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315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315A
KR20140100315A KR1020130013469A KR20130013469A KR20140100315A KR 20140100315 A KR20140100315 A KR 20140100315A KR 1020130013469 A KR1020130013469 A KR 1020130013469A KR 20130013469 A KR20130013469 A KR 20130013469A KR 20140100315 A KR20140100315 A KR 20140100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voice
keyword
content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315A/ko
Priority to US14/098,186 priority patent/US20140223273A1/en
Publication of KR2014010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34Hyper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하여 작성된 제1 문서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문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문서에 포함된 태그들 중 하이퍼링크 태그를 검색하고,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가 연결하는 제2 문서를 음성 명령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며,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상기 제1 문서와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or 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단말기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하여 작성된 문서를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마크업이란 문서의 처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문서에 추가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마크업 정보는, 예를 들어, 문서의 논리적 구성이나 체제와 같은 문서의 포맷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문서가 포함하는 내용들 간의 연결관계(link) 또는 다른 문서가 포함하는 내용과의 연결관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크업 정보를 표현하는 언어를 마크업 언어라고 한다.
마크업 언어는 태그(tag)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한 가지이다. 이때 마크업 언어는 문서 내에 끼워 넣는(embed) 일련의 요소들(예를 들어, 태그)로 구성될 수 있다.
대표적인 마크업 언어로써,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의 홈페이지에 사용되는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이하, 'HTML')와 국제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ISO)가 표준화한 표준 범용 문서 생성 언어(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이하, 'SGML')가 있다.
이러한 마크업 언어는 하이퍼링크(hyperlink)를 이용하여 동영상, 글, 음악, 그림, 프로그램, 파일, 문서의 특정 위치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즉, 문서 안에서 모든 형식의 자료를 가리키거나 연결할 수 있는 참조 고리를 의미한다. 하이퍼링크는 단순히 링크(또는, 고리)라고 호칭 될 수도 있다.
마크업 언어의 하이퍼링크 태그(hyperlink tag)를 이용하여 문서 내에서 하이퍼링크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이퍼링크 태그는 링크를 가진 콘텐츠(또는, 하이퍼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문서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태그가 아닌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가 가리키는 문서로 이동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하이퍼링크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이퍼링크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마우스를 이용하여 클릭하는 경우, 하이퍼링크가 가리키는 문서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하이퍼링크가 가리키는 문서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퍼링크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선택함에 있어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하여 작성된 제1 문서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문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문서에 포함된 태그들 중 하이퍼링크 태그를 검색하고,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가 연결하는 제2 문서를 음성 명령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며,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상기 제1 문서와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문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은,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의 알트(alt) 및 타이틀(title)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재된 정보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문서의 하이퍼링크(hyperlink) 및 상기 음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자료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료 구조는, 상기 음성 키워드를 키(key)로, 상기 하이퍼링크(hyperlink)를 해시 값(hash value)으로 구성하는 해시 테이블(hash tabl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하여 작성된 제1 문서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서에 포함된 태그들 중 하이퍼링크 태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가 연결하는 제2 문서를 음성 명령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문서와 함께 상기 음성 키워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포함하는 텍스트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텍스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된 텍스트가 있는 경우, 상기 탐색된 텍스트를 이용하고, 상기 탐색된 텍스트가 없는 경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은,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의 알트(alt) 및 타이틀(title)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재된 정보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탐색된 텍스트가 없고,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문서의 하이퍼링크(hyperlink) 및 상기 음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자료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료 구조는, 상기 음성 키워드를 키(key)로, 상기 하이퍼링크(hyperlink)를 해시 값(hash value)으로 구성하는 해시 테이블(hash tabl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하이퍼링크가 가리키는 문서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클릭 또는 터치가 아닌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퍼링크에 대응하는 음성 키워드를 문서와 함께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음성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퍼링크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에 근거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직관력 있는 음성 키워드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크업 언어로 생성된 문서를 수신하는 경우, 하이퍼링크 및 음성 키워드와 관련된 해시 테이블을 생성하기 때문에, 음성 명령에 따라 음성 키워드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도 6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료 구조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도 8의 자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감지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는 중첩되는 제1 및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면이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5)이라고 호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고 호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가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롤(scroll)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일 측면이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및 타 측면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위치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131) 및 마이크(122)가 위치한다. 제 2 사용자 입력부(132) 및 인터페이스(170)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조작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조작 유닛들(131, 132)은 다양한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선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후면 카메라(121´)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는 전면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고, 전면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는 저 화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시에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 및 거울(124) 후면 카메라(121´)에 인접하는 곳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낸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음향 출력부(152´)는 전면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를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2a 참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35)에도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180)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면, 제어부(180)는 마이크(122)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한 언어를 해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마이크(122)에 수신되는 음성 파형으로부터 단어나 단어열을 식별하고 그 의미를 추출한다.
즉, 음성 인식(voice ecognition)이란 음성 신호를 해석하여 패턴화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조합함으로써 문자열로 변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음성 인식은, 예를 들어, 음성 분석, 음소 인식, 단어 인식, 문장 해석, 의미 추출의 5가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변환한 문자열을 "음성 명령"이라고 호칭할 수 있다. 이하,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하이퍼링크가 가리키는 문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1 문서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제1, 제2 와 같은 서수를 나타내는 용어는 서로 다른 대상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대상들의 순서를 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문서는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된 문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문서는 HTML을 이용하여 작성된 웹페이지 문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셋톱박스(set top box)를 통하여 텔레비전(또는, TV)에 출력되는 방송용 문서일 수 있다.
마크업 언어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상술한바 생략한다. 다만, 마크업 언어는, SGML, HTML, 동적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Dynamic HTML),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extesnsible markup language, XML) 등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는 이러한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들을 저장하고, 단말기들이 상기 문서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서버가 저장하는 문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표시하는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이하, 'URL')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소정의 URL로 접속하고, 상기 소정의 URL에 위치하는 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태그를 검색하는 단계(S12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문서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하이퍼링크 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 태그는 하이퍼링크를 만들어주는 태그를 의미하며, HTML에서는 "<a>" 태그를 의미한다. "<a href='연결하고자 하는 문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하이퍼링크 태그를 이용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콘텐츠'</a>"가 하이퍼링크 태그의 일 예일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것은,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가 아니라 콘텐츠이다.
이러한 하이퍼링크 태그는, 연결하고자 하는 문서의 위치 정보와 출력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포함한다. 연결하고자 하는 문서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URL일 수 있다.
콘텐츠(contents)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객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될 수 있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아이콘, 이동 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용량이 큰 이미지나 동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썸네일(thumbnail image), 각종 데이터별로 설정된 데이터명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는 이미지 또는 문자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콘텐츠는 텍스트, 그림, 음악, 동영상, 오디오, 비디오, 플래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된 하이퍼링크 태그가 연결하는 제2 문서를 음성 명령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S130)가 진행될 수 있다. 하이퍼링크 태그는 제1 문서와 다른 제2 문서를 가리킬 수 있다. 즉, 제1 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제2 문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문서 대신에 제2 문서가 출력되거나, 제1 및 제2 문서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음성 명령으로 제2 문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된 하이퍼링크 태그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릭"을 음성 키워드로 생성할 수 있다. 제1 문서가 출력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클릭"이라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클릭"에 대응하는 제2 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하이퍼링크 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키워드는 음성 명령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4글자 이내의 단어로 생성될 수 있다.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관련된 내용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1 문서와 함께 음성 키워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는 단계(S14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문서를 출력함에 있어서, 음성 키워드를 제1 문서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하이퍼링크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에 상기 음성 키워드를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에 상기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콘텐츠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광 펜 효과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하이퍼링크 태그와 인접하는 위치에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는 제1 문서가 포함하는 정보와 음성 키워드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그래픽 요소(graphic element)를 말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 이미지가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문서가 복수의 하이퍼링크 태그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음성 키워드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음성 키워드들은 서로 상이한 하이퍼링크 태그들에 대응된다. 제어부(180)는 모든 하이퍼링크 태그들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거나 기 설정된 수에 해당하는 만큼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 3에 도시된 제어 방법을 전제한다. 즉, 제1 문서와 음성 키워드를 함께 출력하는 상태에서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22)에 의하여 음성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명령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음성 키워드를 탐색하는 단계(S160)가 진행되고, 탐색된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S17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음성 명령과 일치하는 음성 키워드를 탐색할 수 있다.즉, 복수의 음성 키워드들이 생성된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문서에 대한 음성 키워드로 "2"가 제3 문서에 대한 음성 키워드로 "3"이 생성될 수 있다. 음성 명령으로 "3"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명령과 일치하는 음성 키워드를 탐색하고, 탐색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제3 문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문서를 출력함에 있어서, 제2 문서를 가리키는 하이퍼링크 태그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함께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음성 명령을 사용하기 위한 음성 키워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제2 문서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방법으로 하이퍼링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문서(210) 및 제2 문서(220)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문서(2010, 220)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이다.
제1 문서(210)는 제2 문서(220)를 연결하는 하이퍼링크 태그(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퍼링크 태그(212)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는 밑줄 쳐지거나(underlinded) 문서 내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색(특히,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문서(210)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기에 앞서, 수신된 제1 문서(210)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하이퍼링크 태그(212)에 의하여 출력되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이퍼링크 태그(212)에 의하여 "<클릭> 상세보기"라는 콘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클릭"(214)이라는 단어를 음성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문서(210)와 함께 음성 키워드(214)를 출력힌다. 이때, 음성 키워드가 부각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클릭"(214)이 다른 부분과 구분되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하이퍼링크 태그(212)와 인접하는 위치에 음성 키워드(214)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216)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음성 키워드에 대한 직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문서(210)와 음성 키워드(214)가 함께 출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음성 명령(230)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음성 명령과 일치하는 음성 키워드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탐색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문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키워드(214)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230)으로 "클릭"이 수신되면, 하이퍼링크 태그(212)가 연결하는 제2 문서(2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제1 문서(210)가 하나의 하이퍼링크 태그(2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문서(210)는 복수의 하이퍼링크 태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음성 키워드들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S130)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S130)는 하이퍼 링크 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S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하이퍼링크 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S132)가 진행될 수 있다.
추출된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S133)가 진행된다. 제어부(180)는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음성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텍스트의 첫 번째 단어나 상기 텍스트에 가장 많이 포함된 단어를 음성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관리자 등에 의하여 기 설정된 단어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추출된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S135)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TML에 있어서 하이퍼링크 태그에 의하여 출력되는 콘텐츠는 "<a>"와 "</a>"태그 사이에 기재되는 태그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를 이하, '콘텐츠 태그'라고 호칭할 수 있다.
콘텐츠 태그는, 예를 들어, 이미지 태그(<image>), 오브젝트 태그(<object>), 비디오 태그(<video>), 오디오 태그(<audio>), 동영상 또는 플래시 태그(<embed>), 아티클 태그(<article>), 내비게이션 태그(<na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콘텐츠 태그에 포함된 내용들을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콘텐츠 태그의 알트(alt) 및 타이틀(title) 속성중 적어도 하나에 기재된 내용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알트(alt) 속성은, 이미지 태그에서 쓰이며, 그림이 렌더링(rendering) 되지 못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보이다. 타이틀(title) 속성은, 콘텐츠의 제목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추출된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숫자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S136)가 진행될 수 있다.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숫자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키워드로 "1" 및 "2"가 이미 생성된 경우, "3"을 음성 키워드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하이퍼링크 태그가 다수 있는 경우, 숫자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키워드가 체계적인 방법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직관력 있는 음성 키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의 (a), (b) 및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문서와 함께 음성 키워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1 하이퍼링크 태그(310)는 "새 진보정당 건설 ... 사실상 분당 선언"이라는 제1 콘텐츠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새", "진보정당, "건설", "사실상", "분당", "선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인식에 대한 기술의 발달로 단어를 구분하거나 단어의 종류(예를 들어, 동사 또는 명사)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하고, 음성 인식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텍스트에 포함된 명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글자에서 네 글자 사이에 해당하는 명사를 음성 키워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검색의 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들 중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한 단어를 음성 키워드로 이용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술한 조건에 따라서 "진보정당"이 제1 하이퍼링크 태그(310)의 제1 음성 키워드(312)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음성 키워드(312)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314)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2 하이퍼링크 태그(320)는 이미지 파일로 이루어진 제2 콘텐츠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검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지 않지만, "부산 앞바다"라는 정보가 이미지 태그의 알트(alt) 속성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부산"을 제2 음성 키워드(322)로 생성하고, 생성한 제2 음성 키워드(322)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음성 키워드(322)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객체(324)도 출력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4개의 사진들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이동 단말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사진들은 각각 하이퍼링크 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이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숫자를 이용하여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하이퍼링크 태그(330)는 첫 번째이므로, "일"을 제3 음성 키워드(332)로 생성하고, 제4 하이퍼링크 태그(340)는 두 번째이므로, "이"를 제4 음성 키워드(342)로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이"라는 음성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4 하이퍼링크 태그(340)가 가리키는 문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료 구조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료 구조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문서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21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기 위한 자료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S220)가 진행될 수 있다.
서버로부터 수신한 문서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성 키워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음성 키워드 관리를 위한 자료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자료 구조는, 예를 들어, 하이퍼링크와 상기 하이퍼링크에 대응하는 음성 키워드를 테이블 구조로 저장할 수 있다. 검색의 신속함을 위하여, 제어부(180)는 자료 구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이퍼링크 태그를 탐색하는 단계(S23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문서를 라인(line) 단위로 분석하고, 각 라인의 태그들을 분석하여 하이퍼링크 태그가 포함되어 있는지 탐색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 태그를 탐색한 경우, 다음으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S240)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성 키워드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생성한 자료 구조를 이용하여 생성된 음성 키워드가 다른 음성 키워드와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이라는 음성 키워드가 "제1 url"이라는 하이퍼링크와 함께 자료 구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일"이라는 음성 키워드는 중복해서 생성될 수 없다.
생성된 음성 키워드가 중복되는 경우, 음성 키워드를 재생성하는 단계(S26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중복된 음성 키워드에 숫자를 부가하여 음성 키워드가 중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 "일"에 숫자 "일"을 부가하여 "일일"이라는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한 숫자는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이후 "일"이라는 음성 키워드가 또다시 생성되는 경우, "일"에 숫자 "이"를 부가하여 "일이"라는 음성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하이퍼링크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0)가 진행될 수 있다. 문서 내에 음성 키워드가 생성되지 않은 하이퍼링크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하이퍼링크 태그를 탐색하는 단계(S230)로 돌아갈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자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 구조(400)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자료 구조(400)는 음성 키워드를 키(key)로, 하이퍼링크(hyperlink)를 해시 값(hash value)으로 구성하는 해시 테이블(hash table)일 수 있다. 하이퍼링크(hyperlink)는 예를 들어,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료 구조를 생성하기 때문에, 자료 구조를 이용하여 음성 명령에 대하여 더욱 신속한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키워드가 중복되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간 방송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180)는 방송을 출력함에 있어서, 방송 채널과 관련된 메뉴(500)를 마크업 언어로 작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이퍼링크 태그는 "MBC"라는 콘텐츠를, 제2 하이퍼링크 태그는 "KBS"라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하이퍼링크 태그에 대하여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MBC"와 관련된 실시간 방송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각 메뉴에 포함되는 하이퍼링크 태그들에 대한 음성 키워드들을 생성하고, 생성한 음성 키워드들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엠비씨"라는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MBC"와 관련된 실시간 방송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페이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페이지도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페이지를 이동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이전" 또는 "다음"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클릭해야 한다.
이러한 페이지가 마크업 언어로 작성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전" 및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음성 키워드(602, 604)를 생성하고, 생성한 음성 키워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목록"에 대한 음성 키워드(606)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에 있어서, 하이퍼링크 태그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함으로써, 터치나 클릭이 아닌 음성 명령으로 하이퍼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0)

  1.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하여 작성된 제1 문서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문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문서에 포함된 태그들 중 하이퍼링크 태그를 검색하고,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가 연결하는 제2 문서를 음성 명령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며,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상기 제1 문서와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문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은,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의 알트(alt) 및 타이틀(title)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재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문서의 하이퍼링크(hyperlink) 및 상기 음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자료 구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구조는,
    상기 음성 키워드를 키(key)로, 상기 하이퍼링크(hyperlink)를 해시 값(hash value)으로 구성하는 해시 테이블(hash t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하여 작성된 제1 문서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서에 포함된 태그들 중 하이퍼링크 태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가 연결하는 제2 문서를 음성 명령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에 대한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문서와 함께 상기 음성 키워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포함하는 텍스트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텍스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된 텍스트가 있는 경우, 상기 탐색된 텍스트를 이용하고, 상기 탐색된 텍스트가 없는 경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은,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의 알트(alt) 및 타이틀(title)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재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된 텍스트가 없고,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태그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서의 하이퍼링크(hyperlink) 및 상기 음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자료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구조는,
    상기 음성 키워드를 키(key)로, 상기 하이퍼링크(hyperlink)를 해시 값(hash value)으로 구성하는 해시 테이블(hash t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013469A 2013-02-06 2013-02-0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00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69A KR20140100315A (ko) 2013-02-06 2013-02-0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4/098,186 US20140223273A1 (en) 2013-02-06 2013-12-0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69A KR20140100315A (ko) 2013-02-06 2013-02-0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15A true KR20140100315A (ko) 2014-08-14

Family

ID=5126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469A KR20140100315A (ko) 2013-02-06 2013-02-0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23273A1 (ko)
KR (1) KR201401003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682A (ko) * 2017-05-12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726806B2 (en) 2017-05-12 202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2098B2 (en) 2014-11-06 2018-03-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based search and relevancy generation
US10203933B2 (en) 2014-11-06 2019-0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based command surfacing
KR20170100309A (ko) * 2016-02-25 201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제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4257B1 (ko) * 2017-02-22 2023-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의 문서 표시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511385B1 (ko) * 2018-04-09 2023-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1151B2 (en) * 2006-12-05 2010-12-28 Microsoft Corporation Web site structure analysis
US20090326945A1 (en) * 2008-06-26 2009-12-31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mixed language entry speech dictation system
US9183832B2 (en) * 2011-06-07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link and method for recognizing voic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682A (ko) * 2017-05-12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726806B2 (en) 2017-05-12 202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23273A1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0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611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음성 인식 방법
KR102148002B1 (ko) 대상물의 자동적 인식과 캡쳐
KR101861698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5282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557903B2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n terminal
KR1017018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03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3448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3914502A (zh) 使用情形识别的智能搜索服务的方法及其终端
KR101914548B1 (ko)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검색 결과 제공 방법
KR10161726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30000280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3240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0008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미지 정보 인식 방법
KR20130034885A (ko) 이동 단말 및 이의 지능형 정보 검색 방법
KR10198409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253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6169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83743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879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5720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3990A (ko) 태그를 이용한 단락 이동 서비스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9514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1303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