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414A - Remote sensing apparatus for call and anti-missing of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Remote sensing apparatus for call and anti-missing of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414A
KR20140115414A KR1020130028755A KR20130028755A KR20140115414A KR 20140115414 A KR20140115414 A KR 20140115414A KR 1020130028755 A KR1020130028755 A KR 1020130028755A KR 20130028755 A KR20130028755 A KR 20130028755A KR 20140115414 A KR20140115414 A KR 20140115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mobile device
alarm
detection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
최병도
Original Assignee
유니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8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414A/en
Publication of KR20140115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4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remote sensing device for receiving a call and preventing loss of a mobile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ncludes a dongl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mobile device and senses an incoming signal which the mobile device receives to wirelessly generate an incoming sensing signal; and an incoming alarm device which receives the incoming sensing signal to alarm a user of receiving on the mobile device.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REMOTE SENSING APPARATUS FOR CALL AND ANTI-MISSING OF MOBILE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sensing apparatus and a remote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최근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급속도로 보급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빠른 의사전달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항상 손에 들고다니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므로 모바일 기기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를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모바일 기기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 전화가 왔는지를 인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아서 항상 신경을 써야 하는 심적인 부담감을 가졌다.
Recently, a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re rapidly spreading,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quickly anytime, anywhere. However, since it is very inconvenient to carry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t all times, mobile device users frequently carry the mobile device in a bag or a pocket.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t was not easy to do, so I always had the burden of care.

특히 사용자가 시끄러운 장소, 예를 들어 지하철 등과 같은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더욱 모바일 기기에 전화가 왔는지를 인식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서 중요한 전화 또는 급한 전화인데도 받지를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Especially when the user is in a noisy place, such as a subway or the like, it is more difficult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mobile device is called. Because of this, it is often the case that you can not receive an important or urgent call.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83806호(공개일: 2001년 09월 03일)가 있다.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1-0083806 (published on Sep. 03, 2001).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직접 소지하지 않아도 모바일 기기에 전화가 온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가 제안된다.
A remote sensing device for incoming and lost mobile devices is proposed, which notifies a user of a phone call to the mobile device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possess the mobile device.

또한 모바일 기기의 분실을 방지하는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가 제안된다.
In addition, an incoming and a lost remote sensing device of a mobile device to prevent the loss of the mobile device is proposed.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는, 모바일 기기에 탈부착 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에 수신되는 착신신호를 감지하여 착신감지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하는 동글(dongle); 과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신이 되었음을 알람(alarm)하는 착신 알람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 incoming and a lost mobile of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dong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and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device to wirelessly generate an incoming detection signal; And an incoming alarming unit for receiving the incoming call detection signal and alarming the user that the incoming call has been received to the mobile device.

상기 동글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이어폰 잭(earphone jack)에 삽입되는 이어폰 플러그(earphone plug); 상기 이어폰 플러그를 통해서 상기 착신신호 수신시 발생하는 상기 이어폰 잭의 전압변동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이어폰 잭의 전압변동에 따라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동글 제어부; 및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착신 알람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ngle includes an earphone plug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A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voltage variation of the earphone jack when receiving the incoming signal through the earphone plug; A dongle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incom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voltage variation of the earphone jack;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all detection signal to the called alarming device by radio.

상기 착신 알람기는,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알람 신호로 변환하는 알람 제어부; 및 상기 알람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신이 되었음을 알람하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alled alarming unit compris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ncoming detection signal; An alarm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incoming call detection signal into an alarm signal; And an alarm unit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상기 동글 제어부는, 일정 주기마다 분실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신부를 통해서 무선으로 상기 착신 알람기로 전송하며, 상기 알람 제어부는, 상기 분실감지신호가 일정주기 동안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분실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상기 모바일 기기의 분실을 알람할 수 있다.Wherein the dongle control unit generates a loss detection signal at regular intervals and transmits the loss detection signal to the incoming alarming unit via the transmission unit wirelessly, and the alarm control unit, when the loss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at the receiving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So that the user can be notified of the loss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alarm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직접 소지하지 않아도 모바일 기기에 전화가 온 것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mobile phone is brought into the mobile device even if the user does not carry the mobile device directly.

또한 모바일 기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알람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coming and a lost remote sensing devic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o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alarm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regions and / or regio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Do. These terms do not imply any particular order, top, bottom, or top row,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region, or region from another member, region, or region. Thus, the first member, region or reg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region or reg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s,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shape shown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any particular shape of the regions illustrated herein, including, for example, variations in shape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coming and a lost remote sensing devic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100)는 동글(dongle)(10)과 착신 알람기(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100 for detecting an incoming and a lost mobil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ngle 10 and a called alarm device 30.

동글(10)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20)에 탈부착되며 모바일 기기(20)에 수신되는 착신신호를 감지하여 착신감지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한다. 이때 동글(10)은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연결하는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이며, 최근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지원하지 않은 통신방식을 지원해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가 블루투스(Bluetooth)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동글은 모바일 기기가 블루투스를 이용가능하게 해준다. 그리고 착신신호는 기지국으로부터 모바일 기기로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신호를 나타낸다.The dongle 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20 such as a smart phone and detects the incoming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device 20 to wirelessly generate the incoming detection signal. At this time, the dongle 10 is a small-sized hardware that connects to a terminal such as a computer, a smart phone, and the like, and is recently used to support a communication method not supported by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For example, if the mobile device does not support Bluetooth, the dongle enables the mobile device to use Bluetooth. And the incoming signal indic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a call has been made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device.

착신 알람기(30)는 동글(10)에서 발생된 착신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모바일 기기(20)에 착신이 되었음을 알람(alarm)한다. 이때 알람은 진동, 소리 또는 발광 등이 별개로 이루어지거나, 진동, 소리 및 발광 중 적어도 둘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이뤄질 수 있다.
The incoming alarm device 30 receives the incoming detection signal generated in the dongle 10 and alerts the user to the fact that the mobile device 20 has been received. At this time, the alarm may be made such that vibration, sound, or light emission is separately performed, or at least two of vibration, sound, and light emission occur at the same tim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글의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o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글(10)은 이어폰 플러그(11), 신호 감지부(12), 동글 제어부(13), 송신부 및 전원부(15)를 포함한다.2, a dong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arphone plug 11, a signal sensing unit 12, a dongle control unit 13, a transmission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15.

전원부(15)는 신호 감지부(12), 동글 제어부(13) 및 송신부(14) 각각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의 이동을 고려하여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5 supplies operating power to each of the signal sensing unit 12, the dongle control unit 13, and the transmission unit 14, and may be a battery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user.

이어폰 플러그(11)는 모바일 기기(20)에 장착된 이어폰 잭(21)에 삽입되거나 이어폰 잭(21)으로부터 삽입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어폰 잭(21)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The earphone plug 11 can be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21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20 or can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earphone jack 21. The earphone jack 21 is shown in FIG.

신호 감지부(12)는 이어폰 플러그(11)를 통해서 착신신호 수신시 발생하는 이어폰 잭(21)에서의 전압변동을 감지한다. 모바일 기기(20)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어폰 잭(21)에서는 전압변동이 발생하는데, 신호 감지부(12)는 이어폰 잭(21)에 삽입된 이어폰 플러그(11)를 통해서 이어폰 잭(21)에서의 전압변동을 감지하게 된다. The signal sensing unit 12 senses a voltage change in the earphone jack 21, which is generated when an incom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earphone plug 11. [ A voltage fluctuation occurs in the earphone jack 21 when the receiving signal is received in the mobile device 20. The signal detecting unit 12 detects the earphone jack 21 through the earphone plug 11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21, The voltage fluctuation at the time of the start of the operation is detected.

동글 제어부(13)는 이어폰 잭(21)에서의 전압변동이 상기 이어폰 플러그(11)를 통해서 감지됨에 따라 착신감지신호를 발생한다.The dongle control unit 13 generates a reception detection signal as a voltage change in the earphone jack 21 is detected through the earphone plug 11.

송신부(14)는 동글 제어부(13)에서 발생한 착신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착신 알람기(30)로 전송한다. 이때 송신부(14)는 착신감지신호를 증폭해서 착신 알람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14 wirelessly transmits the recept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in the dongle control unit 13 to the alarm receiver 30.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unit 14 can amplify the incoming call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incoming alarm unit 30.

나아가, 동글 제어부(13)는, 일정 주기마다 분실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송신부(14)를 통해서 무선으로 착신 알람기(30)로 전송한다.
Further, the dongle control unit 13 generates a loss detection signal at regular intervals and transmits the lost detection signal to the incoming alarm device 30 via the transmission unit 14 wirelessly.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동글(20)은 이어폰 플러그(11)를 통해서 모바일 기기(20)에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발생하는 이어폰 잭(21)의 전압변동을 감지하여, 모바일 기기(20)에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감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글이라는 하드웨어로 한정하여 설명되었으나 상기 동글(20)과 같이 이어폰 플러그(11)를 가진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20)의 이어폰 잭(21)에서 발생하는 전압변동을 통해서 모바일 기기(20)에서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감지하는 구조라면 하드웨어 명칭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ongle 20 shown in FIG. 2 detects a voltage change of the earphone jack 21, which is generated when an incoming signal is received at the mobile device 20 through the earphone plug 11, And detects that an incoming signal is received in the terminal 20. The earphone jack 21 of the mobile device 20 can be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earphone jack 11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21 through the mobile phone 20, If it is a structure that detects that a recep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vice 20, it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hardware nam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알람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n alarm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알람기(30)는 수신부(31), 알람 제어부(32), 알람부(33) 및 전원부(34)를 포함한다.3, an incoming alarm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31, an alarm control unit 32, an alarm unit 33, and a power source unit 34.

전원부(34)는 수신부(31), 알람 제어부(32), 알람부(33)에 각각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34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receiving unit 31, the alarm control unit 32 and the alarm unit 33. The power supply unit 34 may be a battery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move easily.

수신부(31)는 동글(10)에서 발생한 착신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부(31)는 착신감지신호를 증폭해서 알람 제어부(32)에 전송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31 receives the recept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in the dongle 10. At this time, the receiving unit 31 can amplify the incoming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alarm control unit 32.

알람 제어부(32)는 수신부(31)에서 수신된 착신감지신호를 알람 신호로 변환한다. The alarm control unit 32 converts the incoming det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31 into an alarm signal.

알람부(33)는 상기 알람 신호에 따라 모바일 기기(20)에 착신이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람한다. 상기 알람은 진동, 소리 또는 발광 등이 별개로 이루어지거나, 진동, 소리 및 발광 중 적어도 둘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이뤄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알람부(33)는 진동소자(예로, 진동모터), 스피커 및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alarm unit 33 alerts the user that an incoming call has been received to the mobile device 20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The alarm may be made to be vibration, sound, or light emission separately, or at least two of vibration, sound, and light emission may occur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the alarm unit 33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vibrating element (e.g., a vibration motor), a speaker, and an LED.

나아가, 알람 제어부(32)는, 동글(10)로부터 분실감지신호가 일정주기 동안 수신부(31)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분실알람신호를 발생하여 알람부(33)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모바일 기기(20)의 분실을 알람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alarm control unit 32 generates a lost alarm signal when the loss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dongle 1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receiving unit 31 and transmits the lost alarm signal to the user through the alarm unit 33, Is lost. Accordingly, the user can prevent the mobile device 20 from being los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 동글 11 : 이어폰 플러그
12 : 신호 감지부 13 : 동글 제어부
14 : 송신부 15 : 전원부
20 : 모바일 기기 21 : 이어폰 잭
30 : 착신 알람기 31 : 수신부
32 : 알람 제어부 33 : 알람부
34 : 전원부 100 :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
10: Dongle 11: Earphone plug
12: signal detecting unit 13: dongle control unit
14: Transmission unit 15: Power supply unit
20: Mobile device 21: Earphone jack
30: incoming call alarm device 31:
32: alarm control unit 33: alarm unit
34: Power supply unit 100: Remote sensing device for incoming and lost mobile devices

Claims (4)

모바일 기기에 탈부착 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에 수신되는 착신신호를 감지하여 착신감지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하는 동글(dongle); 과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신이 되었음을 알람(alarm)하는 착신 알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
A dong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and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device and wirelessly generating an incoming detection signal; and
And an incoming alarm device for receiving the incoming call detection signal and alarming the user that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device has been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글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이어폰 잭(earphone jack)에 삽입되는 이어폰 플러그(earphone plug);
상기 이어폰 플러그를 통해서 상기 착신신호 수신시 발생하는 상기 이어폰 잭의 전압변동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이어폰 잭의 전압변동에 따라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동글 제어부; 및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착신 알람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ngle includes:
An earphone plug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A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voltage variation of the earphone jack when receiving the incoming signal through the earphone plug;
A dongle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incom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voltage variation of the earphone jack; And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incoming call detection signal to the incoming alarming device by radio.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착신 알람기는,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착신감지신호를 알람 신호로 변환하는 알람 제어부; 및
상기 알람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신이 되었음을 알람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alled alarming device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ncoming detection signal;
An alarm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incoming call detection signal into an alarm signal; And
And an alarm unit for alerting the user that an incoming call has been received to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글 제어부는, 일정 주기마다 분실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신부를 통해서 무선으로 상기 착신 알람기로 전송하며,
상기 알람 제어부는, 상기 분실감지신호가 일정주기 동안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분실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상기 모바일 기기의 분실을 알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ongle control unit generates a loss detection signal at regular intervals and transmits the loss detection signal to the incoming alarming device via the transmission unit.
Wherein the alarm control unit generates a lost alarm signal when the loss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lerts the user of the loss of the mobile equipment through the alarm unit. Remote sensing device.
KR1020130028755A 2013-03-18 2013-03-18 Remote sensing apparatus for call and anti-missing of mobile device KR201401154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55A KR20140115414A (en) 2013-03-18 2013-03-18 Remote sensing apparatus for call and anti-missing of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755A KR20140115414A (en) 2013-03-18 2013-03-18 Remote sensing apparatus for call and anti-missing of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414A true KR20140115414A (en) 2014-10-01

Family

ID=5198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755A KR20140115414A (en) 2013-03-18 2013-03-18 Remote sensing apparatus for call and anti-missing of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41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1615A (en) * 2019-12-27 2020-05-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reminding portable equipment of preventing lo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1615A (en) * 2019-12-27 2020-05-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reminding portable equipment of preventing lo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9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modulation transmitting of audio signal
RU2016100440A (en) DETERMINATION OF REMOTE DEVICES INTERACTING WITH MEDIA DEVICES
JP522438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EP2911374A3 (en) Wireless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3858579U (en) System for controlling intelligent terminal to enter silent mode
US20140167957A1 (en) Locator system,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locator
CN110944315A (en)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Bluetooth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888560A (en) Mobile phone protection shell and mobile phone with same
US20020164975A1 (en) Wireless message infoming system
US20160112988A1 (en) Method for indicating alarm by portable terminal and accessory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the same
CN103107832A (en) Sub-terminal, parent-terminal and state-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JP2009213036A (en) Article loss prevention and location detection system
US201201279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arning information, and security monitoring system
KR20130084743A (en) 2-way equipment and method to prevent losing the things
US20120169502A1 (en) Electronic baby monitoring device
WO2014002541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KR20120020805A (en) Searching system for position of a credit card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of a personaliz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276989B1 (en) A method for alarming using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tag and an alarm system using it
KR20140115414A (en) Remote sensing apparatus for call and anti-missing of mobile device
US8253593B2 (en) Traffic ligh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5025169A (en) Mobile handheld device and reminding method thereof
WO201318747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osition confirmation method, position confirmation program, and position confirmation system
KR20110025427A (en) Loss alarm device for wireless terminal
US20100109870A1 (en)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nti-theft method thereof
KR101521905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location of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