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699A -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Machine Having Audio Control Keys - Google Patents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Machine Having Audio Control Key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699A
KR20140085699A KR1020120154461A KR20120154461A KR20140085699A KR 20140085699 A KR20140085699 A KR 20140085699A KR 1020120154461 A KR1020120154461 A KR 1020120154461A KR 20120154461 A KR20120154461 A KR 20120154461A KR 20140085699 A KR20140085699 A KR 20140085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control
keypad
driver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옥
Original Assignee
화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남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5699A/en
Publication of KR2014008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6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apparatus which is used for driving-related operations such as the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wind direction control, sound control, etc. by being installed at a driver seat of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bulldozers, cranes, etc. and, more specifically, to a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audio control keys having a keypad apparatus attached at the location where a driver can easily see and easily control the same, wherein the keypad apparatus has the audio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the audio, and the keypad apparatus and the audio are connected through an inner electric network to easily control an audio provided at the construction equipment.

Description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Machine Having Audio Control Keys}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Machine Having Audio Control Keys having an audio control key,

본 발명은 포크레인, 불도져, 기중기 등의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의 운전석에 구비되는 에어컨디셔너, 풍향, 음향 등 운전 조작에 사용되는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보기 용이하고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키패드 장치를 부착하고, 상기 키패드 장치는 오디오의 제어를 위한 오디오 제어 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키패드 장치와 상기 오디오는 내부 회로망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건설기계에 구비된 오디오를 용이하게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device used in a construction machine such as a fork-lift truck, a bulldozer, and a crane for driving an air conditioner, a wind direction, Wherein the keypad device is provided with audio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audio, and the keypad device and the audio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internal network, thereby facilitating the audio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pad device of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n audio control key for enabling control.

일반적으로, 포크레인, 불도져, 기중기 등의 건설기계의 운전석에는 중장비의 연료, 전기, 에어컨 등의 일반적인 상태 또는 중장비의 사용 목적에 따른 각종의 유압 기기나 모터 등의 상황을 알려주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중장비 차량의 에어컨, 풍향, 자동전환, 와셔, 서리제거, 특수 장비 조작을 위한 메뉴 선택, 취소, 음향 제어 등의 조작을 위한 키패드가 부설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키패드는 통상적으로 박스 형태의 하우징에 수납되어 운전자가주시하기 편리한 차량 운전석 하부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건설기계의 운전석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운전석 내부 또는 외부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이 구비된다.Generally, a driver's seat of a construction machine such as a fork-lift truck, a bulldozer, and a crane is provided with a display module for informing various conditions of a hydraulic device, a motor, and the like depending on general conditions such as heavy fuel, electricity, A keypad for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 wind direction, automatic switching of the vehicle, a washer, a defrosting operation, a menu selection for canceling special functions, canceling, and sound control are installed. The display module and the keypad, which are integrally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usually housed in a box-shaped housing and installed in a space below the driver's seat, which is convenient for the driver to watch. In addition, the driver's sea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is provided with an audio system capable of providing soun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driver's seat for the driver's convenience.

도 1은 이러한 통상의 건설기계의 운전석을 나타낸다.Fig. 1 shows the driver's seat of such a conventional construction machine.

그러나, 위와 같이 운전석 정면 또는 하부에 설치된 키패드는 운전자의 주시면에서는 용이하나, 키패드를 조작할 경우에는 중장비의 운전중 상체를 굽혀 키패드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운전자의 조작 동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keypad provided on the front or lower portion of the driver's seat is easy to operate on the driver's face. However, when the keypad is operated, the driver must operate the keypad by bending the upper body during operation of the heavy equipment.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운전석 내에 구비되는 오디오는 건설기계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구조는 상단에 위치된 오디오를 조작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손을 들어 운전석의 상부에 위치한 오디오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용이하지 않아 상당한 피로감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Also, as shown, the audio typically contained in the driver's seat is typically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this structure allows the driver to raise his or her hand to manipulate the audio located at the top, It is not easy to operat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considerable fatigue is ca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포크레인, 불도져, 기중기 등의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의 운전석에 구비되는 에어컨디셔너, 풍향, 음향 등 운전 조작에 사용되는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보기 용이하고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키패드 장치를 부착하고, 상기 키패드 장치는 오디오의 제어를 위한 오디오 제어 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키패드 장치와 상기 오디오는 내부 회로망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건설기계에 구비된 오디오를 용이하게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pad device for use in an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 wind direction, an acoustic sound, etc., provided in a driver's seat of a construction machine, in a construction machine such as a crane, a bulldozer, The keypad device is provided with audio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audio, and the keypad device and the audio are connected to an internal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pad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n audio control key for easily controlling audio provided in a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오디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에 있어서, 건설기계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기능키부; 및 상기 오디오를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제어 기능에 각각 할당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제어키들을 포함하는 오디오제어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제어키부는 상기 오디오와 내부적으로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오디오제어키의 입력시 오디오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로 전송하여 오디오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 keypad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udio, comprising: a function key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a construction machine; And one or more audio control keys assigned to various control functions necessary for driving the audio, respectively; And the audio control key unit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audio, and generates an audio control signal when one or more audio control keys are input, and transmits the audio control signal to the audio to control the audio.

또한, 상기 키패드 장치는 운전석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설치되되, 설치 높이는 운전자의 팔과 손의 거동이 편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keypad device is installed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he height of the keypad device is disposed at a height where the arm and hand of the driver can easily behave.

또한, 상기 오디오제어키부는, 볼륨업, 볼륨다운, 음소거, 모드선택, 뒤로찾기, 앞으로찾기 및 전원중 하나이상에 각각 할당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제어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dio control key section includes at least one audio control key assigned to one or more of volume up, volume down, mute, mode selection, backward search, forward search, and power source.

또한, 상기 오디오제어키부와 상기 오디오는 내부적으로 CAN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호간 데이터가 교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udio control key unit and the audio are internal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AN communication method, so that mutual data can be exchang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운전석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디오의 제어키들을 키패드에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를 운전석의 운전석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의 상부에 위치한 오디오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된 키패드를 통하여 오디오를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audio control key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r's seat are included in the keypad and the keypad is provided at the right or left portion of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operate the audio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r's seat,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to enable quick operation.

도 1 은 본 발명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 키패드의 내부 회로 중 오디오제어키를 구성하는 내부 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keypad device of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n audio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constituting an audio control key in the internal circuit of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keypad device of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n audio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1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keypad device of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n audio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는 건설기계의 운전석에 구비된 오디오와 내부적으로 연결,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오디오를 조작하도록 구성된다.The keypad devic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the audio control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udio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internally, for example, by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do.

상기 키패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기계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키, 예를 들어, 건설기계의 운전석의 냉난방 온도조절, 풍향조절, 에어컨디셔너 작동, 서리제거, 메뉴 선택용 화살표, 선택, 취소, 시간설정 등의 중장비의 편의 장비의 제어를 위한 각종 키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키부(20)와 건설기계의 내부에 배치된 오디오를 제어하는 각종 키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디오제어키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the keypad includes one or more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machine, for example, an air conditioner temperature control, a wind direction control, an air conditioner operation, a defrosting operation, An audio control key unit 10 including a function key unit 20 including various keys for controlling equipment of heavy equipment such as selection, cancellation and time setting, and various keys for controlling audio arranged inside the construction machine ).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키부(20)와 오디오제어키부(10)에 구비되는 키들의 내부에는 키의 눌림 상태를 표시하는 LED들이 키에 각각 대응되어 설치되어, 키가 눌려졌을 때 점등되고, 누르기전 상태로 복귀할 때는 소등이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Preferably, the keys provided in the function key unit 20 and the audio control key unit 10 are provided with LEDs for indicating the depressed state of the keys, respectively, and are illuminated when the key is depressed, And may be turned off when returning to the previous state. Since such a configuration is known,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키패드는 건설기계의 운전석의 상부에 배치된 오디오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운전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운전석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설치되되, 설치 높이는 운전자의 팔과 손의 거동이 편한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와 같이 배치된 키패드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udio arranged on the driver's sea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installed at the right side or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so a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driver, The arms and hands of the user are placed at a comfortable height. Therefore, the driver can easily operate the keypad arranged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키패드는 상기 건설기계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들과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와 공지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각종 키들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할당된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keypad is connec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internally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necessary for driving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controlling them, and preferably uses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controll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signal input from various keys provided on the keypad and perform control of the assigned device.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기능키들은 종래의 키패드에 구비된 각종 키들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전자가 상기 키패드에구비된 각종 키들중 하나(냉난방 온도조절, 풍향조절, 에어컨디셔너 작동, 서리제거, 메뉴 선택용 화살표, 선택, 취소, 시간설정의 기능을 하도록 각각 할당된 키들 중 하나)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키에 할당된 기능을 하는 장치들을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하면 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ne or more function keys provided on the keypad may b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ous keys provided on the conventional keypad. For example, when the driver selects one of the various keys provided on the keypad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control,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nput signal inputted from the key and selects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key when the user presses one of the keys as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air conditioner operation, defrosting, menu selection arrow, selection, cancel, and time setting) To operate the devices.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using known techniques,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오디오제어키부(10)는 건설기계의 운전석 내부에 구비된 오디오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오디오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제어키들이 구비된다. 상기 오디오제어키는 예를 들어, 볼륨업, 볼륨다운, 음소거, 모드선택, 뒤로찾기, 앞으로찾기 및 전원 등과같은 오디오를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제어 기능에 각각 할당된 키들이 포함되며, 상기 오디오제어키들중 하나를 눌러 입력이 이루어지면, 해당 키에 할당된 오디오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운전석에 배치된 오디오로 송신되도록 이루어진다.The audio control key unit 10 includes one or more audio control key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various input signals required for driving the audio to control the audio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The audio control keys include keys assigned respectively to various control functions necessary for driving audio such as volume up, volume down, mute, mode selection, backward search, forward search and power supply, The audio control signal assigned to the key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audio arranged in the driver's seat.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오디오제어키부(10)를 이용하여 오디오를 제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석의 상부에 위치한 오디오에 구비된 제어수단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오디오의 제어가 가능하고, 따라서,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by allowing the audio to be controlled using the audio control key unit 10 as described above, the audio can be controlled without directly operating the control means included in the audio located above the driver's seat, The convenience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도 2 는 본 발명 키패드의 내부 회로 중 오디오제어키를 구성하는 내부 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constituting an audio control key in the internal circuit of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는 하나 이상의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기능키부(20)와, 상기 오디오의 기능을 제어하는 각종 오디오제어키들을 포함하는 오디오제어키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key unit 20 including one or more function keys, and an audio control key unit 10 including various audio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audio.

상기 기능키부(20)는 내부적으로 공지의 어떠한 키패드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unction key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any known keypad internally, and such a configuration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를 구성하는 오디오제어키부(10)는 예를 들어, 볼륨업, 볼륨다운, 음소거, 모드선택, 뒤로찾기, 앞으로찾기 및 전원 등과같은 오디오를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제어 기능에 각각 할당된 키들이 포함된다.2, the audio control key unit 10 constituting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rive audio such as volume up, volume down, mute, mode selection, backward search, forward search, Keys assigned to the various control functions that are respectively required are included.

상기 오디오제어키부(10)의 출력단은 상기 오디오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오디오제어키부(10)에 포함된 각종 오디오제어키들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제어신호는 상기 오디오로 입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오디오제어키부(10)와 상기 오디오는 내부적으로 CAN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호간 데이터가 교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An output terminal of the audio control key unit 10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audio and thus an audio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various audio control keys included in the audio control key unit 10 is input to the audio. At this time, the audio control key unit 10 and the audio are internally connected in a CAN communication manner so that mutual data can be exchanged.

따라서, 상기 오디오제어키부(10)를 통하여 출력된 오디오제어신호는 상기 오디오로 입력되어 상기 오디오의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udio control signal output through the audio control key unit 10 can be input to the audio control unit to perform the assigned function of the audio control unit.

이상으로 본 발명의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 do not want 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오디오제어키부
20: 기능키부
10: Audio control key section
20:

Claims (4)

오디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에 있어서,
건설기계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기능키부; 및
상기 오디오를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제어 기능에 각각 할당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제어키들을 포함하는 오디오제어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제어키부는 상기 오디오와 내부적으로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오디오제어키의 입력시 오디오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로 전송하여 오디오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
1. A keypad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udio,
A function key part including at least one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An audio control key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audio control keys each assigned to various control functions necessary for driving the audio;
Lt; / RTI >
Wherein the audio control key unit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audio and generates an audio control signal when one or more audio control keys are input to transmit the audio control signal to the audio to control the audio. Keypad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장치는 운전석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설치되되, 설치 높이는 운전자의 팔과 손의 거동이 편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eypad device is installed at a right side or a left side of a driver's seat, and the installation height is disposed at a height at which a movement of an arm and a hand of a driver is conveni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제어키부는,
볼륨업, 볼륨다운, 음소거, 모드선택, 뒤로찾기, 앞으로찾기 및 전원중 하나이상에 각각 할당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제어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으로 하는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dio control key comprises:
Wherein the audio control key comprises one or more audio control keys each assigned to one or more of a volume up, a volume down, a mute, a mode selection, a back search, a forward search, and a power sour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제어키부와 상기 오디오는 내부적으로 CAN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호간 데이터가 교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제어키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키패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dio control key unit and the audio are intern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AN communication method so that mutual data can be exchanged.
KR1020120154461A 2012-12-27 2012-12-27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Machine Having Audio Control Keys KR201400856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461A KR20140085699A (en) 2012-12-27 2012-12-27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Machine Having Audio Control Ke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461A KR20140085699A (en) 2012-12-27 2012-12-27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Machine Having Audio Control Key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699A true KR20140085699A (en) 2014-07-08

Family

ID=5173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461A KR20140085699A (en) 2012-12-27 2012-12-27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Machine Having Audio Control Key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569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6175C (en) Carrier and backho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3210154B (en)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building machinery, building machinery method for information display
CA2628511C (en) Control for a truck mixer
US9346359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US9067543B2 (en) Steering whee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rtable functional component
JP2014113873A (en) Vehicular cooperation system
KR20140085699A (en) Keypad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Machine Having Audio Control Keys
JP6153065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JP2016083984A (en) Operation device for on-vehicle air conditioner, and on-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9044541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CN104981390A (en) Multifunctional operating device for operating vehicle
KR100795058B1 (en) Apparatus for display and keypad of heavy equipment's operating
US20020070698A1 (en) Drive system having at least one electric motor
JP2017211510A (en) Vehicle-purpos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101096808B1 (en) Switch module for power take-off of special vehicle
CN111068213A (en) Remote control driving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control device of fire fighting truck and fire fighting truck
KR20150134456A (en) Horn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KR200408671Y1 (en) Car remote controller receiver having function of displaying phone number
CN103935294A (en) Arrangement for facilitating selection and activation of a voice control system by a vehicle operator
KR101933184B1 (en) Navigation and Audio Complex System
JP6364722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JP2004217171A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20230076084A1 (en) System and method implementing auxiliary device to work machine
KR200410205Y1 (en) Control device of navigation
US201400743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Vehicle Accessory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