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261A -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ccording to grip type of us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ccording to grip type of us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261A
KR20140086261A KR1020120156531A KR20120156531A KR20140086261A KR 20140086261 A KR20140086261 A KR 20140086261A KR 1020120156531 A KR1020120156531 A KR 1020120156531A KR 20120156531 A KR20120156531 A KR 20120156531A KR 20140086261 A KR20140086261 A KR 20140086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mobile device
grip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부식
이철동
이상엽
최효섭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261A/en
Publication of KR2014008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2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according to a grip type of a user and a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grip hand of a user and controls a screen display type based on the grip h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operational convenienc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large screen by controlling the screen by changing the size or type of the screen depending on the grip type of the user.

Description

사용자 그립 형태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ccording to grip type of us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according to a user grip typ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이 비교적 커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모바일 기기에서 화면 표시 방식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method in a mobile device that is relatively difficult for a user to operate with one hand because the screen is relatively large.

넓은 화면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와 터치 스크린 가격의 하락은, 모바일 기기의 화면 크기를 커지게 하였다. 화면 크기가 커지면, 많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세부 정보를 크게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하게 된다.Users' preferences for wide screen and the drop in touch screen price have increased the screen size of mobile devices. When the screen size is large, it is possible to displa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s well as to displa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하지만, 화면 크기 증가가 반드시 좋은 것 만은 아니다. 도 1에는 대형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사용자가 그립한 상황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왼손으로 그립하고 있는 사용자는 화면 우측 상부에 나타난 아이콘들을 왼손으로 터치하여 선택할 수 없다.However, increasing the screen size is not necessarily a good thing. FIG. 1 illustrates a situation where a user grips a mobile device having a large screen. 1, a user gripping the mobile device with his or her left hand can not select the icons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of the screen by touching with the left hand.

이 아이콘들을 선택하려면 오른손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오른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예를 들면, 이동 중에 짐을 들고 있는 상황)의 경우, 불가능할 수도 있다.
You must use the right hand to select these icons, which may not be possible in situations where your right hand is not free (for example, holding a load on the mo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그립 형태에 따라 화면 크기나 화면 형태 등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by changing a screen size or a screen shape according to a user grip shape and a mobile device using the method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그립 손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립 손을 기초로, 화면 표시 방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reen control method including: sensing a grip of a user; And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method based on the grip hand.

그리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그립 손이 왼손으로 판단되면, 화면의 표시 내용을 왼쪽 아래 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그립 손이 오른손으로 판단되면, 화면의 표시 내용을 우측 아래 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step may include: reducing the display content of the screen to the lower left direction when the grip hand is determined as the left hand; And reducing the display contents of the screen to the right downward direction when the grip hand is determined as a right han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상기 그립 손이 왼손과 오른손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 표시 방식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maintaining the screen display mode when the grip hand is determined as a left hand and a right han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화면 표시 내용을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화면 표시 내용이 사용자 조작용 화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grasping screen display contents, and in the case where the screen display content is judged to be a user-operated screen, Can be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상기 화면 표시 내용이 사용자 감상용 화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방식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maintaining the screen display mode when the screen display content is determined to be a screen for user apprecia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의 그립 손을 감지하는 센서; 화면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그립 손을 기초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화면 표시 방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device including: a sensor for sensing a grip of a user; A touch screen displaying a scree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mode of the touch screen based on the grip hand sensed by the senso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그립 형태에 따라 화면 크기나 화면 형태 등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화면을 제어하여, 큰 화면의 모바일 기기에 대해서도 조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creen by changing the screen size or the screen shape according to the user grip shape, and to provide a convenient operation for a mobile device with a large screen.

또한, 조작용 화면이 아닌 감상용 화면에 대해서는 화면 변경을 수행하지 않고, 조작용 화면에 대해서만 화면 변경을 수행하게 되므로, 대형 화면의 이점을 충분히 살리면서 사용성 증대를 추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creen change is performed only for the manipulation screen, the screen for the impression screen other than the manipulation screen is not changed,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sought while full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large screen.

도 1은 대형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사용자가 그립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의 내부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립 형태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화면 변경 방식의 구체적인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user grips a mobile device having a large scree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device shown in Fig. 2,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according to a user grip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specific examples of the screen change metho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사용자 그립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상 편의성 향상을 위해 화면 표시 방식을 제어한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screen display method to improve the user's operational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 grip.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의 외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120) 및 터치 스크린(160)이 마련된다.1, the left hand grip sensing sensor 110, the right hand grip sensing sensor 120, and the touch screen 160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은 사용자가 왼손으로 모바일 기기(100)를 그립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120)는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모바일 기기(100)를 그립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The lef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10 i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has gripped the mobile device 100 with his or her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has gripped the mobile device 100 with his right hand Sensor.

1) 사용자가 왼손으로 모바일 기기(100)를 그립한 경우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만이 사용자를 감지하고,1) When the user grips the mobile device 100 with the left hand, only the lef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10 detects the user,

2)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모바일 기기(100)를 그립한 경우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120)만이 사용자를 감지하며,2) When the user grips the mobile device 100 with his right hand, only the righ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20 detects the user,

3) 사용자가 양손으로 모바일 기기(100)를 그립한 경우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와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120) 모두가 사용자를 감지하게 된다.3) When the user grips the mobile device 100 with both hands, both the lef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10 and the righ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20 sense the user.

터치 스크린(160)은 다양한 정보가 나타난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하는 한편, 터치 등의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 기능한다.The touch screen 160 functions as a display for displaying a screen on which various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s a user input means for receiving a user operation such as a touch.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100)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0)는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및 터치 스크린(160)을 구비한다.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device 100 shown in FIG. 3,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a lef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10, a righ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nd a touch screen 160 ).

통신부(130)는 외부기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수단이고, 저장부(150)는 모바일 기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an external network, and the storage unit 150 is a storage medium in which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mobile device 100 is installed and necessary data is stored.

제어부(140)는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와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120)의 감지결과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결과들을 기초로 터치 스크린(160)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이하에서, 제어부(140)에 의한 화면 제어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left hand grip sensing sensor 110 and the right hand grip sensing sensor 120 and controls the display of the touch screen 160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results. Hereinafter, the screen control process by the control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립 형태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according to a user grip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40)는 현재 터치 스크린(160)에 표시된 화면이 사용자 조작용 화면인지 아니면 사용자 감상용 화면인지 판단한다(S210 & S260).4, the controller 140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60 is a user-operated screen or a user-recognized screen (S210 & S260).

사용자 조작용 화면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60)을 터치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 화면으로, 예를 들어, 홈 메뉴들이 표시된 홈 화면은 사용자 조작용 화면에 해당한다.For example, a home screen displaying home menus corresponds to a user manipulation screen, for example, where a user manipulation screen is a main purpose that a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160 to input a user command.

사용자 감상용 화면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60)을 보는 것이 주된 목적인 화면으로,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화면은 사용자 감상용 화면에 해당한다.The user appreciation screen is a screen whose main purpose is to view the touch screen 160 by a user. For example, the media player screen corresponds to a screen for user appreciation.

사용자 조작용 화면은 화면 전반에 걸쳐, 아이콘이나 메뉴들이 분포하는 반면, 사용자 감상용 화면은 아이콘이나 메뉴들이 숨겨져 있거나 있더라도 화면의 일부(주로 아래 부분)에만 분포한다.User manipulation screens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screen, with icons and menus distributed, while user-assisted screens are distributed only on a part of the screen (mainly the lower part), even though icons or menus are hidden.

현재 터치 스크린(160)에 표시된 화면이 사용자 조작용 화면인 경우(S210-Y),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그립 상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160)에서의 화면 표시 방식을 제어한다(S220 내지 S250).If the screen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60 is the user operation screen (S210-Y),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screen display mode on the touch screen 160 according to the grip state of the user (S220 to S250 ).

구체적으로,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만이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즉, 사용자가 왼손으로 모바일 기기(100)를 그립한 경우)(S220-Y),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60)에서 화면의 표시 내용을 왼쪽/아래 방향으로 축소시킨다(S230).More specifically, when only the lef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10 detects the user (i.e., the user grips the mobile device 100 with the left hand) (S220-Y),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ouch screen 160 The display content of the screen is reduced in the left / down direction (S230).

반면,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120)만이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즉,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모바일 기기(100)를 그립한 경우)(S240-Y),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60)에서 화면의 표시 내용을 오른쪽/아래 방향으로 축소시킨다(S250).In contrast, if only the righ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20 detects the user (i.e., the user grips the mobile device 100 with the right hand) (S240-Y),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ouch screen 160 Is reduced to the right / down direction (S250).

한편,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와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120) 모두가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즉, 사용자가 양손으로 모바일 기기(100)를 그립한 경우),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60)에서 화면 표시 방식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킨다.If both the left hand grip sensing sensor 110 and the right hand grip sensing sensor 120 sense the user (i.e., the user grips the mobile device 100 with both hands),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ouch screen 160) without changing the screen display mode.

즉,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와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120)에 의한 사용자 감지 결과는 무시된다.That is, the results of user detection by the lef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10 and the righ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20 are ignored.

또한, 현재 터치 스크린(160)에 표시된 화면이 사용자 조작용 화면이 아닌 사용자 감상용 화면인 경우에도(S260-Y),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60)에서 화면 표시 방식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킨다.Even if the current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60 is a screen for user appreciation rather than a user operation screen (S260-Y), the control unit 140 maintains the screen display method on the touch screen 160 .

지금까지, 사용자 그립 형태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Up to now,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user grip type and the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위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그립 상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160)에 표시된 화면 내용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축소시키면서 화면 표시 방식을 변경하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screen display mode is changed while reducing the screen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60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grip state of the user,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 화면 표시 방식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그립 상태에 따라 표시 화면 전부를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 내용중 일부 만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splay method in a different mann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ange only a part of the screen content, instead of reducing the entire display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grip state of the user.

예를 들어, 표시 화면에 나타난 아이콘이나 메뉴만을 사용자가 그립한 손이 위치한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표시 화면에 나타난 아이콘이나 메뉴만을 이동시키되 "축소시키면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ove only the icon or th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o the side where the hand gripped by the user is located.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move only the icons or the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nd "move while reducing."

도 7에는 왼손 그립 감지 센서(110)만이 사용자를 감지하여(즉, 사용자가 왼손으로 모바일 기기(100)를 그립하여), 터치 스크린(160)에 표시된 화면 중 아이콘들만 왼쪽/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축소시킨 상황을 도시하였다.In FIG. 7, only the lef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10 senses a user (i.e., the user grips the mobile device 100 with his / her left hand), moves only icons i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60 in the left / Respectivel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가능한데, 모바일 기기의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스마트폰은 물론 태블릿 PC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가능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mobile device, bu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a mobile devic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smart phones but also to tablet PC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모바일 기기 110 : 왼손 그립 감지 센서
120 : 오른손 그립 감지 센서 130 : 통신부
140 : 제어부 150 : 저장부
160 : 터치 스크린
100: mobile device 110: lef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20: right hand grip detection sensor 130:
140: control unit 150:
160: Touch screen

Claims (6)

사용자의 그립 손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립 손을 기초로, 화면 표시 방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Sensing a grip of a user; And
And controlling the screen display method based on the grip h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그립 손이 왼손으로 판단되면, 화면의 표시 내용을 왼쪽 아래 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그립 손이 오른손으로 판단되면, 화면의 표시 내용을 우측 아래 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tep comprises:
Reducing the display content of the screen to the lower left direction if the grip hand is determined as the left hand; And
And reducing the display content of the screen to the lower right direction if the grip hand is determined as a right h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손이 왼손과 오른손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 표시 방식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maintaining the screen display mode when the grip hand is determined as a left hand and a right hand.
제 1항에 있어서,
화면 표시 내용을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화면 표시 내용이 사용자 조작용 화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방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control step comprises:
Wherein the screen display method is controlled when the screen display content is determined to be a user operation scree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내용이 사용자 감상용 화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방식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maintaining the screen display mode when the screen display content is determined to be a screen for user appreciation.
사용자의 그립 손을 감지하는 센서;
화면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그립 손을 기초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화면 표시 방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A sensor for sensing a user's grip hand;
A touch screen displaying a screen;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mode of the touch screen based on the grip hand sensed by the sensor.
KR1020120156531A 2012-12-28 2012-12-28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ccording to grip type of us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862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531A KR20140086261A (en) 2012-12-28 2012-12-28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ccording to grip type of us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531A KR20140086261A (en) 2012-12-28 2012-12-28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ccording to grip type of us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261A true KR20140086261A (en) 2014-07-08

Family

ID=5173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531A KR20140086261A (en) 2012-12-28 2012-12-28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ccording to grip type of us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26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6148B1 (en) 2019-12-26 2021-03-02 Sap Se Touch interaction in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USD949191S1 (en) 2019-12-26 2022-04-19 Sap Se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6148B1 (en) 2019-12-26 2021-03-02 Sap Se Touch interaction in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USD949191S1 (en) 2019-12-26 2022-04-19 Sap Se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27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US96718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touch screen with varying sensitivity regions
US201802758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KR1019952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i of touch device
KR102519800B1 (en) Electronic device
JP5759660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input method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EP2455850B1 (en) Method for scrolling screen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device thereof
KR1013523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y using remote controller
JP6319298B2 (en)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US20140055384A1 (en) Touch panel and associated display method
KR20130090138A (en) Operation method for plural touch panel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100928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i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touch screens
AU2013276998A1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150069420A (en) Control method of computer device using keyboard equipped with touch screen
US1156772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JP2014179877A (en) Display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device
KR20150072719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164676A (en) Display device and program
KR20120023867A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WO20131757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3145556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86261A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ccording to grip type of us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10132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thereof
KR101598671B1 (en) Keyboard having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