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655A -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655A
KR20140145655A KR1020130067741A KR20130067741A KR20140145655A KR 20140145655 A KR20140145655 A KR 20140145655A KR 1020130067741 A KR1020130067741 A KR 1020130067741A KR 20130067741 A KR20130067741 A KR 20130067741A KR 20140145655 A KR20140145655 A KR 20140145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terminal
map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3006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5655A/ko
Publication of KR2014014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서버는,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고,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는 광고 설정부; 상기 광고 콘텐츠를 기 설정된 이벤트 콘텐츠에 삽입시켜 이벤트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광고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와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광고 송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BASED ON LO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고주가 원하는 지역의 장소에 광고를 설정하는 위치 기반 광고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통신 데이터 단말의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데이터 단말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광고 서비스, 즉 LBS(Location Based Service)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광고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푸시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광고 효율에 그 한계가 있었다. 즉, 기존의 광고 서비스는 개인 정보 등의 이유로 광고 수신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를 받기가 어려웠으며, 사용자가 광고 수신을 최초 동의하여 광고 수신을 하더라도 무분별한 광고 송출이 계속된다는 점에서 사용자는 수신되는 광고를 스팸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광고주는 많은 사람들이 지나치는 지하철, 버스 정류장, 옥외 광고판 등에 광고를 하고자 하는 경우 상당한 광고비를 부담하여야 하며, 지하철의 스크린 도어 및 와이드 칼라 광고와 같은 대형 광고는 고가의 광고 제작비로 인해 광고 내용의 변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고주가 선택한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비용을 절감시키고, 지역 광고 또는 주변 광고, 예를 들어 소상공인을 위한 광고 또는 품앗이 광고를 활성화시킴으로써 광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서버는,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고,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는 광고 설정부; 상기 광고 콘텐츠를 기 설정된 이벤트 콘텐츠에 삽입시켜 이벤트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광고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와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광고 송출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방법은, 광고 설정부에서,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광고 설정부에서,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는 단계; 매칭부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를 기 설정된 이벤트 콘텐츠에 삽입시켜 이벤트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칭부에서,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광고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와 매칭시키는 단계; 및 광고 송출부에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광고주로 하여금 지역별, 성별, 연령별, 시간별, 단말의 종류별, 이동 통신사별로 광고 송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광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식별 코드(큐알 코드 또는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하여 광고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상기 식별 코드의 판독을 통해 사용자에게 광고가 송출된다는 점에서 사용자 참여형 광고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광고주 계정 또는 광고주에게 과금함으로써 효율적인 과금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광고 효과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가 광고 지역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가 광고 지역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가 광고 지역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설정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송출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시스템(100)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시스템(100)은 광고 서버(102), 광고주 단말(104) 및 사용자 단말(106)을 포함한다.
광고주 단말(104)은 광고 서버(102)에 광고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대상, 송출 지역, 송출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데스크탑 컴퓨터뿐 아니라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주 단말(104)로서 채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6)은 광고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미도시)를 판독,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코드를 스캔하거나 태그함으로써 광고 서버(102)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말 장치로서, 광고주 단말(104)과 마찬가지로 데스크탑 컴퓨터뿐,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6)은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칩 등이 탑재되어 큐알 코드(QR Code) 또는 엔에프씨 태그(NFC Tag)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의 인식이 가능하다.
광고 서버(102)는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광고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대상, 송출 지역, 송출 시간 등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식별 코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106)에게 제공하는 서버이다. 상기 광고 서버(102)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가 광고 지역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코드는 예를 들어, 큐알 코드 또는 엔에프씨 태그가 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는 건물 내의 화장실 문 안쪽, 점보롤케이스, 커피숍 등의 일회용컵 슬리브 또는 홀더, 지하철역 와이드칼라, 지하철 플랫폼 스크린 도어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식별 코드는 액자형, 포스터형, 스크린형 등 다양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는 일상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다양한 장소에 다양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서버(102)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서버(102)는 인증부(502), 광고 설정부(504), 매칭부(506), 광고 송출부(508) 및 과금부(510)를 포함한다.
인증부(502)는 광고주 단말(104)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주 단말(104)을 인증한다. 인증부(502)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광고주 단말(104)의 ID, 패스워드 등의 로그인 정보를 통해 회원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광고주 단말(104)의 로그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증부(502)는 광고주 단말(104)의 회원 가입을 유도하거나 광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광고 설정부(504)는 인증된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고,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설정부(504)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설정부(504)는 콘텐츠 입력모듈(602), 지역 표시모듈(604) 및 지역 선택모듈(606)을 포함한다.
콘텐츠 입력모듈(602)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는다. 상기 광고 콘텐츠는 광고주 단말(104)이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물에 관한 콘텐츠로서,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가능지역이란 하나 이상의 식별 코드가 부착된 건물, 지하철, 버스 정류장, 옥외 광고판 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지도는, 예를 들어 웹 또는 앱 기반의 모바일 지도, 전자 지도, 인터넷 지도 등이 될 수 있다.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주 단말(104)에 탑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접속 아이피 주소를 통해 광고주 단말(104)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역 표시모듈(604)은 상기 광고주 단말(104)의 현재 위치, 예를 들어 서울역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 이내, 예를 들어, 1km 이내의 모든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주 단말(104)의 위치를 중심으로 임의로 소정 반경 이내의 광고 가능지역을 표시하거나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특정 반경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반경 정보에 따라 광고 가능지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검색 지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검색 지역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 이내의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광고주 단말(104)이 가산동을 검색 지역으로 입력하고, 반경 500m 이내를 반경 정보로 입력하는 경우, 지역 표시모듈(604)은 가산동의 광고주 단말(104)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500m 이내의 모든 광고 가능지역을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 단말(104)의 현재 위치뿐 아니라 광고주 단말(104)이 입력하는 임의의 지역, 예를 들어 가산동 150-19번지를 중심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속하는 광고 가능지역을 지도 상에 표시함으로써 광고주 단말(104)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지역 표시모듈(604)은 특정 반경이 아닌 서울시 또는 동작구 등의 행정구역 단위로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아울러,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성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성별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 단말(104)이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는 여성 속옷에 관한 콘텐츠인 경우,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성별 정보, 즉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는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성별 정보에 따른 광고 가능지역의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식별 코드가 부착된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성별 정보에 따른 광고 가능지역의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지역 표시모듈(604)은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통해 광고 가능지역 중 성별 정보에 따른 광고 가능지역, 예를 들어 여자 화장실, 여자 옷가게, 여성 휴게실 등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성별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성별 정보에 따른 광고 가능지역을 상기 지도 상에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연령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연령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 단말(104)이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가 미취학 아동만 을 대상으로 하는 아동복에 관한 콘텐츠인 경우,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연령 정보, 즉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는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연령 정보에 따른 광고 가능지역의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성별 정보, 연령 정보 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지역 표시모듈(604)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다양한 광고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지역 표시모듈(604)은 각 광고 가능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개수 정보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각 광고 가능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트래픽 발생량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광고 가능지역은 각각 서로 다른 개수의 식별 코드를 부착하고 있으며, 동일한 개수의 식별 코드를 부착하고 있는 광고 가능지역이라도 그 위치에 따라 식별 코드의 트래픽 발생량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지하철에 부착된 식별 코드는 평소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지만,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지 않는 골목의 상점에 부착된 식별 코드는 평소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역 표시모듈(604)은 각 광고 가능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개수 정보뿐 아니라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지난 한 달 동안 각 광고 가능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트래픽 발생량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함께 표시함으로써 광고주 단말(104)에게 광고 가능지역별 식별 코드의 트래픽 발생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역 선택모듈(306)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상기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표시모듈(604)은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광고주 단말(104)은 지역 선택모듈(606)을 통해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광고 콘텐츠를 실제로 송출할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오면, 매칭부(506)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기 설정된 이벤트 콘텐츠에 삽입시켜 이벤트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광고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와 매칭시킨다. 이벤트 콘텐츠란, 광고 콘텐츠를 삽입하기 위한 사용자 이익형 콘텐츠로서, 예를 들어, 경품 추천, 퀴즈, 설문, 할인 쿠폰 제공, 게임 등의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컨텐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콘텐츠를 이벤트 콘텐츠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거나 사용자에게 이익을 줌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광고 지역에 부착된 각 식별 코드의 식별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각 식별 코드의 식별 정보와 매칭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페이지는 기 설정된 이벤트 콘텐츠에 상기 광고 콘텐츠를 삽입함으로써 생성된다. 상기 이벤트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106)이 식별 코드를 판독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 페이지는, 예를 들어 화면의 상단에는 보물찾기 콘텐츠, 즉 이벤트 콘텐츠가 표시되며, 화면의 하단에는 광고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6)은 광고 콘텐츠뿐 아니라 이벤트 콘텐츠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고 콘텐츠의 노출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다만, 상기 이벤트 페이지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이벤트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가 조합된 다양한 형태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송출부(50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6)이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송출부(508)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송출부(508)는 광고대상 설정모듈(902) 및 광고 송출모듈(904)를 포함한다.
광고대상 설정모듈(902)는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광고대상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106)이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광고대상 조건은 상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사용자 단말의 단말 종류, 사양, 운영체제, 이동 통신사의 종류 및 상기 식별 코드의 판독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광고대상 설정모듈(902)은 상기 광고대상 조건에 따라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오전 6시에서 오후 12시까지만 광고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단말 종류 또는 사양의 사용자 단말(106), 특정 운영체제 또는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06)에게만 광고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광고대상 조건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광고대상 설정모듈(902)는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광고대상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광고 송출모듈(904)은 상기 사용자 단말(106)이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한다. 만약, 광고 송출모듈(904)은 상기 사용자 단말(106)이 광고대상 조건을 벗어나는 새벽 2시에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에서 광고 콘텐츠가 제외된 페이지, 즉 이벤트 콘텐츠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대상조건에 따라 광고 콘텐츠의 송출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세분화된 광고 타깃팅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광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과금부(510)는 상기 광고 송출부가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106)이 상기 이벤트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과금정책에 따라 광고주 단말(104)에게 과금한다. 즉, 과금부(510)는 이벤트 페이지를 출력하는 것만으로 광고주 단말(104)에게 과금하는 CPV(Cost Per View) 방식 또는 해당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광고주 단말(104)에게 과금하는 CPC(Cost Per Click)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인증부(502)는 광고주 단말(104)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주 단말(104)을 인증한다(S1002). 인증부(502)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광고주 단말(104)의 ID, 패스워드 등의 로그인 정보를 통해 회원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주 단말(104)의 로그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광고주 단말(104)의 회원 가입을 유도하거나 광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광고 설정부(504)는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는다(S1004). 상기 광고 콘텐츠는 광고주 단말(104)이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물에 관한 콘텐츠로서,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광고 설정부(504)는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S1006).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설정부(504)는 광고주 단말(104)에 탑재된 GPS 또는 접속 아이피 주소를 통해 광고주 단말(104)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검색 지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주 단말(104)의 위치 또는 상기 검색 지역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 이내의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설정부(504)는 광고주 단말(104)의 현재 위치인 가산동 150-19번지 또는 광고주 단말(104)이 검색 지역으로 입력한 신촌역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 이내, 예를 들어 500m 이내의 모든 광고 가능지역을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설정부(504)는 특정 반경이 아닌 서울시 또는 동작구 등의 행정구역 단위로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광고 설정부(504)는 광고주 단말(1008)로부터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는다(S1008). 즉, 광고 설정부(504)는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광고 콘텐츠를 실제로 송출할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광고 설정부(504)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고,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고 송출부(508)는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고,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매칭부(506)는 광고 콘텐츠를 기 설정된 이벤트 콘텐츠에 삽입시켜 이벤트 페이지를 생성한다(S1010). 이벤트 콘텐츠란, 경품 추천, 퀴즈, 설문 등과 같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사용자에게 이익을 제공하는 콘텐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콘텐츠를 이벤트 콘텐츠에 삽입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매칭부(506)는 생성한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광고주 단말(104)에 의해 선택된 광고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와 매칭시킨다(S1012).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광고 지역에 부착된 각 식별 코드의 식별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각 식별 코드의 식별 정보와 매칭시킬 수 있다.
광고 송출부(508)는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광고대상 조건을 입력받는다(S1014). 상기 광고대상 조건은 사용자 단말의 단말 종류, 사양, 운영체제, 이동 통신사의 종류 및 상기 식별 코드의 판독 시간(스캔 시간 또는 태그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광고 송출부(508)는 상기 광고대상 조건에 따라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오전 6시에서 오후 12시까지만 광고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운영체제 또는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06)에게만 광고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광고대상 조건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광고 송출부(508)는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광고대상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이벤트 페이지가 식별 코드와 매칭된 후 광고 송출부(508)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광고대상 조건을 입력받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고 송출부(508)는 광고 설정부(504)가 광고주 단말(104)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을 때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함께 입력받을 수도 있다.
광고 송출부(508)는 사용자 단말(106)이 광고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판독,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6)이 광고 지역에 부착된 큐알 코드를 스캔하거나 엔에프시 태그를 태그하는 경우(S1016), 사용자 단말(106)이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8).
만약, 사용자 단말(106)이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광고 송출부(508)는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한다(S1020). 만약, 사용자 단말(106)이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광고 송출부(508)는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하지 않고 기 설정된 이벤트 콘텐츠만을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한다(S1022). 예를 들어, 광고 송출부(508)는 상기 사용자 단말(106)이 광고대상 조건을 벗어나는 새벽 2시에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에서 광고 콘텐츠가 제외된 페이지, 즉 이벤트 콘텐츠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대상조건에 따라 광고 콘텐츠의 송출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세분화된 광고 타깃팅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광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과금부(510)는 이벤트 페이지를 출력하는 것만으로 과금하는 CPV 방식 또는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과금하는 CPC 방식을 통해 광고주 단말(104)에게 과금한다(S1024). 즉, 과금부(510)는 상기 광고 송출부가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6)로 송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106)이 상기 이벤트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과금정책에 따라 광고주 단말(104)에게 과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광고 시스템 102 : 광고 서버
104 : 광고주 단말 106 : 사용자 단말
502 : 인증부 504 : 광고 설정부
506 : 매칭부 508 : 광고 송출부
510 : 과금부 602 : 콘텐츠 입력모듈
604 : 지역 표시모듈 606 : 지역 선택모듈
902 : 광고대상 설정모듈 904 : 광고 송출모듈

Claims (18)

  1.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고,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는 광고 설정부;
    상기 광고 콘텐츠를 기 설정된 이벤트 콘텐츠에 삽입시켜 이벤트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광고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와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광고 송출부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설정부는,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는 콘텐츠 입력모듈;
    상기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지역 표시모듈; 및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상기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는 지역 선택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표시모듈은,
    상기 광고주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검색 지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주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검색 지역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 이내의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위치 기반 광고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표시모듈은,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성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성별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위치 기반 광고 서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표시모듈은,
    상기 각 광고 가능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개수 정보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각 광고 가능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트래픽 발생량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함께 표시하는, 위치 기반 광고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송출부는,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대상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광고대상 설정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광고 송출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대상 조건은,
    상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사용자 단말의 단말 종류, 사양, 운영체제, 이동 통신사의 종류 및 상기 식별 코드의 판독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송출부가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벤트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과금정책에 따라 상기 광고주 단말에게 과금하는 과금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 또는 엔에프씨 태그(NFC Tag)인, 위치 기반 광고 서버.
  10. 광고 설정부에서,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광고 설정부에서,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는 단계;
    매칭부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를 기 설정된 이벤트 콘텐츠에 삽입시켜 이벤트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칭부에서,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광고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와 매칭시키는 단계; 및
    광고 송출부에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지역을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상기 광고 가능지역 중 하나 이상의 광고 지역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주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검색 지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광고주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검색 지역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 이내의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위치 기반 광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성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성별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가능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광고 가능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개수 정보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각 광고 가능 지역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트래픽 발생량 정보를 상기 지도 상에 함께 표시하는, 위치 기반 광고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대상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대상 조건은,
    상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사용자 단말의 단말 종류, 사양, 운영체제, 이동 통신사의 종류 및 상기 식별 코드의 판독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송출부가 상기 이벤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벤트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과금정책에 따라 상기 광고주 단말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광고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 또는 엔에프씨 태그(NFC Tag)인, 위치 기반 광고 방법.
KR1020130067741A 2013-06-13 2013-06-13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 KR20140145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741A KR20140145655A (ko) 2013-06-13 2013-06-13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741A KR20140145655A (ko) 2013-06-13 2013-06-13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655A true KR20140145655A (ko) 2014-12-24

Family

ID=5267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741A KR20140145655A (ko) 2013-06-13 2013-06-13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56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355B1 (ko) * 2018-07-18 2019-04-18 원태성 Qr 코드를 이용한 장소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355B1 (ko) * 2018-07-18 2019-04-18 원태성 Qr 코드를 이용한 장소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017680A1 (ko) * 2018-07-18 2020-01-23 원태성 Qr 코드를 이용한 장소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32327A1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digital signage and related mobile content
US20160162950A1 (en)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stor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40136312A1 (en)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20100280904A1 (en) Social marketing and networking tool with user matching and content broadcasting / receiving capabilities
US10740786B2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med products for dynamically tracking delivery and performance of digital advertisements in electronic digital displays
KR10189623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133339A (ko)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66384A1 (en) Location-based encoded data for facilitating targeted communications
US20150142512A1 (en) Us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KR101566279B1 (ko)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1642430B1 (ko) 비콘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KR101485813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JP2004157499A (ja) 広告配信システム
KR20060081000A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광고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5387A (ko) 지역상권 기반 디지털 로컬 광고 알림 방법, 이를 위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및 시스템
CN104581888B (zh) 基于无线接入点的上网引导系统及方法
KR20120076639A (ko) 네트워크 서버 그리고 고객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5655A (ko)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
JP6264707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KR101254078B1 (ko) Sns 메시지 출력을 통한 광고시스템
KR20190004389A (ko) 위치기반 광고를 통한 무료 와이파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Gana Personalization of tourism services through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in Nigeria
JP6628234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と情報配信方法
JP6226009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と情報配信方法
JP6226008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と情報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