부는 상기 몰딩층을 따라 상기 집적회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로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재배열되는 복수의 회로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1회로기판은 리지드플렉스기판 및 리지드플렉스 분리접합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은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상에 상기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회로기판은 복수의 회로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은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상에 상기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을 형성하고, 일 단부가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에 접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다른 단부가 제 2회로기판에 접하도록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은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일 단부가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에 접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다른 단부가 제 2회로기판에 접하도록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상에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감싸는 몰딩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 상기 집적회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 상기 제 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집적회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회로기판 및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인식장치의 둘레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몰딩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집적회로를 향해 함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회로기판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구조물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상부에 마련되는 도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층은 상기 제 2회로기판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회로층으로 구성되는 제 1회로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취약한 집적회로의 구동소자를 외부로부터 이격시켜 집적회로 구동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웨이퍼 레벨 팬 아웃 패키지 공정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단하므로 제조 소요시간을 줄일 있고,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문인식장치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에 언더필수지층이 포함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에 도장층이 포함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 2회로기판에 함몰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에 보강판이 포함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1)는 집적회로(10), 제 1회로기판(20), 제 2회로기판(30), 몰딩층(40) 및 연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은 지문의 산(Ridge) 및 골(Vally)에서 도출되는 정전기적 신호를 감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에서 감지된 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증폭되고, 연결부(50) 또는 제 2회로기판(30) 등과 같은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지문인식장치(1)의 마이컴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에서 감지되는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10)에 전달된다. 집적회로(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연산하는 역할을 한다.
집적회로(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회로기판(20)은 복수의 회로층(24,25,26)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이 포함하는 복수의 회로층(24,25,26)은 재배열과정을 거쳐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제 1회로기판(20) 하부에 위치하는 집적회로(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집적회로(10)의 구동소자(미도시)는 사용자의 신체일부가 접촉할 수 있는 제 1회로기판(20)의 표면으로부터 제 1회로기판(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회로층(24,25,26)의 두께만큼 제 1회로기판(2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므로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집적회로(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23)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23)는 제 1회로층(24), 제 2회로층(25) 및 마이크로비아(Micro Via)(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로층(24)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이 위치할 수 있고, 제 1회로층(24) 하부에 마련되는 제 2회로층(25)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28)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회로층(24) 및 제 2회로층(25)은 마이크로비아(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23)는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26)은 제 1회로층(24) 및 제 2회로층(2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회로층(24),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26) 및 제 2회로층(25)은 집적회로(10)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마이크로비아(27)는 제 1회로층(24),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26) 및 제 2회로층(25)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 1회로층(24),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26) 및 제 2회로층(25)은 금속층에 형성될 수 있고, 마이크로비아(27)는 수지층(29)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비아(27)는 수지층(29)을 관통하여 제 1회로층(24),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26) 및 제 2회로층(25)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 1회로기판(20)이 포함하는 복수의 회로층(24,25,26)의 개수는 제 1회로층(24),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26) 및 제 2회로층(25)이 마련되는 금속층의 개수를 기준으로 카운팅(Counting)할 수 있다.
복수의 회로층(24,25,26)의 개수는 3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회로기판(20)은 내구성 보강, 강성보강, 열팽창계수 보완 및 유전율 컨트롤을 위해 세라믹 또는 금속필러를 함유할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의 상단부에는 디자인적 측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미감을 고취하도록 다양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회로기판(2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수지층(29a)에는 사용자의 미감을 고취하고, 제 1회로기판(20)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을 은폐하도록 다양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제 1회로층(24)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은 사용자의 신체일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는 제 1회로기판(20)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제 1회로기판(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은 사용자의 신체일부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제 1회로기판(20)의 표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회로기판(30)은 집적회로(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 1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에서 감지되는 신호는 제 1회로기판(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23)를 통해 집적회로(10)에 전달되고, 집적회로(10)에서 연산된 신호는 제 2회로기판(30)으로 전달된다. 제 2회로기판(30)에 전달되는 신호는 제 2회로기판(3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다른 전자부품에 전달될 수 있다.
제 2회로기판(30)은 경성기판(Printed Circuit Board),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리지드플렉스기판(경성을 가지는 부분 및 연성을 가지는 부분을 모두 가지는 기판) 및 리지드플렉스 분리접합 기판(경성기판 및 연성기판이 접합되어 경성을 가지는 부분과 연성을 가지는 부분이 공존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몰딩층(40)은 제 1회로기판(20) 하부에 마련되어 외부충격 및 온습도 변화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집적회로(10)를 보호한다. 몰딩층(40)은 집적회로(10)를 감쌀 수 있다.
몰딩층(40)은 강성보강, 몰딩층(40)의 열팽창계수 보완 및 유전율 컨트롤을 위해 세라믹 또는 금속필러를 함유할 수 있다.
연결부(50)는 제 1회로기판(20) 및 제 2회로기판(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0)는 몰딩층(40)을 통과하여 제 1회로기판(20) 및 제 2회로기판(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쓰루몰드비아(Through Mold Via)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0)는 집적회로(10)의 신호가 제 2회로기판(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도전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연결부(50)는 골드틴 유테틱 접합, ACA/NCA 접합, 솔더 접합 및 골드-골드 접합 중 하나에 의해 제 2회로기판(30)에 접합될 수 있다. 솔더 접합은 관통홀솔더링 및 핫바솔더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 및 집적회로(10)는 접속부재(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23)를 통해 집적회로(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제 2회로층(25)에 마련되는 전극(28) 및 집적회로(10)는 접속부재(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부재(60)는 솔더 범프(Solder Bum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층(40)의 바닥면에는 집적회로(10)를 향해 함몰되는 수용홈(7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회로기판(30)은 수용홈(70)에 수용되어 몰딩층(40)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미도시)과 이격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1)를 기계적인 버튼으로 사용할 경우, 몰딩층(40)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은 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1)를 기계적인 버튼으로 사용할 경우, 몰딩층(40)의 바닥면은 몰딩층(40)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접촉하거나 몰딩층(40)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연결부(50) 또는 제 2회로기판(30)이 구조물과 접촉할 경우 연결부(50) 또는 제 2회로기판(30)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제 2회로기판(30)은 몰딩층(4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하부압력집중부위(몰딩층 바닥면이 구조물과 접촉하는 부위 또는 몰딩층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에 의해 몰딩층에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80)를 피하여 수용홈(70)에 수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부압력집중부위(80)는 몰딩층(40)의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70)은 몰딩층(40)의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하부압력집중부위(80)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홈(70)의 좌측 및 우측에는 하부압력집중부위(8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홈(70)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하부압력집중부위(80)를 회피하도록 몰딩층(40)의 바닥면 측면부에 형성되거나, 몰딩층(40)의 바닥면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압력집중부위(80)는 몰딩층(40)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하부압력집중부위(80)는 몰딩층(4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몰딩층(40)의 바닥면 중앙부 또는 몰딩층(40)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에 한정하지 않는다.
수용홈(70)은 하부압력집중부위(80)를 회피하도록 절곡될 수 있고, 절곡된 수용홈(70)에 수용되는 제 2회로기판(30)도 절곡될 수 있다.
몰딩층(40)의 바닥면에는 몰딩층(40)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미도시)과 몰딩층(40)이 결합하도록 구조물을 향해 돌출되거나 집적회로(10)를 향해 함몰되는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1)는 고정층(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층(90)은 제 2회로기판(30)이 수용홈(7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수용홈(70) 및 제 2회로기판(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층(90)은 몰딩층(40)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미도시)과 마주하도록 제 2회로기판(30) 하부에 형성되어, 수용홈(70)에 수용되는 제 2회로기판(30)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층(90)은 수용홈(70)에 수용되는 제 2회로기판(30) 전체를 감쌀 수 있다. 또한, 고정층(90)은 제 2회로기판(30)의 일부를 덮도록 수용홈(70) 및 제 2회로기판(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층(90)은 수용홈(70)에서 제 2회로기판(30)이 이탈되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층(90)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실리콘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에 언더필수지층이 포함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1a)는 언더필수지층(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언더필수지층(200)은 제 1회로기판(20) 및 집적회로(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재(60)의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집적회로(10)와 마주하는 제 1회로기판(20)의 하부면 및 집적회로(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언더필수지층(200)은 접속부재(6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에 도장층이 포함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1b)는 도장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장층(300)은 제 1회로기판(20)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장층(300)에는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장층(300)에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이나 문양은 인쇄, 조각 및 레이저공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도장층(3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스티커 형태로 도장층(300)에 부착될 수 있다. 패턴이나 문양의 표시방법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은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P1), 외부로부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상에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을 형성하고(P2), 일 단부가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에 접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P3), 연결부의 다른 단부가 제 2회로기판에 접하도록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및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P4)을 포함할 수 있다.
몰딩층은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금형을 씌워 몰딩층을 형성한다. 금형에 수용홈을 형성한 후 몰딩함으로써, 몰딩층의 바닥면에 제 2회로기판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 2회로기판에 함몰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에 보강층이 포함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2)는 집적회로(10), 제 1회로기판(20), 제 2회로기판(30), 몰딩층(40) 및 연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적회로(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회로기판(20)은 복수의 회로층(24,25,26)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회로기판(30)은 집적회로(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 1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에서 감지되는 신호는 제 1회로기판(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23)를 통해 집적회로(10)에 전달되고, 집적회로(10)에서 연산된 신호는 제 2회로기판(30)으로 전달된다. 제 2회로기판(30)에 전달되는 신호는 제 2회로기판(3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다른 전자부품에 전달될 수 있다.
제 2회로기판(30)에는 제 1회로기판(20)에서 멀어지도록 함몰되는 함몰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1)는 제 2회로기판(30)이 펀칭됨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함몰부(31)는 집적회로(10)에 대응하도록 집적회로(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31)는 강성 보강을 위해 몰딩층(40)으로 채워질 수 있다. 즉, 집적회로(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함몰부(31)에 단단한 재질의 몰딩층(40)을 채움으로써 지문인식장치(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몰딩층(40)은 제 1회로기판(20) 하부에 마련되어 외부충격 및 온습도 변화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집적회로(10)를 보호한다. 몰딩층(40)은 집적회로(10)를 감쌀 수 있다.
몰딩층(40)은 집적회로(10)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 및 온습도 변화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 2회로기판(3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제 2회로기판(30)을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제 2회로기판(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몰딩층(40)이 위치할 수 있다.
수용홈(70)은 생략 가능하다.
연결부(50)는 몰딩층(40)을 통과하여 제 1회로기판(20) 및 제 2회로기판(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쓰루몰드비아(Through Mold Via) 및 솔더볼(Solder Bal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2)는 보강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층(400)은 지문인식장치(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제 2회로기판(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강층(400)은 몰딩층(40)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보강층(400)은 금속재질을 가질 수 있다. 금속재질은 스테인리스 금속(Steel Use Stainless, SU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은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R1), 일 단부가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에 접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R2), 연결부의 다른 단부가 제 2회로기판에 접하도록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R3),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상에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감싸는 몰딩층을 형성하는 것(R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1c)는 집적회로(10a), 제 1회로기판(20a), 접속부재(60a) 및 몰딩층(40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집적회로(10a)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a)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써, 집적회로(10a)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회로기판(20a)은 집적회로(10a)의 상부에 위치하고,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a)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집적회로(10a)에 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2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a)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a)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집적회로(10a)에 전달되도록 재배열되는 복수의 회로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리지드플렉스기판 및 리지드플렉스 분리접합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a)은 제 1회로기판(20a)의 표면에 근접하도록 제 1회로기판(20a)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a)은 집적회로(10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회로기판(20a)의 일 단부는 외부로부터 집적회로(10a)를 보호하도록 제 1회로기판(20a) 하부에 마련되는 몰딩층(40a)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수용홈(70a)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홈(70a)에 수용되는 제 1회로기판(20a)의 일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a)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다른 전자기기에 전달될 수 있도록 출력단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집적회로(10a)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20a)은 일체를 이루므로, 집적회로(10a)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2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는 생략할 수 있다.
집적회로(10a) 및 제 1회로기판(20a)은 접속부재(60a)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부재(60a)는 집적회로(10) 및 집적회로(10a) 상부에 위치하는 제 1회로기판(20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접속부재(60)는 솔더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1d)는 집적회로(10b), 제 1회로기판(20b), 접속부재(60b) 및 몰딩층(4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b)은 집적회로(10b) 상부에 위치하고, 제 1회로기판(20b)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21b)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집적회로(10b)에 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23b)가 형성될 수 있다.
몰딩층(40b)은 외부로부터 집적회로(10b)를 보호하도록 제 1회로기판(20b) 하부에 마련되어 집적회로(10b)와 제 1회로기판(2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재(60b) 및 집적회로(10b)를 감쌀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b)의 일 단부는 몰딩층(40b)을 따라 집적회로(10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 1회로기판(20b)의 일 단부가 집적회로(10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우, 몰딩층(40b)의 바닥면에는 별도의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은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S1), 외부로부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제 1회로기판 상에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을 형성하는 것(S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0)는 바 형태의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전자기기(100)의 바디는 바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바디는 프론트 케이싱(101), 리어 케이싱(102) 및 배터리 커버(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싱(101)과 리어 케이싱(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싱(101)과 리어 케이싱(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싱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싱(10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4), 음향출력부(105), 카메라(106), 사용자 입력부(107), 마이크(미도시), 인터페이스(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4)은 프론트 케이싱(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4)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05)와 카메라(106)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07)와 마이크(미도시)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07)와 인터페이스(미도시) 등은 프론트 케이싱(101) 및 리어 케이싱(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7)는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하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7)에는 지문인식장치(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는 홈키(108)가 형성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은 지문의 골과 산의 전기적 특성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차이(정전신호)를 감지한다. 정전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증폭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과 같은 커넷터를 통해 전자기기(100)의 마이컴으로 전송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1e)는 별도의 패키징 과정없이 그 자체로써 홈키(108)로 사용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1e)의 둘레는 수치가공을 통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수치가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문인식장치(1e)를 별도의 구조물(미도시) 상에 위치시켜야 한다. 효율적인 수치가공을 위해 지문인식장치(1e)가 별도의 구조물 상에 고정되도록 지문인식장치(1e)의 바닥면에는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는 지문인식장치(1e)의 몰딩층 바닥면에 형성되고, 별도의 구조물을 향해 돌출되거나 지문인식장치(1e)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는 전기장(Electric Field), 캐피시터(Capacitor), 서미스터(Thermistor)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모드를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모드는 지문인식센서에 손가락과 같은 신체부위를 접촉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문인식장치에 손가락을 올리면 지문인식장치에 마련된 지문인식센서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이미 저장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제어권한 또는 컨텐츠 이용권한을 갖는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한다.
지문인식장치는 본인 인증 절차가 필요한 모든 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단말기, 스마트폰, 게임기, PMP, 태블릿 PC,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의료기기, ATM기를 포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a,1b,1c,1d,1e) : 지문인식장치 10(10a,10b) : 집적회로
20(20a,20b) : 제 1회로기판 21(21a,21b) : 센서전극
22a,22b,22c : 회로기판 23(23a,23b) : 신호이동경로
24 : 제 1회로층 25 : 제 2회로층
26 : 제 3회로층 27 : 마이크로비아
28 : 전극 30 : 제 2회로기판
40(40a,40b) : 몰딩층 50 : 연결부
60(60a,60b) : 접속부재 70(70a) : 수용홈
80 : 하부압력집중부위 90 : 고정층
200 : 언더필수지층 300 : 도장층
100 : 전자기기 101 : 프론트 케이싱
102 : 리어 케이싱 104 : 디스플레이모듈
105 : 음향출력부 106 : 카메라
107 : 사용자입력부 108 : 홈키
29(29a) : 수지층 2 : 지문인식장치
31 : 함몰부 400 : 보강층

Claims (43)

  1.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
    상기 집적회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
    상기 제 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집적회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회로기판;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 및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로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재배열되는 복수의 회로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은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제 1회로기판의 표면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은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제 1회로기판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로기판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위치하는 제 1회로층;
    상기 제 1회로기판의 하부에 마련되는 전극이 위치하는 제 2회로층; 및
    상기 제 1회로 및 상기 제 2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마이크로비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는
    상기 제 1회로층 및 상기 제 2회로층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비아는 적층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 1회로층,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회로층 및 상기 제 2회로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를 통해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상기 전극 및 상기 집적회로는 접속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솔더 범프(Solder Bum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의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집적회로와 마주하는 상기 제 1회로기판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언더필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로기판은 경성기판, 연성기판, 리지드플렉스기판 및 리지드플렉스 분리접합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몰딩층을 통과하여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쓰루몰드비아(Through Mold Via) 및 솔더볼(Solder Bal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골드틴 유테틱 접합, ACA/NCA 접합, 솔더 접합 및 골드-골드 접합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제 2회로기판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로기판의 상단부에는 미감을 고취하도록 다양한 색상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상부에 마련되는 도장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몰딩층은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세라믹 또는 금속필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집적회로를 향해 함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회로기판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몰딩층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제 2회로기판은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8. 제 16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몰딩층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몰딩층 바닥면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몰딩층 바닥면 일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몰딩층이 상기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상기 구조물을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집적회로를 향해 함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로기판이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도록 고정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층은 상기 수용홈 및 상기 제 2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구조물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 2회로기판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층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제 2회로기판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층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실리콘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층은 상기 제 2회로기판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수용홈 및 상기 제 2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로기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몰딩층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집적회로에 대응하도록 상기 집적회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층은 상기 제 2회로기판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로기판 또는 몰딩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30.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
    상기 집적회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제 1회로기판;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제 1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부재; 및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접속부재를 감싸는 몰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집적회로를 향해 함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회로기판의 일 단부는 상기 집적회로의 하부면과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로기판의 일 단부는 상기 몰딩층을 따라 상기 집적회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로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집적회로에 전달되도록 재배열되는 복수의 회로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1회로기판은 리지드플렉스기판 및 리지드플렉스 분리접합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34.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상에 상기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로기판은 복수의 회로층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
  36.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상에 상기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을 형성하고,
    일 단부가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에 접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다른 단부가 제 2회로기판에 접하도록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
  37. 접속부재로 집적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일 단부가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에 접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다른 단부가 제 2회로기판에 접하도록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복수층의 제 1회로기판 상에 상기 집적회로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감싸는 몰딩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의 제조방법.
  38. 지문인식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
    상기 집적회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전극이 마련되는 제 1회로기판;
    상기 제 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집적회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회로기판; 및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적회로를 감싸는 몰딩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인식장치의 둘레는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집적회로를 향해 함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회로기판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구조물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0.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1.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상기 제 1회로기판 및 상기 제 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2. 제 38항에 있어서,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 1회로기판 상부에 마련되는 도장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3.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층은 상기 제 2회로기판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40011408A 2013-08-08 2014-01-29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KR20150018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721A KR102013278B1 (ko) 2013-08-08 2014-03-04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EP14881377.7A EP3101589A4 (en) 2013-08-08 2014-09-15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device
US15/114,982 US10229306B2 (en) 2013-08-08 2014-09-15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6548162A JP2017511162A (ja) 2014-01-29 2014-09-15 指紋認識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PCT/KR2014/008585 WO2015115716A1 (ko) 2013-08-08 2014-09-15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CN201480074552.5A CN105940413B (zh) 2013-08-08 2014-09-15 指纹识别装置、其制造方法以及电子设备
AU2014380483A AU2014380483B2 (en) 2013-08-08 2014-09-15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962 2013-08-08
KR20130093962 2013-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50A true KR20150018350A (ko) 2015-02-23

Family

ID=530468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408A KR20150018350A (ko) 2013-08-08 2014-01-29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KR1020140025721A KR102013278B1 (ko) 2013-08-08 2014-03-04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721A KR102013278B1 (ko) 2013-08-08 2014-03-04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29306B2 (ko)
EP (1) EP3101589A4 (ko)
KR (2) KR20150018350A (ko)
CN (1) CN105940413B (ko)
AU (1) AU2014380483B2 (ko)
WO (1) WO2015115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350A (ko)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KR102097179B1 (ko) * 2015-04-07 2020-04-03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지문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2141B1 (ko) 2015-05-12 2019-01-24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지문센서 패키지
US9846274B2 (en) * 2015-07-24 2017-12-19 Concraft Holding Co., Ltd. Frame utilized in fingerprint recognition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ght guide mechanism with the frame
JP6502814B2 (ja) * 2015-09-25 2019-04-17 京セラ株式会社 指紋センサー用配線基板
US9898645B2 (en) 2015-11-17 2018-02-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ngerprint sensor device and method
KR20170061297A (ko) * 2015-11-26 2017-06-05 (주)파트론 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US9904776B2 (en) * 2016-02-10 2018-02-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ngerprint sensor pixel array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102592972B1 (ko) * 2016-02-12 2023-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싱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모듈
US9875388B2 (en) * 2016-02-26 2018-01-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ngerprint sensor device and method
WO2017178702A1 (en) 2016-04-13 2017-10-19 Tactotek Oy Multilayer structure with embedded multilayer electronics
US10354114B2 (en) 2016-06-13 2019-07-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ngerprint sensor in InFO structure and formation method
KR102152168B1 (ko) * 2016-08-25 2020-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80090507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인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TWI653725B (zh) * 2017-02-08 2019-03-11 南茂科技股份有限公司 指紋辨識封裝結構
WO2018148901A1 (zh) * 2017-02-16 2018-08-23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按键结构、按键压力检测方法和电子设备
JP6784342B2 (ja) * 2018-05-01 2020-11-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指紋認証装置
US11121070B2 (en) * 2019-01-31 2021-09-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tegrated fan-out package
KR20210020673A (ko) * 2019-08-16 2021-02-24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30102A0 (fi) 2003-01-22 2003-01-22 Nokia Corp Henkilön varmennusjärjestely
TWI237882B (en) * 2004-05-11 2005-08-11 Via Tech Inc Stacked multi-chip package
EP1800243B1 (en) * 2004-10-04 2010-08-11 Validity Sensors, Inc. Fingerprint sensing assemblies comprising a substrate
CN2768086Y (zh) 2005-01-07 2006-03-29 敦南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扫描装置及具有指纹扫描功能的电子设备
US8358816B2 (en) * 2005-10-18 2013-01-22 Authentec, Inc. Thinned finger sensor and associated methods
JP4441483B2 (ja) 2005-12-19 2010-03-31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指紋センサ装置
CN101047153A (zh) 2006-03-29 2007-10-03 祥群科技股份有限公司 半导体集成电路芯片及其形成方法
KR101336572B1 (ko) * 2007-05-09 201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JP2009099905A (ja) * 2007-10-19 2009-05-07 Rohm Co Ltd 半導体装置
US8149001B2 (en) * 2008-08-15 2012-04-03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Low cost fingerprint sensor system
JP4842363B2 (ja) 2009-11-17 2011-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電子機器
NO20093601A1 (no) * 2009-12-29 2011-06-30 Idex Asa Overflatesensor
US8421890B2 (en) * 2010-01-15 2013-04-16 Picofield Technologies, Inc. Electronic imager using an impedance sensor grid array and method of making
US8866347B2 (en) * 2010-01-15 2014-10-21 Idex Asa Biometric image sensing
US8791792B2 (en) * 2010-01-15 2014-07-29 Idex Asa Electronic imager using an impedance sensor grid array mounted on or about a switch and method of making
US9666635B2 (en) * 2010-02-19 2017-05-30 Synaptics Incorporated Fingerprint sensing circuit
US9001040B2 (en) * 2010-06-02 2015-04-07 Synaptics Incorporated Integrated fingerprint sensor and navigation device
CN103038782A (zh) * 2010-06-18 2013-04-10 奥森泰克公司 包括在感测区域上的包封层的手指传感器和相关方法
US8724038B2 (en) * 2010-10-18 2014-05-1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Wraparound assembly for combination touch, handwriting and fingerprint sensor
GB2489100A (en) * 2011-03-16 2012-09-19 Validity Sensors Inc Wafer-level packaging for a fingerprint sensor
WO2012158950A1 (en) * 2011-05-17 2012-11-22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Fingerprint sensors
EP2958052B1 (en) * 2012-04-10 2020-10-07 Idex Asa Biometric sensing
US10203816B2 (en) * 2013-05-07 2019-02-12 Egis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FT fingerprint sensor
KR20150018350A (ko)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US9819424B2 (en) * 2013-09-09 2017-11-1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itigate interference between hardware circuitry and wireless circui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4677399B (zh) * 2014-11-24 2017-12-05 麦克思智慧资本股份有限公司 超声波传感器
CN106599763B (zh) * 2015-10-16 2020-05-12 神盾股份有限公司 指纹辨识传感器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1589A4 (en) 2017-11-01
AU2014380483A1 (en) 2016-07-21
EP3101589A1 (en) 2016-12-07
AU2014380483B2 (en) 2017-05-04
KR20150018358A (ko) 2015-02-23
CN105940413A (zh) 2016-09-14
US20160350572A1 (en) 2016-12-01
KR102013278B1 (ko) 2019-10-21
CN105940413B (zh) 2019-11-01
WO2015115716A1 (ko) 2015-08-06
US10229306B2 (en)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8350A (ko)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US20210373709A1 (en) Fingerprint sensor and button combin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445548B2 (en) Fingerprint sens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WI549064B (zh) 生物識別感測器堆疊結構
CN106569628A (zh) 力感应触摸屏输入装置
KR20180100712A (ko) 힘 센서를 구비한 입력 디바이스
JP4513511B2 (ja) 指紋認証装置、及びicカード
CN111433708A (zh) 具有显示面板与超声传感器之间的光吸收构件的电子装置
KR20170119635A (ko) 이미지 스캐닝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50013981A (ko)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JP2017511162A (ja) 指紋認識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200014017A (ko) 유연기판이 적용된 언더글래스 지문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28580A (ko)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조방법
US20240061537A1 (en) Fingerprint sensor and button combin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14146269A (ja)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70124926A (ko) 지문센서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14016A (ko) 언더글래스 광학 방식 지문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4022A (ko) 언더글래스 초음파 방식 지문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4020A (ko) 언더글래스 정전용량 방식 지문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849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