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436A -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436A
KR20140108436A KR1020130021419A KR20130021419A KR20140108436A KR 20140108436 A KR20140108436 A KR 20140108436A KR 1020130021419 A KR1020130021419 A KR 1020130021419A KR 20130021419 A KR20130021419 A KR 20130021419A KR 20140108436 A KR20140108436 A KR 2014010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atar
user
augmented reality
social network
networ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멀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멀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멀틱스
Priority to KR102013002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436A/en
Publication of KR2014010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4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a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a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can form a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a real space and allow a user avatar in the real space and a user avatar in the virtual space to perform an exercise game and communication together on the same screen. The system for a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rver having a virtual space information database corresponding to a real space; a user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unit and a display unit, check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user existing in the real space,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exercise equipment having a display means, capable of transceiving data with the server, and used for users existing in spaces other than the real space, wherei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avatars of the currently connected users on an image of the real spac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and the display means of the exercise equipment displays the avatars of the currently connected users on an image of the virtual space provided from the server.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and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재 공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가상공간을 형성하고, 실재 공간상의 사용자 아바타와 가상공간 상의 사용자 아바타가 동일 화면 상에서 함께 운동 게임 및 커뮤니케이션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and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orts game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 which a virtual space formed to correspond to a real space is formed and a user avatar on the real space and a user avatar on the virtual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and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ports games and communication together on the Internet.

최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임의의 사용자가 자신의 현 위치를 알고 싶을 때,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 즉, 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 위치 정보를 요구했을 경우,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기본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 최근 소개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various services and additional func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resented by a smart phone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and various service systems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o user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when an arbitrary user desires to know his / her current location, when he / she requests information on his / her location, that i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Recently, a system for providing basic location information about terminals has been introduced.

이러한 위치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술의 하나로써, 종래에는 증강현실 분야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위치 측정 장치(global position system, GPS)와 자이로(GYRO)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난 후 씨-쓰루(see-through)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실사와 함께 부가 정보를 정합하여 제공하는 기술이 있었다. 이러한 기술은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영상 표현이나 정보 제공을 위하여 최근 실세계와 컴퓨터로 생성한 사이버 세계를 혼합하여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며, 이러한 기술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이라고 한다.As a technique for providing such position information, conventionally, in the field of augmented reality, the position of a user is detected using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and a gyro (GYRO), and then a see-through ) There has been a technique of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to provide users with actual information and matching additional information. This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more useful information by mixing the real world and the cyber world created by the compute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image representation or information that is impossible in the real world. Such technology is called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상세히 설명하면, 증강현실 기술이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로서 실세계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하는데, 이때 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을 배제하고 오직 미리 구축해 놓은 가상공간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가상현실 기술과는 달리, 실시간 처리를 바탕으로 미리 구축된 실세계 정보(이를 '증강정보'라 함)가 특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로 관찰되는 실세계의 영상에 겹쳐서 표현되고, 실제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실세계 관찰 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편리한 상황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Specificall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refers to a technique derived from virtual reality technology, which improves awareness of the real world.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ality technique is a technology that excludes interaction with the real world, Unlike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at processes the action, the real-world information (referred to as augmentation information) that is constructed in advance based on the real-time processing is superimposed on the real-world image actually observed through the special interface, So that the observer can make quick and convenient situation judgment on the real world observation area.

그리고 이와 같은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보다 발전된 증강현실 기술 및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A variety of service providing technologies such as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the advance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described below are being continuously developed.

본 발명에서는 증강현실 기술과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현실의 사용자들과 가상공간 상의 사용자들이 함께 운동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idea for allowing users in real space and users in virtual space to enjoy a sports game together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technology.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3535호(발명의 명칭: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Korean Patent No. 10-1193535 (entitled &quot;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quot;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24073호(발명의 명칭: 객체 리스트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24073 (entitled &quo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Object Lis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0459호(발명의 명칭: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및 증강현실 구현 방법)Korean Patent No. 10-1180459 (Name of the invention: Augmented Reality Realization System using Smartphone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Augmented Reality)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14665호(발명의 명칭: 위치 기반 서비스와 증강현실을 결합한 여행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14665 (entitled &quot; Traveling Game System and Method Combining Location-Based Services and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실재 공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가상공간을 형성하고, 실재 공간상의 사용자 아바타와 가상공간 상의 사용자 아바타가 동일 화면 상에서 함께 운동 게임 및 커뮤니케이션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 which a user avatar on a real space and a user avatar on a virtual space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play sports and communicate together on the same screen, And method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재 공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가상공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 촬영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재 공간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파악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실재 공간 이외의 공간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위한 운동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상기 실재 공간의 영상 상에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아바타를 표출하며, 상기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가상공간의 영상 상에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아바타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comprising: a server having a virtual space information database formed to correspond to a real space; A user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grasp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existing on the real space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a display device, and a fitness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erver, the user device being present in a space other than the real space, wherein the display part of the user terminal comprises: Wherein the display means of the exercise device displays avatars of users currently connected on the image of the virtual space provided from the server, A sports network game system using a social network.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고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아바타를 렌더링하기 위한 3D 그래픽 엔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GPS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방향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향성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d acquiring a real-time image; A 3D graphics engine for rendering an avatar; A GPS module for obtain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directional module for obtain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 수단은, 화면상에 표출되는 아바타에 대해 대화, 인사를 포함하는 정보의 입력이나 친구 추가, 친구 조회 및 친구 삭제를 위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unit of the exercise machine are provided with a touch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including conversation, greetings, adding a friend, displaying a friend, It may be desirable to have a screen panel.

또한, 상기 아바타는, 사용자 본인의 아바타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3D 이미지로 표현되고, 상기 일정 거리를 벗어날 경우 성별 인식이 가능한 2D 이미지로 표현되며, 사용자가 특정 아바타에 대해 세부 사용자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아바타에는 닉네임이 표시되며, 상기 일정 거리를 벗어난 아바타의 경우 사용자 본인 아바타와의 이격 거리 정보가 표출될 수 있다.The avatar is represented by a 3D image when the avatar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s avatar. When the avatar is ou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avatar is represented by a 2D image recognizable by the gender. Lt; / RTI &gt; Further, the nickname may be displayed on the avata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avatar outside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방법을 제공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applied to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재 공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가상공간 상에서, 실재 공간상의 사용자 아바타와 이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상의 사용자 아바타가 동일 화면을 통해 함께 운동을 즐기는 것은 물론 간단한 커뮤니케이션도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게임을 즐기는 심정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운동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avatar on the real space and the user avatar on the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al space can enjoy the exercise together with the same screen, , The user can exercise with the feeling of enjoying the game, and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exercis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의 실제 구현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1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the augmented reality of FIG. 1;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actual implementation screen of a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s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및/또는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being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 adjacent "or " adjac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or" having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1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ach component;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은, 서버(110), 사용자 단말기(120) 및 운동기구(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1 and 2,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110, a user terminal 120, a fitness device 130, and the like. Able to know.

서버(110)는 실재 공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가상공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실재 공간에서 운동을 하는 사용자와 상기 가상공간을 배경 삼아 트래드밀 등의 실내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조깅이나 산책, 트래킹 또는 사이클 등의 운동이 가능한 지형에 대하여 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가상공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실제 지형에서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와 별도의 공간에서 상기 가상공간을 배경 삼아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이 상기 서버(110)를 통해 인사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rver 110 has a virtual space information databas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real space, and has a function of connecting a user who performs a movement in the real space and a user who performs an indoor movement such as a treadmill . In other words, the virtual space information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terrain capable of jogging, walking, tracking, or cycling is stored, and the virtual space is moved in a space separate from the user performing the motion in the actual terrain, Users can exchange greetings and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110. [

사용자 단말기(120)는 통상의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촬영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재 공간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파악 및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user terminal 120 may be implemented as a conventional smart phone or the like, and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and a display unit. The user terminal 120 gras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existing on the real space and transmits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10 And the like.

즉, 사용자 단말기(120)는 실제 공간에서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구비하게 되는데, 가령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기(120)를 구비한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경우, 카메라가 작동되어 현재 지형 공간에 대한 촬영이 시작됨과 동시에 실제 해당 공간에서 운동을 수행중인 타 사용자들이나 또는 해당 공간에 대한 가상공간을 배경 삼아 운동을 수행중인 타 사용자들의 정보를 아바타 영상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해준다.That is, the user terminal 120 is provided with a user who performs a motion in an actual space. For example, when a user having a user terminal 120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drive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The photographing of the space is start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formation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the motion in the actual space or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the motion based on the virtual space of the space is displayed through the avatar image or the like.

또한 운동기구(13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1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재 공간 이외의 공간에 존재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서버(110)로부터 전송받은 가상공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운동기구(13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혼자 운동을 수행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의 해당 공간에서 운동을 수행중인 사용자들이나 또는 타 공간에서 해당 서버(110)에 접속하여 운동을 수행중인 사용자들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만날 수 있으며, 흡사 함께 운동을 즐기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In addition, the exercise device 130 includes display means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110. The exercise device 130 may store virtual sp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10 to a user existing in a space other than the real space And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through the display means.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using the exercise device 130 performs the exercise alone in the room, the user who is performing the exercise in the actual space or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110 in another space and performs the exercise Through the display means with the users who are in the same position, and to feel like enjoying the exercise together.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가,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고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아바타를 렌더링하기 위한 3D 그래픽 엔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GPS 모듈, 상기 사용자의 X/Y/Z축 방향성 및 동서남북 방향성을 획득하도록 하는 방향성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음은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d acquiring a real-time image, a 3D graphics engine for rendering an avatar, a GPS module for acquir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Directional module for acquiring the X / Y / Z axis directionality and the north / south / north directionality of the user, as shown in FIG.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은, 화면상에 표출되는 아바타에 대해 대화, 인사를 포함하는 정보의 입력이나 친구 추가, 친구 조회 및 친구 삭제를 위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별도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수단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 system in which the avatar displayed on the screen includes information for inputting information including conversation, greetings, adding a friend,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unit of the exercise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panel for the input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의 실제 구현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actual implementation screen of a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기 아바타는, 사용자 본인의 아바타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3D 이미지로 표현되고, 상기 일정 거리를 벗어날 경우 성별 인식이 가능한 2D 이미지로 표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본인의 아바타와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아바타의 경우, 해당 아바타의 사용자가 설정한 3D 아바타 이미지가 표출되지만, 소정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성별 인식 정도만 가능한 2D 이미지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avatar applied to the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as a 3D image when the avatar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s avatar, And can be configured to be expressed as a gender-recognizable 2D image when out of sigh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avata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vatar of the user's own avatar, the 3D avatar image set by the user of the avatar is displayed.

나아가, 상기 아바타의 소정 위치에는 닉네임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거리를 벗어난 아바타의 경우 사용자 본인 아바타와의 이격 거리 정보 등이 추가로 표출되로고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it may be preferable that a nickname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vatar, and when the avatar is ou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user, an avatar, and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도 3을 참조하면, <터프짱>이라는 닉네임의 사용자는 3D 아바타로 표현되지만, 소정 거리 밖에 위치하는 <바밤바>와 <루돌프>라는 닉네임의 사용자는 2D 이미지로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바밤바>와 <루돌프>의 경우 여성 사용자임을 나타내기 위해 붉은색 이미지로 표시되었으며, 추가적인 남성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푸른색 이미지 등으로 표시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the user of the nickname &quot; tough chan &quot; is displayed as a 3D avatar, while the user of the nickname &quot; bavalba &quot; and &quot; rudolph &quot; In the case of <bambava> and <rudolph>, red image is displayed to indicate that it is a female user, and blue image can be displayed when there is an additional male user.

2D 이미지의 하단에는 사용자 본인과 해당 아바타 사이의 거리 정보가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t the bottom of the 2D image, you can se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avatar is displayed.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나침반(1)방향성을 표시하며, 친구리스트(5)사용자 본인의 친구를 표시하고 추가 또는 삭제 등의 관리를 하도록 한다. 특히 현재 화면 상에 표출되는 아바타를 클릭할 경우, 해당 아바타 사용자에 대한 상세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해당 아바타 사용자를 바로 친구 등록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3, the directionality of the compass 1 is displayed, and the friends of the friend list 5 are displayed to the user, and management such as addition or deletion is performed. Particularly, when the avatar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clicke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user can be inquir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vatar user can be directly registered with the friend.

액션(6)은 대화나 인사 등을 나누거나 또는 운동 중인 타 사용자에게 박수나 칭찬 등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타 사용자의 아바타를 클릭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현재 운동량 정보 등의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운동 시간 등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20)나 운동기구(130)를 통해 서버(110)에서 관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The action (6) provides a function for sharing conversation, greetings, etc., or sending applause or praise to other users in the exercise. For example, when the avatar of the other user is click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rent exercise amount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quired, and the information such as the exercise amount and the exercise time of the user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2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managed by the server 110 through the server 130.

하지만 이상에서 설명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applied to a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system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방법은, 실제의 운동 코스에서 운동을 수행중인 사용자들과, 해당 운동 코스에 대한 가상 공간 정보를 배경으로 실내운동 등을 수행중인 사용자들을 동일 화면 상에 표출시키고, 이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기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보다 즐겁고 편안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운동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아바타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들의 표시 정보 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The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game method in which a user performing a motion in an actual exercise course and a user performing a motion exercise in the background of virtual space information about the exercise course Are displayed on the same scree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m is enable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exercise more pleasantly and comfortably and thereby the effect of the exercise can be increased. For this purpose, a user avatar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and the display information and the like thereof have been described above.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의 설명에 반드시 한정되지 아니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서버 120: 사용자 단말기
130: 운동기구
110: server 120: user terminal
130: a fitness equipment

Claims (6)

실재 공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가상공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
촬영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재 공간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파악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실재 공간 이외의 공간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위한 운동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상기 실재 공간의 영상 상에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아바타를 표출하며,
상기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가상공간의 영상 상에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들의 아바타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A server having a virtual space information databas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real space;
A user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grasp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existing on the real space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And a fitness device for users existing in a space other than the real space, which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erver,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avatars of the users currently connected on the image of the real space photographed in real time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Wherein the display means of the exercise device displays avatars of users currently connected on the image of the virtual space provided from the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고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아바타를 렌더링하기 위한 3D 그래픽 엔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GPS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방향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향성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d acquiring a real-time image;
A 3D graphics engine for rendering an avatar;
A GPS module for obtain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nd a direction module for obtain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 수단은, 화면상에 표출되는 아바타에 대해 대화, 인사를 포함하는 정보의 입력이나 친구 추가, 친구 조회 및 친구 삭제를 위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unit of the exercise machine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including conversation, greeting, adding friend, friend referring, and friend deletion to the avatar displayed on the screen. Wherein the sports network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는, 사용자 본인의 아바타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3D 이미지로 표현되고, 상기 일정 거리를 벗어날 경우 성별 인식이 가능한 2D 이미지로 표현되며,
사용자가 특정 아바타에 대해 세부 사용자 정보의 조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avatar is represented by a 3D image when the avatar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s avatar, and is represented by a 2D image capable of recognizing gender when the avatar is ou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a user can inquire detailed user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avata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에는 닉네임이 표시되며, 상기 일정 거리를 벗어난 아바타의 경우 사용자 본인 아바타와의 이격 거리 정보가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ickname is displayed on the avata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avatar when the avatar is ou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display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방법.A social network type exercise game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applied to a social network type sports game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KR1020130021419A 2013-02-27 2013-02-27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401084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19A KR20140108436A (en) 2013-02-27 2013-02-27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19A KR20140108436A (en) 2013-02-27 2013-02-27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436A true KR20140108436A (en) 2014-09-11

Family

ID=5175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419A KR20140108436A (en) 2013-02-27 2013-02-27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436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676B1 (en) 2015-01-14 2016-07-2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Health care system by wearable device augmented reality
KR20170129082A (en) * 2016-02-16 2017-11-24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Battlefield online game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using iot device
WO2019156263A1 (en) * 2018-02-08 2019-08-15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hat room in three-dimensional form
KR20200097637A (en) * 2017-12-20 2020-08-19 즈난 왕 Simulation sandbox system
KR20200112296A (en) * 2019-03-21 2020-10-05 김장백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US10835828B1 (en) * 2018-07-25 2020-11-17 Facebook, Inc. Augmented-reality game overlays in video communications
KR102207566B1 (en) * 2019-08-13 2021-01-25 백윤기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538027B1 (en) * 2022-08-25 2023-06-01 주식회사 나인피스 Server for indoor exercise service and its providing methods
KR102593236B1 (en) 2022-10-12 2023-10-26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Method of generating user profile in metaverse environmn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2593239B1 (en) 2022-10-14 2023-10-26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Method of simultaneously participating in multiple evnets in virtual space and apparatus thereof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676B1 (en) 2015-01-14 2016-07-2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Health care system by wearable device augmented reality
KR20170129082A (en) * 2016-02-16 2017-11-24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Battlefield online game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using iot device
KR20200097637A (en) * 2017-12-20 2020-08-19 즈난 왕 Simulation sandbox system
WO2019156263A1 (en) * 2018-02-08 2019-08-15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hat room in three-dimensional form
CN111630556A (en) * 2018-02-08 2020-09-04 连普乐士株式会社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 room in three-dimensional for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392262B2 (en) 2018-02-08 2022-07-19 LINE Plu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hatroom in 3D form
US10835828B1 (en) * 2018-07-25 2020-11-17 Facebook, Inc. Augmented-reality game overlays in video communications
KR20200112296A (en) * 2019-03-21 2020-10-05 김장백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KR102207566B1 (en) * 2019-08-13 2021-01-25 백윤기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538027B1 (en) * 2022-08-25 2023-06-01 주식회사 나인피스 Server for indoor exercise service and its providing methods
KR102593236B1 (en) 2022-10-12 2023-10-26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Method of generating user profile in metaverse environmn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2593239B1 (en) 2022-10-14 2023-10-26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Method of simultaneously participating in multiple evnets in virtual space and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8436A (en)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
US11087555B2 (en) Recognizing objects in a passable world model in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systems
US11195332B2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based on virtual space scene, computer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407670B1 (en)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forming communication channel using augmented reality
WO2019096027A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20090786A1 (en) Avatar display system in virtual space, avatar display method in virtual space, and computer program
US11416067B2 (en) Suspend mode feature for artificial reality systems
US201401921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pth information in augmented reality scene
KR1016000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augmented reality service
US2010001772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working between virtual reality services
US201200503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linking service
KR101905909B1 (en) Providing a single instance of a virtual space represented in either two dimensions or three dimensions via separate client computing devices
JP66157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generation method
CN109120504B (en) Image equipment sharing method and social contact method thereof
JP6822413B2 (en) Server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KR102074370B1 (en)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US10845875B1 (en) Gaze initiated interaction technique
WO2021093703A1 (en)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9019974A1 (en) Augmented reality interac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CN109445596A (en) A kind of integral type mixed reality wears display system
CN108092950B (en) AR or MR social method based on position
KR20150004494A (en) Social media platform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of supplying social media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101039611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50085185A (en) Method for pre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and system for using the same
TW201721361A (en) Interaction augmented reality enab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