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871A - Bion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Bion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871A
KR20140102871A KR1020130016284A KR20130016284A KR20140102871A KR 20140102871 A KR20140102871 A KR 20140102871A KR 1020130016284 A KR1020130016284 A KR 1020130016284A KR 20130016284 A KR20130016284 A KR 20130016284A KR 20140102871 A KR20140102871 A KR 20140102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unit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2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연식
권이석
윤자웅
윤형로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2871A/en
Publication of KR2014010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8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A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comprises the following: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which senses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 communications device which displays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on a screen;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which receives the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s device and generates content for exercise management based on the 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The metric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can easily transmit data by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s when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communications device and can check a level of exercise done by a user, improvements in biometric information, and effects of the exercise through long-term history management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Description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BION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0001] BION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

본 발명은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이 검출 가능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활동 패턴 인식을 통해 운동형태 분류 및 운동 강도를 인식할 수 있는 체스트 벨트형 생체 정보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physical activ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apparatus of a chest belt type capable of recognizing a motion pattern classification and an exercise intensity through physical activity pattern recognition will be.

최근 고령화 및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건강은 누구에게나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현대인들은 운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운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health has been increasing due to aging and improving living standards. Healt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life for everyone, and as a means of maintaining health, modern people are feeling the need for exercise and investing a lot of time in their workouts.

그러나, 운동에 단순히 많은 시간만을 투자한다고 해서 그 시간에 비례하여 운동의 효과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오히려, 지나친 운동은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의료기관등과 연계하여 운동치료 등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simply investing a lot of time in the exercise does not show the effect of exercise in proportion to the time. Rather, excessive exercise can lead to adverse effects, which can be a health hazar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exercise efficiently and exercising exercise in connection with a medical institution or the like.

또한, 신체활동은 일상생활 중에 일어나는 인체의 움직임에 대한 것으로,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기, 계단 내려오기, 앉기 및 서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활동의 정확한 분류는 향후 개인별 운동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일정기간 동안 수행한 운동량과 적정 운동강도를 산정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Also, physical activity refers to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n daily life, including walking, running, stair climbing, stair climbing, sitting and climbing. Accurate classification of these activities is important for estimating and evaluating the exercise amount and the appropriate exercise intensity for a certain period as basic data for individual exercise management in the future.

효율적인 운동을 위해 일반적으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들은 생체정보를 측정하기만 할 뿐 이를 이용하여 개인에 맞는 운동 처방이나 운동을 통해 개선되는 생체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Devices that can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in general for efficient exercise are widely used. However, the conventional devices only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but have problems in that they can not systematically provide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improved through exercise prescription or exercise suitable for an individual.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중 발생하는 여러 생체 정보들을 소형 단말장치를 통해 종합적으로 획득하고, 그 데이터들의 검증을 거쳐 사용자에 맞는 운동 처방 및 운동을 통해 개선되는 생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various pieces of biometric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a movement through a small terminal device,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biometric information improved through th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이로(Gyro) 센서와 가속도(Accelerometry) 센서를 통해 얻은 신체활동에 따른 인체회전 각속도와 활동에 따른 가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중의 신체활동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를 내장한 체스트 벨트형 생체 정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gorithm for classifying the physical activity in daily life based on the body rotation angular velocity and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obtained through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And a chest belt typ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에 내장된 1채널 심전도 측정을 통해 각 신체활동에 의한 심박수 변화를 토대로 칼로리 소모량을 추정하고, 일체 운동 정보를 장치에 내장된 블루투스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전송한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stimate the calorie consumption based on the heart rate change due to each physical activity through the 1-channel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built in the device, and to transmit the all-exercis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built- To transfer the device.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신체활동 패턴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내장한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통신기기 및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운동 관리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생체정보관리 서버를 포함한다.Th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incorporating an algorithm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nd recognizing a physical activity pattern using sensed biometric information, A communication device that displays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on a screen, and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provides content for exercise management based on the 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센싱부,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에서 센싱된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운동 수준과 향상된 생체기능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한 데이터를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includes a bio-inform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bio-information of a user, a memory unit for storing bio-information sensed by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data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정보를 기초로 신체활동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gorithm may include a step of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 step of changing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nd a step of classifying a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chang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는 배터리의 충전 및 전극 확장 포트를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may include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so that the battery charging and the electrode extension port can be additionally s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생체신호센서 모듈, 상기 생체신호센서 모듈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를 증폭시키는 증폭 모듈 및 상기 증폭 모듈에 의해 증폭된 생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전송하는 증폭 생체정보전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includes a bio-signal sensor module for sensing bio-signals of the user, an amplification module for amplifying bio-information sensed by the bio-signal sensor module, And an amplified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memor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신호에 따라 수행된 운동에 따른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는 운동량산출 모듈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운동으로 인한 생체정보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생체정보 변동 판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momentum calculating module for calculating a consumed calorie according to a motion performed according to a signal detected by the bio-sensor module, A biometric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biometric information changes due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change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운동량 및 생체정보 변동에 관한 데이터를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r may transmit data on the amount of exercise and the variation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y a Bluetooth (Blue Tooth)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기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기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on a screen; And a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기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부,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운동의 효과를 판단하는 생체정보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주치의로부터 운동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연계기관에 전송하는 연계기관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user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nalyzes patterns of data stored in the user management unit, And a linkage institution service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biometrics information analysis unit to the linking institution so as to receive the exercise treatment service from the PC according to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have.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상생활 중에 불편함이 없이 개인의 신체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가 내장된 별도의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향후 운동처방 및 운동관리를 제공받을 때,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의 활동 습관, 일정 기간 동안의 운동량 등의 정보를 운동 지도사나 트레이너에게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Th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personal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without inconvenience during daily life and transmits it to a separate device having built-in Bluetooth so that when receiv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and exercise management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an individual's activity habit and the amount of exercise for a certain period to an exercise instructor or a trainer effectively and accurately.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일상생활 중의 움직임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평상시 자신의 신체활동의 범위와 운동량을 자체 평가함으로써 건강유지를 위한 운동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by wearing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motivation for movement in daily life, and self-evaluation of the range and exercise amount of the user's own physical activity at a normal time can increase interest in exercise for health maintenance have.

상업적인 관점에서는 기존 스포츠 헬스 케어 장치들의 경우 대부분 운동이나 신체활동에 따른 심박수 정보만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집중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신체활동의 정보와 운동량, 운동 강도 등을 동시에 제공하고 이 정보들이 향후 운동관리 및 운동처방에 활용될 수 있어 상업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In a commercial viewpoint, most of the existing sports healthcare devices are focused on measuring and evaluating only the heart rate information according to exercise or physical activity, whereas the bio-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easuring the inform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this information can be utilized for future exercise manage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so that it can have commercial competitive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생체정보 센싱부에 포함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에 내장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통신기기에 포함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생체정보 관리 서버에 포함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of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of FIG. 2. FIG.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lgorithm embedded in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of FIG. 1.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of FIG.
FIG.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are actually shown in a smaller scale than the actual dimensions in order to explain the schematic configur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00), 통신 기기(200) 및 생체정보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bio-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100, a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a bio-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00.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상기 통신 기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00)는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별도의 게이트 웨이 또는 홈 게이트 웨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기 통신 기기(200)로 데이터를 손쉽게 전송할 수 있다.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100 sens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When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100 uses a Bluetooth (Blue Tooth)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no separate gateway or home gateway is required to connect to the server, and data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00)는 배터리의 충전 및 전극 확장 포트를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100 may include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to further charge the battery and to set an electrode extension port.

상기 통신 기기(200)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생체정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 기기(200)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상기 통신 기기(200)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 폰 인 경우, 상기 생체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는 운동과 관련된 게임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활용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device 200 displays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100 on the screen and transmits the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00.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a device that is generally easily accessible to a user,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or the like.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 general smart phone, data rela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utilized by using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games related to exercise.

상기 생체정보 관리 서버(300)는 상기 통신 기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운동을 통해 개선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운동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주치의로부터 운동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생체정보 분석부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연계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00 may store the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determine the effect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improved through the exercise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00 may transmit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unit to the linking organization so as to receive the exercise treatment service from the PC according to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도 2는 도 1의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00)는 생체정보 센싱부(110), 메모리부(120), 제어부(130) 및 전송부(140)를 포함한다.2,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information sensing unit 110, a memory unit 120, a controller 130, and a transmitter 140.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11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한다.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110)는 다양한 생체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 호흡, 심전도, 인체 활동도 및 인체회전 각속도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senses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nd stores the sensed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120.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can sense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For exampl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body temperature, respiration, electrocardiogram, human activity level, and body rotation angular velocity of a user can be meas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센싱부(110)는 체스트 벨트형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온, 호흡, 심전도, 인체 활동도 및 인체회전 각속도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한다. 따라서 다양한 센서들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체온은 인체용 적외선 센서, 인체 활동도는 3차원 가속센서(3D-Accelerometer), 각속도는 자이로(Gyro) 센서, 호흡과 심전도는 체스트벨트에 부착된 전도성 직물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bio-information such as body temperature, respiration, electrocardiogram, human activity level, and human body rotation angular velocity based on a chest belt type. Therefore, various sensors are needed. For example, body temperature may be measured using a human body infrared sensor, human activity using a 3D-accelerometer, angular velocity using a gyro sensor, respiration and electrocardiogram using a conductive fabric electrode attached to a chest belt .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110)에서 센싱한 생체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생체 정보는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운동량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운동수준과 향상된 생체기능을 판단한다.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와 상기 제어부(130)에서 산출한 정보는 상기 전송부(140)에서 통신 기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별도의 게이트 웨이 또는 홈 게이트 웨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기 통신 기기(200)로 데이터를 손쉽게 전송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20 stores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30. The control unit 130 calculates the amount of exercise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and determines the exercise level and the improved biometric functio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and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130 are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140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At this time, a Bluetooth (Blue Tooth)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Therefore, no separate gateway or home gateway is required to connect to the server, and data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도 3은 도 2의 생체정보 센싱부에 포함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of FIG. 2.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센싱부(110)는 생체신호센서 모듈(111), 증폭 모듈(112) 및 증폭 생체정보 전송 모듈(113)을 포함한다.3,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110 includes a bio-signal sensor module 111, an amplification module 112, and an amplified bio-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13. The bio-

상기 생체신호 센서 모듈(111)이 센싱하는 생체신호는 공지의 측정 가능한 다양한 생체신호가 이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 호흡, 심전도, 인체 활동도 및 인체회전 각속도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따라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센싱부(110)는 체스트 벨트형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온, 호흡, 심전도, 인체 활동도 및 인체회전 각속도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한다. 따라서 다양한 센서들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체온은 인체용 적외선 센서, 인체 활동도는 3차원 가속센서(3D-Accelerometer), 각속도는 자이로(Gyro) 센서, 호흡과 심전도는 체스트 벨트에 부착된 전도성 직물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bio-signal that the bio-signal sensor module 111 senses corresponds to various known bio-signals that can be measur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user's body temperature, respiration, electrocardiogram, human activity level, and human body rotation angular velocity.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bio-information such as body temperature, respiration, electrocardiogram, human activity level, and human body rotation angular velocity based on a chest belt type. Therefore, various sensors are needed. For example, body temperature may be measured using a human body infrared sensor, human activity using a 3D-accelerometer, angular velocity using a gyro sensor, respiration and electrocardiogram using a conductive fabric electrode attached to a chest belt .

상기 증폭 모듈(112)은 상기 생체신호 센서 모듈(111)에서 센싱된 생체 정보를 증폭시킨다. 상기 증폭 모듈(112)에서 증폭된 생체 정보는 증폭 생체정보 전송 모듈(113)에 전송되고, 상기 증폭 생체정보 전송 모듈(113)은 상기 증폭된 생체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20)로 전송한다.The amplification module 112 amplifies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biosignal sensor module 111. The biometric information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112 is transmitted to the amplified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13 and the amplified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13 transmits the amplified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memory unit 120.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110)에서 센싱한 생체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생체 정보는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운동량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운동수준과 향상된 생체기능을 판단한다.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와 상기 제어부(130)에서 산출한 정보는 상기 전송부(140)에서 통신 기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별도의 게이트 웨이 또는 홈 게이트 웨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기 통신 기기(200)로 데이터를 손쉽게 전송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20 stores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30. The control unit 130 calculates the amount of exercise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and determines the exercise level and the improved biometric functio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and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130 are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140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At this time, a Bluetooth (Blue Tooth)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Therefore, no separate gateway or home gateway is required to connect to the server, and data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도 4는 도 1의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에 내장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lgorithm embedded in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of FIG. 1.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에 내장되는 알고리즘은 생체정보 측정 단계(S100), 측정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S200) 및 신체활동을 분류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100)에서는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센서들에 의해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측정된다. 이때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는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Accelerometry) 센서, 체스트 벨트에 부착된 전도성 직물전극 등이 될 수 있다. 생체정보가 측정된 후에는 측정된 정보를 변경시킨다. 상기 측정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S200)에서는 측정된 각속도를 통해 2D-Projection 방법을 사용하면, 장치가 현재 가지고 있는 축 정보(local coordinate system)를 사람이 바로 선 자세(world coordinate system)로 변경된다. 이후 변경된 정보를 통해 상기 신체활동을 분류하는 단계(S300)에서, 계단 오르기 또는 내려오기 등과 같이 걷기와 비슷한 신체활동을 분류한다.Referring to FIG. 4, the algorithm embedded in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information measurement step S100, a step S200 of changing the measured information, and a step S300 ). In step S100 of measur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is measured by the sensors included in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sensor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a gyro sensor, an accelerometry sensor, a conductive fabric electrode attached to a chest belt, and the like. After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measured, the measured information is changed. In the step of changing the measured information (S200), if the 2D-projection method is used through the measured angular velocity, the user changes the local coordinate system currently held by the apparatus into a world coordinate system do. In the step S300 of classifying the physical activity through the changed information, the physical activity similar to the walking, such as climbing or descending the stairs, is classified.

인체회전 각속도는 신체활동에 의해 변화하는 상체의 기울기 정보와 이에 따른 3축 가속도의 정보를 바탕으로 신체활동을 분류할 수 있다. 측정된 각속도를 통해 2D-Projection 방법을 사용하면, 장치가 현재 가지고 있는 축 정보(local coordinate system)를 사람이 바로 선 자세(world coordinate system)로 변경시켜줄 수 있으며, 특히 2D-Projection을 통해 변경된 새로운 축의 세로축 정보는 계단 오르기 또는 내려오기 등과 같이 걷기와 비슷한 신체활동을 분류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분류할 수 있는 신체활동은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기, 안기 및 서기 등이다.The body rotation angular velocity can classify the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slope information of the upper body changing by the physical activity and the information of the 3-axis acceleration accordingly. Using the 2D-Projection method through the measured angular velocity, the user can change the current coordinate system of the device to the world coordinate system. Especially, Axis vertical axis information can contribute greatly to classifying physical activity, such as walking, such as stepping up or down. The physical activities that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 apparatus and the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walking, running, stair climbing, climbing and climbing.

또한, 자이로(Gyro) 센서와 가속도(Accelerometry)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뿐만 아니라, 체스트 벨트에 내장된 전도성 직물 전극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심전도로부터 추출된 심박수 정보와 함께 신체활동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추정할 수 있다. 신체활동 중 심박수의 증가 혹은 감소는 신체활동의 강도와 직접적으로 비례관계에 있으며,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분류된 신체활동과 심박수 변화를 바탕으로 각 신체활동 당 소비되는 칼로리량을 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as well as the heart rat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d using the conductive fabric electrode built in the chest belt, the calori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can be estimated . The increase or decrease in heart rate during physical activity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based on the measured physical activity and heart rate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Calories can be calcula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신체활동 후 활동 정보를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통신방식인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가 내장된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향후 개인별 맞춤 운동관리를 위한 일정 기간 동안의 신체활동 정보를 수집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use the information on activity after the physical activity as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omputer, a smart phone or the like with built-in Bluetooth using the standard communication method, And can contribute to collection of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for personalized exercise management in the future.

도 5는 도 1의 통신기기에 포함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of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200)는 통신 기기 수신부(201), 디스플레이부(202) 및 통신 기기 전송부(20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unit 201, a display unit 202, and a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unit 203.

상기 통신 기기(200)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상기 통신 기기(200)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 폰 인 경우, 상기 생체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는 운동과 관련된 게임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 기기 수신부(201)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2)는 상기 통신 기기 수신부(201)에서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통신 기기 수신부(201)에서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상기 통신 기기 전송부(203)를 통해 상기 생체정보 관리 서버(300)로 전송된다. 상기 생체정보 관리 서버(300)로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받은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운동을 통해 개선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운동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주치의로부터 운동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생체정보 분석부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연계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a device that is generally easily accessible to a user,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or the like.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 general smart phone, data rela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utilized by using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games related to exercise. The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unit 201 receives data such as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transmitt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100. The display unit 202 display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unit 201 on the scree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unit 201 is transmit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ing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unit 203. [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00, the transmitted biometric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effect of the exercise can be determined using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improved through exercise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00 may transmit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unit to the linking organization so as to receive the exercise treatment service from the PC according to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도 6은 도 1의 생체정보 관리 서버에 포함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f FIG. 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생체정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관리부(301), 생체 정보 분석부(302) 및 연계기관 서비스 제공부(303)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관리부(301)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00)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200)를 통해 전달 받는다.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운동 중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통신 기기(200)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 기기(200)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생체 정보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상기 생체 정보 분석부(302)는 상기 사용자 관리부(301)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운동 효과를 판단한다. 상기 연계기관 서비스 제공부(303)는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302)에서 분석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운동 효과에 따라 적절한 운동 처방 등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연계기관에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등의 데이터를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6,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user management unit 301, a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unit 302, and a linkage institution service provider 303. The user management unit 301 receives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100 transmits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during the movement of the user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in real time,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ransmit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 (300). The biometric information analyzing unit 302 analyzes a pattern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management unit 301 to determine a health state and a motion effect of the user. The linkage institution service provider 303 provides the linkage institution with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medical services such as appropriate exercise prescription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and exercise effect of the user analyzed by the biometrics information analysis unit 302. [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상생활 중에 불편함이 없이 개인의 신체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가 내장된 별도의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향후 운동처방 및 운동관리를 제공받을 때,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의 활동 습관, 일정 기간 동안의 운동량 등의 정보를 운동 지도사나 트레이너에게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Th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personal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without inconvenience during daily life and transmits it to a separate device having built-in Bluetooth so that when receiv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and exercise management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an individual's activity habit and the amount of exercise for a certain period to an exercise instructor or a trainer effectively and accurately.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일상생활 중의 움직임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평상 시 자신의 신체활동의 범위와 운동량을 자체 평가함으로써 건강유지를 위한 운동에 대한 관심역시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by wearing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motivation for movement in daily life, and self-evaluation of the range and exercise amount of the user's physical activity at normal times increases interest in exercise for health maintenance .

상업적인 관점에서는 기존 스포츠 헬스 케어 장치들의 경우 대부분 운동이나 신체활동에 따른 심박수 정보만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집중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신체활동의 정보와 운동량, 운동 강도 등을 동시에 제공하고 이 정보들이 향후 운동관리 및 운동처방에 활용될 수 있어 상업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In a commercial viewpoint, most of the existing sports healthcare devices are focused on measuring and evaluating only the heart rate information according to exercise or physical activity, whereas the bio-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easuring the inform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this information can be utilized for future exercise manage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so that it can have commercial competitivenes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효율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Th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in a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measur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nd performing efficient exercise.

10 :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100 :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
200 : 통신기기 300 : 생체정보 관리 서버
110 : 생체정보 센싱부 120 : 메모리부
130 : 제어부 140 : 전송부
111 : 생체신호센서 모듈 112 : 증폭 모듈
113 : 증폭 생체정보전송 모듈 201 : 통신기기 수신부
202 : 디스플레이부 203 : 통신기기 전송부
301 : 사용자 관리부 302 : 생체정보 분석부
303 : 연계기관 서비스 제공부
10: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100: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200: communication device 300: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120: memory unit
130: control unit 140:
111: biological signal sensor module 112: amplification module
113: amplified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01: communication device receiver
202: display unit 203: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unit
301: user management unit 302: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unit
303: Service provider

Claims (9)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신체활동 패턴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내장한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통신기기 및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운동 관리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생체정보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incorporating an algorithm for sensing a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recognizing a physical activity pattern using the sensed biometric information
A communication device for display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on a screen,
And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provides content for exercise management based on the 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센싱부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에서 센싱된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운동 수준과 향상된 생체기능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산출한 데이터를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2.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 memory unit for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user's exercise level and an improved biological functio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data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to a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정보를 기초로 신체활동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2. The method of claim 1,
Measur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Changing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nd classifying the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changed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는 배터리의 충전 및 전극 확장 포트를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Th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bio-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includes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so that the battery charging and the electrode extension port can be additionally s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생체신호센서 모듈
상기 생체신호센서 모듈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를 증폭시키는 증폭 모듈 및
상기 증폭 모듈에 의해 증폭된 생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전송하는 증폭 생체정보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io-
A bio-signal sensor module for sensing the bio-
An amplification module for amplify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biosignal sensor module,
And an amplified biometr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to the memory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신호에 따라 수행된 운동에 따른 소모칼로리를 계산하는 운동량산출 모듈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운동으로 인한 생체정보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생체정보 변동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 momentum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consumed calorie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bio-signal sensor module;
And a biometric information chang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iometric information changes due to movement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어부에서산출된 운동량 및 생체정보 변동에 관한 데이터를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3. Th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data on the amount of exercise and the variation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y a Bluetooth (Blue Tooth) communic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기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기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device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on a screen,
And a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기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부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운동의 효과를 판단하는 생체정보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주치의로부터 운동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생체정보 분석부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연계기관에 전송하는 연계기관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 user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 bio-information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 pattern of data stored in the user management uni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exercise;
And a linkage institution service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health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biometrics information analysis unit to the linking institution so as to receive the exercise therapy service from the PC according to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
KR1020130016284A 2013-02-15 2013-02-15 Bion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KR201401028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284A KR20140102871A (en) 2013-02-15 2013-02-15 Bion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284A KR20140102871A (en) 2013-02-15 2013-02-15 Bion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871A true KR20140102871A (en) 2014-08-25

Family

ID=5174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284A KR20140102871A (en) 2013-02-15 2013-02-15 Bion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287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583A (en)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KR20210043364A (en) * 2019-10-11 2021-04-21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Elderly population health car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583A (en)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KR20210043364A (en) * 2019-10-11 2021-04-21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Elderly population health car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4113B2 (en) Energy consumption
CN104146712B (en) Wearable plantar pressure detection device and plantar pressure detection and attitude prediction method
Lin et al. Smart insole: A wearable sensor device for unobtrusive gait monitoring in daily life
Sasaki et al. Measurement of physical activity using accelerometers
JP2017158999A (en)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maximal oxygen consumption
US20140135592A1 (en) Health band
Subramaniam et al. Wearable sensor systems for fall risk assessment: A review
CN105748037B (en) The body-sensing vest of biological feedback system with the patient for suffering from scoliosis
US1026497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grating feedback from multiple wearable sensors
WO2005011480A2 (en)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altimeter and accelerometers for determining work performed by an individual
KR101307250B1 (en) Apparatus for Tremor measure of fingers
EP3391809A1 (en) Fitness level predi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Pires et al. Limitations of energy expenditure calculation based on a mobile phone accelerometer
KR20140102871A (en) Bion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KR102186414B1 (en) Internet of thing device interwork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personalized abnormal biological signals
Cai et al. mhealth technologies toward active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and tracking in daily life: A dynamic gait monitoring example
KR101817274B1 (en) Apparatus for multi-sensor based wearable energy expenditur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0741095B2 (en) Teaching compatibility determining device,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204293160U (en) Wearable plantar pressure checkout equipment
CN209826737U (en) Hemiplegia acquisition property is useless to be evaluated and treatment device
JP2019531114A (en) Body composi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JP6049424B2 (en)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activity measurement terminal
CN112274874A (en) Human motion energy consump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micro-inertial sensor
JP2009180503A (en) Active amount meter
US20240041355A1 (en) Musculoskeletal st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