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071A -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071A
KR20140128071A KR1020130046757A KR20130046757A KR20140128071A KR 20140128071 A KR20140128071 A KR 20140128071A KR 1020130046757 A KR1020130046757 A KR 1020130046757A KR 20130046757 A KR20130046757 A KR 20130046757A KR 20140128071 A KR20140128071 A KR 20140128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touch
recognizing
sensing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우
박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뉴엘
Priority to KR102013004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071A/ko
Publication of KR2014012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0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손가락으로 별도의 외부 기기를 터치하지 않고 엄지손가락과 다른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통하여 단말기 등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있어서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여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기구를 휴대하지 않아 그 사용이 편리하고 손가락이 기구와의 직접적인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손가락의 관절 및 근육질환이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Input device by thumb and finger on the touch-sensitive}
본 발명은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장치에 있어서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을 구비하여서, 손가락으로 별도의 외부 기기를 터치하지 않고 엄지손가락과 다른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통하여 단말기 등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력장치는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입력장치의 가장 기본적인 것을 리모트컨트롤러이고, 컴퓨터와 같이 연산기능이 탑재된 단말기의 개발에 따라 키보드와 마우스 및 터치패드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입력장치들은 외형적으로 일정한 크기를 형성하고 있어 이를 소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가방 등과 같은 보관함이 필수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입력장치들은 손가락이 기구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므로 손가락을 포함한 손목 등의 관절 질환 및 근육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마우스와 키보드 및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장치가 휴대의 불편함과 손가락이 기구와 직접적인 터치가 이루어짐으로 인한 관절 및 근육 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있어서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여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기구를 휴대하지 않아 그 사용이 편리하고 손가락이 기구와의 직접적인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손가락의 관절 및 근육질환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가락간의 터치에 의하여 단말기에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있어서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은 손가락의 터치를 인식하는 손가락터치인식부와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입력신호를 단말기로 입력하는 입력부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손목에 착용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손목근육감지터치인식부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손목에 착용하여 뇌로전달되는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손목전기신호감지터치인식부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머리에 착용하여서 뇌파를 인식하여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머리착용뇌파감지인식부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각각의 손톱부위에 부착되어서 손가락의 터치에 따른 충격신호에 의하여 감지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손톱충격감지센서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영상촬영추적하여 인식하는 손가락영상촬영인식기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손에 착용하는 손가락터치장갑을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터치감지장갑의 손가락부에 터치감지세선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케이블로 단말기와 연결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무선통신으로 단말기와 연결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에 의한 손가락 터치의 인식이 손가락 마디별로 분리 인식되어 각 손가락의 마디마다 문자가 분리 지정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에 있어서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은 손가락의 터치를 인식하는 손가락터치인식부와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입력신호를 단말기로 입력하는 입력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일체 크기를 갖는 별도의 기구와 이의 휴대를 위한 가방 등을 소지 않아도 되어 휴대 및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은 손가락이 기구와 직접적인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손가락의 관절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손가락의 관절 및 근육질환이 예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가락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손목 관절 및 근육의 질환도 예방되고 어깨 결림 등과 같이 키보 등의 입력장치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질환이 예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엄지와 손락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작업이 이루어져 성장기의 어린이 및 학생에 있어 지능발달에 도움이 되고, 노년기의 장년층에게는 뇌의 반복적인 사용과 자극을 통하여 치매와 같은 뇌 질환이 예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에 의한 손가락 터치의 인식이 손가락 마디별로 분리 인식되게 실시하게 되면, 각 손가락의 마디마다 독립적으로 문자가 지정되어 문자의 입력작업이 한번의 손가락 터치로 이루어지게 실시할 수 있어 문자의 입력작업이 편리하면서도 다양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입력장치에 있어서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와 손가락터치 인식수단은 손가락의 터치를 인식하는 손가락터치인식부와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입력신호를 단말기로 입력하는 입력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손목에 착용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손목근육감지터치인식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손목에 착용하여 뇌로전달되는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손목전기신호감지터치인식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머리에 착용하여서 뇌파를 인식하여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는 머리착용뇌파감지인식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각각의 손톱부위에 부착되어서 손가락의 터치에 따른 충격신호에 의하여 감지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손톱충격감지센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영상촬영추적하여 인식하는 손가락영상촬영인식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는 손에 착용하는 손가락터치장갑을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터치감지장갑의 손가락부에 터치감지세선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케이블로 단말기와 연결되게 구성한 것과
    무선통신으로 단말기와 연결되게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터치인식부에 의한 손가락 터치의 인식이 손가락 마디별로 분리 인식되어 각 손가락의 마디마다 문자가 분리 지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KR1020130046757A 2013-04-26 2013-04-26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KR20140128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757A KR20140128071A (ko) 2013-04-26 2013-04-26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757A KR20140128071A (ko) 2013-04-26 2013-04-26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071A true KR20140128071A (ko) 2014-11-05

Family

ID=5245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757A KR20140128071A (ko) 2013-04-26 2013-04-26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80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8019B2 (en) 2015-07-07 2017-11-14 Samsung Mediso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edical im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8019B2 (en) 2015-07-07 2017-11-14 Samsung Mediso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edical image
US10387713B2 (en) 2015-07-07 2019-08-20 Samsung Mediso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edical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048B2 (en) Wearable device for detecting light reflected from a user
US10970936B2 (en) Use of neuromuscular signals to provide enhanced interactions with physical object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RU2662408C2 (ru) Способ, аппарату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CN112789577B (zh) 增强现实系统中的神经肌肉文本输入、书写和绘图
US11016569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f wearable device
US9483123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JP6415592B2 (ja) ウェアラブル装置
US9367139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US20140364703A1 (en) Wearable electromyogram sensor system
JP2015507803A (ja) 高められたジェスチャ・ベースの対話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267813A (zh) 腕带和手环类产品采用十种手势实现输入或选择的方法
US20220155866A1 (en) Ring device having an antenna, a touch pad, and/or a charging pa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based on user motions
Ortega-Avila et al. Non-invasive optical detection of hand gestures
US20190317607A1 (en) Gesture input device
KR20140128071A (ko) 엄지와 손가락 터치인식에 의한 입력장치
KR20220025072A (ko) 핸드-착용 데이터-입력 장치
JP6887021B2 (ja) 手指の関節間着用型の指輪タイプのユーザ操作センシング装置
CN106020442A (zh) 一种智能感应手套的感应方法
Tatsumi et al. Cane walk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using virtual haptic sensing: toward developing haptic VR technolog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CN208355724U (zh) 一种用于外骨骼机器人的臂杖
CN205158278U (zh) 一种体感设备和计算机
KR102452909B1 (ko) 웨어러블 마우스
TW201415299A (zh) 舌動式電腦游標控制系統及方法
KR101652027B1 (ko) 가상 객체 또는 원격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에 대응한 역감을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N210038715U (zh) 一种手势识别手套及猜拳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