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957A - Dual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ual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957A
KR20140117957A KR1020130032960A KR20130032960A KR20140117957A KR 20140117957 A KR20140117957 A KR 20140117957A KR 1020130032960 A KR1020130032960 A KR 1020130032960A KR 20130032960 A KR20130032960 A KR 20130032960A KR 20140117957 A KR20140117957 A KR 20140117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mage
output
touch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석
김민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102013003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7957A/en
Publication of KR2014011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9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display device. The device includes: a first display portion which is formed of a transparent touch panel; a second display portion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which controls an image to be output by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and controls the output image to be moved to another display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of actively searching and check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a viewer and provides intuitive and customized information by the dual display.

Description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DUAL DISPLAY DEVICE}[0001] DUAL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관찰자에게 이중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관찰자의 이해와 흥미감을 높일 수 있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display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displa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an observer by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viewer through a dual display unit.

디스플레이 장치는 박물관이나 백화점, 그 밖의 전시장과 같은 장소에서 특정 정보를 관찰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The display device is used to display specific information to observers in places such as museums, department stores, and other exhibition halls.

한국 공개 특허 제 2012-0130618 호 등 대부분의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일의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찰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전달하려는 정보를 입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Most of the touch screen type display devices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130618 are composed of a single display portion. Therefore, there is a difficulty in inducing an observer's interest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n three dimensions.

특히, 전시물을 비치하고 상기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때, 단일로 구성 된 디스플레이부로는 입체감 있는 정보전달이 이루어 지는 것에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관찰자에게 입체적인 정보를 전달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맞춤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적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Particularly, when a display is provided and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is transmitt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display uni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lligent display device that can transmit stereoscopic information to observers to generate interest and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본 발명은 관찰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중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직관적이고 맞춤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ely search and confirm information provided to an observer, and to provide intuitive and 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a dual displa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의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전시물을 비치하여 입체적인 정보의 전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hibition between two display units to provid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의 디스플레이부 간의 출력되는 이미지를 이동하고 변환하는 지능적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n intelligent display for moving and converting an output image between dual display uni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의 디스플레이부의 조작에 있어서, 관찰자에게 각 디스플레이부의 이미지에 대한 유연한 선택을 가능케 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allows the observer to flexibly select an image of each display unit in the operation of the dual display uni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터치 패널로 구성된 제 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display unit including a transparent touch panel; A second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image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moving the image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in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되는 이미지의 크기, 배치 및 선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size, arrangement, and sharpness of the output image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can move the second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have.

이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전시물이 위치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투과하여 상기 전시물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exhibi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image may be view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이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시물의 관련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may output an associated image of the exhibit.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출력되는 이미지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observing the display device.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되는 이미지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can be determined by tracking the line of sight of the observer observing the display device.

이 때,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할 때,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가지는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켜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in an area having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observer touches the first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output the same.

이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은 각각 소정의 계층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관찰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images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are set to a predetermined layer,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plurality of images on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이 때, 상기 관찰자의 조작은,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 스크롤 하는 조작이며, 상기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 스크롤함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롤의 종점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observer is an operation of touch-scrolling a predetermined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when the predetermined image is touched, the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 of the touch- The first display unit may move the second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output the same.

이 때,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가 상호 간에 원형의 궤적으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may move the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by rotating in a circular trajectory between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observer.

이 때, 상기 관찰자의 조작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드래그에 의한 조작이며, 상기 터치 드래그의 방향 및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가 상호 간에 원형의 궤적으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observer is an operation by the touch drag of the first display portion, and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rotate with circular trajectories mutually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touch drag .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를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move the first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at different speeds.

이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를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can be moved at different speeds.

이 때,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할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가 겹쳐 있는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observer touches the first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touch input in an area where the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overlaps with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ctivate either the first image or the second image.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초기 터치 시 상기 제 1 이미지를 활성화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되면 상기 제 2 이미지를 활성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first image when an initial touch occurs in the first display unit, and may activate the second image if a touch input is maintained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초기 터치 시 상기 제 1 이미지를 활성화하고, 다음 터치 시 상기 제 2 이미지를 활성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first image at the initial touch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t the first display unit, and activate the second image at the next touch.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다른 터치 접점에 위치한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함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제 2 이미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로 스위칭하여 제 2 이미지를 활성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m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by touching a predetermined image located at another touch contac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image can be activated.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입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의 하위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상기 드래그에 기반하여 하위메뉴가 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at the first display unit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r more, the first image or the second image, which is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A sub menu of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touch panel is outputted, and when dragging while holding the touch input, the sub menu can be moved based on the drag.

이 때, 상기 하위메뉴는, 원형을 유지하면서 변형되어 출력되고, 상기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상기 하위메뉴가 상기 원형 궤적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menu is deformed while maintaining the circular shape, and when the touch input is held and dragged along the circular locus, the lower menu may move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locus.

이 때,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스크린으로 변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convert the first display unit into an opaque screen by an operation of an observer.

이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원형의 궤적을 갖는 제 1 이미지를 출력하고,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원형의 궤적을 갖는 제 2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display unit outputs a first image having a circular trajectory, and the second display unit outputs a second image having a circular trajectory.

이 때,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투명도, 채도, 명도 및 크기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be changed in transparency, saturation, lightness, and size corresponding to positions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본 발명은 관찰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중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직관적이고 맞춤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observer to be actively searched and confirmed, and provides an intuitive and 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the dual displa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의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전시물을 비치하여 입체적인 정보의 전달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play is provided between the dual display units to provid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의 디스플레이부 간의 출력되는 이미지를 이동하고 변환하는 지능적인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으로써 관찰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an observer's interest by providing an intelligent display for moving and converting an output image between the dual display por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의 디스플레이부의 조작에 있어서, 관찰자에게 각 디스플레이부의 이미지에 대한 유연한 선택을 가능케 하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관찰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ration of the dual display unit, an observer can easily manipulate the observer by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allows flexible selection of images of the respective display uni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이미지들 간의 상이한 속도로 이동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간의 겹쳐진 영역에서의 터치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간의 겹쳐진 영역의 터치 인식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인식을 통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dual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ving images at different speeds on a screen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uch recognition method in a superimposed area between display portions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6 illustrate a touch recognition method of a superimposed area between display portions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lecting a menu through touch recognition in the display unit of the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1 are views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dual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 제 2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 dual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10, a second display unit 120, and a controller 130.

제 1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입력 포인터로 사용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단에 구비되며, 투명한 박막트랜지스터나 투명한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등의 소자를 채용하여 투명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관찰자(P)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를 불투명 스크린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통해 화면 상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는 프로그램, 파일, 동작 옵션 등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이미지로는, 윈도우(Window), 필드(Field), 대화상자(Dialog Box), 메뉴(Menu), 아이콘(Icon), 버튼(Button), 커서(Cursor), 스크롤 바(Scroll Bar)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를 선택하여 선택한 이미지와 연관된 여러 가지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윈도우의 열기, 닫기, 최소화, 또는 최대화를 행하는 버튼,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부(110) 상에서, 입력 포인터의 움직임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으로 이루어 진다.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a transparent display panel that uses a user's touch input as an input pointer.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dual display device 100 and is formed in a transparent state by using a 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 or a transparent activ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urther,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be controlled to be converted into an opaque screen by the operation of the observer P.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on a screen through a user interface (UI) of various applications. The first display unit 110 displays images such as programs, files, and operation options. Examples of images used here include a window, a field, a dialog box, a menu, an icon, a button, a cursor, a scroll bar, And the like. The user can select the image and activate various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image.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a button for opening, closing, minimizing, or maximizing a window, or an icon for activating a specific program.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movement of the input pointer is made by a user's finger or a touch pen.

제 2 디스플레이부는(120) 상기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의 일부 혹은 전체 영역이 제 1 디스플레이부(110)와 이격하여 겹쳐져 오버레이(overlay) 상태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120)도 제 1 디스플레이부(110)와 마찬가지로 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 part or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ual display device 100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display unit 110 to be overlapped Screen is provide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as i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통해 화면 상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는 프로그램, 파일, 동작 옵션 등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이미지로는, 윈도우(Window), 필드(Field), 대화상자(Dialog Box), 메뉴(Menu), 아이콘(Icon), 버튼(Button), 커서(Cursor), 스크롤 바(Scroll Bar)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를 선택하여 선택한 이미지와 연관된 여러 가지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윈도우의 열기, 닫기, 최소화, 또는 최대화를 행하는 버튼,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부(120) 상에서, 입력 포인터의 움직임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으로 이루어 진다.The second display unit 120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on the screen through a user interface (UI) of various applications. The second display unit 120 displays images such as programs, files, and operation options. Examples of images used here include a window, a field, a dialog box, a menu, an icon, a button, a cursor, a scroll bar, And the like. The user can select the image and activate various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image.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a button for opening, closing, minimizing, or maximizing a window, or an icon for activating a specific program.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e movement of the input pointer is made by a user's finger or a touch pen.

그리고, 제 2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 터치 입력을 하면 대응되는 좌표 값에 따라 이미지를 출력한다. 즉,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거나 그 표면을 따라 움직일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의 상대적 움직임에 대응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second display unit 120 outputs an image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 That is, when the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or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s touched or moved along the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corresponds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nger or the touch pen.

제어부(13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부(11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20)가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출력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제 1 이미지로 명명하고,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로 명명한다.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는 UI, 콘텐츠, 사진,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가 투명 패널이므로 관찰자(P)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를 투과하여 볼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P)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의 뒷단에 존재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도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볼 수 있게 된다. 관찰자(P)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제 1 이미지를 터치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제 2 이미지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가지는 제 1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을 터치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를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부(110)를 투과하여 볼 수 있는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된 제 2 이미지를 제 1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 때,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과 동시에 이미지의 크기나 배치 또는 선명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었을 때는 흐리고, 작은 이미지였으나,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하여 출력될 때에는 선명하고 큰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senses a touch input genera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n image, and the output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Here, the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referred to as a first image, and the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s referred to as a second imag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include a UI, content, a photograph, an image, and the like.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can be view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10. [ In addition, since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a transparent panel, the viewer P can see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10. FIG. Therefore, the observer P can view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The observer P can touch input the first image outputt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ouch the specific reg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having the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he controller 130 may move the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at is, the first display unit 110 outputs a second image, which is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10,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At this time, the size, arrangement, or sharpness of the image may be changed at the same time as moving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For example, when the image is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e image is blurred and small. However, when the image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image may be changed to a clear and large image.

또한, 제 1 디스플레이부(110)와 제 2 디스플레이부(120) 사이에 전시물(14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를 투과하여 상기 전시물(140)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전시물(140)의 관련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P)가 바라 볼 때, 제 1 디스플레이부(110)를 투과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 전시물(140),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의 순서로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P)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하여 전시물(140)에 대한 입체적이고 흥미 유발을 동반한 직관적인 정보의 습득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찰하는 관찰자(P)는 제자리에서 관찰하지 않고 이동하여 관찰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관찰자(P)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들의 출력위치를 유연하게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찰자(P)의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해서 관찰자(P)의 위치를 고려할 때에는 페이스 트래킹(face tracking)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관찰자(P)의 안면을 추적하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 특징(예: 컬러, 그레이 스케일 히스토그램, 에지(edge) 형상 등)을 추적의 근거로 하며 일정한 검색 전략을 사용하여 이미지에서 안면 또는 안면 기관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관찰자(P)의 시선을 추적하여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10,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1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nd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unit 120 can be observed. At this time,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may output a related image of the display 140. FIG.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display 140 ar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e second image can be observed in this order. Therefore, the observer P can acquire intuitive information accompanied by stereoscopic and interesting stimulation of the display 140 through the dua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observer P observing the dua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ved and observed without observing it in p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lexibly change the output position of the images output from the display unit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bserver P. When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P in order to capture the motion of the observer P, a face tracking technique can be applied. That is, the face of the observer P can be traced to determine the position.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acial or facial organs in an image using a certain search strategy based on image features (e.g., color, grayscale histogram, edge shape, etc.).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10 and 120 may be determined by tracking the line of sight of the observer P.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ual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다.
4 is a view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부(11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이미지들은 각각 소정의 계층으로 설정되어 있다.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들은 계층1 내지 계층3으로 이미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점 a는 1910년대의 역사의 사진, 종점 b는 1930년대 역사의 사진, 종점c는 1950년대 역사의 사진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종점 a는 계층 1에 대응되고, 종점 b는 계층 2에 대응되며, 종점 c는 계층 3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 관찰자(P)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이미지(T)를 터치 스크롤 하여 종점 a까지 드래그를 하게 되면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제 2 이미지들 중에 계층 1에 해당하는 이미지들(1a,1b)은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한다. 한편, 이미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 계층 1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출력되어 있다면, 이동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 동시에,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 계층2 및 계층3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출력되어 있다면 상기 계층2에 해당하는 이미지들(2a,2b)과 상기 계층3에 해당하는 이미지들(3a,3b)은 제 2 디스플레이부(120)로 이동되어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된다.4, image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re respectively set in a predetermined hierarchy.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re already set in layers 1 to 3. For example, end point a is a photograph of 1910s history, end point b is a photograph of 1930s history, and end point c is a photograph of 1950s history. The end point a corresponds to the layer 1, the end point b corresponds to the layer 2, and the end point c corresponds to the layer 3. At this time, when the observer P touches and scrolls a predetermined image 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drags to the end point a, among the second images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The corresponding images 1a and 1b are mov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FIG. On the other hand, i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layer 1 is already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movement is not performed. At the same time, if images corresponding to the layer 2 and the layer 3 are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images 2a and 2b corresponding to the layer 2 and the images 3a and 3b corresponding to the layer 3,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respectively.

관찰자(P)가 다시 상기 소정의 이미지(T)를 터치 스크롤 하여 종점 b까지 드래그를 하게 된다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어 있던 계층 1의 이미지들(1a,1b)이 제 2 디스플레이부(120)로 이동한다. 동시에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어 있던 모든 계층 2의 이미지들(2a,2b)이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은 터치 스크롤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관찰자(P)의 조작에 의한 다양한 입력에 따라 작동 할 수도 있다.
If the observer P touches and scrolls the predetermined image T again to the end point b, the images of the layer 1 outputt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are displayed on the second And moves to the display unit 120. At the same time, all the layers 2 images 2a and 2b outputt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re mov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above function is not limited to the touch scroll but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various inputs by the operation of the observer P.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다.
5 and 6 are views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와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가 원형의 궤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10,120)에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상에서 원형 궤적 디자인(50)이 설계되어 있다, 도 6은 실제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51,52,53)와 제 2 이미지(54,55,56)의 모습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관찰자(P)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51,52,53)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54,55,56)가 상호 간에 원형의 궤적으로 회전하며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관찰자(P)의 조작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의 터치 드래그에 의한 조작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드래그의 방향 및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이미지(51,52,53)와 상기 제 2 이미지(54,55,56)가 상호 간에 원형의 궤적으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즉, 관찰자(P)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를 왼쪽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를 한다면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54,55,56)가 시계방향으로 원형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하여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이동되는 거리만큼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51,52,53)가 제 2 디스플레이부(120)로 시계방향으로 원형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이 때, 관찰자(P)가 빠른 속도로 터치 드래그를 한다면 느린 속도로 터치 드래그를 할 때 보다 더 많은 제 2 이미지(54,55,56)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회전하며 이동 한다. 예를 들어 속도 1로 터치 드래그를 한다면 제 2 이미지(54)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회전하며 이동되면서 제 1 이미지(51)이 제 2 디스플레이부(120)로 회전하며 이동된다. 하지만, 속도 2로 터치 드래그를 한다면 제 2 이미지(54,55)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회전하며 이동되면서 제 1 이미지(51,52)가 제 2 디스플레이부(120)로 회전하며 이동된다. 상기 속도 1 및 속도 2는 상대 적인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수치로써 속도 2는 속도 1보다 2배의 속도를 갖는 것으로 전제한다. 또한, 관찰자(P)가 오른쪽으로 터치 드래그를 한다면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51,52,53)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디스플레이부(120)로 이동하여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이동되는 거리만큼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54,55,56) 역시 시계 반대방향의 원형의 궤적으로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된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re output as circular trajectories.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is designed in software to output an image to the display units 110 and 120. FIG. 6 is a block diagram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52, and 53 and the second images 54, 55, and 56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images 120 and 120,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bserver P so that the first images 51, 52 and 53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images 51 and 52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e images 54,55, 56 may be rotated and moved in a circular path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observer P may be an operation by the touch drag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first image 51, 52, And the second images 54, 55, and 56 can be rotated and moved in a circular trajectory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at is, if the observer P touch-drages the first display unit 110 in the leftward direction, the second images 54, 55, and 56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moves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while being rotated. At the same time, the first images 51, 52, and 53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by the moved distance move while rotating along the circular trajectory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t this time, if the observer P performs the touch dragging at a high speed, the second images 54, 55, and 56 are rotated and mov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more than when the touch dragging is performed at a slow speed. For example, if the first image 51 is rotated and mov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while the second image 54 is rotated and mov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first image 51 is mov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However, if the second image 54,55 is rotat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10 while the second image 54,55 is moved at the speed 2, the first image 51,52 is rotat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120, do. It is assumed that the speed 1 and the speed 2 are values for explaining the relative speed, and the speed 2 is a speed two times the speed 1. In addition, if the observer P touch-drages to the right, the first images 51, 52, and 53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move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while being rotated counterclockwise .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mages 54, 55, and 56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by the moved distance are also mov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with a circular trajector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하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들이 서로 다른 이동속도로 이동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oving images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t different moving speeds will be described.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이미지들 간의 상이한 속도로 이동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터치드래그를 하기 전의 제 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도 8은 터치 드래그 후의 제 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도 9는 터치 드래그를 하기 전의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도 10은 터치 드래그 후의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7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ving images at different speeds on a screen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before touch dragging. 8 is an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after the touch drag. 9 is an output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before the touch dragging. 10 is an output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after the touch drag.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51~53)와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53~59)가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서의 도면은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가 원형의 궤적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기반으로 설명한 것이다. 7 to 10, when the first images 51 to 53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images 53 to 59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re at different speeds . ≪ / RTI > 7 to 10 are based on mov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while rotating in a circular trajectory as described above.

관찰자(P)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를 왼쪽으로 터치 드래그 함에 따라 제 1 이미지(51~53)가 중 왼쪽으로 이동 한다. 또한, 터치 드래그 전의 제 2 이미지(54)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은 제 1 디스플레이부(110)의 출력화면의 가로 길이의 1/2 만큼 이동된 것이다. 즉, 52 대신에 53이 제 1 디스플레이부(110)의 정 가운데에 출력되었다. 상기 과정이 진행되는 동시의 제 2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화면은 도9 및 도 10을 참조한다. 관찰자(P)가 터치 드래그를 하기 전에는 59가 제 2 디스플레이부(120)의 가장 왼쪽에 출력되어 있지만, 관찰자(P)의 터치 드래그가 진행됨에 따라 59는 제 2 디스플레이부(120)의 가장 오른쪽에 출력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부(110)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된다면 터치 드래그에 따라 59는 제 2 디스플레이부(120)의 정 가운데 출력되어야 할 것이지만,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이동된 거리(출력화면의 가로길이의 1/2)와 달리 출력화면의 가장 왼쪽에서 가장 오른쪽으로 이동된 것이다. 따라서 관찰자(P)는 터치 드래그를 통하여 이미지들을 이동 시킬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앞 단에 있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는 조금씩 이동되며, 뒷단에 있는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는 빠르게 이동된다.다만, 원형의 궤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4를 참조하여 원형이 아닌 이동에서도 제 1 디스플레이부(110)와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들은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로 이동하는 속도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하는 속도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0) 내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제 1 이미지 간에도 제 1 디스플레이부(110) 내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 내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제 2 이미지 간에도 제 2 디스플레이부(120) 내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As the observer P touch-drages the first display unit 110 to the left, the first images 51 to 53 move to the left.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image 54 before the touch dragging moves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At this time, the movement is shifted by 1/2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at is, 53 was output in the center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instead of 52. 9 and 10, an output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t the same time as 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59 is displayed on the leftmost side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0 before the observer P performs the touch dragging. However, as the touch dragging of the observer P progresses, 59 is displayed on the rightmost side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s shown in FIG. If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moved at the same speed as the first display unit 110, 59 is to be output in the middle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touch drag, Which is the leftmost to the rightmost of the output screen. Therefore, when the observer P moves the images through the touch dragging, the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at the front end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moved little by little,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s moved quick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10,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s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move at different speeds. That is, the speed at which the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moves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nd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20, So that the speed of movement to the moving body 110 can be controlled to be different. Also, the first display unit 110 can move at a different speed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images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0. Als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can move at a different speed between a plurality of second images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이하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들이 겹쳐져 있는 부분에 대한 터치 인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touch recognition method for a portion where images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overlap is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간의 겹쳐진 영역에서의 터치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간의 겹쳐진 영역의 터치 인식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uch recognition method in a superimposed area between display portions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6 illustrate a touch recognition method of a superimposed area between display portions of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관찰자(P)가 바라볼 때,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111)와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121)가 겹쳐져 있다. 전술한 제어부(13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와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111,121)의 좌표 값을 프로세싱한다. 제어부(130)는 각 디스플레이부(110,120)의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들(111,121)의 좌표 값을 인식하고 있는 상태이다. 제어부(13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터치 입력된 영역이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와 겹쳐있는 것을 인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관찰자(P)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111)를 터치 할 때,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121)와 겹쳐져 있음을 인식하여 상기 제 1 이미지(111)와 상기 제 2 이미지(121)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11, the first image 111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image 121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viewed by the observer P, have. The controller 130 processe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images 111 and 121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images 111 and 121 that are displayed on the screens of the display units 110 and 120. The control unit 130 can recognize the area wher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can recognize the area where the touch input is performed i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observer P touches the first image 111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control unit overlaps the second image 121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nd may selectively activate the first image 111 and the second image 121. [

도 12는 제 1 이미지(111)가 활성화 되어 있는 초기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은 제 2 이미지(121)가 활성화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 1 이미지(111)와 상기 제 2 이미지(121)는 터치 횟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다. 즉, 관찰자(P)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의 제 1 이미지(121)를 터치한 경우, 제어부(130)는 초기 터치 시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111)를 선택하여 활성화하고, 이후의 터치 시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121)를 활성화 한다. FIG. 12 show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first image 111 is activated, and 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image 121 is activated. The first image 111 and the second image 121 may be selectively activ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That is, when the observer P touches the first image 121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first image 111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at the initial touch, And activates the second image 121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n a subsequent touch operation.

또한, 상기 제 1 이미지(111)와 상기 제 2 이미지(121)는 터치 시간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다. 즉, 관찰자(P)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의 제 1 이미지(111)를 터치한 경우, 제어부(130)는 초기 터치 시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111)를 선택하여 활성화한다. 이 때,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되면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121)를 활성화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image 111 and the second image 121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by the touch time. That is, when the observer P touches the first image 111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first image 111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at the initial touch, To activate it. At this time, if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r longer, the second image 121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s activated.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다른 터치 접점에 위치한 소정의 이미지(112)를 터치함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111)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로, 상기 제 2 이미지(121)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스위칭하여 상기 제 2 이미지(121)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즉, 도 14를 참조할 때, 관찰자(P)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의 제 1 이미지(111)를 터치한 경우, 제어부(130)는 초기 터치 시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111)를 선택하여 활성화 한다. 이 후,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다른 터치 접점에 위치한 소정의 이미지(112)를 터치한다. 그리고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이미지(121)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로 스위칭하여 상기 제 2 이미지(121)가 활성화 된다. 이와 같은 선택적 활성화에 의하여 관찰자(P)는 제 1 디스플레이부(110)와 제 2 디스플레이부(120)가 겹쳐 있는 영역의 이미지를 선택함에 있어서 유연하게 조작할 수 있다.
The first image 111 may be touch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nd the second image may be displayed by touching a predetermined image 112 located at another touch contac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 The second image 121 may be switch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to activate the second image 121. 14, when the observer P touches the first image 111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first image 111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t the initial touch, The first image 111 is selected and activated. Then, referring to FIG. 15, a predetermined image 112 located at another touch contac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touched. Referring to FIG. 16, the second image 121 is switch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image 121 is activated. With this selective activation, the observer P can flexibly operate in selecting the image of the region where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overlap.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인식을 통한 메뉴의 선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electing a menu through touch recognition in the display unit of the dual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7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인식을 통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7 to 1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lecting a menu through touch recognition in the display unit of the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메뉴(A,B,C,D,E,F)가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 걸쳐 원형의 궤적으로 존재한다. 상기 메뉴(A,B,C,D,E,F)는 복수개의 하위메뉴(b1,b2,b3,b4,b5,b6)가 존재하며 상기 하위메뉴(b1,b2,b3,b4,b5,b6) 각각이 또 다른 하위메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관찰자(P)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여러 번의 터치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터치 입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인식한다. 그 후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 또는 제 2 이미지의 하위메뉴가 출력한다. 그 다음, 관찰자(P)가 상기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드래그 하면 상기 드래그에 기반하여 하위메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메뉴(A,B,C,D,E,F) 중 관찰자(P)가 메뉴2(B)를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을 유지할 경우, 상기 메뉴2(B)가 사라지고 상기 메뉴2(B)의 하위메뉴(b1,b2,b3,b4,b5,b6)가 출력된다. 이 후, 다시 터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를 통하여 상기 하위메뉴(b1,b2,b3,b4,b5,b6)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터치 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하위메뉴가 원형을 유지하면서 변형되도록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7 to 18, the menus (A, B, C, D, E, and F)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10 exist in a circular trajectory over the second display unit 120. B2, b3, b4, b5, b6, b3, b4, b5, b6 exist in the menus A, B, C, D, b6)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other submenu. In this way, the observer P is inconvenient to touch several times in order to select a desired menu.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at the touch input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maintained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Thereafter, a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or a sub menu of the second image is output. Then, when the observer P drags while maintaining the touch input, it controls the submenu to move based on the drag. Specifically, when the observer P among the menus A, B, C, D, E, and F in FIG. 15 maintains the touch input with the menu 2 (B) And the submenus (b1, b2, b3, b4, b5, b6) of the menu 2 (B) are outputted.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select any one of the submenus (b1, b2, b3, b4, b5, b6) by dragging by touching at least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without touching again. 6, the submenu may be configured to be output so as to be deformed while maintaining its original shap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동시에 바라볼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Hereinafter,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viewed at the same time.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부(110)는 원형의 궤적을 갖는 제1 이미지들(A1~A14)을 출력하고, 제 2 디스플레이부(120)는 원형의 궤적을 갖는 제 2 이미지(B1~B10)를 출력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관찰자(P)가 바라볼 때, 상기 제 1 이미지(A1~A14)들과 상기 제 2 이미지(B1~B10)들을 동시에 볼 수 있다. 이 때, B1의 하부가 A1의 상부와 일부 중첩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A1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관찰자(P)가 바라볼 때 중첩된 B1의 하부는 A1을 투과하여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A2와 B2, A14와 B10 등에서 중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A2 및 A14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중첩된 B2 및 B10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관찰자(P)가 바라볼 때, B5, B6, B7의 상부에 A7, A8, A9를 출력하여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설명한 A1과 B2 역시 중첩되지 않도록 A1의 상부에 B1을 출력할 수도 있다.19 and 20, the first display unit 110 outputs first images A1 to A14 having a circular trajectory,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outputs second images A1 to A14 having a circular trajectory, And outputs images B1 to B10. Referring to FIG. 21, when the observer P looks at, the first images A1 to A14 and the second images B1 to B10 can be simultaneously viewed. 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B1 can be overlapped with the upper part of A1 and output.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observer P looks at the transparency of A1, the lower part of B1 overlapped can be seen through A1. Also, in the case of overlapping in A2 and B2, A14 and B10, the overlapping B2 and B10 can be seen by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A2 and A14.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7, A8 and A9 at the top of B5, B6 and B7 so that they do not overlap when viewed by the observer P and B1 is outputted at the top of A1 so that A1 and B2 described above do not overlap You may.

제 1 이미지(A1~A14)들 중에 제 1 디스플레이부(110) 상에서의 출력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A7, A8, A9은 출력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A1, A2, A14 보다 투명하게 출력된다. 또한, 상기 A7, A8, A9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출력위치가 높은 A8은 A7, A9 보다 더 투명하게 출력된다. 다만, 출력위치가 동일한 A7과 A9는 투명의 정도가 동일하다. 또한, 상기 투명도 뿐만 아니라 제 1 디스플레이부(110) 상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A1~A14)들을 출력위치에 대응하여 명도, 크기 및 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이미지(A1, A2, A14) 들은 출력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 이미지(A7, A8, A9)보다 크게 출력될 수 있고, A7, A8, A9중에서도 출력위치가 높은 A8이 가장 작은 크기로 출력되며, A7과 A9는 출력위치의 높이가 동일하므로 상기 A8보다는 크면서 양자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서도 제 1 디스플레이부와 같이 출력위치에 따라서 제 2 이미지들(B1~B10)의 투명도, 명도, 크기 및 채도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A7, A8, and A9 having relatively high output positions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mong the first images A1 to A14 are output more transparently than A1, A2, and A14 with relatively low output positions. Among A7, A8, and A9, A8 having a relatively higher output position is more transparent than A7 and A9. However, the degrees of transparency are the same for A7 and A9 where the output positions are the same. In addition, not only the transparency but also the first images A1 to A14 output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be output with different brightness, size, and / or saturation depending on the output position. For example, the first images A1, A2, and A14 with relatively low output positions can be output larger than the first images A7, A8, and A9 with relatively high output positions, and among A7, A8, and A9 A8 having the highest output position is output in the smallest size. Since A7 and A9 have the same output position height, they are larger than the A8 and can output the same size. The second display unit 120 may output at least one of transparency, lightness, size, and chroma of the second images B1 to B10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utput position as in the first display unit.

또한, 제 1 이미지들(A1~A14) 및 제 2 이미지들(B1~B1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원형 궤적을 따라 돌아갈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이미지들(A1~A14)과 상기 제 2 이미지들(B1~B10)을 상호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 상기 제 2 이미지들(B1~B10)이 이동되고,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 상기 제 1 이미지들(A1~A14)이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조작은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mages A1 to A14 and the second images B1 to B10 can be rotated along a circular trajectory by a user operation, and the first images A1 to A14 and The second images B1 to B10 can be moved to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images B1 to B10 are mov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first images A1 to A14 are mov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Here, the user operation may be a touch input.

또한, 관찰자(P)가 제 1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제 1 이미지(A1~A14)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제 2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원형의 궤적인 제 2 이미지(B1~B10)는 상기 관찰자(P)가 터치한 제 1 이미지(A1~A14)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하위메뉴로 변환될 수 있다.
When the observer P touches any one of the first images A1 to A14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second image, which is a circular trajectory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 B1 to B10 may be converted into submenu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irst images A1 to A14 touched by the observer P.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ll or some of them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0;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110; 제 1 디스플레이부
120; 제 2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140; 전시물
P; 관찰자
50; 원형 궤적 디자인
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 이미지
111,112,A1,A2,A3,A4,A5,A6,A7,A8,A9,A10; 제 1 이미지
121, B1,B2,B3,B4,B5,B6,B7,B8,B9,B10; 제 2 이미지
A,B,C,D,E,F; 메뉴
b1,b2,b3,b4,b5,b6; 하위메뉴
1a,1b; 계층1
2a,2b; 계층2
3a,3b; 계층3
a,b,c; 종점
T; 터치스크롤 포인트
100; Dual display device
110; The first display portion
120; The second display portion
130; The control unit
140; Exhibition
P; observer
50; Circular trajectory design
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 image
111, 112,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First image
121, B1, B2, B3, B4, B5, B6, B7, B8, B9, B10; Second image
A, B, C, D, E, F; menu
b1, b2, b3, b4, b5, b6; Sub menu
1a, 1b; Tier 1
2a, 2b; Layer 2
3a, 3b; Layer 3
a, b, c; terminal
T; Touch scroll point

Claims (20)

투명한 터치 패널로 구성된 제 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A first display unit including a transparent touch panel;
A second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image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image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in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크기, 배치 및 선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size, arrangement, and sharpness of the image is changed so as to move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in the first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전시물이 위치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투과하여 상기 전시물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is capable of observing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observing the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되는 이미지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sition of an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position of an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are determined by tracking a line of sight of an observer observing the displa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할 때,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가지는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a touch input occurs in an area having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a coordinate value of a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observer touches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image is moved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은 각각 소정의 계층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s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are respectively set in a predetermined layer,
Wherein,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s are mov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n observ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조작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 스크롤 하는 조작이며, 상기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 스크롤함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롤의 종점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operation of the observer,
The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touch scroll a predetermined image, and when the predetermined image is touched, the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 of the touch scroll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r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가 상호 간에 원형의 궤적으로 회전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a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are rotated and moved in a circular trajectory with each other by an operation of an observ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조작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드래그에 의한 조작이며, 상기 터치 드래그의 방향 및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가 상호 간에 원형의 궤적으로 회전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operation of the observer,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is operated by touch dragging and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rotated and moved in a circular trajectory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touch dra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로 이동하는 속도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로 이동하는 속도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peed of the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to move to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peed of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to move to the first display uni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Lt; / RTI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를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move the first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at different spee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할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가 겹쳐 있는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an area where the first image output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mage output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overlap, when the observer touches the first display unit, And selectively activates any one of the second image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초기 터치 시 상기 제 1 이미지를 활성화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되면 상기 제 2 이미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activates the first image when an initial touch occurs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first display unit and activates the second image when a touch input is maintained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초기 터치 시 상기 제 1 이미지를 활성화하고, 다음 터치 시 상기 제 2 이미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activates the first image when an initial touch occurs and the second image activates the next time a touch is generated in the first display uni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다른 터치 접점에 위치한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함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제 2 이미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로 스위칭하여 제 2 이미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image is switch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mage is switched to the first display unit to activate the second image by touching a predetermined image located at another touch contac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ual display devic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입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제 2 이미지의 하위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상기 드래그에 기반하여 하위메뉴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when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at the first display unit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r longer, a first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or a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And the submenu is moved based on the drag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while the touch input is being held.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메뉴는,
원형을 유지하면서 변형되어 출력되고, 상기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상기 하위메뉴가 상기 원형 궤적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ub-
And the submenu moves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trajectory when dragging along the circular trajectory while maintaining the touch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원형의 궤적을 갖는 제 1 이미지를 출력하고,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원형의 궤적을 갖는 제 2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play portion outputs a first image having a circular trajectory,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outputs a second image having a circular trajectory.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투명도, 채도, 명도 및 크기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스플레이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changed in transparency, saturation, lightness, and size corresponding to positions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KR1020130032960A 2013-03-27 2013-03-27 Dual display device KR201401179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60A KR20140117957A (en) 2013-03-27 2013-03-27 Du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60A KR20140117957A (en) 2013-03-27 2013-03-27 Dual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957A true KR20140117957A (en) 2014-10-08

Family

ID=5199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960A KR20140117957A (en) 2013-03-27 2013-03-27 Dual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795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187A (en)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케이티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187A (en)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케이티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5013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pplications in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US20220121344A1 (en)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virtual controls and/or an affordance for moving virtual objects in virtual environments
US20220091722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EP26305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put for cont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JP59003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599239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computer-generated experiences
KR20170126295A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199011A1 (en) Attractive and repulsive force feedback
US11500452B2 (en) Displaying physical input devices as virtual objects
US20230325003A1 (en) Method of displaying selectable options
US20230093979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applications
KR20140117957A (en) Dual display device
US10795543B2 (en) Arrangement of a stack of items based on a seed value and size value
US20240086031A1 (en) Method of grouping user interfaces in an environment
WO2017217375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Badillo et al. Literature survey on interaction techniques for large displays
US20240152256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Tabbed Browsing in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US20240103712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KR20240048522A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WO2024064231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