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585A -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context based on light event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context based on light ev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585A
KR20140080585A KR1020120144250A KR20120144250A KR20140080585A KR 20140080585 A KR20140080585 A KR 20140080585A KR 1020120144250 A KR1020120144250 A KR 1020120144250A KR 20120144250 A KR20120144250 A KR 20120144250A KR 20140080585 A KR20140080585 A KR 20140080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image data
camera
contex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인범
박총명
조영태
최형도
최진섭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0585A/en
Publication of KR2014008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5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The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includes a lighting appliance for outputting light; a camera for collecting image data; and a server for analyzing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camera, creating contex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appliance based on the created con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nalyzing lighting use patterns of a user, so that it is unnecessary for the user to additionally control the lighting, which makes the user feel convenient.

Description

빛 이벤트 기반 컨텍스트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context based on light even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 light event-based context,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빛 이벤트에 기반한 컨텍스트를 활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that utilizes a context based on a light event.

지능형 조명제어 방법에는 감지 센서를 통한 조명제어 방법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제어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다.In the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method, a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sensing sensor and a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smartphone are being developed.

도 1은 종래 센서를 통한 조명제어 방식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cheme using a conventional senso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센서를 통한 조명제어 방식은 가정집의 출입문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센서를 통한 조명제어 방식은 출입문 쪽에 센서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들어오거나 나갈 때에 이를 감지하여 조명이 켜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설치가 간단하고 쉽게 구현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출입문의 특정한 범위 내에서만 사용자를 인식하고, 단순히 조명이 켜지도록 하는 기능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Referring to FIG. 1, a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conventional sensor can be seen at a door of a house or the like. In the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ensor, a sensor is provided on the doorway side so that the user can detect when the user comes in or out and turn on the lighting. This method has the merit of simple installation and easy implementation,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does not have any other function than recognizing the user only within a specific range of the door and simply turning on the light.

도 2는 종래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식의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 conventio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식에서는 실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중간의 특정 연결점이 필요하다. 이 연결점으로 사용되는 것이 게이트웨이 노드이다. 이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해서 조명을 원격제어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미리 조명연출에 대한 프로그래밍이 되어있으면, 다양한 상황에 따른 조명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conventional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phone, a specific intermediate connection point is required to control the interior lighting. This connection point is the gateway node.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illumination through the gateway node, and furthermore, if programming is performed in advance for the illumination presentation, the illumination can be produced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즉, 종래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식은 실내의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 노드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스마트 폰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인터넷을 통해 게이트웨이에 제어명령이 전달되고, 게이트웨이에서 각 조명 장치에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구성된 프로그램에 따라 조명 연출이 가능하며, 원격에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실내에서 조명 제어를 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을 사용해야 하고, 스마트 폰을 사용할 때는 별도의 조명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phone, a gateway node is installed to control a lighting device in a room, and when a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to a smart phone, a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through the Internet, And a control command is issued to the lighting apparatus. This method can produce lighting according to the configured program and can control the lighting remotely.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smartphone should be used even in the case of lighting control indoors, and an application for separate lighting control must be executed when a smart phone is 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행위 없이,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자동으로 실내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indoor lighting by analyzing and predicting a user's behavior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빛을 출력하기 위한 조명기구,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기반하여 컨텍스트(context)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에 따라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lighting device for outputting light, a camera for collecting image data, and a controller for analyzing image data collected from the camera, generating a contex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 And a server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f the luminair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ted context.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빛의 변화가 발생한 시점의 이전 영상 데이터와 이후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컨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rver may generate a context by comparing previous image data at a time when a light change occurs and image data thereafter, and analyzing the image data.

상기 카메라는 설치된 공간의 사람에 대한 정보 또는 조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camera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a person in the installed space or information on illumination.

상기 카메라는 광각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amera may be composed of a wide-angle lens.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텍스트는 사용자의 조명 사용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xt may refer to a user's lighting use pattern.

상기 서버는 저장된 컨텍스트들과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매칭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The server predicts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in a manner of matching the stored contexts with the image data received in real time, and can control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apparatus based on the predi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명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조명을 제어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명 제어가 필요없어서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llumination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nalyzing the illumination use pattern of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dditional illumination control by the user is unnecessary and contributes to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설치가 간편하여 기존의 조명제어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lighting control system.

도 1은 종래 센서를 통한 조명제어 방식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식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실내에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동 시퀀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cheme using a conventional sensor.
2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 conventional smartphone.
3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oom.
5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sequence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lso,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ide from other components,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100), 서버(200), 조명기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100)와 서버(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서버(200)와 조명기구(300)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한다.Referring to FIG. 3, the light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00, a server 200, and a lighting device 3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100 and the server 2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rver 200 and the lighting apparatus 300 are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Lt; / RTI >

조명기구(300)는 빛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The lighting device 300 serves to output light.

카메라(100)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100)는 설치된 공간의 사람에 대한 정보 또는 조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The camera 100 serves to collect image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100 collects information about a person in an installed space or information on illumin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100)는 보다 넓은 영역을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광각렌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각렌즈를 사용하게 되면, 사무실 또는 가정 등 넓게 트인 실내 장소에서 카메라 한 대로 사용자의 움직임과 빛의 변화를 감지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10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wide-angle lens so as to collect image data over a wider are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de-angle lens is us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llumination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change of the light in a single indoor location in the indoor place such as the office or the home.

서버(200)는 카메라(100)로부터 수집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기반하여 컨텍스트(context)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에 따라 조명기구(300)의 조명을 제어한다.The server 200 analyzes the image data collected from the camera 100, generates a contex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controls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generated context.

본 발명에서 서버(200)는 영상 데이터 중에서 빛의 변화가 발생한 시점의 이전 영상 데이터와 이후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컨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 context by comparing previous image data at a time when a light change occurs in the image data with image data thereafter and analyz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텍스트는 사용자의 조명 사용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xt may refer to a user's lighting usage pattern.

본 발명의 조명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하여 자동으로 조명을 제어한다. 즉, 서버(200)에 저장된 컨텍스트들과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영상데이터의 매칭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예측하여 정확하고 자동적으로 조명을 제어한다.
The light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the behavior of the user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lighting. That is, by accurately matching the contexts stored in the server 200 with the image data collected in real time, the user can predict the movement path and accurately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illumin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실내에 설치한 예시도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oom.

도 4의 실시예에서, 카메라(100)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으며, 광각렌즈가 장착되어 있다. 그래서, 카메라(100)를 통해 실내 공간의 전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00)를 통한 감지를 통해 사용자의 변화 및 빛에 대한 변화를 탐지하고, 이렇게 탐지된 정보는 서버(200)로 전달된다.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camera 1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is equipped with a wide-angle lens. Thus, the whole of the indoor space can be sensed through the camera 100. Through the detection through the camera 100, the change of the user and the change of the light are detected, and the det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서버(200)는 카메라(100)와 다수의 조명 기구(300)에 연결되어, 카메라(100)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에 따라 조명기구(300)를 제어하여 실내 조명을 제어하게 된다.
The server 200 is connected to the camera 100 and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300 to collect information from the camera 100 and to generate a context and to control the ligh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generated context, Thereby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동 시퀀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sequence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S501 단계 내지 S513 단계는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그리고, S515 단계 내지 S529 단계는 컨텍스트 정보와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5, steps S501 to S513 illustrate a proces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In step S515 through step S529, the context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image data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control illumination.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으면(S501), 이에 따라 조명기구(300)의 조명에 변화가 생긴다(S503). 카메라(100)는 조명기구(300)의 조명 변화를 감지하여 영상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505). 서버((200)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텍스트를 생성한다(S507).If there is a movement of the user (S501),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device 300 is changed accordingly (S503). The camera 100 senses the illumination change of the lighting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server 200 (S505). The server 20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data and generates a context (S507).

사용자의 움직임없이 조명의 변화가 있는 경우(S509), 카메라(100)는 조명기구(300)의 조명 변화를 감지하여 영상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511). 서버(200)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텍스트를 생성한다(S513).If there is a change in illumination without the user's movement (S509), the camera 100 senses the illumination change of the lighting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server 200 (S511). The server 20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data to generate a context (S513).

S501~S513 단계는 서버(200)에서 컨텍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이다.Steps S501 to S513 are sequences show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context in the server 200. [

다음,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으면(S515), 카메라(100)가 이를 감지하여 영상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517). 그러면, 서버(200)는 컨텍스트와 실시간으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matching)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여 조명기구(300)의 조명을 제어한다(S519, S521).Next, if there is a movement of the user (S515), the camera 100 senses it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server 200 (S517). Then, the server 200 analyzes the context and the image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in a matching manner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apparatus 300 (S519 and S521).

다음, 사용자의 움직임없이 조명의 변화가 있는 경우(S523), 카메라(100)는 조명기구(300)의 조명 변화를 감지하여 영상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525). 그러면, 서버(200)는 컨텍스트와 실시간으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matching)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여 조명기구(300)의 조명을 제어한다(S527, S529).
Next, when there is a change in illumination without the user's movement (S523), the camera 100 senses the illumination change of the lighting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server 200 (S525). Then, the server 200 analyzes the context and the image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in a matching manner to control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device 300 (S527, S529).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카메라 200 서버
300 조명기구
100 cameras 200 servers
300 Lighting Fixtures

Claims (6)

빛을 출력하기 위한 조명기구;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기반하여 컨텍스트(context)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에 따라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A lighting device for outputting light;
A camera for collecting image data; And
A server for analyzing the image data collected from the camera, generating a contex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generated contex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빛의 변화가 발생한 시점의 이전 영상 데이터와 이후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컨텍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er generates a context by comparing previous image data at a point of time when a light change occurs in the image data with subsequent image data and analyzing the previous imag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설치된 공간의 사람에 대한 정보 또는 조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collects information on a person in an installed space or information on illum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광각렌즈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comprises a wide-angle le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는 사용자의 조명 사용 패턴을 의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xt refers to a user's lighting usage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저장된 컨텍스트들과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매칭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er predicts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in a manner of matching the stored contexts with the image data received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device on the basis of the prediction.
KR1020120144250A 2012-12-12 2012-12-12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context based on light event KR201400805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50A KR20140080585A (en) 2012-12-12 2012-12-12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context based on light ev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50A KR20140080585A (en) 2012-12-12 2012-12-12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context based on light ev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585A true KR20140080585A (en) 2014-07-01

Family

ID=5173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250A KR20140080585A (en) 2012-12-12 2012-12-12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context based on light ev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058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493A (en) * 2015-07-08 2017-01-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US10810855B2 (en) 2016-10-20 2020-10-20 Signify Holding B.V.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a pers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493A (en) * 2015-07-08 2017-01-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US10810855B2 (en) 2016-10-20 2020-10-20 Signify Holding B.V.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a pers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3999B2 (en) Smart-home device placement and installation using augmented-reality visualizations
US9544978B2 (en) Beacon transmission of a fixture that includes sensed information
US9892605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home environment using LED lighting device
KR101214235B1 (en) Wireless sensing module, wireless lighting controller and wireless lighting system
US105315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lighting equipments
US9668320B2 (en) Path light feedback compensation
KR20150029357A (en)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tting electrical appliances using user's input of step pattern and method thereof
JP2010050664A (en)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controller and program thereof
CN112363406A (en)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sual sensor
US10834363B1 (en) Multi-channel sensing system with embedded processing
KR101772221B1 (en) Iot home smart system for private individual
KR20140080585A (en)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context based on light event
CN109844825B (en) Presen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11115615B1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of local information
US107837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uetooth enabled occupancy sensors
JP72913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paces with portable sensor devices
KR101663993B1 (en)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240064489A1 (en) WiFi Motion Detecting for Smart Home Device Control
US11113828B2 (en) Determining sensor installation characteristics from camera image
CN117156642A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illumination matching and automatic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29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07

Effective date: 2016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