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981A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981A
KR20150008981A KR1020130076628A KR20130076628A KR20150008981A KR 20150008981 A KR20150008981 A KR 20150008981A KR 1020130076628 A KR1020130076628 A KR 1020130076628A KR 20130076628 A KR20130076628 A KR 20130076628A KR 20150008981 A KR20150008981 A KR 20150008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input
screen
display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965B1 (ko
Inventor
이용연
곽지연
김현진
서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965B1/ko
Priority to US14/295,756 priority patent/US20150007016A1/en
Publication of KR20150008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981A/ko
Priority to US16/296,520 priority patent/US201902050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이상,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동작은, 제1 동작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동작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입력을 반복하여 수신하는 경우에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 사용자는, 전화번호 리스트에서 전화번호를 찾기 위해 플릭 입력을 반복하는 경우와 같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여러 번 반복하여,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입력의 반복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로감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이상,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동작은, 제1 동작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실행 화면의 속성에 기초한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기초한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이 리스트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리스트를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하는 단계이고,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리스트를 소정 기준으로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이 리스트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리스트를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하는 단계이고,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리스트 중 소정 리스트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고, 하이라이트 되지 않은 리스트를 제1 동작 수행 단계에서의 스크롤 속도보다 빠르게 스크롤하며, 하이라이트 리스트를 제1 동작 수행 단계에서의 스크롤 속도보다 느리게 스크롤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정 리스트는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이 리스트 화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기준에 의해 리스트를 필터링하여 표시하는 단계이고,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기준에 의해 필터링된 리스트를 제2 기준에 의해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이며, 제2 기준은, 원형 패턴을 그리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스트 화면은 전화번호 리스트 화면이고,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경우, 통화 횟수가 많은 순서로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이고, 사용자 입력이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인 경우, 통화 횟수가 적은 순서로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감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이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감소시키고,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가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이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촬영 모드로 진입하여, 촬영 아이콘을 포함하는 카메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이 촬영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카메라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1회 촬영하는 단계이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표시되는 화상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스탑 모션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앨범 모드로 진입하여, 이미지를 포함하는 앨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이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탭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객체를 태그하는 단계이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앨범 화면에 포함된 이미지 중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텍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이 텍스트 화면에 포함된 단어를 탭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이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해주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어와 관련된 정보는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이 특정 키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실행 화면의 바로 이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이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실행 화면의 이전 화면들을 나타내는 이전 화면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이 이동 단말기와 접하고 있는 객체를 노크(knock)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곡의 다음 곡을 재생하는 것이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 이후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계속해서 다음 곡으로 이동하여, 이동된 곡을 재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하며,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이상,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2 동작은, 제1 동작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프로그램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실행 화면의 속성에 기초한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이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기초한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리스트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은 리스트를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하는 동작이고, 제2 동작은 리스트를 소정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그룹단위로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리스트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은, 리스트를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하는 동작이고, 제2 동작은, 리스트 중 주요 리스트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고, 하이라이트 되지 않은 리스트를 제1 동작 시의 스크롤 속도보다 빠르게 스크롤하며, 하이라이트 된 리스트를 제1 동작 시의 스크롤 속도보다 느리게 스크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주요 리스트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리스트 화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은, 제1 기준에 의해 리스트를 필터링하여 표시하는 동작이고, 제2 동작은, 제1 기준에 의해 필터링된 리스트를 제2 기준에 의해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이며, 제2 기준은, 원형 패턴을 그리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스트 화면은 전화번호 리스트 화면이고,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이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인 경우, 통화 횟수가 많은 순서로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인 경우, 통화 횟수가 적은 순서로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이며, 제어부는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감소시키고,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이며, 제2 동작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촬영 아이콘을 포함하는 카메라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촬영 버튼을 탭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은, 카메라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1회 촬영하는 동작이며, 제2 동작은, 표시되는 화상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스탑 모션 촬영을 수행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앨범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탭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은, 객체를 태그하는 동작이며, 제2 동작은, 앨범 화면에 포함된 이미지 중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텍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텍스트 화면에 포함된 단어를 탭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은, 단어를 선택하는 동작이며, 제2 동작은,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해주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어와 관련된 정보는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특정 키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은, 실행 화면의 바로 이전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이며, 제2 동작은, 실행 화면의 이전 화면들을 나타내는 이전 화면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이동 단말기와 접하고 있는 객체를 노크(knock)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동작은, 현재 재생되고 있는 곡의 다음 곡을 재생하는 것이며, 제2 동작은, 소정 시간 이후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계속해서 다음 곡으로 이동하여, 이동된 곡을 재생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백(back)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백 버튼 입력을 소정시간 내에, 제1 횟수이상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전 페이지 리스트는 이전 페이지의 썸네일(thumbnail) 리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전 페이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이전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백 버튼 입력을 소정시간 내에, 제2 횟수이상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횟수는 제1 횟수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e는 도 17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로그램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프로그램 실행화면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리스트 화면을 플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리스트를 스크롤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횟수 이상 리스트 화면을 플릭 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리스트를 소정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그룹단위로 스크롤하는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리스트 화면을 플릭 하는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리스트 중 주요 리스트는 하이라이트 표시하며, 하이라이트 되지 않은 리스트는 제1 동작 수행시의 스크롤 속도보다 빠르게 스크롤하며, 하이라이트 된 리스트는 제1 동작 수행시의 스크롤 속도보다 느리게 스크롤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주요 리스트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리스트 화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기준에 의해 리스트를 필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횟수 이상 리스트 화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제1 기준에 의해 필터링된 리스트를 제2 기준에 의해 재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일 수 있으며, 제2 기준은 원형 패턴을 그리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화면은 전화번호 리스트 화면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통화 횟수가 많은 순서로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통화 횟수가 적은 순서로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감할 수 있다.
일정 패턴이 원형 패턴이면, 제어부(180)는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80)는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횟수 이상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하위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아이콘을 포함하는 카메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촬영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카메라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1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횟수 이상 촬영 버튼을 탭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카메라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스탑 모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앨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탭되어진 객체를 태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횟수 이상 객체를 탭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앨범 화면에 포함된 이미지 중 탭 되어진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텍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텍스트 화면에 포함된 단어를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탭 되어진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횟수 이상 텍스트 화면에 포함된 단어를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탭 되어진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탭 되어진 단어와 관련된 정보는 탭 되어진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접하고 있는 객체를 노크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곡의 다음 곡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횟수 이상 이동 단말기와 접하고 있는 객체를 노크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다음 노크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계속해서 다음 곡으로 이동하여, 이동된 곡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백 버튼 입력을 수신하여,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정시간 내에 제1 횟수 이상 백 버튼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전 페이지 리스트는 이전 페이지의 썸네일 리스트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전 페이지 리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이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정시간 내에 제2 횟수 이상 백 버튼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횟수는 제1 횟수보다 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이동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틱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3), 카메라(121),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미도시)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백(back)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410).
사용자 입력은 전자 펜이나 사용자의 손과 같은 터치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 버튼 입력, 모션 입력, 음성 입력, 전자 펜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젤에 대한 터치 입력이나 이동 단말기가 놓여진 객체(예를 들어, 테이블)를 노크(knock)하는 입력, 이동 단말기를 그립(grip)하는 입력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터치 입력은 플릭(flick) 입력, 탭(tap) 입력,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 등이 있을 수 있다.
플릭(flick) 입력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전자 펜을 이용하여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전자 펜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드래그(또는 패닝)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
탭(tap) 입력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전자 펜을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움직이지 않은 채 화면에서 즉시 들어올리는 동작을 나타낸다.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전자 펜을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전자 펜을 이동시키면서 일정 패턴을 그리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때,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일정 패턴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버튼 입력은 PUI(Physical User Interface) 버튼 입력 및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버튼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모션 입력은 사용자 모션 입력 및 이동 단말기 모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모션 입력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모션 입력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가속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모션 입력은 사용자의 손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입력, 사용자의 손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입력, 반대로, 사용자의 손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입력, 사용자의 손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입력, 사용자의 손을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는 입력, 사용자의 손을 펴거나 오므리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모션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가 좌우로 흔들리는 입력, 아래 위로 흔들리는 입력, 상하로 흔들리는 입력,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자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입력 등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20).
이때, 제1 동작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제1 동작은 디스플레이부(151)가 표시하고 있는 화면의 속성 및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기초한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리스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리스트 화면을 플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플릭 입력의 방향에 따라 리스트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리스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리스트 화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패턴을 그리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일정 패턴을 제1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리스트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를 소정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이동 단말기(100)가 일정 패턴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리스트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와 관련된 리스트를 추가로 표시하거나, 리스트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와 관련된 세부 정보 등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홈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아이콘이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카메라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화면에 표시된 촬영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앨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앨범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객체를 태그(tag)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텍스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텍스트 화면에 표시된 특정 단어를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웹 페이지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PUI 버튼으로 구현된 백(back) 버튼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이상,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S430).
이때, 소정시간 및 일정 횟수는 기 설정된 횟수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펜이나 사용자의 손과 같은 터치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 버튼 입력, 모션 입력, 음성 입력, 전자 펜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젤에 대한 터치 입력이나 이동 단말기가 놓여진 객체(예를 들어, 테이블)를 노크(knock)하는 입력, 이동 단말기를 그립(grip)하는 입력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40).
이때, 제2 동작은 제1 동작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 화면이 도시된 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리스트 화면은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으며, 리스트는 전화번호 리스트, 이미지 리스트, 기사 리스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전화번호 리스트(510)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전화번호 리스트(510)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이름, 다른 사용자의 이미지 및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 리스트는 통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통화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전화번호부 화면을 플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플릭 입력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플릭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리스트(510)를 아래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전화번호부 화면을 아래에서 위로 플릭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리스트(510)를 위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전화번호부 화면을 플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소정시간 내에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연속하여 수신한 플릭 입력이 일정 횟수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리스트(510)를 소정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 이름을 기준으로 전화번호 리스트(510)를 그룹화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 이름 중 첫번째 글자의 초성을 기준으로 전화번호 리스트(510)를 그룹화할 수 있다. 동일한 초성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그룹이 미리 지정된 경우, 미리 지정된 그룹을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또는, 전화번호 사용횟수 및 사용시기를 기준으로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횟수가 10회 미만인 그룹, 10회 이상 20회 미만인 그룹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1주일 이내에 사용한 전화번호 그룹, 2주일 전부터 1주일 전까지 사용한 전화번호 그룹 등으로 나눌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그룹별로 전화번호 리스트(510)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룹을 구별하기 위하여, 그룹명이 표시된 책갈피 오브젝트(52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그룹별로 표시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그룹 단위로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플릭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에 포함되는 전화번호 리스트는 표시하지 않고, 그룹명이 표시된 책갈피 오브젝트(525)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아래로 플릭하는 입력인 경우, 전화번호 리스트의 상위에 표시된 그룹부터 순서대로, 책갈피 오브젝트(525)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아래에서 위로 플릭하는 입력인 경우, 전화번호 리스트의 하위에 표시된 그룹부터 역순으로 책갈피 오브젝트(525)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룹명이 표시된 책갈피 오브젝트만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책갈피 오브젝트(525)를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그룹의 전화번호 리스트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선택하기 위해, 리스트 화면을 반복하여 플릭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그룹별로 간소화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리스트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리스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전화번호부 화면을 플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화면을 플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소정시간 내에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연속하여 수신한 플릭 입력이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리스트 중 주요 리스트(615, 617, 619)를 하이라이트(highlight)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하이라이트 되지 않은 리스트는 1회 플릭 입력에 대한 스크롤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100)는 하이라이트된 리스트(615, 617, 619)는 1회 플릭 입력에 대한 스크롤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주요 리스트는, 통화 횟수, 메시지 발신 횟수가 많은 전화번호 리스트이거나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전화번호 리스트일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주요 리스트를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주요리스트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주요 리스트에 입체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확대 표시되거나 입체효과가 부여된 주요 리스트에 대해서는 1회 플릭 입력에 대한 스크롤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선택하기 위해, 리스트 화면을 반복하여 플릭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주요 리스트를 파악하기 용이하게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리스트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 화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앨범 화면(71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나 다운로드 받거나 공유 받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앨범 화면은 상기 이미지들을 썸네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앨범 화면을 플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 화면을 플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소정시간 내에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연속하여 수신한 플릭 입력이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 리스트 중 주요 이미지(725, 727)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확대된 이미지(725, 727)에 대한 스크롤 속도는 나머지 이미지에 대한 스크롤 속도보다 느리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확대된 이미지(725, 727)는 나머지 이미지들 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주요 이미지(725, 727)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저장시에, 즐겨찾기 표시를 해둔 이미지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리스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전화번호부 화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리스트(810)를 제1 기준에 의해 필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f에서는 일정 패턴이 원형 패턴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일정 패턴은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패턴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손이나 전자펜 등 터치 도구에 의해 그려진 패턴의 모양이나 크기 등을 기초로 하여, 일정 패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f에서는 일정 패턴이 전화번호부 화면 우측 하단 영역에 그려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패턴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창(815)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창(815)에 일정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패턴 입력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일정 패턴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부 화면의 일 영역에 일정 패턴 컨트롤러(미도시)를 표시할 수 있다.
일정 패턴 컨트롤러(미도시)는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일정 패턴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일정 패턴 컨트롤러(미도시)를 따라서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화면이 표시되고, 전화번호부 화면의 일 영역에 일정 패턴 컨트롤러(미도시)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일정 패턴 컨트롤러(미도시)를 보고, 일정 패턴 입력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일정 패턴이 원형 패턴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8a에서와 같이, 원형 패턴을 그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제1 기준에 의해 필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하는 제1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사용횟수, 현재 시간 등을 기초로 하여 필터링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1회 이상 통화기록이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만을 필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수신한 시간대에 통화기록이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만을 필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수신한 시간이 아침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아침시간에 통화기록이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만 필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수신한 저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저녁시간에 통화기록이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만 필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리스트 중 필터링된 전화번호 리스트(820), 즉, 기준을 만족하는 전화번호 리스트에 트랜지션 효과(transition effec)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된 전화번호 리스트들(820)이 전화번호 리스트 화면에서 분리되어 떠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단말기(100)는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전화번호 리스트들이 전화번호 리스트 화면에서 가라앉아 사라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기준을 만족하는 리스트와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리스트의 색상이나 표시 면적을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 화면에 필터링된 전화번호 리스트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필터링된 전화번호 리스트의 개수(83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필터링된 전화번호 리스트들을 중요도에 따라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중요도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이력을 기초로 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횟수가 많은 순서로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화번호 리스트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 이름에 기초하여, 전화번호 리스트를 “가나다순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전화번호부 화면에 화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소정시간 내에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연속하여 수신한 입력이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1 기준에 의해 필터링된 리스트(820)를 제2 기준에 의해 재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연속하여 수신한 입력의 횟수(N)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일정 패턴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햅틱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 패턴 입력 횟수가 증가할수록 입력창(815)의 색상을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입력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입력창(815)를 푸른색 계열에서 붉은색 계열로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준은 이동 단말기(100)에 미리 설정된 기준일 수 있다. 또한, 제2 기준은 일정 패턴 입력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도구를 이용하여, 원형 패턴을 연속하여 그리는 경우, 사용자가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면,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횟수가 많은 순서로 필터링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면, 이동 단말기(100)는 통화 횟수가 적은 순서로 필터링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 시간 동안, 원형 패턴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 내지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원형 패턴이 시계 방향(CW)으로 그려지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850)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면에, 도 8e 및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원형 패턴이 반시계 방향(CCW)으로 그려지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840)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감소하거나 증가되는 리스트 개수는 기 설정된 개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원형 패턴이 시계 방향으로 그려지는 입력 1회당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10개씩 감소시킬 수 있다. 원형 패턴이 반시계 방향으로 그려지는 입력 1회당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10개씩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리스트 개수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선택하기 위해, 리스트 화면에 반복하여 일정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가 전화번호 리스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사 제목 리스트를 포함하는 뉴스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뉴스 화면(910)에 일정 패턴을 제1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사 제목 리스트(920, 이하,‘제1 기사 제목 리스트’라 한다) 아래 영역에 기사 제목 리스트와 관련된 추가 기사 제목 리스트(925, 이하, ‘제2 기사 제목 리스트’라 한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사 제목 리스트(925)는 제1 기사 제목 리스트(920)와 동일한 주제로 분류되어 있는 기사에 대한 제목 리스트일 수 있다.
반대로, 제1 기사 제목 리스트(920)와 제2 기사 제목 리스트(925)가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가 뉴스 화면에 일정 패턴을 제2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사 제목 리스트(920)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사 제목 리스트(920)와 제2 기사 제목 리스트(925)가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뉴스 화면에 일정 패턴을 제1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기사 제목 리스트(920)의 아래 영역에 해당 기사 내용의 일부(935)를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기사 제목 리스트(920), 제2 기사 제목 리스트(925) 및 해당 기사 내용의 일부(935)가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가 뉴스 화면에 일정 패턴을 제2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해당 기사 내용(935)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뉴스 화면에 소정시간 내에 일정 패턴을 제1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일정횟수 이상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기사 제목 리스트(1015)가 표시된 뉴스 화면(1010)에서, 제1 기사 제목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기사 제목이 표시된 영역에 일정 패턴을 제1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기사에 관련된 최하위 페이지(1020)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해당 기사에 관련된 최하위 페이지(1020)가 표시된 뉴스화면에서 일정 패턴을 제2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면,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 화면의 최상위 페이지(1030)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해당 기사의 신문사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이동단말기가 특정 강도 이상의 흔들림을 1회 감지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기사 화면에 표시된 뉴스와 관련 없는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컨텐츠가 중력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사라지는 시각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컨텐츠가 베젤 부위에 부딪히면서 사라지는 시각 효과를 주고, 부딪힌 해당 영역에 햅틱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특정 강도 이상의 흔들림을 연속하여 일정횟수 이상 감지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뉴스내용을 요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1a는 이동 단말기의 홈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홈 화면(1110)은 이동 단말기의 기본 화면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전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사전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앨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통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메모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알람/시계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오디오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을 재생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표시 위치 및 표시 순서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홈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105)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탭 되어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화면(1120)을 표시할 수 있다.
실행화면(1120)은 다양한 하위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어플리케이션은 국어사전 메뉴, 영어사전 메뉴, 일어사전 메뉴, 백과 사전 메뉴 등 다양한 사전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사전 메뉴(1125)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영어사전 실행 화면(113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105)을 연속하여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연속하여 입력을 수신하면,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홈 화면(111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하위메뉴(114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관련 하위메뉴(114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105)의 소정거리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관련 하위메뉴(1140)는 사용자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사용이력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메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이력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영어사전 기능 및 국어사전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영어사전 메뉴(1145) 및 국어사전 메뉴(1143)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표시된 하위 메뉴(11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하위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사전 메뉴(1145)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사전 실행 화면(113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탭 입력을 반복하여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자주 사용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105)을 연속하여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한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특정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일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기록을 기초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특정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0)을 연속하여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바로 영어사전 실행화면(113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메뉴 화면 등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촬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촬영 모드로 진입하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카메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 화면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1210), 촬영을 위한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 및 촬영된 이미지의 프리뷰가 표시되는 프리뷰 창(1231)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을 위한 복수의 메뉴 아이콘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촬영 아이콘(1220),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 촬영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사진/동영상 전환 아이콘(1233), 촬영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촬영 방향 전환 아이콘(12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 아이콘(1220)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아이콘(1220)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1장의 이미지(1241)를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시간 내에, 촬영 아이콘(1220)을 탭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정횟수 이상의 탭 입력을 수신한 경우, 스탑 모션 모드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스탑 모션 모드는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스탑 모션 모드로 촬영하는 경우, 도 12d와 같이, 촬영 아이콘(1220)은 촬영 수행을 중지하는 스탑 아이콘(1225)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촬영 아이콘(1220)을 3회 이상 연속하여 탭한 경우,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스탑 아이콘(1225)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이미지(1242, 243, 1244)를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다.
도 13a는 이동 단말기의 앨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앨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앨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앨범 모드로 진입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확대되어 표시된 이미지(1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가 이미지(1310)에 포함되는 객체를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객체를 태그하기 위한 태그 메뉴창(1320)을 표시할 수 있다.
태그 메뉴창(1320)에는 태그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태그 메뉴창(1320)은 팝업창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태그 정보는 이미지 속 객체의 이름, 상기 객체와 관련된 스케쥴이나 기념일, 위치, 날씨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객체가 태그되면, 상기 객체를 태그정보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태그된 객체를 태그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정보로 객체명을 입력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태그된 객체를 상기 객체명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쥴이나 기념일 정보와 함께 객체를 태그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스케쥴이나 기념일로 설정된 일시가 되면 태그된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알림 신호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연속하여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특정 객체를 연속하여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객체에 대한 검색을 시작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 창(13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탭 되어진 특정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식된 특정 객체가 앨범 폴더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앨범 화면을 표시하고, 복수의 이미지 중 특정 객체가 검색된 이미지에 대해서 하이라이트 표시하거나 체크 표시를 할 수 있다.
또는, 앨범 화면의 이미지 리스트에 검색된 이미지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텍스트 화면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으며, 텍스트 이외에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화면은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 화면(1410)일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 화면 등에서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전자책 화면(14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책 화면(1410)에 표시된 특정 단어(1420)를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단어(142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단어에는 하이라이트 표시가 되거나, 밑줄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선택된 단어는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시간 내에, 특정 단어(1420)를 탭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정횟수 이상의 탭 입력을 수신한 경우, 특정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특정 단어에 대한 웹 사이트 검색 결과를 표시하거나,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특정 단어의 의미를 검색한 결과 화면(14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관련된 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음악 재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음악 재생 화면(1510)을 표시할 수 있다. 음악 재생 화면(1510)은, 재생하고 있는 곡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곡명, 가사, 가수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생하고 있는 곡을 일시 정지할 수 있는 일시 정지 버튼, 이전 곡을 재생할 수 있는 이전 곡 이동 버튼, 다음 곡을 재생할 수 있는 다음 곡 이동 버튼 등 곡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는 버튼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등의 객체(1520)에 놓여져 있을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객체에 접하고 있어,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에서 발생하는 소리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테이블 등의 객체(1520)를 두드리는 노크(knock)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노크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전 곡이나 다음 곡으로 이동하여, 이전 곡이나 다음 곡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노크 입력의 방향에 따라, 이전 곡이나 다음 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크 입력을 이동 단말기(100)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다음 곡으로 이동하여, 다음 곡을 재생할 수 있다. 반면에, 노크 입력을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전 곡으로 이동하여, 이전 곡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노크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소정시간 내에 노크 입력을 연속하여 2회 이상 수신한 경우, 소정시간 후의 노크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계속해서 이전 곡으로 이동하거나, 계속해서 다음 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된 곡의 정보를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노크 입력의 방향에 따라, 계속해서 이전 곡으로 이동하거나 계속해서 다음 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한 노크 입력을 이동 단말기(100)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계속해서 다음 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연속한 노크 입력을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계속해서 이전 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소정시간 후에 노크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이동되어 표시된 곡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노크 입력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는 이전 곡 이동 버튼 입력이나 다음 곡 이동 버튼 입력에 대해서도 노크 입력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6의 (a)는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전화번호 리스트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베젤(1620)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베젤(1620)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부 리스트(1610)의 처음이나 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젤(1620)의 윗부분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부 리스트의 처음을 표시할 수 있고, 반면에 베젤(1620)의 아랫부분을 탭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번호부 리스트(1610)의 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베젤(1620)을 탭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베젤(1620)을 탭하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상위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메뉴 화면은 홈 화면(1630)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S171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인터넷 상의 웹 문서들을 표시하는 페이지이며,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백(back) 버튼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720). 백 버튼은, GUI 버튼 또는 PUI 버튼일 수 있으며,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 버튼은 PUI버튼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라, 백 버튼 입력은 백 버튼을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백 버튼 입력은 이동 단말기에서 현재 표시하고 있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하위 메뉴에서 상위 메뉴로 이동하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하위 정보에서 상위 정보로 이동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S1730).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웹 페이지(18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웹 페이지(1810)는 뉴스 리스트를 포함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표시된 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웹 페이지(18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웹 페이지(1820)는 선택된 뉴스 리스트에 관련된 이미지나 기사 내용 등을 포함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웹 페이지(1820)가 표시된 상태에서, 백 버튼(1825) 입력을 수신하면,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웹 페이지(1810)로 이동한다(S1730).
이동 단말기(100)는 소정시간 내에 제1 횟수 이상 백 버튼(1825)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S1740). 이때, 소정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일 수 있으며, 제1 횟수는 기 설정된 횟수일 수 있다.
백 버튼(1825)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S1750).
이때, 이전 페이지 리스트(1830)는 현재 페이지를 표시하기 이전에 표시되었던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리스트일 수 있다. 또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의 상위 페이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2 웹 페이지에서 제3 웹 페이지로 이동하고, 제3 웹 페이지에서 제4 웹 페이지로 이동하고, 다시 제4 웹 페이지에서 제1 웹 페이지로 이동한 경우, 제2 웹 페이지 내지 제4 웹 페이지가 제1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들일 수 있다.
이전 페이지 리스트(1830)는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의 아랫 부분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전 페이지 리스트는 이전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썸네일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썸네일은 이전 페이지를 축소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도 18e를 참조하면, 이전 페이지 썸네일들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기 어려운 경우, 이전 페이지 리스트를 좌우로 스크롤 할 수 있게 표시하여, 플릭 입력으로 이전 페이지 썸네일을 좌우로 스크롤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18f와 같이, 이전 페이지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전 페이지 썸네일 리스트에는 선택 오브젝트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의 이전 페이지 썸네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이전 페이지 썸네일에 선택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 오브젝트가 표시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이전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해, 백 버튼을 반복하여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이전 페이지 리스트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이전 페이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는 소정시간 내에 제2 횟수 이상, 백 버튼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횟수는 기 설정된 횟수일 수 있으며, 제1 횟수보다 클 수 있다.
백 버튼 입력을 제2 횟수 이상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는 특정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특정 페이지는 기 설정된 웹 페이지이거나 이동 단말기의 홈 화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노력과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1)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이상, 상기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제1 동작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상기 실행 화면의 속성에 기초한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기초한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리스트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를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를 소정 기준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리스트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를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 중 소정 리스트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되지 않은 리스트를 상기 제1 동작 수행 단계에서의 스크롤 속도보다 빠르게 스크롤하며, 상기 하이라이트 리스트를 상기 제1 동작 수행 단계에서의 스크롤 속도보다 느리게 스크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리스트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리스트 화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기준에 의해 상기 리스트를 필터링하여 표시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준에 의해 필터링된 리스트를 제2 기준에 의해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이며,
    상기 제2 기준은, 상기 원형 패턴을 그리는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화면은 전화번호 리스트 화면이고,
    상기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경우, 통화 횟수가 많은 순서로 상기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이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인 경우, 통화 횟수가 적은 순서로 상기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이며,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가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촬영 모드로 진입하여, 촬영 아이콘을 포함하는 카메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촬영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1회 촬영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화상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스탑 모션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앨범 모드로 진입하여, 이미지를 포함하는 앨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탭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를 태그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 화면에 포함된 이미지 중 상기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텍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텍스트 화면에 포함된 단어를 탭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해주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특정 키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화면의 바로 이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화면의 이전 화면들을 나타내는 이전 화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접하고 있는 객체를 노크(knock)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곡의 다음 곡을 재생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 이후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계속해서 다음 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된 곡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9.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하며, 소정시간 내에 일정 횟수이상, 상기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제1 동작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프로그램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상기 실행 화면의 속성에 기초한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기초한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리스트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리스트를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하는 동작이고, 상기 제2 동작은 리스트를 소정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그룹단위로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리스트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리스트를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하는 동작이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리스트 중 주요 리스트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되지 않은 리스트를 상기 제1 동작 시의 스크롤 속도보다 빠르게 스크롤하며, 상기 하이라이트 된 리스트를 상기 제1 동작 시의 스크롤 속도보다 느리게 스크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요 리스트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리스트 화면에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은, 제1 기준에 의해 상기 리스트를 필터링하여 표시하는 동작이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제1 기준에 의해 필터링된 리스트를 제2 기준에 의해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이며,
    상기 제2 기준은, 상기 원형 패턴을 그리는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화면은 전화번호 리스트 화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인 경우, 통화 횟수가 많은 순서로 상기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인 경우, 통화 횟수가 적은 순서로 상기 필터링된 리스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패턴을 그리는 입력을 연속하여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패턴은 원형 패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패턴을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원형 패턴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0. 제1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이며,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촬영 아이콘을 포함하는 카메라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촬영 버튼을 탭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카메라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1회 촬영하는 동작이며,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표시되는 화상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스탑 모션 촬영을 수행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앨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탭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객체를 태그하는 동작이며,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앨범 화면에 포함된 이미지 중 상기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텍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텍스트 화면에 포함된 단어를 탭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단어를 선택하는 동작이며,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해주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특정 키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실행 화면의 바로 이전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이며,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실행 화면의 이전 화면들을 나타내는 이전 화면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접하고 있는 객체를 노크(knock)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동작은, 현재 재생되고 있는 곡의 다음 곡을 재생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소정 시간 이후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계속해서 다음 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된 곡을 재생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7.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백(back)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백 버튼 입력을 소정시간 내에, 제1 횟수이상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페이지 리스트는 상기 이전 페이지의 썸네일(thumbnail)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이전 페이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이전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백 버튼 입력을 소정시간 내에, 제2 횟수이상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횟수는 상기 제1 횟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41.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076628A 2013-07-01 2013-07-0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9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628A KR102191965B1 (ko) 2013-07-01 2013-07-0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4/295,756 US20150007016A1 (en) 2013-07-01 2014-06-04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6/296,520 US20190205004A1 (en) 2013-07-01 2019-03-08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628A KR102191965B1 (ko) 2013-07-01 2013-07-0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981A true KR20150008981A (ko) 2015-01-26
KR102191965B1 KR102191965B1 (ko) 2020-12-16

Family

ID=5211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628A KR102191965B1 (ko) 2013-07-01 2013-07-0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50007016A1 (ko)
KR (1) KR102191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651A (ko) * 2019-12-13 2021-06-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처치정보 입력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 업무 관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5026S1 (en) * 2013-02-22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graphic user interface
USD745025S1 (en) * 2013-02-22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127387B1 (ko) * 2013-10-31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스크롤 방법
US10222966B2 (en) * 2015-02-09 2019-03-05 Flipboard, Inc. Parallax discrete page scrolling
US9952669B2 (en) * 2015-04-21 2018-04-24 Immersion Corporation Dynamic rendering of etching input
WO2017018808A1 (en) * 2015-07-28 2017-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interface (ui) for customized user access to application functionalities
KR20170055867A (ko) * 2015-11-12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K201670574A1 (en) 2016-06-12 2018-01-02 Apple Inc Accelerated scrolling
US20180032215A1 (en) * 2016-07-29 2018-0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partitioning of a list for efficient list navigation
US10139975B2 (en) 2016-09-23 2018-11-27 Apple Inc. Pressure compensation for force-sensitive touch screen
KR20180086078A (ko) * 2017-01-20 201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US10509988B2 (en) * 2017-08-16 2019-12-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rime scene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JP6498798B1 (ja) * 2018-01-17 2019-04-10 株式会社ぐるなび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利用者端末制御プログラム
WO2020101067A1 (en) * 2018-11-15 2020-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text in electronic terminal
CN110896495A (zh) * 2019-11-19 2020-03-2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用于目标设备的视图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5216A1 (en) * 2008-10-02 2010-04-08 Ajith Ms Vibration based user input for mobile devices
KR20110055265A (ko) * 2009-11-19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JP2011227683A (ja) * 2010-04-19 2011-11-10 Nikon Corp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704A (en) * 1905-02-18 1905-11-07 Frank H Miller Telegraphic sounder.
EP1046462B1 (en) * 1999-03-26 2003-10-29 Ibiden Co., Ltd. Wafer holding plate for wafer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20057297A1 (en) * 2000-06-12 2002-05-16 Tom Grimes Personalized content management
US20030085989A1 (en) * 2001-11-07 2003-05-08 Hiok-Nam Ta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instant image capture and transmission
US7587411B2 (en) * 2003-03-27 2009-09-0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nd organizing items based on common elements
US8078255B2 (en) * 2006-03-29 2011-12-13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Virtual surgical systems and methods
US8694910B2 (en) * 2006-05-09 2014-04-08 Sonos, Inc. User interface to enable users to scroll through a large list of items
US8107100B2 (en) * 2006-07-20 2012-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st deployment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and security solution
US20080045170A1 (en) * 2006-08-15 2008-02-21 Stephen Howley Favorite artist/song title feature ("FAST")
US8498980B2 (en) * 2007-02-06 2013-07-30 Nancy P. Cochran Cherry picking search terms
US7777182B2 (en) * 2007-08-02 2010-08-17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on cyclotron spectrometry
US8135616B2 (en) * 2008-06-26 2012-03-13 Microsoft Corporation Browsing and quality of service features
US20110307491A1 (en) * 2009-02-04 2011-12-15 Fisk Charles M Digital photo organizing and tagging method
US8984431B2 (en) * 2009-03-16 2015-03-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US20100269038A1 (en) * 2009-04-17 2010-10-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ariable Rate Scrolling
US20100302190A1 (en) * 2009-06-02 2010-12-02 Elan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touchpad remote controller
US8364033B2 (en) * 2009-12-08 2013-01-29 Telcordia Technologies, Inc. Differential eye diagrams
JP5062279B2 (ja) * 2010-03-29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機器および携帯情報機器
US20120078788A1 (en) * 2010-09-28 2012-03-29 Ebay Inc. Transactions by flicking
KR101685991B1 (ko) * 2010-09-30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106608A (ko) * 2011-03-17 2012-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향상된 사용자 상호작용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9600176B2 (en) * 2011-06-16 2017-03-2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at least two groups of content during movement of the content
US9086794B2 (en) * 2011-07-14 2015-07-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rmining gestures on context based menus
US11474645B2 (en) * 2012-03-27 2022-10-1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 sensing
US8949858B2 (en) * 2012-06-18 2015-02-03 Intel Corporation Augmenting user interface elements with information
CN102832792B (zh) * 2012-08-24 2014-07-16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源极驱动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US8632088B2 (en) * 2012-09-12 2014-01-21 Kevin J. Yerdon Mobile ergonomic exercise tricycle apparatus and method
US9690476B2 (en) * 2013-03-14 2017-06-27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20140282118A1 (en) * 2013-03-15 2014-09-18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ing multi-branched browsing history tree for web navigation
US10331765B2 (en) * 2013-05-24 2019-06-25 Sourcecode Technology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forms to native mobile applications
US20140359489A1 (en) * 2013-05-30 2014-12-04 Qualcomm Incorporated Web browser histo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5216A1 (en) * 2008-10-02 2010-04-08 Ajith Ms Vibration based user input for mobile devices
KR20110055265A (ko) * 2009-11-19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JP2011227683A (ja) * 2010-04-19 2011-11-10 Nikon Corp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651A (ko) * 2019-12-13 2021-06-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처치정보 입력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 업무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965B1 (ko) 2020-12-16
US20150007016A1 (en) 2015-01-01
US20190205004A1 (en)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96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64965B1 (ko) 더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US9772762B2 (en) Variable scale scrolling and resizing of displayed images based upon gesture speed
US909848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to display bookmark icons for an e-book
EP256837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915231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067648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9891809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922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CN104035679B (zh) 显示代表信息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30318437A1 (en)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EP2237140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320453B (zh) 显示装置和控制显示装置的方法
KR20150070282A (ko) 문서에서의 썸네일 및 문서 맵 기반 내비게이션
KR2012013144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554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942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13155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181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71613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0093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15126A (ko)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110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181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페이지 전환 방법
KR102361028B1 (ko)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