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072A -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072A
KR20140078072A KR1020120146983A KR20120146983A KR20140078072A KR 20140078072 A KR20140078072 A KR 20140078072A KR 1020120146983 A KR1020120146983 A KR 1020120146983A KR 20120146983 A KR20120146983 A KR 20120146983A KR 20140078072 A KR20140078072 A KR 2014007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ry
information
user terminal
input interfac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기
Original Assignee
(주)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맥스 filed Critical (주)이맥스
Priority to KR102012014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8072A/ko
Publication of KR2014007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28Query predicate definition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menus and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질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QUERY}
본 발명은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업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종래에는 기업의 각종 데이터, 업무 프로세스 등을 산발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의 저장 또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관리상의 문제점이 많았다.
최근에는 기업의 자금, 회계, 구매, 생산, 판매 등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일례로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을 통해, 기업 전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
ERP 시스템은 기업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도입되는 만큼, 데이터의 저장, 갱신, 삭제, 인출 등의 작업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특허 공개 번호 제 10-2004-93680 호에서도 ERP 시스템을 신속하게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나, 그 방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자가 필요하다.
즉, 관리자는 ERP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려고 할 때마다 개발자들을 필요로 하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개발자들을 바로 고용하기가 어렵고, 또한 개발자 고용에 따른 비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질의문(query)을 효과적으로 생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문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베이스에 호출되는 복수의 질의문 및 해당 질의문을 호출한 응용 서비스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메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질의문을 최적화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이고, 보다 정확성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질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조건 정보 및 상기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1 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질의 정보에 포함된 필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질의 정보와 연관된 제 2 질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질의 조건 수신부, 상기 질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생성하는 질의문 생성부 및 상기 질의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질의문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질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질의문 생성부는 상기 질의 조건 정보 및 상기 질의 정보 추출부를 통해 추출한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문을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문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 호출되는 복수의 질의문 및 해당 질의문을 호출한 응용 서비스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메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질의문을 최적화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이고, 보다 정확성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질의문 생성 장치(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및 텔레비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elevis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문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N)로 연결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질의문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질의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질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질의문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 는 소정의 시스템 내에서 시스템과 관계된 복수 이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공하는 저장 매체이다. 데이터베이스 (300) 의 테이블은 컬럼(column) 및 로우(row) 로 구성된 개체들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객체이다.
데이터베이스(300)는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해주는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에 의해 운용된다. 이러한 DBMS 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300)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DBMS 는 질의문 생성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SQL 구문을 분석하고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실행하며, 그 처리 결과를 SQL 처리결과로서 질의문 생성 장치(200)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장치(20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질의 조건 수신부(220), 질의문 생성부(230), 질의문 제공부(240) 및 질의 정보 추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정보 검색을 하기 위하여 소정의 검색 조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도 3의 예시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업의 사원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검색 조건(31)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예시에 따르면 법인, 근무 사업장, 부서명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정보 검색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고, 입력한 검색 조건을 질의문 생성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질의문 생성 장치(200)는 해당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질의문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0)에 질의를 할 수 있으며, 질의 과정에서 질의문을 사용하게 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입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1 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질의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질의문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하며, 입력 인터페이스는 제 1 질의 정보에 포함된 컬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질의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질의문을 생성할 수 있는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제공부(210)가 사용자에게 “법인”, “근무 사업장”, “부서명”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면, 제 1 질의 정보는 where [조건절]에 “법인”, “근무 사업장”, “부서명”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질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편집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를 참조하면, 제 1 질의 정보는 where 절에 사용자에게 제공한 입력 인터페이스 상의 조건 정보와 관련된 메타 정보(41)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1 질의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 조건에 따라 변환되어 데이터베이스(300)에 질의 가능한 질의문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질의문 생성 장치(200)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제 1 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법인, 부서명, 근무 상태, 근무지, 직급, 직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해당 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질의문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 1 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질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한 입력 인터페이스와 매칭되는 질의문(query)과 연관될 수 있다.
질의 조건 수신부(22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질의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질의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검색 조건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법인, 특정 소재지에 근무하는 사원 정보를 검색하고자 한다면, 예를 들어, 법인명 “삼성전자”, 소재지 “수원”을 질의 조건 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드랍다운 박스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질의문 생성부(230)는 질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생성한다.
질의문 생성부(230)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추출하고, 질의 조건 정보 및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질의 정보는 질의문 생성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한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질의문 메타 정보를 의미한다.
질의문 생성부(230)는 예를 들어, 질의 정보의 where 절과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질의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질의 정보에 포함된 조건 중 질의 조건 정보에 없는 구문(syntax)를 제거할 수 있다.
질의문 제공부(240)는 질의문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한다.
질의문 제공부(240)는 질의문을 사용자 단말(100) 뿐 아니라, 해당 질의문이 필요한 다른 장치 또는 서버로 해당 질의문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데이터베이스(300)로 해당 질의문을 전송할 수도 있다.
질의 정보 추출부(250)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추출한다. 여기서,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기 제공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한편, 질의문 생성부(230)는 질의 조건 정보 및 질의 정보 추출부(250)를 통해 추출한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생성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질의문 생성 장치 상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질의문 생성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질의문 생성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5100).
또한, 질의문 생성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S5200).
또한, 질의문 생성 장치는 질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생성한다(S5300).
또한, 질의문 생성 장치는 질의문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한다(S5400).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질의문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질의문 생성 장치가, 질의문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질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질의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의문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조건 정보 및 상기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의문 생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 1 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의문 생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질의 정보에 포함된 필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질의문 생성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e)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질의 정보와 연관된 제 2 질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 2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질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편집 가능하게 제공되는, 질의문 생성 방법.
  6. 질의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질의 조건 수신부;
    상기 질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을 생성하는 질의문 생성부; 및
    상기 질의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질의문 제공부를 포함하는, 질의문 생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질의 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질의문 생성부는,
    상기 질의 조건 정보 및 상기 질의 정보 추출부를 통해 추출한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문을 생성하는 것인, 질의문 생성 장치.
KR1020120146983A 2012-12-15 2012-12-15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40078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983A KR20140078072A (ko) 2012-12-15 2012-12-15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983A KR20140078072A (ko) 2012-12-15 2012-12-15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072A true KR20140078072A (ko) 2014-06-25

Family

ID=5112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983A KR20140078072A (ko) 2012-12-15 2012-12-15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80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020A (ko) * 2021-02-01 2022-08-09 (주)메인라인 빅데이터 통합 관리 환경에서 텍스트 기반의 전산 자료 요청서를 이용하여 자동 sql 구문 생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020A (ko) * 2021-02-01 2022-08-09 (주)메인라인 빅데이터 통합 관리 환경에서 텍스트 기반의 전산 자료 요청서를 이용하여 자동 sql 구문 생성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83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b based application modeling and generation
US118094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ssets across a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US20140244364A1 (en) Benchmarking system using benchmarking scenario tag templates
US201400257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tadata driven dynamic web services
US9026563B2 (en) Mechanism for facilitating dynamic social media-based management of assets in an on-demand services environment
US79963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ssion data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CN104966206A (zh) 对移动应用进行灰度发布的方法、装置和系统
US8996588B2 (en) Mechanism for facilitating dynamic management of assets in an on-demand services environment
CN106489165A (zh) 将来自应用的转化与所选内容项目匹配
US11561933B2 (en) Transformation as a service
EP3361425A1 (en) Project management platform
US9170780B2 (en) Processing changed application metadata based on relevance
CN111258988A (zh) 资产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介质
US10725618B2 (en) Populating contact information
KR20180007395A (ko) 기업 기초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장치
US11562408B2 (en) Dynamic image service
KR20140078072A (ko) 질의문 생성 방법 및 장치
US100192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linking software applications
US20150254366A1 (en) Application software, electronic form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30339261A1 (en) Computer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11675683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storage system
KR20170003017A (ko) 위치 기반 오픈 api 검색과 매쉬업 방법 및 시스템
KR101906170B1 (ko) 클라우드 기반 대용량 데이터 상태 관리를 이용한 그리드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649388A (zh) 信息检索方法及装置
CN117493443A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