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481A - System for changing the vehicle setting using mobi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changing the vehicle setting using mobi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481A
KR20150012481A KR1020130088026A KR20130088026A KR20150012481A KR 20150012481 A KR20150012481 A KR 20150012481A KR 1020130088026 A KR1020130088026 A KR 1020130088026A KR 20130088026 A KR20130088026 A KR 20130088026A KR 20150012481 A KR20150012481 A KR 20150012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tting
portable terminal
modu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봉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2481A/en
Publication of KR20150012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4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system for altering a vehicle sett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e system for altering a vehicle sett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portable terminal receiving setting items for altering a setting of a vehicle module and corresponding set values, and a vehicle control unit receiving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tting items and the corresponding set values from the portable terminal, altering a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by using the received vehicl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setting alte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operation of altering the setting is completed.

Description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changing the vehicle setting using mobile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tting change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제어 유닛의 설정을 변경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changing a setting of a vehicle control unit using a portable terminal.

차량 제작 시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e)에 포함된 차량 모듈들 각각에는 환경 조건에 따른 동작들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중 일부 차량 모듈은 차량 생산 후 동작 설정이 변경될 수 있도록 동작 선택 기능이 내장되어 제작된다. 즉, 차량 모듈의 동작 설정을 차량 제조시 설정된 동작 설정이 아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일부 차량 모듈은 예를 들어, 차량 경적 제어 모듈, 차량 램프 제어 모듈,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 등이다.In each of the vehicle modules included in the body control modul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manufactured, operation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set. Some of the vehicle module of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of this vehicle is built with an operation selection function built in so that the operation setting after the vehicle production can be changed. That is,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rather than the operation setting se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vehicle. Here, some vehicle modules are, for example, a vehicle horn control module, a vehicle lamp control module, a vehicle door open / close control module, and the like.

그러나, 이러한 차량 모듈의 동작 설정 변경은 차량 진단 장치를 통해 변경이 가능하며, 차량 모듈의 동작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차량 소유자)는 차량 정비 업체를 방문해야만 한다.However, the operation setting change of the vehicle module can be changed through the vehicle diagnosis device, and the user (the vehicle owner) must visit the vehicle maintenance company to change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cal solution for changing a setting of a vehicle module using a portable terminal of a user.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은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입력받는 휴대용 단말,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포함하는 차량 설정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며, 상기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설정 변경 완료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changing a vehicle sett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the system comprising: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a setting item for changing a setting of a vehicle module and a corresponding setting value;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 setting item and 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item, changes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using the received vehicle information, and when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setting is completed, And transmits it to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UDS(Unified Diagnostic Service)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received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to a data format based on a Unified Diagnostic Service (UDS) protocol,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using th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과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차량 모듈과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을 위한 CAN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AN communication module for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module.

덧붙여, 상기 설정 항목은 상기 차량의 물리적 키에 의한 도난 경보 시스템 온 동작, 이그니션 오프(IG OFF)에 따른 램프 동작, 리모컨 키 신호에 따른 경적 동작 및 도어 개폐 동작, 자동 도어 개폐 동작, 방향 지시기의 입력에 따른 방향 지시등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한 설정 항목이다.In addition, the setting items include a stolen alarm system ON operation by the physical key of the vehicle, a lamp operation by ignition off (IG OFF), a horn operation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key signal, a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an automatic door opening / Is a setting item for at least one operation of the turn signal lamp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한편,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의 차량 설정 변경 방법은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포함하는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UDS(Unified Diagnostic Service)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hanging a vehicle setting of a vehicle sett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verting the received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to a data format based on a Unified Diagnostic Service (UDS) protocol, transmitting the converted vehicle setting information to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 Communication to the vehicle module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여기서, 상기 차량 모듈을 경적 제어 모듈, 램프 제어 모듈, 도어 개폐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한다.Here, the vehicle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horn control module, a lamp control module, and a door open / close module.

덧붙여, 상기 차량 모듈의 설정 변경이 완료되면, 설정 변경 완료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setting change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etting change of the vehicle module is completed.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모듈의 동작 설정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변경 가능하여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맞게 차량의 설정을 튜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odule can be directly changed by the us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setting of the vehicle can be tuned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tas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시스템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방법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setting change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 vehicle sett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10)과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setting change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vehicle setting change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10 and a control unit 20.

휴대용 단말(10)은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사용자(운전자)가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스마트폰)일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10)은 제어 유닛(20)에 기등록된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0)에 운전자 소유의 휴대용 단말(10)의 고유 정보(예컨대, 고유 식별자 정보(ID))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terminal (smart phone) owned by a user (driver).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be a terminal registered in the control unit 20 in advance. For example, unique information (e.g.,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ID))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wned by the driver may be stored in the control unit 20 in advance.

또한, 휴대용 단말(10)은 제어 유닛(20)을 이용하여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차량 모듈의 설정 변경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하면, 휴대용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설정 항목과 그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이 가능한 차량 모듈의 설정 항목과 설정값은 후술하도록 한다.Further,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operate an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 for changing the settings of the vehicle module using the control unit 20. [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is operated by the user,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receive the setting item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corresponding setting value. Here, the setting items and setting values of the vehicle module that can be changed by the user are described later.

나아가, 휴대용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 항목과 그에 해당하는 설정값을 포함하는 차량 설정 정보를 제어 유닛(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10)은 제어 유닛(2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해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용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20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tting item input by the user and the corresponding setting value.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Fi)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20. [

제어 유닛(20)은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는 구성이다. 제어 유닛(20)은 차량에 장착된 다수의 차량 모듈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제어 유닛(20)은 휴대용 단말(1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차량 설정 정보를 유선 통신을 통해 차량 모듈로 전송하기 위해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is a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using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control unit 20 may be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mounted on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20 may include a wired or wireless gateway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o the vehicle module via the wired communication.

이하,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차량 설정 정보의 설정 항목과 설정값에 따라 제어 유닛(20)이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 몇 가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examples of the case where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according to the setting items and setting values of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will be described.

제어 유닛(20)는 차량의 물리적 키를 이용하여 차량 도난 경보 시스템(Anti-Theft Warning System, ATWS)에 진입할지에 관한 키 알람(Key Arm) 설정에 관한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키 알람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Enable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물리적 키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 잠금 시, 도난 경보 시스템이 온(ON) 할 수 있도록 차량 모듈(예컨대, 혼(horn)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uses the physical key of the vehicle to inform the vehicle terminal 10 of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key alarm about whether to enter the anti-theft warning system (ATWS) .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key alarm setting item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s Enable, the control unit 20 can use the physical key to turn on the burglar alarm system when the vehicle door is locked (For example, a horn control module) so as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이그니션 온/오프에 따른 차량 램프 작동 여부에 관한 에스코트(Escort) 설정에 관한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에스코트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Enable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이그니션이 오프될 시 차량의 램프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20초) 동안 온 할 수 있도록 차량 모듈(예컨대, 테일 램프(Tail lamp) 또는 헤드 램프(Head Lamp)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on the escort setting relating to whether or not the vehicle lamp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gnition on / off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escort setting item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s Enable,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lamp of the vehicle to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0 seconds) when the ignition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For example, a tail lamp or a head lamp control module) so that the vehicle can be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리모컨의 락(Lock) 신호 수신에 따른 차량 경적 발생 동작에 관한 경적 응답(Horn Answer Back) 설정에 관한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경적 응답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Enable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리모컨으로부터 락 신호가 수신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이내 다시 락 신호가 수신될 경우 경적을 발생할 수 있도록 차량 모듈(예컨대, 혼(horn)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horn answer back related to the vehicle horn occurrence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lock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horn response setting item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s Enable,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horn response setting item is lock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seconds) after the lock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vehicle (E.g., a horn control module) so as to generate a horn when a signal is received.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상태 변경에 따라 차량 도어를 자동을 개폐하는 오토 도어 락(Auto Door Lock) 설정에 관한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오토 도어 락 항목의 설정값이 키 아웃 언락(key out unlock) 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물리적 키가 키 박스에서 이탈 시, 차량의 도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차량 모듈(예컨대,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오토 도어 락 항목의 설정값이 속도 연동 잠금(Speed lock) 인 경우, 제어 유닛(20)의 차량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 시, 차량의 도어를 잠길 수 있도록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차량 설정 정보에 따라 차량 변속 레버(shift lever)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etting of the auto door lock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change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auto door lock item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s key out unlock,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at the physical key of the vehicle leaves the key box,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for example, the door open / close control module) can be changed so that the lock can be releas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auto door lock item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 speed lock,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of the control unit 20 is higher than a certain speed,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can be changed so that it can be locked. 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can be changed so that the door of the vehicle can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shift lever.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리모컨의 언락(unlock) 신호 수신 횟수에 따른 차량 도어 잠금 해제에 관한 투 턴 언락(Two Turn Unlock) 설정에 관한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투턴 언락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Enable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리모컨으로부터 언락 신호가 1회 수신된 경우 차량의 운전석 도어만 잠금 해제되며, 언락 신호가 2회 수신된 경우 차량의 전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차량 모듈(예컨대,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wo-turn unlock setting related to the unlocking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the unlock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vehicle .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to-unlock setting item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s Enable, the control unit 20 unlocks only the driver's seat door of the vehicle when the unlock signal is received once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for example, the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module) can be changed so that the entire door of the vehicle can be unlocked when the signal is received twice.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방향 지시기 신호 수신에 따른 방향 지시등의 깜박임 횟수에 관한 원 터치 턴(one touch turn) 설정에 관한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원 터치 턴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3회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방향 지시기가 1회 온 오프 될 시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3회 깜박일 수 있도록 차량 모듈(예컨대, 방향 지시등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ne touch turn setting related to the number of flickering of the turn signal lamp according to the receipt of the turn signal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one-touch turn setting item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s three,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turn indicator to blink three times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for example, the turn signal lamp control module) can be changed.

위와 같이, 제어 유닛(20)은 위에서 예를 들은 6개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대한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six settings, for example, the above.

위와 같은 동작을 위해 제어 유닛(20)은 통신부(210), 변환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operation, the control unit 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 conversion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통신부(210)는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설정 항목과 그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포함하는 차량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용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10)는 휴대용 단말(10)과 유선 통신을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유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USB용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tting item and the corresponding setting valu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Fi)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perform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in this case,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module for USB).

덧붙여, 통신부(210)는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차량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값을 차량 모듈로 전송하기 위해 유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용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us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CAN (Controller Area)) to transmit a setting value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to the vehicle module using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변환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차량 설정 정보를 차량 모듈에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변환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차량 설정 정보의 설정 항목과 설정값을 UDS(Unified Diagnostics Service)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UDS란 차량 모듈의 진단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ISO 14229 표준을 따른다.The conversion unit 220 converts the data format so that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Specifically, the conversion unit 220 may convert the setting items and the setting values of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into a UDS (Unified Diagnostics Service) protocol-based data format. Here, UDS is a protocol for diagnosis of vehicle modules and conforms to ISO 14229 standard.

또한, 변환부(220)는 차량 모듈의 설정 변경 완료 정보를 휴대용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을 변환할 수도 있다.The conversion unit 220 may convert the data format so that the setting change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odule can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

제어부(230)는 변환부(220)에 의해 변환된 차량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30)는 다수의 차량 모듈을 제어하는 통합 차체 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차량 설정 정보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차량 모듈의 동작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해당 차량 모듈의 동작 설정을 수신된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is a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using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converting unit 220. [ The control unit 230 may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body control module (BCM)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30 can change the operation setting value of the vehicl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item of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230 may change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module to the received setting value and store it in the memory.

나아가, 차량 모듈의 설정이 변경된 후, 제어부(230)는 설정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설정 변경 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10)를 통해 휴대용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설정 변경된 후의 차량 모듈의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에 의해 생성된 설정 변경 완료 정보는 변환부(220)에 의해서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용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어 통신부(210)를 통해 휴대용 단말(10)로 전송될 수 있다.Further, after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is changed, the control unit 230 may generate the setting change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tting has been changed and transmit the setting change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30 can transmit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module after the setting change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setting change comple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30 is converted into a protocol-based data format for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by the conversion unit 220 a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Lt; / RTI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모듈의 동작 설정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변경 가능하여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맞게 차량의 설정을 튜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odule can be directly changed by the us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setting of the vehicle can be tuned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tast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방법 흐름도이다. 이하,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10)을 이용하여 차량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 유닛(2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2 is a flowchart of a vehicle setting change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ntrol unit 20 for changing the vehicle setting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0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먼저, 제어 유닛(20)은 차량 모듈의 설정 항목과 그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설정값을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한다(S100). 이때, 제어 유닛(20)은 휴대용 단말(1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모듈의 설정 항목과 설정값을 포함하는 차량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20)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용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20 receives a setting item of the vehicle module and 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item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S10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tting items and the setting values of the vehicle module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0 may comprise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이하, 제어 유닛(20)이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하는 설정 항목과 해당 설정값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S200).Hereinafter, the setting item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20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corresponding setting values may be as follows (S200).

제어 유닛(20)은 휴대용 단말(10)로부터 키 알람(Key Arm)에 관한 차량 모듈의 설정 항목을 수신할 수 있다(S211). 여기서 키 알람 설정이란, 차량의 물리적 키를 이용하여 차량 도난 경보 시스템(Anti-Theft Warning System, ATWS)에 진입할지 에 관한 것이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the setting items of the vehicle module relating to the key alarm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S211). Here, the key alarm setting refers to the entry into the Anti-Theft Warning System (ATWS) using the physical key of the vehicle.

제어 유닛(20)은 키 알람 설정 항목에 대해 Enable 또는 Disable로 설정값을 수신할을 수 있다(S212). 예를 들어, 키 알람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Enable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물리적 키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 잠금 시 도난 경보 시스템이 온 할 수 있도록 혼(horn)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may receive a setting value of Enable or Disable for the key alarm setting item (S212).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for the key alarm setting item is Enable, the control unit 20 uses the physical key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horn control module so that the burglar alarm system can be turned on when the vehicle door is locked. .

제어 유닛(20)은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에스코트(Escort)에 관한 차량 모듈의 설정 항목을 수신할 수 있다(S221). 여기서 에스코트 설정이란, 차량의 이그니션 온/오프에 따른 차량 램프 작동할지에 관한 것이다. 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setting items of the vehicle module relating to the escor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S221). Here, the escort setting refers to whether or not the vehicle lamp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ignition on / off of the vehicle.

제어 유닛(20)은 에스코트 설정 항목에 대해 Enable 또는 Disable로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S222). 예를 들어, 에스코트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Enable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이그니션이 오프될 시 차량의 램프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20초) 동안 온 할 수 있도록 램프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the setting value as Enable or Disable for the escort setting item (S222).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for the escort setting item is Enable,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lamp control unit 20 to turn on the lamp of the vehicl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0 seconds) when the ignition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You can change the settings of the module.

제어 유닛(20)은 휴대용 단말(10)로부터 경적 응답에 관한 차량 모듈의 설정 항목을 수신할 수 있다(S231). 여기서 경적 응답 설정이란, 차량 리모컨의 락(Lock) 신호 수신에 따라 차량의 경적을 발생할지에 관한 것이다. 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a setting item of the vehicle module relating to the horn respons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S231). Here, the horn response setting refers to whether the horn of the vehicle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lock signal of the vehicle remote control.

제어 유닛(20)은 경적 응답 설정 항목에 대해 Enable 또는 Disable로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S232). 예를 들어, 경적 응답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Enable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차량 리모컨으로부터 락 신호가 수신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이내 다시 락 신호가 수신될 경우 경적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혼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the setting value as Enable or Disable for the horn response setting item (S232).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for the horn response setting item is Enable, the control unit 20 receives the lock signal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seconds) after receiving the lock signal from the vehicle remote control The setting of the horn control module can be changed so as to generate a horn.

제어 유닛(20)은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오토 도어 락(Auto Door Lock)에 관한 차량 모듈의 설정 항목을 수신할 수 있다(S241). 여기서 오토 도어 락 설정이란, 차량 상태 변경에 따라 차량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다. 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the setting items of the vehicle module relating to the auto door lock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S241). Here, the auto door lock setting is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vehicl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vehicle state.

제어 유닛(20)은 오토 도어 락 설정 항목에 대해 키 아웃 언락(Key Out Unlock), 속도 연동 장금(Speed Lock), 시프트 레버 연동 개폐(Shift lever lock/unlock)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S242). 일 예로 오토 도어 락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키 아웃 언락 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물리적 키가 키 박스에서 이탈 시, 차량의 도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오토 도어 락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속도 연동 잠금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 시 차량의 도어가 잠길 수 있도록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오토 도어 락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시프트 레버 연동 개페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차량 변속 레버의 변경 조작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receives at least one set value of the key out unlock, the speed lock, and the shift lever lock / unlock with respect to the auto door lock setting item (S242). For example, when the set value for the auto door lock setting item is a key-out unlock,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door open / close control module so that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can be released when the physical key of the vehicle leaves the key box Can be chang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t value for the auto door lock setting item is the speed interlock,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setting of the door open / close control module so that the door of the vehicle can be locked when the vehicle speed exceeds the predetermined speed .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t value for the auto door lock setting item is the shift lever interlocked door,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setting of the door open / close control module so that the door of the vehicle can be opened or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peration of the vehicle shift lever Can be changed.

제어 유닛(20)은 투 턴 언락(Two Turn Unlock)에 관한 차량 모듈의 설정 항목을 수신할 수 잇다(S251). 여기서 투 턴 언락 설정이란, 차량 리모컨의 언락 신호 수신 횟수에 따라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the setting items of the vehicle module relating to the two turn unlock (S251). In this case, the unlocking of the vehicle is to unlock the vehicl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unlock signal reception times of the vehicle remote control.

제어 유닛(20)은 투 턴 언락 설정 항목에 대해 Enable 또는 Disable로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S252). 예를 들어, 투 턴 언락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Enable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차량 리모컨으로부터 언락 신호가 1회 수신된 경우 차량의 운전석 도어만 잠금 해제되며, 언락 신호가 2회 수신된 경우 차량의 전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the set value as Enable or Disable for the turn unlock setting item (S252).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un-turn-on setting item is Enable, the control unit 20 unlocks only the driver's seat door of the vehicle when the unlock signal is received once from the vehicle remote control, The setting of the door open / close control module can be changed so that the entire door of the vehicle can be unlocked.

제어 유닛(20)은 원 터치 턴(One Touch Turn)에 관한 차량 모듈이 설정 항목을 수신할 수 있다(S261). 여기서 원 터치 턴 설정이란, 차량의 방향 지시기 신호 수신에 따른 방향 지시등의 깜박임 횟수를 변경하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the setting item of the vehicle module related to the one-touch turn (S261). Here, the one-touch turn setting is to change the number of flicker of the turn signal lamp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turn signal signal of the vehicle.

제어 유닛(20)은 원 터치 턴 설정 항목에 대해 3회, 5회, 7회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S262). 예를 들어, 원 터치 턴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3회인 경우, 제어 유닛(20)은 방향 지시기가 1회 온오프 될 시 차량의 방항 지시등을 3회 깜박일 수 있도록 방향 지시등 제어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at least one of the set values of 3 times, 5 times, and 7 times for the one-touch turn setting item (S262).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value for the one-touch turn setting item is three,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setting of the turn signal lamp control module so that the turn signal lamp of the vehicle may flicker three times when the turn signal is turned on once Can be changed.

제어 유닛(20)은 위와 같이 단계 S200 대에서 수신된 설정 항목과 설정값을 차량 모듈로 전송할 수 있도록 UDS(Unified Diagnostics Service)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S300). 여기서, UDS란 차량 모듈의 진단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ISO 14229 표준이다.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setting items and the setting values received in step S200 to a data format based on UDS (Unified Diagnostics Service) protocol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module (S300). Here, UDS is a protocol for diagnosing a vehicle module, which is an ISO 14229 standard.

제어 유닛(20)은 단계 S300에서 변환된 차량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한다(S400).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20)은 차량 설정 정보를 CAN통신을 통해 통합 차체 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e, DCM)으로 전송하여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 유닛(20)은 차량 모듈 각각의 동작 설정이 저장된 메모리에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설정값으로 차량 모듈의 동작 설정값을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using the converted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 step S300 (S40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can change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by transmitting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to an integrated body control module (DCM) via CAN communica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20 can change the operation setting value of the vehicle module to a setting valu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in a memory in which the operation setting of each vehicle module is stored, and store the changed setting value.

덧붙여, 제어 유닛(20)은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한 후, 설정 변경이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설정 변경 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the control unit 20 may generate setting change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tting change has been performed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모듈의 동작 설정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변경 가능하여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맞게 차량의 설정을 튜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odule can be directly changed by the us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setting of the vehicle can be tuned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tast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 휴대용 단말 20 : 제어 유닛
210 : 통신부 220 : 변환부
230 : 제어부
10: portable terminal 20: control unit
210: communication unit 220:
230:

Claims (7)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입력받는 휴대용 단말;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포함하는 차량 설정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며, 상기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설정 변경 완료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a setting item for changing a setting of a vehicle module and a corresponding setting value;
Receiving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tting item and the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portable terminal,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using the received vehicle information, and upon completion of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setting, A vehicl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nge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vehicle setting change system uses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UDS(Unified Diagnostic Service)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received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to a data format based on a UDS (Unified Diagnostic Service) protoco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hange a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using the converted vehicle setting information;
The vehicle setting change system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과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차량 모듈과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을 위한 CAN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AN communication module for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항목은
상기 차량의 물리적 키에 의한 도난 경보 시스템 온 동작, 이그니션 오프(IG OFF)에 따른 램프 동작, 리모컨 키 신호에 따른 경적 동작 및 도어 개폐 동작, 자동 도어 개폐 동작, 방향 지시기의 입력에 따른 방향 지시등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한 설정 항목인 것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amp operation according to ignition off (IG OFF), a light operation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key signal, a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and a turn indicator operation according to an input of a direction indicator Wherein the setting item is a setting item for at least one of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차량 설정 변경 시스템에 따른 차량 설정 변경 방법으로서,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포함하는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UDS(Unified Diagnostic Service)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상기 차량 설정 정보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모듈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설정 변경 방법.
A method of changing a vehicle setting according to a vehicle setting change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Receiving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 setting item for changing a setting of a vehicle module and a corresponding setting valu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rom a portable terminal;
Converting the received vehicle setting information into a UDS (Unified Diagnostic Service) protocol based data format;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ehicle module by transmitting the converted vehicle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module vi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The vehicle setting change method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듈을 경적 제어 모듈, 램프 제어 모듈, 도어 개폐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 설정 변경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hicle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horn control module, a lamp control module, and a door open / close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듈의 설정 변경이 완료되면, 설정 변경 완료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차량 설정 변경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ransmitting setting change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etting change of the vehicle module is complet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30088026A 2013-07-25 2013-07-25 System for changing the vehicle setting using mobile and method thereof KR201500124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026A KR20150012481A (en) 2013-07-25 2013-07-25 System for changing the vehicle setting using mobi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026A KR20150012481A (en) 2013-07-25 2013-07-25 System for changing the vehicle setting using mobi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481A true KR20150012481A (en) 2015-02-04

Family

ID=5248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026A KR20150012481A (en) 2013-07-25 2013-07-25 System for changing the vehicle setting using mobi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248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7766B2 (en) 2015-02-16 2017-05-30 Hyundai Motor Company Bluetooth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12083938A (en) * 2019-06-14 2020-12-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setting menu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7766B2 (en) 2015-02-16 2017-05-30 Hyundai Motor Company Bluetooth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12083938A (en) * 2019-06-14 2020-12-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setting menu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6293B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vehicle access enabled key fob base station
CN106558128B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range of a key fob
CN105706372B (en) Connect the garage door control system of internet
US10730481B2 (en) Remote control of vehicle functionalities by means of a mobile terminal
US1075938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vehicle computing system to communicate with a device
KR101177660B1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through radio relay of vehicle remote controller
US85384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s from a cell phone
DE102016225690A1 (en) Accessory device and system for forming a carpool
JP2016531801A (en) Method for triggering a command in an automobile by data exchange between a controller and an identification element
CN107031566A (en) For enabling the method and system that vehicle is sailed out of
US20160196731A1 (en) Smart device vehicle integration
CN106143362A (en) Determine automotive occupant position
WO2006046744A1 (en) Vehicle state notifying system, its constituent device, and notifying method
US20150348340A1 (en) Remotely actuated door lock
CN103661245A (en) Vehicle control method, detecting device and equipment
CN102938168A (en) Bluetooth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by using bluetooth system
CN102649420A (en) Electronic key system
US20140149025A1 (en) Vehicle remote start method and system
KR20150029056A (en) Universal 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US20170346934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phone to a vehicle
CN109313843A (en) For allowing the vehicle trainable transceiver of the data transmission based on cloud between vehicle
KR20160013334A (en) Smartkey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ing vehicle
CN109788454A (en) The vehicle of key chain is remotely controlled with spreading range
CN103186115A (en) Networkable remote home intelligent control switch and intelligent realization method
KR20150012481A (en) System for changing the vehicle setting using mobil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