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699A -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 Google Patents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699A
KR20140122699A KR1020140115519A KR20140115519A KR20140122699A KR 20140122699 A KR20140122699 A KR 20140122699A KR 1020140115519 A KR1020140115519 A KR 1020140115519A KR 20140115519 A KR20140115519 A KR 20140115519A KR 20140122699 A KR20140122699 A KR 20140122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information
microcomputer
mobile devic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3197B1 (en
Inventor
이재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to KR102014011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197B1/en
Publication of KR2014012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6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Jib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Bluetooth capable of improving the safety of work by enabling users to easily check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crane or size and direction of a load that a crane support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ne in which a plurality of booms retractile-combined; a microcomputer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rane and operating and outputting the information; a Bluetooth modul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a mobile device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crane outputted from the microcomputer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The mobile device provides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crane using Bluetooth displaying operation state and danger information of crane, transmitted from the microcomputer on a screen. In this way, workers can conveniently access the microcomputer mounted on a crane and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about various cranes via mobile devices they carry.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crane using a Bluetooth,

본 발명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레인이 지지하는 부하의 크기나 방향 또는 크레인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ne using a Bluetooth which can improve the safety of a worker by enabling a worker to easily confirm information about the size, direction, or movement of a crane supported by the crane And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일반적으로 크레인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는 전신주 위에 설치되는 고압선로의 설치나 철거 또는 유지보수 등의 제반 공사를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하여 소정 고도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를 말한다.Generally, a high-altitude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crane is a device that allows an operator to work at a certain altitude for the purpose of installation, demolition, or maintenance of a high-voltage line installed on a telephone pole.

이러한 크레인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는 주행을 위한 차체의 상부에 신축가능한 복수의 붐으로 이루어진 크레인이 설치되어 차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의 말단부에는 버킷(bucket)이 결합되어 작업자가 내부에 탑승하여 작업하거나 장비들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having such a crane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a vehicle body for traveling, and is provided with a crane composed of a plurality of expandable and contractible boom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hicle body. In addition, a bucket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crane so that a worker can ride on the inside of the crane or can house the equipment.

이와 같은 크레인은 높은 장소에서의 작업을 위한 장비로서, 크레인의 붐과 버킷 및 연결부위는 절연재질로 구성된다.Such a crane is a device for working in a high place, and the boom, the bucke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crane ar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의 붐 및 버킷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크레인은 복수의 붐이 결합하여 유압에 의해 신축작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크레인은 버킷(4), 크레인 본체와 결합하는 고정붐(1), 일단부에서 버킷과 연결되는 말단붐(3) 및 상기 고정붐(1)과 말단붐(3) 사이에서 신축작동을 하는 하나 이상의 신축붐(2)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boom and a bucket of a conventional crane; As described above, the crane is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booms can be engaged and operated to expand and contract by hydraulic pressure. The crane includes a bucket 4, a stationary boom 1 that engages with the crane main body, a terminal boom 3 that is connected to the bucket at one end, and a stationary boom 3 that performs a stretching operation between the stationary boom 1 and the end boom 3 And is constituted by one or more stretching booms 2 in general.

이러한 크레인은 이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동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소정의 작업 장소에 이동 가능하도록 차량 본체에 결합된다.Such a crane may be provided in a movable or fixed manner, and when it is movable, it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movable in a predetermined work place.

상기와 같은 크레인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는 고소작업 실시 전에 장비의 수평을 맞추고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작업을 선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식 고소작업차의 경우는 좌우측에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아우트리거(Outrigger)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아우트리거를 좌우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편하중에 의한 전복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having the above-mentioned crane precedes the work of aligning the equipment and supporting it against the ground before performing the high-altitude work.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work vehicle, an outrigger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prevent rollover accidents. Such an outrigger is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o prevent overturning due to misalignment.

한편, 이러한 크레인을 구비하는 장치들은 크레인의 길이와 단부에 지지되는 하중에 의한 한계 모멘트(Moment)가 차량의 중량, 크레인의 배치상태나 아우트리거의 구조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devices equipped with such a crane are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crane and the limit moment due to the load supported by the end,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the arrangement of the crane, the structure of the outrigger, and the like.

그런데, 고소의 버킷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작업상황에 따라 차량의 본체로부터 원거리로 붐을 신장하고 경우에 따라 높은 하중을 지지할 필요성이 존재하는데, 작업시마다 실질적으로 차량이 지지할 수 있는 편하중에 대한 계산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감각적인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종종 전복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0004]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n operator working in a bucket of a high altitude to extend a boom from a main body of the vehicle to a remote place and to support a high load in some cases depending on a work situation. It is impossible to make calculations, so that it performs sensuous work, which often leads to rollover accidents.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AML장치가 장착되기도 한다. AML(Automatic Moment Limiter)는 이러한 특수차량의 과하중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중을 계량하고 이에 대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To prevent this, an AML device is recently installed. AML (Automatic Moment Limiter) is a device to prevent overloading of such special vehicles. It is a device that weighs loads and generates alarms.

그런데, 크레인의 경우 차량으로부터 원거리에서 작업되는 특성상 이러한 경보의 작업자로의 전달이 매우 어려워 안전사고의 위험은 특히 다른 특수차량의 비하여 높아, 작업자 및 작업장 부근의 인명과 재산에 안전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된다.However, due to the fact that the crane is operated from a distance from the vehicle, it is very difficult to transmit such alarm to the worker. Therefor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special vehicles. do.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3763호는 이러한 타워크레인 네비게이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전복의 위험에 대한 경보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33763 discloses such a tower crane navigation apparatus.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the warning about the danger of overturning is low.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레인의 버킷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크레인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면서도 경보에 대한 감지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ne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a crane control method, which can easily detect the state of a crane,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별도의 장비의 필요 없이 쉽게 시스템에 연결 및 연결해제가 가능하여 이동성과 작업유연성이 증가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crane that uses Bluetooth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and connected to a system without the need for an operator, thereby increasing mobility and operational flexibility.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은, 복수의 붐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작동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연산하여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는 블루투스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된 크레인의 작동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장치는, 상기 마이컴에서 송신되는 크레인의 작동상태 및 위험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자마다 소지하는 모바일장치를 통하여 간편하게 크레인에 구비되는 마이컴에 연결이 가능하고 다양한 크레인의 관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다.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cran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ran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booms in a stretchable and retractable manner; a microcomputer for collecting and calculating operational state information of the crane; a Bluetooth modul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a mobile device for receiving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a crane outputted from the microcomputer through a Bluetooth module, wherein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crane that uses Bluetooth to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crane and dang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icrocomputer on a screen And provides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o the microcomputer provided in the crane through the mobile device owned by each operator and to input / output information about various crane.

또한, 상기 모바일장치가 크레인의 전복 위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AML정보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자신에게 익숙한 모바일장치로부터 위험에 대한 정보를 즉각으로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may include an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risk of rollover of the crane. Therefore, the operato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information about the risk from the mobile device that he is familiar with.

또한, 붐의 상하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표시부, 붐의 말단부측에서 지지되는 하중을 표시하는 하중표시부 및 크레인에 의한 작업 반경을 표시하는 작업반경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정보들을 통하여 크레인 작업의 한계값 도달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복위험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정보가 제공된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n angle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the vertical angle of the boom, a load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the load supported by the end portion of the boom, and a working radius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the working radius by the crane are preferable. 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crane work has reached a threshold value through the above information, and can prevent an accident in advance. In addition,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rollover risk is provided.

또한, 상기 AML정보표시부가 크레인에 의한 작업 반경이 호 형상으로 표시되는 이미지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반경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in which a work radius of the crane is displayed in a arc shape. Therefore, the working radius can be intuitively confirmed.

또한, 상기 모바일장치가 상기 AML정보표시부, 이동정보표시부 또는 조작모드의 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정보표시부가 상기 마이컴에서 수집한 GPS의 정보를 모바일장치가 수신하면, 크레인을 지지하는 장치의 속도와 이동거리의 정보가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의 이동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button unit for selecting a screen of 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movement information display unit, or the operation mode. Therefore, the operator can selectively activate various functions. Further, when the mobile device receives the GP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icrocomputer by the movement information display sec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eed and travel distance of the device supporting the crane can be displayed as an image. Therefore, the moving situation of the crane can be accurately grasped.

또한, 상기 크레인은 차량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정보표시부는, 차량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와 속도정보가 작업자에게 확인될 수 있다.Further, the crane is coupled to the vehicle,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display unit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navigation provided in the vehicle. Therefore, accurate position and speed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to the operator.

또한,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고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장치에서 송신되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제어신호를 상기 블루투스모듈 및 마이컴을 통하여 제공받음으로써 상기 크레인의 구동부재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장치와 크레인간의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간편한 조작에 의하여 크레인의 정밀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rane, wherei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by an operator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microcomputer, Can be operated. Therefo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crane is possible, and precise operation of the crane can be achieved by simple operation.

또한, 상기 모바일장치가 작업자에 의한 터치조작입력을 받는 조작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모드는 크레인의 전복 위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AML정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실시간으로 크레인의 위험정보를 피드백받으면서 정확한 크레인의 작업이 가능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mobile device includes an operation mode for receiving a touch operation input by an operator, and the operation mode includes an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risk of rollover of the crane. Therefore, the worker can work the crane correctly while receiving the danger information of the crane in real time.

또한, 상기 모바일장치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로부터 전복의 위험이 있는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진동 또는 알람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불의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may provide an alarm to the operator through vibration or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rollover from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icrocomputer. This can effectively prevent accidental injuries i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한편, 복수의 붐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에 연결되는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으로서, 크레인에 결합되며 작동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마이컴과 연결되고 크레인의 작동상태 정보가 화상 또는 음성으로 표현되는 모바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크레인의 경사도, 크레인의 신장되는 길이 및 크레인의 말단부측에 지지되는 하중을 통하여 전복의 위험을 연산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nnected to a crane where a plurality of booms are stretchably coupled,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 units coupled to a crane and detecting operation signals; a microcomputer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signals detected by the sensor units; And a mobile devic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and in which the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crane is represented by an image or voice, and the microcomputer includes: Provided is a system for providing safety information of a crane that uses Bluetooth to calculate the risk of rollover through the inclination, the length of the crane, and the load supported by the end of the crane.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값들을 미리 설정된 연산을 통하여 연산하여 작업상태 정보를 생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작업상태 정보를 통하여 크레인의 전복 위험의 한계값에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판단부와, 상기 위험판단부에서 한계값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장치에서 시각, 청각 또는 촉각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computer includes an arithmetic unit for calculating value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produce work state information; and a risk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rane has reached the limit value of the rollover risk based on the work state information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through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in the mobile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reshold value has been reached in the danger determination unit.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고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장치에서 송신되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제어신호를 상기 블루투스모듈 및 마이컴을 통하여 제공받음으로써 상기 크레인을 작동하기 위한 구동부재들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쌍방향의 통신을 통하여 정보의 정확한 제공 및 장치의 정밀한 작동이 가능하다.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rane, wherein the control module is operable to operate the crane by receiv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operator from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microcomputer It is preferable to actuate the driving members. Therefore, accur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nd accurat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re possible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은, 다양한 위험, 특히 전복의 위험에 관련된 정보를 작업자가 자신의 모바일장치를 통하여 시각, 청각 또는 촉각을 통하여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 작업의 안전성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crane using the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ably confirm the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risks, especially the risk of overturning, through the user's own mobile device through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Is increased.

또한,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비들이 필요 없고 각각 소지한 자신의 모바일장치를 통하여 정보 및 경보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러한 장치들은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작동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and alarms through their own mobile devices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display devices, and these devic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so that operation is easy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

또한,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모바일장치를 통하여 직접 크레인을 작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에서 불필요한 동선의 증가에 의한 시간과 비용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확한 확인 및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can directly operate the crane through the mobile device, the loss of time and cost due to an unnecessary increase of the moving line in the work process can be reduced and accurate confirmation and operation can be performed.

도 1은 종래기술의 고소작업차의 크레인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이 적용되는 크레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작동계통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AML정보가 표시되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기능선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이동정보표시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AML정보가 표시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AML정보가 표시되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조작모드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crane of a high-altitude operation car of the prior art.
2 is a side view of a crane to which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cran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operating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M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mobile device of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the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unction selection screen in a mobile device of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the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vement information display unit in a mobile device of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AM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mobile device of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the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AM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mobile device of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the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peration mode is displayed in a mobile device of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the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crane using a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크레인이란 신축이 가능한 붐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붐 조립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후술될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은 고정식 크레인이나 이동식 크레인 등 크레인이 배치되어 작업자가 직접 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한 장치 또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crane, wherein the crane can be a predetermined boom assembly composed of an expandable boom arrangement, and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the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 crane such as a crane or a mobile crane can be installed in various devices or vehicles as long as the operator can directly or automatically manipulate the crane. Also,

도 2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이 적용되는 크레인의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a crane to which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cran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배치되는 붐(100)을 구비하는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이 결합되는 차량에 배치되며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붐(100)의 동작이 조작되는 조작부(120)와, 상기 크레인의 작동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는 블루투스모듈과,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상기 마이컴에 연동되고 크레인의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모바일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crane having a boom (100) arranged to be able to extend and re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operating part (120) disposed in a vehicle to which the crane is coupled and operated by an operator, A microcomputer for collecting and outputting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crane, a Bluetooth modul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a mobile device 200 interlocked with the microcomputer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crane on the screen .

크레인은, 복수의 붐(100)이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인입 및 인출되어 일단부측에서 소정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붐(100)의 인입 및 인출되는 개수 및 형상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rane is constituted so that a plurality of booms (100) are formed as an assembly and can be pulled in and drawn out from each other to support a predetermined load at one end side. The number and shape of the boom 100 to be drawn in and o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크레인은 차량의 소정 탑재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붐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크레인은 일단부가 하중을 지지하며, 타단부에서 차량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은 차량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The crane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mounting portion of the vehicle. The crane comprising the boom assembly is arranged to be capable of pivoting up and down with one end supporting the load and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at the other end. Further, the crane may be rotat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상기된 크레인의 운동, 구체적으로는 붐(100)의 인입 및 인출 작동, 상하회동 및 좌우회전의 동력은 차량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의 인출은 PTO(Power Take Off)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압을 통하여 작동될 수 있다.The power of the above-mentioned crane, that is, the pulling-in and pulling-out operation of the boom 100, the up-and-down turning and the left-right rotation can be taken out from the vehicle. And is preferably operable through hydraulic pressure.

도 2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크레인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직접 크레인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2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조작부(120)를 통하여 작업자는 크레인의 신축, 상하회동 및 좌우회전을 직접 조작할 수 있게 된다.2, the crane can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20 on which an operator can operate the crane directly.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crane by means of the extension and retraction of the crane, the up- Can be directly operated.

다만, 상기 조작부(120)의 배치는 크레인의 타측 즉, 회동이 이루어지는 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붐(100)의 말단부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붐(100)의 말단부측에 소정의 버킷(Bucket)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버킷에 소정의 제어라인이 연장되어 작업자가 이에 탑승하는 방식으로 조작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20)의 배치는 크레인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닌, 차량의 운전석이나 측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크레인은 반드시 차량에 결합된 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면에 대해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철도궤도장치에 결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unit 120 is not limi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rane, that is, the side where the rotation is performed, and may be disposed on the end side of the boom 100.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bucket may be provid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boom 100,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predetermined control line is extended to the bucket so that the operator can ride the boom .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120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crane but may be disposed on the driver's seat side or the rear or rear side of the vehicle. Further, the cran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vehicle, but may be fixed directly to the ground, or may be coupled to a railway track device.

붐(100)의 말단부측에는 작업을 위한 하중이 거치될 수 있는 소정의 작동장치들이 부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110)가 결합되어 소정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방식으로 대상물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작동장치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nd portion of the boom 100, predetermined operating devices to which a load for work can be applied may be adde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a winch 110 is coupled and a predetermined wire is wound The object can be moved up and down. However, the operating device may be variously selected.

여기서, 상기 붐(100)은 차량이 배치되는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말단부측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평면을 기준으로 말단부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말단부에 지지되는 하중이 클수록 상기 크레인의 지지부위 즉, 차량과 크레인의 결합부위에서의 모멘트(Moment)는 점점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부재들의 파손이나 심각한 경우 차량 자체가 전복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Here, the boom 10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lace where the vehicle is disposed. The boom 10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distal end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the distal end moves away from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lane, The moment at the support portion of the crane, that is,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crane, becomes larger.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itself may be overturned in the event of breakage of the members or serious case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크레인과 작업자의 모바일장치가 상호 연동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cept that a mobile device of a crane can be interlocked with a mobile device using Bluetooth.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크레인에는 크레인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크레인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도 3의 330)과,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는 블루투스모듈(도 3의 320)과,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상기 마이컴에 연동되고 크레인의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모바일장치(200)를 포함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e includes a microcomputer (330 in FIG. 3)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a crane 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a crane, a Bluetooth module (320 in FIG. 3)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a mobile device 200 interlocked with the microcomputer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a crane on a screen.

상기된 마이컴 및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크레인의 정보가 모바일수신장치(200)로 수신되거나, 모바일수신장치(200)를 통하여 크레인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information of the cran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receiv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microcomputer and the Bluetooth module, or the crane may be operated through the mobile receiving apparatus 2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작동계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operating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크레인은 블루투스모듈(320)을 통하여 모바일장치(200)와 마이컴(330)이 연동될 수 있는데, 상기 마이컴(330)은 통신제어부(331), 센싱신호처리부(332), 위험판단부(333), 연산부(334) 및 경보발생부(335)를 구비할 수 있으며, 모바일장치(200)로 송출되는 신호 또는 모바일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microcomputer 330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320. The microcomputer 330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331, a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332, An operation unit 334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335 and processes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and outputs the processed signal.

상기 마이컴(330)의 센싱신호처리부(332)는 크레인에 배치되는 소정의 센서부(311, 312, 313)로부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검출값을 변수로써 정보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332 of the microcomputer 330 receives sensing signals from predetermined sensor units 311, 312, and 313 disposed in the crane, and can process each detected value as a variable.

상기 연산부(334)에서는 상기 센싱신호처리부(332)에서 처리된 값들을 미리 설정된 연산을 통하여 연산하여 후술될 바와 같이 크레인의 작업반경이나, 한계하중과 같은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다. In the operation unit 334, the values processed by the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332 may be calculated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produce data such as a working radius and a limit load of the crane, as described later.

상기 위험판단부(333)는, 예를 들어 크레인의 각도 및 신장되는 길이에 대한 전복위험이 있는 한계하중이 상기 연산부(334)에 의하여 제공되면, 실측된 하중의 값을 비교하여 한계값에 근접한 경우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anger determination unit 333 compares the measured load values when the computation unit 334 provides a limit load with a risk of rollover,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angle of the crane and the elongated length,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a risk.

상기 경보발생부(335)는 상기 위험판단부(333)에서 전복 등의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장치(200)에서 시각, 청각 또는 촉각을 통한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alarm generator 335 may generate an alarm through the visual device, the auditory device, or the tactile device in the mobile device 200 when the risk determiner 333 determines that the risk of rollover is high.

따라서, 상기 마이컴(330)은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소정의 신호처리 및 판단의 과정을 통하여 크레인의 부하나 전복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크레인의 한계 작동여부를 모바일장치(200)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330 collects vehicle information and analyzes information related to loading or unloading of the crane through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and determination process, and outputs the limit operation of the crane to the mobile device 200 It will be done.

통신제어부(331)는 마이컴(330)이 블루투스모듈(320) 및 크레인과 쌍방향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크레인과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331 allows the microcomputer 330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module 320 and the crane. The connection with the crane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desirable.

상기 센서부(311, 312, 313)는, 예를 들면 붐(100)의 말단부측에 지지되는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센서(311)와, 상기 붐(100)의 신장되는 길이를 센싱하는 신축센서(312)와, 상기 붐(100)의 상하회동 또는 좌우회동을 검출하는 회동센서(3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통하여 크레인의 작업 현황과 한계범위 도달여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마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반드시 상기 예시된 센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레인과 차량의 결합부위에서의 총 하중을 검출하는 센서나, 차량의 현재 각도를 수신하는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GPS장치나 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sensor units 311, 312 and 313 include a load sensor 311 for detecting a load support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boom 100 and an elastic sensor 311 for sensing the length of the boom 100, And a turning sensor 313 for detecting the up-and-down rotation or the left-and-right turning of the boom 100. The data that can provid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rane, . In addition, the sensor un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ensors.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a total load at a joint portion between the crane and the vehicle, a sensor for receiving the current angle of the vehicle, The sensor unit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 GPS device or a velocity sensor.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 센서부(311, 312, 313)에서 검출되는 차량에 대한 소정의 상태들이 마이컴(330)에 입력되어 정보처리되고, 상기 마이컴(330)은 블루투스모듈(320)을 통하여 크레인과 관련된 정보를 모바일장치(200)에서 작업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etermined states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sensor units 311, 312, and 313 are input to the microcomputer 330 and inform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nd the microcomputer 330 transmits the Bluetooth module 320 So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rane can be visually or audibly confirmed by the mobile device 200 to the operator.

*상기 블루투스모듈(320)은 소정의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따라 작업자의 모바일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조작부(120)에 인접되거나 직접 조작부(120)에 배치되는 블루투스모듈(320)의 송수신부를 통하여 무선으로 모바일장치(200)와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The Bluetooth module 320 can be interlocked with the mobile device 200 of the operator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Bluetooth standard and the operator can directly or indirectly operate the operation unit 120 And can connect or disconnect the mobile device 200 wirelessly via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of the Bluetooth module 320 to be disposed.

따라서, 이러한 경우 작업자마다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모바일장치(200)를 선택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나 복잡한 배선이 생략될 수 있으면서도 휴대가 간편하고 개별적인 조작자에게 익숙한 조작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Accordingly, in this case, since the mobile device 200 individually provided for each worker can be connected by selection, a separate display device or complicated wiring can be omitted, but it is easy to carry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an operation familiar to an individual operator shall.

조작자는 모바일장치(200)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소정의 정보제공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서는 도 4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operator can download a predetermined application from the mobile device 200 and operate a predetermined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The interfac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상기 마이컴(330)은 모바일장치(200)를 통하여 크레인을 조작할 수 있는 소정의 제어모듈(121)과 연결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모바일장치(200)를 조작하여 이러한 제어신호가 블루투스모듈(320)을 통하여 마이컴(330)으로 입력되며, 상기 마이컴(330)은 소정의 신호를 제어모듈(121)로 전달하여 크레인을 조작할 수 있다.The microcomputer 330 can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control module 121 that can operate the crane through the mobile device 200.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mobile device 200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Bluetooth module The microcomputer 3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330 through the microcomputer 32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21 to operate the crane.

이러한 제어모듈(121)은 조작부(12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조작부(120)와는 별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마이컴(33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trol module 121 may be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20 or may be separate from the operation unit 120 or may be integrated with the microcomputer 330.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이 구현되는 모바일장치에서 AML정보가 표시되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M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mobile device in which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cran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상기 모바일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나, 이러한 모바일장치(200)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태블릿이나 노트북과 같이 소정의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장치가 결합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mobile device 200 is shown as an example of a smart phon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device 200 may be optional and may include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tablet or a notebook And a device to which the display device is coupled.

상기 모바일장치(200)에서의 디스플레이되는 예로써 이미지표시부(210)와 AML정보표시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표시부(210)는 소정의 크레인의 형상을 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시각적 및 직관적으로 현재의 작업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데, 크레인의 각도, 회전방향 또는 하중의 정도 등의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200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210 and an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231 as an example to be displayed. The image display unit 210 can visually and intuitively display the current work state through the shape of a predetermined crane. Information such as the angle of the crane, the rotational direction, or the degree of the load can be visually displayed have.

상기 AML정보표시부(231)는 소정의 수치를 통하여 현재의 과부하(전복)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러한 AML정보표시부(231)는 각도표시부(232)와, 하중표시부(262)와, 작업반경표시부(234)와, 에러메세지부(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231 can display accur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overload (rollover) through a predetermined numerical value. 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231 includes an angle display unit 232, a load display unit 262, A working radius display unit 234, and an error message unit 235. [

상기 각도표시부(232)는, 상기된 회동센서(313)을 통하여 입력되는 붐(100)의 검출신호가 마이컴(330)에 의하여 소정의 신호로 변환되어 블루투스모듈(320)을 통하여 모바일장치(200)에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지면 또는 차량에 대해 현재 크레인이 상하로 회동되는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The angle display unit 232 conver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boom 100 inputted through the rotation sensor 313 into a predetermined signal by the microcomputer 330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mobile device 200 ) Indicating the angle at which the current crane is turn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ground or the vehicle.

하중표시부(262)는, 현재의 크레인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중을 나타낼 수 있는데, 상기 하중은 차량 전체 구조물에서의 하중을 의미할 수도 있고, 크레인과 차량의 결합부위에서 크레인의 하중과 대상물의 하중을 포함한 무게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상기 붐(100)의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대상물의 하중을 의미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load indicator 262 may represent a load supported by the current crane which may mean a load on the entire structure of the vehicle or a load on the crane and a load And may mean the load of the object supported on the end side of the boom 100. [

다만, 여기서 상기 붐(100)의 하중은 고정된 값이며, 신축되는 길이에 의하여 크레인에 의한 모멘트는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중은 크레인의 단부측에서 직접 지지되는 대상물의 하중인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load of the boom 100 is a fixed value and the moment due to the crane can be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boom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load is a load of the object directly supported at the end of the crane.

또한, 작업반경표시부(234)는 크레인의 단부측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계의 반경 또는 현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반경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두 가지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working radius display section 234 can display the radius of the limit at which the work can be per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crane, or the radius at which the current work can be perform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two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

또한, 에러메세지부(235)는 작업시 작동의 문제가 발생되거나 크레인의 구조적인 작업의 한계에 도달한 경우 경고를 표시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에러메세지부(235)는 위험판단부(333)에서 위험의 경우로 판단한 경우 경보발생부(335)에서 제공되는 신로를 블루투스모듈(320)을 통하여 수신하여 이를 시각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error message section 235 functions to display a warning when a problem in operation at the time of operation occurs or when the limit of the structural work of the crane is reached. The error message unit 235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new route provided by the alert generator 335 via the Bluetooth module 320 and to visualize the new route when the risk determiner 333 determines that it is dangerous.

상기 에러메세지부(23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L정보표시부(231)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 소정의 경보 신호를 작업자에게 음향이나 진동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The error message unit 235 can be visually represented by 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231 as shown in the figure, and can transmit a predetermined alarm signal to an operator through sound or vibration.

상기와 같이 작업자에게 진동이나 음향을 통하여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종래에 작업자가 감각적으로 크레인의 한계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자가 휴대하는 장비를 통하여 경보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a worker through vibration or sound, an operator can provide an alarm signal through the equipment carried by the operator,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operator sensibly judges whether or not the worker operates the limiter It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특히, 크레인과 같은 경우 하중이 큰 물체를 동작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집중을 요하기 때문에 휴대용 모바일장치(200)를 통하여 시각이 아닌 음향이나 진동과 같은 다른 감각수단으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위험에 대한 감지의 효율성은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crane, in many cases, an object having a large load is operated, and accordingly, an operator is required to concentrate. Therefore, an alarm signal is provided to the portable mobile device 200 through other sensory means such as sound or vibration The efficiency of detection of the danger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상기와 같이 모바일장치(200)가 진동이나 음향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시각적인 표시는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device 200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operator through vibration or sound, the visual indication may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모바일장치(200)가 다양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및 입력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데, 도 5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기능선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In the meantime,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and an input means for the mobile device 200 to selectivel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러한 기능선택화면은 다양한 선택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택버튼부(220)는, 상기된 AML정보표시부(231)가 나타날 수 있도록 선택버튼을 구비하는 AML선택부(230)와, 크레인 전체의 이동 또는 차량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GPS선택부(240)와, 다양한 작업의 정보를 제공하는 작업정보선택부(250)와, 장치의 조작이 가능한 화면으로 전환되는 기능설정부(26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is function selection screen can be made by various selection buttons. In this case, the selection button unit 220 includes an AML selection unit 230 having a selection button for allowing 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231 to be displayed, and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entire crane or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 task selection unit 250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various tasks, and a function setting unit 260 for switching to a screen capable of operating the apparatus.

상기 GPS선택부(240)는 도 6과 관련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차량의 이동여부 및 이동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운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GPS selection unit 24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movement and speed of the vehicle, a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또한, 작업정보선택부(250)는 다양한 작업공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유압장치의 유압에 대한 정보, 전력정보, 배터리 충전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들을 표시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information selection unit 250 can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work processes, and can select various data such as, for example, hydraulic pressure information, power information, battery charge information, and the like .

또한, 기능설정부(260)는 도 9와 관련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작업과 관련된 각종 설정을 모바일장치(200)로써 조작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버튼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 setting unit 260 refers to a button that can switch various settings related to a job to a screen that can be operated by the mobile device 200, a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다만, 상기한 설명은 선택버튼부(220)의 예시이며 이러한 설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표시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the above description is an example of the selection button unit 220, and various settings can be made. The display of such a display can be made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여기서 설명된 선택버튼부(220)는 화상 또는 소정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선택부를 작업자가 터치나 누름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lection button unit 220 described herein can be operated in such a manner that an operator touches or presses a predetermined selection unit composed of an image or a predetermined button.

도 6은 상기한 바와 같은, GPS선택부에 의한 이동정보표시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ovement information display unit by the GPS selection unit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이동정보표시부(241)는 속도표시부(242)와, 이동거리표시부(243)와, 연비표시부(244)와, 이동시간표시부(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vement information display unit 241 may include the speed display unit 242, the movement distance display unit 243, the fuel consumption display unit 244, and the movement time display unit 24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이동정보표시부(241)는 크레인이 결합되는 차량에 구비되는 소정의 GPS모듈과 연동되어 정확한 위치 및 이동관련된 정보를 마이컴(330)에 제공하고 이러한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모듈(320)을 통하여 모바일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movement information display unit 241 interlocks with a predetermined GPS module provided in a vehicle to which the crane is coupled to provide accurate position and movement related information to the microcomputer 330.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module 320 To the mobile device 200 via the Internet.

또한, 상기 이동정보표시부(241)는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미도시)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movement information display unit 241 may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navigation (not shown) mounted on the vehicle.

도 7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AML정보가 표시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AM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mobile device of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AML정보표시부(231a)가 각도표시부(232)와, 하중표시부(262)와, 작업반경표시부(234)와, 에러메세지부(235)를 표시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5,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L information display section 231a includes an angle display section 232, a load display section 262, a work radius display section 234, an error message (235),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추가적으로 경사표시부(236)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사표시부(236)는 크레인 또는 차량본체에 구비되는 각도센서 또는 자이로센서와 연동되어 전체적인 기울기를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크레인은 차량이 배치되는 지반의 형상이나 현재 걸리고 있는 모멘트에 의하여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경사값은 차량의 한계작업의 요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 inclination display unit 236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ation display unit 236. The inclination display unit 236 may be linked to an angle sensor or a gyro sensor provided on the crane or the vehicle body to transmit the overall inclination to the operator. Here, the crane can have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due to the shape of the ground on which the vehicle is placed or the moment that it is hanging, and such slope value can affect the elements of the marginal operation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크레인 전체가 초기 상태에서 전방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후방으로 받을 수 있는 모멘트의 한계값보다 전방으로 받을 수 있는 모멘트의 한계값이 더 작으므로, 작업자가 작업시 이러한 크레인 조작의 한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entire crane is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forward in the initial state, since the limit value of the moment that can be received ahead of the limit value of the moment that can be received backward is smaller, Basic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it can accurately grasp whether or not the limit is reached.

또한, 상기 AML정보표시부(231a)는 누적적재표시부(23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누적적재표시부(237)는 현재 크레인 또는 차량에 누적되는 하중을 표시할 수 있다.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231a may further include an accumulation display unit 237. The accumulation display unit 237 may display a load accumulated in a current crane or a vehicle.

도 8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AML정보가 표시되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AM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mobile device of a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crane using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바일장치(200)의 AML정보표시부(231b)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이 도시된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미지표시부(210)가 작업반경표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task radius display unit 210 in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231b of the mobile device 200 is displayed.

이러한 작업반경표시부(210)는 차량의 위치, 더욱 구체적으로는 크레인과 차량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여 작업될 수 있는 반경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정확한 작업위치 및 한계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work radius display unit 210 can display the radius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radius that can be worked by rotating left and right around the joint between the crane and the vehicle. Accordingly, Can be visually confirmed.

여기서 크레인의 작업 반경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실제 차량에 대한 붐(100)의 회전 각도를 호 형상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orking radius of the crane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but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rotation angle of the boom 100 with respect to the actual vehicle in a call shape or a fan shape.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장치(200)에서의 표시의 방식은 반드시 본 발명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레인에 장착되는 장비의 종류, 차량의 종류, 작업의 부위 및 종류나 배치되는 센서들의 부위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상기 블루투스모듈(320)을 통하여 모바일장치(200)에서 다양한 감각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The manner of display in the mobil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ype of the equipment mounted on the crane, the type of the vehicle,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types and the types and locations of the sensors to be disposed and the information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sensory means in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320, Can be secured.

상기된 다양한 정보들은 마이컴(330)에서 누적되어 저장되고 작업의 내용을 사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차량의 전복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거동에 대한 경보를 시각적은 물론, 청각 및 촉각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various information may be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microcomputer 330 an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unction for confirming the content of the work in a posterior manner.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s, an alarm about rollover or undesirable behavior of the vehicle It can be provided visually as well as auditory and tactile.

더욱 구체적으로는, 크레인의 단부가 한계위치에 도달하거나 하중에 의한 모멘트값이 소정의 설정값에 가까워지는 경우 모바일장치(200)는 진동 또는 알람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직관적인 경보를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경보의 전달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저하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end of the crane reaches the limit position or the value of the moment due to the load becomes close to a predetermined set value, the mobile device 200 can transmit an intuitive alarm to the operator through vibration or alarm,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ransmission of alarms can be made significantly more efficient than in the prior art.

한편,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한 구성인 모바일장치(200)는 일방적으로 마이컴(330)을 통하여 정보만을 제공받는 것이 아닌 크레인의 작동 등을 직접 작동할 수 있는 일종의 리모트컨트롤러로써 기능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device 200,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crane using the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remote which can directly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crane, It can function as a controller.

도 9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의 모바일장치에서 조작모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mode in the mobile device of 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crane using the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기능설정부(260)를 통하여 작업자가 소정의 조작모드창으로 전환하게 되면 도 9의 예와 같은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회전조절부(264)와, 상하조절부(265)와, 신축조절부(266)와, 윈치조절부(267)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or switches to the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window through the function setting unit 260, the display as shown in FIG. 9 can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rotation adjusting unit 264, the vertical adjusting unit 265, an extension / contraction adjustment unit 266, and a winch control unit 267.

상기 회전조절부(264)는 붐(100)의 좌우회전의 거동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하조절부(265)는 붐(100)의 상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기능하고, 신축조절부(266)는 붐(100) 상호간에 인입 및 인출의 정도를 조정하여 붐(100)의 말단부측이 원하는 위치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rotation control unit 264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boom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vertical control unit 265 functions to adjust the vertical tilting angle of the boom 100. The rotation control unit 264 controls the expansion / The distal end side of the boom 100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y adjusting the degree of pulling and pulling out between the booms 100. [

상기와 같은 조절은 소정의 버튼터치와 같은 작업자의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기능마다 정방향과 역방향의 두 방향으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djustment may be performed by an operator's input, such as a predetermined button touch. 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wo directions, forward and backward, for each function. However, no.

붐(10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붐(100)의 말단부측에 위치되는 소정의 작업장치를 터치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고, 도 9의 예와 같이 윈치(110)의 상하조절을 위한 윈치조절부(26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윈치조절부(267)는 다른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버튼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position of the boom 100 is adjusted, a predetermined work device positioned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boom 100 can be adjusted through a touch, and as shown in FIG. 9, (267) may be further provided.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winch control unit 267 can be changed to a button for operating another device.

또한, 조작을 위한 조작모드의 진입상태에서도 실질적으로 AML정보표시와 같은 기능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하표시부(261)와, 하중표시부(262)와, 경고표시부(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display unit 261, the load display unit 262, and the warning display unit 263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similar to the AML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in the entry state of the operation mode for operation.

상기된 정보들의 표시는 마이컴(330)이 수신된 센서부(311, 312, 313)에서의 정보를 취합하여 블루투스모듈(320)을 통하여 모바일장치(200)에 제공되는 것인데,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어신호는 역방향인 모바일장치(200)에서 블루투스모듈(320)을 통하여 마이컴(330)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마이컴(330)은 이에 연결된 제어모듈(121)을 구동하여 소정의 구동부재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obile device 200 via the Bluetooth module 320 by collect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s 311, 312 and 313 received by the microcomputer 33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of the microcomputer 330 may be provided to the microcomputer 330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320 in the mobile device 200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predetermined driving members can be operated.

부하표시부(261)는, 상기된 AML정보표시부(231)와 같이 단순히 하중을 표시할 수도 있으나 실질적인 안전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소정의 가공된 정보인 부하율을 퍼센트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크레인이 지지할 수 있는 한계 하중을 100%라 하면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써 작업의 한계값에의 근접 정도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load display unit 261 may display a load simply as in 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231 described above, but it is preferable to express the load factor, which is predetermined processed information, as a percentage in order to provide substantial safety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limit load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crane is 100%,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indicate the proximity of the work to the limit value at a relative ratio to the limit load.

또한, 상기 하중표시부(262)는 현재의 하중을 나타낸다.
The load indicator 262 represents the present load.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의 제공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작업의 위험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서 추가적으로 작업모드에서 경고표시부(263)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위험도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isk of the work to the worker through the provision of various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visually provide the risk through the warning display unit 263 in the work mode.

이러한 위험도는 소정의 레벨이나 색상의 표시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지지되는 하중의 여유가 많은 상태에서는 파란색으로, 하중이 어느 정도 커진 상태에서는 녹색으로, 한계값에 근접한 경우에는 붉은색으로의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uch a risk can be made as a display of a predetermined level or color, for example, in a blue state in a state in which a margin of a supported load is large, in a state of being green in a state in which a load is increased to some ext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부하표시부(261) 또는 경고표시부(263)에서의 표시와 모바일장치(200)를 통한 알람 및/또는 진동의 제공은 연동되어 작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모바일장치(200)가 상기 마이컴(330)으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로부터 전복의 위험이 있는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진동 또는 알람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경보를 제공하게 되므로 즉각적인 경보의 인식이 가능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splay on the load display unit 261 or the alarm display unit 263 and the provision of the alarm and / or vibration through the mobile device 200 may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the mobil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re is a risk of overturning from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icrocomputer 330, the alarm is provided to the operator through the vibration or alarm, so that the alarm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한편, 상기 모바일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수단을 통하여 연동되는 블루투스 이어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소음이 존재하는 작업환경에서 작업자는 알람에 의한 경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The mobile phone 200 may further include a Bluetooth earphone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ly, in an operatio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noises exist, the operator can accurately detect an alarm have.

이러한 경우 상기 모바일장치(200)는,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에 화상으로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를 음성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작업 집중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200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displayed as images on the Bluetooth earphone through voice, which has the advantage of further enhancing the work concentration of the use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은, 다양한 위험, 특히 전복의 위험에 관련된 정보를 작업자가 자신의 모바일장치를 통하여 시각, 청각 또는 촉각을 통하여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 작업의 안전성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이점이 있다.Th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crane using the Bluetooth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confirm the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risks, in particular the risk of overturning, through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through the user's mobile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fety of the crane operation is remarkably increased.

또한,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비들이 필요 없고 각각 소지한 자신의 모바일장치를 통하여 정보 및 경보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러한 장치들은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작동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Al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isplay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and alarm through the respective mobile devices, and these devic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so that operation is eas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모바일장치를 통하여 직접 크레인을 작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에서 불필요한 동선의 증가에 의한 시간과 비용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확한 확인 및 조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can directly operate the crane through the mobile device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loss due to the unnecessary increase of the moving line in the work proces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ccurate confirmation and operation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붐 110...윈치
120...조작부 130...지지부
200...모바일수신장치 210...이미지표시부
220...선택버튼부 230...AML선택부
231...AML정보표시부 232...각도표시부
233...하중표시부 234...작업반경표시부
235...에러메세지부 236...경사표시부
237...누적적재표시부 240...GPS선택부
250...작업정보선택부 260...기능설정부
261...부하표시부 262...하중표시부
263...경고표시부 264...회전조절부
265...상하조절부 266...신축조절부
267...윈치조절부 311, 312, 313...센서부
320...블루투스모듈 330...마이컴
331...통신제어부 332...센싱신호처리부
333...위험판단부 334...연산부
335...경보발생부
100 ... Boom 110 ... Winch
120 ... operating part 130 ... supporting part
200 ... mobile receiving apparatus 210 ... image display section
220 ... selection button unit 230 ... AML selection unit
231 ... AML information display section 232 ... Angle display section
233 ... Load display part 234 ... Operation radius display part
235 ... error message section 236 ... inclined display section
237 ... Cumulative load display section 240 ... GPS selection section
250 ... Operation information selection unit 260 ... Function setting unit
261 ... load display section 262 ... load display section
263 ... warning display section 264 ... rotation control section
265 ... upper and lower adjustment portion 266 ... expansion and contraction adjustment portion
267 ... Winch control part 311, 312, 313 ... sensor part
320 ... Bluetooth Module 330 ... Microphone
331 ...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332 ... Sensing signal processing section
333 ... Hazard determination unit 334 ... Operation unit
335 ... alarm generating unit

Claims (3)

복수의 붐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작동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연산하여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는 블루투스모듈;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된 크레인의 작동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크레인의 전복 위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AML정보표시부를 구비하는 모바일장치; 및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고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AML정보표시부는,
붐의 상하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표시부와, 하중을 표시하는 하중표시부와, 크레인에 의한 작업 반경을 표시하는 작업반경표시부와, 크레인이 결합되는 차량의 경사값을 표시하는 경사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장치는,
차량 전체의 경사값을 기초로 붐의 각도, 신장되는 길이 및 하중의 값을 통하여 크레인의 전복 위험에 대한 경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
A crane in which a plurality of booms are stretchably coupled;
A microcomputer for collecting, calculating, and outputting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crane;
A Bluetooth modul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 mobile device having an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receiving 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 of a crane outputted from the microcomputer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and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risk of overturning of the crane; And
And a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crane,
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s,
A load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a load, a working radius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a work radius by a crane, and a slope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a slope value of a vehicle to which the crane is engaged,
The mobile device comprising:
And provides an alarm on the danger of overturning of the crane through the angle of the boom, the length of the boom and the value of the load based on the inclination value of the whole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ML정보표시부는,
크레인 또는 차량에 누적되는 하중을 표시하는 누적적재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장치는,
상기 경사값을 기초로 붐의 각도, 신장되는 길이에 대한 전복위험이 있는 한계하중을 실측된 하중의 값과 비교된 크레인의 전복 위험에 대한 경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s,
And a cumulative load display section for indicating load accumulated in the crane or the vehicle,
The mobile device comprising:
And providing a warning on the risk of rollover of the crane compared to the value of the measured load, based on the slope value, of the limit load having a risk of rollover to the angle of the boom and the length to be extend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크레인에 결합되며 작동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장치는,
상기 AML정보표시부, 이동정보표시부 또는 조작모드의 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값들을 미리 설정된 연산을 통하여 연산하여 작업상태 정보를 생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작업상태 정보를 통하여 크레인의 전복 위험의 한계값에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판단부와, 상기 위험판단부에서 한계값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장치에서 시각, 청각 또는 촉각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ensor units coupled to the crane and detecting operating signals; And
And a microcomputer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signal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e mobile device comprising:
And a selection button unit for selecting the screen of the AML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movement information display unit, or the operation mode,
The microcomputer,
A risk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risk of overturning of the crane is reached through the work state information,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through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in the mobile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reshold value has been reached i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KR1020140115519A 2014-09-01 2014-09-01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KR101523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519A KR101523197B1 (en) 2014-09-01 2014-09-01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519A KR101523197B1 (en) 2014-09-01 2014-09-01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828A Division KR20140074641A (en) 2012-12-10 2012-12-10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699A true KR20140122699A (en) 2014-10-20
KR101523197B1 KR101523197B1 (en) 2015-05-29

Family

ID=5199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519A KR101523197B1 (en) 2014-09-01 2014-09-01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19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3014A1 (en) * 2015-10-16 2017-04-20 Palfinger Ag Arrangement of a controller and a mobile control module
ITUB20160254A1 (en) * 2016-01-21 2017-07-21 Fassi Gru S P A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a crane
WO2018077459A1 (en) * 2016-10-26 2018-05-03 Liebherr-Werk Biberach Gmbh Remote control device for crane, construction machine, and/or industrial truck
EP3369688A1 (en) * 2017-03-02 2018-09-05 Cargotec Patenter AB Load handling cra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931A (en) * 2006-07-31 2008-02-14 Tadano Ltd Display device for working machine operating information
KR101144718B1 (en) * 2010-02-12 2012-07-03 오철규 Remote control system for crane
KR101192509B1 (en) * 2010-06-07 2012-10-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Navigation apparatus for tower cran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3014A1 (en) * 2015-10-16 2017-04-20 Palfinger Ag Arrangement of a controller and a mobile control module
US10961087B2 (en) 2015-10-16 2021-03-30 Palfinger Ag Arrangement of a controller and a mobile control module
ITUB20160254A1 (en) * 2016-01-21 2017-07-21 Fassi Gru S P A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a crane
EP3196161A1 (en) * 2016-01-21 2017-07-26 FASSI GRU S.p.A. Device for remotely commanding a crane
US9884750B2 (en) 2016-01-21 2018-02-06 Fassi Gru S.P.A. Device for remotely commanding a crane
WO2018077459A1 (en) * 2016-10-26 2018-05-03 Liebherr-Werk Biberach Gmbh Remote control device for crane, construction machine, and/or industrial truck
US11548768B2 (en) 2016-10-26 2023-01-10 Liebherr-Werk Biberach Gmbh Remote control device for crane, construction machine, and/or industrial truck
EP3369688A1 (en) * 2017-03-02 2018-09-05 Cargotec Patenter AB Load handling c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197B1 (en)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201B1 (en) Approach monitoring system for heavy equipment of construction
KR101523197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US9332229B2 (en) Surrounding area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area around work machine
US9783397B2 (en) Work state monitoring device for work vehicle
US20050017867A1 (en) Crane safety devices and methods
EP3279133B1 (en) Display apparatus for traveling cranes and synchronizing aparatus for traveling cranes
TWI700235B (en) Smart tower crane
US20070018841A1 (en) High voltage proximity warning system utilizing wireless sensors and method
JP2010241548A (en) Safety confirmation device of crane
US10961087B2 (en) Arrangement of a controller and a mobile control module
EP1221426A2 (en) Crane safety devices and methods
JP2016199388A (en) Cargo transportation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KR20140132602A (en) Apparatus for managing tower crane remotely
CN113443561A (en) Crane and monitoring device for crane
JP5142887B2 (en) Crane warning system
JP2001348914A (en) Posture recognizing device for heavy machinery
KR20140074641A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KR200478491Y1 (en) Danger alarm system and danger alarm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KR20140121648A (en) Alarming apparatus for tower crane
CN211004297U (en) Monitoring system of crawler crane
JP6753082B2 (en) Voice control device for cranes
CN102424037A (en) Engineering machinery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support leg thereof
JP2022043706A (en) Crane work support device and crane work support method
CN104594434A (en) Emergency balancing device of excavating machinery
JP3225131U (en)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work equipment and rescue work vehicle equippe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