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938A -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938A
KR20140084938A KR1020120154978A KR20120154978A KR20140084938A KR 20140084938 A KR20140084938 A KR 20140084938A KR 1020120154978 A KR1020120154978 A KR 1020120154978A KR 20120154978 A KR20120154978 A KR 20120154978A KR 20140084938 A KR20140084938 A KR 2014008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rator
drunk driving
possibilit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521B1 (ko
Inventor
문병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5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preventing star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07F7/025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by means, e.g. cards, providing billing information at the time of purchase, e.g. identification of seller or purchaser, quantity of goods delivered or to be deli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1Preventing start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은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음주 운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차량 운행 정지 신호를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네트워크를 기초로 차량 운행자의 음주 운전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OF PREVENTION OF DRINK-DRIVING AND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운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주 운전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편리하고 빠른 자동차의 개발과 소득 수준의 향상에 힘입어 자동차 숫자가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증가에 따라 도로망의 확충, 교통사고 문제 등이 사회적인 문제로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음주운전은 대형 사고와 무고한 인명희생의 원인이 되며, 사회적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과 단속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여러 차원에서 단속이 강화되고 있으나 그 사고 건수는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 추세에 있는 실정이다.
음주운전 행위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운전자 자신의 고의적 의도에 의한 것과 만취되어 자각능력이 상실된 상태에서의 무의식적 평소 습관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유형 중 특히 만취상태의 음주운전 사고가 치명적인 대형사고를 유발하게 됨은 두말할 여지가 없고, 만취상태의 음주운전은 본인의 이성으로 자제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타의에 의해 음주운전을 단속하여 음주운전을 방지하는 수밖에 없다.
한편, 음주운전을 단속할 수 있는 하나의 장치로 단속자(예컨대, 경찰)가 휴대하는 음주측정기가 있다. 이와 같은 음주측정기는 임의 장소에서 임의 차량을 불시 검문하여 음주운전 여부를 측정할 수 있게 하므로 음주운전 단속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음주측정기는 운전자에 대한 경각심 고취로 작용하여 심리적 자제력을 유발시킴으로써 그 파급효과로 음주운전이 사전 예방되는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어 상당히 효과적인 장치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음주측정기를 이용한 음주단속은 인적 및 물적 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어 무한정 확대가 곤란하며 특히 많은 차량을 일일이 단속할 때는 도심지의 심각한 교통체증을 유발시키게 되는바 극히 짧은 시간에 한하여 소규모 검문의 음주단속으로 시행될 수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부수적 효과로 나타나던 운전자 자신의 자제력에 의한 사전예방 효과도, 만취되어 자기통제력이 상실된 운전자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어지므로 이와 같은 단속방법으로는 음주운전에 대한 대형사고를 근원적으로 예방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음주를 한 상태에서도 자신의 운전 실력을 믿고 과감하게 운전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밤마다 음주운전을 단속해야 하는데, 이는 운전자 스스로 지킬 수 있는 일을 법규에 의해 강제적으로 행하는 것이므로 일단 인력 낭비에 따른 문제점이 제기되고, 또한 음주운전 단속 시기가 끝나게 되면 예전과 같은 현상이 똑같이 반복되어 음주운전 단속이 별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음주측정을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한가지 방법으로서 운전자가 음주 운전 시 음주상태를 측정하여 법적 기준치를 초과하는 상태인가를 자동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시동을 정지시켜 음주운전을 방지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은 다른 운전자가 대신하여 음주 측정을 하는 경우에도 차량에 시동이 걸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음주운전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을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을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은 운행자의 음주 판단 정보를 기초로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음주 운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차량의 운행을 관리하는 차량 관리부에서 차량 운행 정지 신호를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주 판단 정보는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최근 통화 목록 정보 및 메시지 교환 정보, 상기 운행자의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자의 음주 판단 정보를 기초로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1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행자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2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음주 운전 가능성 및 상기 2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운행자의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최근 통화 목록 및 최근 메시지 교환 정보를 기초로 1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행자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2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음주 운전 가능성 및 상기 2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운행자의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음주 운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차량 운행 정지 신호를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단계, 차량의 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운행자의 단말에서 상기 차량 관리부로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메시지는 상기 차량 관리부가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차량 운행 중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은 상기 차량 관리부로 상기 운행자가 아닌 타인이 운전함을 인증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운행자가 아닌 타인이 운전함을 인증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 관리부는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차량 운행 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운행 가능 메시지는 상기 운행자의 차량의 시동이 다시 걸리도록 상기 운행자의 차량을 제어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는 운행자가 음주를 한 경우 단말에서 자동적으로 차량이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소정의 메시지를 송신하여 운행자가 아닌 타인이 운행하는 것을 인증하기 전까지는 차량의 운행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존의 단말을 이용한 셀룰러 네트워크를 기초로 음주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행 가능 모드로 차량을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 모드 결정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음주 운전 방지 기능 실행한다(단계 S100).
음주 운전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 폰에 설치한다. 스마트 폰에 설치된 음주 운전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음주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현재 운행자의 위치 정보 및 결제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음주 운전 방지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운행자의 음주 운전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지국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스마트 폰의 음주 운전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스마트 폰으로 위치를 추적 후 장시간(예를 들어, 30분 내지 3시간) 내에 카드 결재 시 메세지로 음식점 명, 금액 정보와 같은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음주를 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스마트 폰의 음주 운전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전자가 음주는 하였으나 직접 결제를 하지 않은 경우, 운전자의 스마트 폰에 기록된 운전자와 통화를 한 타인의 결제 정보 및 주소록에 입력된 지인 중 운전자와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진 지인의 결제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음주 운전 방지 어플리케이션의 음주 운전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음주 운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차량 운행 정지 신호를 운행자의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상의 음주 운전 방지 기능을 해제한다(단계 S110).
단계 S100을 통해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여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주 운전 방지 기능이 실행된 경우 음주를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을 받은 후 인증 코드를 받고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주 운전 방지 기능이 실행된 경우 자동으로 서비스 센터로 음주 운전 방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화를 하고 음주 운전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 받은 후 인증 코드를 받고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되고 차량의 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운행자의 단말에서 차량 관리부로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소정의 메시지는 상기 차량 관리부가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차량 운행 중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만약 음주를 한 경우, 가족이나 대리운전 기사를 통해 인증을 받은 후에 차량 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운행자가 아닌 타인이 운전함을 인증하는 메시지를 차량 관리부로 전송하고, 차량 관리부에서 운행자의 차량으로 차량 운행 가능 메시지를 전송하여 타인이 차량을 운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 방지 방법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스마트 폰의 소유자가 음주가 의심되는 특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 자동적으로 음주 운전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우선적으로 막는다. 음주 운전 방지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된 경우, 차량 소유자는 음주 운전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증받거나, 음주를 한 경우 가족이나 대리 운전자를 인증 받은 후에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함으로서 음주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운전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서는 운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음주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주 운전 방지 어플리케이션이 깔린 스마트 폰 소유자가 차량을 운행하고 회식을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운행자의 위치를 확인한다(단계 S200).
스마트 폰을 가진 운행자의 위치는 스마트 폰을 기초로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외부 서버에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의 도면(B)와 같이 스마트 폰의 무선 신호를 기초로 기지국 정보를 통해 현재 운행자의 위치를 알거나, GPS와 같은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운행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운행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된 추가 정보를 기초로 음주 가능성을 1차적으로 판단한다(단계 S210).
운행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된 추가 정보를 사용하여 음주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는 지인들의 전화번호가 저장될 수 있는데 저장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스마트 폰의 위치를 검색하여 현재 운행자와 운행자의 지인들이 동일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식을 할 경우 운행자와 운행자가 아는 지인들과 음주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특정한 모임이 있을 경우 운행자와 운행자의 지인들이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지고 모여서 음주를 할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운행자의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은 운행자와 운행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음주 가능성을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위치 정보가 아닌 통화 기록 또는 메신저의 기록을 기초로 음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통 모임이 수행될 경우 모임에 참석하는 참석자들과 음성 통화를 하거나 또는 텍스트를 이용한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게 된다. 운행자의 최근 통화 기록 및 메신저 기록을 기초로 현재 운행자와 운행자의 최근 통화자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현재 운행자의 모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운행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된 추가 정보를 기초로 음주 가능성을 2차적으로 판단한다(단계 S220).
운행자는 스마트 폰에 저장된 추가 정보를 기초로 음주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결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1차 정보를 통해 운행자가 특정한 모임을 수행할 경우, 결제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정보를 기초로 음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를 수행한 장소가 음식점인 경우, 주류를 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운행자의 음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스마트 폰의 음주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계 S210을 통해 운행자와 동일한 장소에 위치한 운행자의 지인이나 운행자와 최근 통화 및 메신져 기록이 있는 운행자의 지인의 결제 정보를 활용할 수 도 있다. 즉, 운행자 자신이 직접 결제를 하지 않은 경우에도 지인들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운행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한다. 지인들의 결제 정보를 통해 운행자의 음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스마트 폰의 음주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의 음주 방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음주 운전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230).
스마트 폰의 음주 방지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경우 특정한 코드가 차량을 관리하는 소정의 차량 관리부로 전송될 수 있다.
차량 관리부에서는 시동을 걸지 못하도록 차량으로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240).
차량 관리부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T-BOX 및 BST unit으로 차량 운행 정지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운행 정지 신호가 차량에 수신된 경우 운행자는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없게 됨으로서 음주 운전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지 못하게 된다.
도 2에서 개시된 방법은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운행자의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1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행자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2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음주 운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차량 운행 정지 신호를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되고, 차량의 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운행자의 단말에서 차량 관리부(또는 차량 관리 센터)로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소정의 메시지는 차량 관리부가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차량 운행 중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행 가능 모드로 차량을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차량의 운행이 차량 운행 정지 신호에 의해 중단된 경우 운행자가 차량을 운행 가능 모드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운행자의 차량을 운행 가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타인이 운전을 한다는 것을 인증받아야 한다.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차량이 대리 운전자에 의해 운행이 된다거나 가족에 의해 운행된다는 것을 차량 관리 센터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운행자는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족 또는 대리 운전자의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하여 차량 관리 시스템에 차량 또는 대리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한다는 사실을 인증 받을 수 있다. 차량 관리 시스템에는 등록된 가족 또는 대리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인증 번호를 다시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여 운행 가능 모드로 차량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타인이 차량을 운행하는 것이 인증된 경우 차량 관리 센터에서는 T-BOX 및 BST UNIT으로 차량 운행이 가능하도록 차량 운행 가능 명령을 전송하여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타인이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가 아니면, 일정 시간 후에 운행자의 스마트 폰으로 운행 가능한 인증 코드를 부여하여 운행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차량을 운행 가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 모드 결정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위와 같은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 구성부의 기능을 기초로 분리하여 설명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부는 복수의 구성부로 나뉘거나 각각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를 이룰 수도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운행 모드 결정부는 데이터 송수신부(600), 프로세서(620), 시동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600)에서는 차량 관리부에서 송신되는 차량의 운행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관리부에서는 운행자의 음주 가능성 여부에 따라 차량 운행 모드를 차량 운행 정지 모드, 차량 운행 가능 모드와 같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데이터 송수신부(600)에서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전송된 신호가 차량 운행 정지 모드인 경우 시동부(640)로 시동이 걸리지 못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운행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신호가 차량 운행 모드인 경우 시동부(640)로 시동이 걸리도록 하여 운행자가 음주를 한 경우에도 대리 운전자가 운행이 가능하도록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시동부(640)는 프로세서(620)로부터 전송된 시동에 관련된 신호를 송신하고 시동 모드를 차량 운행 가능 모드 또는 차량 운행 정지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음주 운전 방지 방법에 있어서,
    운행자의 음주 판단 정보를 기초로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음주 운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차량의 운행을 관리하는 차량 관리부에서 차량 운행 정지 신호를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주 판단 정보는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최근 통화 목록 정보 및 메시지 교환 정보, 상기 운행자의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자의 음주 판단 정보를 기초로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1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행자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2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음주 운전 가능성 및 상기 2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운행자의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자의 단말의 최근 통화 목록 및 최근 메시지 교환 정보를 기초로 1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행자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2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음주 운전 가능성 및 상기 2차 음주 운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운행자의 음주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4. 제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음주 운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차량 운행 정지 신호를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단계;
    차량의 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운행자의 단말에서 상기 차량 관리부로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메시지는 상기 차량 관리부가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차량 운행 중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인 음주 운전 방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부로 상기 운행자가 아닌 타인이 운전함을 인증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자가 아닌 타인이 운전함을 인증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 관리부는 상기 운행자의 차량으로 차량 운행 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주 운전 방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가능 메시지는,
    상기 운행자의 차량의 시동이 다시 걸리도록 상기 운행자의 차량을 제어하는 메시지인 음주 운전 방지 방법.
KR1020120154978A 2012-12-27 2012-12-27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41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78A KR101417521B1 (ko) 2012-12-27 2012-12-27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78A KR101417521B1 (ko) 2012-12-27 2012-12-27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938A true KR20140084938A (ko) 2014-07-07
KR101417521B1 KR101417521B1 (ko) 2014-07-08

Family

ID=5173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978A KR101417521B1 (ko) 2012-12-27 2012-12-27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57A (ko) * 2018-04-23 2019-10-31 이화석 참여 유도형 차량 운용장치, 참여 유도형 차량 운용방법 및 참여 유도형 요금 정산 시스템
KR20210043858A (ko) * 2019-10-14 2021-04-22 (주)에이텍티앤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154A (ja) 2007-07-20 2009-02-05 Toyota Motor Corp 運転傾向集計システム、車両の情報提供装置、及び運転傾向集計装置
JP2009029374A (ja) 2007-07-30 2009-02-12 Tokai Rika Co Ltd 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
JP5112775B2 (ja) 2007-07-30 2013-01-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
JP4909221B2 (ja) * 2007-09-20 2012-04-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57A (ko) * 2018-04-23 2019-10-31 이화석 참여 유도형 차량 운용장치, 참여 유도형 차량 운용방법 및 참여 유도형 요금 정산 시스템
KR20210043858A (ko) * 2019-10-14 2021-04-22 (주)에이텍티앤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521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41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rning a vehicle occupant of probable unsafe texting
US8594705B2 (en) System for preventing text messaging while driving
CN106464747B (zh) 对驾驶者的手机进行操作的车辆安全系统和方法
Goodman et al. Using cellular telephones in vehicles: Safe or unsafe?
Oviedo-Trespalacios et al. Can our phones keep us safe? A content analysis of smartphone applications to prevent mobile phone distracted driving
US20100131304A1 (en) Real time insurance generation
US20170310804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onitoring mobile phone usage while operating a vehicle in order to deter and prevent such usage
US9444929B2 (en) Mobile device usage activity reporting system and method
US10009455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onitoring mobile phone usage to deter and prevent such usage and for generating an audible alarm and/or visual alarm to maintain compliance
US20180356237A1 (en) Enhanced navigation instruction and user determination
CN104601267B (zh)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匿名举报的广播警报系统及其实现方法
JP2015513830A (ja) 車両ポリシーエンフォースメント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10223939A1 (en) System For Tracking Text Messaging While Driving
WO20171470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and visualizing vehicle profiles for finding a vehicle to follow
CN108615140B (zh) 行程提醒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6327894A (zh) 汽车间交流及车载广告综合系统
CN111642029B (zh) 一种连接建立方法和装置
CN106604234A (zh) 一种基于智能手机的违章停车移车提醒方法
Al-Jasser et al. Mobile phone use while driving and the risk of collision: A study among preparatory year students at King Saud University, Riyadh, Saudi Arabia
Huemer et al. Secondary task engagement in German cyclists–An observational study
CN110136466B (zh) 路况信息推送方法、系统及车辆
KR101417521B1 (ko) 음주 운전 방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Farris LOL-Texting While Driving is No Laughing Matter: Proposing a Coordinated Response to Curb this Dangerous Activity
US20150288677A1 (en)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telematics services
WO2017100790A1 (en) Enhanced navigation instruction and user deter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