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652A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f up-link frequency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f up-link frequ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652A
KR20150015652A KR1020130091134A KR20130091134A KR20150015652A KR 20150015652 A KR20150015652 A KR 20150015652A KR 1020130091134 A KR1020130091134 A KR 1020130091134A KR 20130091134 A KR20130091134 A KR 20130091134A KR 20150015652 A KR20150015652 A KR 20150015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ain cell
uplink
received signal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호
구재형
이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9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652A/en
Publication of KR2015001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6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hanging uplink frequency. The frequency changing apparatus measures the receiving signal intensity of a main cell which performs a carrier wave integrated operation for changing the frequency of an uplink and confirms whether there is interference by a spurious wave based on the receiving signal intensity of the measured main cell. If there is interference, it determines that the frequency for the uplink of the main cell is changed.

Description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f up-link frequency}[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p-link frequency [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uplink frequency.

일반적으로 통신 기지국은 크게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가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함께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모든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셀에 다 설치하여야 하므로 셀 설계의 최적화에 한계점이 있어서 무선 용량의 개선이 어려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RF(Radio Frequency) 구성과 안테나 구성만을 원격으로 분리하여 무선 처리 장치(Radio Unit, 이하 "RU"라 지칭함)를 구성하고, 복수 개의 RU를 하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Unit, 이하 "DU"라 지칭함)에 연결하는 망 구조가 사용된다.Generally, a communication base station is largely included in one physical system together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However, since the system including all the processing units must be installed in the cell, it is difficult to optimize the cell capacity because there is a limit in optimizing the cell design. To improve this, a radio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U") is configured by separating only an RF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a radio signal and an antenna configuration remotely, and a plurality of RUs are processed as one digital signal A network structure for connecting to a digital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 ") is used.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효율적인 셀 설계는 가능하지만 시스템 용량을 극대화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무선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지국의 새로운 구조 및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그 중의 하나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이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 신호 또는 하나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동시 전송(Joint Transmission) 방식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시 전송 방식에 의해 신호 품질이 2배정도 개선되거나 시공간 채널 코딩 이득을 얻을 수 있다.However, this approach also allows for efficient cell design, but it is difficult to maximize the system capacity. Therefore, a new structure and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is needed to maximize the radio capacity. One of them is a joint transmission scheme in which at least two neighboring base stations simultaneously transmit the same signal or one data to one terminal. This simultaneous transmission scheme improves the signal quality by a factor of two or obtains a space-time channel coding gain.

한편,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은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에 따라 통신 시스템 기술도 진화를 거듭하였고, 이 가운데 현재 4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각광받는 시스템이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다. LTE 시스템에서는, 폭증하는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었으며, 그 가운데 도입된 기술이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 기술이다. 반송파 집적 기술이란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요 반송파(Primary Carrier)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2차 반송파(Secondary Carrier)를 사용하는 기술로써 2차 반송파의 개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undergone dramatic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y has evolved accordingly. Of these, LTE (Long Term Evolution) system is the system that is popularized as a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 LTE system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to meet the increasing traffic demand, and the technology introduced is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Carrier integration technology is a technique that uses only one carrier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n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and uses a primary carrier and one or a plurality of secondary carriers as the number of secondary carriers The amount of transmission can be dramatically increased.

이러한 반송파 집적 기술이 적용된 환경의 주요 셀(Pcell: Primary Component Carrier)에서는 역방향과 순방향 모두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이차 셀(Scell: Secondary Component Carrier)에서는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은 없고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만 가능하다. 그런데, 상향링크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은 경우에도, 수신 신호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일정한 값 이상이면, 인접 기지국의 간섭이 크게 발생하거나 인접 대역의 불요파(unwanted emission)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여 주요 셀의 상향링크를 통해 신뢰성 있게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a primary cell (Pcell) in an environment where such a carrier integration technique is applied,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both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forward direction. In a secondary cell (Scell: Secondary Component Carrier), there is no up- (down-link) data transmission. However, even if the data is not allocated to the uplink,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interference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is greatly generated, or interference And the data can not be transmitted reliably through the uplink of the main cell.

따라서, 본 발명은 신뢰성 있게 상향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향링크 채널을 선택하여 변경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link frequency chan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changing an uplink channel so that data can be reliably transmitted through an uplink.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주파수 변경 장치가 상향링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hanging a frequency of an uplink in a frequency-

반송파 집적 동작을 수행하는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토대로 불요파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간섭이 발생하였다면,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에 대한 주파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su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main cell performing a carrier aggregation operation; Determining whether interference caused by unwanted waves has occurred based on the measured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And determining a frequency change for the uplink of the main cell if interference has occurred.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는 주요 셀의 상향링크에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을 측정할 수 있다.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can be measured in a subframe in which resources are not allocated to the uplink of the main cell.

상기 간섭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한 임계 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가 상기 임계 값 보다 크면,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와 상기 주요 셀과 함께 반송파 집적 동작을 수행하는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파라미터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와 상기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의 차이가 상기 파라미터 이상이면,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에 할당된 주파수 변경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불요파에 의해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interference has occurred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easured main cell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ary cell performing the carrier aggregation operation together with the main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parameter,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step; Confirming whether a condition for changing a frequency allocated to an uplink of the main cell is satisfie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ary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arameter; And determining that the interference is caused by the spurious wave 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변경하고자 하는 타겟 주파수의 상향링크 부하 및 상향링크 속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uplink load and the uplink speed of the target frequency to be changed meet a preset reference.

상기 주파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주요 셀 내에 위치한 단말로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 완료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ransmitting a message requesting uplink frequency change to a terminal located in the main cell after determining the frequency change; And receiv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has been changed from the terminal.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주파수 변경 장치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installed in a service area and physically separated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for processing wireless signals, A frequency changing device for processing a signal,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와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토대로 불요파에 의한 간섭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가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을 결정하면, 해당 주파수로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하는 주파수 변경부를 포함한다.A measuring unit measu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main cell;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interference occurs due to a spurious wave based on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main cell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secondary cell to determine whether to change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And a frequency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uplink frequency at the corresponding frequency when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o change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수신하여 상기 판단부로 전달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to / from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for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ary cel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to the determination unit.

상기 측정부는,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중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프레임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measure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 a frame in which resources of uplink of the main cell are not allocated.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지 확인하고,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이면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와 상기 이차 셀의 수신 신호의 차가 미리 설정한 파라미터 값 이상인지 확인하고, 상기 파라미터 값 이상이면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ndition for changing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is satisfied if the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arameter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주파수의 상향링크 대역이 다른 시스템의 불요파 또는 인접셀의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상향링크 주파수의 변경을 통해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성능이 개선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o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is improved through the change of the uplink frequency even if the uplink band of a certain frequency occurs in the unnecessary wave or interference of the adjacent cell of anoth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반송파 집적시 단말에 대해 할당되는 하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경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반송파 집적 동작을 수행하는 주요 셀과 이차 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구성 변경 방법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주요 셀과 이차 셀의 구성이 변경된 후의 데이터 전송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RC 연결 재구성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number of downlink carriers and the number of uplink carriers that are allocated to a terminal in a carrier aggregation.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requency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data transmission directions in a main cell and a secondary cell that perform a carrier aggreg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direction 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cell and the secondary cell shown in FIG. 4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ell configuration chang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uplink frequency chan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terminal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n access terminal (AT),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of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ubscriber station, a user equipment,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BS) is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S), a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obile Multihop Relay) -BS, and may include all or some of the functions of an access point,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an MMR-B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망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network structur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은 무선 신호 처리 장치(radio unit, RU)(100),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unit, DU)(200) 및 코어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무선 통신의 신호 처리 시스템을 이룬다.1,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RU) 100,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U) 200, and a core system 300 do.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form a signal process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한다.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에 복수 개(110, 120, 130)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는 서비스 대상 지역, 즉 셀에 설치된다.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converts a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n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and amplifies the signal.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00, 110, 120 and 130 are connec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and each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 a service area, that is, a cell.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be connected by an optical cable.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무선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 및 복호화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코어 시스템(300)에 연결되어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와 달리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주로 통신 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되는 서버로서, 가상화된 기지국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performs processing such as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a wireless digital signal, and is connected to the core system 300. Unlike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s not installed in a service area but is mainly installed in a central office of a communication company, and is a virtualized base sta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00.

기존의 통신 기지국은 이러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부를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포함하고,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이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만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The existing communication base station includes a process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n one physical system, and one physical system is installed in the service target area.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ysically separates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200, and only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코어 시스템(300)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와 외부 망의 접속을 처리하며, 교환기(도면 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core system 300 handl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and the external network, and includes an exchange (not shown) and the like.

두 개의 셀(21, 22)간에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단말(440)에 대해 할당되는 하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의 예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number of downlink transmission carriers and the number of uplink transmission carriers allocated to the UE 440 when a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is applied between two cells 21 and 2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도 2는 반송파 집적시 단말에 대해 할당되는 하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number of downlink carriers and the number of uplink carriers that are allocated to a terminal in a carrier aggrega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적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또는 대칭 반송파 집적(symmetric aggregation)의 경우에는 단말(440)에 할당되는 상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와 하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가 동일하지만 비대칭 반송파 집적(asymmetric aggregation)의 경우에는 하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가 상향링크 전송 반송파 수보다 많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반송파 집적을 수행하는 이차 셀(Secondary Cell) 중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못하는 이차 셀이 존재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is not applied or in the case of symmetric aggregation, the number of uplink transmission carriers and the number of downlink transmission carriers allocated to the AT 440 are the same, but the asymmetric carrier aggregation the number of downlink transmission carrier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uplink transmission carriers in case of asymmetric aggregation. Therefore, in this case, a secondary cell that can not perform uplink data transmission exists in a secondary cell that performs carrier aggregation.

이와 같이, 반송파 집적을 수행하는 이차 셀(Scell)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가 이차 셀에 위치하는 단말에 대해 동시 전송 방식을 수행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없어서 동시 전송 방식을 적용할 수 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ary cell (Scell) performing the carrier aggregation can not perform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can not set a region for performing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scheme on the terminal located in the secondary cell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scheme can not be applied.

이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송파 집적을 수행하면서 상향링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향링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장치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주파수를 변경하는 변경 장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 내에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를 주파수 변경 장치(200)라고도 지칭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uplink frequency while carrying out carrier aggrega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irst, an apparatus for changing the frequency of the uplin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changing device for changing the frequenc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200,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s also referred to as a frequency changing apparatus 20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경 장치의 구조도이다.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requency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송수신부(210), 측정부(220), 판단부(230), 주파수 변경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3,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210, a measuring unit 220, a determining unit 230, a frequency changing unit 240, 250).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없는 주파수 변경 장치(200) 즉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의 일반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즉, 주파수 변경 장치(200)는 무선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 및 복호화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무선 신호 처리 장치(131, 132)와 코어 시스템(30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신호 처리 장치(131, 132)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FIG. 3, the description of the gener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requency changing apparatus 200, that is,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which is not related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at is, the frequency changing apparatus 200 performs processing such as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a wireless digital signal, and controls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31 and 132 (or 132 and 132)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31 and 132 and the core system 300, )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송수신부(210)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31, 132)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31, 132)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향링크의 신호 세기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반송파 집적 동작을 위한 셀 구성 정보 또는 셀 구성 변경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송수신부(210)를 통해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수신하여, 판단부(230)에서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 여부를 결정할 때 이용한다.The transceiver 210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nd from the radio signal processors 131 and 132. The radio signal includes the uplink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by the radio signal processor 131 or 132 from the terminal or includes information for cell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cell configuration change for carrier integration. In addition, the reception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ary cell is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10, and used when the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측정부(220)는 주요 셀(Pcell)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측정하는데, 이때 상향링크 중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프레임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하향링크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데이터에 대한 긍정응답/부정응답(ACK/NACK) 정보 또는 하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데이터에 대한 긍정응답/부정응답 정보가 상향 링크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되므로, 측정부(220)는 긍정응답/부정응답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프레임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프레임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프레임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수신 신호 강도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measurement unit 220 measur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a main cell (Pcell), and measur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 a frame to which no uplink resource is allocated. Generally, acknowledgment / negative acknowledgment information for downlink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data or acknowledgment / negative acknowledgment information for downlink HARQ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data is transmitted in an uplink PUSCH The uplink shared channel (PUCCH), or the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the measuring unit 220 measur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 a frame in which no acknowledgment / negative acknowledg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method of measur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 a frame to which resources are not allocated is the same as that in measu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 a general fram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ing method is omitted.

판단부(230)는 측정부(220)가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 값을 전달받으면, 수신 신호 강도 값이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이차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이 측정한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 값을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하여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 값과 차이를 계산하여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 여부를 결정할 때, 변경하고자 하는 타겟 주파수에 대한 상향링크 부하와 속도 정보를 토대로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When the determination unit 230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main cell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20, the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secondary cell measured by the base station forming the secondary cell from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10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from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primary cell to determine whether to change the uplink frequency of the primary cell do. When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uplink frequency, it is determined whether to change based on the uplink load and speed information for the target frequency to be changed.

주파수 변경부(240)는 판단부(230)의 결정을 토대로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한다. 그리고 주요 셀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 해당 주파수로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요청하고, 해당 주파수로 변경한 단말로부터 주파수 변경 확인 응답을 수신한다. 이때 주파수 변경부(24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로부터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The frequency changing unit 240 changes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ing unit 230. At least one terminal located in the main cell region requests to change the uplink frequency at the corresponding frequency and receives the frequency change acknowledgment from the terminal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At this time, the frequency changing unit 240 transmits a change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210 and receives a change response message from the terminal.

다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주파수 변경 장치(200)가 구비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구성을 변경하는 예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changing the cell configuration in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provided with the frequency chang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5.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반송파 집적 동작을 수행하는 주요 셀과 이차 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향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구성 변경 방법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주요 셀과 이차 셀의 구성이 변경된 후의 데이터 전송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ta transmission direction in a main cell and a secondary cell performing a carrier wave integr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fer direction after a configuration of a main cell and a secondary cell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제1 무선 신호 처리 장치(140)가 주요 셀을 형성하고, 제2 무선 신호 처리 장치(150)가 이차 셀을 형성하여 반송파 집적 동작을 수행한다.4,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radio signal processor 140 forms a main cell under the control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200, (150) forms a secondary cell to perform the carrier accumulation operation.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셀에 위치하는 단말(450)은 제1 무선 신호 처리 장치(140)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은 물론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차 셀에 위치하는 단말(460)은 제2 무선 신호 처리 장치(150)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만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terminal 450 located in the main cell can transmit downlink data as well as downlink data with the first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40. However, the terminal 460 located in the secondary cell is only capable of downlink data transmission with the second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50.

이와 같은 환경에서 상향랑크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가 상향링크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은 경우에라도 특정 값 이상이면, 인접 기지국의 간섭이 크거나 인접 대역의 불요파가 심한 주파수를 할당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에 의해, 주요 셀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단말(450, 460)로 전달한다. In this circumstance,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or the uplink is not higher than a specific value even if the uplink data is not allocated to the uplink,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is large or the unnecessary waves of the adjacent band are allocated to a high frequency. Accordingl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changes the frequency of the main cell periodically or by generating an event, and transmits the changed frequency to the terminals 450 and 460.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에 의해 기존의 이차 셀이 주요 셀로 변경되고, 기존의 주요 셀이 이차 셀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다른 주파수의 수신 신호 강도와 비교하여 다른 주파수의 수신 신호 강도가 더 낮은 경우 해당 셀로 주요 셀을 변경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existing secondary cell is changed to the main cell and the existing main cell is changed to the secondary cell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nother frequency is lower tha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nother frequenc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ystem performance by changing the main cell to the corresponding cell. A method of changing the uplink frequenc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uplink frequency chan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변경부(240)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내에 주요 셀을 현재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시켜서 단말(460)로 전송한다(S100).As shown in FIG. 6, the frequency changing unit 240 includes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current frequency of the main cell to another frequency in th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460 (S100).

그리고, 주파수 변경부(240)는 단말(460)로부터 주요 셀의 상향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경했다는 확인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며, 이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S110)가 된다.Then, the frequency changing unit 24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confirmation that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is changed to another frequency from the terminal 460. This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S110 ).

여기서 S100 단계에서 주파수 변경부(240)가 단말(460)로 주파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주요 셀의 상향 주파수를 변경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에 대해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In step S100, a procedur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frequency changing unit 240 changes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to transmit a message requesting the frequency change to the UE 4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RC 연결 재구성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220)는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S101). 이때 측정부(220)가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할 때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프레임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As shown in FIG. 7, the measuring unit 220 measur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main cell (S101). At this time, when the measuring unit 220 measur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it measur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 a frame in which uplink resources are not allocated.

측정부(220)는 S101 단계에서 주요 셀의 상향링크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 측정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threshold)를 초과하는지 확인한다(S102). 수신 신호 강도 측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것은 불요파 또는 인접 셀에 의한 갑섭에 의해 상향링크의 carrier 품질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In step S101, the measurement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uplink of the main cell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S102). The fact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means that the quality of the uplink carrier is not good due to the unwanted or collision caused by the adjacent cell.

만약 수신 신호 강도 측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측정부(220)는 S101 단계를 재 수행한다. 그러나 수신 신호 강도 측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판단부(23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 값과 측정부(220)가 S101 단계에서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 값의 차이를 확인한다(S103).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ement value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value, the measurement unit 220 performs step S101 again. However,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secondary cell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210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primary cell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20 in step S101 The difference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s is confirmed (S103).

만약 두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파라미터인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보다 작으면 S101 단계를 재 수행한다. 여기서 히스테리시스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parameter hysteresis, the step S101 is performed again. The method of setting the hysteresis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두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값 보다 크면, 판단부(220)는 상향링크의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최소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104). 여기서 주파수 변경을 위한 최소 조건은 변경하고자 하는 타겟 주파수의 상향링크 부하 정도와 속도 등을 포함한다.However,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minimum condition for changing the frequency of the uplink is satisfied (S104). Here, the minimum condition for frequency change includes the degree of uplink load and speed of the target frequency to be changed.

만약 타겟 주파수가 상향링크의 주파수 변경을 위한 최소 조건을 만족하면, 판단부(220)는 해당 주파수로 변경을 결정하고, 주파수 변경부(240)는 해당 주파수로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한다(S105). 이와 동시에 단말(450)로 상향링크를 이용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해당 주파수로 변경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한편, S104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변경하고자 하는 주파수가 최소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S101 단계의 절차를 재 수행한다.If the target frequency satisfies the minimum condition for changing the frequency of the uplink,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change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and the frequency changing unit 240 changes the uplink frequency at the corresponding frequency (S105) . At the same time, when transmitting data using the uplink to the terminal 450, the terminal 450 is requested to change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4 that the frequency to be changed does not satisfy the minimum condition, the procedure of step S101 is performed agai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2)

주파수 변경 장치가 상향링크의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반송파 집적 동작을 수행하는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토대로 불요파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간섭이 발생하였다면,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에 대한 주파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변경 방법.
A method for changing frequency of an uplink in a frequency changing apparatus,
Measu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main cell performing a carrier aggregation operation;
Determining whether interference caused by unwanted waves has occurred based on the measured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And
If interference occurs, determining a frequency change for the uplink of the main cell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는 주요 셀의 상향링크에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을 측정하는 주파수 변경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is measured in a subframe in which resources are not allocated to an uplink of a main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한 임계 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가 상기 임계 값 보다 크면,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와 상기 주요 셀과 함께 반송파 집적 동작을 수행하는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파라미터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와 상기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의 차이가 상기 파라미터 이상이면,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에 할당된 주파수 변경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불요파에 의해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변경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ference has occurred comprises:
Confirming whether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easured main cell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ary cell performing the carrier aggregation operation together with the main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parameter,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step;
Confirming whether a condition for changing a frequency allocated to an uplink of the main cell is satisfie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ary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arameter; And
If the above condition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caused by the spurious wave
/ RTI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변경하고자 하는 타겟 주파수의 상향링크 부하 및 상향링크 속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주파수 변경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Wherein the uplink load and the uplink speed of the target frequency to be changed satisfy a preset refe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주요 셀 내에 위치한 단말로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 완료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변경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determining the frequency change,
Transmitting a message requesting uplink frequency change to a terminal located in the main cell; And
Receiv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has been changed from the terminal
/ RTI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인 주파수 변경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ssage requesting the frequency change is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주파수 변경 장치에 있어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와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토대로 불요파에 의한 간섭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가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 변경을 결정하면, 해당 주파수로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하는 주파수 변경부
를 포함하는 주파수 변경 장치.
A frequency chang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radio signal from a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physically separated from a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installed in a service area for processing radio signals,
A measuring unit measu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main cell;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interference occurs due to a spurious wave based on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main cell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secondary cell to determine whether to change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And
When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o change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And the frequency chang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이차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수신하여 상기 판단부로 전달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주파수 변경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to / from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ary cell,
And the frequency chang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중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프레임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주파수 변경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asuring unit comprises:
And measur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 a frame to which resources of uplink of the main cell are not alloca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지 확인하고,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이면 상기 주요 셀의 수신 신호 강도와 상기 이차 셀의 수신 신호의 차가 미리 설정한 파라미터 값 이상인지 확인하고,
상기 파라미터 값 이상이면 상기 주요 셀의 상향링크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주파수 변경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asurement unit check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measur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ain cell and the received signal of the secondary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parameter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dition for changing the uplink frequency of the main cell is satisfied if the parameter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arameter valu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변경하고자 하는 타겟 주파수에 대한 상향링크 부하 및 상향링크 속도를 포함하는 주파수 변경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dition includes an uplink load and an uplink speed for a target frequency to be chang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경부는,
상기 주요 셀의 영역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 상향링크 주파수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메시지는 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인 주파수 변경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requency-
And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a change of an uplink frequency to at least one or more UEs in an area of the main cell, and the message is a Radio Resource Control (RC) reconfiguration message.
KR1020130091134A 2013-07-31 2013-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f up-link frequency KR201500156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134A KR20150015652A (en) 2013-07-31 2013-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f up-link frequ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134A KR20150015652A (en) 2013-07-31 2013-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f up-link frequ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52A true KR20150015652A (en) 2015-02-11

Family

ID=5257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134A KR20150015652A (en) 2013-07-31 2013-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f up-link frequ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565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871A (en)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purio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871A (en)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purio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5461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US10244450B2 (en) Handover for coverage enhancement
EP2678964B1 (en) Communication of data using independent downlink and uplink connections
EP28077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0263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llocating downlink power
US20210250132A1 (en) Configuration and selection of harq feedback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678963B1 (en) Communication of data using independent downlink and uplink connections
WO20150204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ell shaping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75981B2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575356B2 (en)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a secondary node and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CN114142901A (en) Terminal device, method of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base station
CN112771813B (e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or scheduling multiple transport blocks, TB
WO2022228077A1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1742579A (en) Method for executing beam failure recovery process and user device
CN11074171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configuration
US11228355B2 (en) Methods of energy optimization for multi-antenna systems
WO2022249820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terminal, base station, and ris device
WO2022162624A1 (en) Enhanced fast crs rate matching selection in dss
WO2013123886A1 (en) Mobility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WO20150619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interference suppression
KR201500156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f up-link frequency
WO20142089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plit availability of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82205A1 (en) UE,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WO2022249821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terminal, and base station
CN115943576A (en) Fast outer loop link adap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