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423A - Method for Converting from Half-Duplex Voice Chatt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verting from Half-Duplex Voice Chatt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423A
KR20140115423A KR1020130028928A KR20130028928A KR20140115423A KR 20140115423 A KR20140115423 A KR 20140115423A KR 1020130028928 A KR1020130028928 A KR 1020130028928A KR 20130028928 A KR20130028928 A KR 20130028928A KR 20140115423 A KR20140115423 A KR 20140115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plex voice
chat
sound
data
voice c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3002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423A/en
Publication of KR2014011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4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verting half-duplex voice chatting into full-duplex voice chatting. The method for converting half-duplex voice chatting into full-duplex voice chatting executed by a program provided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nd a sound input unit, and displaying a chatting interface among N (N>=2) number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setting a policy for converting half-duplex voice chatting into full-duplex voice chatting, a second step of activating half-duplex voice chatting using the sound input unit, a third step of analyzing a pattern of text chatting or half-duplex voice chatting among the N number of participants based on the policy,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vert a portion or the entirety of the half-duplex voice chatting into full-duplex voice chatting, a fourth step of selecting n (1<=n<=N) number of participants from among the N number of participants, whose chatting is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ting,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 fifth step of activating full-duplex voice chatting among the n number of selected participants.

Description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Method for Converting from Half-Duplex Voice Chatt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Method for Converting Half-Duplex Voice Chat to Full-Duplex Voice Chat [

본 발명은 문자 채팅과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으로 제공하고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근거로 지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text chatting and half-duplex voice chatting, and converts the half-duplex voice chatting into a full-duplex voice chatting according to a specified policy based on the pattern of half-duplex voice chatting.

최근 스마트폰이 활성화된 이후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통신망의 음성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된 바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provided a service for providing a voice call service through data communication that provides an Internet connection without using a voice chan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a smart phone is activated.

이동 통신망의 음성 채널은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함으로 회선만 연결 가능하면 별다른 부하 없이 음성 통화가 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회선 교환과 달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은 패킷 교환 방식과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한 통신 품질이 제공되지 않는 한 음성 통화에는 부적합할뿐더러, 더구나 음성 통화의 특성 상 통화자 상호 간에 실제 음성 교환이 없는 경우에도 과도한 패킷 트래픽이 유발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빈번한 음성 교환이 있는 경우에는 패킷 트래픽 유발을 최소화하되, 빈번한 음성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음성 통화와 같은 음성 교환이 필요하다.
Since the voice chan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es the circuit switching method, if the circuit can be connected only to the circuit, voic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load. However, unlike circuit switching, data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es a packet switching method and an internet protocol, so that it is not suitable for voice communication unless a certain communication quality is provided. Moreover, due to the nature of voice commun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packet traffic is caused even when there is no packet loss. Therefore, in the case of frequent voice exchang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packet traffic inducement, but voice exchange such as voice call is necessary when frequent voice exchange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채팅과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또는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중에 상기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이 지적된 정책에 부합하는 경우에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a voice chat system and a voice chat system in which when a pattern of a character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satisfies the indicated policy while providing a character chat, a touch-based half- And a method for converting a half-duplex voice chat into a full-duplex voice chat by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터치 입력부와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 구비되어 N(N≥2)명의 참여자 간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이 설정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이용한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정책을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지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1≤n≤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선별된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convert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 half-duplex voice chat, which is provided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nd a sound input unit and executed by a program displaying a chat interface between N A method for converting a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comprising the steps of: setting a policy for switch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 second step of activating a half-duplex voice chat using the sound input unit; A third step of analyzing a pattern of a character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vert a part or the whole of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N = 1) of participants who are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 And activating a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selected n participan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터치 입력부와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 구비되어 N(N≥2)명의 참여자 간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프로그램과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이 설정되는 제1 단계와,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정책을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지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1≤n≤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선별된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Meanwhile, a method of converting a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full-duplex voice chat is provided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nd a sound input unit, and communicates with a program displaying a chat interface between N (N? A method for converting a half-duplex voice chat performed by a server into a full-duplex voice chat, comprising the steps of: setting a policy for switch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 third step of analyzing a pattern of a character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based on the policy,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vert a part or all of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N &lt; = N &lt; N)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 among the N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 And a fourth step of selecting, the selected n participants between a fifth step for enabling full duplex voice convers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이상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미만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부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한 이력이 있는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부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적어도 한 명의 참여자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한 결과를 근거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may include a policy for selecting n participants who have transmitted sound data over a specifi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switch to full-duplex voice chat, A policy that excludes (Nn) participants who have transmitted sound data less than a specified number of times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from among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chat, from the objects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s, (Nn) participants who have not transmitted sound data over a specified reference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 policy for selecting n participants having a history of touching a designated touch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mong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switch to a full-duplex voice chat, (Nn) participants who have not touched the designated touch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chat are excluded from the object to be converted into the full-duplex voice chat, And a policy of selecting n participants based on a result of touching a designated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by at least one participant of participants and switch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에서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지정된 터치 영역이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제2a-1 단계와, 상기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a-2 단계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는 중에 상기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입력을 중지하고 상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2a-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vert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in th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2a-1 checking whether a touched area is maintained touch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 step 2a-2 of receiv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when the touched state is released while receiving the sound data; Stopping and transmitting the stored sound data to the (N-1) receiver side participating in the cha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에서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지정된 터치 영역이 터치되어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여 송신하는 녹음 모드가 설정되는지 확인하는 제2b-1 단계와, 상기 녹음 모드가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녹음하는 제2b-2 단계와, 상기 녹음 모드 상태에서 상기 프로그램의 설정 값을 근거로 실시간 녹음 중이거나 또는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수신자 중 지정된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2b-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witch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in a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step 2b-2 of real-time recording of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when the recording mode is confirmed; and (2b-2) recording, in real time, And (2b-3) performing a procedure of transmitting the recorded sound data to a designated receiver side among (N-1) receiver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선별된 n명의 참여자 측의 프로그램을 통해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4-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full-duplex voice chat includes a step 4-1 of processing to display a message requesting participation in a full-duplex voice chat through a program of n selected participants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참여자에게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ll-duplex voice chat may include transmitting, in real time,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to (n-1) participants.

본 발명에 따르면, N(N≥2)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을 비롯한 각종 컨텐츠 교환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채팅이 이루어지는 통신망의 패킷 트래픽을 최소화하면서 N명의 참여자 간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하는 이점과,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 중에 빈번한 음성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자동 전환하여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content exchanges including text chat between N (N? 2) participants and to provide half-duplex voice chat among N participants while minimizing packet traffic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chat is performed, When a frequent voice exchange is required dur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he half-duplex voice cha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full-duplex voice chat to provide a voice call.

도 1는 본 발명의 무선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성 지원 채팅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문자 채팅과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문자 채팅과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문자 채팅과 녹음 기반의 비실시간 반이중 음성 채팅을 비실시간으로 다중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문자 채팅과 녹음 기반의 실시간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중 문자 채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이중 음성 채팅 전환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nd a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oice cha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text chat and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in an appl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text chat and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non-real-time, non-real-time half-duplex voice chat in a non-real-time manner in a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text chat and a recording-based real-time half-duplex voice chat in an appl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xt chatting process in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and providing a full-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는 본 발명의 무선단말(100)과 애플리케이션(116)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100 and an application 116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는 문자 채팅과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으로 제공하고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근거로 지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애플리케이션(116)과 무선단말(100)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애플리케이션(116)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1의 무선단말(100)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116)은 무선단말(100) 이외에 사용자의 개인컴퓨터, 노트북과 같은 유선단말을 포함하여 사운드 입력 기능을 구비되는 각종 단말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In more detail, FIG. 1 illustrates an application 116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text chatting and half-duplex voice chatting and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t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according to a specified policy based on the pattern of the half- 1,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1 to perform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func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application 116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Preferably, the wireless terminal 100 of FIG. 1 includes at least one of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nd a tablet PC. Meanwhile, it is apparent that the application 116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various terminals including a sound input function including a user's personal computer, a wired terminal such as a notebook, in addi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제어부(101)와 메모리부(113)와 화면 출력부(102)와 터치 입력부(103)와 버튼 입력부(104)와 사운드 출력부(105)와 사운드 입력부(106)와 카메라부(107)와 무선망 통신모듈(110)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9)과 위치 측위모듈(111)과 USIM 리더부(112) 및 USIM 중에서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08)를 구비한다.
1, the wireless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1, a memory unit 113, a screen output unit 102, a touch input unit 103, a button input unit 104, a sound output unit 105, A sound input unit 106, a camera unit 107,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10,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9, a positioning module 111, a USIM reader unit 112, and a USIM And a battery 108 for power supply.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116) 구성을 본 제어부(1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101 is a general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01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1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at least one configur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FIG.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pplication 116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for convenienc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101. FIG.

상기 메모리부(113)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13)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116)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다.
The memory unit 113 is a general term of a nonvolatile memory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and at least one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code And stores it. The memory unit 113 basically compris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program code and the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

상기 화면 출력부(102)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화면출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The screen output unit 102 is constituted by a screen output device (for exampl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 screen output module for driving the screen output device And outputs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creen output among th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101 to the screen output device.

상기 터치 입력부(103)는 상기 화면 출력부(1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터치입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화면 출력부(102)를 통해 출력되는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예컨대, 지정된 키 배열 규칙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가상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가상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에디트(Edit)되는 에디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인터페이스, 특정 기능 동작을 위한 기능 인터페이스 등)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The touch input unit 103 includes a touch screen device coupled to the screen output unit 102 and a touch input module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device. The touch input unit 103 outputs a touch-based interface A key input interface including a keyboard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virtual key buttons arrayed according to an array rule, and an edit interface for editing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key button, a menu interface for menu selection, A function interface for operation, etc.), or receiv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01. The control unit 101 receives a command related to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101,

상기 버튼 입력부(104)는 상기 터치 입력부(103) 이외에 사익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버튼입력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버튼입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튼 입력부(104)는 ‘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에 상기 터치 입력부(103)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버튼 입력부(104)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 가능하다.
The button input unit 104 includes a button input unit and a button input module for operating the button input unit 103 as well as a button input unit included in the private digital wireless terminal 100. The button input unit 10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1 via a bus, 101, and the like. Preferably, the button input unit 104 may include a 'home button'. Meanwhile, when the touch input unit 103 is not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button input unit 104 may include one or more key buttons and receive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01 .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composed of a speaker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 sound module for driving the speaker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1 through a bus, And outputs an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 sound module decodes sound data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converts the sound data into a sound signal.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The sound input unit 106 is composed of a microphone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 sound module for driving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ler 101. The sound module encodes and encodes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상기 카메라부(107)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107 includes an optical unit,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nd a camera module for driving the CCD unit, and obtains bitmap data input to the CCD through the optical unit. The bitmap data may include both still image data and moving image data.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9)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9)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에 접속한다.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9 are one or more communication resource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10 access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base station,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9 connects to a local area communication device or a wireless AP located in a short distance.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상기 무선단말(100)을 무선 통신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10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includes an antenna,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1 through a bus so as to transmit calculation results correspon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10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receive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unit 101, and maintains the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mobile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a CDMA / WCDMA standard .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structur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the portable Internet,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10.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9)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9)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과 통합될 수 있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9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9 may be integrated wit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10.

상기 위치 측위모듈(111)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1)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sitioning module 111 comprises a GPS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a moving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positioning module 111 receives satellite signals transmitted from at least three GPS satellites orbiting the earth orbit, 100 are calcul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location module 111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base stations (or connection points) (Or an arrival angl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The terrestrial position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using a terrestrial positioning method.

상기 USIM 리더부(112)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The USIM reader unit 112 is a generic term of a configuration for exchanging at least one data set with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that is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based on the ISO / IEC 7816 standard , And the data set is exchanged in a half duplex communication manner through an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1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USIM is an SIM type card having an IC chip according to the ISO / IEC 7816 standard, and includes an input / out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contact connected to the USIM reader unit 112, (Or processing) the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or extracting (or processing) the data set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connection wit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To the input / output interface.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통신망을 통해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116)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N(N≥2)명의 참여자(또는 사용자와 (N-1)명의 참여자) 사이에 문자 채팅과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으로 제공하고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근거로 지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The application 11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wnloaded from a program providing server (for example, Apple's App Store or the like)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can be connected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116 provides multiple text and half-duplex voice chats between N (N? 2) participants (or users and (N-1) participants) And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into full-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 policy specified on the basis of the policy.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N(N≥2)명의 참여자 사이에 문자 채팅과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으로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표시부(120)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이용한 반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는 반이중 활성화부(124)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application 116 includes a chat interface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text chat and half-duplex voice chat among N (N? 2) participants, and a half-duplex voice chat An interface display unit 120 for displaying a chat interface, and a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for activating a half-duplex voice chat using the sound input unit 106.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Half-Duplex) 음성 채팅은, N명의 참여자 중에 어느 한 참여자가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면 (N-1)명의 참여자가 해당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형태의 음성 채팅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상기 표시된 채팅 인터페이스의 지정된 영역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고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중에 상기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하고 상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또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녹음하되 미리 지정된 설정 값을 근거로 실시간 녹음 중이거나 또는 녹음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수신자 중 지정된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포함할 수 있다.
A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chat in which (N-1) participants receive and output corresponding sound data when one participant among N participants transmits sound data, When the touched state is released while record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while the designated area of the displayed chat interface is touch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and recording the sound data, Based half-duplex voice chat that stops recording of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and transmits the stored sound data to the (N-1) receiver side participating in the chat, or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Real-time recording of input sound data but real-time recording based on preset values Of the or stored or recorded sound data (N-1) recipients may include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onversation to be transmitted toward the intended recipient.

본 발명에 따른 전이중(Full-Duplex) 음성 채팅은, N명의 참여자 중에 어느 한 참여자가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도 (N-1)명의 참여자 중 하나 이상의 참여자로부터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형태의 음성 채팅을 포함한다.
The full-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receiving sound data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participants among (N-1) participants while one participant among N participants transmits sound data Voice chat.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의 기본 음성 채팅 방식은 반이중 음성 채팅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는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의 음성 채팅 방식으로서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과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중 적어도 하나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한다. 그러나 상기 기본 음성 채팅 방식이 반이중 음성 채팅 방식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전이중 음성 채팅 방식으로 설정 가능하다.
The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may set the basic voice chat mode of the application 116 to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mode and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mode as the voice chat mode of the application 116. [ Activates at least one half-duplex voice chat during chat. However, the basic voice chatt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half-duplex voice chatting method, and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method can be set according to the method.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N명의 참여자 사이에 문자 채팅과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으로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프로그램 구성의 총칭이다.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is a collective term for a program interface that displays a chat interface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character chat and half-duplex voice chat among N participants and a chat interface that converts the half-duplex voice chat into a full-duplex voice chat.

본 발명의 제1 채팅 인터페이스 제공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사운드와 문자를 다중으로 이용하는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문자 채팅을 위한 키 입력 인터페이스와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위한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화면 출력부(102)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N-1)명의 참여자 사이에 송수신되는 각종 채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chat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a chat interface for providing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Preferably,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a chat interface for providing a chat using multiple sounds and characters, and displays a key input interface for text chat and a sound for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in a designated area on the chat interface. And at least one input interface of the recording interface. Preferably,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is configured to display various chat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user using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N-1) participants in cooperation with the screen output unit 102 And can display the chat interface.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채팅 데이터는, 문자 채팅을 위한 문자 데이터와 음성 채팅을 위한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채팅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부(107)를 통해 촬영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상태에서 선택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채팅 데이터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111)을 통해 측위되는 위치 데이터,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상태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지정된 서버(도시생략)에 저장된 이모티콘 데이터,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영역(예컨대, 주소록 등)에 저장된 명함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채팅 데이터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The chat data displayed on the chat interface includes character data for text chatting and sound data for voice cha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t data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moving image data selected from a state of being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07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 Alternatively, the chat data may include position data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location module 111, emoticon data stored in a server (not shown) selected or designated in the state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business card data stored in a designated area (for example, an address book, etc.), and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kind of the chat data.

본 발명의 제2 채팅 인터페이스 제공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N명의 참여자 사이에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 기반의 반이중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녹음 기반의 반이중 방식으로 송수신 가능한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기 위한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화면 출력부(102)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N-1)명의 참여자 사이에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사운드 교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hat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a chat interface providing a recording based half-duplex voice chat. Preferably,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a scree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 data in a recording-based half-duplex manner between N participants, and a sound recording interface for recording sound data transmittable and receivable in a half- .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sound for sequentially displaying sou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user using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N-1) participants in cooperation with the screen output unit 102, A screen interface including a switching interface can be displayed.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녹음 기반의 반이중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 이외에 채팅을 위한 채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사운드 교환 인터페이스와 채팅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화면 인터페이스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사운드 교환 인터페이스와 채팅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화면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채팅 데이터 중에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chat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t data for chatting, in addition to the sou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recording-based half-duplex manner. The sound exchange interface and the chat interface may be a single screen interface . If the sound exchange interface and the chat interface are implemented as a single screen interface, the sound data may be regarded as one of the chat data.

상기 채팅 데이터는, 문자 채팅을 위한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데이터 역시 채팅 데이터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채팅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부(107)를 통해 촬영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상태에서 선택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채팅 데이터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111)을 통해 측위되는 위치 데이터,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상태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지정된 서버(도시생략)에 저장된 이모티콘 데이터,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영역(예컨대, 주소록 등)에 저장된 명함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채팅 데이터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The chat data includes character data for text chatting, and the sound data may also be included as cha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t data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moving image data selected from a state of being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07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 Alternatively, the chat data may include position data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location module 111, emoticon data stored in a server (not shown) selected or designated in the state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business card data stored in a designated area (for example, an address book, etc.), and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kind of the chat data.

본 발명의 제3 채팅 인터페이스 제공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제1 또는 제2 채팅 인터페이스 제공 방식에 따라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인터페이스와, 전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provides the half-duplex voice chatting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chat interface providing method, while the half- An interface for switching to chat, and a chat interface for providing a full-duplex voice chat.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할 채팅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채팅 데이터를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128)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송신자 중에서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와 (N-1)명의 참여자 사이에 송수신되는 채팅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application 116 obtains chat data to be transmitted to (N-1) recipient parties participating in a chat through an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And a data processing unit 128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a specific sender to (N-1) recipients, And displays chat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user and (N-1) participants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문자 채팅을 위해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지정된 키 배열 규칙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가상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터치되는 가상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에디트되는 에디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includes a keyboard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virtual key button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a key arrangement rule specified in a designated area on the chat interface for text chatting and a virtual key button And an edit interface in which the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is edited.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상기 키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채팅 중인 (N-1)명의 수신자(또는 지정된 특정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문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송신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에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문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송신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obtains character data input through the key input interface in a state where the key input interface is displayed in a designated area on the chat interface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To the (N-1) number of recipients (or specific designated recipients) in chat with the user.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tores the character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data storage area designated by the memory unit 113, while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character data is performed. When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character data is performed,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equentially displays the transmitted character data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displayed by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chat order .

한편 상기 송신되는 채팅 데이터에 상기 카메라부(107)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07)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카메라부(107)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채팅 중인 (N-1)명의 수신자(또는 지정된 특정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에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t data to be transmitted includes image data or mov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07,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image data or moving image data through the camera unit 107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acquires image data or mov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07 and transmits the obtained image data or moving image data to the user N -1) number of recipients (or specific designated recipients).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may store the image data or the moving image data in the data storage area designated by the memory unit 113 while the image data or the moving picture data is transmitted. When the image data or the moving image data is transmitted,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equentially displays the transmitted image data or the moving image data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ccording to a chat order.

또는 상기 송신되는 채팅 데이터에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채팅 데이터로 이용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메모리부(113)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채팅 중인 (N-1)명의 수신자(또는 지정된 특정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에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Or when the transmitted chat data includes image data or moving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chat data as image data or moving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The image data or the moving image data selected by the interface from the memory unit 113 is acquired, and the acquiring unit acquires the image data or the moving image data selected by the acquiring unit (N-1) recipients (or a designated specific recipient) in chat with the user.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may store the image data or the moving image data in the data storage area designated by the memory unit 113 while the image data or the moving picture data is transmitted. When the image data or the moving image data is transmitted,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equentially displays the transmitted image data or the moving image data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ccording to a chat order.

또는 상기 송신되는 채팅 데이터에 상기 위치 측위모듈(111)을 통해 측위되거나 또는 이미 측위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위치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위치 데이터를 측위하거나 또는 메모리부(113)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채팅 중인 (N-1)명의 수신자(또는 지정된 특정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위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에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Or if the loc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is included in the transmitted chat data via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or in a state where the chat data is already positioned,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location data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obtains the position data based on the interface, and transmits the obtained position data to the user who is in chat with the user (N -1) number of recipients (or specific designated recipients).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may store the transmitted position data in the data storage area designated by the memory unit 113 while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data is performed. When the location data transmission procedure is performed,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may sequentially display the transmitted location data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ccording to the chat order.

또는 상기 송신되는 채팅 데이터에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이모티콘 데이터 또는 명함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이모티콘 데이터 또는 명함 데이터 중에서 상기 채팅 데이터로 이용할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 데이터 또는 명함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메모리부(113)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이모티콘 데이터 또는 명함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모티콘 데이터 또는 명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채팅 중인 (N-1)명의 수신자(또는 지정된 특정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이모티콘 데이터 또는 명함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송신되는 이모티콘 데이터 또는 명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에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모티콘 데이터 또는 명함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송신되는 이모티콘 데이터 또는 명함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Or if the transmitted chat data includes emoticon data or card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chat data in the emoticon data or the card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13 The emoticon data or the card data selected by the interface from the memory unit 113, and acquires the emoticon data or card data selected by the interface from the memory unit 113, The emoticon data or the business card data to the (N-1) recipients (or the designated specific recipients) chatting with the user.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may store the emoticon data or the card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data storage area designated by the memory unit 113 while the emoticon data or the card data is transmitted. When the emoticon data or the card data is transmitted, the data processor 128 may sequentially display the emoticon data or the card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ccording to a chat order.

또는 상기 송신되는 채팅 데이터에 지정된 서버에 저장된 이모티콘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지정된 서버에 저장된 이모티콘 데이터 중에서 상기 채팅 데이터로 이용할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지정된 서버에 저장된 이모티콘 데이터를 상기 채팅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서버에 저장된 이모티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채팅 중인 (N-1)명의 수신자(또는 지정된 특정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이모티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송신되는 이모티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에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모티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송신되는 이모티콘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Or if the emoticon data stored in the server designated by the transmitted chat data is included,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an interface for selecting at least one emoticon data to be used as the chat data from the emoticon data stored in the designated server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acquires the emoticon data stored in the designated server as the chat data, and transmits the emoticon data stored in the designated server to the (N-1) To the receiver) side.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may store the emoticon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data storage area designated by the memory unit 113 while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emoticon data is performed. When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emoticon data is performed, the emoticon data to be transmitted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ccording to the chat order.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사용자와의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송신자 중에서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팅 데이터는 푸시 메시지를 통해 통지(Notification)된 후에 수신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receives the chat data transmitted from a specific sender among the (N-1) senders participating in the chat with the user, and transmits the received chat data to the memory unit 113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area. Preferably, the chat data may be received after being notified via a push message.

상기 (N-1)명의 송신자 중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채팅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문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If the chat data received from a specific sender of the (N-1) senders is character data,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receives the character data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sender side, And stores it in the designated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113.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equentially displays the received text data in a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displayed by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 chat order.

한편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채팅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표시 가능한 구조로 변환하여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hat data received from the specific sender is image data, the data processor 128 receive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sender and stores the received image data in a designated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113, The stored imag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nd sequentially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chat order.

또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채팅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의 특정 프레임을 캡쳐한 캡쳐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표시 가능한 구조로 변환하여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의 채팅 순서에 동영상을 포함하는 채팅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아이콘(또는 재생 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다.
Or when the chat data received from the specific sender is moving picture data, the data processor 128 receives the moving picture data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sender and stores the received moving picture data in a designated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113, The capture data captured by capturing a specific frame of the stored moving picture data is converted into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displayed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nd sequentially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chat order, An icon (or a playback control) indicating that chat data to be included is present can be displayed.

또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채팅 데이터가 위치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표시 가능한 구조로 변환하여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의 채팅 순서에 위치를 포함하는 채팅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아이콘(또는 재생 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데이터는, 위치 좌표 데이터, 위치 좌표를 행정 구역 상의 주소로 대응시킨 주소 데이터, 지도 상에 위치를 표시한 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Or when the chat data received from the specific sender is position data, the data processor 128 receives the posi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sender and stores the received position data in the designated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113, The stored location data is converted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nd displayed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chat order, or chat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 the chat order at the time point when the location data is received exists You can display an icon (or play control) to display. Preferably, the position data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position coordinate data, address data in which position coordinates are associated with addresses in the administrative area, and map data indicating positions on the map.

또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채팅 데이터가 이모티콘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이모티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이모티콘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Or when the chat data received from the specific sender is emoticon data, the data processor 128 receives the emoticon data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sender and stores the received emoticon data in a designated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113, And sequentially displays the received emoticon data in a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ccording to a chat order.

또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채팅 데이터가 명함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명함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명함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명함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의 채팅 순서에 명함에 대응하는 채팅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아이콘(또는 이미지)을 표시할 수 있다.
Or if the chat data received from the specific sender is business card data,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receives the business card data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sender and stores the received business card data in the designated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113, An icon (or an icon) indicating that the stored card data is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in accordance with the chat order, or the chat data corresponding to the card is present in the chat order at the time when the card data is received ) Can be displayed.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에 의해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N명의 참여자 중에 어느 한 참여자가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면 (N-1)명의 참여자가 해당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형태의 음성 채팅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상기 표시된 채팅 인터페이스의 지정된 영역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고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중에 상기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하고 상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고한다.
If the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activates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the application 116 transmits (N-1) participants the sound data by sending one of the participants of the N sound data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preferably recorded while the designated area of the displayed chat interface is touched via the touch input unit 103, If the touched state is canceled during recording,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stops record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and transmits the stored sound data to the (N-1) Improve cha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터치 상태 판별부(132)를 구비하며,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을 획득하는 사용 권한 관리부(136)를 구비한다.
In the case of providing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116 may display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103) in a state where a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displayed in a designated area on the chat interface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And a touch state determiner 132 for confirming whether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touched through the sound input interface. When the state of touching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maintained, And a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for acquiring the usage right.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위해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을 터치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고, 상기 지정된 영역의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하는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records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when a touch area on the chat interface is kept touched for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for stopping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s displayed.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와 동시에 터치를 해제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터치 상태가 유지된 것으로 확인 가능하며,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지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100ms)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상태가 유지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a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displayed in a designated area on the chat interface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in whic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touch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Check. Preferably, the touch state determiner 132 can confirm that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when the user does not release the touch simultaneously wit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The touch state can be confirmed to be maintained when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e.g., 100 ms).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를 통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유지됨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예컨대, 인터럽트)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기 전, 중, 후의 특정 시점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에 대한 사용 권한을 획득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notifies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input unit 106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rough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 Interrup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can acquire the usage right for the sound input unit 106 at a specific point in time before, during, and after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displayed, ,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버튼 입력부(104)의 지정된 버튼이 클릭한 상태에 의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 입력부(104)의 지정된 버튼을 클릭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지정된 버튼이 클릭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정된 버튼을 상기 버튼 입력부(104)에 구비된 버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버튼이 클릭된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경우,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지정된 버튼의 사용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버튼이 기 설정된 방식으로 클릭되는 경우에는 원래의 버튼 기능을 수행하되, 지정된 시간 이상 클릭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expand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can be determined by a state in which the designated button of the button input unit 104 is clicked. In this case,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of clicking the designated button of the button input unit 104 is maintained while the chat interface is displayed, and when the designated button is maintained in the clicked state, It is possible to decide to record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6. For example, the designated button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buttons provided in the button input unit 104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When recording the sound data in a state that the designated button is clicked,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acquires the usage right of the designated button, and when the designated button is clicked in a preset manner, And when the clicked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can be processed so as to be used for determining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의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표시된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사운드 녹음부(140)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중에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해제되는지 확인하는 터치 상태 판별부(132)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중에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하는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를 구비하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중지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을 반환하는 사용 권한 관리부(136)를 구비한다.
In the case of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displayed in the designated area on the chat interface is kept touched via the touch input unit 103, A sound recording unit 140 for recording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a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for checking whether the state of touching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released while recording the sound data, And a sound recording stop part (144) for stopping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part (106) when the state of touching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released while recording the sound data, The sound input unit 106 may be operated by the sound input unit 106, And a rights management section 136 for managing the rights.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를 통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유지됨이 확인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이 획득되거나 또는 획득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지정된 코덱에 따라 엔코딩하여 녹음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사운드 녹음영역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녹음영역은 상기 메모리부(113)에 설정된 저장영역이거나, 또는 실행메모리에 할당된 버퍼영역일 수 있다. 상기 녹음되는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이외에 각종 오디오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ouched stat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maintained through the touch state determiner 132 and the state of use or acquisition of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input unit 106 is maintained, 140 receives the sound signal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forms sound data to be recorded by encoding according to the designated codec, and stores the configured sound data in the designated sound recording area. The sound recording area may be a storage area set in the memory unit 113, or a buffer area allocated to the execution memory. The sound data to be recorded may include various audio signals in addition to the user's voice signal.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하고 있는 상태가 해제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중에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과정을 중지하도록 결정한다.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에 의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중지되도록 결정되면, 상기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절차를 중지한다.
While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being record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touches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Confirm that the status is released. If the state of touching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released while recording the sound data,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determines to stop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do. When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determines that the sound data is to be stopped, the sound recording stop unit 144 stops the process of recording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터치된 영역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나는지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being record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may determine the touch state of the touch input unit 103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area touch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out of the specified reference range or not.

본 발명의 제1 영역 이탈 후 동작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터치된 영역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과정을 중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절차를 중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를 해제하지 않고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지정된 기준 범위 이내로 들어오면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중지된 위치부터 이어서 녹음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제1 영역 이탈 후 동작 방식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 중에 불필요한 잡음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배제하고 녹음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gion touch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determines The sound recording stop unit 144 may stop record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Accordingly, the sound recording stop unit 144 may record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You can stop. If the touch region is within the designated reference range without releasing the touch while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s stopped,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may store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You can start recording from the stopped posit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method after the first area can be used to exclude and record unnecessary noise when recording the sound data.

본 발명의 제2 영역 이탈 후 동작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터치된 영역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과정을 그대로 유지하되,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터치된 영역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났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이탈 후 동작을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났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처리부(14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알림 처리부(148)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상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색상을 변경(예컨대, 붉은색 계열로 변경) 또는 깜빡이게 하거나,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경고램프를 노출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났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지속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알림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터치된 영역을 상기 기준 범위 이내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gion touch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determines The process of record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maintained while the area touch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indicates to the user that the area where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displayed is out of the specified reference range or more You can decide to notify. The application 116 may include a notification processor 148 for notifying the user that the touched area is out of the specified reference range or more of the area where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displayed . If the touched area is out of the designated reference range, the notification processor 148 output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or a warning message on the chat interface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to the chatting interface, or changing the color of the chatting interface (e.g., changing to a red color series) or blinking, or exposing a warning lamp to the chatting interface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that the area has exceeded the specified reference range. If the sound data is to be continuously recorded, the user can adjust the area touch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within the reference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notification.

본 발명의 제3 영역 이탈 후 동작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해 터치된 영역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과정을 중지하도록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삭제할 지 또는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할 지 선택적으로 처리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된 기준 범위 이상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절차를 중지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삭제할 지 또는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할 지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결정된다면, 상기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는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사운드 녹음 영역에서 삭제한다. 반면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도록 결정된다면,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hird area departur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rea touch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is out of the designated reference range or region where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displayed,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ouched area is released when the area in whic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displayed is out of the specified reference range or more. If the touched state is rel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area where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displayed is out of the designated reference range,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may record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N-1) recipients, and to selectively process whether to delete the recorded sound data or transmit to the (N-1) receiver side. When the touched state is rel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area where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displayed is out of the designated reference range, the sound recording stop part 144 stops the procedure of recording the sound data inputted through the sound input part 106 And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n interface for selecting whether to delete the recorded sound data or transmit to the (N-1) receiver side. If it is determined to delete the recorded sound data, the sound recording pause section 144 deletes the recorded sound data from the sound recording area without transmitting it to the (N-1) receiver side.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recorded sound data to the (N-1) receiver side, the recorded sound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N-1) receiver side.

상기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중지되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예컨대, 인터럽트)을 반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에 의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이 자동 반환될 때까지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When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stopp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stop unit 144,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notifies the use right management unit 106 of the sound input unit 106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E.g., an interrup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maintains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input unit 106 until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input unit 106 is automatically returned by the control unit 10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버튼 입력부(104)의 지정된 버튼이 클릭한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는 상기 지정된 버튼을 클릭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고, 상기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상기 지정된 버튼의 클릭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ound data is recorded in a state in which the designated button of the button input unit 104 is clicked according to the extend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d the sound recording stop part 144 records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part 106 to the sound input part 106 when the clicked state of the designated button is released while the sound data is being recorded, It is possible to stop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의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중에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에 의해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운드 데이터를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128)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송신자 중에서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N-1)명의 참여자와 사용자 사이에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음성 채팅 출력부(152)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을 획득하는 사용 권한 관리부(136)를 구비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음성 채팅 관리부(156)를 구비한다.
In the case of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pplication 116 is released from touching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while recording the sound data, And a data processing unit 128 for acquiring the recorded sound data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sound data to the (N-1) recipient side participating in the chat, Receives sound data transmitted from a specific sender side among (N-1) senders participating, and displays sou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N-1) participants and a user in a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The application 116 may further include a voice chat output unit 152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outputting the received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When the received sound data is output And a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for acquiring a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The voice chat management unit 156 manages the sou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상기 터치 상태 판별부(132)에 의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에 의해 상기 사운드 녹음영역에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와 채팅 중인 (N-1)명의 수신자(또는 지정된 특정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송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에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송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While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being record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the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2 releases the state of touching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acquires sound data recorded in the sound recording area by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and transmits the obtained sound data to the user N-1 ) To the recipient (or specified designated recipient).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tores the sound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data storage area designated by the memory unit 113, while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sound data is performed. When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sound data is performed,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equentially displays the transmitted sound data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displayed by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chat order .

한편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버튼 입력부(104)의 지정된 버튼이 클릭한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상기 지정된 버튼의 클릭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운드 데이터를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시키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ound data is recorded in a state in which the designated button of the button input unit 104 is clicked according to the extend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may be configured to, when the sound data is recorded,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may be acquired and the obtained sound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N-1) receiver side participating in the chat.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N-1)명의 송신자 중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채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의 채팅 순서에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아이콘(또는 재생 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receives sound data transmitted from a specific sender of the (N-1) senders, and stores the received sound data in a designated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113.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equentially displays the received sound data in a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displayed by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 chat order. Preferably,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may display an icon (or playback control) indicating that the received sound data exists in the chat sequence at the time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from the specific sender.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재생 컨트롤)이 표시되면, 상기 음성 채팅 출력부(152)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or an icon (or playback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data is displayed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the voice chat output unit 152 outputs the sound output unit 105 And outputting the received sound data through the interface.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예컨대, 인터럽트)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기 전, 중, 후의 특정 시점에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입력부에 대한 사용 권한을 획득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When the received sound data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may determine a usage right (e.g., an interrup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acquires the right to use the sound output unit 105 at a specific point in time before, during, and after the sound data is receiv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1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음성 채팅 출력부(1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과 동시에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 채팅 출력부(1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획득되거나 또는 이미 획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획득되거나 또는 획득된 경우에, 상기 음성 채팅 출력부(152)는 상기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사운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음성 채팅 출력부(152)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chat output unit 152 can automatically output the sound data at the same time as receiving the sound data. Preferably, the voice chat output unit 152 checks whether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acquired or already acquired at the time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If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acquired or obtained, the voice chat output unit 152 outputs the sound data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05 among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area Check if sound data exists. If the sound data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does not exist, the voice chat output unit 152 may automatically output the received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

본 발명의 제2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음성 채팅 출력부(1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어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채팅 표시 영역에 표시된 이후에,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한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이 결정되는 경우에 해당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 채팅 출력부(1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획득되거나 또는 이미 획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획득되거나 또는 획득된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채팅 표시 영역에 표시된 사운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음성 채팅 출력부(152)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채팅 표시 영역에 표시된 사운드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ound data is received and displayed in the chat display area of the chat interface, the voice chat output unit 152 outputs, via the touch input unit 103 The sound data can be output when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is determined. Preferably, the voice chat output unit 152 checks whether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acquired or already acquired at the time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If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obtained or obtained,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outputs the sound data display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from the sound data displayed in the chat display area of the chat interface Activate the function to select sound data. The voice chat output unit 152 may output sound data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sound data displayed in the chat display area of the chat interface.

한편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특정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예컨대, 인터럽트)을 반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에 의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자동 반환될 때까지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Meanwhile, when specific sound data is outputt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returns the usage right (for example, an interrup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may determine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until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automatically returned by the control unit 10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음성 채팅 관리부(156)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상기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백업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 표시 영역에 표시된 사운드 데이터 중 삭제 대상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하여 삭제하거나, 또는 백업 대상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하여 백업(예컨대, 메일 백업)하도록 할 수 있다.
The voice chat management unit 156 displays an interface for selectively deleting or backing up the sou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Sound data may be selected and deleted, or backup data (e.g., mail backup) may be selected by selecting sound data to be backed up.

한편 상기 음성 채팅 관리부(156)는 상기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백업하는 정책을 설정 받고, 상기 정책에 따라 정책에 따라 상기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 채팅 관리부(156)는 일정 기간이 경과한 사운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100)로 음성 채팅을 위한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에 서버 측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백업 본을 미리 저장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oice chat management unit 156 is configured to set a policy for automatically deleting or automatically backing up the sou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automatically deleting the sound data transmitted or received according to the policy, can do. On the other hand, the voice chat management unit 156 can automatically delete or automatically back up sound data that has passed a certain period of time. If the sound data is automatically backed up, a backup copy of the sound data may be stored in advance on the server side when sound data for voice chat is received by the wireless terminal 100.

한편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에 의해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녹음하되 미리 지정된 설정 값을 근거로 실시간 녹음 중이거나 또는 녹음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수신자 중 지정된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한다.
If the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activates the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 the application 116 records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n real time, Based half-duplex voice chat that transmits sound data being recorded or recorded and stored to a designated one of the (N-1) receiver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의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실시간 송수신 방식 또는 비실시간 송수신 방식을 설정하는 동작 방식 설정부(160)를 구비한다.
In the case of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116 may perform a real-time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sound data transmitted or received through a screen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or a non- And an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운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N명의 참여자 중에서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송신하도록 설정된 주 송신자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determines whether a main sender set to transmit sound data in real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 data through the screen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is set.

만약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운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주 송신자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운드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비실시간 송수신 방식으로 설정하며, 상기 N명의 참여자는 비실시간 방식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비실시간 송수신 방식이란, 송신자 입장에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완료(또는 중지)된 이후에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방식을 의미하며, 수신자 입장에서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즉시 출력하지 않고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표시 영역(예컨대, 채팅 표시 영역)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출력컨트롤)을 표시한 이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방식을 의미한다.
If the main sender of the N participants who send and receive sound data through the screen interface is not set,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sets the sou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for the screen interface to the non-real tim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The N participants transmit and receive sound data in a non-real-time manner. Here, the non-real-time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means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recorded sound data is transmitted after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completed (or stopped) The sound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outputted immediately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but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 is stored in the designated display area (for example,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screen interface (Or output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sound data, and then outputting the stored sound dat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한편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운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 송신자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는 상기 주 송신자에 의해 녹음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송수신 방식을 실시간 송수신 방식으로 설정하되, 상기 주 송신자를 제외한 나머지 참여자의 사운드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비실시간 송수신 방식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실시간 송수신 방식이란, 송신자 입장에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하는 중에 상기 녹음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송신하는 동작 방식을 의미하며, 수신자 입장에서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즉시 출력하는 동작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즉시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 상태의 온/오프가 가능하다.
Meanwhile, if at least one main sender among the N participants transmitting / receiving sound data through the screen interface is set,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set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sound data recorded by the main sender to real time transmission / , And sets the sou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the participants other than the main sender as a non-real tim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Here, the real-time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means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sound data to be recorded is transmitted in real-time during recording of sound data input from the sender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And outputs the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immediately. The immediately output sound data can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용자의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주 송신자로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조건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주 송신자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주 송신자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 또는 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수신자에게 실시간 송신하는 음성 방송을 운영하는 운영자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displays an interface to be set as a main sender of the screen interface of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The user can be set as the primary sende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entered / selected via the displayed interface. For example, the main sender may be an operator who operates sound broadcasting to transmit sound data or pre-stored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to (N-1) recipients in real time.

또는,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주 송신자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 교환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사운드 교환 채널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사운드 교환 채널에 참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may display an interface for selecting one of the sound exchange channels generated by one or more main senders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You can join the selected sound exchange channel.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의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여 송신하는 녹음 모드가 설정되는지 확인하는 녹음 모드 확인부(164)를 구비하며, 상기 녹음 모드가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을 획득하는 사용 권한 관리부(136)를 구비한다.
In the case of a recording 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116 includes a recording mode confirmation unit 164 for confirming whether a recording mode for recording and transmitting sound data is set, And a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for acquiring a usage right of the sound input unit 106 when the sound input unit 106 is confirmed.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사운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표시한다.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녹음 모드 확인부(164)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여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에 의해 확인된 동작 방식에 따라 녹음 기반의 반이중 방식으로 송신하는 녹음 모드를 확인한다.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displays a sound recording interface for recording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eal-time or non-real-time sound data in a designated area on the screen interface. When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touched, the recording mode confirmation unit 164 records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and records the sound data in the record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confirmed by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Based half-duplex mod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된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로 설정되며, 또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touched while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is not the recording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is set to the recording mode , Or the recording mode may be released when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touched while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is the recording m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된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로 설정되며, 또는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is not the recording mode and the state in whic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touched is maintained, The recording mode is set, or the recording mode may be released when the state of touching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released.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에 버튼 입력부(104)가 구비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된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상기 버튼 입력부(104)의 지정된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에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로 설정되며, 또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버튼 입력부(104)의 지정된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에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If the button input unit 104 i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button of the button input unit 104 is clicked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is not the recording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is set to the recording mode or when the designated button of the button input unit 104 is clicked in the state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is the recording mode, have.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예컨대, 인터럽트)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로 확인되기 전, 중, 후의 특정 시점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에 대한 사용 권한을 획득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is confirmed to be the recording mode,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acquires the usage right (for example, an interrupt) of the sound input unit 106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obtains a usage right for the sound input unit 106 at a specific time point before, during, and af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is confirmed as a recording mod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의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녹음 모드가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사운드 녹음부(140)와,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에 의해 실시간 송수신 방식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녹음 중인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송신하는 사운드 송신부(168)를 구비한다.
In the case of a recording 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116 may include a sound recording unit 140 for recording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when the recording mode is confirmed And a sound transmission unit 168 for transmitting the sound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when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sets the real tim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상기 녹음 모드 확인부(164)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된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지정된 코덱에 따라 엔코딩하여 실시간 녹음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사운드 녹음영역에 실시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녹음영역은 상기 메모리부(113)에 설정된 저장영역이거나, 또는 실행메모리에 할당된 버퍼영역일 수 있다. 상기 녹음되는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이외에 각종 오디오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is confirmed to be the recording mode by the recording mode confirmation unit 164,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receives the sound signal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And encodes the sound data according to a designated codec to form sound data to be recorded in real time, and stores the configured sound data in a designated sound recording area in real time. The sound recording area may be a storage area set in the memory unit 113, or a buffer area allocated to the execution memory. The sound data to be recorded may include various audio signals in addition to the user's voice signal.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에 의해 실시간 송수신 방식이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교환 채널의 주 송신자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운드 송신부(168)는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에 의해 실시간 녹음 중인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교환 채널에 속한 (N-1)명의 수신자 중 지정된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When the real-tim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set by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t as the main transmitter of the sound exchange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creen interface, And performs a procedure of transmitting sound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by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to a designated recipient side among (N-1) recipients belonging to a sound exchange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creen interface.

본 발명의 제1 실시간 사운드 송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송신부(168)는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에 의해 실시간 녹음 중인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교환 채널에 속한 (N-1)명의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real-time sound transmis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transmission unit 168 transmits the sound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by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to the (N-1) -th sound transmission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ound interface, To the recipient of the message.

본 발명의 제2 실시간 사운드 송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송신부(168)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교환 채널에 속한 (N-1)명의 수신자 중에서 실시간 사운드 출력이 가능한 m(1≤m<N)명의 수신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m명의 수신자 측으로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에 의해 실시간 녹음 중인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real-time sound transmis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transmission unit 168 transmits m (1? M <N) capable of real-time sound output among (N-1) receivers belonging to the sound exchange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creen interface ), And transmits the sound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by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to the confirmed m recipient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시간 사운드 출력이 m명의 수신자(예컨대,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수신자)는 지정된 운영 서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사운드 송신부(168)는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에 의해 실시간 녹음 중인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운영 서버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of m real-time sound outputs (for example, the receiver whose screen interface is activated to receive and output sound data) can be determined by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68 may perform a procedure of transmitting sound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by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to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의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녹음 모드가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사운드 녹음부(140)와,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에 의해 비실시간 송수신 방식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되는지 확인하는 녹음 모드 확인부(164)와,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하는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를 구비하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중지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을 반환하는 사용 권한 관리부(136)를 구비한다.
In the case of a recording 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116 may include a sound recording unit 140 for recording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when the recording mode is confirmed A recording mode confirmation unit 164 for confirming whether the recording mode is released when the non-real tim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set by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And a sound recording stop part 144 for stopping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nputted through the sound input part 106. The usage right management part 136 for returning the use right of the sound input part 106 when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s stopped, Respectively.

상기 녹음 모드 확인부(164)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된 화면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지정된 코덱에 따라 엔코딩하여 실시간 녹음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사운드 녹음영역에 실시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녹음영역은 상기 메모리부(113)에 설정된 저장영역이거나, 또는 실행메모리에 할당된 버퍼영역일 수 있다. 상기 녹음되는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이외에 각종 오디오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screen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is confirmed to be the recording mode by the recording mode confirmation unit 164,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receives the sound signal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And encodes the sound data according to a designated codec to form sound data to be recorded in real time, and stores the configured sound data in a designated sound recording area in real time. The sound recording area may be a storage area set in the memory unit 113, or a buffer area allocated to the execution memory. The sound data to be recorded may include various audio signals in addition to the user's voice signal.

상기 동작 방식 설정부(160)에 의해 비실시간 송수신 방식이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교환 채널의 주 송신자가 아닌 경우, 상기 녹음 모드 확인부(164)는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녹음 모드가 해제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상기 녹음 모드 확인부(164)는 상기 버튼 입력부(104)의 지정된 버튼을 클릭됨에 따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녹음 모드가 해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non-real-tim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set by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0 or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not the main transmitter of the sound exchange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creen interface, 164 determines whether the recording mode for the screen interface is releas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Meanwhile, the recording mode confirmation unit 164 can check whether the recording mode for the screen interface is released by clicking the button of the button input unit 104. [

만약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한다. 상기 사운드 녹음 중지부(144)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중지되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예컨대, 인터럽트)을 반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에 의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이 자동 반환될 때까지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의 사용 권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f the recording mode is canceled, the sound recording pause unit 144 stops record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When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stopp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stop unit 144,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notifies the use right management unit 106 of the sound input unit 106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E.g., an interrup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maintains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input unit 106 until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input unit 106 is automatically returned by the control unit 10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의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에 의해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128)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N-1)명의 송신자 중에서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N-1)명의 참여자와 사용자 사이에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사운드 출력 절차부(172)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을 획득하는 사용 권한 관리부(136)를 구비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관리하는 사운드 관리부(176)를 구비한다.
In the case of a recording 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116 acquires sound data recorded by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when the recording mode is released, And a data processing unit 128 for performing a procedure of transmitting data to the (N-1) receiver side, wherein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ound data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sender side among the (N-1) And displays sou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N-1) participants and the user in a designated display area on the screen interface. The application 116 may further include a sound output procedure unit 172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outputting the received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When the received sound data is output And a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for acquiring usage rights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The sound management unit 176 manages the sou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를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되어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사운드 녹음부(140)에 의해 상기 사운드 녹음영역에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수신자(또는 지정된 특정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송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에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송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표시 영역에 송수신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If the recording mode is canceled and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is stopped while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being record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unit 140, The recording unit 140 acquires the sound data recorded in the sound recording area and transmits the obtained sound data to the (N-1) number of recipients (or a designated specific recipient).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tores the sound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data storage area designated by the memory unit 113, while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sound data is performed. When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sound data is performed, the data processor 128 sequentially displays the transmitted sound data in a designated display area on the screen interface displayed by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sequence .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N-1)명의 송신자 중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3)의 지정된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표시 영역에 송수신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특정 송신자 측으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의 송수신 순서에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아이콘(또는 출력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receives sound data transmitted from a specific sender of the (N-1) senders, and stores the received sound data in a designated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113.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sequentially displays the received sound data in a designated display area on the screen interface displayed by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sequence. The data processing unit 128 may display an icon (or an output control) indicating that the received sound data exists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quence at the time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from the specific sender.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콘(또는 출력컨트롤)이 표시되면, 상기 사운드 출력 절차부(172)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or an icon (or an output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data is displayed in a designated display area on the screen interface, the sound output procedure unit 172 outputs the sound output unit 105 And outputting the received sound data through the interface.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예컨대, 인터럽트)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기 전, 중, 후의 특정 시점에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에 대한 사용 권한을 획득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When the received sound data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may determine a usage right (e.g., an interrup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can acquire usage rights for the sound output unit 105 at specific point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sound data is received, ,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출력 절차부(17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과 동시에 자동으로 실시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가 주 송신자에 의해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라면, 상기 사운드 출력 절차부(17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획득되거나 또는 이미 획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획득되거나 또는 획득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출력 절차부(172)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출력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sound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procedure unit 172 can automatically output the sound data at the same time as receiving the sound data. Preferably, if the received sound data is sound data transmitted by the main sender, the sound output procedure unit 172 acquires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at the time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Make sure that it is already acquired. If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obtained or obtained, the sound output procedure unit 172 outputs the received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in real time.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출력 절차부(17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어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지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된 후, 상기 터치 입력부(103)를 통한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이 결정되는 경우에 해당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출력 절차부(17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획득되거나 또는 이미 획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획득되거나 또는 획득된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지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사운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사운드 출력 절차부(172)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지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사운드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ound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procedure unit 172 outputs the sound data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03 after the sound data is received and displayed in the designated display area of the screen interface The sound data can be output. Preferably, the sound output procedure unit 172 confirms whether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acquired or already acquired at the time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If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obtained or obtained,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outputs the sound data display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from the sound data displayed in the designated display area of the screen interface Activate the function to select sound data. The sound output procedure unit 172 may output sound data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ound data displayed in the designated display area of the screen interface.

한편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특정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예컨대, 인터럽트)을 반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 권한 관리부(136)는 상기 제어부(101)에 의해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이 자동 반환될 때까지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의 사용 권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Meanwhile, when specific sound data is outputt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returns the usage right (for example, an interrup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36 may determine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until the usage right of the sound output unit 105 is automatically returned by the control unit 10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사운드 관리부(176)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백업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사운드 데이터 중 삭제 대상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하여 삭제하거나, 또는 백업 대상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하여 백업(예컨대, 메일 백업)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ound management unit 176 may display an interface for selectively deleting or backing up the stored sound data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 unit 120 and may display the deletion target sound data among the sound data displayed in the specified display area (For example, mail backup) by selecting or deleting the sound data to be backed up.

한편 상기 사운드 관리부(176)는 상기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백업하는 정책을 설정 받고, 상기 정책에 따라 정책에 따라 상기 송수신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운드 관리부(176)는 일정 기간이 경과한 사운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100)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에 서버 측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백업 본을 미리 저장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und management unit 176 sets a policy for automatically deleting or automatically backing up the sound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utomatically deletes or automatically backs up the sou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the policy according to the policy . On the other hand, the sound management unit 176 can automatically delete or automatically back up sound data that has passed a certain period of time. If the sound data is automatically backed up, a backup copy of the sound data may be stored in advance on the server side at the time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by the wireless terminal 100.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이 설정되는 정책 설정부(18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application 116 includes a policy setting unit 180 in which a policy for switch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is set.

본 발명의 제1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이상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와 B가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이상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상기 A와 B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polic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n full- And may include policies for selecting participants to switch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For example, when five participants A, B, C, D, E, etc.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indicates that A and B among the five participants are sound data A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A and B may be switched to a full-duplex voice chat.

본 발명의 제2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미만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와 B가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미만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상기 A와 B를 제외한 C, D, E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transmitting sound data less than a specifi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 Nn) participants into a full-duplex voice chat.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determines that A and B among the five participants are below a specified number of times And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C, D and E to full-duplex voice chat except for A and B when data is transmitted.

본 발명의 제3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와 B가 전송한 사운드 데이터의 길이가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A와 B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ncludes selecting n participants who transmitted sound data over a specified reference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And switch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determines that the length of sound data transmitted by A and B among the five participants is less than a specified reference time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A and B to full-duplex voice chat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제4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와 B가 전송한 사운드 데이터의 길이가 지정된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에 상기 A와 B를 제외한 C, D, E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one of (Nn) To a full-duplex voice chat.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determines that the length of sound data transmitted by A and B among the five participants is less than a specified reference time , And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C, D and E to full-duplex voice chat except for A and B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제5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부(103)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한 이력이 있는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A와 B의 문자 채팅이 빈번한 경우(예컨대, A와 B가 문자 채팅을 위한 메시지를 빈번하게 전송한 경우)에 상기 A와 B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changing the designated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103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 And a policy of selecting n participants having a history of touching and switch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indicates that text chatting between A and B is frequent (For example, when A and B frequently transmit a message for text chatting), a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A and B may be switched to a full-duplex voice chat.

본 발명의 제6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부(103)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A와 B가 문자 채팅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예컨대, A와 B의 문자 채팅을 위한 메시지 전송이 거의 없는 경우)에 상기 A와 B를 제외한 C, D, E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ixth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switching the designated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103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 (Nn) participants who are not touched may be excluded from the objects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is that the participants A and B do not participate in the text chat D, and E to a full-duplex voice chat, except for A and B (for example, when there is little message transmission for A and B text chatting).

본 발명의 제7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적어도 한 명의 참여자가 상기 터치 입력부(103)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한 결과를 근거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가 B를 지정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을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A와 B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eventh polic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that at least one participant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 And a policy of selecting n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 of touching and switch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specifies that if A of the five participants requests a full- And a policy for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A and B into full-duplex voice chat.

본 발명의 제8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제1 내지 제7 정책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ighth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may include a polic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policy schemes or two or more of the first to seventh policy schemes.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에 의해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정책을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지 판단하는 전환 판단부(184)와, 상기 판단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1≤n≤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는 참여자 선별부(188)를 구비하며, 상기 선별된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는 전이중 활성화부(192)와,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처리하는 전이중 음성 채팅부(196)를 구비한다.
1, when the half-duplex voice chat is activated by the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the application 116 transmits a pattern of a character chat or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based on the set policy (184) for determining whether to convert a part or all of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192) for activating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selected n participants and a full-duplex activation unit (192) for processing the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and the participant selection unit (188) And a full-duplex voice chatting unit 196.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에 의해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과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중 적어도 하나의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전환 판단부(184)는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예컨대, 반이중 음성 채팅을 위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횟수 또는 빈도, 사운드 데이터의 길이, 문자 채팅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 횟수 또는 빈도 등)을 수집하고, 상기 정책 설정부(180)에 의해 설정된 정책을 근거로 상기 수집된 N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지 판단한다.
If the half-duplex voice activating unit 124 activates at least on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ting and the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ting, the switching determining unit 184 determines the half- (E.g., the number or frequency of transmission of sound data for half-duplex voice chatting, the length of sound data, the number or frequency of transmissions of messages for text chatting, etc.) And determines whether to convert a part or the whole of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by analyzing a pattern of a character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among the collected N participants.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참여자 선별부(188)는 상기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N명의 참여자 중에서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n(1≤n≤N)명의 참여자를 선별한다.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참여자는 N명이거나 또는 N보다 작을 수 있다.
If the half-duplex voice chat is switched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the participant selector 188 selects n (1? N? N) among the N participants in the character chat or half- The participants are selected. Of the N participan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the full-duplex voice chat may be N or less than N. [

상기 참여자 선별부(188)에 의해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할 n명의 참여자가 선별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8)는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을 이용 중인 사용자와 전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할 (n-1)명의 참여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N-1) to provide the full-duplex voice chat with the user using the application 116, if the n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are selected by the participant selector 188 A message requesting participation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can be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participant-side wireless terminal 100. [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192)는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한다. 한편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문자 채팅은 이전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ull-duplex activation unit 192 activates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n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 among the N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is activated, the text chatting is preferably performed as before.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명의 참여자가 N명의 참여자와 같다면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192)는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N명의 참여자 중 적어도 1명이 전이중 음성 채팅을 해제할 때까지 반이중 음성 채팅은 일시 정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the full-duplex voice chat are the same as the N participants, the full-duplex activation unit 192 can activate the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In this case, the half-duplex voice chatting may be suspended until at least one of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cancels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명의 참여자가 N명의 참여자보다 작다면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192)는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되,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n)명의 참여자는 자신의 요청에 따라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여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the full-duplex voice chat are smaller than the N participants, the full-duplex activation unit 192 activates the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Nn) participants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can remain active. According to the method, the (Nn) participants can participate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by activating the full-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Nn) participants.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192)에 의해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되면,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부(196)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n-1)명의 참여자에게 실시간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n-1)명의 참여자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실시간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부(196)는 VoIP 방식 또는 VoIP와 호환되는 방식으로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처리할 수 있다.
When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between the n participants is activated by the full-duplex activation unit 192,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unit 196 transmits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to the (n -1) participants in real time and simultaneously receives sound data from the (n-1) participants in real tim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For example,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unit 196 may process a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n participants in a manner compatible with VoIP or VoIP.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192)에 의해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는 상기 n명의 참여자가 1보다 작거나 같아지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참여자가 전이중 음성 채팅을 해제하여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n명의 참여자가 1보다 작거나 같아지면,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는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을 반이중 음성 채팅으로 복원시켜 반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n participants is activated by the full-duplex activation unit 192, the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checks whether the n participants are less than or equal to one. If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release the full-duplex voice chat and the participant of n participating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1, the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restores the full- To enable half-duplex voice chat.

도면2는 본 발명의 음성 지원 채팅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cha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문자 채팅과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으로 제공하고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근거로 지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성 지원 채팅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more detail, FIG. 2 illustrates a system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text chatting and half-duplex voice chatting, and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ting into full-duplex voice chatting according to a specified policy based on the pattern of the hal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and / or modify FIG. 2 to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voice chat system configuration (e.g.,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음성 지원 채팅 시스템은, 채팅에 참여하는 N(N≥2)명의 참여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100)과, 상기 N명의 참여자 중에서 송신자 측에 해당하는 특정 사용자의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여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중계 전달하되, 상기 채팅 데이터가 사운드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N-1)명의 수신자가 소지한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에 맞게 변환하여 제공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운영 서버람 함은, 본 발명의 음성 지원 채팅 시스템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총칭으로서, 어느 하나의 물리적 서버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 서버는 각 무선단말(100)의 접속을 허락하는 접속 서버, 각 무선단말(100)의 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서버, 각 무선단말(100)을 통한 채팅과 관련된 로그를 관리하는 로그 서버, 사운드 데이터를 임시(또는 백업) 저장하는 스토리지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The voice chat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00 used by N (N? 2)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a chat, and a wireless terminal 100 of a specific user corresponding to a sender among the N participants Receives the chat data from the application (116) and relays it to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N-1)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when the chat data is sound data, (N-1) receivers, and converts and provides the converted data according to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Here, the operation server name is a generic term of at least one or two or more server combinations implementing the voice cha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physical server. Preferably, the operational server includes an access server that allows connection of each wireless terminal 100, a status server that manages the status of each wireless terminal 100, and a log associated with the chat through each wireless terminal 100 A log server, a storage server for temporarily storing (or backing up) sound data, and the like.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반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는 반이중 활성화부(124)(20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a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205) for activating a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의 기본 음성 채팅 방식은 반이중 음성 채팅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20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의 음성 채팅 방식으로서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과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중 적어도 하나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한다. 그러나 상기 기본 음성 채팅 방식이 반이중 음성 채팅 방식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전이중 음성 채팅 방식으로 설정 가능하다.
The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or 205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as a voice chat mode of the application 116, Based half-duplex voice chat. However, the basic voice chatt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half-duplex voice chatting method, and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method can be set according to the method.

상기 무선단말(100)이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N명의 참여자 중에서 송신자 측에 해당하는 특정 사용자의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15)와,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20)와, 상기 채팅 데이터가 전달될 (N-1)명의 수신자를 확인하는 수신자 확인부(225)와, 상기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채팅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를 통지하는 메시지 통지부(245)와, 상기 통지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전달부(255)를 구비한다.
When the wireless terminal 100 provides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the operating server transmits chat data from an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of a specific user corresponding to a sender among N participants A data storage unit 22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eceived chat data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 receiver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N-1) recipients to which the chat data is to be transmitted A message notifying unit 245 for notifying a message about the chat data to an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identified (N-1)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1) to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recipient-side wireless terminal 100. The data transfer unit 255 transfers the chat data to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recipient-

상기 데이터 수신부(215)는 송신자 측에 해당하는 특정 사용자의 무선단말(100)로부터 문자 데이터와 사운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위치 데이터, 이모티콘 데이터, 명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채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ata receiving unit 215 receives cha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character data and sound data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of a specific user corresponding to the sender, and transmits the chat data including image data, , Emoticon data, and business card data.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는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가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때까지 상기 채팅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저장한다.
The data storage unit 220 temporarily stores the chat data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until the received chat data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of (N-1) .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는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송한 애플리케이션(116)(또는 사용자)에 대한 채팅 관리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채팅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관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송한 애플리케이션(116)(또는 사용자)와 채팅 중인 (N-1)명의 수신자를 확인한다.
The receiver confirmation unit 225 manages chat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116 (or the user) that has transmitted the chat data and receives chat data from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100 If it is received, the application 116 (or the user) that transmitted the chat data based on the chat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N-1) recipient being chatted are identified.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와 같이 별다른 가공 없이 중계 가능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메시지 통지부(245)는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자를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채팅 데이터가 존재함을 통지하는 메시지(예컨대, 푸시 메시지)를 발송한다.
If the received chat data is data that can be relayed without any processing such as character data, the message notifying unit 245 notifies the N-1 recipient wireless terminal 100 (N-1) identified by the receiver identifying unit 225 (E.g., a push message) notifying that there is chat data to be delivered to the application 116 via the identified identifier.

상기 메시지 발송에 의해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이 상기 채팅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데이터 전달부(255)는 상기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가 통지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달한다.
When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requests the chat data by sending the message, the data transmitter 255 transmits the chat data to the receiver- And transmits the chat data to an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server 100. [

상기 무선단말(100)이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215)를 통해 수신된 채팅 데이터가 사운드 데이터인지 판별하는 데이터 판별부(230)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20)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할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을 확인하는 플랫폼 확인부(235)와, 상기 확인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을 통해 출력 가능한 구조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240)와,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를 통지하는 메시지 통지부(245)와, 상기 통지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전달부(255)를 구비한다.
When the wireless terminal 100 provides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the operating server includes a data discrimination unit 230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chat data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215 is sound data, A data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the sound data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when data is received and a platform for confirming a platform environment of (N-1)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s 100 to receive the sound data A data processing unit 240 for processing the sound data in a structure outputable through the platform of the identified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 message notifying unit 245 for notifying a message to the sound data to an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recipient wireless terminal 100 of the (N-1) And a data transfer unit (255) for transferring the sound data to an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line terminal (100).

상기 데이터 수신부(215)를 통해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채팅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판별부(230)는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그(예컨대, 채팅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116)에 첨부한 값)를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의 구조를 판독하여,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가 사운드 데이터인지 판별한다.
When the chat data is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116 of the us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215, the data determining unit 2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lag included in the received chat data The value attached to the application 116 to identify the type), or reads the structure of the received chat data to determine if the received chat data is sound data.

만약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가 사운드 데이터라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바이너리 코드화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여기서, 바이너리 코드화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 가능한 상태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예컨대, 단말기 기종, 운영체제, 압축코덱 등)에 맞는 코덱으로 압축되어 녹음되어 수신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과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이 동일하다면,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별도의 가공 없이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과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이 동일하더라도 녹음되는 코덱과 출력되는 코덱이 상이하다면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가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과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이 동일하지 않고, 동일하더라도 데이터 변환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는 사익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바이너리 코드화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If the received chat data is sound data, the data storage unit 220 binarily codes the sound data and stores the binary data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Here, the binary coding means storing the sound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sound data can be processed. Preferably, the sound data is compressed and recorded in a codec suitable for a platform environment (e.g., terminal model, operating system, compression codec, etc.) of the us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is received. If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us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re the same, the sou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 If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us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re the same, the sound data must be processed if the codec to be recorded and the codec to be output are different. However, since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us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re not equal to each other and data conversion may be required, the data storage unit 220 may store the received sound data Binary cod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상기 플랫폼 확인부(235)는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을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가공부(240)는 상기 확인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을 통해 출력 가능한 코덱으로 상기 바이너리 코드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변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가공부(24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규격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에 대응하는 코덱으로 압축할 수 있다.
The platform verifying unit 235 verifies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N-1)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identified by the receiver verification unit 225,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240 verifies And converts the binary coded sound data into a codec that can be outputted through the platform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 Preferably, the data processing unit 240 divides the sound data into a specified size and compresses the divided sound data into a codec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한편 상기 데이터 가공부(24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음성 신호를 선별적으로 증폭하거나, 또는 잡음을 제거하여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을 통해 출력 가능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가공부(240)는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과의 통신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 품질에 적합한 비율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ata processor 240 selectively amplifies the voice signal of the sound data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sound data, or removes noise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platform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Can be processed. Alternatively, the data processing unit 240 can confirm the communication quality with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process the sound data at a rate suitable for the communication quality.

한편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자동 백업 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는 상기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백업 D/B(도시생략)에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ound data is automatically backed up, the data storage unit 220 stores th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116 of the us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or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 To the designated backup D / B (not show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가공부(240)는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위치 데이터, 명함 데이터 등도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에 맞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240 can process image data, moving image data, position data, business card data, etc. according to the platform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Is not to be limited.

상기 메시지 통지부(245)는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자를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사운드 데이터가 존재함을 통지하는 메시지(예컨대, 푸시 메시지)를 발송한다.
The message notifying unit 245 confirm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application 116 included in the (N-1)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identified by the receiver confirmation unit 225, (E.g., a push message) notifying that there is sound data to be delivered to the application 116 via the identifier.

상기 메시지 발송에 의해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데이터 전달부(255)는 상기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가 통지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전달한다.
When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requests the sound data by sending the message, the data transfer unit 255 transmits the sound data to the receiver- And transmits the sound data to an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상기 무선단말(100)이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N명의 참여자 중에서 송신자 측에 해당하는 특정 사용자의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15)와,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20)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전달될 (N-1)명의 수신자를 확인하는 수신자 확인부(225)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할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을 확인하는 플랫폼 확인부(235)와, 상기 확인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을 통해 출력 가능한 구조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240)를 구비한다.
If the wireless terminal 100 provides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 the operating server transmits a sound based on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of the specific user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r side among the N participants A data storage unit 22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eceived sound data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 receiver for confirming (N-1) receivers to which the sound data is to be transmitted, A platform confirmation unit 235 for confirming a platform environment of the (N-1)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to receive the sound data, And a data processing unit 240 for processing the sound data in a structure outputable through a platform.

상기 데이터 수신부(215)는 송신자 측에 해당하는 특정 사용자의 무선단말(100)로부터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데이터 수신부(215)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 이외에 문자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위치 데이터, 이모티콘 데이터, 명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채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ata receiving unit 215 receives the sound data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of the specific user corresponding to the sender and the data receiving unit 215 receives the sound data, And can receive at least one of chat data, video data, position data, emoticon data, and business card data.

만약 상기 데이터 수신부(215)를 통해 채팅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는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가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때까지 상기 채팅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저장한다.
If the chat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215, the data storage unit 220 stores the received chat data in the application 116 of the (N-1) The chat data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until the chat data is delivered to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데이터 수신부(215)를 통해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바이너리 코드화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여기서, 바이너리 코드화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 가능한 상태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예컨대, 단말기 기종, 운영체제, 압축코덱 등)에 맞는 코덱으로 압축되어 녹음되어 수신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과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이 동일하다면,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별도의 가공 없이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과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이 동일하더라도 녹음되는 코덱과 출력되는 코덱이 상이하다면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가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과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이 동일하지 않고, 동일하더라도 데이터 변환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는 사익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바이너리 코드화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Meanwhile,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215, the data storage unit 220 binary-codes the sound data and stores the sound data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Here, the binary coding means storing the sound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sound data can be processed. Preferably, the sound data is compressed and recorded in a codec suitable for a platform environment (e.g., terminal model, operating system, compression codec, etc.) of the us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is received. If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us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re the same, the sou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 If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us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re the same, the sound data must be processed if the codec to be recorded and the codec to be output are different. However, since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us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re not equal to each other and data conversion may be required, the data storage unit 220 may store the received sound data Binary cod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 또는 채팅 데이터를 전송한 애플리케이션(116)(또는 사용자)에 대한 관리 정보(예컨대, 사운드 교환 채널에 대한 N명의 참여자 정보와 N명의 참여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정보 등)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 또는 채팅 데이터를 전달할 (N-1)명의 수신자를 확인한다.
The recipient identification unit 225 identifies management information (e.g., N pieces of participant information on the sound exchange channel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of the wireless terminal &lt; RTI ID = 0.0 &gt; And transmits the sound data or the chat data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when the sound data is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of the user (N-1) receivers.

상기 플랫폼 확인부(235)는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 환경을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가공부(240)는 상기 확인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을 통해 출력 가능한 코덱으로 상기 바이너리 코드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변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가공부(24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규격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에 대응하는 코덱으로 압축할 수 있다.
The platform verifying unit 235 verifies the platform environment of the (N-1)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identified by the receiver verification unit 225,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240 verifies And converts the binary coded sound data into a codec that can be outputted through the platform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 Preferably, the data processing unit 240 divides the sound data into a specified size and compresses the divided sound data into a codec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한편 상기 데이터 가공부(24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음성 신호를 선별적으로 증폭하거나, 또는 잡음을 제거하여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을 통해 출력 가능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가공부(240)는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과의 통신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 품질에 적합한 비율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ata processor 240 selectively amplifies the voice signal of the sound data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sound data, or removes noise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platform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Can be processed. Alternatively, the data processing unit 240 can confirm the communication quality with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process the sound data at a rate suitable for the communication quality.

한편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자동 백업 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는 상기 사용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백업 D/B(도시생략)에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ound data is automatically backed up, the data storage unit 220 stores th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116 of the us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or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 To the designated backup D / B (not show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가공부(240)는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위치 데이터, 명함 데이터 등도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에 맞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240 can process image data, moving image data, position data, business card data, etc. according to the platform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Is not to be limited.

상기 무선단말(100)이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비실시간 방식으로 중계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를 통지하는 메시지 통지부(245)와, 상기 통지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전달부(255)를 구비한다.
When the wireless terminal 100 provides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 the operating server transmits (N-1) confirmed by the receiver identification unit 225 when the sound data is relayed in a non- A message notifying unit 245 for notifying a message to the sound data to an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recipient wireless terminal 100 of the recipient wireless terminal 100, And a data transfer unit 255 for transferring the sound data to the application 116.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비실시간 방식으로 중계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통지부(245)는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자를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사운드 데이터가 존재함을 통지하는 메시지(예컨대, 푸시 메시지)를 발송한다.
When relaying the sound data in a non-real-time manner, the message notifying unit 245 notifies the application (116) of the (N-1) ), And sends a message (e.g., a push message) notifying that there is sound data to be delivered to the application 116 via the identified identifier.

한편 상기 데이터 수신부(215)를 통해 채팅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채팅 데이터는 상기 비실시간 송수신 방식에 따라 중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메시지 통지부(245)는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자를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될 채팅 데이터가 존재함을 통지하는 메시지(예컨대,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hat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er 215, the chat data may be relayed according to the non-real-time transmission / reception scheme. To this end, the message notification unit 245 transmits, Identifies an identifier that identifies the application 116 included in the (N-1)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identified by the identifi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at data to be delivered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116 exists (E. G., A push message). &Lt; / RTI &gt;

상기 메시지 발송에 의해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데이터 전달부(255)는 상기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가 통지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전달한다. 만약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이 상기 채팅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전달부(255)는 상기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가 통지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requests the sound data by sending the message, the data transfer unit 255 transmits the sound data to the receiver- And transmits the sound data to an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f the application 116 included in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requests the chat data, the data transmitter 255 transmits the chat data to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The cha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무선단말(100)이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방식으로 중계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중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출력 가능한 n(1≤n<N)명의 실시간 수신자를 확인하는 수신자 확인부(225)와, 상기 확인된 n명의 실시간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과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채널 형성부(250)와, 상기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n명의 실시간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전달하는 데이터 전달부(255)를 구비한다.
When the wireless terminal 100 provides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 when the sound data is relayed in a real-time manner, the operating server may transmit (N-1) A receiver identification unit 225 for identifying a real-time receiver of n (1? N <N) receivers capable of outputting the sound data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the sound data in real time to an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n real-tim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s (100) through the connect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ing unit (250) And a transfer unit 255.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방식으로 중계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는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에 의해 확인된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과 연동하여 상기 (N-1)명의 수신자 중에서 상기 사운드 교환 채널에 대응하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출력 가능한 n명의 실시간 수신자를 확인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자 확인부(225)는 상기 (N-1)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대한 로그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1)명의 수신자 중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출력 가능한 n명의 실시간 수신자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data is relayed in a real-time manner, the receiver identification unit 225 identifies the application 116 included in the (N-1)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identified by the receiver identification unit 225, A scree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sound exchange channel among the (N-1) receivers is activated to identify n real-time receivers capable of outputting the sound data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identification unit 225 reads the log information about the (N-1)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s 100 and outputs the sound data from among the (N-1) You can see n real-time recipients.

상기 n명의 실시간 수신자가 확인되면, 상기 통신채널 형성부(250)는 상기 확인된 n명의 실시간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과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n명의 실시간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과 연결된 통신채널을 확인한다.
When the n real-time receivers are confirmed,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ing unit 250 connects a communication channel for real-time transmission of the sound data to the confirmed n real-tim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s 100, And confirms a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real-tim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상기 통신채널 형성부(250)에 의해 상기 n명의 실시간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과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통신채널이 연결되거나 또는 기 연결된 통신채널이 확인되면, 상기 데이터 전달부(255)는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n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전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전달부(255)는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n명의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형태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If a communication channel for real-time transmission of the sound data to the n real-tim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s 100 is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ing unit 250 or a communication channel to which the sound data is connected is confirmed, the data transmitting unit 255 Transmits the sound data in real time to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n recipient wireless terminals 100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The data transfer unit 255 may transmit the sound data in real time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n recipient wireless terminals 100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이 설정되는 정책 설정부(21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a policy setting unit 210 in which a policy for switch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is set.

본 발명의 제1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이상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와 B가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이상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상기 A와 B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polic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n full- And may include policies for selecting participants to switch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For example, when five participants A, B, C, D, E, etc.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indicates that A and B among the five participants are sound data A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A and B may be switched to a full-duplex voice chat.

본 발명의 제2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미만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와 B가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미만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상기 A와 B를 제외한 C, D, E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transmitting sound data less than a specifi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 Nn) participants into a full-duplex voice chat.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determines that A and B among the five participants are below a specified number of times And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C, D and E to full-duplex voice chat except for A and B when data is transmitted.

본 발명의 제3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와 B가 전송한 사운드 데이터의 길이가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A와 B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ncludes selecting n participants who transmitted sound data over a specified reference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And switch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determines that the length of sound data transmitted by A and B among the five participants is less than a specified reference time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A and B to full-duplex voice chat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제4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와 B가 전송한 사운드 데이터의 길이가 지정된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에 상기 A와 B를 제외한 C, D, E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one of (Nn) To a full-duplex voice chat.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determines that the length of sound data transmitted by A and B among the five participants is less than a specified reference time , And a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C, D and E to full-duplex voice chat except for A and B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제5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부(103)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한 이력이 있는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A와 B의 문자 채팅이 빈번한 경우(예컨대, A와 B가 문자 채팅을 위한 메시지를 빈번하게 전송한 경우)에 상기 A와 B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changing the designated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103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 And a policy of selecting n participants having a history of touching and switch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indicates that text chatting between A and B is frequent (For example, when A and B frequently transmit a message for text chatting), a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A and B may be switched to a full-duplex voice chat.

본 발명의 제6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부(103)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A와 B가 문자 채팅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예컨대, A와 B의 문자 채팅을 위한 메시지 전송이 거의 없는 경우)에 상기 A와 B를 제외한 C, D, E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ixth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for switching the designated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103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 (Nn) participants who are not touched may be excluded from the objects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is that the participants A and B do not participate in the text chat D, and E to a full-duplex voice chat, except for A and B (for example, when there is little message transmission for A and B text chatting).

본 발명의 제7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적어도 한 명의 참여자가 상기 터치 입력부(103)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한 결과를 근거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A, B, C, D, E 등의 5명의 참여자가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경우, 상기 정책은 상기 5명의 참여자 중 A가 B를 지정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을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A와 B 사이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eventh polic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switch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a policy that at least one participant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 And a policy of selecting n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 of touching and switch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For example, if five participants, such as A, B, C, D, and E, are in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the policy specifies that if A of the five participants requests a full- And a policy for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A and B into full-duplex voice chat.

본 발명의 제8 정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은, 상기 제1 내지 제7 정책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ighth policy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for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may include a polic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policy schemes or two or more of the first to seventh policy schemes.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205)에 의해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정책을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지 판단하는 전환 판단부(260)와, 상기 판단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1≤n≤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는 참여자 선별부(265)를 구비하며, 상기 선별된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는 전이중 활성화부(270)와,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처리하는 전이중 음성 채팅부(275)를 구비한다.
2, when the half-duplex voice chat is activated by the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205), the operation server generates a pattern of the text chat or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based on the set policy (N) of the N participants based o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half-duplex voice chat is to be switched to a full-duplex voice chat by analyzing and a participant selection unit (265) for selecting a participant from among the n participants, and a full-duplex activation unit (270) for activating a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selected n participants and a full- And a full-duplex voice chatting unit 275.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205)에 의해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과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중 적어도 하나의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전환 판단부(260)는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예컨대, 반이중 음성 채팅을 위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횟수 또는 빈도, 사운드 데이터의 길이, 문자 채팅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 횟수 또는 빈도 등)을 수집하고, 상기 정책 설정부(210)에 의해 설정된 정책을 근거로 상기 수집된 N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지 판단한다.
If at least one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and the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 is activated by the half-duplex activation unit 124 or 205, th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that the half- (E.g., the number or frequency of transmission of sound data for half-duplex voice chatting, the length of sound data, the number or frequency of transmissions of messages for text chatting), and transmits the pattern to the policy setting unit 210 And determines whether to convert a part or the whole of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by analyzing the pattern of the character chat or the half-duplex voice chat among the collected N participants based on the policy set by the user.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참여자 선별부(265)는 상기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인 N명의 참여자 중에서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n(1≤n≤N)명의 참여자를 선별한다.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참여자는 N명이거나 또는 N보다 작을 수 있다.
If the half-duplex voice chat is switched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the participant selector 265 selects n (1? N? N) among the N participants in the character chat or half- The participants are selected. Of the N participan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the full-duplex voice chat may be N or less than N. [

상기 참여자 선별부(265)에 의해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할 n명의 참여자가 선별되면, 상기 메시지 통지부(245)는 상기 n명의 참여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도록 통지함으로써, 상기 n명의 참여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을 통해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When n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are selected by the participant selection unit 265, the message notification unit 245 notifies the application 116 of the n participant side wireless terminals 100 of the full- Chat to participate in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so that a message requesting participation in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is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116 provided in the n participant-side wireless terminals 100. [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270)는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한다. 한편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문자 채팅은 이전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ull-duplex activation unit 270 activates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n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 among the N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is activated, the text chatting is preferably performed as before.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명의 참여자가 N명의 참여자와 같다면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270)는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N명의 참여자 중 적어도 1명이 전이중 음성 채팅을 해제할 때까지 반이중 음성 채팅은 일시 정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the full-duplex voice chat are the same as the N participants, the full-duplex activation unit 270 can activate the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In this case, the half-duplex voice chatting may be suspended until at least one of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cancels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명의 참여자가 N명의 참여자보다 작다면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270)는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되,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n)명의 참여자는 자신의 요청에 따라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여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the full-duplex voice chat are smaller than the N participants, the full-duplex activation unit 270 activates the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Nn) participants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can remain active. According to the method, the (Nn) participants can participate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by activating the full-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Nn) participants.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270)에 의해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되면,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부(275)는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어느 한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n-1)명의 참여자에게 실시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n-1)명의 참여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한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전달한다. 예를들어,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부(275)는 VoIP 방식 또는 VoIP와 호환되는 방식으로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별도의 서버 또는 모듈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When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between the n participants is activated by the full-duplex activation unit 270,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unit 275 transmits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116 of one of the n wireless participants 100 (N-1)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and transmits the sound data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used by the (n-1) To the application 116 of one wireless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unit 275 may process a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n participants in a manner compatible with VoIP or VoIP,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server or module.

상기 전이중 활성화부(270)에 의해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205)는 상기 n명의 참여자가 1보다 작거나 같아지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참여자가 전이중 음성 채팅을 해제하여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n명의 참여자가 1보다 작거나 같아지면, 상기 반이중 활성화부(124)(205)는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을 반이중 음성 채팅으로 복원시켜 반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할 수 있다.
The half duplex activation unit 124 205 determines whether the n participants are less than or equal to 1, in a state where the full duplex voice chat between n participants is activated by the full duplex activation unit 270. If the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clears the full-duplex voice chat and the participant of n participating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1, the half-duplex activator 124 (205) You can restore half-duplex voice chatting by chatting.

도면3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에서 문자 채팅과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text chat and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in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는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에서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이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되, 상기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more detail, FIG. 3 shows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when a designated area on the chat interface is maintained in a touched state in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1 And the sound data is transmitted when the touched state is cancel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referring to and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ways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ting process (for example, omitting som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thereof) may be inferre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3를 참조하면,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문자 채팅과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됨에 따라(300), 다자간 음성/문자 채팅을 위한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의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한다(305).
Referring to FIG. 3,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include a sound recording interface (300) in a designated area on the chat interface for multi-party voice / text chat, as the text chat and the touch based half- And confirms that the touched stat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maintained (305).

만약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의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제외한 채팅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310), 상기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채팅 데이터를 획득하여(315), 지정된 운영 서버로 상기 획득된 채팅 데이터를 송신한다(320).
If the touched stat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not maintained, the application 116 displays (310) an interface for obtaining chat data, excluding the sound data, and obtains chat data obtained through the displayed interface (315), and transmits the obtained chat data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320).

반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의 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사운드 녹음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106)에 대한 사용 권한을 획득하고(325), 상기 사용 권한이 획득된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한다(330).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의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는지 확인하는데(335), 만약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의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한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하고(340),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에 대한 사용 권한을 반환한다(345).
On the other hand, if the touched stat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maintained, the application 116 obtains 325 permission to use the sound input unit 10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for sound record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obtained with the authority is recorded (330). The application 116 determines whether the touched stat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released while the sound data is being recorded 335. If the touched stat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released, (340), and returns the usage right to the sound input unit (3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는 과정은 상술된 방식 이외에 도면1의 제1 내지 제3 영역 이탈 후 동작 방식을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한 방식에 따라 세밀하게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recording the sound data may be finely provided according to a method of combining at least one or more than two operation methods after the first to third regions of FIG. 1 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

한편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의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한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중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의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350),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구조로 압축한 후(355), 지정된 운영 서버로 상기 획득된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한다(320).
Meanwhile, when the touched stat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released and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stopped, the application 116 stores the sound data recorded during the touched stat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350), compresses the recorded sound data into a transmittable structure (355), and transmits the obtained sound data to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320).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문자 채팅과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text chat and a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4 illustrates a process of receiving chat data including sound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3 and outputting the chat data,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4,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ting process (e.g., omitting som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And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4를 참조하면, 운영 서버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400),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면서(405), 상기 채팅 데이터가 전달될 (N-1)명의 수신자를 확인한다(410).
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400) various chat data including sound data and character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3,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chat data (405) (N-1) recipients to which the chat data is to be transmitted (410).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가 사운드 데이터인지 판별하는데(415), 만약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가 사운드 데이터가 아니라면,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확인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채팅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를 통지한다(420).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고(425), 상기 채팅 데이터의 수신이 결정됨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로 상기 저장된 채팅 데이터를 요청한다(430).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제공될 채팅 데이터를 확인하고(435),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확인된 채팅 데이터를 송신한다(440).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여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의 종류와 특성에 맞게 해당 채팅 데이터를 표시한다(445).
The operational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chat data is sound data 415. If the received chat data is not sound data through the process of FIG. 3, the operational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chat data is sound data,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chat data (420).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and displays the message from the operation server 425 and requests the operation server to store the chat data as the reception of the chat data is determined 430 ). The operation server confirms (435) chat data to be provided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confirmed chat data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440).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the chat data and displays corresponding chat data in the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ed chat data (445).

한편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가 사운드 데이터라면,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바이너리 코드화하여 저장하고(450),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전달될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에 맞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한다(460). 상기 운영 서버는 각 수신자 별로 가공된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465).
Meanwhile, if the received chat data is sound data through the process of FIG. 3, the operating server binarizes and stores the sound data (450), and transmits the sound data to the platform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The sound data is processed (460) accordingly. The operating server may store processed sound data for each recipient (465).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확인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를 통지한다(420).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고(425),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수신이 결정됨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로 상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요청한다(430).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제공될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고(435),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확인된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한다(440).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채팅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표시한다(445).
The operating server notifies the application 116 of the confirmed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of the message about the sound data (420).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and displays the message from the operating server 425 and requests the operating server to store the sound data as the reception of the sound data is determined 430 ). The operating server confirms 435 the sound data to be provided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confirmed sound data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440).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the sound data and displays the received sound data in a chat display area on the chat interface (445).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470),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며(475), 만약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이 결정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다(480).
Meanwhile, if the sound data is received (470) in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application 116 determines whether to output the received sound data (475), and if the output The sound data is outputt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480).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에서 문자 채팅과 녹음 기반의 비실시간 반이중 음성 채팅을 비실시간으로 다중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non-real-time, non-real-time half-duplex voice chat based on a text chat and a recording based on an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이 녹음 모드 상태에서 녹음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에 지정된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More specifically, FIG. 5 illustrates a process of transmitting sound data recorded in the recording mode of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1 to a designated receiver when the recording mode is releas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and / or modify Figure 5 to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cording based half-duplex voice chatting process (e.g., some steps may be omit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5를 참조하면,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문자 채팅과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됨에 따라(500), 사운드 교환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 녹음 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한다(505).
Referring to FIG. 5,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displays a sound recording interface in a designated area on the screen interface for sound exchange (500) as the text chat and recording based half-duplex voice chat are activated (500) The user touches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o confirm whether the mode is switched to the recording mode (505).

만약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통해 녹음 모드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제외한 채팅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510), 상기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채팅 데이터를 획득하여(515), 지정된 운영 서버로 상기 획득된 채팅 데이터를 송신한다(520).
If the recording mode is not confirm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e application 116 displays (510) an interface for acquiring chat data, excluding the sound data, and acquires chat data obtained through the displayed interface (515), and transmits the obtained chat data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520).

반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통해 녹음 모드가 확인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사운드 녹음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106)에 대한 사용 권한을 획득하고(525), 상기 사용 권한이 획득된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한다(530).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되는지 확인하는데(535), 만약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한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을 중지하고(540),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에 대한 사용 권한을 반환한다(545).
On the other hand, if the recording mode is confirm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e application 116 obtains (525) permission to use the sound input unit 106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for sound record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obtained with the authority is recorded (530). The application 116 determines whether the recording mode is released while the sound data is being recorded 535. If the recording mode is canceled, the application 116 stops recording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 And returns the usage right to the sound input unit 106 (545).

한편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되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한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이 중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의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550), 상기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구조로 압축한 후(555), 지정된 운영 서버로 상기 획득된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한다(520).
Meanwhile, when the recording mode is canceled and the recording of the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is stopped, the application 116 obtains the recorded sound data while the touched state of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is maintained (550 ), Compresses the recorded sound data into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555), and transmits the obtained sound data to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520).

도면6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에서 문자 채팅과 녹음 기반의 실시간 반이중 음성 채팅을 다중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text chat and a recording-based real-time half-duplex voice chat in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는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이 녹음 모드 상태에서 녹음 중인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수신자 측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6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1 transmits sound data being recorded in a recording mode state to a designated receiver in real time, and FIG. ,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6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ting process (e.g., omitting some steps or changing the order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6를 참조하면,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문자 채팅과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됨에 따라(600), 사운드 교환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영역에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 녹음 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한다(605).
Referring to FIG. 6,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displays a sound recording interface in a designated area on a screen interface for sound exchange (600) as the text chat and recording based half-duplex voice chat are activated (600) The user touches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o confirm whether the mode is switched to the recording mode (605).

만약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통해 녹음 모드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제외한 채팅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610), 상기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채팅 데이터를 획득하여(615), 지정된 운영 서버로 상기 획득된 채팅 데이터를 송신한다(620).
If the recording mode is not confirm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e application 116 displays (610) an interface for acquiring chat data, excluding the sound data, and acquires chat data obtained through the displayed interface (615), and transmits the obtained chat data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620).

반면 상기 사운드 녹음 인터페이스를 통해 녹음 모드가 확인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사운드 녹음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106)에 대한 사용 권한을 획득하고(625), 상기 사용 권한이 획득된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한다(630).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녹음 중인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획득하고(635), 상기 실시간 획득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구조로 압축한 후(640), 지정된 운영 서버로 상기 실시간 획득된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한다(645).
On the other hand, if the recording mode is confirmed through the sound recording interface, the application 116 acquires (625) permission to use the sound input unit 106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for sound record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obtained with the authority is recorded (630). The application 116 acquires the sound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635), compresses the real-time acquired sound data into a transmittable structure (640), and transmits the real-time acquired sound data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645).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녹음 중인 사운드 데이터가 실시간 송신되는 중에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되는지 확인하는데(650), 만약 상기 녹음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를 통한 사운드 데이터의 녹음과 상기 녹음 중인 사운드 데이터의 실시간 송신을 중지하고(655), 상기 사운드 입력부(106)에 대한 사용 권한을 반환한다(660.
The application 116 checks whether the recording mode is released while the sound data being recorded is being transmitted in real time (650). If the recording mode is canceled, the application 116 may record the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6, The real-time transmission of the sound data being recorded is stopped (655), and the right to use the sound input unit (106) is returned (660.

도면7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중 문자 채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xt chatting process in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는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송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에서 송신된 채팅 데이터를 지정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중계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채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more detail, FIG. 7 shows the chat data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116 of the sender-side wireless terminal 100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designated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5 or FI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and / or modify FIG. 7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chatting process (e.g., , Or an embodiment in which the order is chan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7를 참조하면, 운영 서버는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송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에서 송신된 각종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700),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면서(705), 상기 채팅 데이터가 전달될 (N-1)명의 수신자를 확인한다(710).
Referring to FIG. 7,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700) various chat data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116 of the sender-sid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5 or 6, (N-1) recipients to which the chat data will be transmitted (step 710).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확인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채팅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를 통지한다(715).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고(720), 상기 채팅 데이터의 수신이 결정됨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로 상기 저장된 채팅 데이터를 요청한다(725).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제공될 채팅 데이터를 확인하고(730),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확인된 채팅 데이터를 송신한다(735).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채팅 데이터를 수신/저장하고,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된 채팅 데이터의 종류와 특성에 맞게 해당 채팅 데이터를 표시한다(740).
The operation server notifies the application 116 of the confirmed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of the message about the chat data (715).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and displays the message from the operation server 720 and requests the operation server to transmit the chat data to the operation server 725 ). The operation server checks the chat data to be provided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confirmed chat data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735).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 stores the chat data and displays corresponding chat data in a designated display area on the screen interface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ed chat data (740).

도면8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ording-based half-duplex voice cha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는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송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에서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중계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8 shows the sound data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116 of the sender-side wireless terminal 100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designated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5 or 6 Real-time or non-real-time relay,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8 to implement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recording-based half- (For example, an operation method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Is not limited.

도면8를 참조하면, 운영 서버는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송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에서 송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800),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바이너리 코드화하여 저장하면서(805),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전달될 (N-1)명의 수신자를 확인한다(810).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전달될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플랫폼에 맞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가공한다(815). 상기 운영 서버는 각 수신자 별로 가공된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820).
Referring to FIG. 8, the operational server receives (800) the sound data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116 of the send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5 or 6, (805) and identifies (N-1) recipients to which the sound data is to be transmitted (810). The operating server processes the sound data according to the platform of th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to which the sound data is to be transmitted (815). The operating server may store the processed sound data for each recipient (820).

만약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비실시간 방식으로 중계한다면,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확인된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를 통지한다(830).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고(835),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수신이 결정됨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로 상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요청한다(840).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제공될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고(845), 상기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확인된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한다(850).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 인터페이스 상의 지정된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표시하고(855),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860). 만약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이 결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다(865).
If the sound data is relayed in a non-real-time manner, the operating server notifies 830 the message about the sound data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confirmed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 100.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and displays the message from the operating server 835 and requests the operating server to store the sound data as the reception of the sound data is determined 840 ). The operation server confirms 845 the sound data to be provided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confirmed sound data to the application 116 of th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 100 (850). The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the sound data, displays the received sound data in a designated display area on the screen interface (855), and determines whether to output the received sound data (860 ). If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is determined, the application 116 outputs the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865).

한편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방식으로 중계한다면,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N-1)명의 수신자 중에서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여 출력 가능한 n명의 실시간 수신자를 확인한다(870). 만약 단 한 명의 실시간 수신자도 확인되지 않는다면,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비실시간 방식으로 중계할 수 있다.
Meanwhile, if the sound data is relayed in a real-time manner, the operation server confirms 8 real-time receivers capable of receiving and outputting sound data in real time among the (N-1) receivers. If only one real time recipient is identified, the operating server can relay the sound data in a non-real time manner.

만약 상기 n명의 실시간 수신자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n명의 실시간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을 통해 각 무선단말(100)과 실시간 사운드 중계를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거나 또는 기 연결된 통신채널을 확인하고(875),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n명의 실시간 수신자 측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116)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송신하며(880),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여 사운드 출력부(105)를 통해 실시간 출력한다(885).
If the n real-time receivers are confirmed, the operation server connects a communication channel for real-time sound relay with each of the wireless terminals 100 through the applications 116 of the n real-time receiver-side wireless terminals 100, (880) and transmits (880) the sound data to an application (116) included in the n real-time receiver side wireless terminals (100) via the communication channel, Receives the sound data from the operating server in real time and outputs it in real tim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 (885).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이중 음성 채팅 전환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and providing a full-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 또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운영 서버에서 상기 도면3 내지 도면4에 도시된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또는 상기 도면5 내지 도면8에 도시된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 중의 어느 시점에 지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 전환 및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more detail,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116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1 or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shown in FIG. 3 to FIG. 4 in the operation server shown in FIG. Based half-duplex voice chat shown in FIG. 5 to FIG. 8, the half-duplex voice chat is converted into a full-duplex voice chat according to a policy designated at a certain point in time.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9 to simulat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full-duplex voice chat switching and provisioning process (e.g., omitting som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 It shall not be limited.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 또는 운영 서버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이 설정되며(900), 각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을 통한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됨에 따라, 문자 채팅과 함께 상기 도면3 내지 도면4에 도시된 터치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도면5 내지 도면8에 도시된 녹음 기반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9, an application 116 or an operation serv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sets (900) a policy for switch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nd the application 116 of each wireless terminal 100 ) To provide the touch-based half-duplex voice chat shown in FIGS. 3 to 4 together with the text chat, or to provide the recorded half-duplex voice chat shown in FIGS. 5 to 8 do.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이 제공되는 중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 또는 운영 서버는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수집하고, 상기 설정된 정책을 근거로 상기 수집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지 판단한다(905).
While the half-duplex voice chat is being provided, the application 116 or the operating serv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ollects a pattern of a text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And determines whether to convert a part or the whole of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905).

만약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한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 또는 운영 서버는 상기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 중인 N명의 참여자 중에서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1≤n≤N)명의 참여자를 선별한다(910).
If the half-duplex voice chat is switched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the application 116 or the operating serv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select n (n)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character chat or half- 1 &amp;le; n &amp;le; N) (910).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 또는 운영 서버는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것으로 선별된 한 명 이상의 참여자에게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915), 만약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 참여 요청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참여자가 지정된 시간 동인 1명 보다 적거나 같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 또는 운영 서버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할 수 있다(930).
The application 116 or the operational serv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request one or more participants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to participate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915) The application 116 or the operation serv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activate the half-duplex voice chat if the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esignated one.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 또는 운영 서버는 상기 n명의 참여자가 선별됨에 따라(910), 상기 선별된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고(920),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처리한다(925). 만약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한 n명의 참여자가 1명 보다 적거나 같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6) 또는 운영 서버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한다(930).
Meanwhile, the application 116 or the operation serv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ctivates the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selected n participants (step 920) A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n participating participants is processed (925). If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full-duplex voice chat are less than or equal to one, the application 116 or the operation serv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tivates half-duplex voice chat (930).

100 : 무선단말 116 : 애플리케이션
120 : 인터페이스 표시부 124 : 반이중 활성화부
128 : 데이터 처리부 132 : 터치 상태 판별부
136 : 사용 권한 관리부 140 : 사운드 녹음부
144 : 사운드 녹음 중지부 148 : 알림 처리부
152 : 음성 채팅 출력부 156 : 음성 채팅 관리부
160 : 동작 방식 설정부 164 : 녹음 모드 확인부
168 : 사운드 송신부 172 : 사운드 출력 절차부
176 : 사운드 관리부 180 : 정책 설정부
184 : 전환 판단부 188 : 참여자 선별부
192 : 전이중 활성화부 196 : 전이중 음성 채팅부
100: wireless terminal 116:
120: interface display section 124: half-duplex activation section
128: Data processing unit 132: Touch state determination unit
136: usage right management unit 140: sound recording unit
144: Sound recording stop section 148:
152: voice chat output unit 156: voice chat management unit
160: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64: Recording mode check unit
168: sound transmission unit 172: sound output procedure unit
176: sound management unit 180: policy setting unit
184: conversion determination unit 188: participant selection unit
192: full-duplex activation unit 196: full-duplex voice chatting unit

Claims (7)

터치 입력부와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 구비되어 N(N≥2)명의 참여자 간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이 설정되는 제1 단계;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이용한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되는 제2 단계;
상기 정책을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지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1≤n≤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선별된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
A method for converting a half-duplex voice chat, which is executed by a program displaying a chat interface between N (N? 2) participants,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nd a sound input unit,
A first step of setting a policy for switch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 second step of activating a half-duplex voice chat using the sound input unit;
A third step of analyzing a pattern of a character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among the N participants based on the policy to determine whether to convert a part or all of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 fourth step of selecting n (1? N? N)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 among the N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And activating a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selected n participants, and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into full-duplex voice chat.
터치 입력부와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에 구비되어 N(N≥2)명의 참여자 간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프로그램과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이 설정되는 제1 단계;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반이중 음성 채팅이 활성화되는 제2 단계;
상기 정책을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간 문자 채팅 또는 반이중 음성 채팅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지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N명의 참여자 중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될 n(1≤n≤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선별된 n명의 참여자 간 전이중 음성 채팅을 활성화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
A method for converting a half-duplex voice chat performed by a server, which is provided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nd a sound input unit, to a program communicating with a program displaying a chat interface between N (N? 2) participants,
A first step of setting a policy for switching a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 second step of activating a half-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N participants;
A third step of analyzing a pattern of a character chat or a half-duplex voice chat among the N participants based on the policy to determine whether to convert a part or all of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nd
A fourth step of selecting n (1? N? N) participants to be converted into full-duplex voice chat among the N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And activating a full-duplex voice chat between the selected n participants, and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into full-duplex voice cha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은,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이상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기준 횟수 미만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부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한 이력이 있는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부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하지 않은 (N-n)명의 참여자를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할 대상에서 배제하는 정책,
상기 반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는 N명의 참여자 중 적어도 한 명의 참여자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지정된 터치 영역을 터치한 결과를 근거로 n명의 참여자를 선별하여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정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policy for selecting n participants who have transmitted sound data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switch to full-duplex voice chat,
(Nn) participants who have transmitted sound data less than a specified reference numb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from a target to be converted into a full-duplex voice chat,
A policy for selecting n participants who have transmitted sound data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r longer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switch to full-duplex voice chat,
A policy that excludes (Nn) participants who have not transmitted sound data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r mor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a full-duplex voice chat,
A policy for switching n full-duplex voice chatting to select n participants having a history of touching a designated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Nn) participants who have not touched the designated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mong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Wherein at least one participant of the N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half-duplex voice chat selects at least one participant based on a result of touching a designated touch region of the touch input unit and switches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And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full-duplex voice c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지정된 터치 영역이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제2a-1 단계;
상기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a-2 단계;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는 중에 상기 터치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입력을 중지하고 상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채팅에 참여 중인 (N-1)명의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2a-3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a-1) checking whether the touch region designated by the touch input unit is kept touched;
(2a-2) receiving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when the touched state is maintained; And
If the touched state is canceled while receiving the sound data, the input of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is stopped and the stored sou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N-1)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2)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full-duplex voice c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지정된 터치 영역이 터치되어 사운드 데이터를 녹음하여 송신하는 녹음 모드가 설정되는지 확인하는 제2b-1 단계;
상기 녹음 모드가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녹음하는 제2b-2 단계; 및
상기 녹음 모드 상태에서 상기 프로그램의 설정 값을 근거로 실시간 녹음 중이거나 또는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수신자 중 지정된 수신자 측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2b-3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2b-1 step of confirming whether a recording mode for recording a sound data by touching a designated touch area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nd transmitting the sound data is set;
(2b-2) for real-time recording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when the recording mode is confirmed; And
And (2b-3) performing a procedure of transmitting sound data being recorded or recorded in real time based on the set value of the program in the record mode to a designated receiver of the (N-1) receiver And converting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full-duplex voice cha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n명의 참여자 측의 프로그램을 통해 전이중 음성 채팅에 참여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4-1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tep 4-1 of processing a message requesting participation of the full-duplex voice chatting through a program of the selected n participants on the side of the participant, to display the half-duplex voice chat to the full-duplex voice chat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중 음성 채팅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n-1)명의 참여자에게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음성 채팅을 전이중 음성 채팅으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ull-
Wherein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is transmitted to (n-1) participants in real time.
KR1020130028928A 2013-03-19 2013-03-19 Method for Converting from Half-Duplex Voice Chatt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KR201401154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928A KR20140115423A (en) 2013-03-19 2013-03-19 Method for Converting from Half-Duplex Voice Chatt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928A KR20140115423A (en) 2013-03-19 2013-03-19 Method for Converting from Half-Duplex Voice Chatt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423A true KR20140115423A (en) 2014-10-01

Family

ID=5198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928A KR20140115423A (en) 2013-03-19 2013-03-19 Method for Converting from Half-Duplex Voice Chatt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42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2315A (en) * 2020-07-28 2020-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Vo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KR20210074727A (en) 2019-12-12 2021-06-22 박승준 Backpack type baby carr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727A (en) 2019-12-12 2021-06-22 박승준 Backpack type baby carrier
CN112002315A (en) * 2020-07-28 2020-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Vo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CN112002315B (en) * 2020-07-28 2023-12-29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Vo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52904B (en) Network interaction method
KR101437565B1 (en) Messaging system for reliability of push message
CN112738559B (en) Screen projection implement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9257729A (en) Method for message transmission,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0581302C (en) Documents sharing method based on portable terminal
CN112738575A (en) Screen projection implement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7184785B2 (en) Method of activating a camera from a remote terminal
CN112738011A (en) Screen projection implement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525583B1 (en) Method for interaction between instant message server and SMS server, and System therefor
KR20140115423A (en) Method for Converting from Half-Duplex Voice Chatting to Full-Duplex Voice Chatting
KR1010539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MSP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345811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 control system
KR20140016701A (en) Method for chatting supported voice
KR201300122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ty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1245177B1 (en) Method for messeage receiving confirmation in mobile phone
KR201101085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16724A (en) Method for providing channel for exchanging sound
KR20070051107A (en) System and method of instant messaging service using zigbee
KR100761422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response messages selectively in mobile terminal
KR100675154B1 (en) Message receiver confirmation method of mobile station
KR101048826B1 (en) Text message auto respons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6034933B1 (en) Method for receiving and replying to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ssage by hands-free device
KR20090002347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push to talk protocol thereof
KR100687580B1 (en)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capable of confirming arrival information during absence
KR20060062547A (en)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ssage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