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321A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321A
KR20140112321A KR1020130026941A KR20130026941A KR20140112321A KR 20140112321 A KR20140112321 A KR 20140112321A KR 1020130026941 A KR1020130026941 A KR 1020130026941A KR 20130026941 A KR20130026941 A KR 20130026941A KR 20140112321 A KR20140112321 A KR 20140112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ule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321A/en
Publication of KR2014011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3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long and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for another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long range communication module; determining whether another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f another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preset range.

Description

모바일 단말,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그를 기록한 기록매체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원거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 또는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그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location information or communication connection to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통신 기술과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하나의 장치에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적용한 모바일 단말이 제공되고 있다.A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electronic technologies are developed, communication in various mobile environments is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pplied to one device is provided.

그러나, 종래의 경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경우에도 특정 무선 통신 모듈만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 간의 연결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들은 3G 등의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서만 서로 무선 연결을 수행할 뿐, 그 외의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호간의 무선 연결을 이용하지 못하였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even when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re provided, connec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is provided using only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mobile terminals only perform wireless connection with each other only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and can not use mutual wireless connection by using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하기의 특허문헌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속도들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무선중계기의 기지국 방향 탐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2는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rat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base station direction detection technique for a wireless repeater. However,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 and 2 fail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1581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1581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6448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6448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호간의 인증을 수행하고, 소정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그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mutual authentication using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terminal is recorded.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원거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된다.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자신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만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first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first position information for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using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other mobile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if it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ttempt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 정보 서버에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cquiring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request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by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a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server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 ≪ / RTI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질의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quir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requesting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query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telecommunication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자신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과 상기 타 모바일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ncludes the steps of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for seco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itself and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지리 정보와 연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기록매체를 제안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무선 통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원거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자신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기능 및 만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A second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i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recorded. The program may be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The program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acquiring first position information on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other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its position And a function of attempt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본 발명의 제3 기술적인 측면은 모바일 단말을 제안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원거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만일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자신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hird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If the loca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is within a preset range, And a controller for attempting wireless connection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정보 저장모듈,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 정보 서버에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관리모듈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ther mobile terminal, and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a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server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for request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ther mobile terminal exists within the preset range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 관리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that connect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that the other mobile terminal exist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ntrol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to generat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mobi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정보 관리모듈은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자신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btains second location information for itself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transmit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ther mobile terminal exists within the preset range b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지리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us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to determine a loca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The display unit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호간의 인증을 수행하고 소정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무선 통신을 연결함으로써,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단말 간의 근거리 무선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그러한 연결을 수행함에 있어서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tu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a predetermined requirement is satisfied,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make a wireless connection and to ensure security in performing such a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of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개시된 기술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disclosed technique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that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원거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모바일 단말(100)은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호간에 직접 무선 통신을 연결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원거리 통신 방식은 2G, 3G, 4G 등의 통신 방식으로 소정의 매개(예컨대, 기지국)을 거쳐서 모바일 단말이 서로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을 통칭하고, 근거리 통신 방식은 모바일 단말 상호간 peer-to-peer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칭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mmunicate wirelessly with each other via a base station in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e. Or the mobile terminal 100 can directly connec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nner. Here,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refers to a communication method by which mobile terminals can establis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a predetermined medium (e.g., a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2G, 3G, or 4G, Peer-to-peer refers to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that can connect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기지국은 후술할 위치 정보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모바일 단말(100) 및 위치 정보 서버(2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of FIG. 2. Referring to FIG.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표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In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130.

통신부(110)는 원거리 통신 모듈(11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포함한다. 원거리 통신 모듈(11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서로 상이한 안테나, 주파수 또는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복수의 통신 모듈들의 집합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112)에는 지그비, 블루투스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111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1 and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use different antennas, frequencies, or communication methods. In one embodiment,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be a collection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For example, on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ZigBee, Bluetooth, and WiFi.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other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원거리 통신 모듈(111)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타 모바일 단말이 자신(모바일 단말)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제어부(12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무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범위는, 근거리 통신 모듈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근거리 통신 모듈의 한계 통신 거리를 상기 기 설정된 범위로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현재 동작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112)의 종류를 확인하여,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가변적으로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20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111. If the other mobile terminal is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itself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ler 120 may attempt to establish a wireless connection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2. Here, the predetermined rang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the limit communication distance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set as the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0 may check the type of the currently activ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may variably set or change the predetermined range.

이러한 실시예는, 서로 다른 모바일 단말들이 서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면,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쌍방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거리 통신 방식의 경우 과금이 요구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 방식은 peer-to-peer 방식으로 직접 연결되므로 통신 연결에 과금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는 인접한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특정한 이벤트를 발생 시키지 않아도 무과금의 통신 방식을 자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when different mobile terminals exist within a range in which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mobile terminals can automatically perform a connection us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since the local communication schem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eer-to-peer sche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not required, while the charging of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use the no-charge communication method without generating an event.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은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호 인증은 타 모바일 단말에 당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의 제공을 허락하는 소정의 인증 절차로서, 후술할 위치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2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on the display unit 130. [ 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may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Here, the mutual authentication is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allowing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an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표시부(130)는 지리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되는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the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That is,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t least one of a position, a distance, and a direc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20.

도 3을 더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위치정보 관리모듈(121), 단말정보 저장모듈(122), 제어모듈(123) 및 근거리통신 관리모듈(124)를 포함한다. 3,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21, a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module 122, a control module 123, and a local area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124.

단말정보 저장모듈(122)은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module 122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ther mobile terminals.

위치정보 관리모듈(121)은 원거리 통신 모듈(111)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서버(도 1의 200)에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21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of FIG. 1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111 and requests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

일 실시예에서, 위치정보 관리모듈(121)은 원거리 통신 모듈(111)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자신(당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21 may use the telecommunications module 111 to obtain second location information for itself (per mobile terminal)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제어모듈(123)은 위치정보 관리모듈(121)에 의하여 획득된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면, 제어모듈(123)은 근거리 통신 관리모듈(124)을 제어하여 타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23 can determine whether another mobile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21. [ If it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 module 123 can contro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124 to generat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23)은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서버에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23)은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직접 제1 위치 정보를 질의하여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3 may use the telecommunication module to obtai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by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ther mobile terminal.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3 may use the telecommunication module to query the other mobile terminal directly fo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o obtai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23)은 위치정보 관리모듈(121)에서 획득된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3 us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21 to determine whether another mobile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23)은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지리 정보를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3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distance, and direc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23)은 단말정보 저장모듈(122)에 저장되는 타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제어모듈(123)은 타 모바일 단말에 해당 타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식별 정보를 단말정보 저장모듈(122)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3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stor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module 122. The control module 123 can request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reque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and store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module 122 in response to the request.

근거리 통신 관리모듈(124)는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근거리 통신 관리모듈(124)는 타 모바일 단말과 peer-to-peer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어떠한 매개 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호간에 직접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124 can establis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2. Her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124 may conne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mobile terminals in a peer-to-peer manner. That is,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passing through any intermediate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위치 정보 서버(200)가 기지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위치 정보 서버(200)는 단지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 한정만을 가질 뿐, 구체적인 위치, 접속 경로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is shown as being located in the base st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only has a limitation that it is accessible only by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and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 specific location, a connection path, and the like.

위치 정보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요청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 또는 타 모바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can confir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other mobile terminal upon request.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위치 검출부(2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 서버(200)는 인증정보 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and 4, the position information server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nd a position detection unit 230. In one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40.

통신부(210)는 원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10)과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10 using a remote communication method.

제어부(220)는 위치 정보 서버(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may control other component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server 20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해당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위치 검출부(230)를 이용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해당 모바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220 check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location detector 230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일 실시예서, 제어부(220)는 모바일 단말간의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모바일 단말 A와 모바일 단말 B가 서로의 위치를 상호 제공하는 것에 동의하는지를 확인한 후, 만일 쌍방이 모두 동의하면 '모바일 단말 A-모바일 단말 B'를 상호 인증한 단말로서 인증정보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20 may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For example, after checking that the mobile terminal A and the mobile terminal B agree to mutually provide their mutual positions, if the two parties agree, the control unit 220 transmits the 'mobile terminal A-mobile terminal B'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40 as shown in FIG.

위치 검출부(230)는 특정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230)는 기지국과 모바일 단말의 삼각 측량방식,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LBS(Local Based Service)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 측량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30 can confirm the position of a specific mobile terminal.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30 may use at least one of various position measurement techniques such as a triangulation method of a base station and a mobile terminal,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a Local Based Service (LBS).

인증정보 저장부(240)는 상호 인증을 이룬 모바일 단말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40 may sto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mobile terminals that have performed mutual authentic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할 무선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므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내용은 이하에서 중복적으로 서술하지 아니한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refore,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tents as the above contents will not be repeatedly described below.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은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0).Referring to FIG. 5, the mobile terminal can acquir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for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S510).

이후, 모바일 단말은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이 자신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520).Then,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other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its own position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S520).

만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S530, 예),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과 무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540).If it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S530, YES), the mobile terminal can attempt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S540).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은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지리 정보와 연관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may us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단계 S51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은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서버에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step S510,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request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by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using the telecommunication module.

단계 S51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은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제1 위치 정보를 질의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o step S510,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the step of requesting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query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단계 S5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은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자신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모바일 단말은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과 타 모바일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step S520, the mobile terminal may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for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itself using the telecommunications module. Upon obtain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can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itself and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모바일 단말
110 : 통신부
111 : 원거리 통신 모듈
112 : 근거리 통신 모듈
120 : 제어부
121 : 위치정보 관리모듈
122 : 단말정보 저장모듈
123 : 제어모듈
124 : 근거리통신 관리모듈
130 : 표시부
200 : 위치 정보 서버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230 : 위치 검출부
240 : 인증정보 저장부
100: mobile terminal
110:
111: Telecommunications module
112: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120:
121: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22: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module
123: Control module
124: Local area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130:
200: Location information server
210:
220:
230:
240: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Claims (11)

원거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자신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만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과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Using the telecommunication module to obtain first location information for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other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its location; And
Attempt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 정보 서버에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btain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comprises:
Request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by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a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server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질의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btain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comprises:
And requesting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query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자신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과 상기 타 모바일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claim 3,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within the preset range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for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itself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itself and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지리 정보와 연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무선 통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원거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서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자신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기능; 및
만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There is provide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recorded, the program being a program that can be run on a mobile terminal having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Acquir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for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telecommunication module;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other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its own position using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And
A function of attempt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 RTI >
원거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만일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자신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ler for checking a location of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attempting a wireless connection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if the other mobile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other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정보 저장모듈;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 정보 서버에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관리모듈;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ther mobile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other mobile terminal to a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server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to request firs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ther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that us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other mobile terminal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nd a mobil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 관리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 관리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d controls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to generat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mobile terminal if the other mobile terminal is within the preset ran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관리모듈은
상기 원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자신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Acquir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itself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module includes:
Wherein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other mobile terminal exist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지리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모바일 단말의 위치,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bile terminal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t least one of a position, a distance, and a direction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using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KR1020130026941A 2013-03-13 2013-03-13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401123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41A KR20140112321A (en) 2013-03-13 2013-03-13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41A KR20140112321A (en) 2013-03-13 2013-03-13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321A true KR20140112321A (en) 2014-09-23

Family

ID=5175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941A KR20140112321A (en) 2013-03-13 2013-03-13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3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3311A (en) * 2017-03-09 2018-09-25 株式会社日立大厦系统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positional information manag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3311A (en) * 2017-03-09 2018-09-25 株式会社日立大厦系统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positional information manag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83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flight inform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device
KR1019509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KR102209523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sitiong method thereof
EP3582560B1 (en) Position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KR20160046340A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channel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60192151A1 (en) Mobile device tracking with peer-to-peer mobile device network
CN103069778B (en) For method, mobile device and the system of locating
CN103957594A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terminal
CN110166942B (en) Navigation method, server and user terminal
US10321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KR101699972B1 (en) Mobile terminal, internet control server and method for guiding wiless internet zone
KR101810687B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KR1018146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US20170299688A1 (en) Beacon transmitting device and beacon transmitting method
US202200467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Wireless Connection Management
JP2014529391A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EP4118849A1 (en) Passive asset tracking using observations of wi-fi access points
US201300889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verage of wireless transceiver
KR20140129567A (en) Wireless position recognition system For Vehicles
KR20140112321A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70023597A (en)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group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TWI549541B (en) Message passing method
TW202135546A (en) Passive asset tracking using observations of wi-fi access points
KR101699982B1 (en) Mobile terminal for identifying various location and method thereof, base station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location of moh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11251308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ock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