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482A -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 - Google Patents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482A
KR20150005482A KR20140137942A KR20140137942A KR20150005482A KR 20150005482 A KR20150005482 A KR 20150005482A KR 20140137942 A KR20140137942 A KR 20140137942A KR 20140137942 A KR20140137942 A KR 20140137942A KR 20150005482 A KR20150005482 A KR 20150005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leep
insomnia
wat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7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오
나주련
최은진
한설희
이선영
배동혁
최철웅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2014013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482A/en
Publication of KR2015000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reating or alleviating insomnia. As a result of confirmation through animal tests, the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sleeping inducing time and increases the sleeping running time, and thus is expected to have an excellent effect of treating, alleviating, or preventing insomnia.

Description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reatment or improvement of insomnia containing an extract of Aspergillus oryzae as an active ingredient.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improving insomnia,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amelioration of insomnia, comprising an extract of Aspergillus oryzae as an active ingredient.

불면증이란 정신 흥분, 신경 쇠약, 심신 과로 따위로 말미암아 밤에 잠이 잘 오지 않는 병증 또는 이러한 병증을 갖는 질환을 의미하며, 주로 일차성 불면증을 의미한다.Insomnia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a person does not sleep well at night due to mental excitement, nervous breakdown, physical or mental problems, or a disease that has such a condition, and mainly refers to primary insomnia.

상기 일차성 불면증은 다른 일차성 수면장애, 정신과적 문제, 내과적 또는 신경과적 문제, 약물의 사용이나 사용 중지 등에 의하여 생긴 것이 아닌 불면증을 말한다. 상기 일차성 불면증은 과다각성(hyperarousal) 내지 상향망상체형성계(ascending reticular formation system)의 활동이 각성뿐만 아니라 수면시에도 너무 과도한 것이 원인이라고 추정하고 있으나, 그 구체적인 원인 기작이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다.The primary insomnia refers to insomnia that is not caused by other primary sleep disorders, psychiatric problems, medical or neurological problems, or the use or discontinuation of medication. The primary insomnia is presumed to be caused by hyperarousal to ascending reticular formation system activity not only in arousal but also in sleep, but the specific cause mechanism is not clear.

상기 일차성 불면증에는 정신생리적 불면증(psycho-physiologic insomnia), 수면상태인지장애(sleep statemisperception), 부적절수면위생(inadequate sleephygiene) 및 특발성 불면증(idiopathicinsomnia)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정신생리적 불면증은 가장 대표적인 일차성 불면증이다.The primary insomnia includes psycho-physiologic insomnia, sleep statemisperception, inadequate sleephygiene and idiopathic insomnia, among which psycho-physiological insomnia is the most representative It is a primary insomnia.

상기 정신생리적 불면증은 잠자기 힘든 부정적 경험들이 반복되고 학습되어 내부정신활동이나 외부자극에 대해 연관이 생겨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기 외부 자극에 대한 조건연관은 수면과 관련된 상황이나 행동이 불면과 빈번하게 연관됨으로써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잠자기 직전에 조건화된 과다각성이 초래되며, 이것이 여러 번 반복되면 침대에 깬 상태로 누워 있어도 조건화된 과다각성이 생기고, 이를 닦는다든지, 이부자리를 준비한다든지 또는 불을 끈다든지 하는 등의 취침시간과 연관된 행동들도 과다각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he psychological physiological insomnia is expected to occur because the sleepy negative experiences are repeated and learned and related to the inner mental activity or the external stimulus. The conditional association to the external stimulus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situation or behavior associated with sleeping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sleeplessness, resulting in a conditionalized hyperarousal just prior to sleep, and if this is repeated a number of times, And the behavior associated with bedtime, such as brushing teeth, preparing bedding, or putting out a fire, have been reported to cause excessive awakening.

내부 정신활동에 학습된 연관이 생기는 것은 주로 잠을 잘못 이룰 것이라는 조건화된 과도한 걱정 때문이다. 이런 과도한 걱정 때문에 잠을 못 자고, 또 잠을 못자기 때문에 더욱 자려고 노력하게 되어 각성도가 높아져서 점점 잠을 못자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환자에 대해서 수면다원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수면잠복기는 길어지고 전체 수면시간과 1단계 및 2단계 비렘 수면시간이 증가되며 알파 침범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he occurrence of learned associations in internal mental activity is largely due to conditional excessive worry that sleep will be misbehaved. Because of this excessive anxiety, I can not sleep, I can not sleep, I try to sleep more, I become more awake, and I can cause a vicious circle that can not sleep more and more. In these patients, sleep latency is prolonged, and total sleep time, first and second-stage sleep time, and alpha-invasion are reported to occur.

상기 정신생리적 불면증은 전체인구의 약 2%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면증 환자의 약 12% 내지 15% 정도가 이러한 정신생리적 불면증 진단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많고, 보통 20세에서 40세 사이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uch psychophysiological insomnia is known to be about 2% of the total population, and about 12% to 15% of insomnia patients are reported to be diagnosed with such psychiatric insomnia. Also, it is more common in women than men, and it is known to occur between 20 and 40 years of age.

상기 수면상태 인지장애는 주관적으로는 불면증을 호소하나 객관적인 수면검사 결과에서는 수면의 시작이나 유지에 아무런 문제도 없을 때 진단하는 것으로, 유병률이 정확하게 보고되어 있지 않으나, 임상적으로 불면증 환자의 5% 미만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기 수면상태 인지장애와 관련된 주관적인 인상과 객관적인 측정 결과 사이의 차이를 정확하게 설명하는 이론은 아직 보고되고 있지 않다.Although the sleep-related cognitive disorder is subjectively diagnosed as insomnia, it is diagnosed when there is no problem in the onset or maintenance of sleep in the result of objective sleep test. Although the prevalence is not accurately reported, the clinical symptom is less than 5% . The theory that accurately account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ive impression and the objective measurement result associated with the sleep state cognitive impairment has not yet been reported.

상기 부적절한 수면위생은 밤에 잘 자지 못하게 하고 낮에 잘 깨어있지 못하게 하는 습관과 일상활동에 의해서 발생한다. 상기 부적절한 수면위생으로 고통 받는 환자에 대한 통계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전체인구의 1% 내지 2% 정도에서 이러한 이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만성불면증에서는 이것이 아주 흔한 불면증유발 및 지속요소이며 이것이 일차적 또는 이차적인 원인으로 진단되는 것을 모두 합치면 불면증 관련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약 30% 이상이 여기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된다.Such inadequate sleep hygiene is caused by habits and routine activities that prevent sleeping well at night and keeping them awake during the day.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investigation of the patients suffering from the above-mentioned inadequate sleep hygiene, it is estimated that 1% to 2% of the total population show this abnormality. In addition, in chronic insomnia, this is a very common cause of insomnia and persistence, and combined with the diagnosis of primary or secondary causes, it is expected that about 30% of patients receiving insomnia-related treatment will be involved.

상기 특발성불면증은 매우 드물며 일생동안 내내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증상을 가지며, 전형적으로는 태어날 때부터 시작되거나 늦어도 초기 사춘기 때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가족력을 가진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수면에 대한 신경조절의 이상이 원인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나, 정확한 이론이나 유병률에 대한 구체적인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The idiopathic insomnia is very rare and has symptoms that do not take proper sleep throughout the lifetime. Typically, it is known to start at birth or at the earliest puberty and may have family history. It is presumed that this is the cause of abnormality of nervous control on sleep, but there is no specific report on exact theory or prevalence.

불면증의 경우, 사회적으로는 다른 질환에 비하여 그 심각성이 인정되고 있지 않으나, 불면증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그 심각성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원인이 될 정도로 고통스러우며, 작업효율 등의 사회적 생산성의 측면에서도 해결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불면증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제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합성 화합물 약제이나 이러한 약제의 경우에는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외의 민간요법의 경우에는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못하고, 오히려 숙면을 방해하는 것으로 검증된 예도 있어, 불면증 치료를 위한 대책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In the case of insomnia, the severity of insomnia is not acknowledged as compared to other diseases, but in the case of patients suffering from insomnia, the severity is painful enough to cause extreme cho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lution to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medicines used for the treatment of insomnia have generally been reported to have side effects in the case of synthetic compound medicines or such medicines. In the case of other folk remedies, the effects are not scientifically proven, In some cases,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the treatment of insomnia is urgently required.

KRKR 10-125621010-1256210 BB KRKR 10-124259610-1242596 BB

[문헌 1] Hauri PJ, FischerJ. Persistent psychophysiologic (learned) insomnia. Sleep 9: 38-53(1986)[Document 1] Hauri PJ, Fischer J. Persistent psychophysiologic (learned) insomnia. Sleep 9: 38-53 (1986) [문헌 2] Bonnet MH, Arand DL. Hyperarousal andinsomnia. Sleep Med Rev1: 97-108 (1997)[Document 2] Bonnet MH, Arand DL. Hyperarousal andinsomnia. Sleep Med Rev1: 97-108 (1997) [문헌 3] Sateia MJ.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sleep disorders.2nd.Diagnosticandcodingmanual.Westchester, Illinois: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6-8 (2005)[Document 3] Sateia MJ.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2.Diagnosticandcodingmanual.Westchester, Illinois: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6-8 (2005) [문헌 4] Buysse DJ et al. Clinical diagnoses in 216 insomnia patients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ICSD), DSM-IV, and ICD-10 categories:Areport from the APA/NIMH DSM-IV field trial. Sleep 17: 630-637 (1994)[Document 4] Buysse DJ et al. Clinical diagnoses in 216 insomnia patients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 DSM-IV, and ICD-10 categories: Areport from the APA / NIMH DSM-IV field trial. Sleep 17: 630-637 (1994) [문헌 5] Carskadon MA, et al. Self-reports versus sleeplaboratory findings in 122 drug-free subjects with complaints of chronic insomnia. Am J Psychiat 133: 1382-1388 (1976)[Literature 5] Carskadon MA, et al. Self-reports versus sleeplaboratory findings in 122 drug-free subjects with complaints of chronic insomnia. Am J Psychiat 133: 1382-1388 (1976) [문헌 6] Bastien CH, Morin CM. Familial incidence of insomnia. J Sleep Res 9: 49-54 (2000)[Literature 6] Bastien CH, Morin CM. Familial incidence of insomnia. J Sleep Res 9: 49-54 (2000)

본 발명의 목적은 불면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somni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면증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insomni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wangchil tree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insomnia.

상기 황칠나무는 황칠나무 잎 또는 줄기일 수 있고,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The whitish wood may be a leaf or stem of a perennial tree, and the perennial extrac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a mixture thereof.

또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에 부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분획 용매로 이용하여 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okutogi extract can be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extract of Hokutogi (Japanese White-crested tree) by fractionation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anol, hexane, methylene chloride, acetone, ethyl acetate, ethyl ether, chloroform, water, .

또한, 본발명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개선 또는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The invention also hwangchil tree (Dendropanax morbifera )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insomnia.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문제되지 않도록 천연물 유래 성분 중에서 불면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과 관련된 효과를 가지는 물질에 대해 연구하던 중, 황칠나무 추출물, 구체적으로 황칠나무 잎의 열수 추출물이 동물실험을 통하여 실험한 결과, 수면에 요구되는 시간인 수면유도 시간을 감소시키고, 수면이 지속되는 수면지속시간을 연장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기 효과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황칠나무 잎의 열수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은 다른 분획에 비하여 수면유도시간 및 수면지속시간 모두의 측면에서 불면증 개선 또는 치료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부작용이 문제될 가능성도 낮고, 안전성도 우수할 것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ed studies on a substance having an effect related to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insomnia among the componen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o that the side effects are not problematic.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leep induction time, which is the time required for sleep, was prolonged, and that the sleeping duration was prolonged, and that the effect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particular, the chloroform fraction Was found to have superior insomnia improvement or therapeutic effect in terms of both sleep induction time and sleep duration as compared with other fraction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low in the possibility of side effects from the natural products and safe,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 일 예로 황칠나무 잎, 가지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amelioration of insomnia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extract or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ts of Hwangcholguk tree, for example, leaves of Hwangchujang, branches and roots.

상기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상록 활엽수림이다. 상기 황칠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껍질에 상처가 나면 황색액이 나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 황색액은 목공예품을 만들 때 색을 칠하거나 표면을 가공할 때 사용되어 왔다.The hwangchil trees (Dendropanax morbifera LEV.) Is a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belonging to Araliaceae. It is known that the name Yellowlich is originated from a yellowish liquid when the skin is scratched, and the yellowish liquid has been used for coloring or surface processing when making woodwork.

상기 황칠나무는 아열대성식물로,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전남 서남해안 및 완도, 보길도, 어청도, 진도, 홍도, 거문도, 연일도 등의 도서지방에서만 자생 및 재배되는 난대성수종이다.It is a subtropical species that is naturally grown and cultivated only in the islands of Jeju, Jeollanam-do and South Wan, Wando, Bogil, Eocheong, Jindo, Hongdo, Geomundo and Yeonil in Jeollanam-do.

상기 황칠나무는 높이가 15 m에 달하고, 어린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다. 상기 황칠나무의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꽃은 6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고 양성화이며 산형 꽃차례에 달린다. 상기 황칠나무의 열매는 타원형으로, 10월에 흑색으로 열린다. 전통 공예인 황칠에 사용되는 상기 황칠나무의 진액 또는 수지는 8월 내지 9월에 채취한다. 상기 황칠나무의 수지는 황금색이고, 내열, 내구 및 내수성이 강하며, 부착성 및 광택이 좋아 예로부터 전통 공예품에 천연도료 및 민간의약품 소재로 쓰여지고 있다.The woody tree is 15 m high, and the young branches are green and have no hairs. The leaves of the perennials are alternately ovate or oval, and the flowers bloom in June with light yellowish green color and are bisexual, and they are in the inflorescence. The fruit of the perennial tree is elliptical and opens in black in October. The juice or resin used for the traditional crafts of Huangchu is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The above-mentioned woody resin has a golden color, is resistant to heat, durability and water resistance, has good adhesion and gloss, and has been used as a natural paints and civilian medicine materials in traditional handicrafts since ancient times.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세스퀴테르펜 등의 정유성분뿐만 아니라 아라키딕산, 팔미틱산, 아르기닌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항균, 간기능 개선, 면역증강, 또는 항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효과와 관련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It is known that the extract has various effects such as antioxidant, antibacterial activity, liver function improvement, immunity enhancement, and anti-cancer, as well as essential oil components such as sesquiterpene and various components such as arachidonic acid, palmitic acid and arginine , Insomnia treatment or improvement effects are not known at all.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황칠나무의 열매, 꽃, 잎, 가지, 줄기, 뿌리 또는 껍질이나 이의 분쇄물, 구체적으로 황칠나무의 잎, 가지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황칠나무 잎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extract may be on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plant extract. Examples of the extract include fruit, flower, leaf, branch, stem, root or crust of the perennial tree, And extracting the extract with a solvent, or by fractionating a crude extract prepared by extracti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상기 알코올 희석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코올 희석수는 알코올을 50%(v/v) 내지 99.9%(v/v)로 물에 희석한 것일 수 있다.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The organic solvent may be a polar solvent such as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 diluted alcohol, ethylacetate or acetone, a nonpolar solvent such as ether, chloroform, benzene, hexane or dichloromethane, or a mixture thereof. The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may be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or isoprop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alcohol diluted water may be an alcohol diluted with water at 50% (v / v) to 99.9% (v / v).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알코올 희석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과정은 일 예로, 20℃ 내지 150℃, 또는 30℃ 내지 100℃, 또는 45℃ 내지 8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30분 내지 120시간, 또는 2시간 내지 60시간, 또는 12시간 내지 36시간 또는 20시간 내지 28시간일 수 있다.The extracting solvent for the extract of Hokutogiri (Japanese White Luci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 alcohol-diluted water and a mixture thereof, more preferably water, Alcohol, and mixtures thereof, and still more preferably, water. The extra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t, for example, 20 ° C to 150 ° C, or 30 ° C to 100 ° C, or 45 ° C to 8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traction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30 minutes to 120 hours, or 2 hours to 60 hours, or 12 hours to 36 hours or 20 hours to 28 hours.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열수추출법을 포함한 열추출법,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초음파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 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The extract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plant extracts.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 heat extraction method including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 cold extraction method, an onion extraction method,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pulverizer or a fractionator may be used.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부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으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여, 각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Further, the extract extracted with the solvent is then treated with any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anol, hexane, methylene chloride, acetone, ethyl acetate, ethyl ether, chloroform, water and mixtures thereof, preferably chloroform, , And more preferably, chloroform. Two or more kinds of solvents may be used for the fractionation, and the solvent extracts may be sequentially used or mix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solvent.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The thus-prepared extract or the fraction obtained by performing the fractionation process may be filtered, concentrated or dried to remove the solvent, and may be subjected to both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농축기, 일 예로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 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lt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filter paper or a vacuum filter, and the concentration can be reduced by using a vacuum concentrator, for example, a rotary evaporator. The drying can be performed by, for example, freeze drying.

본 발명의 황칠나무 잎 열수추출물의경우, 실험동물 1kg 대비 10 mg만 처리한 경우에도 대조군에 비하여 수면유도시간 및 수면지속시간의 측면에서 불면증 개선효과가 확인되었고, 실험동물 1kg 대비 500 mg(mg/kg of body weight) 처리한 경우에는 양성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농도의존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 특히,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경우에는 양성대조군 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In the case of the extract of hot pepper leaf of the present invention, insomnia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induction time of sleep and the duration of slee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kg of body weight) showed almost the same effect as the positive control. This effect was found to be improv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fraction of the extract, especially the chloroform fraction, had a better effect than the positive control Respectively.

또한, 상기 황칠나무 잎 열수추출물에 대한 분획물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황칠나무 잎 열수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다른 분획에 비하여 더 우수한 불면증 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다른 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에 비하여 불면증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tests on the fractions for the hot-water extract of Hwangchu-bark leaf, it was found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butanol and hexane, more specifically, the chloroform fraction, And more excellent insomnia improvement and the lik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insomnia is more excellent than that of the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on of the chloroform fraction with another solvent, more specifical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butanol and hexan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somn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수면이란 잠을 자는 일 또는 활동을 쉬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피로가 누적된 뇌의 활동을 주기적으로 회복하는 생리적인 의식상실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수면은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하는 능력이 가역적, 반복적, 정상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leep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sleeping or resting activity occurs figuratively and refers to a state of physiological loss of consciousness that periodically restores accumulated brain activity. Specifically, sleep means an immobile state in which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react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s reversible, repetitive, and normally stationary.

상기 수면은 뇌를 발달시킨 동물의 중요한 생리기능이며 생존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행동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주야의 리듬이 규칙적으로 교대하는 환경권내에 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일주변화에 동조하고 또한 상기 변화를 예측해 가며 활동과 휴식의 리듬을 반복하는 것이 생물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생존전략이었다. 그러므로, 모든 생물은 체내에 생물시계 또는 생체시계를 구축하고 환경 사이클에 동조하는 행동을 보여주고 있다.The sleep is an important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brain-developing animal and an indispensable behavior for survival. Every creature on earth lives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rhythm of day and night changes regularly. Therefore, it was the most basic survival strategy for living creatures to synchronize with the change of the week and to repeat the rhythm of activity and rest, predicting the change. Therefore, all creatures demonstrate the behavior of building a biological clock or biological clock in the body and synchronizing it with the environmental cycle.

인간의 수면은 비렘수면(non-rapid eye movement-sleep)과 렘수면(rapid eye movement-sleep)으로 구분되며, 정상 성인의 밤 수면은 4회 내지 6회의 비렘수면과 렘수면의 주기가 반복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수면은 대개 비렘수면으로 시작하여 점점 깊은 수면으로 들어가며, 이러한 수면 주기가 정상적으로 반복되지 않는 경우에도 수면 장애가 일어나게 된다.Human sleep is divided into non-rapid eye movement-sleep and rapid eye movement-sleep, and normal adult night sleep is reported to repeat 4 to 6 non-REM sleep and REM sleep cycles have. Sleep usually begins with a BREEM level and enters deeply into the water, causing sleep disturbances even when these sleep cycles do not repeat normally.

상기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졸리고 짜증이 나거나 활력이 없어져 삶의 질이 손실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생명유지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수면이란 상기와 같은 상태를 초래하지 않게 하기 위한 기능으로, 숙면을 취한다는 것은 단순히 삶의 질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생명유지 및 경제적 생산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When the above-mentioned sleeping is insufficient, the quality of life is lost due to sleepiness, annoyance or lack of vitality. In some cases, it may cause serious damage to life support. Sleep is a function that does not cause the above situation. Taking a good night's sleep is not only a matter of quality of life but also of life maintenance and economic productivity.

본 발명에 있어서, 불면증(insomnia)이란 수면을 이루지 못하는 일 즉, 정신 흥분, 신경 쇠약, 심신 과로 따위로 말미암아 밤에 잠이 잘 오지 않는 병증 또는 이러한 병증을 갖는 질환을 의미하며, 수면장애(sleep disturbance)의 일 예로, 주로 일차성 불면증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somnia refers to a disease that does not lead to sleep, that is, a disease that does not sleep well at night due to psychological excitement, nervous breakdown,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disturbance, for example, primarily primary insomnia.

상기 일차성 불면증(primary insomnia)은 수면의 시작이나 수면 유지의 어려움 또는 원기회복이 되지 않는 수면을 호소하는 수면장애로, 내과 질환, 우울장애 등 타 정신과적 장애나 약물 등의 요인이 원이 아닌 불면증을 말한다.The primary insomnia is a sleep disorder that complains of the onset of sleep, the difficulty in maintaining sleep, or the sleep that is not restored, and other 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medical conditions, depressive disorder, It is insomnia.

상기 일차성 불면증은 과도한 각성이 원인이라고 생각되고 있으며, 상향망상체 형성계의 활동이 수면 시에도 과도하게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주된 증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면의 시작과 유지의 문제가 있고, 자고 일어나서 원기 회복이 되지 않는 증상이 있다. The primary insomnia is believed to be caused by excessive awakening, and the activity of the upturned mesangial system seems to be overactive even during sleep. The main symptom is that there is a problem of the start and maintenance of the sleeping as described above, and there is a symptom that the patient does not recover from sleeping and recovering.

상기 수면장애는 불면증, 중추수면무호흡 증후군이나 폐쇄수면무호흡 증후군과 같은 수면 관련 호흡장애, 기면증(narcolepsy), 하지불안 증후군 등이 있다.Such sleep disorders include insomnia,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s such as central sleep apnea syndrome o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narcolepsy, and restless legs syndrome.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불면증은 구체적으로 일차성 불면증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somnia treating or ameliorating insomnia comprising an extract of Aspergillus oryzae as an active ingredient. The insomnia may be specifically primary insomnia.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0.01 내지 99%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르게 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contain 0.01 to 99% by weight of the extrac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kind of the disease, and the progress of the disease.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The compositions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ized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Examples of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can be use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Vaginal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적어도 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In the case of formulation,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or a surfactant is usually used.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re also used.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liquid preparation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simple diluents commonly use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Examples of the suspending agent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a suppository bas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paper, laurin, glycerol 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ferred dosage of the com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the weight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the disease, the drug form, the administration route and the period, bu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for the desired effect, the extract is preferably administered at a dose of 0.01 mg / kg to 10 g / kg per day, preferably 1 mg / kg to 1 g / kg per day. The administration may be carried out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doses. Therefore, the dose is not limited in any way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통상의 방법에 의할 수 있고, 일 예로 경구 및 직장 또는 정맥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 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humans, and the like in a variety of routes. Any method of administration may be carried out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oral administration, rectal administration 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insomnia comprising an extract of Aspergillus oryzae as an active ingredi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r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식품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In this aspec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the food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및 상기 불면증에 대한 내용은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및 약학 조성물에서 언급한 내용과 같다.The contents of the above extract and the insomnia are the same as those mentioned in the above extract of Hokutogi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상기 식품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고,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한다.The term " food " means a natural product or a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Preferably, the food means a state in which it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a certain degree of processing. Food additives and beverage additives.

상기 식품의 일 예로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Examples of the foods includ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may contain special nutritional foods (e.g., crude oil, spirits, infant food, etc.), meat products, fish products, tofu, jelly, noodles (Such as soy sauce, soybean paste, hot pepper paste, mixed sauce), sauces, confectionery (eg snacks), dairy products (eg fermented milk, cheese), other processed foods, kimchi, pickled foods But are not limited to, fruits, vegetables, beverages, fermented beverages, etc.), natural seasonings (e.g., ramen soup, etc.).

상기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food, the health functional food, the beverage, the food additive and the beverage additive can be produced by a usual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group imparted with added value to function and express the function of the food by physical, biochemical, biotechnological, and the like, Means a food which is processed and designed so that the body control function related to prevention and recovery is sufficiently expressed in the living body.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include food-acceptable food supplementary additives, and may further includ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 is a generic term for drinking or enjoying a taste, and is intended to include a health functional beverage. The bevera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ntains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an indicated ratio as an essential ingredient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n additional ingredient such as ordinary beverages have.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Examples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di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s, cyclodextrins and the like, and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Natural flavors (tau mar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as flavor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5 to 12 g per 100 ml of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drink, Can also be added.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lavoring agent such as a variety of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gents and thickening agent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 is not so critical, but ma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0 to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functional beverage includes a beverage group to which added value is imparte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beverage functions to a specific purpose using physical, biochemical, biotechnological techniques, etc., Means a beverage which is processed by being designed so that the body control function related to recovery and the like is sufficiently expressed to a living body.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The health functional bevera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ingredients other than the nutrition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n additional ingredient such as ordinary beverages .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이다.Examples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di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s, cyclodextrins and the like, and xylitol , Sorbitol, and erythritol. Natural flavors (tau mar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as flavor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5 to 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구체적으로 황칠나무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동물실험을 통하여, 수면유도시간 및 수면지속시간을 측정한 결과, 수면 유도 효과 즉,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탁월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duction time of sleep and the duration of sleeping through the animal experiment, it was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Hwigulchum japonica extract, specifically the chloroform fraction of Hwigulchum japonica extract, was excellent in the sleep inducing effect, that is, the treatment or amelioration of insomnia.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수면에 들어가는데 소요되는 수면유도시간을 감소시키고, 수면이 지속되어 질 좋은 수면이 가능하게 하는 수면지속시간을 향상시켜, 불면증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인정되므로,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reduces the induction time required for entering the sleeping surface and improves the sleeping time which enables the sleeping to be continued. Improvement or therapeutic effect is recognized,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reating or ameliorating or preventing insomnia.

도 1은 황칠나무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수면유도시간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상기 그래프의 세로축은 수면에 요구되는 시간을 초(sec)단위로 측정한 값이고, 가로축은 각각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황칠나무 추출물의 투여량(mg/kg of body weight)에 따른 실험군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황칠나무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수면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상기 그래프의 세로축은 수면지속 시간을 초(sec)단위로 측정한 값이고, 가로축은 각각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황칠나무 추출물의 투여량(mg/kg of body weight)에 따른 실험군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황칠나무 분획물의 투여에 따른 수면유도시간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상기 그래프의 세로축은 수면에 요구되는 시간을 초(sec)단위로 측정한 값이고, 가로축은 각각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황칠나무 분획물의 종류에 따른 실험군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황칠나무 분획물의 투여에 따른 수면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상기 그래프의 세로축은 수면지속 시간을 초(sec)단위로 측정한 값이고, 가로축은 각각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황칠나무 분획물의 종류에 따른 실험군을 나타내는 것이다.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duction time of the sleep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The vertic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he time required for the water surface in seconds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dose (mg / kg of body weight) of the control group,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the woodchuck extract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leep duration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The vertic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he sleep duration measured in seconds,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dose (mg / kg of body weight) of the control group,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the woodchuck extract.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duction time of the sleeping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fragrant wood fractions. The vertic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he time required for the water surface in seconds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kinds of the control group,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the yellowingwood fraction.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leep duratio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fragrant wood fractions. FIG. The vertical axis of the graph is a value measured in seconds in terms of sleep duration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an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kinds of control, positive control, and yellowtail wood fractions,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기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the purpose of furthe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ll technical idea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Example 1>황칠나무 추출물 및  1 > 분획물의Fraction 제조 Produce

2011년 장흥 등 전남 남해안 일대에서 채취한 황칠나무의 잎, 가지 및 뿌리를 분리한 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황칠나무의 각 부위를 분쇄하여 균일하게 만든 후, 상기 황칠나무 잎의 분말 5 g에 추출용매인 증류수 100 ml을 섞어, 4시간 동안 120℃에서 교반추출 하였다. 상기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지(와트만 41번)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황칠나무의 물 추출물 0.435 g을 수득하였다.In 2011, the leaves, branches and roots of Hwangchu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 coast of Jangnam, Jeollanam-do, and then freeze-dried to remove moisture. Each part of the water-removed Hwangchu-myeon was crushed and homogenized. Then, 100 g of distilled water as an extraction solvent was added to 5 g of the powder of the Hwachunil leaf and stirred for 4 hours at 120 ° C. After the extraction for 4 hours, the mixture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Watts 41), and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dried at -40 ° C for 48 hours using a freeze dryer. Through this process, 0.435 g of a water extract of Hwangchujang was obtained.

황칠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The fractions of Hwangchu - wood extracts were prepared as follows.

우선, 상기 황칠나무 물 추출물 200g에 증류수와 헥산(hexane)을 1:1 로 첨가한 후,물층과 헥산층으로 분리되면 헥산층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분획하였다. 상기 헥산층을 분리한 물층에 다시 물과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1:1로 첨가하여, 상기와 같이 클로로포름층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분획하였다.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한 물층에 다시 물과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를 1:1로 첨가하여, 상기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분획하였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한 물층에 다시 물과 부탄올(buthanol)을 1:1 첨가하여, 상기와 같이 부탄올 층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최종적으로 부탄올층을 분획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각 분획을 증발시켜 농축시킴으로써,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의 헥산 분획, 클로로포름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 및 물 분획을 각각 0.72g, 1.9g, 3.4g, 8.6g 및 116.62g 수득하였다.
First, distilled water and hexane were added at a ratio of 1: 1 to 200 g of the water extract of Hwigae-myeon, and then the fraction was separated into a water layer and a hexane layer to obtain a hexane layer. The hexane layer was separated, and water and chloroform were further added thereto at a ratio of 1: 1. The chloroform layer was fractionated as described above. The chloroform layer was separated, and water and ethylacetate were added thereto at a ratio of 1: 1. The ethyl acetate layer was fractionated as described above. The butanol layer was finally fractionated by adding water and buthanol 1: 1 again to the water layer from which the ethyl acetate layer was separated, and obtaining a butanol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fractions obtained above were evaporated and concentrated to obtain 0.72 g, 1.9 g, 3.4 g, 8.6 g and 116.62 g of hexane fraction, chloroform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and water fraction, respectively, .

< 실시예2 >실험동물을 이용한 황칠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불면증 개선 효과 확인 < Example 2 > Examination of Insomnia Improvement Effect of Extracts and Fractions of Hwangchulchu

2-1. 실험의 준비 및 방법2-1. Preparation and method of experiment

황칠나무 추출물의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로 ICR mouse 계통의 31.11 ± 1.08 g 정도의 수컷을 샘타코에서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각 실험군별로 5마리씩 총 70마리를 구입하여, 사육하였다. 실험 전까지 식이는 일반 실험동물용 사료 및 음수는 임의대로 섭취가 가능하도록 제공하였고, 22 내지 24℃의 온도와 60 내지 80% 습도 환경을 유지하였으며, 실험 1주일 전에 낮과 밤의 사이클을 12시간 간격으로 설정하여 사육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treatment or improvement effect of insomnia extract of Hwacheonchung extract, 31.11 ± 1.08 g male of ICR mouse line was purchased from Samtako as an experimental animal. A total of 70 animals were purchased for each experimental group. The animals were kept at 22 to 24 ° C and 60 to 80% humidity, and the day and night cycles were performed for 12 hours And were kept at intervals.

대조군은 음성대조군으로 상기 실험동물에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 하였고, 양성대조군은 항불안제인 다이아제팜(diazepam, DZP, Sigma)을 1mg/kg of body weight(BW) 경구투여하였으며, 실험군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10mg/kg of BW, 50mg/kg of BW, 100mg/kg of BW, 300mg/kg of BW, 500 mg/kg of BW)로 경구투여하거나,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의 분획물, 구체적으로 헥산분획, 클로로포름 분획, 에틸아세테이트분획, 부탄올 분획 및 물 분획을 100 mg/kg of BW씩 경구투여하였다.
In the control group, physiological saline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animals as the negative control group, and diazepam (DZP, Sigma), which is an anxiolytic antibiotic, was orally administered at 1 mg / kg body weight (BW) (10 mg / kg of BW, 50 mg / kg of BW, 100 mg / kg of BW, 300 mg / kg of BW, and 500 mg / kg of BW) Fractions of leaf hot water extract, specifically, hexane fraction, chloroform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and water fraction were orally administered at a dose of 100 mg / kg of BW.

2-2. 황칠나무 추출물의 불면증 개선 효과 확인2-2. Identification of insomnia improvement effect of Hwangchil tree extract

상기 각각의 시약을 경구투여하고, 1시간이 경과한 후, 수면제인 펜토바비탈(Sodium pentobarbital, SP)을 각 실험동물에게 40mg/kg of BW 씩 복강투여(intraperitoneal injection, IP)한 후, 잠이 들 때까지 걸린 시간 즉, 수면유도시간(Sleep latency)과 잠이 든 시간 즉, 수면지속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의 평균값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면유도시간은 상기 수면제인 펜토바비탈을 복강주사한 후 정반사(righting reflex)를 1분 이상 상실할 때까지의 경과시간으로 설정하였고, 수면시간은 다시 정반사를 회복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설정하였다.Each of the above reagents was orally administered. After 1 hour, sodium pentobarbital (SP), which is a sleeping agent,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into each experimental animal at a dose of 40 mg / kg of BW, The sleep latency and the sleep duration, that is, the sleep duration, were measured. The average values of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 and 2. FIG. The sleep induction time was set as the elapsed time until the righting reflex was lost for 1 minute or more after peritoneal injection of pentobarbital, which is the sleeping agent, and the sleeping time was set to the time until the specular recovery was restored again Respectively.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면유도시간의 경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개선되는 즉, 수면유도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확인되었고, 황칠나무 추출물 500mg/kg of BW을 투여한 경우에는 화합물로 정제된 신경안정제에 해당하는 다이아제팜(diazepam)을 투여한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시간만이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면지속시간의 경우에도 황칠나무 열수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수면지속시간이 증가되었으며, 황칠나무 추출물 500mg/kg of BW을 투여한 경우에는 화합물 신경안정제인 다이아제팜(diazepam)을 투여한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시간이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황칠나무 추출물이 불면증의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in the case of the induction time of the wa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uction time of the water was improv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extract was giv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kg of BW, it was found that it takes only a time similar to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diazepam, which is a compound-refined nystagmus. In the case of sleep duration, In all cases, the sleep duration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500 mg / kg of BW extract, the duration of sleep was similar to that of the diazepam-treated positive control group , And Hwangchilchae extract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r amelioration of insomnia.

2-3. 황칠나무 2-3. Woodwort 분획물의Fraction 불면증 개선 효과 확인 Check the effect of improving insomnia

상기 실시예 2-1 및 2-2와 같이, 황칠나무 분획물 시약을 각각 경구투여하고, 1시간이 경과한 후, 수면제인 펜토바비탈(Sodium pentobarbital, SP)를 복강투여하고, 수면유도시간(Sleep latency) 및 수면지속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여, 그 결과의 평균값을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Sodium pentobarbital (SP), a hypotensive agent,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for 1 hour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each of the fractions of Wuchulia chinensis as in Examples 2-1 and 2-2, Sleep latency and Sleep duration were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sults was shown in FIG. 3 and FIG.

상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면유도시간의 경우, 황칠나무 분획물이 전반적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부탄올 층이 수면유도시간이 가장 짧으며, 클로로포름 층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면지속시간의 경우에도 황칠나무 분획물을 투여한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수면지속시간이 증가되었으며, 물 분획을 제외한 다른 분획에서는 양성대조군 보다도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클로로포름 분획과 헥산 분획에서 양성대조군의 200%에 해당하는 현저히 개선된 효과가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부탄올 층이 수면유도시간 감소 효과가 가장 뛰어나며, 클로로포름 분획이 수면지속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case of the induction time of the wa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fractions of Wuchulia chinensis were general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articularly, the butanol layer has the shortest induction time of the water and the chloroform layer . In addition, in the case of sleeping time, the duration of sleeping was increased in both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other fractions except the water f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raction was improved more than the positive control group. Particularly, the chloroform fraction and the hexane fraction showed a remarkably improved effect equivalent to 200% of the positive control.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butanol layer has the best effect of reducing the induction time of the water, and the chloroform fraction has the best effect of increasing the sleeping time.

[[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1.  One. 산제의Sanje 제조 Produce

황칠나무 잎 추출물 200 mgUchihaku leaf extract 200 mg

유당 100 mgLactose 100 mg

탈크 10 mgTalc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충진하여산제를제조할 수 한다.
The above ingredients can be mixed and filled into an airtight can to produce powders.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2. 정제의 제조 2. Preparation of tablets

황칠나무 잎 추출물 200 mgUchihaku leaf extract 200 mg

옥수수전분 100 mgCorn starch 100 mg

유당 100 mgLactose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Magnesium stearate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tablets a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the usual preparation method of tablets.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3. 캅셀제의 제조 3. Preparation of capsules

황칠나무 잎 추출물 200 mgUchihaku leaf extract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Crystalline cellulose 3 mg

락토오스 14.8 mgLactose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Magnesium stearate 0.2 mg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capsule, and filled in a gelatin capsule to prepare a capsule.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4. 주사제의 제조 4. Preparation of injections

황칠나무 잎 추출물 200 mgUchihaku leaf extract 200 mg

만니톨 180 mg180 mg mannitol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Sterile sterilized water for injection 2974 mg

Na2HPO4 ,12H2O 26 mgNa 2 HPO 4 , 12H 2 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2 ml) per ampoule in accordance with the usual injection method.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5.  5. 액제의Liquid 제조 Produce

황칠나무 잎 추출물 200 mgUchihaku leaf extract 200 mg

이성화당 10 g10 g per isomer

만니톨 5 g5 g mannitol

정제수 적량Purified water quantity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Each component was added and dissolved in purified water according to the usual liquid preparation method, and the lemon flavor was added in an appropriate amount. Then, the above components were mixed, and purified water was added thereto. The whole was added with purified water to adjust the total volume to 100 ml, And sterilized to prepare a liquid preparation.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6. 건강 식품의 제조 6. Manufacture of health food

황칠나무 잎 추출물 1000 mgWildflower leaf extract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Vitamin mixture quantity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70 [mu] g of vitamin A acetate

비타민 E 1.0 ㎎Vitamin E 1.0 mg

비타민 B1 0.13 ㎎0.13 mg vitamin B1

비타민 B2 0.15 ㎎0.15 mg of vitamin B2

비타민 B6 0.5 ㎎0.5 mg vitamin B6

비타민 B12 0.2 ㎍0.2 [mu] g vitamin B12

비타민 C 10 ㎎10 mg vitamin C

비오틴 10 ㎍Biotin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Nicotinic acid amide 1.7 mg

엽산 50 ㎍50 ㎍ of folic acid

판토텐산 칼슘 0.5 ㎎Calcium pantothenate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Mineral mixture quantity

황산제1철 1.75 ㎎1.75 mg of ferrous sulfate

산화아연 0.82 ㎎0.82 mg of zinc oxide

탄산마그네슘 25.3 ㎎Magnesium carbonate 25.3 mg

제1인산칼륨 15 ㎎15 mg of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제2인산칼슘 55 ㎎Secondary calcium phosphate 55 mg

구연산칼륨 90 ㎎Potassium citrate 90 mg

탄산칼슘 100 ㎎100 mg of calcium carbonate

염화마그네슘 24.8 ㎎
24.8 mg of magnesium chloride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할 수 있고,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ture is comparatively mixed with a suitable ingredient for the health food,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modify the blending ratio of the vitamin and mineral mixture, and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ccording to a general health food manufacturing method, Granules can be prepared and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health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7. 건강 음료의 제조 7. Manufacture of health drinks

황칠나무 잎 추출물 1000 mgWildflower leaf extract 1000 mg

구연산 1000 ㎎Citric acid 1000 mg

올리고당 100 g100 g of oligosaccharide

황칠나무농축액 2 gYellow peppercorn extract 2 g

타우린 1 gTaurine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Purified water was added to a total of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The above components we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ealth drink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nd heated at 85 캜 for about 1 hour. The resulting solution was filtered to obtain a sterilized 2-liter container, sealed sterilized, Used in the manufacture of health beverage compositions.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 할 수 있다.
Although the composition ratio is relatively mixed with a component suitable for a favorite beverage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blending ratio can be arbitrarily varied according to the regional and national preference such as demand level, demand country, use purpose, and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Claims (5)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insomnia comprising an extract of Aspergillus oryzae as an active ingred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인 불면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a mixture thereof, and the extract is extracted with an extraction solvent.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개선 또는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A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insomnia, comprising an extract of Aspergillus oryzae as an active ingredi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인 불면증 개선 또는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xtrac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a mixture thereof, is extracted with an extraction solvent.
제3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A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composition of claim 3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40137942A 2014-10-13 2014-10-13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 KR201500054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942A KR20150005482A (en) 2014-10-13 2014-10-13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942A KR20150005482A (en) 2014-10-13 2014-10-13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316A Division KR101468551B1 (en) 2013-07-05 2013-07-05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82A true KR20150005482A (en) 2015-01-14

Family

ID=5247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7942A KR20150005482A (en) 2014-10-13 2014-10-13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48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239A (en) * 2017-12-28 2019-07-08 제주파나텍 (주) Composition for Improving Sleep Disorders containing Fermentated Dendropanax morbifera and L-Serine
KR102489829B1 (en) * 2022-03-29 2023-01-18 조용국 Composition for sleeping induction comprising extracts of heukharang lettu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239A (en) * 2017-12-28 2019-07-08 제주파나텍 (주) Composition for Improving Sleep Disorders containing Fermentated Dendropanax morbifera and L-Serine
KR102489829B1 (en) * 2022-03-29 2023-01-18 조용국 Composition for sleeping induction comprising extracts of heukharang lettu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307B1 (en) Composition having sleep-improving effect comprising an extract of herbal combination, and uses thereof
KR101468551B1 (en)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
US20140248383A1 (en) Sleep quality improving agent
US20150147418A1 (en) Sleep quality improving agent
KR101427784B1 (en) An anti-diabetes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Radix and mulberry tree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s
KR101690175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somnia comprising Angelica tenuissima extract
KR102287719B1 (en) Composition for inducing and improving sleep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Magnoliae flos
KR101549746B1 (en) Composition comprising solvent fractionated extracts of Zingiber officinale, which are useful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and motility disorders
KR102262752B1 (en)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containing Curcuma longa extract
KR101775087B1 (en)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tress or depression containing mulberrofuran G, sanggenon G and sanggenol A
KR101228920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of a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testinal function disorder
KR20150005482A (en)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the improvement and remedial of insominia
KR10150839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runella vulgaris L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chizophrenia and amnesia
KR101910013B1 (en)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of pain comprising herb extract
KR101536974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diabetes comprising extracts of Momordica charantia, Corni fructus, Schizandra chinensis and Jujube
KR101778227B1 (en)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extract of Morus alba as effective component
KR102416786B1 (en) Composition for improvementing,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fractions or extract of pepper leave
KR102262763B1 (en)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containing Curcuma longa complex extracts
KR10117144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runella vulgaris L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DHD
KR20150087728A (en) Composition containing Artemisia annua extract, artemisinin or dihydroartemisini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KR20160059152A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irsium japonicum leaf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KR102262759B1 (en) A composition for reducing side effects of GABAA receptor agonist, comprising phloroglucinol as an effective ingredient
KR102501557B1 (en)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or insomnia with reduced side effects of GABAA receptor agonist, containing Glehnia littoralis extract
KR102411428B1 (en) Composition for improvementing,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fractions or extract of molokhia leave
KR102542119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airway diseases caused fine dust comprising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