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633A -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633A
KR20140125633A KR20130043695A KR20130043695A KR20140125633A KR 20140125633 A KR20140125633 A KR 20140125633A KR 20130043695 A KR20130043695 A KR 20130043695A KR 20130043695 A KR20130043695 A KR 20130043695A KR 20140125633 A KR20140125633 A KR 20140125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scovery signal
signal
discove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민
곽용준
정경인
지형주
김윤선
최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5633A/ko
Priority to PCT/KR2014/003227 priority patent/WO2014171692A1/ko
Publication of KR2014012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송신 단말은 단말 대 단말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기초로 수신 단말에 전송할 제1 발견 신호 및 제2 발견 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 및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결정되는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에 제1 발견 신호 및 제2 발견 신호를 각각 할당하고, 제1 발견 신호 및 제2 발견 신호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signa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이 다른 단말을 인식하고 단말 대 단말 통신 관련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발견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동기 셀룰러 이동 통신 표준 단체인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기존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통신뿐 아니라 단말 또는 기기 간의 무선 통신, 즉 D2D (Device-to-Device) 통신을 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규격에서 지원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3GPP에서 논의되는 D2D 통신을 위해서는 한 D2D 단말이 주변 다른 D2D 단말들을 발견(Discovery)하는 동작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각 D2D 단말은 발견 신호(Discovery signal)를 전송한다. 발견 신호는 다른 D2D 단말들이 상기 D2D 단말이 주변에 존재함을 인식하는 데 사용된다.
발견 신호의 활용을 위해, 예를 들면,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 송수신 시스템에서 발견 신호 송수신을 위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이 결정된다. 시스템 내의 각 D2D 단말들은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내에서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된 각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통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하고 그 외의 발견 신호 송수신 가능 자원에서 다른 D2D 단말들이 전송한 발견 신호 검출을 시도한다. 이와 같이 발견 신호 송수신 가능 자원은 시스템 내 존재하는 상당 수의 D2D 단말들을 수용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각 D2D 단말에게 할당된 각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은 해당 D2D 단말 ID와 같이 시스템 내 D2D 단말 구분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D2D 단말들은 다른 D2D 단말의 발견 신호 검출을 시도한 후, 각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검출 신호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 대응되는 D2D 단말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발견 신호는 기준 신호, 시퀀스 또는 단일 톤 (Single tone) 등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발견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및 주파수 자원 할당과 해당 자원에서의 발견 신호 존재 여부를 통해 가장 단순한 형태의 발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발견 신호 자체에 발견 관련 정보 비트들이 포함되도록 설계하여 발견 과정에서 D2D 서비스에 유용한 정보(이하, 'D2D 서비스 관련 정보'라 함)들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D2D 서비스 관련 정보로는 첫 번째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를 위한 ID (이하, 'D2D ID'라 함)를 예로 들 수 있다. D2D ID는 각 D2D 단말 고유의 ID로써 시스템 상에서 D2D 단말을 구분을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 정보로 Application ID를 예로 들 수 있다. Application ID는 D2D 단말에서 사용하는 application (예를 들면, 카카오 톡 또는 페이스 북) 고유의 ID로써 단말에서 사용하는 application들을 구분할 수 있다. 세 번째 정보의 예로 Application-specific user ID를 들 수 있다. Application-specific user ID는 D2D 단말의 어떤 application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부여된 ID로서, 예를 들면 카카오 톡 또는 페이스 북의 사용자 계정 또는 별명을 들 수 있다. 네 번째 정보로서 interest ID를 예로 들 수 있다. interest ID는 application 또는 사용자가 정의한 사용자 콘텐츠/선호/필요를 나타내는 ID이다. 간단한 예로 interest ID를 이용하여 “할인 판매” 또는 “숙박 안내” 와 같은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D2D 서비스 관련 정보들을 발견 신호에 포함할 경우, 각 D2D 단말 사용자들은 발견 과정을 통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D2D 단말을 인식할 뿐 아니라, 각 D2D 단말의 interest, 자신과 동일한 application 또는 관심 있는 application을 사용하는 D2D 단말, 특정 application의 특정 별명 또는 계정을 가진 D2D 단말의 존재 등 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고품질의 D2D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단, 앞에서 설명한 각종 ID 정보의 길이는 수십~수백 비트, 또는 그 이상이 될 것이므로 ID 비트들을 운반하는 발견 신호는 특정 통신 자원이 할당된 물리 계층 채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D2D 단말들의 발견 신호 수신 성능 보장을 위해 채널 코딩 또는 CRC (Cyclic Redundancy Check)를 ID 비트 정보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고품질의 D2D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D2D 서비스 관련 정보를 발견 신호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발견 신호 송수신 가능 자원의 대부분의 걸쳐 상당 수의 D2D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수십~수백 비트 또는 그 이상의 D2D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발견 신호들에 대해 검출을 시도하는 것은 D2D 단말 수신 단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또한 서비스 타입 또는 품질에 따라서 요구되는 D2D 서비스 정보 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다수의 발견 신호 타입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발견 신호 설계 시 특정 set 내에서 가변적인 D2D 서비스 정보 량을 포함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견 신호 검출 시 D2D 단말 수신 단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한 발견 신호 설계를 포함하여 발견 신호 자원 할당, 발견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송신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수신 단말에 전송할 제1 발견 신호 및 제2 발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 및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결정되는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에 상기 제1 발견 신호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를 각각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견 신호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수신 단말의 발견 신호 수신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발견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 정보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발견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 정보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 정보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송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송신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 장치로서, 수신 단말로 상기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발견 신호 전송부; 및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할 제1 발견 신호 및 제2 발견 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 및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결정되는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에 상기 제1 발견 신호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를 각각 할당하고, 상기 수신 단말로 제1 발견 신호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수신 단말의 발견 신호 수신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결정된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발견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발견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 정보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상기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제2 발견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 정보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 정보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송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발견 신호를 제1 및 제2 발견 신호로 구분하여 생성하고, 제1 발견 신호의 전송 자원을 통해 제2 발견 신호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D2D 단말의 수신단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단말 발견 방법의 개요 및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송신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수신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신호 생성 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신호 생성 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신호 생성 방법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 채널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 채널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매핑(mapping)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단말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OFDM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 특히 3GPP EUTRA 표준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신호 설계 방법을 포함하여 발견 신호 자원 할당, 발견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단말 발견 방법의 개요 및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또는 D2D 송신 단말)과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또는 D2D 수신 단말) 사이의 발견 신호 송수신 및 처리 과정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D2D 지원 네트워크 상위 계층(100)은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 상위 계층(101)으로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 용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를 전달(102)하고,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 상위 계층(103)으로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 용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를 전달(104)한다. 여기서 D2D 지원 네트워크 상위 계층(100)은 기지국(eNB)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 각종 네트워크 엔터티(entity)가 모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는 D2D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모든 D2D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D2D 서비스 관련 정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2D ID, Application ID, Application-specific user ID, 및 Interest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는 D2D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의해 미리 만들어질 수 있다.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 상위 계층(101)은 D2D 지원 네트워크 상위 계층(100)으로부터 전달 받은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를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 물리 계층(105)으로 전달(106)한다. 이후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 물리 계층(105)은 자신이 송신할 D2D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발견 신호(first discovery signal)와 제2 발견 신호(second discovery signal)를 생성(107)한다.
여기서 제1 발견 신호는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이 주변 D2D 단말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발견 신호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나머지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 물리 계층(105)은 생성된 제1 및 제2 발견 신호를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로 전송(108)한다. 여기서 발견 신호 전송 가능 자원 영역은 미리 결정되어 있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받을 수 있다. 또한 발견 신호 전송 가능 자원 영역 중 각 D2D 단말이 사용하는 자원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을 수 있으며, 만일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경합 기반(contention based) 방식으로 각 발견 신호 D2D 단말들이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단, 후자의 경우 D2D 단말들은 발견 신호 간 충돌 가능성을 감수하게 된다.
한편,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 상위 계층(1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D2D 지원 네트워크 상위 계층(100)으로부터 전달 받은 리스트를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 물리 계층(109)으로 전달(110)한다. 이후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 물리 계층(109)은 전술한 발견 신호 전송 가능 자원 영역 내에서 자신이 할당 받은 발견 신호 자원 외의 다른 자원 영역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견 과정 (이하, 'Two step 발견 과정'이라 함)을 수행(111)한다.
여기서 Two step 발견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은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로부터 첫 번째 발견 신호를 수신하여 전술한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일부를 검출하고 해당 정보를 자신의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와 비교한다.
여기서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 자신의 interest 또는 필요와 부합하는 정보가 발견되면 해당 정보를 포함한 첫 번째 발견 신호와 관련된 두 번째 발견 신호의 정보 검출을 시도한다. 두 번째 발견 신호로부터 검출한 D2D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해 자신의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와 비교 및 에러 체크 후 이상이 없다면,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은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 상위 계층(103)으로 검출한 D2D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달(112)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송신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106 단계 내지 108 단계에 따른 D2D 송신 단말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210 단계에서 D2D 송신 단말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를 획득한다. 이후 220 단계에서 송신 단말은 210 단계에서 획득한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를 기반으로 자신이 전송할 제1 및 제2 발견 신호를 생성한다.
220 단계의 구체적인 발견 신호 생성 방법에는 이후 설명할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발견 신호의 전송을 위한 물리 채널의 형태에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이후 230 단계에서 제1 발견 신호 자원이 결정된다. 제1 발견 신호 자원은 기지국 또는 D2D 송신 단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240 단계에서 결정되는 제2 발견 신호 자원은 230 단계에서 결정된 제1 발견 신호 자원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230 단계와 240 단계의 발견 신호 자원 결정 과정에는 도 9 내지 도 15의 실시예들 중 하나를 적용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명시적인(explicit) 자원 할당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D2D 송신 단말은 250 단계에서 이상과 같이 결정된 자원을 통하여 제1 및 제2 발견 신호를 전송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신호 전송 동작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수신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110 단계 내지 112 단계에 따른 D2D 수신 단말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D2D 수신 단말은 310 단계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를 획득한다. 이후 320 단계에서 가능한 모든 제1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해 제1 발견 신호 정보 검출을 시도한다.
330 단계에서는 320 단계에서 검출된 제1 발견 신호 정보와 310 단계에서 획득한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를 비교하고, 검출된 제1 발견 신호 정보가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 중 자신의 interest와 부합하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일부, 예를 들면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전체 비트 중 LSB(Least Significant Bit) 16비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340 단계에서 D2D 수신 단말의 interest와 부합되는 제1 발견 신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D2D 수신 단말은 350 단계로 진행하여 제1 발견 신호 자원으로부터 대응하는 제2 발견 신호 자원을 인지한다. 그리고 360 단계에서는 인지한 제2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해 제2 발견 신호 정보 검출을 시도한다. 350 단계의 자원 결정 과정에는 도 9 내지 도 15의 실시예들 중 하나를 적용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명시적인(explicit) 자원 할당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만일 340 단계에서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와 부합하는 제1 발견 신호 정보가 없다면, 320 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제1 발견 신호 검출을 시도한다.
360 단계에서 검출된 두 번째 발견 신호의 정보에 대해 370 단계에서는 D2D 수신 단말이 최종적으로 획득한 발견 신호 정보와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동시에 CRC 등을 이용한 에러 체크를 수행한다. 여기서 최종 발견 신호 정보 획득 및 에러 체크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발견 신호 생성 방법에 대한 가정 하에 수행될 수 있다.
380 단계에서 만일 D2D 단말 자신의 interest와 부합되고 에러가 없는 발견 신호 정보가 존재한다면, D2D 수신 단말은 39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레벨과 같은 상위 레벨로 전달한다. 그에 따라 D2D 수신 단말은 D2D 송신 단말에 대하여 D2D 서비스 관련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interest와 부합되지 않거나 에러 발생이 감지된 경우, 320 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제1 발견 시도 검출을 시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단계들을 수행한 후, D2D 수신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신호 수신 동작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신호 생성 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술한 도 1의 제1 및 제2 발견 신호 생성 과정(107) 및 도 2의 220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이 알리고자 하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크기가 전체 100비트라고 가정할 때, 전체 100비트 정보 중 LSB 16비트를 제1 발견 신호 생성에 사용(400)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견 신호에 포함되는 16비트의 정보는 전체 D2D 서비스 관련 정보 100비트에 대해 모듈로(modulo) 연산을 취하여 획득 가능하다. 또한 제1 발견 신호 검출 시 에러 체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CRC를 추가할 수 있다. 만일 제1 발견 신호의 구조가 16비트 정보와 CRC를 모두 포함하기 어려운 경우, CRC 추가는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체 100비트 정보 중 제1 발견 신호 생성에 사용된 16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84비트는 제2 발견 신호 생성에 사용(401)된다. 여기서 제2 발견 신호 검출 시 에러 체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CRC가 추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생성에 사용되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구체적인 정보 비트 수는 본 실시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신호 생성 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술한 도 1의 제1 및 제2 발견 신호 생성 과정(107) 및 도 2의 220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4와 같은 비트 수의 가정 하에서 제1 발견 신호 생성 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체 100비트의 정보 중 16비트의 일부 정보를 사용(500)하고, 제2 발견 신호 생성 시 제1 발견 신호 생성을 위해 사용한 16비트를 포함한 전체 D2D 서비스 관련 정보 100비트를 모두 사용(501)한다. 이는 제1 발견 신호 검출 후 제2 발견 신호 검출에서 전체 100비트에 대해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리스트와의 비교 및 에러 체크를 수행함으로써 수신단의 검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견 신호 생성 방법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술한 도 1의 제1 및 제2 발견 신호 생성 과정(107) 및 도 2의 220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도 4와 같은 비트 수의 가정 하에서 제1 발견 신호 생성 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체 100비트의 정보 중 16비트의 일부 정보를 사용(600)하고, 제2 발견 신호 생성 시 제1 발견 신호 생성을 위해 사용한 16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84비트를 사용(601)한다.
또한 제2 발견 신호 생성에 사용되는 CRC의 길이가 16비트라고 가정할 때, 제1 발견 신호에 포함된 16비트를 CRC에 마스킹(masking)(602)한다. 이는 제2 발견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비트 수의 증가를 피하고 84비트를 유지하는 동시에 CRC masking을 통해 제1 발견 신호에 대한 16비트 정보를 제2 발견 신호에 포함하고 CRC와 함께 에러 체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수신단의 검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 채널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수신단 부담을 줄이기 위한 Two step 발견 과정을 고려할 때, 첫 번째 발견 신호는 최대한 많은 정보 비트를 포함하기보다는 제2 발견 신호 대비 적은 정보 비트를 포함하면서 다수의 D2D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1 발견 신호가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유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발견 신호가 3GPP LTE 규격의 제어 채널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특히, D2D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임을 감안하여 LTE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중 가장 많은 정보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format 3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PUCCH format 3 구조는 시간 상으로 1ms 길이의 서브프레임 (subframe)과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0.5ms 길이의 슬롯(slot) 2개, 그리고 주파수 상으로 12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차지하는 RB(Resource Block) 자원 단위를 사용한다. 여기서 한 슬롯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5개의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symbol)과 기준 신호인 RS(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2개의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견 신호가 전송되는 마지막 슬롯의 마지막 하나의 SC-FDMA 심볼에서는 발견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는 발견 신호 송수신 가능 서브프레임들이 연속적으로 존재할 경우, 발견 신호 송수신 가능 서브프레임 중 각 D2D 단말이 자신의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특정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에서는 다른 D2D 단말로부터의 발견 신호 수신 및 검출을 시도해야 하는데, 이때 하나의 심볼을 발견 신호 송신 및 수신 전환을 위한 시간 구간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PUCCH format 3는 QPSK 변조 방식을 이용하며 한 채널 당 최대 22 정보 비트 (48 인코딩된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데, 정보 비트들은 먼저 700 단계에서 인코딩(encoding)을 거친다. 여기서 최대 22비트의 정보를 제1 발견 신호에 포함되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 비트들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정보 비트들은 둘로 나뉘어 각각 (32,O) RM(Reed Muller) 코딩을 거친다. 이후 상기 두 RM 인코딩된 비트들은 48 인코딩 비트 수에 맞추기 위한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과정을 거친다. 이후 701 단계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및 702 단계의 QPSK 변조(modulation) 과정을 거쳐 24 QPSK 심볼 열이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d(0), d(1), … , d(22), d(23)으로 표현한다.
상기 QPSK 심볼들 중 앞의 12 심볼은 첫 번째 슬롯에 포함되고 나머지 12 심볼은 두 번째 슬롯에 포함된다. 각 슬롯 별 12 심볼들은 SC-FDMA 데이터 심볼들에서 직교 커버(Orthogonal cover) 코드와 곱해진다(703). 도 7의 W0, W1, W2, W3, W4는 첫 번째 슬롯에 사용되는 길이 5 orthogonal cover 코드의 각 element를 의미하며, W'0, W'1, W'2, W'3는 두 번째 슬롯에 사용되는 길이 4 orthogonal cover 코드의 각 element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마지막 슬롯의 마지막 한 SC-FDMA 심볼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했으므로 두 번째 슬롯에 길이 4인 orthogonal cover 코드가 적용되는 것이며, 이 가정 하에서는 상기 orthogonal cover를 이용하여 4개의 서로 다른 D2D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1 발견 신호들을 한 서브프레임 내의 동일한 RB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각 SC-FDMA 데이터 심볼 내에서 orthogonal cover 코드와 곱해진 12 심볼들은 주파수 상 CS(Cyclic Shift)되고(704) 길이 12의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입력 단으로 들어간다(704). 이후 DFT 출력이 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입력 단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에 mapping되고(706), IFFT 과정을 거쳐 SC-FDMA 신호가 생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 채널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수신단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Two step 발견 과정을 고려할 때, 제1 발견 신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제2 발견 신호를 검출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제1 발견 신호는 제2 발견 신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정보 비트를 포함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강한 채널 코딩을 적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인코딩된 비트 수를 포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발견 신호는 3GPP LTE 규격의 데이터 채널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특히, D2D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임을 감안하여 LTE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PUSCH 구조는 시간 상으로 1ms 길이의 서브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0.5ms 길이의 슬롯 2개, 주파수 상으로 12개의 부반송파를 차지하는 RB 자원 단위를 사용한다. 여기서 한 슬롯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6개의 SC-FDMA 심볼과 기준 신호인 RS를 포함하는 1개의 SC-FDMA 심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마지막 슬롯의 마지막 한 SC-FDMA 심볼은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PUSCH는 다양한 변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발견 신호 검출 시 성능을 고려하여 QPSK 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가정 하에 한 서브프레임 및 RB 자원에서 PUSCH는 11 SC-FDMA 데이터 심볼 X 12 부 반송파 X 변조 심볼 당 2비트 = 264 인코딩된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 비트들은 먼저 800 단계에서 인코딩(encoding)을 거친다. 여기서 정보 비트의 양은 채널 코딩 율에 따라서 가변적이다. 만일 1/2 채널 코딩을 가정한다면 132 정보 비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더 강한 1/4 채널 코딩 가정 시 66 정보 비트 전송이 가능하다. 채널 코딩된 비트들은 이후 801 단계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및 802 단계의 QPSK 변조(modulation) 과정을 거쳐 심볼 열을 생성한다. 생성된 심볼들은 순서대로 각 SC-FDMA 데이터 심볼의 길이 12의 DFT 입력 단으로 들어간다. 이후 DFT 출력이 IFFT 입력 단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에 mapping되고 IFFT 과정을 거쳐 SC-FDMA 신호가 생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매핑(mapping)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과 제2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이 시간 상으로 구분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각 D2D 단말의 제1 및 제2 발견 신호는 주파수 상 한 RB, 시간 상 한 서브프레임 단위로 할당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D2D 단말들의 제1 발견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위치 상 미리 설정된 서브프레임 수로 구성된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0, 907)) 내의 자원에 할당된다.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0, 907)은 시간축 상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901)를 가지며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0, 907)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구간(902) 뒤에 두 번째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3, 908)이 존재한다.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3, 908) 의 자원에 각 D2D 단말들의 제2 발견 신호들이 할당된다.
이하, 904, 905, 906 각 행의 블록은 6 RB 채널 대역폭을 가정할 때 서브프레임 단위에서 6개의 D2D 단말(A, B, C, D, E, F)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제1 발견 신호 자원 및 제1 발견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제2 발견 신호 자원이 매핑(mapping)되는 서로 다른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A~F D2D 단말들의 제1 발견 신호들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0) 내의 시간 상 위치와 제2 발견 신호들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3) 내 시간 상 위치는 동일하거나 또는 특정 서브프레임 수만큼 차이를 갖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음 주기에 나타나는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7)과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8)에서는 A~F D2D 단말들의 이전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0)과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3) 대비 시간 및 주파수 상 위치가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발견 신호 자원 각각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이동 값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매 제1 및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 출현 시마다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이 호핑(hopping)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변화를 enable 또는 disable 하는 설정이 기지국으로부터 각 D2D 단말들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변화는 시스템 내 특정 D2D 단말들이 계속 낮은 품질의 채널에 발견 신호 자원을 할당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904 행에서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0) 내 특정 서브프레임을 보면, 각 6개의 D2D 단말의 제1 발견 신호가 가장 위 RB 부터 아래 RB까지 순서대로 할당된다. 이어지는 해당 D2D 단말들의 제2 발견 신호는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3) 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발견 신호와 동일한 RB에 매핑(mapping) 된다.
다음으로 905의 경우,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0) 내 특정 서브프레임을 보면, 각 6개의 D2D 단말의 제1 발견 신호가 가장 위 RB 부터 아래 RB까지 순서대로 할당된다. 이어지는 해당 D2D 단말들의 제2 발견 신호는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3) 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발견 신호와 2 RB 만큼의 오프셋(offset)을 갖도록 매핑(mapping) 된다. 또한 905의 실시예에서는 다음 주기의 제1 및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7, 908)의 주파수 위치가 이전 대비 3 RB 이동된다.
906 행의 경우,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0) 내 특정 서브프레임을 보면, 첫 번째 슬롯에서 각 6개의 D2D 단말의 첫 번째 발견 신호가 가장 위 RB 부터 아래 RB까지 순서대로 할당된다. 이후 두 번째 슬롯에서는 각 6개의 D2D 단말의 첫 번째 발견 신호 자원이 첫 번째 슬롯에 대하여 3 RB만큼 shift 된다. 이러한 슬롯 단위 hopping 방법은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통한 첫 번째 발견 신호 검출의 성능 향상을 위한 것이며, 제2 발견 신호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어지는 해당 D2D 단말들의 제2 발견 신호는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903) 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발견 신호와 동일한 RB로 mapping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과 제2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상으로 구분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000, 1002)은 미리 설정된 주기(1001)를 갖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 1000의 다음 주기에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 1002가 나타난다.
이하, 1003, 1004, 1005 각 행의 블록은 6 RB 채널 대역 폭을 가정할 때 서브프레임 단위에서 3개의 D2D 단말(A, B, C)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제1 발견 신호 자원 (A-1, B-1, C-1) 및 제1 발견 신호 자원으로부터 제2 발견 신호 자원(A-2, B-2, C-2)이 매핑(mapping)되는 서로 다른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A~C D2D 단말들의 발견 신호들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000) 내 시간 상 위치와 다음 주기에 나타나는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002) 내 시간 상 위치는 동일하거나 또는 특정 서브프레임 수 만큼 차이를 갖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음 주기에 나타나는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002)에서는 A~C D2D 단말들의 이전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000) 대비 시간 및 주파수 상 위치가 일정한 값을 가지며 cyclic하게 shift될 수 있다. 또는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 출현 시 마다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이 hopping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변화를 enable 또는 disable 하는 설정이 기지국으로부터 각 D2D 단말들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변화는 시스템 내 특정 D2D 단말들이 계속 낮은 품질의 채널에 발견 신호 자원을 할당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1003 행의 경우,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000) 내 특정 서브프레임에 각 3개의 D2D 단말의 제1 및 제2 발견 신호가 인접한 RB에 위치하도록 번갈아서 A~C 단말 순서대로 가장 위 RB 부터 아래 RB까지 할당될 수 있다. 이는 제1과 제2 발견 신호가 유사한 채널 상태를 겪어서 수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제2 발견 신호가 낮은 품질의 채널을 겪어 수신된다면 제1 발견 신호가 우수한 채널을 겪어 수신되었더라도 전체적인 발견 신호 검출 성능이 열화 될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제1 발견 신호가 잘 검출된 경우에 대해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두 발견 신호를 인접한 RB에 할당할 수 있다.
1004 행에서는 다른 가능한 mapping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A~C 단말의 제1 발견 신호가 인접한 RB에 위치하면서 A~C 단말 순서대로 가장 위 RB 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뒤, A~C 단말의 제2 발견 신호가 인접한 RB에 위치하면서 A~C 단말 순서대로 가장 위 RB 부터 순서대로 할당된다.
1005 행의 경우,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000) 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첫 번째 슬롯에 1003 행과 동일하게 할당된 3개의 D2D 단말의 발견 신호 자원이 두 번째 슬롯에서는 3 RB만큼 shift 된다. 이러한 슬롯 단위 hopping 방법은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통한 발견 신호 검출의 성능 향상을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과 제2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이 시간 상으로 구분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각 D2D 단말의 제1 및 제2 발견 신호는 주파수 상 한 RB, 시간 상 한 서브프레임 단위로 할당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D2D 단말들의 제1 발견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위치 상 미리 설정된 서브프레임 수로 구성된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100) 내 자원에 할당된다.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100)은 미리 설정된 주기(1101)를 가지며 존재한다. 또한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000)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구간(1102) 뒤에 다수의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들(1103, 1104)이 존재한다.
여기서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은 발견 주기(1101) 내에 다수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주기(1101) 내에서 다수의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들(1103, 1104)은 미리 결정된 시간 구간(1105)을 가지며 존재할 수 있다. 이 시간 구간(1105)의 값은 1102의 시간 구간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다수의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103, 1104) 내의 자원에 각 D2D 단말들의 제2 발견 신호들이 할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시간 및 주파수 자원 mapping 방법 및 hopping 또는 일정한 offset 적용 방법으로서,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단,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와 본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자원 영역을 가능한 발견 신호 타입 개수만큼의 다수의 부 영역들로 분할하고, 제1 발견 신호가 어떤 부 영역 내의 무선 통신 자원에 할당되었는가에 따라서 제2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 단위의 크기를 함께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자원 영역을 통해 해당 발견 신호의 타입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발견 신호가 포함하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크기에 따라 발견 신호의 타입이 결정되며, 가능한 발견 신호 타입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견 신호의 타입은 D2D 서비스의 종류 또는 전송되는 컨텐츠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발견 신호 타입이 다르면 발견 신호 정보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RB 단위의 제2 발견 신호를 갖는 단말들의 제1 발견 신호는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100)에서 채널 대역폭 6 RB 중 가장 위 2 RB 영역 내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1의 경우, 여기에는 단말 A, B의 발견 신호들이 해당된다. 또한 2RB 단위의 제2 발견 신호를 갖는 단말들의 제1 발견 신호는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100)에서 채널 대역폭 6 RB 중 중간의 2 RB 영역 내에 할당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단말 C, D의 발견 신호들이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3RB 단위의 제2 발견 신호를 갖는 단말들의 제1 발견 신호는 제1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100)에서 채널 대역폭 6 RB 중 아래의 2 RB 영역 내에 할당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단말 E, F의 발견 신호들이 해당된다.
이때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을 하나만 사용하게 되면 A~F 단말들의 제2 발견 신호를 모두 수용할 수 없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103, 1104)이 활용되는 경우,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103)에는 단말 A, B의 1RB 단위의 제2 발견 신호 및 단말 C, D의 2RB 단위의 제2 발견 신호가 6개의 RB에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104)에는 단말 E, F의 3RB 단위의 제2 발견 신호가 6개의 RB에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다른 방법으로,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 하나를 사용하는 대신 해당 서브프레임 군의 길이, 즉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A~F 단말들의 제2 발견 신호를 수용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과 제2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상으로 구분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200)은 미리 설정된 주기(120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200) 다음 주기에 나타나는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1202)까지 도시되어 있다.
또한, 12 RB 채널 대역폭을 가정할 때 서브프레임 단위에서 4개의 D2D 단말(A, B, C, D)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제1 발견 신호 자원 (A-1, B-1, C-1, D-1) 및 제2 발견 신호 자원(A-2, B-2, C-2, D-2)이 mapping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실시예의 기본적인 시간 및 주파수 자원 mapping 방법 및 hopping 또는 일정한 offset 적용 방법으로는 도 10에서 보인 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단,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본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자원 영역을 가능한 발견 신호 타입의 개수만큼의 다수의 부 영역들로 분할하고, 제1 발견 신호가 어떤 부 영역 내의 무선 통신 자원에 할당되었는가에 따라서 제2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 단위의 크기를 함께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자원 영역을 통해 해당 발견 신호의 타입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발견 신호가 포함하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크기에 따라 발견 신호의 타입이 결정되며, 가능한 발견 신호 타입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RB 단위의 제2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들의 제1 발견 신호와 제2 발견 신호는 채널 대역 폭 12 RB 중 가장 위 4 RB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단말 A, B의 제1 발견 신호 A-1, B-1과 제2 발견 신호 A-2, B-2가 해당된다. 또한 2RB 단위의 발견 신호를 갖는 단말들의 제1 발견 신호 및 제2 발견 신호는 채널 대역 폭 12 RB 중 전술한 4RB 다음의 3 RB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단말 C의 제1 발견 신호 C-1과 제2 발견 신호 C-2가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4RB 단위의 제2 발견 신호를 갖는 단말들의 제1 발견 신호 및 제2 발견 신호는 채널 대역 폭 12 RB 중 가장 아래 5 RB 영역 내에 할당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단말 D의 제1 발견 신호 D-1과 제2 발견 신호 D-2가 해당된다.
이때 발견 신호를 할당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A~D 단말들의 발견 신호들을 하나의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에 모두 수용할 수 없으므로, 다수의 제2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을 활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발견 신호를 할당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A~D 단말들의 발견 신호들을 서브프레임 군 하나를 사용하여 모두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발견 신호(1300)는 도 7에서 설명한 대로 PUCCH format 3와 같은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견 신호(1301)는 도 8에서 설명한 대로 PUSCH와 같은 데이터 채널 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를 위한 주파수 자원이 각각 PUCCH와 PUSCH를 위한 주파수 자원과 같이 구분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D2D 단말의 발견 신호 자원 할당을 결정하는 주체는 기지국 또는 제1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D2D 단말이 될 수 있다.
PUSCH 구조의 제2 발견 신호는 자원 할당 시 PUSCH 영역에서 VRB(Virtual RB) 단위로 할당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VRB 인덱스를 “PUSCH VRB”로 표기한다. 반면, PUCCH format 3 구조의 제1 발견 신호는 자원 할당 시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UE-specific하게 각 D2D 단말에게 전송되는 파라미터 “N_1st_discovery”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제1 발견 신호가 전송되는 RB 인덱스와 orthogonal cover 코드 인덱스 및 cyclic shift 값이 모두 N_1st_discovery의 함수로 결정된다. 또한 제1 발견 신호들이 할당되는 PUCCH 자원 영역은 본 실시예에 보인 바와 같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획득 목적으로 슬롯 단위로 hopping 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발견 신호가 PUCCH format 3 구조를 갖는 경우, 서브프레임 내 가장 마지막 SC-FDMA 심볼을 발견 신호 송신 및 수신 전환 구간으로 사용한다면 orthogonal cover를 통해 한 RB 내에 최대 4개 단말로부터의 제1 발견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4개 단말로부터의 제1 발견 신호에 대한 N_1st_discovery를 각각 N_1st_discovery 0, N_1st_discovery 1, N_1st_discovery 2, N_1st_discovery 3라 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N_1st_discovery 0~3이 각각 PUSCH VRB 0~3과 일 대 일 대응된다. 따라서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들은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된 자원으로부터 제2 발견 신호가 할당된 자원을 별도 시그널링 없이 파악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발견 신호(1400)와 제2 발견 신호(1401) 구조 및 자원 할당 파라미터에 대한 가정은 전술한 도 13과 동일하다. 또한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를 위한 주파수 자원이 각각 PUCCH와 PUSCH를 위한 주파수 자원과 같이 구분된다고 가정한다. 이 때 각 D2D 단말의 발견 신호 자원 할당을 결정하는 주체는 기지국 또는 첫 번째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D2D 단말이 될 수 있다.
도 13과 대비하여 도 14의 실시예가 갖는 차별 점은 동일한 주파수 영역에 2배로 증가된 수의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제1 및 제2 발견 신호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8개의 D2D 단말로부터 전송된 첫 번째 발견 신호에 대한 N_1st_discovery를 각각 N_1st_discovery 0~7이라 한다면, N_1st_discovery 0~3은 각각 PUSCH VRB 0~3과 순서대로 일 대 일 대응된다. 그리고 N_1st_discovery 4~7 역시 각각 PUSCH VRB 0~3과 순서대로 일 대 일 대응된다. 따라서 하나의 동일한 제2 발견 신호 할당 자원 단위 안에 다수 단말로부터의 제2 발견 신호가 할당 가능하다. 해당 방법은 한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내에서 보다 많은 D2D 단말의 발견 신호들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동일 자원에 할당된 제2 발견 신호들의 D2D 단말들과 수신 D2D 단말 간 각 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서 간섭으로 인한 수신 단 검출 성능 열화가 발생할 확률이 존재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간 할당 자원 mapping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발견 신호(1500)와 제2 발견 신호(1501) 구조 및 자원 할당 파라미터에 대한 가정은 전술한 도 13 및 도 14와과 동일하다. 또한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1 및 제2 발견 신호를 위한 주파수 자원이 각각 PUCCH와 PUSCH를 위한 주파수 자원과 같이 구분된다고 가정한다. 이 때 각 D2D 단말의 발견 신호 자원 할당을 결정하는 주체는 기지국 또는 첫 번째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D2D 단말이 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와 대비하여 도 15의 실시 예가 갖는 차별 점은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 영역, 즉 N_1st_discovery 값의 범위에 따라서 연관된 제2 발견 신호의 자원 할당 단위 크기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3개의 D2D 단말로부터 전송된 첫 번째 발견 신호에 대한 N_1st_discovery를 각각 N_1st_discovery 0~2이라 한다. 여기서 N_1st_discovery 0~1 범위 내의 N_1st_discovery 값을 갖는 제1 발견 신호와 연관된 제2 발견 신호들은 1RB 크기의 자원에 할당된다. 반면 N_1st_discovery 0~1 범위의 값보다 큰 N_1st_discovery 값을 갖는 제1 발견 신호와 연관된 제2 발견 신호들은 2RB 크기의 자원에 할당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제1 발견 신호에 할당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자원 파라미터 값 범위를 가능한 발견 신호 타입 개수만큼의 다수의 범위 영역들로 분할하고, 제1 발견 신호가 어떤 범위 영역 내의 무선 통신 자원 파라미터 값을 할당 받았는가에 따라 제2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 단위의 크기를 함께 알 수 있다. 즉,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자원 파라미터 값의 범위를 통해 해당 발견 신호의 타입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발견 신호가 포함하는 D2D 서비스 정보 량에 따라 발견 신호의 타입이 결정되며, 가능한 발견 신호 타입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발견 신호가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 구조를 갖는 경우들에 대하여 제1 발견 신호 자원으로부터 제2 발견 신호 자원이 implicit하게 mapping 되는 방법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발견 신호의 정보에 제2 발견 신호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explicit한 mapping 방법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원 할당 정보는 제2 발견 신호의 주파수 할당 정보와 발견 신호 서브프레임 군 중 어떤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는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단말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송수신은 OFDM 기반 신호를 이용한다고 가정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발견 신호 송신 D2D 단말은 송신 제어부(1600), 발견 신호 생성부(1601) 및 OFDM 기반 송신부(160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제어부(1600)는 해당 D2D 단말이 송신할 D2D 서비스 관련 정보와 제1 및 제2 발견 신호 생성 방법, 제1 발견 신호와 제2 발견 신호 간 자원 mapping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발견 신호 생성부(1601)의 D2D 서비스 관련 정보 일부를 이용한 제1 발견 신호 생성 및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나머지 또는 전체를 이용한 제2 발견 신호 생성 과정을 제어한다.
발견 신호 생성부(1601)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발견 신호들은 OFDM 기반 송신부(1602)에서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 채널의 형태로 D2D 단말 별 발견 신호 전송 자원에 할당된다. 여기서도 송신 제어부(1600)는 OFDM 기반 송신부(1602)에서의 제1 및 제2 발견 신호 각각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할당 과정을 제어한다.
한편, 발견 신호 수신 D2D 단말은 OFDM 기반 수신부(1603), 수신 제어부(1604) 및 발견 신호 검출부(1605)를 포함한다. 여기서 OFDM 기반 수신부(1603)는 수신한 신호의 발견 신호 전송이 가능한 모든 자원 영역에서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 채널 형태의 제1 및 제2 발견 신호 자원을 구분하고, 발견 신호들을 추출한다. 이상의 과정은 제1 및 제2 발견 신호가 할당될 수 있는 가능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수신 제어부(1604)가 제어한다. 전술한 OFDM 기반 수신부(1603)에서 추출된 제1 및 제2 동기 신호는 발견 신호 검출부(1605)에 입력되고, 여기서 D2D 서비스 관련 정보가 검출된다. 이 과정 역시 D2D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갖고 있는 수신 제어부(1604)가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견 신호를 제1 및 제2 발견 신호로 구분하여 생성하되, 제1 발견 신호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제2 발견 신호는 D2D 서비스 관련 정보의 나머지 일부분 또는 D2D 서비스 정보 전체를 포함하도록 설계함으로써 D2D 단말의 수신단 부담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발견 수행 시점에서 한 D2D 단말이 100개의 주변 D2D 단말로부터의 발견 신호 검출을 시도해야 하고, 한 발견 신호에 100비트의 D2D 서비스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고 가정한다. 이들을 한 번에 검출하려면 D2D 단말은 100비트 X 100개 발견 신호만큼 검출을 시도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발견 신호를 구성하면 Two step 발견 방법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제1 발견 신호에는 전체 100비트 D2D 서비스 정보 중 일부인 30비트만 포함시키고 나머지 70비트들을 제2 발견 신호에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D2D 단말은 우선 30비트 X 100개의 제1 발견 신호의 크기에 대한 검출을 시도한다. 이후 해당 D2D 단말의 interest에 부합하는 제1 발견 신호가 10개 발견되었다면, 추가로 70비트 X 10개의 제2 발견 신호의 크기에 대한 검출 시도만 필요하다. 따라서 100비트 X 100 개 검출 시도와 비교해 D2D 단말의 수신 단 부담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D2D 단말 수신 부담
제1 발견 신호 제2 발견 신호
단일 검출 100 bits X 100 discovery signals -
본 발명 (Two step) 30 bits X 100 discovery signals 70 bits X 10 discovery signals
또한 본 발명은 제1 발견 신호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자원 영역을 통해 해당 발견 신호의 타입을 알려줄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발견 신호 타입을 알려주기 위한 추가 시그널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만일 D2D 단말의 interest가 특정 서비스 타입에 국한되어 있다면, 해당 서비스 타입에 대응되는 제1 발견 신호 무선 통신 자원 영역 내에서만 제1 발견 신호의 검출 시도를 수행하고, 그 결과 내에서 더 세부적으로 interest에 부합하는 제1 발견 신호들을 찾아 이들과 연관된 제2 발견 신호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로부터 역시 D2D 단말의 수신 단 부담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는 OFDM 기반 전송 방식이 적용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전송 방식 및 다른 무선 통신 자원, 예를 들면 코드 도메인 자원 또는 공간 도메인 자원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제1 발견 신호 할당 자원 및 이에 연관된 제2 발견 신호 할당 자원 간 mapping 관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 제약되지 않고 코드 도메인, 공간 도메인 등의 다양한 자원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송신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수신 단말에 전송할 제1 발견 신호 및 제2 발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 및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결정되는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에 상기 제1 발견 신호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를 각각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견 신호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발견 신호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상기 제1 발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또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엔터티(entity)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송신 단말의 식별자,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식별자,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송신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송신 단말의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 자원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 자원은 미리 정해진 주기, 상기 발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및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주파수 또는 시간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 자원으로부터 상기 제2 발견 신호 자원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방법.
  6.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수신 단말의 발견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발견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 정보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발견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 정보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 정보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송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발견 신호는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상기 제1 발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또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엔터티(entity)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단말의 식별자,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식별자,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단말의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 자원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 자원은 미리 정해진 주기, 상기 발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및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주파수 또는 시간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발견 신호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발견 신호 자원의 크기를 더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방법.
  11.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송신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 장치에 있어서,
    수신 단말로 상기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발견 신호 전송부; 및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할 제1 발견 신호 및 제2 발견 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 및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결정되는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에 상기 제1 발견 신호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를 각각 할당하고, 상기 수신 단말로 제1 발견 신호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발견 신호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상기 제1 발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또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엔터티(entity)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송신 단말의 식별자,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식별자,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송신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송신 단말의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 자원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 자원은 미리 정해진 주기, 상기 발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및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주파수 또는 시간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발견 신호 자원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전송 장치.
  16.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수신 단말의 발견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결정된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발견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발견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발견 신호 정보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제1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부터 상기 제2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제2 발견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 정보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제2 발견 신호 정보가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송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발견 신호는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상기 제1 발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또는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엔터티(entity)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식별자,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식별자,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단말의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견 신호 자원 및 상기 제2 발견 신호 자원은 미리 정해진 주기, 상기 발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및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주파수 또는 시간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견 신호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발견 신호 자원의 크기를 더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견 신호 수신 장치.
KR20130043695A 2013-04-19 2013-04-19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125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695A KR20140125633A (ko) 2013-04-19 2013-04-19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3227 WO2014171692A1 (ko) 2013-04-19 2014-04-15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695A KR20140125633A (ko) 2013-04-19 2013-04-19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633A true KR20140125633A (ko) 2014-10-29

Family

ID=5173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3695A KR20140125633A (ko) 2013-04-19 2013-04-19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25633A (ko)
WO (1) WO20141716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821A1 (ko) * 2015-04-08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커버리 어나운스먼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9067B (zh) * 2016-09-30 2020-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0067B2 (en) * 2008-11-24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user equipment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US9485069B2 (en) * 2010-04-15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roximity detection signal for peer discovery
US9351143B2 (en) * 2010-06-0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ulti-homed peer-to-peer network
GB2494460B (en) * 2011-09-12 2013-10-23 Renesas Mobile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to-device discovery procedure
EP2769489A4 (en) * 2011-10-18 2016-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NECTION IDENTIFIER FOR DEVICE DEVICE COMMUN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821A1 (ko) * 2015-04-08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커버리 어나운스먼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0271247B2 (en) 2015-04-08 2019-04-23 Lg Electronics Inc. Discovery announcement method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1692A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6327B2 (ja) 参照信号送信方法、参照信号受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100391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s in multiple frequency band system
US8077690B2 (en) Resource allocation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CN109041018B (zh) 一种资源确定方法、基站及用户设备
RU2450491C1 (ru) Способ для сигнализации размещения ресурсов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степени разбиения в системе сотовой связи с несколькими несущими
DK2248383T3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DISABLING OF SEMI-PRESENT PLANNING
US20190334680A1 (en) Resource Indic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KR101656159B1 (ko) 제어 채널을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US20160174247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1949619B2 (en) Short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sPDCCH) mapping design
KR20200052955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4036929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3297353B1 (en)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RU27451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KR20150093156A (ko) Lte에 대한 그룹 기반의 pdcch 능력
WO20201759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a rach occasion in nr unlicensed
US2019038755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etwork Identifier for Use by User Equipment
US20160242039A1 (en) Methods, Computer Programs, Network Nodes and Communication Device
EP3286968A1 (en) Network node, user device and methods thereof
KR20210138108A (ko)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방법들, 단말 디바이스 및 기지국
KR20180031723A (ko)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200033744A (ko) 통신 시스템에서 셀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465109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KR20140125633A (ko)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0958095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