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250A -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 Google Patent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250A
KR20140118250A KR1020130033816A KR20130033816A KR20140118250A KR 20140118250 A KR20140118250 A KR 20140118250A KR 1020130033816 A KR1020130033816 A KR 1020130033816A KR 20130033816 A KR20130033816 A KR 20130033816A KR 20140118250 A KR20140118250 A KR 20140118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power
power
breaker
smartphone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병길
Original Assignee
류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병길 filed Critical 류병길
Priority to KR102013003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8250A/en
Publication of KR2014011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2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by means of mobile telephon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5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power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power using a smartphone and a power control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manually turns on or off the block of the standby power (or normal pow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et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to wirelessly connect a standby power breaker installed in a home, an office, or a business place to the smartphone through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phone, and automatically execute the block of the standby power (or normal power) for the standby power breaker when the smartphone and the standby power breaker are avoided from the predetermined range. The standby power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n identification code to a transmission unit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by including a plurality of receivers which execute a relaying role when the plurality of receivers are installed, identifies each device to enable the user to watch all home appliances on the smartphone screen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nd selectively turns on or off an electric device which the user wants to control. Therefore, the user can save power by controlling the electric devices in accordance to the power saving will of the user within a work environment or a liv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home, the office, and the business place.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blocks more the active type and passive type standby power (or normal power) unnecessarily consumed regardless of the power saving will of the user, and solves the complexity of usage and the financial burden included in the existing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본 발명은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통신기능(예; 블루투스)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가정이나 사무실에 장착된 대기전력 차단기 사이에 서로 신호를 주고 받아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을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공장 등 사업장을 포함한 가정 및 사무실, 주거 환경내에 불필요하게 소모되고 있는 능동형 및 수동형 대기전력(또는 일반전력)을 보다 간편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by power and a power control technology using a smart phone communication function (e.g., Bluetooth) Active and passive standby power that is unnecessarily consumed in homes, offic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including factories, etc., by automatically and / or manually turning on / off the power (or general p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which can more easily block the power consumption (or the general power).

디지털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자기기 또한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고루 갖춘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각 가정 및 사무실, 사업장에는 이러한 디지털 융복합 전자기기가 널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 technology,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developed in a form having various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and such digital fusion electronic devices are spreading in each home, office, and business place.

그러나 기능의 융복합화 및 네트워킹 기능의 지원으로 인해 이러한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그리고 사용자가 인식도 못하는 사이에 통신 대기전력(능동대기전력)을 소모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제공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도 모르게 명령 대기전력(수동대기전력)을 소모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confluence of the functions and the support of the networking function, these electronic devices consume communication standby power (active standby power) unlike the user's intention and the user does not recognize, (Standby standby power) without knowing the user.

즉, 대기전력은 공장 등 사업장, 사무실내에서의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각종 정보통신기기(예; wifi, ADSL, 공유기 등)와, 가정내에서의 TV, 전자렌지, 에어컨, 선풍기 등 전원을 항상 콘센트에 꽂아 놓아야 하는 일부 전자기기를 제외한 모든 전자기기에서 사람이 있거나 없거나 항상 미세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대기전력은 콘센트로부터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분리시켜 놓지 않는 이상 전자기기의 파워스위치가 오프되더라도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반도체소자 IC 칩, 콘덴서 등 전기를 모으는 성질이 있는 칩에 의하여 플러그 소켓의 전류가 플러그를 통해 소비되고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andby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factory, office, computer, monitor, printer,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eg wifi, ADSL, router), TV, microwave, air conditioner, All of the electronic equipment, except for some electronic equipment that must always be plugged into a wall outlet, is consumed with or without people, and always consumes minute power, and this standby power will not cause the power switch of the electronic equipment The electric current of the plug socket is consumed through the plug by the chip having the property of collecting electricity such as the semiconductor device IC chip and the condenser built in the electronic device.

한편,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전자기기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와 전자기기의 오용 및 잘못된 습관으로 인하여, 대기전력에 의한 피해는 전체 전력사용량의 약 11%에 달하는 등 상당한 양이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explosive increase in demand for electronic devices due to recent improvements in living standards, and the misuse and misuse of electronic devices, the damage caused by standby power is considerable, including about 11% of the total electric power consumption.

따라서 전기 에너지 절약으로 기존 전세계 전기에너지공급원의 약 30%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는 보고서가 있듯이, 전기에너지 절약은 전세계적으로 제5의 에너지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한 우리 인류의 과제이다.Thus, as there is a report that electric energy saving can save more than 30% of the existing electric energy source of the world, electric energy saving is a problem of our humanity which is called the fifth energy in the world.

이러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각 가정마다 잘못된 에너지 소비패턴을 시정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홍보와 대기전력의 차단 기술 개발, 대기전력 소모가 없는 새로운 제품 개발 및 보급, 대기전력 차단 기술의 장려 및 신제품의 사용 의무화 정책, 보다 광범위한 법적 제도 활성화 등의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In order to reduce such energy consump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publicity and eradication of standby power, to develop and introduce new products that do not consume standby power, to encourage standby power cut-off technology and to use new products Policy, and broader legal system.

즉, OECD 회원국의 경우 전체 전기 사용량의 10-15%, 대한민국은 사용전기량의 약 11%(금액으로는 약 7600억원 정도)를 대기전력으로 손실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약 12%가 대기전력 손실로 소모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OECD estimates that 10 ~ 15% of the total electricity use and about 11% of the electricity used by the Republic of Korea (about 760 billion won) are lost by standby power, and about 12% It is estimated that it is consumed by standby power loss.

이에따라, 유럽에서는 대기전력 1W 이상의 전자기기의 판매를 강제 규제하고 있으며, 미국, 일본, 호수 등도 전자기기의 1W 대기전력을 목표로 국가 정책을 이끌어가고 있다.As a result, Europe is regulating the sale of electronic appliances with a standby power of 1 W or more, and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re leading national policies aiming at 1 W standby power for electronic devices.

대한민국에서는 대기전력 1W 정책 로드맵 작성을 기반으로 갖가지 에너지 효율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주택 건설 기준을 도입하면서 신규 아파트에는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도입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신규가옥에 최신기술의 대기전력 1W 이하의 친환경 제품이 공급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향후 신규가옥에 대한 대기전력 소모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In Korea, various energy efficiency systems are being implemented based on the 1W policy roadmap for standby power.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eco-friendly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has mandated the introduction of standby power outlets for new apartments. Therefore, when it is assumed that eco-friendly products with less than 1W of standby power of the latest technology are supplied to new houses, standby power consumption for new houses will not be much.

그러므로 대기전력의 소모는 구 가옥에서 더욱 크게 발생하는 바 구가옥에 대한 대기전력 절감 정책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에, 친환경주택건설기준이 도입되면서 최근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가 신규 아파트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Therefore,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is a necessity of the standby power saving policy for the old house which is bigger in the old house.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eco-friendly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has recently led to the spread of automatic shut-offs for standby power mainly in new apartments.

그러나, 상기 친환경주택건설기준과 같은 정책은 고비용이 요구되고 있어 건설회사의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를 적용할 시 주택 분양의 원가 구조가 높은 관계로 건설사가 꺼리는 상황이며, 이를 구가옥까지 확대하여 시행하기에는 대기전력 차단용 자동절전제어장치 가격이 너무 비싸서 절전량에 비하여 소비자가 구매하여 회수되는 기간이 너무 오래 걸려 기존의 구가옥 주거 세대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However, the same policies as the above-mentioned eco-friendly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are required to be costly, and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luctant to apply the standby power automatic shut-off receptacle, In this case, the price of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device for standby power interruption is too expensive, so that the period of time taken by the consumer to buy and retrieve is too long compared to the amount of the power saving,

즉, 각종 보고서에 따르면, 1년에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1개로 절감되는 전기량은 약 39.215 kWh(약 4,314원)으로 설치비를 포함한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의 가격을 약 40,000원으로 가정하였을 때 9년을 사용하여야 소비자에게 이익이 돌아오는 사용 고비용 구조이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various reports,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saved by one automatic power outlet is estimated to be 39.215 kWh (approx. KRW 4,314). Assuming that the price of the standby power outlet including installation cost is about 40,000 won, This is because it is a high-cost structure that is beneficial to consumers when it is used.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내의 경우 현재 전체 전력소모량의 10-20% 정도가 대기전력(수동+능동)으로 소모되고 있고, 홈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능동대기전력이 차지하는 비중도 늘고 있어서, 이러한 대기전력이 향후 20-40%까지 증가할 전망이며, 이 중에서 능동 대기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70-80%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Specifically, in the home, about 10 to 20%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consumed by standby power (passive + active), and active standby power accounts for the proportion of the active power consumed by the home network, Will increase to 20-40% in the future, and active standby power will account for 70-80% of the total.

따라서 능동대기전력의 절감은 향후 에너지 문제와 관련하여 큰 이슈가 될 것임이 자명하다.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reduction of active standby power will be a big issue in the future.

그러나, 사용자는 전기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을 실제 피부로 못 느끼고 있으며, 간혹 매월 청구되는 전기료에 대해 의구심만 가질 뿐이다. 최근들어 이러한 사용자의 호기심을 해결을 통한 사용자 스스로의 에너지 절약의 실천을 도와줄 수 있는 기술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However, the user does not feel the necessity of electric energy conservation as actual skin, and sometimes only doubts about the electricity bill charged every month.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technologies that can help users to practice energy saving by solving their curiosity.

한편, 기기별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기능과 관련하여, 가정 및 건물 단위별로 소모되는 전력량의 총량을 측정하는 계량기의 디지털화와 원격검침 기술 및 관련 기기가 개발되고, 기기별로 특정기간을 지정하여 전력 소모량까지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등 대기전력 자동 차단 기능과 관련하여, 수동대기전력의 경우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112751 호(공개일 2011.10.13.)와 같이 리모콘 등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원할 때 전력을 차단하여 플러그를 뽑는 효과를 제공하는 콘센트나,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111072 호(공개일 2011.10.10.)와 같이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전력을 차단하여 플러그를 뽑는 효과를 제공하는 콘센트가 개발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function of each device, the digitization of the meter and the remote meter reading technology for measuring th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ed by each home and building unit and related devices are developed.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shutting off standby power is being developed. In the case of passive standby power, when a user wants to use a remote controller, such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112751 (published on October 13, 2011) An outlet providing an effect of removing the plug by cutting off the electric power, or a plug which cuts off electric power at a time set by the user using a timer such as tha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111072 An outlet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a pulling effect.

또한, 부하 감지를 통해 사용전력과 대기전력을 구별해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콘센트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능동대기전력을 자동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제품이 현재까지 개발되어 시제품화되고 있지 않으며, 특히 리모콘을 사용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식은 리모콘의 분실이나 고장 또는 사용자가 대기전력을 차단시키기 위해 리모콘을 찾아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이러한 리모콘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시스템은 이를 작동하기 위한 복잡한 체계와 주변기기가 부착되어야 함으로 경제적으로나 사용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사용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소비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an outlet has been developed to block standby power by distinguishing between used power and standby power through load detection, technologies and products that provide a function to automatically shut off active standby power have been developed and prototyped to date In particular, the method of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by using the remote control causes difficulties such as the loss or failure of the remote control, or the need for the user to find the remote control to shut off the standby power. Since the system and peripherals have to be attached to operate, it is costly to use economically an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access due to the complexity of usage.

한편, 친환경주택건설기준이 도입되면서 최근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가 신규아파트를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홈네트워크 기술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시켜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기술의 적용으로 각종 부가 시스템들이 고비용을 야기하고 있다.Meanwhile, with the adoption of eco-friendly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the automatic standby power outlet has recently been spreading to new apartments, adding ubiquitous technology to home network technology, resulting in the high cost of various additional systems due to the application of ubiquitous home network technology.

일예로 홈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071456 호(공개일 2009.07.01.)가 제시되고 있는데, 이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수단과 홈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Gateway)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월패드,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또는 각종 단말장치를 통해 대기상태에 있는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9-0071456 (published on July 21, 2009) discloses a technique for remotely controlling standby power using a home network. By connecting a gateway, a user can interrupt standby power of a power consumption device in a standby state through a wall pad, a standby power cutoff switch, or various terminal devices.

그러나,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여, 원격에서 집안내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식의 편리성은 있으나,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많은 부가장치가 필요하므로 고비용이 들고 그만큼 고장발생시의 수리 등 처리 방법 또한 비효율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ubiquitous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provide convenience of a method of shutting off the standby power of the home remotely. However, since many additional devices are required to realize such a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there is a high cost, It also has inefficient disadvantages.

이에,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자기기의 구조적 개선이 우선적으로 절실하지만, 이러한 구조적 개선은 전자기기의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제조사는 물론 소비자 모두에게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structural improvement of electronic equipment is urgently required as a method for reducing standby power. However, such a structural improvement can cause a great economic loss to both manufacturers as well as consumers as it increases the cost of electronic devic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근거리 통신모듈(예; 블루투스)을 통해 스마트폰과 가정이나 사무실, 사업장에 장착된 대기전력 차단기를 서로 통신 연결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내에서는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의 차단이 수동으로 온/오프되도록 하고, 스마트폰과 대기전력 차단기가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대기전력 차단기에 의해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의 차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정 및 사무실, 사업장을 포함한 주거 환경내에서 사용자의 절전 실천 의지와 관계없이 불필요하게 소모되고 있는 능동형 및 수동형 대기전력(또는 일반전력)을 보다 간편하게 차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 smartphone with a standby power breaker installed in a home, office, , The blocking of the standby power source (or the general power source) is manually turned on / off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set by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nd when the smartphone and the standby power breaker deviate from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Or the general power supply) is automatically disconnected by the standby power break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ctive power supply (or the general power supply) And smartphones that simplify passive standby power (or general power) more easi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은, 가정이나 사무실내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설치되고, 제 1 통신모듈이 탑재되는 대기전력 차단기;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제 1 통신모듈과 근거리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제 2 통신모듈이 탑재되고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 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 1,2 통신모듈이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내에서 통신 연결시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온/오프를 스마트폰의 화면을 손가락이나 터치팬 중 어느 하나로 터치하여 부하에서 발생하는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을 수동 제어 온/오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2 통신모듈이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를 벗어나 통신 연결이 차단된 시점에서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자동 온(켜짐) 동작으로부터 부하로의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을 자동 오프(꺼짐)되어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standby power breaker installed to block standby power supplied to a load side in a home or office and equipped with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 smartphone in which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s installed and an application for standby power control is installed;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on / off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is performed through a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ouch fan to manually turn on / off a standby power supply (or a general power supply) generated in the load by touch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Wh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are ou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hut off (turn off) the standby power supply (or the general power supply) from the automatic on (turn-on)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to the load.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는 멀티탭, 콘센트, 전력 배선라인 중 온/오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스위치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Also, the standby power breaker is installed in any one of a switch unit having a function of turning on / off a power supply line, a socket, and a power strip.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는 상기 제 1 통신모듈에 더하여, 부하에서 발생하는 대기전력 공급 차단을 위해 온/오프 스위칭되는 제 1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와,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위칭제어부의 구동을 위한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AC-DC 변환회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standby power breaker may include a first on / off switch that is turned on / off for interrupting a standby power supply generated in a load, and a second on / And an AC-to-DC converter circuit unit for converting AC power for driving the switching controller into DC power and supplying the DC power to the switching controller, and a power supply unit.

또한,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는 릴레이 또는 트라이악이나 스위칭 기능이 있는 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Also, the first on / off switch is any one of a relay, a triac, and a device having a switching function.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에는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하거나 다시 페어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온/오프 및 리셋 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standby power breaker further includes on / off and reset buttons for manually controlling or re-pairing the first on / off switch.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시전원 전력선으로부터 직접 전기를 공급받는 장치이거나 AC전원을 공급받는 충전기 또는 DC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device that receives power directly from a power supply line at all times, a charger that receives AC power, or a battery that supplies DC power.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는 스마트폰에 포함되는 알람기능의 알람설정 데이터를 제 2 통신모듈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의 제 1 통신모듈에 전송 처리하여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프로그램이 구성하며,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대기전력 차단동작은 동기화되는 상기 알람설정 데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built in the smartphone includes a synchronization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the alarm setting data of the alarm function included in the smart phone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is performed at a time automatically set by the alarm setting data to be synchronized.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에는 스마트폰의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인접하는 대기전력차단기로 중계 처리하여 메인 부하 이외에 다른 여러가지 부하 전기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전달하여 주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ter for relaying a standby power control signal of the smart phone to an adjacent standby power cutter to transmit signals necessary for on / off control of various load electric devices other than the main load, .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에는 메인 부하 이외에 다른 여러가지 부하 전기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전달받아 온/오프하여 주는 각각 별도의 중계수신기들이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tand-by electric power breaker is connected to separate relay receivers for receiving signals necessary for on / off control of various load electric devices other than the main load, and for turning on / off the signals.

또한, 상기 중계수신기는 부하 전기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전달받아 온/오프하여 주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제 2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lay receiver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necessary for on / off control of the load electric device, and a second on / off switch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receiver.

또한, 상기 대기전력차단기는 복수로 구성시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제 2 통신모듈을 통해 식별코드가 부여되는 대기전력 차단기의 제 1 통신모듈과 1:1로 통신 연결되며, 상기 제 1 통신모듈은 송신부를 통해 중계수신기의 수신부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Also, the standby power breaker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in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to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 a 1: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receiver of a relay receiver through a transmitter.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에는 동작모니터 LED, 타이머 대기 LED, 파원전원 LED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standby power breaker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including an operation monitor LED, a timer standby LED, and a power source power LED.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제 1 통신모듈과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초기화 또는 변경 설정이 이루어지는 통신연결 패스워드가 부여되는 것이다.Furth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password for initializing or changing setting is given by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과 가정이나 사무실, 사업장에 장착된 대기전력 차단기를 서로 통신 연결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내에서는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의 차단이 수동으로 온/오프되도록 하고, 스마트폰과 대기전력 차단기가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대기전력 차단기에 의해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의 차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가정 및 사무실을 포함한 주거 환경내에서 사용자의 절전 실천 의지와 관계없이 불필요하게 소모되고 있는 능동형 및 수동형 대기전력(또는 일반전력)을 보다 간편하게 차단시키면서, 종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이 가지는 경제적인 부담과 사용상의 복잡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a smartphone is connected to a standby power breaker installed in a home, office, or workplace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 phone, If the smartphone and the standby power breaker are ou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e standby power breaker (or the general power source) is turned on / off manual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block active and passive standby power (or general power) that is unnecessarily consumed regardless of the user's willingness to save power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including a home and an office, The economic burden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and the Would you expect the effect to improve the complex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대기전력 차단기에 대한 구조적인 하나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의 호스트 모드(Host Mode)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마트폰과 대기전력 차단기의 통신 연결과 그 통신연결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의 제어신호를 전송처리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의 클라이언트 모드(Client Mode)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example of a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host mode of standby power interruption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chematic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blocking a standby power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 smartphone and an idle power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client mode of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대기전력 차단기에 대한 구조적인 하나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standby power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스마트폰(20)의 화면을 터치하여 대기전력 차단기(10)를 동작시켜 부하(100)측으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수동으로 차단하거나, 또는 가정이나 사무실, 사업장에서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대기전력 수동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대기전력 차단기(10)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1 and 2, a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nd-by power breaker 10 by touching a screen of a smart phone 20, The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10 is automatically performed even if the stand-by power is manually shut off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when the user leaves the home, office, And the standby power is automatically cut off.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내에서 부하(예; 전기기기)(100)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대기전력 차단기(10)에는 스마트폰(20)에 탑재된 제 2 통신모듈(21)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제 1 통신모듈(11)을 탑재하여 구성하여 두는 것이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mounted on the smartphone 20 is connected to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installed in the home or office to block the standby power supplied to the load 100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for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여기서, 상기 제 1,2 통신모듈(11)(21)은 블루투스 모듈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또 다른 모듈(예; 적외선감지센서 등)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1 and 21 are Bluetooth modules,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1 and 21 are not limited to the Bluetooth module, and another module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e.g., an infrared sensor) may be used.

이때,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는 입력되는 상시전원(P)에 연결되어 있는 멀티탭, 콘센트, 전력 배선라인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온/오프 차단스위치(12), 스위칭제어부(13), 전원부(14), AC-DC 변환회로부(15), 스마트폰이 없을 때 대기전력차단기(10)를 손으로 온/오프할 수 있거나 스마트폰을 분실하여 다시 페어링하여 사용해야할 경우에 필요한 수동 온/오프 및 리셋버튼(16), 그리고 송신부(17)와 수신부(18-1∼18-n)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수신부(18-1∼18-n)는 대기전력차단기(10)의 송신부(17)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대기전력차단기(10)로부터 각각의 독립된 대기전력차단기의 중계수신기(30-1∼30-n)에 내장되며, 상기 중계수신기(30-1∼30-n)는 각각의 상시전원(P)에 연결되어 각각의 부하(100-1∼100-n)를 온/오프 할 수 있는 제 2 온/오프 스위치(12-1∼12-n)가 상기 중계수신기(30-1∼30-n)의 수(1개∼ n개)와 같은 개수로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is installed in one or more of a multi-tap, an outlet, and a power wiring line connected to the constant power source P to be input. The standby power interrupter 10 includes a first on / off cutoff switch 12, The control unit 13, the power supply unit 14, the AC-DC conversion circuit unit 15, and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when there is no smartphone can be turned on or off by hand or the smartphone is lost and re- A manual on / off and reset button 16 required for manual transmission, and a transmitting unit 17 and receiving units 18-1 to 18-n. At this time, the receiving units 18-1 to 18-n are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unit 17 of 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10 by radio, and are connected to the relay receivers 30-1 to 30- and the relay receivers 30-1 to 30-n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ower sources P to turn on / off the respective loads 100-1 to 100-n. 2 on / off switches 12-1 to 12-n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relay receivers 30-1 to 30-n (1 to n).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12)는 릴레이 또는 트라이악이거나 또는 기타 스위치 기능을 하는 소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부하(100)로의 대기전력 공급 차단을 위해 온/오프 스위칭되는 것이고, 상기 스위칭제어부(13)는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12)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AC-DC 변환회로부(15)는 상기 전원부(1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위칭제어부(13)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first on / off switch 12 is configured to be either a relay, a triac, or any other switching device, and is on / off switched for interrupting standby power supply to the load 100. The switching controller The AC-DC conversion circuit unit 15 receives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 and drives the switching control unit 13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control of the first on /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여기서, 상기 전원부(14)는 전력 인입선으로부터 직접 전기를 공급받는 장치이거나 AC전원을 공급받는 충전기 또는 DC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수동 온/오프 및 리셋버튼(16)은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12)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하거나 대기전력 차단기(10)를 다른 번호로 페어링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리셋하기 위해 구성하여 두는 것이다.Here, the power supply unit 14 may be any one of a power supply unit directl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a charger supplying AC power, or a battery supplying DC power, and the manual on / off and reset button 16 Off control of the first on / off switch 12 or to reset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to be used by being paired with another number.

상기 스마트폰(20)에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2 통신모듈(11)(12)이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내(예; 반경 30-40m 범위내)에서 통신 연결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하여 부하(100)에서 발생하는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을 수동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는 제 1,2 통신모듈(11)(12)이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를 벗어나 통신 연결이 차단된 시점에 자동 온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부하(100)에서 발생하는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을 자동 차단하도록 구성하여 두는 것이다.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1 and 12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for example, within a radius of 30-40 m) 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10 may be manually turned on or off at the tim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to manually shut off the standby power source (or the general power source) generated in the load 100, Wh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1 and 12 are ou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shut off, the standby power power source (or general power source) generated in the load 100 is automatically turned on It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blocked.

그리고, 상기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는 스마트폰(20)에 포함되는 알람기능의 알람설정 데이터를 제 2 통신모듈(21)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10)의 제 1 통신모듈(11)에 전송 처리하여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의 대기전력 차단동작은 동기화되는 상기 알람설정 데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두는 것이다.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transmits the alarm setting data of the alarm function included in the smartphone 20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at a time automatically set by the alarm setting data to be synchronized.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20)의 알람기능을 통해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를 설정하여 두면, 상기 설정되는 시간대에 제 1,2 통신모듈(11)(12)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10)의 차단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대기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잃어버리더라도 자동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대기전력에 의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f the user sets a time zon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used through the alarm function of the smartphone 20, The power cut-off operation of the power cut-off device 10 is performed, so that even if the user loses his / her ability to interrupt the standby power, the automatic shut-off is performed, thereby minimizing energy waste due to the standby power.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의 내부에 송신부(17)를 구비하여 전력을 차단하는 별도의 각각의 개별 상시전원(P-1∼P-n)에 꽂아 연결된 중계수신기(30-1∼30-n)를 복수로 구성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의 송신부(17)는 각각의 상기 중계수신기(30-1∼30-n)에 구성되는 수신부(18-1∼18-n)로 각각의 전력을 온/오프하도록 신호 명령을 보내면 각각의 제 2 온/오프 스위치(12-1∼12-n)가 온/오프 임무를 수행 하여 각각의 부하(100-1∼100-n)가 온/오프하도록 각각의 독립된 중계수신기(30-1∼30-n)에서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두는 것이다.The relay receivers 30-1 to 30-n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parate power sources P-1 to Pn, respectively, which are provided with a transmitter 17 inside the standby power cut- The transmitting section 17 of 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1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ections 18-1 to 18-n of the respective relay receivers 30-1 to 30-n, The second on / off switches 12-1 to 12-n perform on / off tasks to turn on / off each of the loads 100-1 to 100-n, So that reception is performed in each of the independent relay receivers 30-1 to 30-n.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를 메인으로 하여 각각의 중계수신기(30-1∼30-n)가 작동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와 각각의 전력을 온/오프하는 중계수신기(30-1∼30-n)에는 식별코드를 부여하도록 하였으며, 이에따라 상기 스마트폰(20)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제 2 통신모듈(21)을 통해 식별코드가 부여되는 하나의 대기전력 차단기(10)의 제 1 통신모듈(11)과 1:1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고, 대기전력 차단기(10)에 장착되어 있는 송신부(17)는 각각의 전력 온/오프 중계수신기(30-1∼30-n)들과는 상호 통신 연결이 중계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When the plurality of relay receivers 30-1 to 30-n are operated to operate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as a main unit,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and the respective power sources are turned on / The idle power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d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of one standby power breaker 10 in a 1: 1 manner and a transmitter 17 mounted on 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10 is connected to each power on / off So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s with the relay receivers 30-1 to 30-n are made in a relay manner.

즉,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에는 제 1,2 통신모듈(11)(21)을 통해 1:1로 통신 연결시 스마트폰(20)의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인접하는 중계수신기(30-1∼30-n)들과는 서로 중계 처리하는 적외선감지센서모듈이 각각 장착된 송신부(17)와 각각의 수신부(18-1∼18-n)를 설치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1 and 21 through a 1: 1 communication connection, the standby power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20 is transmitted to the adjacent relay receiver 30-1 The transmitting unit 17 and the receiving units 18-1 to 18-n, respectively, which are equipped with the infrared sensor modules for relaying with each other, are installed.

여기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에는 동작모니터 LED, 타이머 대기 LED, 파워전원 LED를 포함하는 표시부(1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대기전력 차단기(10)의 동작상태를 외부에서 보다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1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9 including an operation monitor LED, a timer standby LED, and a power power LED. This allows the user to operate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So that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제 1 통신모듈(11)은 제 2 통신모듈(21)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패스워드가 부여되며, 이러한 패스워드는 스마트폰(20)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초기화 또는 변경 설정되도록 구성하여 두는 것이다.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is given a passwor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and the password is initialized or changed by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phon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제 1 수동모드][First manual mode]

제 1 수동모드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20)이 멀티탭, 콘센트, 전력 배선라인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차단기(10)와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 즉, 약 30-40m 범위내의 거리를 유지하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In the first passive mode, the smartphone 20 carried by the user maintains a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at is, within a range of about 30-40 m, with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installed in any of the multi-tap, Should be satisfied.

이때,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스마트폰(20)의 제 2 통신모듈(21)은 대기전력 차단기(10)의 제 1 통신모듈(11)과 근거리 무선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며, 이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20)에 설치되는 스마트폰에서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되고, 상기 스마트폰(20)에서 실행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우선적으로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above condition is satisfie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of the smartphone 20 establish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The application for standby power control is executed in the smartphone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executed in the smartphone 20 receives the password from the user first.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20)에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시, 상기 제 2 통신모듈(21)은 대기전력 차단기(10)에 설치되는 제 1 통신모듈(11)과 근거리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에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20)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하는 터치화면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10)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 password through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to the smartphone 20,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connect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installed in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to the short- Thus, the user can turn on or off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through the touch screen executed in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이때, 상기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가 제 2 통신모듈(21)과 제 1 통신모듈(11)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10)내의 스위칭제어부(13)로 전달되면, 상기 스위칭제어부(13)는 제 1 온/오프 스위치(12)를 오프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부하(100)측으로는 전력 공급이 완전 차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f a control signal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is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3 in the standby power interrupter 1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through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The switching controller 13 controls the first on / off switch 12 to be turned off so that power supply to the load 100 can be completely cut off.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20)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하는 터치화면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10)의 차단동작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 2 통신모듈(21)과 제 1 통신모듈(11)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10)내의 스위칭제어부(13)로 전달하게 되면, 상기 스위칭제어부(13)는 제 1 온/오프 스위치(12)를 온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부하(100)측으로는 전력 공급이 재개될 수 있는 것이다.The control signal for canceling the interruption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through the touch screen executed in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by the user, The switch controller 13 controls the first on / off switch 12 to be turned on and the load 100 is controlled by the switching controller 13 in the standby power cutter 10 through the module 11, The power supply can be resumed.

[제 2 수동모드][Second manual mode]

제 2 수동모드는 대기전력 차단기(10)에 구성되는 수동 온/오프 및 리셋 버튼(16)을 통해 제 1 온/오프 스위치(12)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econd manual mode allows the first on / off switch 12 to be turned on or off via the manual on / off and reset button 16 provided in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즉, 제 2 수동모드는 대기전력 차단기(10)와 스마트폰(20)이 제 1,2 통신모듈(11)(21)을 통해 근거리 통신 연결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 연결이 차단되는 것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수동 온/오프 및 리셋버튼(16)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부하(100)측으로의 전력(또는 대기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second passive mode, regardless of whether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and the smartphone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1 and 21, (Or standby power) to the load 100 side by operating the manual on / off and reset button 16 arbitrarily.

[제 1 자동모드][First automatic mode]

제 1 자동모드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20)이 멀티탭, 콘센트, 전력 배선라인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차단기(10)와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 즉, 약 30-40m 범위를 벗어나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The first automatic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martphone 20 carried by the user is in a state of being ou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at is, about 30-40 m, with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ulti-tap, Should be satisfied.

이때,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스마트폰(20)의 제 2 통신모듈(21)은 대기전력 차단기(10)의 제 1 통신모듈(11)과 근거리 통신연결이 차단되며, 이 경우 대기전력 차단기(10)내의 스위칭제어부(13)는 스마트폰(20)과의 통신 차단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제 1 온/오프 차단스위치(12)를 자동 오프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부하(100)측으로는 전력 공급이 완전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above condition is satisfie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of the smartphone 20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The switching control section 13 in the controller 10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first on / off cutoff switch 12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20 is made, The supply can be completely shut off.

여기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20)이 멀티탭, 콘센트, 전력 배선라인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차단기(10)와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 즉, 약 30-40m 범위내의 거리로 다시 재진입시, 상기 스위칭제어부(13)의 제어동작은 오프되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13)는 다시 스마트폰(20)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온/오프 스위치(12)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the smartphone 20 carried by the user re-enters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ulti-tap, the socket, and the power wiring line at a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3 is turned off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3 switches the first on / off switch 12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On / off operation can be performed.

[제 2 자동모드][Second automatic mode]

제 2 자동모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20)에 마련되는 알람기능을 통해 대기전력의 차단 시간대를 설정한 상태에서, 대기전력 차단기(10)와 스마트폰(20)의 제 1,2 통신모듈(11)(21)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The second automatic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and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of the smartphone 20 are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sets the interruption time zone of the standby power through the alarm function provided in the smartphone 20. [ 11) (21) must maintain a distanc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이때, 상기 제 1,2 통신모듈(11)(21)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시간대에 도달시, 상기 제 2 통신모듈(21)은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시간대의 데이터를 제 1 통신모듈(11)에 전송 처리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1) and (21) maintain a distance enabl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when the alarm time zone set by the user arr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 And transmits the data of the alarm time zone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

그러면, 상기 제 1 통신모듈(11)은 상기 알람시간대의 데이터를 동기화시킨 후 이를 스위칭제어부(13)에 전달하게 되는 바, 상기 스위칭제어부(13)는 상기 동기화처리되는 알람시간대의 데이터로부터 제 1 온/오프 스위치(12)를 오프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부하(100)측으로는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 시간대에 전력 공급이 완전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 synchronizes the data of the alarm time zone and then transmits the data to the switching controller 13. The switching controller 13 receives data of the alarm time zone from the synchronized alarm time zone, The on / off switch 12 is controlled to be turned off, so that the power supply can be completely shut off at the alarm time set by the user to the load 100 sid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기(10)는 가정내 또는 사무실내, 사업장내에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고, 다수개의 대기전력 차단기(10)가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스마트폰(20)을 통해 다수개의 대기전력 차단기(10)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에는 각각 적외선 송수신을 위한 송신부(17)와 중계수신기(30-1∼30-n)에 구성되는 수신기수신부(18-1∼18-n)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상기 스마트폰(20)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중계 처리하도록 하였다.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home or an office in a workplace. When a plurality of standby power breakers 10 are installed,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17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rared rays and relay receivers 30-1 to 30-n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standby power breakers 10 The standby power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is relayed.

여기서, 상기 수신부(18-1∼18-n)는 대기전력 차단기(10)에 구성할 수 있지만, 별도의 독립된 단말기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receiving units 18-1 to 18-n may be configured as the stand-by power breaker 10, but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independent terminals.

따라서, 하나의 대기전력 차단기(10)에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대기전력 제어신호가 제 1,2 통신모듈(11)(21)을 통해 전달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10)에 설치되는 송신부(17)는 상기 제어신호를 인접하는 수신기수신부(18-1∼18-n)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기수신부(18-1∼18-n)는 또한 상기 제어신호를 또 다른 인접하는 대기전력 차단기(10)에 전달하게 되며, 이는 대기전력 차단기(10)의 설치 개수에 따라 그 중계 회수가 결정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tandby power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on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1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1 and 21, The transmitting unit 17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djacent receiver receiving units 18-1 to 18-n, and the receiver receiving units 18-1 to 18-n als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another adjacent standby power To the breaker 10,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s 10 installed.

그러면, 최초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대기전력 차단기(10)는 해당되는 범위내의 부하(100)측에 대한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또 다른 부하(100)측의 대기전력(또는 일반전원) 차단은 적외선 감지를 위한 송신부(17)와 일반전등, 텔레비전 등 스위칭이 가능한 각각의 제 2 온/오프 스위치(12-1∼12-n)에 적외선 감지 모듈이 내장된 적외선 감지센서가 내장된 각각의 수신기(18-1∼18-n)를 통해 전력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대기전력 차단기(10)가 각각의 부하(100-1∼100-n)를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1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initial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cuts off the standby power for the load 100 in the corresponding range and stops the standby power for the other load 100 Or the general power supply) is provided with a transmitting unit 17 for infrared ray detection and an infrared ray detecting sensor having an infrared ray detecting module incorporated in each of the second on / off switches 12-1 to 12-n, The standby power interrupter 10 can block the loads 100-1 to 100-n by receiving power control signals through the respective receivers 18-1 to 18-n.

즉, 가정, 사무실, 사업장내에서 복수의 공간 즉, 벽면을 통해 공간이 분할되는 제 1,2,…,n의 공간에 온/오프 스위칭을 할 수 있는 제 2 온/오프 스위치(12-1∼12-n) 하단에 각각 개별 상시전원(P-1∼P-n)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각각의 부하(100-1∼100-n)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공간들에 온/오프 스위칭을 할 수 있는 스위칭부 하단에 설치되는 부하(100-1∼100-n)에서 발생하는 전력(또는 대기전력)의 차단여부를 하나의 스마트폰(20)을 통해 일괄 제어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a home, an office, a workplace, a space is divided into plural spaces, that is, a space through a wall. 1 to Pn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individual power sources P-1 to Pn at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on / off switches 12-1 to 12-n capable of switching on / 100-1 to 100-n are installed, the power (or standby) generated in the loads 100-1 to 100-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witching unit capable of on / off switching in the respective spaces Power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or sel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single smartphone 2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대기전력 차단기 11; 제 1 통신모듈
12; 제 1 온/오프 스위치 12-1~12-n; 제 2 온/오프 스위치
13; 스위칭제어부 14; 전원부
15; AC-DC 변환회로부 16; 수동 온/오프 및 리셋버튼
17; 송신부 18-1∼18-n; 수신부
19; 표시부 20; 스마트폰
21; 제 2 통신모듈 30-1∼30-n; 중계수신기
100, 100-1∼100-n; 부하 P; 상시전원
P-1∼P-n; 개별 상시전원
10; Standby power breaker 11;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 First ON / OFF switches 12-1 to 12-n; The second on / off switch
13; A switching controller 14; Power supply
15; An AC-DC conversion circuit unit 16; Manual on / off and reset button
17; Transmitters 18-1 to 18-n; Receiver
19; A display section 20; Smartphone
21;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30-1 to 30-n; Relay receiver
100, 100-1 to 100-n; Load P; Always Power
P-1 to Pn; Individual constant power source

Claims (12)

가정이나 사무실내, 사업장내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설치되고, 제 1 통신모듈이 탑재되는 대기전력 차단기;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제 1 통신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제 2 통신모듈이 탑재되고,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 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 1,2 통신모듈이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내에서 통신 연결시에는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폰 화면상에 표시된 아이콘을 손가락 또는 터치팬 중 어느 하나로 터치하여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하여 부하로부터 발생하는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을 수동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2 통신모듈이 설정된 일정거리 범위를 벗어나 통신 연결이 차단된 시점에서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온 동작에서 부하로부터 발생하는 대기전력 전원(또는 일반 전력전원)을 자동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A standby power breaker installed in the home or office to shut off the standby power supplied to the load side in the workplace and equipp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by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having an application for standby power control;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ouching the icon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with a finger or a touch fan through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built in the smartphone, The on / off control of the breaker is manually controlled to manually shut off the standby power supply (or the general power supply) generated from the load,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block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are ou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e standby power supply (or the general power supply) generated from the load in the on-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cut- A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는 멀티탭, 콘센트, 전력 배선라인 중 온/오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스위치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2. The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ndby power breaker is installed in any one of a multi-tap, an outlet, and a switch having a function of on /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는
상기 제 1 통신모듈에 더하여, 부하로부터 발생하는 대기전력 공급 차단을 위해 온/오프 스위칭되는 제 1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와,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 AC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위칭제어부의 구동을 위한 DC전원을 공급하는 AC-DC 변환회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tandby power breaker
A first on / off switch for on / off switching for interrupting standby power supply generated from a load; a switching control section for on / off controlling the first on / off switch; And an AC-DC conversion circuit unit for supplying DC power for driving the switching control unit, the AC-DC conversion circuit unit being supplied with A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supplying the DC power for driving the switching control unit.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는 릴레이 또는 트라이악이나 스위치 기능을 하는 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The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on / off switch is one of a relay, a triac, and a switc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에는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의 온/오프를 수동 제어하거나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를 다시 페어링할 때 리셋할 수 있는 수동 온/오프 및 리셋 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tandby power breaker further includes a manual on / off and reset button capable of manually controlling on / off of the first on / off switch or resetting the standby power breaker when the standby power breaker is paired again Wherein the standby power and the power control system are implemented by a smartphon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시전원 전력선으로부터 직접 전기를 공급받는 장치이거나 AC전원을 공급받는 충전기 또는 DC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4. The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is any one of a device that receives power directly from a power supply line at any time, a charger that receives AC power, or a battery that supplies DC power.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는 스마트폰에 포함되는 알람기능의 알람설정 데이터를 제 2 통신모듈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기의 제 1 통신모듈에 전송 처리하여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프로그램이 구성하며,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대기전력 차단동작은 동기화되는 상기 알람설정 데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comprises a synchronization program for transferring alarm setting data of an alarm function included in a smart phone to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a standby power breaker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standby power cut-off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is performed at a time automatically set by the alarm setting data to be synchroniz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에는 스마트폰의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인접하는 대기전력차단기로 중계 처리하여 메인 부하 이외에 다른 부하 전기기기들을 온/오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전달하여 주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necessary for on / off control of load electric devices other than the main load by relaying the standby power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with an adjacent standby electric power breaker And a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phon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는 중계역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중계수신기를 구비하면서 복수로 구성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의 송신부에는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제 2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 화면에 전체의 부하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각각의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표시되고, 각각의 대기전력 차단기의 중계수신기가 대기전력 차단기의 제 1 통신모듈과 송신부를 통해 1:1로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온/오프하기를 원하는 부하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The standby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tandby power breaker has a plurality of relay receivers capable of serving as a relay, and when a plurality of relay receivers are provided, a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a transmitter of the standby power cutter, The relay receiver of each standby power break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tandby power breaker and the transmission unit to display 1: And selectively turning on / off a load desired to be turned on / off.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수신기는 부하 전기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송신부로부터 전달받아 온/오프하여 주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제 2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The relay receiver of claim 9, wherein the relay receiver includes a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necessary for on / off control of the load electric device from the transmission unit, and a second on / off switch for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reception unit And a standby power and power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기에는 동작모니터 LED, 타이머 대기 LED, 파워전원 LED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tandby power breaker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including an operation monitor LED, a timer standby LED, and a power power 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모듈에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대기전력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초기화 또는 변경 설정이 이루어지는 통신연결 패스워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connection password that is initialized or changed by the standby power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KR1020130033816A 2013-03-28 2013-03-28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KR201401182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816A KR20140118250A (en) 2013-03-28 2013-03-28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816A KR20140118250A (en) 2013-03-28 2013-03-28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250A true KR20140118250A (en) 2014-10-08

Family

ID=5199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816A KR20140118250A (en) 2013-03-28 2013-03-28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8250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5087A (en) * 2017-01-26 2017-05-17 南京陇源汇能电力科技有限公司 Distribu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fo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R20180017700A (en)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부길전기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90017517A (en) * 2017-08-11 2019-02-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mestic applian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00034208A (en) * 2018-09-21 2020-03-31 전재환 Standby power distribution panel
KR102386432B1 (en) * 2021-06-23 2022-04-15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tate-of-the-a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apartment hous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700A (en)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부길전기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6685087A (en) * 2017-01-26 2017-05-17 南京陇源汇能电力科技有限公司 Distribu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fo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R20190017517A (en) * 2017-08-11 2019-02-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mestic applian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00034208A (en) * 2018-09-21 2020-03-31 전재환 Standby power distribution panel
KR102386432B1 (en) * 2021-06-23 2022-04-15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tate-of-the-a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apartment ho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4274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US80937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o an electrically powered device
US9705330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age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AU2012100197C4 (en) Power sensor
KR100909598B1 (en) Stand by power control and power consumption display device using the socket outlet having a stand by power choice
KR20140118250A (en)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AU2011101402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KR101143758B1 (en) Electric Energy Saving System Using Inteligent Socket and Remote Controll
KR20160011129A (en) the remote controling method and processing method and multi-tap concent to protect Standby Power
CN105159120A (en) Heating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houses
KR101127641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consents installed on the floor
KR1011122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standby power in an electric outle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KR20210081202A (en) Socket device and socke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149048B1 (en) A home network system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AU2011101409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WO2013073771A1 (en) Device for cutting off stand-by electric power using touch screen
AU2011101408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KR101260337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type remote monitoring multi consent
KR20130013757A (en) Plug-in type small remote control device
KR20160145984A (en) Smart grid system for reducing standby power loss using seperately establised standby power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