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896A -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896A
KR20150011896A KR1020130087059A KR20130087059A KR20150011896A KR 20150011896 A KR20150011896 A KR 20150011896A KR 1020130087059 A KR1020130087059 A KR 1020130087059A KR 20130087059 A KR20130087059 A KR 20130087059A KR 20150011896 A KR20150011896 A KR 20150011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nfc
connection
wifi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봉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1896A/en
Priority to CN201410158879.2A priority patent/CN104348528A/en
Publication of KR20150011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8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mobile device. In order to access Wi-Fi without user operation using wireless charge detection and NFC authentication, when NF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mobile device and NF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 Wi-Fi activation request and Wi-Fi access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Fi based on Wi-Fi access information.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감지와 NFC 인증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연결을 사용자 조작 없이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mobile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perform a WiFi connection using wireless charge detection and NFC authentication without user operation.

최근 차량 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같은 무선 통신 연결과 모바일 기기 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연동 서비스 제공 필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연결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불편한 것이 실정이다. Recently, the necessity of providing interworking services for sharing data between mobile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s such as Bluetooth or Wi-Fi in vehicles is increasing. However, the wireless connec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for users to use.

종래 연결 방식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수동 연결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고, 차량 내 AVN 시스템과 연계시 최소 여러 단계의 사용자 조작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시, 모바일 기기 간 와이파이 연결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기기의 와이파이를 먼저 ON 시켜야 하고, 하차시에는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다시 와이파이를 OFF 시켜야 한다.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method, a manual connection process by user operation is indispensable, and at least several levels of user operation are required in connection with the AVN system in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user boarded the vehicle, the WiFi of the mobile device must first be turned on in order to connect the WiFi between the mobile devices, and the WiFi should be turned off again to prevent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when the user gets off the bus.

그런데, 종래 기술은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 방법을 잘 모르거나 빨리 배터리가 소모된다는 이유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NFC 기능을 OFF 상태로 둔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를 차량의 와이파이 게이트웨이와 연결하기 위해 와이파이를 인위적으로 ON시켜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ior art places the Wi-Fi, Bluetooth and NFC functions in the OFF state because many users do not know how to use it or the battery is consumed quickly. Therefor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to artificially turn on the Wi-Fi to connect the mobile device with the Wi-Fi gateway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감지와 NFC 인증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연결을 사용자 조작없이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a Wi-Fi connection without user operation using wireless charge detection and NFC authenticatio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는 모바일 기기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 및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NFC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NFC 인증 정보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와 NFC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비일 기기와 와이파이 연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WiFi activation request an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and receiving NFC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nd a controller for performing NFC authent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received NFC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for establishing Wi-Fi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NFC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와 NFC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와이파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device automatic access method includes: receiving NFC information from a mobile device; Transmitting Wi-Fi activation request an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when NFC authent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is completed; And Wi-Fi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로부터 NFC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기기와 NFC 인증이 완료되면 모바일 기기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전송하며,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기기와 와이파이 연결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NF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mobile device and the NF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with the mobile device, a WiFi activation request and a WiFi connec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and WiFi connection is established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와이파이 게이트웨이와 연결하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와이파이를 ON 시켜야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ust manually turn on the Wi-Fi to connect the mobile device to the Wi-Fi gateway, thereby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and thus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일정 시간 이내에 NFC가 인증되지 않으면 NFC 모듈부를 비활성화하여, 무분별하게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NFC와 와이파이가 활성화되어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NFC is not authenti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NFC module unit may be inactivated to prevent power waste due to activation of NFC and WiFi in an unintentional manner.

이어, 무선 충전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 종료), NFC와 와이파이 설정을 초기화하여 전력 낭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n, if wireless charging is no longer detected (wireless charging is termin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ower wastage by initiating NFC and WiFi sett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가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의 순서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obile device automatic acces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obile device automatic access method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 comprises, " and / or "comprising" refer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는 무선 충전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1,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As shown in FIG.

무선 충전부(110)는 모바일 기기(200)를 무선 충전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부(110)는 모바일 기기(200)로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무선 충전한다.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0 wirelessly charges the mobile device 200. Specifically,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0 wirelessly charges the mobile device 200 by wirelessly supplying power.

통신부(120)는 모바일 기기(200)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 및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전송하고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NFC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a Wi-Fi activation request an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200 and receives NFC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200.

제어부(130)는 수신된 NFC 인증 정보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200)와 NFC 인증을 수행하고,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모비일 기기(200)와 와이파이 연결한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연결 정보는 와이파이 연결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130 performs NFC authent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the received NFC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i-Fi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200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Here,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Wi-Fi connection parameters.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모바일 기기(200)와 연결되지 않으면 연결을 자동으로 중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10초 이내에 모바일 기기(200)와 연결되지 않으면 연결을 자동으로 중단한다. 무선 연결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를 계속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If the controller 130 is not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automatically stops the connection.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30 is not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within 10 seconds, the controller 130 automatically stops the connection. If the wireless connection is difficult to continue, it is unnecessary to waste pow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도이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는 무선 충전부(210), NFC 모듈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2, the mobile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unit 210, an NFC module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무선충전부(210)는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된다. 구체적으로 무선충전부(210)는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받는 방식으로 무선 충전된다. The wireless charging unit 210 is wirelessly charged from the mobile device connection device. Specifically, the wireless charging unit 210 is wirelessly charged in such a manner that power is supplied wirelessly from the mobile device connection apparatus.

NFC 모듈부(220)는 NFC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NFC 모듈부(220)는 제어부(2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와 NFC 통신을 수행한다. NFC 모드는 1)카드 에뮬, 2)리더, 3)P2P의 3가지 모드 (본 명세서의 후반부에 서술함)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NFC 모듈부(220)는 제어부(2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NFC P2P 모드를 활성화한다. The NFC module unit 220 performs NFC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 NFC module unit 220 performs NFC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FC module 220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40 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40 Activate the NFC P2P mode accordingly.

통신부(230)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NFC 모듈부(220)를 통하여 NFC 인증이 완료되면,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When the NF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the NFC module 220, the communication unit 230 receives the WiFi activation request and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ccess device.

제어부(240)는 NFC 인증을 수행하고, 수신한 와이파이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모비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와이파이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와이파이를 활성화하고 전송받은 와이파이 연결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와이파이 연결한다. The control unit 240 performs NFC authentication and Wi-Fi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40 activates the Wi-Fi and applies a Wi-Fi connection parameter to the Wi-Fi connection to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제어부(240)는 무선 충전부(210)가 무선 충전되지 않으면, NFC 및 와이파이 설정을 이전 상태로 복원한다. 여기에서, 무선 충전되지 않는 것은 모바일 기기가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로부터 떨어진 것을 의미하며, 이전 상태는 와이파이 inactive, NFC inactive 상태를 말한다. If the wireless charging unit 210 is not wirelessly charged, the control unit 240 restores the NFC and Wi-Fi settings to the previous state. Here, not being wirelessly charged means that the mobile device has moved away from the mobile device access device, and the previous state is WiFi inactive, NFC inactive state.

제어부(24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NFC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NFC 모듈부(220)를 비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15초 이내에 NFC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NFC 모듈부(220)를 비활성화한다. 이는 무분별하게 의도하지 않은 NFC와 와이파이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controller 240 deactivates the NFC module 220 if the NFC authentication is not completed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For example, if the NFC authentication is not completed within 15 seconds, the control unit 240 deactivates the NFC module unit 220. This is to prevent unintentional unintended NFC and WiFi activ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의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nec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NFC 정보를 수신한다(S310).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NFC 정보를 수신한다. As shown in FIG. 3, first, NF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S310). Specifically, NF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다음으로, 모바일 기기(200)와 NFC 인증을 확인한다(S32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200)와 NFC 인증을 확인한다(S330). Next, NFC authent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200 is confirmed (S320). Specifically, NFC authent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200 is confi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S330).

NFC 인증이 완료되면 모바일 기기(200)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S33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를 통하여 NFC 인증이 완료되면, 통신부(12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200)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When the NF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WiFi activation request and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200 (S330). Specifically, when the NF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the mobile unit 200 transmits the WiFi activation request and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기기(200)와 와이파이 연결한다(S34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를 통하여 전송한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기기(200)와 와이파이 연결한다.Wi-Fi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mobile device 200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S340). Specifically,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ler 130.

와이파이 연결시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모바일 기기(200)와 연결되지 않으면 연결을 자동으로 중단한다. 예컨대, 15초 이내에 모바일 기기(200)와 연결되지 않으면 연결을 자동으로 중단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WiFi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with the mobile device 200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the connection is automatically stopped. For example, if the mobile device 200 is not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within 15 seconds, the connection can be automatically stopped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from being was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가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의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necting a mobile device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무선 충전을 감지한다(S410).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부(21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무선 충전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200)를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에 올려놓은 상태이다. As shown in FIG. 4, first,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are detected (S410). Specifically,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are detect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unit 210.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 is placed on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다음으로, NFC 모드를 활성화한다(S420).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를 통하여 NFC 모듈부(220)를 활성화시켜 NFC P2P 모드를 활성화한다. Next, the NFC mode is activated (S420). Specifically, the NFC module unit 220 is activ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40 to activate the NFC P2P mode.

이어,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활성화된 NFC 모드를 통하여 NFC 인증을 확인한다(S430).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활성화된 NFC 모드를 통하여 NFC 인증을 확인한다(S430).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200)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로 NFC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모바일 기기(200)와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 간에 NFC 인증을 완료한다. Next, NFC authenti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the activated NFC mode (S43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20 confirms NFC authentication throug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the activated NFC mode (S430).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 transmits NFC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completes NFC authent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NFC 인증이 완료되면,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S440). 구제적으로, 통신부(23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When the NF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mobile device access device receives the WiFi activation request and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S440). Remotely, receives a Wi-Fi activation request an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ccess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unit 230. [

NFC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타임 아웃이 발생한다(S435). 타임 아웃 (Time out)이란 프로그램이 특정한 시간 내에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않아, 진행이 자동적으로 중단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타임 아웃이 발생하면, 제어부(240)를 통하여 NFC 및 와이파이 설정을 이전 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로 진입한다(S470).If the NFC authentication is not completed, a timeout occurs (S435). Time out means that the program is not executed successfully within a certain time and the process is automatically stopped. Specifically, when a timeout occurs, the control unit 240 enters the step of restoring the NFC and Wi-Fi settings to the previous state (S470).

수신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모비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와이파이 연결한다(S450).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를 통하여 와이파이를 활성화하고 전송받은 와이파이 연결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와이파이 연결한다.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Fi activation request, Wi-Fi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S450). Specifically, Wi-Fi is activ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40 and Wi-Fi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by applying the Wi-Fi connection parameters.

와이파이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무선 충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NFC 및 와이파이 설정 상태를 이전 상태로 복원한다(S470).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이 감지되지 않는 것은 모바일 기기가 무선 충전 장치에서 분리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제어부(240)를 통하여 NFC 및 와이파이 설정을 와이파이 inactivie와 NFC inactive 로 복원한다.After the WiFi connection step, if the wireless charging is not detected, the NFC and WiFi setting state is restored to the previous state (S470). Specifically, the wireless charging is not detected when the mobile device is disconnec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NFC and WiFi settings are restored to WiFi inactivie and NFC inactive through the control unit 240.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로부터 NFC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기기와 NFC 인증이 완료되면 모바일 기기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전송하며,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기기와 와이파이 연결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NF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mobile device and the NF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with the mobile device, a WiFi activation request and a WiFi connec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and WiFi connection is established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와이파이 게이트웨이와 연결하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와이파이를 ON 시켜야 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ust manually turn on the Wi-Fi to connect the mobile device to the Wi-Fi gateway, thereby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and thus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일정 시간 이내에 NFC가 인증되지 않으면 NFC 모듈부를 비활성화하여, 무분별하게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NFC와 와이파이가 활성화되어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NFC is not authenti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NFC module unit may be inactivated to prevent power waste due to activation of NFC and WiFi in an unintentional manner.

이어, 무선 충전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 종료), NFC 와 와이파이 설정을 초기화하여 전력 낭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n, if wireless charging is no longer detected (wireless charging is termin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ower wastage by initiating NFC and WiFi settings.

- NFC의 세 가지 모드 -- Three modes of NFC -

NFC는 크게 카드 에뮬, 리더, P2P의 3가지 모드로 작동한다. 즉, 태그가 내장된 단말기를 능동형(active)모드로 작동하여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태그를 읽는 리더(Reader),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는 라이터(Writer)의 기능까지 모두 제공하는 것인데, 각각의 모드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본다. NFC operates in three modes: card emulation, reader, and P2P. That is, not only a function of a tag that provides information but also a function of a reader that reads a tag and a function of a writer that inputs information into a tag are operated by operating a terminal in which the tag is embedded in an active mode , We will briefly review each mode feature.

첫째, 카드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모드는 휴대폰이 기존의 RFID카드의 태그처럼 동작하는 것으로 리더기에 휴대폰을 접근시키면 폰 안에 내장된 태그 안의 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말한다. 카드 에뮬 모드의 대표적인 예로는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의 교통카드, 신용카드, 멤버스 카드 등이 있으며 특정 쿠폰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쇼핑에 활용하는 경우도 이에 속한다. 또한 자신의 개인정보를 저장시켜 휴대폰으로 도어-록을 열고 닫는 등의 액세스 컨트롤로 활용할 수 있는데 실제로 스마트폰을 열쇠처럼 사용하는 기능은 이미 많은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최근에 선보인 GM사의 온스타 시스템의 경우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차 문을 열 수 있도록 했으며, 엔진 시동을 걸 수도 있고 미리 에어컨이나 히터까지도 틀어놓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First, in the card emulation mode, a cell phone operates as a tag of an existing RFID card, which means that information in a tag embedded in the phone is recognized when a reader is approached by the reader. Typical examples of the card emule mode include public transportation traffic cards such as buses and subways, credit cards, membership cards, and the like, in which certain coupon information is stored in advance for shopping. You can also store your personal information and use it as access control, such as opening and closing door-locks on your mobile phone. Actually, there are many functions that use smart phones as keys. GM's on-star system, which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allows the car door to be opened using a mobile phone, and can be used to start the engine or to turn on the air conditioner or heater in advance.

또한, NFC 안에 저장된 자신의 정보를 활용하면 나에게 맞춰진 서비스를 빠르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타려고 문을 열 때, 폰 안에 저장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면 운전자가 원하는 시트의 위치, 차 안의 온도, 노래 등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도 환경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using your own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you can quickly and easily use the services tailored to you. For example, i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phone is automatically input when the door is opened for driving, the driver can automatically configure the environment without inputting the sheet position, the temperature in the car, and the song.

둘째, Reader/Writer 모드에 대해서 살펴본다. NFC 기기는 ISO 14443, Felica 구조에 기반한 태그를 읽을 수 있고, Reader와 Writer 모드로 작동이 가능하다. Reader모드는 휴대폰이 리더기의 역할을 수행하여 특정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 들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백화점 같은 대형 주차장에서 주차를 할 때, 주변 기둥마다 부착된 태그에 폰을 접근시켜 주차 위치를 읽고 이를 폰 안에 저장하는 서비스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반면 Writer모드는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자신과 관련된 개인정보나 필요한 내용을 폰 안에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Second, let's look at Reader / Writer mode. NFC devices can read tags based on ISO 14443, Felica structure, and can operate in Reader and Writer modes. In Reader mode, the mobile phone acts as a reader to read information from a specific tag. For example, when parking in a large parking lot such as a department store, you can think of a service that reads a parking location by accessing a phone tag attached to each peripheral column and stores it in a phone. Writer mode, on the other hand, refers to recording personal information or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phone as described above.

셋째, P2P (Peer to Peer) 모드는 두 개의 장치 간 데이터를 서로 통신하는 모드이다. 즉, 상대방의 휴대폰에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 음악 콘텐츠를 내 휴대폰으로 바로 옮길 수 있는 모드이다. P2P모드를 사용하면 Bump와 같이 상대방과 명함을 쉽게 주고받을 수 있으며, 매장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과 그 자리에 관련된 정보를 서로 곧바로 확인하거나 여행지나 전시회 같은 장소에서도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Third, peer to peer (P2P) mode is a mode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two devices. In other words, it is a mode that can directly transfer the photo, video and music contents of the other party's mobile phone to my mobile phone. With P2P mode, you can easily exchange business cards with other parties like Bump. You can check the items displayed in the stor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ce directly, or you can use the service in places like travel and exhibitions in a similar way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110 : 입력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200 : 모바일 기기
210 : 입력부 220 : NFC 모듈부
230 : 통신부 240 : 제어부
110: input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200: Mobile device
210: Input unit 220: NFC module unit
230: communication unit 240:

Claims (11)

모바일 기기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 및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NFC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NFC 인증 정보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와 NFC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비일 기기와 와이파이 연결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Wi-Fi activation request an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and receiving NFC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nd
Performing NFC authent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received NFC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establishing a Wi-Fi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Wi-
And a mobi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harging unit that wirelessly charges the mobile device
In mobi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지 않으면 연결을 자동으로 중단하는 것
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f the mobile device is not conn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the connection is automatically stopped
In mobile device.
NFC 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부;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상기 NFC 모듈부를 통하여 NFC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NFC 인증을 수행하고, 수신한 상기 와이파이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비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와이파이 연결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An NFC module unit for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WiFi activation request an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ccess device when the NF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the NFC module unit; And
Performs NFC authentication, and performs a WiFi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Lt; / RTI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되는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충전부가 무선 충전되지 않으면, NFC 및 와이파이 설정을 이전 상태로 복원하는 것
인 모바일 기기.
5.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harging unit that is wirelessly charged from the mobile device connection apparatus,
If the wireless charging unit is not wirelessly charged, the control unit restores the NFC and Wi-Fi settings to the previous state
In mobile devic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NFC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NFC 모듈부를 비활성화하는 것
인 모바일 기기.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If the NFC authentication is not completed within the preset threshold time, the NFC module unit is deactivated
In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로부터 NFC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와 NFC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와이파이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
Receiving NFC information from a mobile device;
Transmitting Wi-Fi activation request an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when NFC authent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is completed; And
Connecting Wi-Fi to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mobile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연결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지 않으면 연결을 자동으로 중단하는 것
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iFi coupling
If the mobile device is not conn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the connection is automatically stopped
In mobile device.
모바일 기기가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에서,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무선 충전을 감지하는 단계;
NFC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활성화된 상기 NFC 모드를 통하여 NFC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 접속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과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와이파이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비일 기기 자동 접속 장치와 와이파이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
In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device,
Detecting a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Activating an NFC mode;
Receiving the WiFi activation request and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ccess device when the NF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the activated NFC mode; And
Connecting Wi-Fi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based on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Fi activation request
And 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mobile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무선 충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NFC 및 와이파이 설정 상태를 이전 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fter the WiFi connection
If the wireless charging is not detected, restoring the NFC and Wi-Fi setting state to a previous state
In mobile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FC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타임 아웃이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모바일 기기 자동 접속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timeout if the NFC authentication is not completed
In mobile device.
KR1020130087059A 2013-07-24 2013-07-24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5001189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059A KR20150011896A (en) 2013-07-24 2013-07-24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CN201410158879.2A CN104348528A (en) 2013-07-24 2014-04-18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059A KR20150011896A (en) 2013-07-24 2013-07-24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896A true KR20150011896A (en) 2015-02-03

Family

ID=5248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059A KR20150011896A (en) 2013-07-24 2013-07-24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11896A (en)
CN (1) CN10434852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104A1 (en) * 2016-02-16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backing up and restoring data thereof
WO2017160006A1 (en) * 2016-03-15 2017-09-21 엘지이노텍(주)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8221917A1 (en) * 2017-05-30 2018-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WO2020222543A1 (en)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7022B2 (en) * 2015-09-28 2018-08-21 Yazaki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vehicle wireless network
JP6530562B2 (en) 2015-10-23 2019-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Limit distractions by in-vehicle portable devices
DE102016220544A1 (en) * 2016-10-20 2018-04-26 Krones Ag Machine for processing food and packaging products
JP7028703B2 (en) * 2018-04-20 2022-03-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Sharing system
FR3089743B1 (en) * 2018-12-06 2022-01-21 Sagemcom Broadband Sas Method of activating functions, implemented in a host equipment integrating or connected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14901B (en) * 2006-07-26 2010-08-25 联想(北京)有限公司 Safety authent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act type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20080090520A1 (en) * 2006-10-17 2008-04-17 Camp William O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mobility management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s
JP4650407B2 (en) * 2006-12-12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Wireless processing system, wireless processing method, and wireless electronic device
JP2012501500A (en) * 2008-08-26 2012-01-19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arallel wireless power transfer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US9240824B2 (en) * 2009-02-13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EP2302884A1 (en) * 2009-09-24 2011-03-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method and system using magnetic sensor and activated NFC circuit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JP5458990B2 (en) * 2010-03-16 2014-04-02 株式会社リコー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ASSOCIATION INFORMATION SETTING METHOD
CN102291493B (en) * 2011-08-25 2012-10-03 华为终端有限公司 Method, relevant device and system for configuring application parameter of mobile terminal
TW201316642A (en) * 2011-10-12 2013-04-16 Tdk Taiwan Corp Selection method for sharing induction modul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ordless charging , and selection circuit thereof
CN103198245A (en) * 2011-10-12 2013-07-10 艾欧互联有限公司 Input output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104A1 (en) * 2016-02-16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backing up and restoring data thereof
US10684917B2 (en) 2016-02-16 2020-06-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ata backup and restoration method thereof
WO2017160006A1 (en) * 2016-03-15 2017-09-21 엘지이노텍(주)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8221917A1 (en) * 2017-05-30 2018-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WO2020222543A1 (en)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8528A (en)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1896A (en)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US9649999B1 (en) Vehicle remote operations control
EP2704517B1 (en) Mobile terminal application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Steffen et al.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n an automotive environment
CN103533671A (en) Bluetooth connect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vehicle terminal
CN107182035B (en) Wireless vehicle charg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based services
CN105790799A (en) Bluetooth Pairing System And Method
US20220185232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in vehicle control system, portable devic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device, in-vehicl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in-vehicle controller
US20150091508A1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device under charge
JP2017068449A (en) Car sharing system and vehicle lending and returning method
CN103179262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nabling vehicular mode of mobile phone by means of Bluetooth matching
CN106686541A (en) Bluetooth relaying method and device
EP367346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20150280788A1 (en) Electronic notific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WO2011103734A1 (en) Method of terminal equipment for implemen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erminal equipment for implemen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2016076899A (en) System and program
KR20230006001A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6111487A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US9332112B2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in connection with vehicle
CN105282139A (en) Method of automatically closing an application on transport disconnect
CN115188103A (en) Vehicle-mounted NFC key control method and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30060072A (en) 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tether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310251B2 (en) COMMUNICATION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224340B1 (en) Remote controlling wireless device and battery management device of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battery of electric car and method of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battery of electric car
CN201955831U (en) Access control equipment and integrated management equipment for parking lot access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