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373A -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 Google Patents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373A
KR20140133373A KR20130053474A KR20130053474A KR20140133373A KR 20140133373 A KR20140133373 A KR 20140133373A KR 20130053474 A KR20130053474 A KR 20130053474A KR 20130053474 A KR20130053474 A KR 20130053474A KR 20140133373 A KR20140133373 A KR 20140133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tion
exercise
patter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34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5044B1 (en
Inventor
구정훈
이종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5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044B1/en
Publication of KR20140133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3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ing system and a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ing system and a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which can be used for exercising content execution. An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capture module which captures the motion of a user in user exercising pattern acquisition and exercising content execution; an exercising content setting module which sets an exercis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ing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capture module; and an exercising content execution module which executes an execution content set by the exercising content setting module.

Description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user motion pattern,

본 발명은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user motion pattern.

현대인들은 신체 활동의 부족과 불규칙한 식습관 등으로 인하여 자세의 불균형, 비만 등과 같은 성인병이 문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 및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운동 기구 또는 운동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운동 시스템 또는 운동 기구는 자동 속도 변환 및 경사각 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단순히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예: 러닝머신의 걷기 혹은 달리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는 데 그치므로, 사용자가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흥미를 잃어 지속적인 운동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Modern people are suffering from adult diseases such as posture imbalance and obesity due to lack of physical activity and irregular eating habits. Accordingly, interest in health and exercise is increasing, and various exercise apparatuses or exercise systems are being developed. The conventional exercise system or exercise machine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automatic speed conversion and tilt angle adjustment, but it simply repeats the same operation repeated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e.g. walking or running of the treadmill) , It is easy to feel bored and lose interest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continuous exercise.

최근에는 운동을 게임에 접목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불러일으키게 하는 운동 시스템이 개발되었다(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02649호 참조). 또한, 센서나 삼차원 카메라를 이용한 모션 트래킹을 운동 콘텐츠와 결합하여 운동 게임 또는 운동 트레이닝을 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운동 재활 분야 등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35572호, 제10-2008-0055148호 참조). 이러한 운동 게임은 미리 프로그램되어 특정된 게임을 실행시키고, 해당 프로그램에서 지정하는 특정 모션을 수행하여야만 게임이 진행되므로, 사용자는 그 특정 운동이 필요한 때만 해당 운동 게임을 경험하도록 되어 있다. 즉, 하나의 운동 시스템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운동에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해당 운동 시스템(특정 게임)에 미리 정해진 내용(특정 모션)을 그대로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로 필요로 하거나 원하는 부위 및 원하는 순서로 편집된 운동 트레이닝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In recent years, a mo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brings the user into the game by incorporating the exercise into a game (see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102649). In addition, a method of performing a motion game or an exercise training by combining a motion tracking using a sensor or a three-dimensional camera with an exercise content has been developed and ac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exercise rehabilitatio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35572, 2008-0055148). Since the exercise is performed only when the specific game is executed by executing the specified game programmed in advance by the program, the user is required to experience the exercise game only when the specific exercise is required.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one exercise system to various types of exercise desired by the user, but to perform predetermined contents (specific motions) in the exercise system (specific game) as it is. Therefor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train the exercise that the user actually needs or is edited in a desired region and a desired order.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운동 패턴 획득 및 운동 콘텐츠 실행 시에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를 설정하는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 및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이 설정한 운동 콘텐츠를 실행하는 운동 콘텐츠 실행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운동 시스템 실행 시작 시에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운동을 실시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으로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가 설정 및 실행되므로, 하나의 운동 시스템으로 다양한 운동에의 적용이 가능한,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otion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motion of a user at the time of acquiring a user motion pattern and executing an exercise content, And an exercise content execution module for exercising the exercise content set by the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Thus, at the start of exercise of the exercise syst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user motion pattern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motions with one motion system since the corresponding motion contents are set and executed do.

또한, 본 발명은,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 신체의 대칭 정도, 운동이 필요한 부분, 및 운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운동 콘텐츠를 설정 및 실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user movement pattern analyzing module for analyzing a user's movement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thereby detecting movement of the user's joint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symmetry of the user's bod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user motion pattern, which analyz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tion patterns, motion vectors, and momentum.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사용자 운동 패턴 및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운동 패턴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모션을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운동 패턴을 운동 콘텐츠로 실시간 생성 및 저장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모션을 행하여 운동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여 이후 운동 콘텐츠 실행에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user movement pattern and an exercise content to store a motion to be stored by a user in a user movement pattern and to generate and store the stored user movement pattern in real time as exercise content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user motion pattern, which enables a user to directly perform motion, generate an exercise content,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사용자 운동 패턴 획득 및 운동 콘텐츠 실행 시에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모듈;A motion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motion of a user at the time of executing a user exercise pattern acquisition and exercise content;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를 설정하는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 및An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for set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And

상기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이 설정한 운동 콘텐츠를 실행하는 운동 콘텐츠 실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n exercise content execution module for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 set by the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은,Advantageousl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comprises:

동작 인식 센서, 카메라 또는 동작 인식 센서 및 카메라일 수 있다.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 camera or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a camera.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More preferably,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comprises: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손목, 팔, 허리, 다리 및 발목을 포함하는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착용될 수 있다.
And may be worn on at least one of the body parts including the wrist, arm, waist, leg, and ankle by the user's cho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은,Preferably, the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includes:

미리 저장된 복수의 운동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And selec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from among a plurality of exercise contents stored in adva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은,Preferably, the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includes: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And generate the exercis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in real ti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 콘텐츠는,Advantageously, the exercise content comprises: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을 적용시킨 운동 게임 또는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따라 수행되는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일 수 있다.
An exercise game in which the user exercise pattern is applied, or an exercise training program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 exercise pattern.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 또는 상기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user movement pattern or the exercise contents.

바람직하게는, Preferably,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user movement patter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user movement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은,More preferably, the user motion pattern analyzing module includes:

상기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 신체의 대칭 정도, 운동이 필요한 부분, 및 운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할 수 있다.
The motion of the joint of the user may be detected to analyz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degree of symmetry of the user's body, the part requiring motion, and the amount of exerci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 시스템은,Advantageously, the motion system comprises:

스마트 기기 및 컴퓨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smart devices and computers can be us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xecuting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1) 모션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1) acquiring a user's motion pattern by recognizing the mo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2) 상기 단계 (1)에서 획득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 및(2) set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acquired in the step (1); And

(3) 상기 단계 (2)에서 설정된 운동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3)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 set in the step (2).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은,Advantageousl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comprises:

동작 인식 센서, 카메라 또는 동작 인식 센서 및 카메라일 수 있다.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 camera or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a camera.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More preferably,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comprises: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손목, 팔, 허리, 다리 및 발목을 포함하는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착용될 수 있다.
And may be worn on at least one of the body parts including the wrist, arm, waist, leg, and ankle by the user's cho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는,Preferably, the step (2)

(2-1) 미리 저장된 복수의 운동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1) selec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from among a plurality of exercise contents stored in adva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는,Preferably, the step (2)

(2-2)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2) generating the exercis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in real time.

바람직하게는, Preferably,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 수행 전 또는 후에,Before or after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steps (1) to (3)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 또는 상기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user movement pattern or the exercise content.

바람직하게는, 단계 (1) 이후에,Preferably, after step (1)

(1-1)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1) analyzing the user movement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1)은,More preferably, the step (1-1)

상기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 신체의 대칭 정도, 운동이 필요한 부분, 및 운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할 수 있다.
The motion of the joint of the user may be detected to analyz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degree of symmetry of the user's body, the part requiring motion, and the amount of exerci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 콘텐츠는,Advantageously, the exercise content comprises: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따라 수행되는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 또는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을 적용시킨 운동 게임일 수 있다.
An exercise training program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or an exercise game applying the user exercise pattern.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은,Preferably, the exercise system execution method further comprises:

스마트 기기 및 컴퓨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A smart device, and a computer.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 패턴 획득 및 운동 콘텐츠 실행 시에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를 설정하는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 및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이 설정한 운동 콘텐츠를 실행하는 운동 콘텐츠 실행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운동 시스템 실행 시작 시에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운동을 실시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으로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가 설정 및 실행되므로, 하나의 운동 시스템으로 다양한 운동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센서 부착 위치와 운동 패턴이 바뀌더라도 동일한 운동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user motion patter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tion recognition module that recognizes a motion of a user at the time of acquiring a user motion pattern and executing an exercise content, The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and the exercise content execution module for exercising the exercise content set by the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Since the corresponding exercise contents are set and executed when they are input in the user exercise pattern, it is possible to apply to various exercises with one exercise system. That is, the same motion system can be used even if the position and motion pattern of the user are chan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 신체의 대칭 정도, 운동이 필요한 부분, 및 운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운동 콘텐츠를 설정 및 실행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user movement pattern analyzing module for analyzing a user's movement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thereby detecting movement of the user's joints and detecting a degree of symmetry of the user's body, , And an amount of exercise, and sets and executes the exercise contents reflecting the at least one exercis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운동 패턴 및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운동 패턴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모션을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운동 패턴을 운동 콘텐츠로 실시간 생성 및 저장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모션을 행하여 운동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여 이후 운동 콘텐츠 실행에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user's movement pattern and an exercise content is provided. The user stores a motion to be stored in the user's movement pattern, and generates and stores the stored user's movement pattern as exercise contents in real time By adopting the configuration, the user can perform the motion directly to generate the exercise content, store it, and utilize it for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 thereaf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에서 동작 인식 센서 또는 3차원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모션이 인식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을 적용시킨 운동 게임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에 따라 수행되는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의 사용례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수행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FIG. 3 and FIG. 4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user's motion through a motion recognition sensor or a three-dimensional camera in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process of performing a sports game in which a user's motion pattern is applied using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s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process of performing an exercise training program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exercise pattern using a motion recognition-based exercise system using a user's exercis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through FIG. 11 illustrate a flow of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은, 모션 인식 모듈(100),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200) 및 운동 콘텐츠 실행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recognition module 100, an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200, and an exercise content execution module 300 ). ≪ / RTI >

모션 인식 모듈(100)은, 사용자 운동 패턴 획득 및 운동 콘텐츠 실행 시에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운동 콘텐츠 실행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획득하고, 운동 콘텐츠를 실행 시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모션이 사용자 운동 패턴 입력을 위한 것인지, 운동 콘텐츠 실행 시의 대응 모션인 것인지는, 사용자로부터 실행 선택 버튼을 입력받음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100 can recognize the motion of the user at the time of acquiring the user motion pattern and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 That is, it can acquire the user's movement pattern as a basis in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s, and can grasp the movement of the user when the exercise contents are executed. Whether the user's motion is for inputting the user's motion pattern or the corresponding motion when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 can be determined by receiving an execution selection button from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에서, 모션 인식 모듈(100)은, 동작 인식 센서(110) 및/또는 카메라(120)일 수 있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n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100 may include a motion recognition sensor 110 and / or a camera 120, Lt; / RTI >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에서 동작 인식 센서 또는 3차원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모션이 인식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인식 모듈(100)로서 동작 인식 센서(110)가 이용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손목, 팔, 허리, 다리 및 발목을 포함하는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착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20)와 연결되어 동작 정보를 컴퓨터(20)에 전달할 수 있다.
FIG. 3 and FIG. 4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user's motion through a motion recognition sensor or a three-dimensional camera in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110 may be used as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100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wrist, arm, waist, leg, and ankle And may be worn on at least one of the body parts, which may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20 to transmit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computer 20. [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인식 모듈(100)로서 3차원 카메라(120)가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20)에 설치된 3차원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할 수도 있다.
4, a three-dimensional camera 120 may be used as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100, and a user may be a user using a three-dimensional camera 120 installed in the computer 20, The motion of the robot can be detected.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200)은,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이후 사용자가 실행할 운동 콘텐츠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운동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설정되는 방식에 따를 수도 있으나,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어깨 운동을 하고 싶은 경우, 해당 부위를 움직이는 모션을 취하면 이를 모션 인식 모듈(100)이 감지하고, 미리 저장된 허리운동 프로그램, 다리운동 프로그램, 어깨운동 프로그램 중에서 어깨운동 프로그램을 실행 운동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문가에게 획득한 운동 방법을 실행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으로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 운동 패턴을 운동 콘텐츠로 실시간 생성하고,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200 can set the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That is, the user then sets the exercise contents to be executed by the user. The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movement pattern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et exercise contents, Or may be to generate exercise content in real time. For example, if the user wishes to perform a shoulder movement,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10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part, and executes a shoulder exercise program from a pre-stored waist exercise program, leg exercise program, and shoulder exercise program It can be set as exercise contents. In another example, when a user executes a exercise method acquired from an external expert to input it as a user exercise pattern, the user generates a user exercise pattern in real time as an exercise content and executes the exercise exercise pattern to exercise the exercise system more positively Can be done.

운동 콘텐츠 실행 모듈(300)은,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이 설정한 운동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운동 콘텐츠란, 사용자 운동 패턴을 적용시킨 운동 게임일 수도 있고, 사용자 운동 패턴에 따라 수행되는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을 적용시킨 운동 게임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에 따라 수행되는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운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싱게임과 같은 운동 게임을 즐길 수도 있고, 일반적인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exercise content execution module 300 can execute the exercise content set by the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The exercise contents may be an exercise game in which a user's exercise pattern is applied, or an exercise training program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user's exercise patter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motion game in which a user's motion pattern is applied using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xercise training program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 exercise pattern using a motion recognition-based exercise system using a user exercis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user may enjoy a sports game such as a boxing game using the exercise syste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perform a general exercise training program.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은, 저장 모듈(400)과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odule 400 and a user motion pattern analysis module 500 have.

저장 모듈(400)은, 사용자 운동 패턴 또는 운동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운동 패턴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모션을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운동 패턴을 운동 콘텐츠로 실시간 생성 및 저장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모션을 행하여 운동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여 이후 운동 콘텐츠 실행에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 친화형이며, 운동 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장 모듈(400)에는, 사용자 운동 패턴에 따라 운동 이력을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효율적인 운동 관리가 가능하다.
The storage module 400 may store user motion patterns or motion content. A user stores a motion to be stored in a user movement pattern, and generates and stores a stored user movement pattern in real time as an exercise content, thereby allowing a user to directly perform a motion to generate an exercise content, It is user-friendly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exercise contents. In addition, the storage module 400 classifies and stores exercise histories according to a user's exercise pattern, thereby enabling efficient exercise management.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500)은,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500)은,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 신체의 대칭 정도, 운동이 필요한 부분, 및 운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이를 반영한 운동 콘텐츠를 설정 및 실행할 수 있다.
The user motion pattern analysis module 500 can analyze the user motion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The user movement pattern analyzing module 500 may analyz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degree of symmetry of the user's body, the part requiring the motion, and the amount of exercis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joint of the user. Us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possible to set and execute the exercise contents reflecting the exercise contents.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의 사용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운동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 및/또는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휴대폰과 스마트 패드, 동작 인식 센서와 스마트 패드, 또는 삼차원 카메라와 PC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한 운동 관절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운동 패턴을 분석하여 운동 게임 진행에 적용할 수 있으며, 운동 패턴에 따른 운동 관리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센서의 부착 위치와 운동 패턴이 바뀌더라도 동일한 운동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적극적으로 운동 게임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량의 관리에도 별다른 조작 없이 운동 패턴에 따른 관리가 가능해져 체계적으로 운동이 관리된다. 따라서 재활운동이나 가정에서의 운동 게임을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motion recognition-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motion syste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smart device and / or a comput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obile phone, a smart pad,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a smart pad, or a three-dimensional camera and a PC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detect movement of a required joint and analyze the movement pattern to apply it to the progress of the exercise game, and exercis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tern is also possible. The user can enjoy the same exercise game even if the attachm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attern of the sensor are changed.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utilize the exercise game contents positively, the user can manage the exercise pattern according to the exercise pattern without any manipulation, Is manag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users will be able to utilize various kinds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home exercise games more actively.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수행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수행 방법은, 모션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S100), 단계 S100에서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S200) 및 단계 S200에서 설정된 운동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9 to 11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performing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 method of performing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using a user mo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a user motion pattern by recognizing a motion of a user through a motion recognition module S100), setting (S200)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acquired in the step S100, and executing (S300)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 set in the step S200.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00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운동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210) 또는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0 이후에,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 수행 전 또는 후에 수행되는 사용자 운동 패턴 또는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해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10, step S200 includes selecting (S210)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a user exercise pattern from a plurality of pre-stored exercise contents, or genera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a user exercise pattern in real time Step S220, and may further include a step S110 of analyzing the user's motion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after step S10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storing (S10) a user's motion pattern or an exercise cont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at least one of steps S100 to S300 May be further included. Since each step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10: 사용자 20: 컴퓨터
100: 모션 인식 모듈 110: 동작 인식 센서
120: 3차원 카메라 200: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
300: 운동 콘텐츠 실행 모듈 400: 저장 모듈
500: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
S10: 사용자 운동 패턴 또는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S100: 모션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S110: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S200: 단계 S100에서 획득한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
S210: 미리 저장된 복수의 운동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S220: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
S300: 단계 S200에서 설정된 운동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10: user 20: computer
100: Motion recognition module 110: Motion recognition sensor
120: 3D camera 200: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300: exercise content execution module 400: storage module
500: user movement pattern analysis module
S10: Step of storing user exercise pattern or exercise contents
S100: acquiring a user's motion pattern by recognizing the mo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S110: Analyzing the user's motion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S200: set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acquired in step S100
S210: a step of selec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a user exercise pattern from a plurality of pre-stored exercise contents
S220: generating the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movement pattern in real time
S300: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 set in step S200

Claims (20)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운동 패턴 획득 및 운동 콘텐츠 실행 시에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모듈;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를 설정하는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 및
상기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이 설정한 운동 콘텐츠를 실행하는 운동 콘텐츠 실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A motion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motion of a user at the time of executing a user exercise pattern acquisition and exercise content;
An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for set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And
And an exercise content execution module for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 set by the exercise content sett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은,
동작 인식 센서, 카메라 또는 동작 인식 센서 및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comprises: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 camera, or an operation recognition sensor and a camer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손목, 팔, 허리, 다리 및 발목을 포함하는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a body part including a wrist, an arm, a waist, a leg, and an ankl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운동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And selects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from a plurality of pre-stored exercise cont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콘텐츠 설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And generates mo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motion pattern in real time based on the user motion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을 적용시킨 운동 게임 또는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따라 수행되는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tion training program is a motion training program tha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or the exercise game in which the user exercise pattern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 또는 상기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user's movement pattern or the exercise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user movement pattern analyzing module for analyzing the user movement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 신체의 대칭 정도, 운동이 필요한 부분, 및 운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ser movement pattern analysis module comprises:
Wherein the motion of the joint of the user is detected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degree of symmetry of the user's body, the part requiring the motion, and the momentum is analyzed.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 및 컴퓨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mart device and a computer is used.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으로서,
(1) 모션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사용자 운동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획득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하는 운동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설정된 운동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A motion recognition based motion system execution method,
(1) acquiring a user's motion pattern by recognizing the mo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2) set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acquired in the step (1); And
And (3) executing the exercise contents set in the step (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은,
동작 인식 센서, 카메라 또는 동작 인식 센서 및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comprises: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 camera or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a camer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손목, 팔, 허리, 다리 및 발목을 포함하는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1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t least one part of the body part including the wrist, the arm, the waist, the leg, and the ankle is worn by the user's cho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2-1) 미리 저장된 복수의 운동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step (2)
(2-1) selec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from among a plurality of exercise contents stored in advan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2-2)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대응되는 운동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step (2)
(2-2) generating an exerci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exercise pattern in real time; and executing the motion recognition based exercise system using the user exercise patter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 수행 전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 또는 상기 운동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Before or after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steps (1) to (3)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toring the user movement pattern or the exercise content.
제11항에 있어서, 단계 (1) 이후에,
(1-1) 상기 모션 인식 모듈이 획득한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fter step (1)
(1-1) analyzing the user's movement pattern acqui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and executing the motion recognition based exercise system using the user's movement patter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1)은,
상기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 신체의 대칭 정도, 운동이 필요한 부분, 및 운동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tep (1-1)
Wherein the motion of the joint of the user is detected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degree of symmetry of the user's body, the part requiring the motion, and the momentum is analyzed. How to run the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에 따라 수행되는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 또는 상기 사용자 운동 패턴을 적용시킨 운동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tion pattern is a motion training program tha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 motion pattern or a motion game to which the user motion pattern is appli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은,
스마트 기기 및 컴퓨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실행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 smart device, and a computer. The method of executing a motion system based on motion recognition using a user motion pattern, comprising:
KR20130053474A 2013-05-11 2013-05-11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KR101495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474A KR101495044B1 (en) 2013-05-11 2013-05-11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474A KR101495044B1 (en) 2013-05-11 2013-05-11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373A true KR20140133373A (en) 2014-11-19
KR101495044B1 KR101495044B1 (en) 2015-02-25

Family

ID=5245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3474A KR101495044B1 (en) 2013-05-11 2013-05-11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044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96A (en) * 2015-03-25 2016-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ersonalized sport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WO2016163793A1 (en) * 2015-04-08 2016-10-13 (주) 프로차일드 Personal train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KR20170047807A (en) * 2015-10-23 2017-05-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fitness experience
KR20180117080A (en) * 2018-10-18 2018-10-26 주식회사 에이스카이 Free Fal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9208877A1 (en) * 2018-04-26 2019-10-31 Lim Seung Hyuk Rehabilitation health care system for disabled person
KR102461485B1 (en) * 2022-05-24 2022-11-01 주식회사 야나두 System for providind mataverse-based 4d immersive service
KR102469575B1 (en) * 2022-03-03 2022-11-22 주식회사 아스포즈 System for screen climbing based on momentum measur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40B1 (en) 2017-07-20 2019-01-09 윤흥식 Online method of estimating a user's quantity of motion
KR20220066724A (en) * 2020-11-16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apparatus
KR20230061876A (en) 2021-10-29 2023-05-09 고선균 Exerc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Recogn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390B1 (en) * 2007-10-31 2010-01-21 (주) 나인원 Portable apparatus for correction athletics pose
KR100943039B1 (en) 2008-06-12 2010-02-19 한국과학기술원 Multi-Game Supporting System using Body-Attached Sensors and Digital Sport Equipments
KR20100056838A (en)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s based on user action
KR20110017258A (en) * 2009-08-13 2011-02-2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Fitness learning system based on user's participation and the method of train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96A (en) * 2015-03-25 2016-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ersonalized sport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WO2016163793A1 (en) * 2015-04-08 2016-10-13 (주) 프로차일드 Personal train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KR20170047807A (en) * 2015-10-23 2017-05-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fitness experience
WO2019208877A1 (en) * 2018-04-26 2019-10-31 Lim Seung Hyuk Rehabilitation health care system for disabled person
KR20180117080A (en) * 2018-10-18 2018-10-26 주식회사 에이스카이 Free Fal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469575B1 (en) * 2022-03-03 2022-11-22 주식회사 아스포즈 System for screen climbing based on momentum measurement
WO2023167553A1 (en) * 2022-03-03 2023-09-07 주식회사 아스포즈 Screen climbing system based on momentum measurement
KR102461485B1 (en) * 2022-05-24 2022-11-01 주식회사 야나두 System for providind mataverse-based 4d immersive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044B1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044B1 (en)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tion capture using user movement patterns
US201801335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exercise training and coaching
JP5356690B2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tracking a range of physical movement of a user
US201802643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location detection for wearable sensors
TWI638280B (e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sensors
CN105263411A (en) Fal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11504580B2 (en) Posture coaching system and method for weight training by motion pattern
US20160249832A1 (en) Activity Classification Based on Classification of Repetition Regions
CN103785158B (en) Somatic sensation television game action director's system and method
KR20170129716A (en) A structur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i-directional functional training content including provision of adaptive training programs based on performance sensor data
KR102254164B1 (en) Wearable device and user terminal device connectable with wearable device
KR20140107062A (en) Posture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KR20180022674A (en) Structure, apparatus and method configured to be gameable by sensor-based monitoring of physically performed functions, including position-specific gameplay
CN105446362B (en) Posture detection based on computer science auxiliary adjusts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JP2020141806A (en) Exercise evaluation system
Ferreira et al. Smartphone based fall prevention exercises
Lisini Baldi et al. Human guidance: Suggesting walking pace under manual and cognitive load
KR20180015150A (en) Structures and methods configured to enable the analysis of physically performed functions,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supply of interactive training content
KR102301575B1 (en) Music modulation auditory feedback system using wireless earphones and smart phones
CA3222789A1 (en) 3d avatar generation and robotic limbs using biomechanical analysis
KR102372613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rrectting posture through overlay analysis of image
CN111639232A (en) Resourc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TWI790152B (en) Movement determination method, movement determination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2753056B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 training of body parts
Wagh et al. Virtual Yoga System Using Kinect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