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301A -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301A
KR20150002301A KR20130075963A KR20130075963A KR20150002301A KR 20150002301 A KR20150002301 A KR 20150002301A KR 20130075963 A KR20130075963 A KR 20130075963A KR 20130075963 A KR20130075963 A KR 20130075963A KR 20150002301 A KR20150002301 A KR 2015000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boot
information
imag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수
성영아
장세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301A/ko
Priority to US14/317,784 priority patent/US9928078B2/en
Publication of KR2015000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 G06F9/24Loading of the micro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3Processor initi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제조회사 또는 통신서비스 업체의 로고 등의 고정 정보 대신, 전자장치의 동작 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수집되는 특정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기다려야 지루함을 없앰과 함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개시된다.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은,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로부터 모니터링되어 수집되는 특정정보를 정보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부팅 시 특정정보가 저장된 정보파일을 실행하여 특정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제조회사 또는 통신서비스 업체의 로고 등의 고정 정보 대신, 전자장치의 동작 시 모니터링되어 수집되는 특정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한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전원 스위치를 온 시킨 후 수행되는 부팅 시 플레쉬 메모리에 저장된 운영체제와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부팅 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아져서 부팅 시간이 상응하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경우, 전원 스위치를 누른 후 부팅이 완료되어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초기 화면이 표시될 때까지 대략 5초 내외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 스위치를 누른 후 초기 화면이 표시될 때까지 스마트폰이 정상적으로 부팅되는 지를 알지 못하고 지루하게 기다려야 한다.
최근, 스마트폰은 부팅 시 제조회사나 통신서비스 업체의 로고나 부팅이 진행 중임을 표시하는 정비공 이미지 등의 그래픽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래픽 영상은 부팅될 때 마다 변화없이 동일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부팅이 완료될 때 까지 얼마나 기다려야할 지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지루함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었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을 누른 후 휴대 단말기가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될 때 까지 사용자가 얼마나 기다려야할 지를 예측할 수 있고 부팅시간을 기다려야하는 지루함을 없앨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부팅을 시작한 후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완료될 때 까지 제조회사 또는 통신서비스 업체의 로고 등의 고정 정보 대신, 전자장치의 동작 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수집되는 특정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다려야 지루함을 없앰과 함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부팅을 시작한 후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완료될 때 까지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표시하는 경과안내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얼마나 기다려야할 지를 예측할 수 있게 한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상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은,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로부터 모니터링되어 수집되는 특정정보를 정보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부팅 시 특정정보가 저장된 정보파일을 실행하여 특정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정보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사용자 일정, 사진 보기, 조깅 이력, 장치사용 정보, 사이트 방문 기록, 및/또는 메시지 사용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단계는, 수집할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와;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단계는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할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은 독립된 부트영상 수집 어플리케이션, 또는 백그라운드 서비스의 설정 메뉴에 포함된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일 수 있다.
수집 단계는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할 아이템이 선택될 때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집 단계는 수집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할 때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로 가공하거나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는 텍스트 이미지 형태 또는 동영상 형태일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수집된 데이터가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할 때 수집된 데이터를 실행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이미지는 수집된 데이터와 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실행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는 실행 이미지를, 부팅 코드에 기록된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에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각각의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들은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 한 곳에 통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행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파일명을 생성하는 단계와, 실행 이미지를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저장하는 단계와, 생성된 정보파일명이, 부팅 코드에 기록된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에 포함되도록 부팅 코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정보파일명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생성되고,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들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전자장치가 처음 동작할 경우나 전자장치가 재동작하더라도 부팅 시 표시할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부팅 시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은 부팅 시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전자장치가 처음 동작할 때나 전자장치가 재동작하더라도 부팅 시 표시할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때 부팅 시 저장된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은 부팅 시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는 전자장치의 화면에 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은, 복수의 광고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와;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분석하여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중에서 선택하는 단계와; 부팅 시 선택된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상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부팅 코드와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특정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특정정보를 정보파일에 저장하고, 부팅 시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특정정보가 저장된 정보파일을 실행하여 특정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정보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사용자 일정, 사진 보기, 조깅 이력, 장치사용 정보, 사이트 방문 기록, 및/또는 메시지 사용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집할 아이템이 선택될 때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실행 이미지로 저장하고, 부팅 시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실행 이미지를 실행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은 독립된 부트영상 수집 어플리케이션, 백그라운드 서비스의 설정 메뉴에 포함된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실행 이미지는 저장된 데이터와 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집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할 때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로 가공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는 텍스트 이미지 형태 또는 동영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수집된 데이터가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할 때 수집된 데이터를 실행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실행 이미지를, 부팅 코드에 기록된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에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각각의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들은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 한 곳에 통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파일명을 생성하고, 실행 이미지를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저장하고, 생성된 정보파일명이 부팅 코드에 기록된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에 포함하도록 부팅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정보파일명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생성되고,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들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전자장치가 처음 동작할 경우나 전자장치가 재동작하더라도 부팅 시 표시할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부팅 시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기 위해, 제어부는 부팅 시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더 저장하고, 전자장치가 처음 동작할 때나 전자장치가 재동작하더라도 부팅 시 표시할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때 부팅 시 저장된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는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는 전자장치의 화면에 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광고를 미리 저장하고,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분석하여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중에서 선택하고, 부팅 시 선택된 광고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상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과; 외부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부와; 부팅 코드와 휴대 단말기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특정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특정정보를 정보파일에 저장하고, 부팅 시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특정정보가 저장된 정보파일을 실행하여 특정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정보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사용자 일정, 장치사용 내역, 조깅 이력, 사진 보기, 사이트 방문 기록, 및/또는 메시지 사용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는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광고를 미리 저장하고, 휴대 단말기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분석하여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중에서 선택하고, 부팅 시 선택된 광고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을 적용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부팅 시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부팅 시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부팅 시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정보 설정 시 선택된 아이템이 사용자 일정일 경우 부팅시 표시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부팅 시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정보 설정 시 선택된 아이템이 사진 보기일 경우 부팅시 표시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부팅 시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정보 설정 시 선택된 아이템이 조깅 이력일 경우 부팅시 표시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부팅 시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정보 설정 시 선택된 아이템이 조깅 이력일 경우 부팅시 표시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부팅 시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정보 설정 시 선택된 아이템이 단말기 사용정보일 경우 부팅시 표시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 및 도 9a/도 9b는 도 2a 내지 도 2c과 도 3a 내지 도 3d 에 각각 도시된 부팅 시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안내정보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챠드, 및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에 부가되는 광고 표시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 예컨대,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및 핸드헬드(hand-held) PC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스마트 폰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을 적용한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터치 스크린(120), 키입력부(125) 제1 저장부(130), 제2 저장부(140), 무선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센서부(170), 카메라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중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받은 다양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컨대,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인터넷 화면, 키패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제어부(19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되는 영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0)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스크린(12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제어부(190)는 이러한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은 터치(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및 스윕(Sweep)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즉, 드롭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번 탭하는 조작이며, 프레스는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스윕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조작을 의미한다. 여기서, 드래그는 스크롤이라고도 하며 스윕은 플릭(Flick)이라고도 한다. 제어부(190)는 이동 속도로 스윕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20)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입력부(125)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 또는 전면 하측에는 휴대 단말기 온/오프, 볼륨 조절, 화면 온/오프 등을 위한 사이드 키들이 형성된다. 제어부(19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제1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코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데이터를 보존하도록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레쉬 메모리로 구성되고, 크게 부팅 코드 영역(131), 프로그램 영역(133), 및 데이터 영역(137)을 포함할 수 있다.
부팅 코드 영역(131)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을 위한 부팅 코드를 저장한다.
프로그램 영역(133)은 제1 부분(133a)과 제2 부분(133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부분(133a)은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필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고, 제2 부분(133b)은 응용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필수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데이터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접촉/모션 모듈(Contact/Motion module), 그래픽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그래픽 모듈(Graphics module), 텍스트 입력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모듈(Text input module), GPS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GPS 모듈 등을 포함하고,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통화 기능의 지원을 위한 텔레폰 모듈, 영상회의를 지원하기 위한 영상회의 모듈(Video conference module), E-mail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E-mail 크라이언트 모듈(E-mail client module),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징 모듈,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을 위한 인스턴트 메시징 모듈, 카메라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블로깅(Blogging)을 위한 블로깅 모듈,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영상플레이어 모듈, 영상관리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영상관리 모듈,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뮤직플레이어 모듈,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포토 뷰어 모듈(Photo viewer module),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 플레이어모듈(Video player module), 게임을 위한 게임 모듈, 일정관리를 위한 일정관리 모듈(Calendar module), 위젯 기능을 지원하기 위젯 모듈, 위젯 생성을 위한 위젯 클리에이터 모듈(Widget creator module), 인터넷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서치모듈(Search modu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부분(133a)에는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하는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134)과 제1 내지 제3 실행 이미지(136, 138)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데이터 영역(137)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기를 희망하는 정보(이하, 특정정보라 함)와 관련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제1 실행 이미지(136)로 저장하도록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134)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부팅 시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와 관련된 특정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도록 제1 실행 이미지(136)를 실행한다.
여기서,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134)은 부트영상 수집 어플리케이션(13, 도 2b참조), 백그라운드 서비스의 설정 메뉴에 포함된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19, 도 3c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행 이미지(136)는 특정정보와 관련된 저장 데이터와 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있는 표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137)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제어부(190)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영역(137)은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10)에 관하여 상술한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들 화면 중 키패드 화면 및 메뉴 화면은 각각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키패드 화면은 3*4 또는 쿼티(QWERTY)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은 화면 전환을 위한 화면 전환키(예컨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리턴(return) 키 등),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부(140)는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써, 부트 코드 또는 명령 코드들과 운영체제(OS)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로드하고,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제2 메모리(140)는 제1 메모리(130) 보다 액세스 속도가 빠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제2 메모리(160)는 SDRAM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외부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9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 통신부(16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제1 저장부(130)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센서부(170)는 근접센서(171)와 가속도 센서(176)를 포함한다. 근접센서(171)는 스피커(SPK)주변에 배치되어 스피커(SPK)를 사람의 귀 등의 물체에 근접시켰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90)로 물체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90)는 근접센서(171)로부터 전송되는 물체 감지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가 물체에 근접할 때, 터치스크린(120)과 디스플레이부(11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물체로부터 떨어졌을 때 터치스크린(120)과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원을 공급시킨다. 그 결과, 휴대 단말기(100)가 물체에 근접했을 때 터치스크린(120)과 디스플레이부(110)가 동작함에 따른 바테리부(195)의 전원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175)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이동시키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190)로 이동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90)는 이에 대응하여 화면을 이동(스크롤링)하면서 영상을 표시한다.
카메라부(180)는 광신호를 비디오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이렇게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중앙 처리장치로서, 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 비교 등의 처리를 제어하고, 다양한 입력장치로부터 자료를 받아서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일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적용되는 운영체제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메뉴 구성 정보를 제1 저장부(130)로부터 제2 저장부 (140)로 읽어와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무선 통신부(150를 통한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배터리부(195)에서 내부 구성요소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과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부(110), 터치 스크린(120), 키입력부(125) 무선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센서부(170), 카메라부(180) 등의 주변장치와 컨트롤러 및/또는 프로세서를 간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제어부(190)에 의해 발생되어 제1 저장부(130)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특정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특정정보를 정보파일에 저장하고, 부팅 시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특정정보가 저장된 정보파일을 실행하여 특정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다음의 방법으로 터치 스크린(125)을 통한 터치 조작을 통해 제어부(190)가 부팅 시 표시되는 특정정보를 수집하도록 설정한다.
즉,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저장부(130)의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제2 저장부(140)로 로드 및 실행되어 홈 화면(10)에서 하부에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 또는 '앱 리스트' 아이콘(11)을 선택하고, 이어서 나타나는 '메뉴' 화면(12)에서 부트영상 수집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13)을 선택하면, '부트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4)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아이템들이 리스트된 아이템 설정화면(15)이 표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아이템 설정화면(15)에 리스트된 아이템들 중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시 휴대 단말기(100)가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될 때 까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기를 희망하는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선택한다. 여기서, 아이템은 사용자 일정, 사진 보기, 조깅 이력, 단말기 사용 내역, 사이트 방문 기록, 및/또는 메시지 사용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부(190)가 부팅 시 표시되는 특정정보를 수집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다음의 방법으로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홈 화면(10)에서 하부에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 또는 '앱 리스트' 아이콘(11)을 선택하고, 이어서 나타나는 '메뉴' 화면(12)에서 '설정' 아이콘(17)을 선택하면, '설정' 메뉴의 실행 화면(18)에는 부트영상 수집프로그램(19)을 포함하는 설정 프로그램들이 표시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실행 화면(18)에서 부트영상 수집프로그램(19)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아이템들이 리스트된 아이템 설정화면(15')이 표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아이템 설정화면(15')에 리스트된 아이템들 중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기를 희망하는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부트영상 수집 어플리케이션(13) 또는 부트영상 수집프로그램(19)의 아이템 설정화면(15, 또는 15')에서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사용에 따라 제어부(190)에 의해 발생되어 제1 저장부(130)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수집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일정 시간주기, 예컨대, 분, 시간, 일간, 주간 등 다양한 단위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할 수 있다.
그 후, 데이터 영역(137)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면, 제어부(190)는 수집된 데이터가 선택된 아이템의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저장조건은 단말기 제조 시 미리 설정되거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아이템 설정화면(15, 또는 15')에서 아이템을 선택할 때 아이템별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대표적인 아이템들에 대한 저장조건은 다음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아이템 저장조건 비고
사용자 일정 현재 시점에서 5일 이후까지 스케줄된 일정이 1 건 이상 있을 때
사진보기 최근 5일 이내에 찍은 사진 또는 동영상이 1장 이상이 있을 때
조깅이력 최근 5일 이내에 달린 거리가 500m이상 또는 달린시간이 10분 이상일 때
단말기 사용정보 최근 5일 이내에 어플리케이션 사용 1회 이상, 통화 1회 이상, 또는 메모리 사용 100 Kbyte 이상 일 때
사이트 방문기록 최근 5일 이내에 사이트 방문 5회 이상일 때
메시지 사용 내역 최근 5일 이내에 메시지 수신 및/또는 발신 5회 이상일 때
수집된 데이터가 선택된 아이템의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190)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로 가공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는 텍스트 이미지 형태 또는 동영상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일정'의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일정건에 대해 일자와 내용을 표시한 화면을 슬라이드 형태로 표시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와 내용을 한 화면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도록 편집 또는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사진 보기'의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진을 슬라이드형태로 표시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진이 다른 사진 위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지는 식으로 동적으로 표시하도록 편집 또는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조깅 이력'의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별로 달린 루트, 달린거리, 달린시간, 및 소비된 칼로리를 표시한 화면을 슬라이드형태로 표시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화면에서 달린 거리와 시간 그래프가 달린 일자에 따라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됨과 함께 총 달린 거리와 달린 시간도 그에 따라 변화되어 표시하도록 편집 또는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정보'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많이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가장 많이 통화한 사람, 메모리 사용량과 일자 사이의 그래프 등을 슬라이드 형태로 표시하도록 편집 또는 가공될 수 있다.
사이트 방문 기록, 메시지 사용 내역 등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편집 또는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선택된 아이템의 각각의 데이터가 부팅 시 표시되는 시간이 일정시간 범위내에 있도록 수집된 데이터를 편집 또는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100)가 부팅을 시작한 후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완료될 때 까지 대략 5초의 시간이 소요됨을 감안 선택된 아이템의 전체 표시시간이 5초를 넘지않도록 각 아이템의 표시시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택된 아이템에 관해 수집된 데이터가 별도의 가공 또는 편집없이 표시프로그램에 의해 바로 표시될 수 있는 경우에는 수집된 데이터를 편집 또는 가공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후, 제어부(190)는 수집된 데이터를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 제1 실행 이미지(136)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행 이미지(136)는 수집된 데이터와 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표시 프로그램은 이미지를 슬라이드 형태 또는 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범용 표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5)는 제1 실행 이미지(136)를, 부팅 코드에 기록된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예컨대, "run bootimage.image" )에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bootimage.image)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각각의 아이템에 대한 제1 실행 이미지들은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bootimage.image) 한 곳에 통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95)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제1 실행 이미지(136)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파일명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제1 실행 이미지(136)를 저장하고, 부팅 코드에 기록된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에 생성된 정보파일명이 포함되도록 부팅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된 아이템이 '사용자 일정'일 경우, 제어부(190)는 정보파일명을 calendar.image로 생성하고, '사용자 일정'에 대한 제1 실행 이미지(136)를 생성된 정보파일명(calendar.image)에 저장하고,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run calendar.image"가 포함되도록 부팅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정보파일명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생성되고,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제1 실행 이미지들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도 별도로 생성된 정보파일명들을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제1 실행 이미지(136)가 저장된 후, 휴대 단말기(100)가 바테리 교체 등의 이유 때문에 전원이 오프 된 후 다시 온 되거나 리셋될 경우, 제어부(195)는 부팅 시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실행 이미지(136)를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으로부터 제2 저장부(140)로 읽어온 다음 제1 실행 이미지(136)를 실행하여 표시 프로그램을 통해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관련된 특정정보를 위에서 도 4a 내지 도 7과 설명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미지 형태 또는 동영상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가 부팅될 때 자신이 선택한 아이템과 관련된 새로운 특정정보를 동적으로 변화되는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가 부팅을 시작한 후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완료될 때 까지 부팅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지루함이 없어지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어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경험이 증진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처음 동작할 경우나 휴대 단말기(100)가 재동작하더라도 부팅 시 표시할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부팅 시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기 위해, 제어부(190)는 부팅 시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90)는 부팅 시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특정정보를 위한 제1 실행 이미지(136)와 마찬가지로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 제2 실행 이미지(예컨대, guideinformation.image)(138)로 미리 저장한다. 안내정보는 도 8 또는 도 9a/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c와 도 3a 내지 도 3d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어부(190)가 부팅 시 표시되는 특정정보를 수집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한편, 부팅 코드는 휴대 단말기(100)가 처음 동작할 때나 휴대 단말기(100)가 재동작하더라도 부팅 시 표시할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때 안내정보의 제2 실행 이미지(138)를 실행하는 실행 명령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가 처음 동작할 때나 휴대 단말기(100)가 재동작하더라도 부팅 시 표시할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때 부팅 시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실행 이미지(138)를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으로부터 제2 저장부(140)로 읽어온 다음 제2 실행 이미지(138)를 실행하여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90)는 부팅 시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는 부팅 시 제어부(190)에 의해 실행되는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표시하는 진행경과 표시프로그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이때,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는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의 하부에 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부트 코드는 부팅 시 제어부(190)가 진행경과 표시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도록 하는 실행 명령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부팅 시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가 디스플레이부(110)에 더 표시될 경우, 사용자는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표시하는 바 형태의 표식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가 부팅을 시작한 후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완료될 때 까지 얼마나 기다려야하는 지를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 제조회사 또는 통신 서비스 업체의 스폰서와의 제휴에 의해 부팅시 광고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는 부팅 시 제어부(19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광고가 제3 실행 이미지(도시하지 않음)로 미리 저장된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시 제어부(19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광고선택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시 광고선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일정 시간 주기로 분석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중에서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선택하고, 부팅 시 제어부(190)가 선택된 광고의 실행 이미지를 실행하도록 부트 코드를 변경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코드는 부팅 시 제어부(190)가 선택된 광고의 제3 실행 이미지를 실행하여 선택된 광고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도록 하는 실행 명령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토대로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시 제공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빈번하게 인터넷으로 검색한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접하게 됨으로써 다른 일반적인 광고보다 더 친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134)과 제1 내지 제3 실행 이미지(136, 138)가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 저장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134)과 제1 내지 제3 실행 이미지(136, 138)는 설계에 따라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2 부분(133b)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시 정보 표시 방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중에 터치 스크린(120)을 통한 터치 조작을 통해 제어부(190)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특정정보를 수집하도록 설정한다(S1). 이때, 사용자는 위에서 도 2a 내지 도 2c와 관련하여 설명한 방법과 도 3a 내지 도 3d와 관련하여 설명한 방법 중에서 하나를 사용하여 부팅 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기를 원하는 특정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예컨대, '사용자 일정'을 선택한다.
특정정보와 관련된 아이템, 즉, '사용자 일정'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사용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되어 제1 저장부(130)의 데이터 영역(137)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일정'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주기, 예컨대, 2시간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한다(S2).
그 후, 제어부(190)는 수집된 데이터가 선택된 '사용자 일정'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하는 지, 예컨대, 현재 시점에서 5일 이후까지 스케줄된 일정이 1 건 이상 있는 지를 판단하고, 만족할 경우 수집된 데이터를 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프로그램과 함께 제1 실행 이미지(136)로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 저장한다(S3).
이때, 제어부(190)는 수집된 데이터가 표시프로그램으로 바로 표시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일정'에 대해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로 가공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일정 건에 대해 일자와 내용을 표시한 화면을 슬라이드 형태로 표시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와 내용을 한 화면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도록 편집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실행 이미지(136)를, 부팅 코드에 기록된 '사용자 일정' 관련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예컨대, "run bootimage.image" )에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bootimage.image)으로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90)는 정보파일명을 calendar.image로 생성하고, '사용자 일정'에 대한 제1 실행 이미지를 생성된 정보파일명(calendar.image)에 저장하고,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run calendar.image"가 포함되도록 부팅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일정'에 대한 제1 실행 이미지(136)가 저장된 후, 휴대 단말기(100)가 바테리 교체 등의 이유 때문에 전원이 오프된 후 다시 온되거나 리셋되어 부팅될 때, 제어부(190)는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사용자 일정'에 대한 제1 실행 이미지(136)를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으로부터 제2 저장부(140)로 읽어온 다음 제1 실행 이미지(136)를 실행하여 표시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일정'와 관련된 특정정보를 위에서 도 4a 및 도 4b와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형태 또는 텍스트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다(S4).
이때, 특정정보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중에 휴대 단말기(100)가 부팅을 완료하여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특정정보의 표시를 종료하고 홈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가 출고후 처음 동작할 경우나 휴대 단말기(100)가 재동작하더라도 부팅 시 표시할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190)는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 미리 저장된 제2 실행 이미지(138)를 실행하여 도 8 또는 도 9a/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S4)에서, 제어부(190)는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 미리 저장된 진행 경과표시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부팅 시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는 전자장치의 화면의 하부에 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시 정보 표시 방법은 부팅 시 광고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부팅 시 광고를 더 표시하는 방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복수의 광고가 제1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133)의 제1 부분(133a)에 제3 실행이미지로 미리 저장된다(S10).
이어서,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시 발생되어 제1 저장부(130)의 데이터 영역(137)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일정 시간 주기로 분석하여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중에서 선택하고, 이와 함께 부팅 시 제어부(190)가 선택된 광고의 실행 이미지를 실행하도록 부트 코드를 변경 또는 갱신한다(S20).
이후, 휴대 단말기(100)가 바테리 교체 등의 이유 때문에 전원이 오프된 후 다시 온되거나 리셋되어 부팅될 때, 제어부(190)는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제3 실행이미지를 실행하여 선택된 광고를 더 표시한다(S3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100)에 따르면, 부팅을 시작한 후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완료될 때 까지 제조회사 또는 통신서비스 업체의 로고 등의 고정 정보 대신,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수집되는 특정정보를 동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다려야 지루함을 없앰과 함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100)가 부팅을 시작한 후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완료될 때 까지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표시하는 경과안내 정보를 더 표시할 경우 사용자가 정상적인 사용준비가 완료될 때 까지 얼마나 기다려야하는 지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제조회사 또는 통신 서비스 업체의 스폰서와 제휴에 의해 복수의 광고를 미리 저장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분석하여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중에서 선택하고, 부팅 시 선택된 광고를 더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경우, 사용자 맞춤형으로 광고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휴대 단말기 110: 디스플레이부
120: 터치스크린 130: 제1 저장부
131: 부트코드 영역 133: 프로그램 영역
134: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 136: 제1 실행 이미지
137: 데이터 영역 138: 제2 실행 이미지
190: 제어부

Claims (41)

  1.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로부터 모니터링되어 수집되는 특정정보를 정보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부팅 시 상기 특정정보가 저장된 상기 정보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특정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정보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사용자 일정, 사진 보기, 조깅 이력, 장치사용 정보, 사이트 방문 기록, 및 메시지 사용 내역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수집할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수집할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은 독립된 부트영상 수집 어플리케이션 또는 백그라운드 서비스의 설정 메뉴에 포함된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단계는 상기 특정정보 수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수집할 아이템이 선택될 때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단계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로 가공하거나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는 텍스트 이미지 형태 또는 동영상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할 때 수집된 데이터를 실행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이미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와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이미지를, 부팅 코드에 기록된 상기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에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각각의 상기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들은 상기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 한 곳에 통합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상기 실행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파일명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 이미지를 상기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정보파일명이, 부팅 코드에 기록된 상기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에 포함되도록 상기 부팅 코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정보파일명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생성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들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시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가 처음 동작할 때나 상기 전자장치가 재동작하더라도 상기 부팅 시 표시할 상기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때 상기 부팅 시 상기 저장된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시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프로세스의 상기 진행 경과는 상기 전자장치의 화면에 바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고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분석하여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중에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부팅 시 상기 선택된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20. 전자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부팅 코드와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특정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특정정보를 정보파일에 저장하고, 부팅 시 상기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특정정보가 저장된 상기 정보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특정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정보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사용자 일정, 사진 보기, 조깅 이력, 장치사용 정보, 사이트 방문 기록, 및 메시지 사용 내역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집할 아이템이 선택될 때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실행 이미지로 저장하고, 상기 부팅 시 상기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실행 이미지를 실행하여 상기 저장된 실행 이미지의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은 독립된 부트영상 수집 어플리케이션, 또는 백그라운드 서비스의 설정 메뉴에 포함된 부트영상 수집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로 가공하거나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표시형태는 텍스트 이미지 형태 또는 동영상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저장조건을 만족할 때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실행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 이미지를, 상기 부팅 코드에 기록된 상기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실행 명령에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각각의 상기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들은 상기 미리 지정된 정보파일명 한 곳에 통합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상기 실행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파일명을 생성하고, 상기 실행 이미지를 상기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파일명이 상기 부팅 코드에 기록된 상기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행 명령에 포함하도록 상기 부팅 코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정보파일명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생성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실행 이미지들은 아이템별로 별도로 상기 생성된 정보파일명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팅 시 아이템 설정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처음 동작할 때나 상기 전자장치가 재동작하더라도 상기 부팅 시 표시할 특정정보에 대응하는 어떤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았을 때 상기 부팅 시 상기 저장된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는 상기 전자장치의 화면에 바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광고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 시 발생되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분석하여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중에서 선택하고, 상기 부팅 시 ㅅR기 상사선택된 광고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6.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과;
    외부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부와;
    부팅 코드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특정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특정정보를 정보파일에 저장하고, 부팅 시 상기 부팅 코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특정정보가 저장된 상기 정보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특정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정보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사용자 일정, 장치사용 내역, 조깅 이력, 사진 보기, 사이트 방문 기록, 및 메시지 사용 내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프로세스의 진행 경과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바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광고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시 발생되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을 분석하여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에 가까운 광고를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광고 중에서 선택하고, 상기 부팅 시 상기 선택된 광고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75963A 2013-06-28 2013-06-28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 KR20150002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963A KR20150002301A (ko) 2013-06-28 2013-06-28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
US14/317,784 US9928078B2 (en) 2013-06-28 2014-06-27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booting,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963A KR20150002301A (ko) 2013-06-28 2013-06-28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301A true KR20150002301A (ko) 2015-01-07

Family

ID=5211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963A KR20150002301A (ko) 2013-06-28 2013-06-28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28078B2 (ko)
KR (1) KR201500023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803B1 (ko) * 2014-11-26 2021-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US11481225B2 (en) * 2015-09-10 2022-10-25 Motorola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s to display the status of an ancillary embedded system
CN106775635B (zh) * 2016-11-15 2020-09-15 华胜信泰信息产业发展有限公司 计算机系统及其开机方法
US20220374245A1 (en) * 2021-05-19 2022-11-24 Snap Inc. Personalized avatar experience during a system boot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3855B1 (en) * 1999-06-18 2002-10-29 Phoenix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on a computer system based on usage profile
US6996706B1 (en) * 2000-02-19 2006-02-07 Powerquest Corporation Booting an operating system or running other pre-boot code from a file stored under a different operating system
WO2006080628A1 (en) * 2004-12-06 2006-08-03 Ktf Technologies, Inc.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managing file and folder
KR20070025364A (ko) 2005-09-01 2007-03-08 주식회사 플러스윈도우 컴퓨터 운영체제 화면 제어방법
US20080010516A1 (en) * 2006-06-14 2008-01-10 Invent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actual progress of a booting procedure
US7797679B2 (en) * 2006-08-31 2010-09-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arameter for an application operating on an electronic device
JP4675984B2 (ja) * 2008-02-29 2011-04-27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システム
KR20100050297A (ko)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팅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77400B1 (ko) * 2009-03-03 201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10287189A (ja) * 2009-06-15 2010-12-2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39778B1 (ko) 2009-06-17 2015-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팅 중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1094734A2 (en) * 2010-02-01 2011-08-04 Jumptap, Inc. Integrated adverti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6875A1 (en) 2015-01-01
US9928078B2 (en)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2985B (zh) 电子设备和用于显示其屏幕的方法
RU263198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боты функции в сенсорном устройстве
US8914732B2 (en) Displaying home screen profiles on a mobile terminal
CN106815230B (zh) 歌词页面生成方法及装置
CN102461130A (zh) 基于推送的地点更新
EP2463769A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ouch panel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5227753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201803359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outpu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JP2017532700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の表示方法及び装置 本願は、出願番号がcn201510496713.6であり、出願日が2015年08月13日である中国特許出願に基づき提出され、該中国特許出願の優先権を主張し、該中国特許出願の全ての内容はここで参考として本願に援用される。
CN115454286B (zh) 应用数据的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JP2011159077A (ja) 携帯端末装置
CN110362762B (zh) 内容数据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70076489A (ko) 전자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운용 방법
CN103455582A (zh) 浏览器导航页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11455075B2 (en) Display method when application is exited and terminal
CN110099296A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4138139B (zh) 应用程序卡片的管理方法、电子设备及介质
KR20160073714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WO2011102447A1 (ja) 情報処理装置の動作制御システム及び動作制御方法
KR20150002301A (ko)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
CN111857531A (zh) 移动终端及其文件显示方法
US86401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8763544A (zh) 一种显示方法及终端
KR102038424B1 (ko) 상황 인지 기반의 컨텐츠 타이틀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2286611A (zh) 图标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