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928A - Method for display digital textbook and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 digital textbook and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928A
KR20140096928A KR1020130010121A KR20130010121A KR20140096928A KR 20140096928 A KR20140096928 A KR 20140096928A KR 1020130010121 A KR1020130010121 A KR 1020130010121A KR 20130010121 A KR20130010121 A KR 20130010121A KR 20140096928 A KR20140096928 A KR 20140096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data
layer
digital textbook
digital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에듀
Priority to KR102013001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6928A/en
Publication of KR2014009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9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textbook comprises a step of outputting digital textbook content on a first layer; a step of selecting multimedia data within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a step of outputting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on a second layer disposed over the first layer; and a step of replacing and outputting a page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disposed on the first layer when a page movement signal is inputted. Therefore,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and the multimedia data can be effectively shown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디지털 교과서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교과서{METHOD FOR DISPLAY DIGITAL TEXTBOOK AND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digital textbook, and a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본 발명은 디지털 교과서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교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컨텐츠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볼 수 있는 디지털 교과서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교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textbook and a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textbook and a digital textbook using the display method.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의 종이 교과서의 내용을 모두 전자적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자기기 상에서 컨텐츠의 내용을 조회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존의 종이 교과서에 비해 보다 많은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고, 텍스트 기반의 자료뿐 아니라, 그림이나 사진자료, 소리 및 영상 등을 출력하여 보다 많은 매체를 포함하도록 응용 가능한 장치이다.Digital textbooks are devices that convert the contents of existing paper textbooks into electronic data and inquire contents of contents on electronic devices. It can include more contents than existing paper textbooks, and is a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include more media by outputting not only text-based data but also pictures, photographs, sounds and images.

이러한 디지털 교과서를 표시하는 방법은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교양서와 같은 일반적인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 하나의 화면에서 하나의 컨텐츠만을 표시하는 것은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전체적인 흐름을 바탕으로 페이지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컨텐츠를 보아도 전체적인 내용 파악에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In order to display such a digital textbook, it is common to display one content on one screen. In the case of general digital contents such as cultural books, displaying only one content on one screen is not a big problem. It is because there is no difficulty in grasping the whole contents even if the contents are viewed while moving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page based on the whole flow.

하지만 교과서와 같이 컨텐츠의 내용 전체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중요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다른 페이지의 컨텐츠 내용과 함께 참조하면서 보는 것이 컨텐츠의 이해에 더욱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자료를 포함하는 페이지와 실제 보고자 하는 컨텐츠를 포함한 페이지를 계속적으로 옮겨 가면서 내용을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며,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불편한 과정이 아닐 수 없다. However, whe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whole content contents like a textbook, it is often helpful to understand important multimedia contents by referring to the content contents of other pages together with the contents of other pages. In the case of a general digital textbook, in such a case, it is inconvenient to view the contents including the page including the multimedia data and the contents including the actual contents to be viewed, and it is a very inconvenient process for the learner.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별도의 레이어로 표시하여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효과적으로 볼 수 있는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display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and multimedia data by display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and multimedia data in a separate layer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이용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textbook using the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표시 방법은 제1 레이어에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가 출력 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내 멀티미디어 자료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어 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출력되는 단계 및 페이지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레이어에 위치하는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페이지가 교체되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digital textbooks, including the steps of outputt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to a first layer, selecting multimedia data in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Outputting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to a second layer located at the first layer, and outputting a page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located at the first layer when the page movement signal is inpu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자료가 이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ultimedia data output from the second layer may be mov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자료가 확대 또는 축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second layer may be enlarged or reduc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자료를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와 교체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ultimedia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replaced with the multimedia data output from the second lay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은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멀티미디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multimedia data output from the second layer in a multimedia storage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자료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further includes deleting multimedia data stored in the multimedia storage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djusting transparency of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second layer.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는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 레이어에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출력하고, 제2 레이어에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에서 선택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 저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textbook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to a first layer,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multimedia data selected from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put unit, the storage unit, and the display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크기를 확대 및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enlarge or reduce the size of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second lay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출력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controls an output position of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second lay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media storage unit for storing multimedia data output from the second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이와 같은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교과서에 따르면, 학습자가 멀티미디어 자료가 포함되는 디지털 교과서를 보면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함과 동시에 계속적으로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참조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레이어로 멀티미디어 자료를 표시하게 하여, 이를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textbook displaying method and the digital textbook using the digital textbook, when a learner moves to another page while viewing a digital textbook including multimedia data and continuously refers to the same multimedia data, So that it can be referred to.

또한, 필요한 경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를 조절하여, 효과적인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자료와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동시에 열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ize of the multimedia data displayed on the layer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and the size of the multimedia data displayed on the other layer can be adjusted and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ultimedia data and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can be browsed simultaneously.

또한, 필요한 경우 별도의 레이어로 출력된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저장 및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자주 참조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참조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storing and replacing the multimedia data output as a separate layer when necessary, frequently referenced multimedia data can be referenced more effectively.

또한, 필요한 경우 멀티미디어 자료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학습자가 하부 레이어에 표시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전부와 멀티미디어 자료 전부를 동시에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learner can control the transparency of the multimedia data so that all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displayed on the lower layer and all of the multimedia data can be simultaneously view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이용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 및 7b는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using the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FIGS. 10A to 10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이용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using the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은 제1 레이어에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가 출력 되는 단계(S10),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내 멀티미디어 자료가 선택되는 단계(S100), 제1 레이어 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출력되는 단계(S200) 및 페이지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위치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페이지가 교체되어 출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10) outputt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to a first layer, selecting multimedia data in digital textbook contents (S100) A step S200 of outputting the multimedia data selected in the second layer positioned higher than the layer, and a step S300 of replacing and outputting the page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located in the first layer when the page movement signal is input .

'레이어(layer)'는 여러 개의 화상을 겹쳐 형성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이다. 각각의 레이어는 해당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떤 레이어 보다 상위 레이어에 있는 위치에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위 레이어에 존재하는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며, 하위 레이어에 위치하는 이미지는 상위 레이어에 존재하는 이미지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된다. 관찰자의 입장에서 보면 여러 개의 층이 겹쳐서 표시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레이어라는 개념을 이용한다. 레이어의 개념은 표시부에서 이미지를 표시하기 이전에 최종적인 이미지를 처리하는 논리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별도의 레이어로 출력된다는 것의 의미는 별도의 레이어로 이미지들을 구성한 후, 레이어의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최종적인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는 의미이다.A 'layer' is a concept used to display images formed by overlapping multiple images. Each layer can contain a corresponding image. If an image exists at a position higher than a certain layer, the image existing in the upper lay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image positioned in the lower layer exists in the upper layer It is not vi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the concept of layer is used because several layers appear to overlap. The term " layer " refers to a logical process of processing a final image before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output as a separate layer " means that images are formed in a separate layer, And the final image is generated and output.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제2 레이어에 출력하고,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는 제2 레이어 보다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제1 레이어에 출력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자료들이 위치하는 곳은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고, 멀티미디어 자료만 표시되며, 멀티미디어 자료가 위치하지 않는 곳은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가 표시 된다. 만일 제1 레이어에 출력되는 디지털교과서 컨텐츠가 교체되는 경우에는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는 변하지 않고, 다른 곳에 표시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만 교체된다.In this embodiment, the multimedia data is output to the second layer, and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are output to the first layer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second layer. Therefore, the place where the multimedia data is located does not display the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but only the multimedia data is displayed. Where the multimedia data is not located, the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are displayed. I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output to the first layer is replaced,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does not change but only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displayed elsewhere is replaced.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1000)는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240),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220), 제1 레이어에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출력하고, 제2 레이어에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에서 선택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출력하는 표시부(110) 및 상기 입력부(240), 저장부(220) 및 표시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gital textbook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unit 240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a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A display unit 110 for outputting multimedia data selected from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to a second layer, and a controller 230 for controlling the input unit 240, the storage unit 220, and the display unit 110.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1000)는 테블릿 형태의 전자 기기입력일 수 있다. 입력부(240)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디지털 교과서(1000)가 테블릿 형태의 전자 기기인 경우에는 입력부(240)와 표시부(110)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가능한 경우 음성 입력 등 다양한 수단의 입력 장치가 입력부(240)에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제1 레이어에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출력하고, 제2 레이어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를 출력한다. The digital textbook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input of an electronic device in the form of a tablet. The input unit 240 may be a general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but may be a touch panel in which the input unit 240 and the display unit 110 are integrally formed when the digital textbook 1000 is a tablet- . In addition, an input device of various means such as voice input may be used for the input unit 240 if possible. The display unit 110 outputs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to the first layer and outputs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to the second layer.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모드에서 디지털 교과서(1000)가 표시되는 방법이 도시 된다. 표시부(110)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표시한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1 레이어에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가 출력 되는 단계(S10)에 해당되는 단계이다.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는 제1 레이어에 출력되나, 실질적으로 제2 레이어가 출력되지 않고 있으므로, 다른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표시 된다.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는 본문 컨텐츠(121a) 및 멀티미디어 자료(122)를 포함한다.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는 페이지 별로 표시되고, 모든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페이지가 멀티미디어 자료(122)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페이지에 멀티미디어 자료(122)가 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자료(122)가 표시되며, 사용자 또는 학습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도록 표시 된다.Referring to FIG. 3, a method is shown in which a digital textbook 1000 is displayed in a general mode.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digital textbook contents. 1 corresponds to step S10 of outputt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to the first layer.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are output to the first layer, but since the second layer is not actually output, it is displayed as if no other layer exists.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include a main content 121a and a multimedia data 122. [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is displayed on a page-by-page basis, and not all digital textbook content pages include the multimedia data 122. [ In the case where the multimedia data 122 is present on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page, the multimedia data 122 is displayed and displayed so as to be selectable by the user or the learner.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사용자 또는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표시부에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multimedia data selected by a user or a learner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은 사용자 또는 학습자에 의해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내 멀티미디어 자료가 선택되며(S100), 제1 레이어 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출력된다(S200).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22)와 동일한 자료(130 a)가 제2 레이어에 표시되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121a, 122)가 표시되는 제1 레이어 상에 제2 레이어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 a)는 모두 표시되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121a, 122)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a)가 위치하는 않는 부분만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a)가 상위에 존재하고,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121a, 122)는 하위에 존재하는 것처럼 인지 된다.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121a, 122)는 사용자 또는 학습자의 교체 명령에 의해 해당하는 페이지에 따라 내용이 변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ultimedia data in digital textbook contents is selected by a user or a learner (S100), and multimedia data selected in a second layer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layer (S200). The same data 130a as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22 is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on which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121a and 122 are displayed. Accordingly, all of the selected multimedia materials 130a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are displayed, and only portions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121a and 122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are displayed without the selected multimedia material 130a.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user or the learner,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a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exists in the upper layer, and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121a and 122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are recognized as existing in the lower layer. The content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121a and 122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page by a replacement instruction of a user or a learner.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를 통하여 페이지 교체 명령을 받는 경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페이지가 변화되어 출력된다. 디지털 교과서(1000)의 표시부(110)에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121b)가 교체되었으나,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a)는 동일하게 표시 된다.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121b)와 멀티미디어 자료(131a)는 서로 다른 레이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121b)가 다른 페이지로 교체되어도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a)는 변화되지 않는다. 학습자 또는 사용자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페이지를 계속 넘기면서 컨텐츠를 보면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자료(130a)를 계속적으로 보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hen a page replacement instruction is received through an input unit, pages of digital textbook contents are changed and output.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121b is replaced with the display unit 110 of the digital textbook 1000, but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a is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Since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121b and the multimedia data 131a are located on different layers,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a does not change even i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121b is replaced with another page. The learner or the user can continue to watch the multimedia contents 130a while watching the contents while continuing to pass the pages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은 제1 레이어에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가 출력 되는 단계(S10),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내 멀티미디어 자료가 선택되는 단계(S100), 제1 레이어 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출력되는 단계(S200), 멀티미디어 자료의 이동 및 변형 단계(S210) 및 페이지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위치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페이지가 교체되어 출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도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멀티미디어 자료의 이동 및 변형 단계(S210)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6, the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10) outputt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to a first layer, (S100) selecting multimedia data in digital textbook contents, A step S200 of outputting the multimedia data selected in the second layer located at the first layer, a step S210 of moving and transforming the multimedia data, and a step of replacing the page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located at the first layer, (Step S300).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1, the steps are substantially the same except for the step of moving and transforming multimedia data S210.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는 제2 레이어에 표시되나,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를 표시할 때는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일부분은 항상 표시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들의 크기 및 위치를 변형할 필요가 있다.The selected multimedia data is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However, when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is displayed, a portion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is not always displayed.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use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도 7a 및 7b는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7A and 7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7a를 참조하면,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의 크기가 조절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는 원하는 형태 또는 크기로 조절될 수 있다.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는 같은 크기의 비율로 축소되거나 확대될 수 있으며, 다른 크기의 비율로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의 크기를 줄이거나 늘이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의 모서리 부근에 커서를 이동하여, 커서의 모양이 변형되는 지점에서 클릭 앤 드래그 방식으로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크기의 멀티미디어 자료(130a')에서 축소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로 크기가 축소되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비율로서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며, 다른 비율로의 크기도 변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size of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b is adjusted.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b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shape or size.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b may be reduced or enlarged in the same size ratio, and the size may be adjusted at a different ratio. If the size of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b is to be reduced or increased as in the general method, the cursor is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edge of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b, and the cursor is moved The size of the multimedia data 130b can be adjusted. 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multimedia data 130a 'is reduced from the previous size of the multimedia data 130a' to the size of the reduced multimedia data 130b. As already mentioned,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contract at the same rate, and to vary the size at different rates.

도 7b를 참조하면,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는 표시부(110) 상에서 표시되는 위치가 변화된다.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일부를 보고자 하는 경우, 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를 화면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고자 하는 경우 위치를 변화할 수 있다.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0b') 상에 커서를 이동하여, 커서의 모양이 이동하는 형태로 변형되는 지점에서 클릭 앤 드래그 방식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b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s changed. When the user desires to view a part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or when the selected multimedia material 130b 'is desir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the position can be changed.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b 'is changed, the cursor is moved on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0b' as in the general method, and the cursor is moved in a click-and-drag manner It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은 제1 레이어에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가 출력 되는 단계(S10),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내 멀티미디어 자료가 선택되는 단계(S100), 제1 레이어 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출력되는 단계(S200), 멀티미디어 자료를 등록 및 교체하는 단계 (S220) 및 페이지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위치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페이지가 교체되어 출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도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멀티미디어 자료의 등록 및 교체 단계(S210)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10) outputting digital textbook content to a first layer, (S100) selecting multimedia data in a digital textbook content, A step S200 of registering and replacing the multimedia data selected in step S220, and a step of replacing and outputting the page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located on the first layer when the page movement signal is input S300). Is substantially the same except for the registration and replacement step (S210) of multimedia data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자주 참고해야 하는 멀티미디어의 자료가 있거나, 여러 개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번갈아 참고해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부에 등록하고, 필요할 때마다 불러들여 교체하여 참고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럴 때마다 해당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한 후에 멀티미디어 자료를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므로, 별도의 장소에 이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불러들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If there is multimedia data that should be frequently referred to, or if it is necessary to refer to multiple multimedia data alternately, it may be necessary to register the data in a separate storage unit, and to refer to each other whenever necessary. It is troublesome to select the multimedia data after moving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textbook content page every time. Therefore, it can be stored in a separate place, and can be called up and displayed whenever necessary.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9를 참조하면, 선택되어 제2 레이어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자료(130a)의 좌측 하단에는 저장 버튼(151)이 표시된다. 이러한 저장 버튼(151)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된 멀티미디어 표시부(140) 상에 저장 기록이 표시되어, 필요한 경우 저장된 멀티미디어 표시부(140)를 선택함으로써, 이를 불러들일 수 있다.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130a)는 별도의 멀티미디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저장부에는 멀티미디어 자료(130a) 전부가 저장되거나,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내에 위치하는 참조 어드레스 만을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에서 불러들이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학습자는 자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저장 버튼(151)을 선택함으로써, 저장된 멀티미디어 표시부(140) 상에 등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storage button 151 is displayed at the lower left of the multimedia data 130a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storage button 151, the storage record is displayed on a separate stored multimedia display unit 140, and the selected multimedia display unit 140 can be selected, if necessary. The multimedia data 130a to be stored may be stored in a separate multimedia storage unit. In the multimedia storage unit, all of the multimedia data 130a may be stored, or only reference addresses located in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may be stored, Can be adopted. Accordingly, the user or the learner can register the frequently used multimedia data on the stored multimedia display unit 140 by selecting the storage button 151.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FIGS. 10A to 10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10a를 먼저 참조하면, 사용자 또는 학습자에 의해 멀티미디어 자료(130a)가 등록된 모습이 도시된다. 하나의 멀티미디어 자료(130a)가 선택되어 저장된 경우 저장된 멀티미디어 표시부(140a) 상에는 여러 개의 버튼 중 하나가 활성화 된 상태로 표시됨으로써 멀티미디어 저장부에 저장되었음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된 멀티미디어 표시부(140a)는 각각 원문자 '①②③④'로 표시되며, 이중 '①'는 조금 더 큰 크기의 볼드체로 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①'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자료가 표시됨을 나타낸다. 이러한 표시 방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하나의 멀티미디어 자료(130a)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다른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되는 멀티미디어 자료(130a)가 저장된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자료(130a)의 좌측 하단에 삭제 버튼(152)에 표시되어,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0A, a multimedia data 130a is registered by a user or a learner. When one multimedia data 130a is selected and stored,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displayed on the stored multimedia display unit 140a in an activated state to indicate that the multimedia data is stored in the multimedia storage unit 140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ed multimedia display unit 140a is represented by the circled characters '①②③④', and '①' is displayed as a bold body of a slightly larger size. Indicates that the multimedia data corresponding to '1' is currently displayed. This display method is only one example, and various other methods may be used to indicate that one multimedia data 130a is stored. If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data 130a is stored, the delete button 152 is displayed at the lower left of the multimedia data 130a so that the multimedia data 130a can be deleted from the multimedia storage 130a.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사용자 또는 학습자에 의해 저장된 멀티미디어 표시부(140b)에서 다른 멀티미디어 자료들(131a, 132a)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디지털 교과서에 삽입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는 이미지뿐 아니라, 동영상, 각종 음성 자료 및 3D 오브젝트 등 다양한 자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c의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자료(132a)가 표시되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저장된 멀티미디어 자료(131a, 132a)에는 삭제 버튼(152)이 표시되어, 사용자 또는 학습자가 원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이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저장부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부(110)의 좌측 하단에 표시되는 저장된 멀티미디어 표시부(140b, 140c)는 한정되지 않은 개수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된 멀티미디어 표시부(140b, 140c)가 각각 네 개의 아이콘을 포함하지만, 네 개 이상 또는 세 개 이하의 다양한 개수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S. 10B and 10C, another multimedia data 131a and 132a are selected in the multimedia display unit 140b stored by a user or a learner. The multimedia data inserted into the digital textbook may include not only images but also various materials such as moving images, various voice data, and 3D objects. In the embodiment of FIG. 10C, the moving image data 132a i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e delete button 152 is displayed on each of the stored multimedia data 131a and 132a so that the multimedia storage unit can delete the delete button 152 if the user or the learner wants it. The number of multimedia data stored in the multimedia storage unit is not limited, and an unlimited number of icons may be displayed in the multimedia display units 140b and 140c displayed at the lower left of the display unit 11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ed multimedia display units 140b and 140c include four icons,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icons of four or more or three or fewer may be displayed.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textbook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3a)의 투명도가 변화 되어 표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b의 실시예에서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1a)의 투명도가 변화되어 표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11, the transparency of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3a is changed and displayed. In this embodiment, the other componen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except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multimedia data 131a selected in the embodiment of FIG. 10B is changed and displayed.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3a)는 사용자 또는 학습자가 조절하는 투명도에 따라 표시된다.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3a)의 투명도가 변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3a)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121a)의 내용이 반투명한 상태로 표시된다.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3a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is displayed according to transparency adjusted by the user or the learner. When the transparency of the selected multimedia material 133a changes, the content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121a displayed in the first layer existing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elected multimedia material 133a is displayed in a semi-transparent state.

투명도에 따른 멀티미디어 자료(133a)의 이미지 프로세싱은 실질적으로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133a)로 표시되는 이미지와 하위 레이어에 존재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이미지를 일정한 비율로 섞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학습자 또는 사용자의 시점에서는 상위 레이어에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133a)가 마치 투명한 상태인 것처럼 느껴진다.The image processing of the multimedia data 133a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is to display an image in which an image represented by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133a and an image of digital textbook contents existing in a lower layer are mixed at a predetermined ratio. At the viewpoint of the learner or the user, the multimedia data 133a in the upper layer appears as if it is in a transparent state.

이러한 투명도 처리를 한 경우에는 학습자는 제1 레이어에 존재하는 디지털 컨텐츠 자료 모두와 제2 레이어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transparency processing is performed, the learner has the advantage of viewing both the digital content data existing in the first layer and the multimedia data existing in the second layer at the same tim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멀티미디어 자료가 포함되는 디지털 교과서를 보면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함과 동시에 계속적으로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참조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레이어로 멀티미디어 자료를 표시하게 하여, 이를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a learner moves to another page while viewing a digital textbook including multimedia data and continuously refers to the same multimedia data, the multimedia data is displayed in a separate layer, .

또한, 필요한 경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를 조절하여, 효과적인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자료와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동시에 열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ize of the multimedia data displayed on the layer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and the size of the multimedia data displayed on the other layer can be adjusted and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ultimedia data and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can be browsed simultaneously.

또한, 필요한 경우 별도의 레이어로 출력된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저장 및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자주 참조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참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storing and replacing the multimedia data output as a separate layer when necessary, frequently referenced multimedia data can be referenced more effectively.

또한, 필요한 경우 멀티미디어 자료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학습자가 하부 레이어에 표시되는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전부와 멀티미디어 자료 전부를 동시에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learner can control the transparency of the multimedia data so that all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displayed on the lower layer and all of the multimedia data can be simultaneously view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 디지털 교과서
110 : 표시부 220 : 저장부
230 : 제어부 240 : 입력부
250 : 멀티미디어 저장부
121a, 121b :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122 : 멀티미디어 자료
130a, 130b, 131a, 132a, 133a: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
1000: Digital textbooks
110: display unit 220: storage unit
230: control unit 240: input unit
250: Multimedia storage unit
121a and 121b: Digital textbook contents
122: Multimedia materials
130a, 130b, 131a, 132a, 133a:

Claims (11)

제1 레이어에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가 출력 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내 멀티미디어 자료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어 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출력되는 단계; 및
페이지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레이어에 위치하는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의 페이지가 교체되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
Outputt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to a first layer;
Selecting multimedia data in the digital textbook contents;
Outputting the selected multimedia data to a second layer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layer; And
When a page movement signal is input, replacing and outputting a page of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located in the first layer;
And displaying the digital tex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자료가 이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moving the multimedia data output from the second layer to the second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자료가 확대 또는 축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panding or reducing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second layer.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자료를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와 교체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ltimedia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replaced with the multimedia data output from the second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멀티미디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storing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second layer in a multimedia storage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자료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leting multimedia data stored in the multimedia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표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djusting transparency of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second layer.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 레이어에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를 출력하고, 제2 레이어에 상기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에서 선택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 저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교과서.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digital textbook content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to a first layer and outputting multimedia data selected from the digital textbook content to a second lay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unit, the storage unit, and the display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크기를 확대 및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enlarges or reduces the size of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second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출력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position of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second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multimedia storage unit for storing multimedia data output from the second layer.
KR1020130010121A 2013-01-29 2013-01-29 Method for display digital textbook and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 KR201400969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121A KR20140096928A (en) 2013-01-29 2013-01-29 Method for display digital textbook and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121A KR20140096928A (en) 2013-01-29 2013-01-29 Method for display digital textbook and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28A true KR20140096928A (en) 2014-08-06

Family

ID=5174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121A KR20140096928A (en) 2013-01-29 2013-01-29 Method for display digital textbook and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692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16686B2 (en) System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a display device
US8739073B2 (en) User interface for document table of contents
CN104115105B (en) Gradually page transition on electric paper display
US9477642B2 (en) Gesture-based navigation among content items
US20150046853A1 (en) Computing Device For Collaborative Project Management
US20110050687A1 (en) Presentation of Objects in Stereoscopic 3D Displays
US9477381B2 (en) User interface for toolbar navigation
JP5862103B2 (en) Electronic blackboard device, screen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9792268B2 (en) Zoomable web-based wall with natural user interface
KR20140047594A (en) Electronic book navig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387009B2 (en)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9940014B2 (en) Context visual organizer for multi-screen display
TWI450106B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page tearing off effect
US10908764B2 (en) Inter-context coordination to facilitate synchronized presentation of image content
JP607011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20507174A (en) How to navigate the panel of displayed content
KR20140096928A (en) Method for display digital textbook and digital textbook using the same
JP6945345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2303152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303152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W201701145A (en) Electronic book graphic/text display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llowing users to enjoy the browsing feeling of original beautiful pages of the electronic book,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reading plain texts
TW201227496A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KR20150033196A (en) Method of seaching for contents and device
JP2005148782A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program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15087807A (en) Device and program for viewing electronic 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