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034A - Wireless mic implementing wireless charging fun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 - Google Patents

Wireless mic implementing wireless charging fun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034A
KR20140126034A KR20130044032A KR20130044032A KR20140126034A KR 20140126034 A KR20140126034 A KR 20140126034A KR 20130044032 A KR20130044032 A KR 20130044032A KR 20130044032 A KR20130044032 A KR 20130044032A KR 20140126034 A KR20140126034 A KR 20140126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microphone
wireless power
charg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6214B1 (en
Inventor
정춘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to KR102013004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214B1/en
Publication of KR2014012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2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charging the same. The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includes: a housing; a microphone which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using and receives voice input to convert it into a voice electronic signal; a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voice electronic signal to an external voice output device;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microphone and the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microphone, the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supplying the power to the battery.

Description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WIRELESS MIC IMPLEMENTING WIRELESS CHARGING FUN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harging the wireless microphone.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charging the wireless microphone.

일반적으로, 노래방의 노래반주시스템은 노래반주기와 노래방 마이크를 구비하며, 노래반주기로부터 선곡된 노래반주곡이 재생되면,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노래방 마이크를 통하여 가창함으로써, 노래반주기에 스피커를 통하여 노래반주곡과 음성이 출력된다.Generally, the karaoke singing accompaniment system has a karaoke and a karaoke microphone. When a song accompaniment song selected from the karaoke machine is played, the karaoke microphone connects the karaoke microphone to the karaoke machine, And audio are output.

그런데, 이 노래방 마이크는 최근에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무선 마이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마이크는 음성 신호를 노래방기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배터리가 내장된다.However, recently, the karaoke microphone has been used as a wireless microphone for convenience of use. These wireless microphones have built-in batteries to transmit voice signals to karaoke equipment.

그런데, 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무선 마이크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노래방에서 마이크를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 위생상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f this battery is discharged, the wireless microphone will not operate. Also, when a lot of people use a microphone in karaoke, there is a hygiene problem.

본 발명은, 노래방등에서 사용되는 무선 마이크에 무선 충전 기능을 부가하여 무선 마이크가 방전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무선 마이크에 대하여 살균 처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위생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 wireless microphone from being discharged by add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to a wireless microphone used in a karaoke system or the like and allows a wireless microphone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to perform a sterilization process,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charging the wireless microphon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어서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음성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음성전기 신호를 외부 음성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 상기 마이크로폰 및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유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the wireless microphone including: a housing; A microphon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using for receiving a voice input and converting the voice input into a voice electrical signal;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voice electric signal to an external voice output devi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icrophone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crophon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hat receives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uses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내장되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수신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es: a receiving coil built in a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induced power generated from the receiving coil; And a reception controller for charging the battery using power from the rectifier.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은, 상기 수신 코일의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수신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흡수하는 차폐 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shield form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receiving coil and absorb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receiving coil.

여기서, 상기 무선 마이크는, 상기 무선 마이크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상기 캡에는, 상기 배터리가 더 내장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microphone may further include a cap,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may be embedded in the cap. In addition, the battery may be further embedded in the cap.

여기서, 상기 무선 마이크는, 상기 무선 마이크는, 상기 외부 음성 출력 장치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microphone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to the external audio output apparatus.

여기서, 상기 유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고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음성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음성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마이크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리세스부가 그 상면에 형성된 본체부; 상기 제 1 리세스부에 설치되어 무선 전력 신호를 상기 무선 마이크의 수신 코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코일; 상기 무선 마이크가 정상 충전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외부 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전송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마이크의 수신 코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wireless microphone charg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cess for accommodating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receiving a voice input and converting the voice input into a voice electrica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voice output device, A body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transmission coil installed in the first recess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 a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microphon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hether the wireless microphone is normally charged; A connector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wireless power signal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received through the connector unit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microphone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여기서,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를 수용하는 제 2 리세스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더 형성되며, 상기 전송 코일은 상기 제 2 리세스부에 더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recess portion accommodating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transmission coil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econd recess portion.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 및 상기 덮개 중 하나에 설치되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에 대하여 살균 및 탈취 처리하는이온 발생장치 및아로마향 분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may include a cover installed to cover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while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is in the charging position. And an ion generating device installed in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o sterilize and deodorize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and the aroma incense spray module.

여기서, 상기 제 1 리세스부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 2 리세스부는 단수개 설치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the first recess portions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recess portions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ly rechargeable input device may include one of a keyboard and a touch screen.

여기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입력 장치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1 차 코일을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rimary coil so as to simultaneously charge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input device.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마이크 충전부 및 상기 제 2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입력 장치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unit may include a microphone charging part formed with the first recessed part and an input device charging part formed with the second recessed part.

여기서, 상기 마이크 충전부와 상기 입력 장치 충전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Here, the microphone charging unit and the input device charging uni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electrically disconnectable from each other.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마이크에 무선 충전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되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an be added to a wireless microphone,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마이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선 마이크가 노래방기기에 사용되는 경우, 노래방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도 무선 충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터리 방전에 따른 사용상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 plurality of wireless microphones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but also when a wireless microphone is used in a karaoke system, an input device used for karaoke can be wirelessly char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advantage of the use due to the discharge in advance.

또한, 무선 마이크 및 입력 장치 충전 중에 이에 대한 살균 및 냄새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위생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are performed during charging of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input device, it is possible to help the hygien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테이블 위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테이블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harging a wireless microphon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harging a wireless microphon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ireless microphone charging in Fig. 5; Fig.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tabl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in a table;
9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harging the wireless micropho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후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100)는, 그 외형이 전체적으로 콘형상인 하우징(170)과 하우징(170)의 하면에 부착되는 캡(180)을 포함하며, 하우징의 측면에는 온오프 스위치와 노래방 기기 무선 마이크(100)의 경우, 노래방 기기에 대한 입력 신호(노래 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40)가 설치된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microphon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wireless microphone 100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70, which is a cone shape, and a cap 180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70 In the case of the on-off switch and the wireless microphone 100 of the karaoke system, a user input unit 140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song selection signal) to the karaoke system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 마이크(100)가 전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을 통해 비접촉으로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하우징(170)에 부착되는 캡(180)에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 및 배터리(130)가 장착되어서, 무선 마이크(100)의 본체부(210)와 분리하여 충전이 되고, 이 충전이 되는 동안에는 별도의 배터리를 무선 마이크(100)에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캡(180)에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만 내장되고, 배터리(130)는 하우징(17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장 및 수리 교환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microphone 100 can be charged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and the battery 130 are mounted on the cap 180 attached to the housing 170 to be charged separately from the body 210 of the wireless microphone 100, A separate battery can be attach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100 and used. Alternatively, onl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may be installed in the cap 180, and the battery 13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70. Thus, failure and repair exchange can be facilitated.

도 1 및 도 2에서는, 무선 마이크가 하우징과 캡으로 분리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무선 마이크가 하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1 and 2, the wireless microphone is separated into the housing and the cap.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wireless microphone may be a single housing.

이하에서는 상기 형상을 가지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100)의 전자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eless microphone 100 having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100)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100)는, 마이크로폰(110), 유무선 통신부(120), 배터리(130), 사용자 입력부(140),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 및 마이크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microphone 100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wireless microphone 100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110,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battery 130, a user input unit 140, A power receiving module 150 and a microphone control unit 160. [

마이크로폰(110)은 외부 음성 입력을 음성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요소로서, 압전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10 is a component for converting an external voice input into a voice electrical signal, and a piezoelectric element can be used.

유무선 통신부(120)는, 마이크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하여 마이크로폰(110)으로부터의 음성전기신호를 외부 음성 출력 장치(본 명세서에서는 노래방 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 때, 상기 음성 전기 신호는, 일반 유선 케이블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고, 지그-비나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s a component for outputting a voice electric signal from the microphone 110 to an external voice output device (karaoke system in this specif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hone control unit 160. [ At this time, the voice electrical signal may be transmitted by a general wired cable,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jig-pair or Bluetooth.

배터리(130)는 상기 유무선 통신부(120), 마이크로폰(110), 사용자 입력부(140) 및 무선 마이크(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리튬 배터리와 같은 2차 전지일 수 있다. 이 배터리(13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은 수신 코일(151)을 구비하여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로부터의 무선 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배터리(130)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170) 또는 캡(180)에 내장되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로부터의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151), 상기 수신 코일(151)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신 제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은, 상기 수신 코일(151)의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수신 코일(151)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흡수하는 차폐 쉴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차폐 쉴드에 의하여 수신 코일(151)에서 존재하는 자기장이 전자 회로(제어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임으로써 자기장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battery 130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the microphone 110, the user input unit 140 and the wireless microphone 100, and may be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battery. The battery 130 can be charg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includes a receiving coil 151 to receive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 to charge the battery 130 through the wireless coil.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includes a receiving coil 151 built in a lower end 170 or a cap 180 of the housing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 rectifying section for rectifying the induction power generated from the receiving coil 151 and a receiving control section 155 for charging the battery using the power from the rectifying sec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shield (not shown) form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receiving coil 151 and absorb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receiving coil 151.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in the magnetic field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existing in the receiving coil 151 by the shielding shield on the electronic circuit (control unit) Explain it.

사용자 입력부(14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마이크(100)가 노래방기기에 사용되는 경우, 노래를 선곡하고 실행하기 위한 입력 버튼이다. 이 사용자 입력부(140)는 키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ser input unit 140 is an input button for selecting and executing a song when the wireless microphone 100 is used in a karaoke system. The user in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key button or a touch screen.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100)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harging a wireless microphone 100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는 본체부(210), 덮개(220), 및 본체부로 외부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230)으로 이루어질 수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harging a wireless microphon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a main body 210, a cover 220, and a connector 230 for supplying external AC power to the main body.

본체부(210)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고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음성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음성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마이크(100)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리세스부(213)가 그 상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무선 마이크(100)에 대한 살균 및 탈취효과를 위하여 이온 발생 장치(215) 및 아로마향 분사 모듈(219)도 상기 본체부(2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의 측면에는 상기 리세스부(213)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부(211:LED)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표시부(211)는 각 리세스부(213)에 위치하는 무선 마이크(100)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체부(210)는 커넥터(230)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 커넥터(230)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210 includes a first recess 213 for receiving a wireless microphone 100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receiving an audio input and converting the audio electrical signal into an audio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audio electrical signal to an external audio output device. The ion generating device 215 and the aroma incense spraying module 219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in order to sterilize and deodorize the wireless microphone 100. [ In addition, a display unit 211 (LED)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 213. This display unit 211 is for indicat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wireless microphone 100 located in each recess 213. [ The main body 210 receives external power through the connector 230. The connector 230 may be provided with an adapter for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한편 덮개(220)는,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220)는, 무선 충전 중 이온 발생 장치(215)에 의한 살균 처리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아로마향 분사 모듈(219)이 상기 이온 발생 장치(215)와 함께 동작하여, 탈취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 덮개(220)의 형상은 도 4에서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반원구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이온 발생 장치(215)가 본체부(210)에 형성되어 있으나, 통상 살균 처리를 요구하는 부분이 무선 마이크(100)의 헤드부분임을 고려하면, 덮개(2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온 발생 장치(215)는 상기 리세스부(213)의 수만큼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리세스부에 무선 마이크(100)가 안착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이온 발생 장치(215)만 동작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lid 22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lid 220 is intended to more efficiently generate the sterilizing treatment operation by the ion generating device 215 during wireless charging. Further, the aroma incense spray module 219 operates together with the ion generating device 215, thereby maximizing the deodorizing function. The shape of the cover 22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4, or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4, the ion generating device 215 is formed on the main body 210. However, the ion generating device 215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220 considering that the portion requiring the sterilizing treatment is a head portion of the wireless microphone 100. [ Here, the ion generating device 215 may be installed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recesses 213, and when the wireless microphone 100 is mounted on the recess, only the corresponding ion generating device 215 It may also work.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제 2 실시예 중 도 4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를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서는,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의 상면에 노래방 기기용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300)를 수용하는 제 2 리세스부(217)가 더 형성된다.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300)란, 노래방에서 선곡, 음향 조절, 볼륨 조절, 영상 조절등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 터치스크린 중 하나일 수 있다. 노래방의 사용 양태에 기초하여,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본체부(210)에는 제 1 리세스부(213)가 복수개, 제 2 리세스부(217)가 단수개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리세스부(217) 하단에는 전송 코일(201)이 설치되고, 이 전송 코일들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240)가 그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harging a wireless microphon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harging the wireless microphone in Fig. 5 . 5, the same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4 ar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5, a second recess portion 217 for accommodating the wirelessly-chargeable input device 300 for a karaoke machine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for wireless microphone charging.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300 is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election, sound control, volume control, and image control in a karaoke system, and may be one of a keyboard and a touch screen. 5, a plurality of first recesses 213 are formed in the body 21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ireless microphone charg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unit 217 may be provided. 6, a transmission coil 20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217,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ircuit 240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coils can be install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217 have.

본 명세서에서는 노래방 기기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의실 등에서의 마이크 및 프레젠테이션 입력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karaoke syst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microphone and a presentation input device in a conference room or the like.

이하에서는 상기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마이크 및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가 설치된 예들을 도 7 및 도 8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xamples in which the microphone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are install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charging the microphon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테이블 위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테이블(T)위에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는, 마이크 충전부(200')와, 입력 장치 충전부(200")로 나뉘어지며, 마이크 충전부에는 제 1 리세스부(213)가, 입력 장치 충전부에는 제 2 리세스부(217)가 형성되며, 각 리세스부 아래에는 전송 코일(201)이 내장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tab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is divided into a microphone charging unit 200 'and an input device charging unit 200' on a table T, and a first recess unit 213 A second recess portion 217 is formed in the input device charging portion, and a transmission coil 201 is embedded below each recess portion.

그리고, 각 리세스부(213,217)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무선 마이크(100) 및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300)의 각 하단에는 수신 코일(151)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무선 마이크(100) 및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300)는 각 리세스부(213,217)에 설치된 전송 코일(201)로부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A receiving coil 151 is mounted on each lower end of the wireless microphone 100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300, which ar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respective recess portions 213 and 217. The wireless microphone 100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300 can receive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coil 201 installed in each of the recesses 213 and 217. [

한편 마이크 충전부(200')와 입력 장치 충전부(200")는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하나만 사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icrophone charging unit 200 'and the input device charging unit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detachable, so that only one can be us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테이블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가 테이블(T)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형태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테이블(T)의 상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충전을 하지 않는 경우에 테이블의 외관을 유려하게 하게 하고, 또한 테이블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in a tab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in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By constituting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can be flattene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table can be made to be good when charging is not performed, and the use of the table becomes convenient.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와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를 포함한다. 즉,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가 무선 전력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로 전송하면, 이 전력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전력으로 무선 마이크(100)의 배터리(130) 또는 입력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와 연결된 전자기기인 무선 마이크(100) 또는 입력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때,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는 별도로 구성되는 다수의 전송 코일(201)이 구비되며, 이 다수의 전송 코일(201) 중 무선 마이크(100) 및 입력 장치(300) 이 놓여진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전송 코일이 무선 전력 신호를 발신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9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150. [ That is,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transmits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transmits the wireless power signal Power of the battery 130 of the wireless microphone 100 or the battery of the input device or power is suppli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100 or the input device 300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e transmission coils 201, and the wireless microphone 100 and the input device 300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201, So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와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의 구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configuration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150 will be described,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시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는, 복수의 전송 코일(201)과 무선 전력 전송 회로(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송 코일(201)(1차측 코일)은 전력 신호를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 수신 모듈(150)의 수신 코일(151)에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 전송 코일(201)은, 본체의 리세스부 아래에 위치한다(도 6 참조).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which is a temporar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201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ircuit 240. Here, the transmission coil 201 (primary coil)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 power signal to the reception coil 151 of the power reception module 150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See FIG. 6).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을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100)가 리세스부(213)에 놓이면,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코일을 선정하고, 이 선정된 전송 코일을 통해 무선전력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201)과 별개로 설치되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240)는, 객체 감지부(221), 스위칭 제어부(223), 공진형컨버터(225), 구동드라이버(227), 전송 제어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9, when the wireless microphone 100 includ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is placed in the recess portion 213, at least one transmission coil corresponding thereto is selected, and through the selected transmission coil, And transmits the wireless power signal.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ircuit 24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201 includes an object sensing unit 221, a switching control unit 223, a resonant converter 225, a driving driver 227, (229).

상기 객체 감지부(221)는 상기 1차측 코일인 전송 코일(201)의 부하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부하변화가 무선 마이크(100)의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즉 아이디 확인부로서의 기능을 가짐),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로부터 전송된 응답 신호를 필터링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송 코일(201)을 통해 전송되는 객체 감지 신호의 응답신호인 객체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필터링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의 2차측 코일인 수신 코일(151)을 통해 전송되는 충전 검출 신호(즉, 정류부(153)에서 측정되는 정류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즉, 객체 감지부(221)는 복수의 전송 코일(201) 중 어느 코일에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여 객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전송 제어부에 제공할 뿐 아니라, 무선 마이크(100)의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로부터의 아이디 신호(마이크의 아이디 신호) 및 충전 상태 신호(배터리 상태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The object detection unit 221 detects a change in the load of the transmission coil 201 which is the primary coil and judges whether the load change is caus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of the wireless microphone 100 (I.e., functioning as an ID checking unit), and performs filtering and processing of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That is, when the object response signal, which is a response signal of the object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201, is received, the object response signal is filtered and processed. It also functions to process a charge detection signal (that is, a signal including the rectified voltag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rectifying section 153) transmitted through the receiving coil 151, which is the secondary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 That is, the object sensing unit 221 senses which coil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201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is positioned to generate an object sensing signal and provides the object sensing signal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D signal of a microphone) and a charge state signal (a signal relating to a battery state)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of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스위칭 제어부(223)는 공진형 컨버터(225)와 전송 코일들의 사이에 스위치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객체 감지부(221)에 의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응되는 코일이 선정되면, 이 선정된 코일로의 스위칭부는 온시키고, 선정되지 않은 코일로의 스위칭부는 오프시키는 기능을 하여, 공진형 컨버터(225)에서의 전력신호가 선정된 코일에만 전달되도록 한다. The switching control unit 223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between the resonant converter 225 and the transmission coils. That is, when a coi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s selected by the object detecting unit 221, the switching unit to the selected coil is turned on and the switching unit to the non-selected coil is turned off, So that the power signal from the converter 225 is transmitted only to the selected coil.

상기 공진형 컨버터(225)는 구동 드라이버(227)의 제어에 의해 송출하고자 하는 전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송출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전송 코일(201)로 공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전송 제어부(229)가 요구되는 전력값을 갖는 전력 신호의 송출을 위한 전력 제어 신호를 구동 드라이버(227)로 전송하면, 상기 구동 드라이버(227)는 전송된 전력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공진형 컨버터(225)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공진형 컨버터(225)는 구동 드라이버(227)의 제어에 의하여 요구되는 전력값에 대응하는 송출전원을 전송 코일(201)에 인가함으로써, 요구되는 세기의 무선 전력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복수개의 전송 코일(201)로부터 무선 마이크(100) 놓여졌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진형 컨버터(225)는 각각의 전송 코일에 대하여 별도의 전력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각각 독립적인 무선 전력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The resonant converter 225 generates a transmission power for generating a power signal to be transmitted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driver 227 and supplies the transmission power to the transmission coil 201. In other words, when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229 transmits a power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a power signal having a required power value to the drive driver 227, the drive driver 227 generates a resonance Type converter 225. The resonant converter 225 applies the supply power corresponding to the power value required by the control of the drive driver 227 to the transmission coil 201, So that the wireless power signal of the mobile station can be transmitted.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microphones 100 are laid out from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201, the resonant converter 225 generates a separate power signal for each of the transmission coils, A wireless power signal is generated.

또한, 상기 공진형 컨버터(225)는 구동 드라이버(227)의 제어에 의해 전송 코일들을 통해 각각 객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resonant converter 225 serves to supply power for generating an object sensing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s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driver 227.

상기 구동 드라이버(227)는 전송 제어부(229)의 제어를 통해 공진형 컨버터(225)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The driving driver 22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sonant converter 225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29.

전송 제어부(229)는 상기 객체 감지부(221)의 판단결과를 전송받아 확인하여 복수의 전송 코일(201) 중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위치한 전송 코일을 선정하고, 상기 스위칭제어부(223)를 제어하여 선정된 선정 코일부로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기능을한다. 또한, 상기 선정 전송 코일(201)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력 신호를 상기 구동 드라이버(227)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29 receives and determine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221 to select a transmission coil amo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201 where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is located and controls the switching control unit 223 And controls the switching unit to transmit the driving signal to the selected selecting coil unit. And transmits a power signal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through the selected transmission coil 201 to the driving driver 227. [

즉, 상기 전송 제어부(229)는 상기 객체 감지부(221)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신호(아이디 신호, 충전 상태 신호)를 분석처리하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 드라이버(227)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객체 감지 신호 생성하여 이를 전송 코일(201)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객체 감지부(221)로부터의 객체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정 전송 코일로 아이디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무선 마이크(100)의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로부터 아이디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구동 드라이버(227) 및 상기 공진형 컨버터(225)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That is,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29 analyzes the data signal (ID signal, charge state signal) received from the object sensing unit 221 and controls the drive driver 227 accordingly. And transmits the generated object detec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201. [ That is, upon receiving the object detection signal from the object detection unit 221, it transmits an ID request signal to the selected transmission coil, and receives an ID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of the wireless microphone 100 And controls the driving driver 227 and the resonant converter 225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signal accordingly.

그리고, 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는, 상기 송출된 전력 신호에 의해 유도전력을 생성하는 수신 코일(151)과, 유도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153) 및 수신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수신 모듈(150)에서 생성되는 전원은 무선 마이크의 배터리(130)로 공급되어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또한, 수신 제어부(155)는 상기 배터리(130)의 상태에 따른 충전상태 신호를 상기 수신 코일(151)을 통해 전송 장치(20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receiving the power signal and receiving the power includes a receiving coil 151 for generating inductive power by the transmitted power signal, a rectifying unit 153 for rectifying the induced power, And a reception control unit 155. [ The power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0 is supplied to the battery 130 of the wireless microphone to charge the battery. The reception control unit 155 transmits a charge state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130 to the transmission device 200 through the reception coil 151. [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마이크에 무선 충전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되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an be added to a wireless microphone,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마이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선 마이크가 노래방기기에 사용되는 경우, 노래방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도 무선 충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터리 방전에 따른 사용상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 plurality of wireless microphones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but also when a wireless microphone is used in a karaoke system, an input device used for karaoke can be wirelessly char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advantage of the use due to the discharge in advance.

또한, 마이크 및 입력 장치 충전 중에 이에 대한 살균 및 냄새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위생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are performed during charging of the microphone and the input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help the hygiene of the user.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microphones having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harging the microphone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0 :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110 : 마이크로폰
120 : 유무선 통신부
130 : 배터리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무선 전력 수신 모듈
151 : 수신 코일
153 : 정류부
155 : 수신 제어부
160 : 마이크 제어부
180 : 캡
200 :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201 : 전송 코일
210 : 본체
211 : LED 표시부
213 : 제 1 리세스부
215 : 이온 발생 장치
217 : 제 2 리세스부
220 : 덮개
221 : 객체 감지부
223 : 스위칭 제어부
225 : 공진형 컨버터
227 : 구동 드라이버
229 : 전송 제어부
230 : 커넥터
240 : 무선 전력 전송 회로
300 :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
100: Microphone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110: microphone
120: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130: Battery
140: user input section
150: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51: Receiving coil
153:
155:
160: Microphone control unit
180: cap
20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microphone charging
201: Transfer coil
210:
211: LED indicator
213: first recess portion
215: Ion generator
217: second recess portion
220: Cover
221: Object detection unit
223:
225: Resonant converter
227: Driving driver
229:
230: Connector
24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ircuit
300: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Claims (15)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어서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음성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음성전기 신호를 외부 음성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
상기 마이크로폰 및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마이크 제어부;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유무선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housing;
A microphon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using for receiving a voice input and converting the voice input into a voice electrical signal;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voice electric signal to an external voice output device;
A microphon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icrophone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crophon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microphone control unit;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hat receives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uses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내장되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수신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es:
A receiving coil embedded in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induced power generated from the receiving coil; And
And a reception controller for charging the battery using power from the rectifi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은,
상기 수신 코일의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수신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흡수하는 차폐 쉴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es:
And a shielding shield form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receiving coil and absorb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receiving coi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이 내장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microphone further includes a cap,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built in the cap.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배터리가 더 내장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ttery further comprises a battery charg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는,
상기 외부 음성 출력장치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microphon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user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to said external audio output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고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음성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음성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마이크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리세스부가 그 상면에 형성된 본체부;
상기 제 1 리세스부에 설치되어 무선 전력 신호를 상기 무선 마이크의 수신 코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코일;
상기 무선 마이크가 정상 충전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외부 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전송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마이크의 수신 코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having a first recess portion for receiving a wireless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input and converting the voice electrical signal to an external voice output device;
A transmission coil installed in the first recess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 a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microphon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hether the wireless microphone is normally charged;
A connector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ircuit for generating a wireless power signal using the external power received through the connector and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receiver coil of the wireless microphone via the transmission coil, Transmission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를 수용하는 제 2 리세스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더 형성되며,
상기 전송 코일은 상기 제 2 리세스부에 더 설치되는,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second recess portion for receiving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transmission coil is further provided in the second recess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 및 상기 덮개 중 하나에 설치되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에 대하여 살균 및 탈취 처리하는 이온 발생 장치 및 아로마향 분사 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cover installed to cover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while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is in a charging position; And
Further comprising an ion generating device and an aroma incense spraying module installed on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세스부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 2 리세스부는 단수개 설치되는,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plurality of the first recess portions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recess portions are provid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includes one of a keyboard and a touch scree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회로는,
상기 무선 마이크 및 상기 무선 충전 가능 입력 장치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1 차 코일을 제어하는,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ircuit comprising:
And controls the primary coil to charge the wireless microphone 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input device at the same ti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마이크 충전부; 및
상기 제 2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입력 장치 충전부를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microphone charging part formed with the first recessed part; And
And an input device charging unit in which the second recessed portion is form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충전부와 상기 입력 장치 충전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무선 마이크 충전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icrophone charging unit and the input device charging unit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KR1020130044032A 2013-04-22 2013-04-22 Wireless mic implementing wireless charging fun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 KR1019762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032A KR101976214B1 (en) 2013-04-22 2013-04-22 Wireless mic implementing wireless charging fun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032A KR101976214B1 (en) 2013-04-22 2013-04-22 Wireless mic implementing wireless charging fun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34A true KR20140126034A (en) 2014-10-30
KR101976214B1 KR101976214B1 (en) 2019-05-07

Family

ID=5199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032A KR101976214B1 (en) 2013-04-22 2013-04-22 Wireless mic implementing wireless charging fun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21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2303A (en) * 2017-04-05 2017-05-31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A kind of microphone stand with charge function and supporting wireless microphone
KR102251675B1 (en) * 2020-07-01 2021-05-12 최정선 Charging and deodorizing sterilizer for microphone
KR20210133433A (en) * 2020-04-29 2021-11-08 최규상 Microphone steriliz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887A (en) * 1994-01-21 199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actless battery charging wireless microphone
KR20060026381A (en)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엔터기술 Auto channel access apparatus of wiress microphone
KR100678370B1 (en) * 2005-08-31 2007-02-02 주식회사 엔터기술 Stand-type musical accompaniment
KR20130010797A (en) * 2011-07-19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being wirelessly charg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887A (en) * 1994-01-21 199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actless battery charging wireless microphone
KR20060026381A (en)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엔터기술 Auto channel access apparatus of wiress microphone
KR100678370B1 (en) * 2005-08-31 2007-02-02 주식회사 엔터기술 Stand-type musical accompaniment
KR20130010797A (en) * 2011-07-19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being wirelessly charg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2303A (en) * 2017-04-05 2017-05-31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A kind of microphone stand with charge function and supporting wireless microphone
KR20210133433A (en) * 2020-04-29 2021-11-08 최규상 Microphone sterilizer
KR102251675B1 (en) * 2020-07-01 2021-05-12 최정선 Charging and deodorizing sterilizer for micro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214B1 (en)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3696B2 (en) Wireless power system
JP6370075B2 (en) Hearing devices with coils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operating modes
CN103378655B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wireless charging method of reseptance and wireless terminal
US20100327803A1 (en) Non-contact charger
JP2015231098A (en) Vibration device and vibration method
KR101250267B1 (en) charg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 wireless for car
JP2014124080A (en) On-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1461101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US20190237978A1 (en) Intelligent charging usb splitter
KR101132743B1 (en) Power-sharing device capable of power sending and power receiving between the terminal
KR101976214B1 (en) Wireless mic implementing wireless charging fun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
CN101257217A (en) Non-contact charger and non-contact charging system
US8907623B2 (en) Construction site radio device
US11756719B2 (en) Wireless power system
JP6185396B2 (en) Wearable small electrical equipment
CN106856584A (en) Audiphone with power management
JP2012070566A (en) Non-contact rechargeable type electrical apparatus and charging system for the same
KR20100030473A (en) A combination remote controller which has lce and touch screen together
KR101433037B1 (en) Electronic instrument controller
JP5804303B2 (en) Power transmission equipment
KR20120114589A (en) Transformer type non-contact charging device having hands-free function
KR20180104381A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and power source selection methods thereof
CN108139581A (en) Visual aid with induced cell charging
KR20210018104A (en) Wireless power systems with charging status information
JP5678845B2 (en) Electric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