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429A - Home network control system comprising smart grid connected digital doorlock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 Google Patents

Home network control system comprising smart grid connected digital doorlock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429A
KR20140077429A KR1020120146244A KR20120146244A KR20140077429A KR 20140077429 A KR20140077429 A KR 20140077429A KR 1020120146244 A KR1020120146244 A KR 1020120146244A KR 20120146244 A KR20120146244 A KR 20120146244A KR 20140077429 A KR20140077429 A KR 2014007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andby power
smart
door 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키온
Priority to KR102012014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429A/en
Priority to PCT/KR2013/003861 priority patent/WO2014092260A1/en
Publication of KR2014007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4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including a smart grid connected with a digital door lock to control energ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 which operations of supplying/cutting off relevant energy for the use of the smart grid and other energy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and remotely controlled by a user, and relevant data of the usage and the charge of various energy, such as standby power, power, gas, heating and cooling energy, caused during the control oper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or a manager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a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ntry sensor installed at the inside of a door; a second entry sensor installed at the outside of the door; an occupation stat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n occupation state of a person at the inside of the door based on signals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ntry sensors to output a relevant signal; a digital door lock hav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occupation state determining unit and for outputting a relevant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nd installed at the door to open/close the door; a standby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tandby power on/off signal for an outlet installed at the inside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a smart outlet module for controlling the supplying and the cutting off of the standby power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tandby on/off signal of the standby control unit.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Home network control system comprising smart grid connected digital doorlock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0001]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smart grid associated with digital door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 그리드 및 기타 에너지 사용을 위한 해당 에너지의 공급/차단 동작이 자동 조정되는 동시에 사용자를 통해 원격 제어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 전원, 가스, 냉난방 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의 사용량, 요금 등의 관련 데이터들이 통신망 및 통신 기능의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및 관리자에 제공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Related data such as usage, charge, etc. of various energy such as standby power, power, gas, and heating and cooling energy can be provided to users and managers through terminals of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function.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한정된 에너지 자원을 절약하고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기에너지의 경우 대기전력의 축소가 주요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ave limited energy resources and to utilize them more efficiently. In the case of electric energy, reduction of standby power is a main concern.

대기전력이란 전원과 연결된 전자기기가 그 동작을 위해 내/외부의 제어신호를 기다리면서 소비하는 전력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대기전력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전자 기기의 미사용시 해당 전자 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불편하여 대다수의 전자 기기 사용자들이 이를 행하지 않고 있다.Standby power refers to the power consumed by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while waiting for an internal / external control signal for its operation. The best way to prevent waste of energy due to such standby power is to disconnect the power plug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outlet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used, but it is practically inconvenient, so that the majority of users of the electronic device do not do so.

일반 가정을 예로 부연 설명하면, 가정에서는 컴퓨터, TV, 에어컨, 전자레인지, 전기다리미, 전기 헤어드라이기, 전기면도기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들이 사용된다. 여기서, 전기다리미, 전기 헤어드라이기, 전기면도기 등은 그 부피가 비교적 작은 동시에 1회 사용을 기준으로 그 사용시간이 짧아 통상 사용할 때만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사용한 다음 다시 콘센트에서 전원플러그를 뽑아 보관하게 되지만, 컴퓨터, TV,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은 그 부피가 비교적 커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1회 사용을 기준으로 비교적 장시간 사용되고, 따라서 그 사용 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해당 전자 기기에 장착된 전원스위치만을 온/오프 할 뿐 전원콘센트를 뽑지는 않는다.In general households, for example,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are used at home, such as computers, TVs, air conditioners, microwave ovens, electric irons, electric hair dryers and electric shavers. Here, electric irons, electric hair dryers, electric shavers, etc.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and their use time is short based on one-time use, so plug the power plug into the outlet only during normal use and then pull out the power plug from the outlet again. However, since the computer, TV, air conditioner, microwave oven, etc. are relatively large in size and fixed, they are used fo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based on the use of one time. Therefore, most users use only the power switch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It does not turn off the power outlet.

상기와 같은 이유로, 콘센트에 전기전자식 또는 기계식 타이머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만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방식의 절전형 콘센트, 또는 황화카드뮴셀(cds)의 조도센서,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등의 광센서, 근적외선의 인체감지센서(pyroelectric sensor) 등을 이용하여 조도나 인체를 감지 후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방식의 절전형 콘센트가 제공되고 있기도 하다.For the above reasons, the power outlet of the power outlet or the light intensity sensor of the cadmium sulfide cell (cds), the photodiode or the like, which is provided with the electric or electronic timer function, And a pyroelectric sensor of a near-infrared ray are used to detect the illuminance or the human body, and the power is supplied or cut off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타이머 기능이 있는 종래 절전형 콘센트의 경우,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전자 기기별로 항상 일정한 시간에 해당 기기를 사용하지는 않는바, 절전형 콘센트의 작동 시간 설정을 수시로 조정해야 하고, 이는 전자 기기 사용에 매우 큰 불편을 초래하여 절전형 콘센트의 사용 자체를 멀리하는 요인이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wer-saving type socket outlet having the above timer function, since the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always use the devi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ach electronic device, the operation time setting of the power-saving type socket must be adjusted from time to time, It causes a very great inconvenience to use, which causes the use of the power-saving outlet to be distanced.

또한, 조도나 인체 감지 결과에 따라 작동하는 종래 절전형 콘센트의 경우,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사용과는 무관하게 절전형 콘센트 주변에 머물더라도 해당 절전형 콘센트는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상태에 있게 되고, 또한 센서 기능 이상 시 콘센트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ower-saving type socket outlet that operates according to illumination or human body detection result, even if the user stays around the power-saving type socket regardless of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power-saving type socket is in a state of consuming standby power, And it becomes impossible to use the receptacle when it is abnormal.

따라서,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모든 콘센트의 대기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통제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effectively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ll the outlets in a home or a company.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5099호(2012.01.16), “도어록과 연계한 대기전력 차단장치”Korea Laid-Open Patent No. 2012-0005099 (2012.01.16), "Standby power cut-off device connected with door lock" 한국등록특허 제1103099호(2011.12.29), “선택전력의 차단수단을 갖는 계량기”Korean Registered Patent No. 1103099 (Dec. 29, 2011),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를 포함하여 실내의 에너지 미사용 상황 발생 여부에 따라 해당 실내에 설치된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자동 조정되는 동시에 해당 실내에 설치된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등을 위한 스마트 에너지 공급/차단부의 해당 에너지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자동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adjust the standby power supply and shutdown operation of a smart outlet module installed in a room, depending on whether an indoor energy-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connected with a digital door lock that enables automatic energy supply and shutdown operation of the smart energy supply / shutdown unit for city gas, .

또한, 본 발명은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들의 공급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에너지 공급/차단부의 동작을 사용자나 관리자가 통신 기능의 단말기를 통해 원거리에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outlet module for supplying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ies, and a smart smart smart module connected to a digital door lock that enables a user or an administrator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a smart energy supply / And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grid.

또한, 본 발명은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들의 일별, 월별, 년도별 등의 사용량 정보, 사용요금의 통계정보 등이 관리자의 통신 단말기에 자동 전송되어 실효성 있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정립 및 그 운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일부 또는 동일 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기타 통신 단말기에 자동 전송되어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에너지 사용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transmit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ies, such as the usage information such as the day, month, and year, and the usage fe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nager, thereby contributing greatly to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effective smart grid system. At the same time, a part or the sam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anager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user's smartphone or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and recogniz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use through his or h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implemented through an energy control home network control system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제1 출입감지센서와,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외에 설치되는 제2 출입감지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를 판단 후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재실 상태 확인부와,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로부터 신호 수신 후 해당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출입문에 설치되어 해당 출입문을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대기전력 제어부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제어되는 스마트 콘센트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ntrance / exit sensor installed in a room on the basis of a door, A second access detection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room, a second access detection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room occupant based on the door entranc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access sensors,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outside afte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redundancy check unit, the digital door lock being installed in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door, Off signal of the outlet installed in the room on the basis of the standby power on / And a standby power control, depending on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mart outlet module which the control and stopping of standby power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는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인의 개인식별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는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인들의 인적정보가 사전 저장되어 현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인적정보에 포함된 출입인의 최종 감지위치가 상기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 중 어느 센서인지 판별하는 것을 통해 해당 출입인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access sensors may be sensors for detect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ntrance / exit entering / exiting through the door, and the occupancy status confirmation unit may previously store personal information of entrance / exit persons entering / And determining whether the entrance / exit of the entrance / exit person is reestablished by discriminating which of the first and second entrance / exit sensors is the final sensing location of the entrance / exit person included in the human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point of view.

또한,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일체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ccupant status confirmation unit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digital door lock.

또한,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는 상기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의 생성 시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 둘 이상에 대한 공급제어신호를 함께 생성하여 해당 에너지의 스마트 공급/차단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may generate a supply control signal for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a city gas, and a cooling / heating energy supplied to the room on the basis of the door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 RTI > to the smart supply / blocking portion of < / RTI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상기 재실상태 확인부와 대기전력 제어부의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의 조정을 위한 사용자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access point (WAP) for relaying a signal between the standby state checking unit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y related data output from the smart outlet module and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 user control signal for the wireless access point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해당 출입문을 개폐하며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의 외부 전송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대기전력 제어부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제어되는 스마트 콘센트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installed in a door, automatically opening / closing the door, Off signal of an outlet installed in a room based on the door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a standby power And a smart receptacle module in which supply and interruption of standby power to the electronic equipment are controlled according to a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무인경비시스템의 무인경비 개시 및 취소를 알리기 위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중 어느 한 또는 둘 모두의 출력라인 상에 병렬 접속되어 접속된 무인경비시스템으로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 입력 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 및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is a unmanned security system connected in parallel on an output line of one or both of a voice signal and a video signal for informing the unmanned security start and cancellation of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And a signal for shutting off standby power of the receptacles installed in the room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해당 출입문을 기준으로 내측 공간의 전력계와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전력계와의 병렬 접속점에서 입력되는 전력값이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들의 대기전력을 합한 값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동시에 이 상황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 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 및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digital door lock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meter of the inner space based on the door, and the power input from the parallel connection point with the power meter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from the sum of the standby power of the smart outlet modules, And automatically generates a signal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of the receptacles installed in the room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when the situation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또한,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는 상기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의 생성 시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 둘 이상에 대한 공급제어신호를 함께 생성하여 해당 에너지의 스마트 공급/차단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may generate a supply control signal for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a city gas, and a cooling / heating energy supplied to the room on the basis of the door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 RTI > to the smart supply / blocking portion of < / RTI >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이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과 각각 무선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mart outlet module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is a gateway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smart outlet module, respectively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외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재실 상태 확인부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가 상기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재실자가 존재하는 판단 후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의 출력 신호가 상기 출입문에 설치된 통신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되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대기전력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콘센트에 대한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 후 스마트 콘센트 모듈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이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entrance / exit sensors, A step of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ntrance / exit sensors, after the determination that the occupant is present in the room based on the door, The output signal of the confirming unit is input to a digital door lock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installed in the door, and the digital door lock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standby state checking unit;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oor lock,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electromotive force on / off signal to the smart receptacle module; and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standb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

또한,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가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 판단은, 재실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현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는 인적정보 저장부에 포함된 출입의 최종 감지위치가 실내의 상기 제1 출입감지센서이면 재실 상태로 판단하고 실외의 제2 출입감지센서이면 재실 상태로 판단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ce of the occupant in the room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esent position of the occupant checking unit, based on the present position of the occupant in the occupant information storage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entrance / exit detection sensor of the outdoor unit is in the rearming state and the second entrance / exit detection sensor is determined to be the rearming state.

또한,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가 상기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 후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에 출력하는 과정에는,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공급제어신호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어 이 공급제어신호가 해당 에너지의 스마트 공급/차단부에 출력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and output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to the smart outlet module,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to the smart outlet module may include: And a process of generating a supply control signal through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outputting the supply control signal to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 of the energ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 관련 데이터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와 무선 통신하는 동시에 통신망에 접속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과정,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 조정용 제어신호가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과 대기전력 제어부에 각각 접속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에 입력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the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y related data output from the smart outlet module and the smart supply /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smart receptacle module and the smart supply / cutoff portion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rocess of receiving the signal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WAP) connected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inputting the received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출입문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락에서 실내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차단 동작을 위한 신호가 자동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생성한 신호를 그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와, 대기전력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콘센트에 대한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 후 스마트 콘센트 모듈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이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utomatically generating a signal for a standby power cutoff operation of an indoor smart outlet module in a digital door lock installed at a door, A step of outputt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digital door lock to the outside via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step of generating a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for the outlet of the room based on the door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door lock Outputting the standby power to the smart outlet module; and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standby power to the electronic appliance and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outlet according to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서 실내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차단 동작을 위한 신호 생성은, 무인경비시스템의 무인경비 개시 및 취소를 알리기 위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출력 시 해당 신호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함께 수신되면서 이 신호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이 실내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차단 동작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또는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계의 전력값 데이터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서 함께 감지되어 감지된 전력값이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들의 대기전력을 합한 전력값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동시에 이 상황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 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실내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차단 동작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digital door lock, signal generation for the standby power cut-off operation of the indoor smart receptacle module is performed when the output of either or both of the voice signal and the video signal for informing of the unmanned security start and cancellation of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A step of generating a signal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of the indoor smart outlet module when the digital door lock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digital door lock, or the power value data of the power meter for measuring the indoor power based on the door, Wherein the digital door lock detects a standby power level of the indoor smart outlet module when the detected power value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from a sum of standby power of the smart outlet modules, Signals for blocking action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를 포함하여 실내의 에너지 미사용 상황 발생 여부에 따라 해당 실내에 설치된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자동 조정되는 동시에 해당 실내에 설치된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등을 위한 스마트 에너지 공급/차단부의 해당 에너지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자동 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ndby power supply and shut-off operations of a smart outlet module installed in a room ar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whether an indoor energy-unused condition including presence or absence of a room occupant is automatically adjusted, and a city gas, Etc. The corresponding energy supply and cutoff actions of the smart energy supply / shutdown part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또한,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들의 공급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에너지 공급/차단부의 동작을 사용자나 관리자가 통신 기능의 단말기를 통해 원거리에 원격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smart outlet module and the smart energy supply / cutoff unit for supplying the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ies can be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by the user or the manager through the communication function terminal.

또한,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들의 일별, 월별, 년도별 등의 사용량 정보, 사용요금의 통계정보 등이 관리자의 통신 단말기에 자동 전송되어 실효성 있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정립 및 그 운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일부 또는 동일 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기타 통신 단말기에 자동 전송되어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에너지 사용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usage information of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ies such as daily, monthly, and year information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usage charges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nager,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effective smart grid system, At the same time, a part or the same information of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anager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or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and recogniz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use through his / her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lso,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implemented by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이 이용되는 스마트 그리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이 이용되는 스마트 그리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smart grid device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smart grid device in which a digital door lock is u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network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door lock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 이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라 함)은 제1 출입감지센서(110), 제2 출입감지센서(120), 재실 상태 확인부(130), 디지털 도어락(140), 대기전력 제어부(160),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 wireless access point, WAP) 및 사용자 단말기(191.19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ntrance / And a smart outlet module 171. The first and second entrance and exit sensors 110-120, the second entrance and exit detection sensor 120, the room condition confirmation unit 130, the digital door lock unit 140,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Also,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access point (WAP) 180 and a user terminal 191.192.

제1 출입감지센서(110)와 제2 출입감지센서(120)는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출입문은 일반가정, 기업체, 연구실 등 소정의 정해진 인원이 상주하는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출입문을 예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110,120)는 각각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인의 개인식별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The first entrance / exit detection sensor 110 and the second entrance / exit detection sensor 120 are installed in the room and the outside, respectively, based on the entrance door, and the entrance door may be a building or a building in which a predetermined person such as a general household, The access door of the facility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and second access sensors 110 and 120 may be sensors for sens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 person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access door, respectively.

재실상태 확인부(130)는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110,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감지센서(110,120)가 출입인의 개인식별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재실상태 확인부(130)는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인들의 인적정보가 사전 저장된다. 이에 따라, 재실상태 확인부(130)는 재실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현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인적정보에 포함된 출입인의 최종 감지위치가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110,120) 중 어느 센서인지 판별하는 것을 통해 해당 출입인의 재실 여부를 판단 후 재실자가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신호를 디지털 도어락(140)의 통신부(150)에 전송한다.The recharging condition checking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oom occupant based on the door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access sensors 110 and 12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ensors 110 and 120 are sensors for sens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for example, the accommodation state confirmation unit 130 may identify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through the door, Lt; / RTI > Accordingly, if the final sensing position of the entrance / exit person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is the sensor of the first and second entrance / exit sensors 110 and 1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ccupancy,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digital door lock unit 140.

예를 들어, 재실상태 확인부(130)가 재실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현 시점에, 상기 인적정보에 포함된 출입인 A의 최종 감지위치가 제1 출입감지센서(110)이면, 재실상태 확인부(130)는 출입인 A가 재실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또한 상기 인적정보에 포함된 출입인 B의 최종 감지위치가 제2 출입감지센서(120)이면, 재실 상태 확인부(130)는 출입인 B가 퇴실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For example, if the final sensing position of the entrance A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is the first entrance / exit detection sensor 110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occupancy confirm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present, If the final sensing position of the entrance / exit person B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is the second entrance / exit detection sensor 120, the recharging state checking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entrance / B is in the exit state.

그리고 이와 같은 재실 상태 확인부(130)는 이어서 설명되는 디지털 도어락(140)에 일체로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The redundancy check unit 130 may be integr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디지털 도어락(140)은 상기 출입문에 설치되어 해당 출입문을 개폐하며, 또한 디지털 도어락(140)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50)를 구비한다. 즉 통신부(150)는 재실 상태 확인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 후 이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출력한다.The digital door lock (140) is installed at the door to open / close the door, and the digital door lock (140) has a communication unit (150)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50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dundancy check unit 130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대기전력 제어부(160)는 디지털 도어락(140)의 통신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대기전력 제어부(160)는 상기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의 생성 시,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 둘 이상에 대한 공급제어신호를 함께 생성하여 해당 에너지의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generates and outputs a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a socket-outlet installed in the room based on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digital door lock unit 140. [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also generates a supply control signal for at least one of the power source, the city gas, and the cooling / heating energy supplied to the room based on the door, And outputs it to the smart supply / blocking units 172-174 of the corresponding energy.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은 대기전력 제어부(160)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제어된다. 여기서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은 스마트 콘센트의 기능을 갖는 벽면 매립형 콘센트, 멀티탭 등 모든 콘센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smart outlet module 171 controls the supply and the interruption of the standby power to the electronic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Here, the smart outlet module 171 is a concept including all receptacles such as wall-mounted receptacles, multi-tabs, etc., which function as smart receptacles.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140)의 통신부(150)는 무선 통신 모듈이고,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대기전력 제어부(160)는 디지털 도어락(140)의 통신부(150) 및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과 각각 무선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인 것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digital door lock unit 14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mart outlet module 171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digital door lock unit 140, Module 171, respectively.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 wireless access point, WAP)는 재실상태 확인부(130)와 대기전력 제어부(160)의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기능을 한다.A wireless access point (WAP) 180 functions to relay signals between the standby state checking unit 130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사용자 단말기(191,192)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로부터 출력되는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의 조정을 위한 사용자 제어신호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91,192)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등 휴대형의 단말기(181)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용자 PC와 같이 데스크탑 컴퓨터(192)일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s 191 and 192 are connected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18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 and display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y related data output from the smart outlet module 171 and the smart supply / At the same time, transmits a user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180 for adjustment of the smart receptacle module 171 and the smart supply / blocking portions 172-174. The user terminals 191 and 192 may be a portable terminal 181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s 191 and 192 may be a desktop computer 192 such as a user PC.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에 따라 실내에 설치된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의 대기전력 공급 및 차단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또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에 따라 도시가스, 전원, 냉난방 에너지 등 각종 에너지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해 설치된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들의 해당 에너지 공급 및 차단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대기전력 및 전원을 예로 부연 설명하면,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에 따라 대기전원 및 전원의 차단 및 공급이 자동 제어되고 이를 원거리의 사용자가 통신망 및 통신기능의 단말기(191,192)를 통해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에너지의 공급자들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전기에너지의 사용 데이터들을 사용자별로 수신 후 그 통계적 처리 등을 통해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바, 실효성 있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제공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standby power supply and interruption of the smart outlet module 171 installed in the room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a room occupant in the room.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energy supply / cutoff of the smart supply / shutoff units 172-174 installed for the supply and shutdown of various kinds of energy such as city gas, power supply, cooling / heating energy and the lik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room occupant in the room. The standby power and the power supply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ccupant in the room and the remot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remote user through the terminals 191 and 192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function At the same time, suppliers of electric energy can utilize electric energy usage data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various purposes through statistical processing after receiving for each user, which can contribute to providing an effective smart grid system.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200: 이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라 함)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과 비교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디지털 도어락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Prior to the description,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home network control system ")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Compared with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100,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gital door lock.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200)은 디지털 도어락(210), 대기전력 제어부(160),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20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 wireless access point, WAP), 사용자 단말기(191,192)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gital door lock 210, a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and a smart outlet module 171.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200 includes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200 May further comprise a wireless access point (WAP) 180, a user terminal 191, 192 and a smart supply / blocker 172-174.

디지털 도어락(210)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해당 출입문을 개폐하며,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210)은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 후 이렇게 생성된 신호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즉, 통신부(214)가 디지털 도어락(210)에 설치되어 이러한 통신부가 디지털 도어락(210)에서 생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전송한다.The digital door lock 210 is installed in a door and opens and closes a corresponding door. The digital door lock 210 automatically generates a signal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of the outlets installed in the room, and outpu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ler 160 send.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214 is installed in the digital door lock 2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ignal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generated in the digital door lock 210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여기서 디지털 도어락(210)은 무인경비시스템(10)의 무인경비 개시 및 취소를 알리기 위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출력라인 상에 병렬 접속되어 접속된 무인경비시스템(10)으로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 입력 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 후 이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Here, the digital door lock 210 is a unmanned security system 10 connected in parallel on the output line of either or both of a voice signal and an image signal for informing the unmanned security start and cancellation of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10 When a voice signal or a video signal is input, a signal for blocking the standby power of the outlets installed in the room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tandby power controller 160.

즉, 무인경비시스템(10)의 제어부(12)는 입력부(11)의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 입력 신호가 무인경비의 개시 또는 취소를 위한 신호이면 “경비를 개시합니다” 또는 “경비가 해제되었습니다” 등의 음성데이터 를 스피커(13)에 출력하여 해당 음성 메시지가 스피커(13)를 통해 출력되게 하고, 또한 “경비중” 또는 “경비해제” 등의 영상데이터를 화면부에 출력하여 해당 영상 메시지가 화면부를 통해 출력되게 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2 of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10 discriminates the corresponding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1, and if the discrimination result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starting or canceling the unmanned expense, Or "expired" is outputted to the speaker 13 so that the voice message is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13 and the video data such as "expense" or "expense release" is displayed on the screen 13 So that the corresponding video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그리고 이와 같은 무인경비시스템(10)의 제어부(12)와 스피커(13) 간 데이터 전송라인 상에 디지털 도어락(210)의 데이터 수신부(211)가 병렬 접속됨으로써, 데이터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인경비시스템(10)의 음성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가 데이터 분석부(212)를 통해 분석되고, 이렇게 데이터 분석부(212)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가 제어부(213)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213)는 데이터 분석부(212)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무인경비의 개시 및 취소 신호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 후, 그 판별 결과가 무인경비의 개시 및 취소 신호 중 어느 하나이면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통신부(214)에 출력하여 해당 신호가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The data receiving unit 211 of the digital door lock 210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data transmission line between the control unit 12 and the speaker 13 of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10,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of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10 is analyzed through the data analysis unit 212 and the data analyzed through the data analysis unit 212 is inputted to the control unit 213. Then, the control unit 213 determines whether the data input through the data analysis unit 212 is one of the initiation and cancellation signals of the unmanned expense, 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any of the initiation and cancellation signals of the unmanned expense, And outputs a signal for power cutoff to the communication unit 214 so that the correspond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그리고 나머지 대기전력 제어부(160),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 wireless access point, WAP), 사용자 단말기(191,192)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의 해당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200)의 작용 역시 도 1 및 도 2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remaining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the smart outlet module 171, the wireless access point 180, the user terminals 191 and 192, and the smart supply / blocking units 172 to 174, And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FIG. 2,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lso, the operation of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FIG. 1 and FIG. 2,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300: 이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라 함)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과 비교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디지털 도어락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Prior to the description,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3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home network control system ")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Compared with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100,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gital door lock.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300)은 디지털 도어락(310), 대기전력 제어부(160),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30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 wireless access point, WAP), 사용자 단말기(191,192),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gital door lock 310, a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and a smart outlet module 171.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300 includes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300 May further comprise a wireless access point (WAP) 180, a user terminal 191, 192, and a smart supply / blocker 172-174.

디지털 도어락(310)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해당 출입문을 개폐하며,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310)은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 후 이렇게 생성된 신호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즉, 통신부(314)가 디지털 도어락(310)에 설치되어 디지털 도어락(310)에서 생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전송한다.The digital door lock 310 is installed in a door and opens and closes a corresponding door. The digital door lock 310 automatically generates a signal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of the outlets installed in the room, and then outpu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ler 160 send.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314 is installed in the digital door lock 310 and transmits a signal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generated in the digital door lock 310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여기서 디지털 도어락(310)은 해당 출입문을 기준으로 내측 공간의 전력계(20: 본 실시예에서는 가정용 적산전력계를 예로 함)와 병렬 접속되며,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310)은 전력계(30)와의 병렬 접속점에서 입력되는 전력값이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의 대기전력을 합한 값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동시에 이 상황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이를 실내에 재실자거 없거나 취침 등의 상황으로 판단하여 실내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 및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digital door lock 310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wattmeter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a household integrated wattmeter is exemplified) of the inner space on the basis of the door. Thus, the digital door lock 310 is connected to the parallel connection point If the power value input from the smart outlet module 171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from the sum of the standby power of the smart outlet module 171 and the situation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automatically generates and transmits a signal for blocking the standby power of the outlets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그리고 이를 위해 디지털 도어락(310)은 전력값의 수신을 위한 데이터 수신부(311), 데이터 수신부(311)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값 분석하는 전력값 분석부(312), 전력값 분석부(312)에서 분석된 전력값을 스마트 콘센트(171a~171d)들의 대기전력을 합한 값과 비교 분석하는 동시에 이를 위해 스마트 콘센트(171a~171d)들의 대기전력을 합한 값이 사전 설정되는 제어부(313), 제어부(313)에서 출력되는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수신 후 이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전송하는 통신부(3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gital door lock 310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311 for receiving a power value, a power value analyzing unit 312 for analyzing a power value input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311, and a power value analyzing unit 312 A controller 313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nalyzed power value with a value obtained by adding standby power of the smart receptacles 171a to 171d and adding a standby power sum of the smart receptacles 171a to 171d for this purpose, And a communication unit 314 for receiving a signal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of the socket outlet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300)의 대기전력 제어부(160),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 wireless access point, WAP) 및 사용자 단말기(191,192)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의 해당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300)의 작용 역시 도 1 및 도 2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s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smart outlet module 171, wireless access point (WAP) 180, and user terminals 191 and 192 of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300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S. 1 and 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10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lso, the operation of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FIGs. 1 and 2,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Next, embodiments of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며,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 디지털 도어락을 포함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따르며, 따라서 해당 구성의 부호 역시 도 1 및 도 2에 따른 것임을 밝혀 둔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network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control system is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and therefore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components are also in accordance with FIG. 1 and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이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이라 함)은, 단계(S110)에서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외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110,120)로부터 해당 출입문을 통한 출입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energy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ssenger through the door is det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ntrance and exit sensors 110 and 120, respectively.

이어서, 단계(S120)에서 제1 및 제2 감지센서(110,120)는 감지되는 출입감지신호를 재실 상태 확인부(130)에 입력한다.Then, in step S120,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sensors 110 and 120 input sensed entrance / exit signals to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30.

이어서, 단계(S130)에서 재실 상태 확인부(130)는 제1 및 제2 출입감지신호(110,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를 판단 후, 그 판단 결과 재실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실내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디지털 도어락(140)의 통신부(15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통신부(150)는 수신한 재실 상태 확인부(130)의 신호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여기서, 재실 상태 확인부(130)가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재실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현시점을 기준으로 그 인적정보 저장부에 포함된 출입자의 최종 감지위치가 실내의 제1 출입감지센서(110)에 의한 것이면 해당 출입자를 재실 상태로 판단하고 이와 달리 출입자의 최종 감지위치가 실외의 제2 출입감지센서(120)에 의한 것이면 해당 출입자를 퇴실 상태로 판단하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Then, in step S130, the redundancy check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oom occupant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ccess detection signals 110 and 120, and determines that there is no occupant Th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a signal of the standby state checking unit 130 to the standby power controller 160. The standby power controller 160 controls the standby power controller 160, . Herein, the occupant status confirm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indoors on the basis of the entrance door, based on the current poin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ccupant, If it is determined by the first entrance / exit detection sensor 110 of the entrance / exit detection sensor 110 that the entrance is detected by the second entrance / exit sensor 120, .

이어서, 단계(S141)에서 대기전력 제어부(160)는 재실 상태 확인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 후, 이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설치된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에 출력하기 위한 대기전력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In step S141, the standby power controller 160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dundancy check unit 130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smart outlet module 171 installed in the room on the basis of the door. And generates and outputs a standby power off signal.

이어서, 단계(S150)에서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은 대기전력 제어부(160)의 대기전력 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은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을 차단한다.Next, in step S150, the smart outlet module 171 receives the standby power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ler 160, and accordingly, the smart outlet module 171 blocks the supply of the standby power to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appliance .

그리고 단계(S150) 이후에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다시 재실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전력 제어부(160)는 해당 신호를 수신 후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에 출력하기 위한 대기전력 온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에 출력하고, 따라서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은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을 공급을 재개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the room again after step S150, the standby power controller 160 generates a standby power ON signal for outputting the standby power to the smart outlet module 171 after receiving th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mart outlet module 171, so that the smart outlet module 171 resumes the standby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appliance.

또한, 대기전력 제어부(160)의 단계(S141) 수행 중, 대기전력 제어부(160)는 단계(S142~144)를 통해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공급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에너지의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각각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전력 제어부(160)로부터 공급제어신호를 수신 한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들은 해당 에너지를 실내에 공급 또는 차단한다. During the execution of step S141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may determine whether any one or more of the power source, the city gas, and the cooling and heating energy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steps S142 to S144 To generate the supply control signals and output them to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s 172-174 of the corresponding energy,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smart supply / blocking units 172-174 receiving the supply control signal from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supply or block the corresponding energy to the room.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로부터 출력되는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 관련 데이터가 대기전력 제어부(160)와 무선 통신하는 동시에 통신망에 접속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 wireless access point, WAP)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91,192)에 전송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방법은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기(191,192)로부터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 wireless access point, WAP)를 통해 수신되어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입력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y related data output from the smart outlet module 171 and the smart supply / blocking units 172-174, 160 to the user terminals 191, 192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WAP) 18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outlet module 171 and the smart supply / blocking units 172 to 174 from the user terminals 191 and 192 is not limited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180: wireless access point (WAP), and input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 디지털 도어락을 포함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도 3의 실시예를 따르며, 따라서 해당 구성의 부호 역시 도 3에 따른 것임을 밝혀 둔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network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door lock is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FIG. 3, and thus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components are also in accordance with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10)에서 디지털 도어락(210)에 무인경비 시스템(10)의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수신된다. As shown, either or both of the voice data and the image data of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10 are received in the digital door lock 210 in step S210.

이어서, 단계(S220)에서 디지털 도어락(210)은 수신된 무인경비 시스템(10)의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무인경비의 개시 또는 취소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도면의 흐름도는 해당 기술 내용을 보다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음성데이터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이 흐름도에 음성데이터와 함께 영상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임은 물론이다.Next, in step S220, the digital door lock 21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data of the received unmanned security system 10, the image data, the voice data, or the image data is an unmanned expense start or cancellation signa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low chart of the drawings is prepared based on the voice data in order to more simply express the contents of the description, and the voice data and the image data are included in the flowchart.

이어서, 단계(S230)에서는 단계(S220)의 판별 결과 무인경비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무인경비의 개시 또는 취소 신호인 경우, 디지털 도어락(210)은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에 대한 대기전력 오프 신호를 생성 후 이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출력하며, 이와 동시에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대한 해당 에너지 차단 신호를 생성 후 이를 해당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출력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0 that the data received from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10 is the start or cancellation signal of the unmanned expense, the digital door lock 210 is set to the standby state for the smart outlet module 171 Off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s an energy cutoff signal for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s 172 to 174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nergy cutoff signal to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s 172 to 174, .

그리고 이러한 단계(S230) 이후에는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단계(S141~S144)부터 단계(S151~S154)와 동일한 과정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After this step S230, the same processes as the steps S141 to S144 and S151 to S154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are sequentially performed.

그리고 도 5의 단계(S150)과 동일한 과정 이후, 무인경비 시스템(10)으로부터 디지털 도어락(210)에 무인경비 해제 신호가 전송되면, 디지털 도어락(210)은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에 출력하기 위한 대기전력 온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에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출력하기 위한 해당 에너지의 공급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이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 공급을 재개하는 동시에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는 해당 에너지의 공급을 재개한다.When the unmanned expense cancel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10 to the digital door lock 210 after the same process as the step S150 of FIG. 5, the digital door lock 210 transmits the unattended expense canceling signal to the smart outlet module 171 Off signal to the smart outlet module 171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supply signal of the corresponding energy for outputting to the smart supply / cutoff block 172-174 and supplies it to the smart supply / cutoff block 172 To 174. Accordingly, the smart outlet module 171 resumes the standby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t the same time, the smart supply / cutoff block 172-174 resumes supply of the corresponding energy.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 디지털 도어락을 포함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도 4의 실시예를 따르며, 따라서 해당 구성의 부호 역시 도 4에 따른 것임을 밝혀 둔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network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it is to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door lock is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FIG. 4, and therefore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components are also in accordance with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10)에서 디지털 도어락(310)에 전력계(30)의 전력값이 수신된다.As shown, the power value of the power meter 30 is received at the digital door lock 310 at step S310.

이어서, 단계(S320)에서 디지털 도어락(310)은 수신된 전력계(20)의 전력값이 실내에 설치된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의 대기전력을 합한 전력값과 비교해 사전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한다.Next, in step S320, the digital door lock 310 compares the power value of the received power meter 20 with the power value of the standby power of the smart outlet module 171 installed in the room, and checks whether the power value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이어서, 단계(S330)에서는 단계(S320)의 확인 결과 전력계에서 수신된 전력값이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의 대기전력을 합한 전력값과 비교해 사전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고 이러한 상황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디지털 도어락(310)은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에 대한 대기전력 오프 신호를 생성 후 이를 대기전력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도어락은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대한 해당 에너지 차단 신호를 생성 후 이를 해당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출력한다.In step S330, it is determined in step S320 that the power value received from the power meter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s compared with the sum of the standby power of the smart outlet module 171, The digital door lock 310 generates a standby power off signal for the smart outlet module 171 and outputs the standby power off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160. At the same time, the digital door lock generates corresponding energy cutoff signals for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s 172-174, and outputs the generated energy cutoff signals to the corresponding smart supply / cutoff units 172-174.

그리고 이러한 단계(S330) 이후에는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단계(S141~S144)부터 단계(S151~S154)와 동일한 과정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After this step S330, the same processes as the steps S141 to S144 to the steps S151 to S154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are sequentially performed.

그리고 도 5의 단계(S150)과 동일한 과정 이후, 전력계(20)로부터 입력되는 전력값이 실내 스마트 콘센트들의 대기전력을 합한 전력값 이상이 되면, 디지털 도어락(310)은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에 출력하기 위한 대기전력 온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에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출력하기 위한 해당 에너지의 공급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마트 콘센트 모듈(171)이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 공급을 재개하는 동시에 스마트 공급/차단부(172~174)는 해당 에너지의 공급을 재개한다.5, if the power value input from the power meter 20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tandby power of the indoor smart receptacles, the digital door lock 310 is connected to the smart receptacle module 171 Generates a standby power ON signal for outputting to the smart outlet module 171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supply signal of the corresponding energy for output to the smart supply / And outputs it to the units 172-174. Accordingly, the smart outlet module 171 resumes the standby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t the same time, the smart supply / cutoff block 172-174 resumes supply of the corresponding energy.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해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를 포함하여 실내의 에너지 미사용 상황 발생 여부에 따라 해당 실내에 설치된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자동 조정되는 동시에 해당 실내에 설치된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등을 위한 스마트 에너지 공급/차단부의 해당 에너지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자동 조정될 수 있게 된다.1 through 7,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the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The standby power supply and shutdown operation of the smart outlet module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room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whether the indoor energy unused state occurs or not, and at the same time, the smart energy supply / shutdown unit for the city gas, The corresponding energy supply and cutoff operation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또한,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들의 공급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에너지 공급/차단부의 동작을 사용자나 관리자가 통신 기능의 단말기를 통해 원거리에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Also, the operation of the smart outlet module and the smart energy supply / cutoff unit for supplying the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ies can be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by the user or the manager via the communication function terminal.

또한,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들의 일별, 월별, 년도별 등의 사용량 정보, 사용요금의 통계정보 등이 관리자의 통신 단말기에 자동 전송되어 실효성 있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정립 및 그 운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일부 또는 동일 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기타 통신 단말기에 자동 전송되어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에너지 사용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 및 인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usage information of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ies such as daily, monthly, and year information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usage charges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nager,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effective smart grid system, At the same time, a part or the sam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anager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or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and recogniz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ergy use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 대기전력의 차단을 위한 수동스위치 내지 기타 수동 방식의 조작부를 설치하고, 이러한 수동 방식의 조작부를 수동 조작함에 따라 실내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는 가정에서 사용자가 취침 전에 실내 대기전력 차단을 위해 사용하면 매우 유용할 것이다.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anual switch or other manual operation unit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block the standby power of the room by manually operating the manual operation unit. This would be very useful if the home is used by the user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before bedtim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the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omething to do.

100,200,300 :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10 : 제1 출입감지센서
120 : 제2 출입감지센서 130 : 재실상태 확인부
140,210, 310 : 디지털 도어락 150,214,314 : 통신부
160 : 대기전력 제어부 171 : 스마트 콘센트 모듈
171a : 제1 스마트 콘센트 171b : 제2 스마트 콘센트
171c : 제3 스마트 콘센트 171d : 제4 스마트 콘센트
172 : 도시가스 스마트 공급/차단부 173 : 전원 스마트 공급/차단부
174 : 냉난방 에너지 스마트 공급/차단부 180 : AP
191 : 사용자 휴대단말기 192 : 사용자 PC
211,311 : 데이터 수신부 212 : 데이터 분석부
213,313 : 제어부 312 : 전력값 분석부
100, 200, 300: Home network control system 110:
120: second entrance / exit detection sensor 130:
140, 210, 310: Digital door lock 150, 214, 314:
160: Standby power controller 171: Smart outlet module
171a: first smart outlet 171b: second smart outlet
171c: Third smart outlet 171d: Fourth smart outlet
172: city gas smart supply / cutoff unit 173: power supply smart supply / cutoff unit
174: Heating / cooling energy smart supply / shutoff unit 180: AP
191: user portable terminal 192: user PC
211, 311: Data receiving unit 212: Data analyzing unit
213,313: Control section 312: Power value analysis section

Claims (19)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제1 출입감지센서;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외에 설치되는 제2 출입감지센서;
상기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를 판단 후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재실 상태 확인부;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로부터 신호 수신 후 해당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출입문에 설치되어 해당 출입문을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대기전력 제어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제어되는 스마트 콘센트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A first entrance / exit sensor installed indoors on the basis of a door;
A second access sensor installed outdoors on the basis of the access door;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room occupant based on the door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access sensors,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outside afte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redundancy check unit, wherein the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in the door and opens / closes the door;
A standby power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an outlet installed in the room based on the door door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a smart outlet module in which supply and interruption of standby power for the electronic equipment ar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es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는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인의 개인식별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는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인들의 인적정보가 사전 저장되어 현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인적정보에 포함된 출입인의 최종 감지위치가 상기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 중 어느 센서인지 판별하는 것을 통해 해당 출입인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ccess sensors are sensors for detect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 person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access door,
The occupant status confirmation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outgoing and inbound persons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door is pre-stored so that the final sensing position of the outbound person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is the sensor of the first and second access detection sensors And judging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entrance is re-establish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the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일체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ccupant status confirmation unit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digital door lock.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nergy including the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는 상기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의 생성 시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 둘 이상에 대한 공급제어신호를 함께 생성하여 해당 에너지의 스마트 공급/차단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may generate a supply control signal for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a city gas, and a cooling / heating energy supplied to the room based on the door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power to the power supply / shutoff unit.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the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상태 확인부와 대기전력 제어부의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의 조정을 위한 사용자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wireless access point (WAP) for relaying signals between the standby state checking unit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receives and displays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y related data output from the smart outlet module and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nergy includes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출입문에 설치되어 해당 출입문을 개폐하며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의 외부 전송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락;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대기전력 제어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제어되는 스마트 콘센트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A digital door lock which is installed in a door and opens and closes a corresponding doo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signal for shutting off standby power of receptacles installed in the room and for external transmission of the generated signal;
A standby power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an outlet installed in the room based on the door door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a smart outlet module in which supply and interruption of standby power for the electronic equipment ar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es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무인경비시스템의 무인경비 개시 및 취소를 알리기 위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중 어느 한 또는 둘 모두의 출력라인 상에 병렬 접속되어 접속된 무인경비시스템으로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 입력 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 및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gital door lock is an unmanned security system connected in parallel on an output line of one or both of a voice signal and a video signal for informing of the unmanned security start and cancellation of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And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해당 출입문을 기준으로 내측 공간의 전력계와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전력계와의 병렬 접속점에서 입력되는 전력값이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들의 대기전력을 합한 값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동시에 이 상황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 시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들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 및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gital door lock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meter of the inner space on the basis of the door, and the power input from the parallel connection point with the power meter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from the sum of the standby power of the smart outlet modules, Wherein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utomatically generates a signal for shutting off the standby power of the receptacles installed in the room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when the power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는 상기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의 생성 시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 둘 이상에 대한 공급제어신호를 함께 생성하여 해당 에너지의 스마트 공급/차단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may generate a supply control signal for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a city gas, and a cooling / heating energy supplied to the room based on the door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power to the power supply / shutoff unit.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the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상태 확인부와 대기전력 제어부의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의 조정을 위한 사용자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 wireless access point (WAP) for relaying signals between the standby state checking unit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receives and displays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y related data output from the smart outlet module and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nergy includes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a digital door lock.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이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과 각각 무선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mart outlet module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is a gateway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smart outlet module, respectively.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smart grid associated with.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외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재실 상태 확인부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가 상기 제1 및 제2 출입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재실자가 존재하는 판단 후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의 출력 신호가 상기 출입문에 설치된 통신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되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대기전력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콘센트에 대한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 후 스마트 콘센트 모듈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이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A step of inputting sensed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access sensor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room based on the door to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fter determining that a room occupant exists in the room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access sensors;
Outpu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redundancy check unit to a digital door lock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installed in the door,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redundancy check unit;
Generating a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for the outlet of the room based on the door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output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to the smart outlet module;
Wherein the smart receptacle module controls supply and cutoff operations of standby power to the electronic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Network control metho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가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재실자 존재 여부 판단은, 재실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현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재실 상태 확인부는 인적정보 저장부에 포함된 출입의 최종 감지위치가 실내의 상기 제1 출입감지센서이면 재실 상태로 판단하고 실외의 제2 출입감지센서이면 재실 상태로 판단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ccupant status confirm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present in the room based on the entrance door based on a current point of tim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ccupant is present or not,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first entrance / exit sensor is in a rearmost state and the second entry / exit sensor is in an out-of-room sta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가 상기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 후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에 출력하는 과정에는,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공급제어신호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어 이 공급제어신호가 해당 에너지의 스마트 공급/차단부에 출력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and output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to the smart outlet module, the process of supplying power to one or more of the power source, city gas,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the supply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 of the energy. The home network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the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 관련 데이터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와 무선 통신하는 동시에 통신망에 접속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과정,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 조정용 제어신호가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과 대기전력 제어부에 각각 접속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에 입력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y related data output from the smart outlet module and the smart supply / blocking unit are wirelessly communicated with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WAP)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smart receptacle module and the smart supply / cutoff portion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WAP)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portion, And in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energy contro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출입문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락에서 실내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차단 동작을 위한 신호가 자동 생성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생성한 신호를 그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
대기전력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콘센트에 대한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 후 스마트 콘센트 모듈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이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의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에 대한 대기전력의 공급 및 차단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Automatically generating a signal for a standby power cut-off operation of an indoor smart outlet module in a digital door lock installed at a door;
Outputt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digital door lock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Generating a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for the outlet of the room based on the door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door lock, and output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to the smart outlet module;
Wherein the smart receptacle module controls supply and cutoff operations of standby power to the electronic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Network control metho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서 실내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차단 동작을 위한 신호 생성은, 무인경비시스템의 무인경비 개시 및 취소를 알리기 위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출력 시 해당 신호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함께 수신되면서 이 신호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이 실내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차단 동작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또는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계의 전력값 데이터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서 함께 감지되어 감지된 전력값이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들의 대기전력을 합한 전력값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동시에 이 상황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 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 실내 스마트 콘센트 모듈의 대기전력 차단 동작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ignal generation for the standby power cut-off operation of the indoor smart receptacle module in the digital door lock is performed when the output of either or both of the voice signal and the video signal for informing the start and cancel of the unmanned security of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A step of generating a signal for a stand-by power cut-off operation of the indoor smart receptacle module by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together with the door lock, or the power value data of the power meter for measuring the indoor power based on the door, When the detected power value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from a power value obtained by adding standby power of the smart outlet modules and the digital door lock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Generate a signal for And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가 상기 대기전력 온/오프 신호를 생성 후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에 출력하는 과정에는,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 도시가스, 냉난방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공급제어신호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어 이 공급제어신호가 해당 에너지의 스마트 공급/차단부에 출력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and outputting the standby power ON / OFF signal to the smart outlet module, the process of supplying power to one or more of the power source, city gas,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the supply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smart supply / cutoff unit of the energy. The home network for energy control including the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대기전력 및 기타 에너지 관련 데이터가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와 무선 통신하는 동시에 통신망에 접속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과정,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콘센트 모듈 및 스마트 공급/차단부 조정용 제어신호가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과 대기전력 제어부에 각각 접속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대기전력 제어부에 입력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tandby power and other energy related data output from the smart outlet module and the smart supply / blocking unit are wirelessly communicated with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WAP)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smart receptacle module and the smart supply / cutoff portion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WAP)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tandby power control portion, And in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energy contro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mart grid associat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KR1020120146244A 2012-12-14 2012-12-14 Home network control system comprising smart grid connected digital doorlock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KR2014007742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244A KR20140077429A (en) 2012-12-14 2012-12-14 Home network control system comprising smart grid connected digital doorlock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PCT/KR2013/003861 WO2014092260A1 (en) 2012-12-14 2013-05-03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regulating energy comprising smart grid linked to digital door lo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244A KR20140077429A (en) 2012-12-14 2012-12-14 Home network control system comprising smart grid connected digital doorlock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429A true KR20140077429A (en) 2014-06-24

Family

ID=5093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244A KR20140077429A (en) 2012-12-14 2012-12-14 Home network control system comprising smart grid connected digital doorlock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77429A (en)
WO (1) WO2014092260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64062A1 (en) * 2015-09-01 2017-03-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80024137A (en) * 2016-08-29 2018-03-08 창신정보통신(주) Circumstantial recognition energy management type smart socket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2035747B1 (en) * 2018-10-05 2019-10-23 옥철식 System for managing door lock and method thereof
KR20200014521A (en) * 2018-08-01 2020-02-11 기 동 조 A Operating Equipment of Window Exhaust Smoke Locking and Gas Valve on-off Apparatus used of Door Lock
KR20200091250A (en) * 2019-01-22 2020-07-30 두드림코리아주식회사 System for managing facility using door ro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3755B (en) * 2016-07-13 2019-01-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c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N107853996A (en) * 2017-12-21 2018-03-30 重庆金鑫科技产业发展有限公司 A kind of tea cooking machine and tea set su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8151B2 (en) * 2005-01-27 2009-06-16 Inncom International Inc. Power management lock system and method
KR100899446B1 (en) * 2007-07-18 2009-05-27 강판규 Electronic door loc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11017B1 (en) * 2009-01-14 2012-02-13 육상조 The system which the energy-reduction and the convenience of utility is schemed.
KR100922609B1 (en) * 2009-02-17 2009-10-21 (주) 메써슈미트코리아 Guest Room Management System Which Uses The Digital Door Lock Having RF Identity Module
KR20120072727A (en) * 2010-12-24 2012-07-04 길성호 Wireless cabinet pane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64062A1 (en) * 2015-09-01 2017-03-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692868B2 (en) * 2015-09-01 2017-06-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80024137A (en) * 2016-08-29 2018-03-08 창신정보통신(주) Circumstantial recognition energy management type smart socket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200014521A (en) * 2018-08-01 2020-02-11 기 동 조 A Operating Equipment of Window Exhaust Smoke Locking and Gas Valve on-off Apparatus used of Door Lock
KR102035747B1 (en) * 2018-10-05 2019-10-23 옥철식 System for managing door lock and method thereof
KR20200091250A (en) * 2019-01-22 2020-07-30 두드림코리아주식회사 System for managing facility using door r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2260A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7429A (en) Home network control system comprising smart grid connected digital doorlock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US20230170655A1 (en) Techniques For Integrating Wireless Functionality In A Power Outlet
US20080218000A1 (en) Power-Off System and Method
US10584893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728964B2 (en) Power production monitoring or control
JP2007271124A (en) Hot water supply device control system
JP483511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JP2009130974A (en) Power management system
JP4887670B2 (en) Communications system
JP2018055293A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program
KR20030004117A (en) Power management device
WO2016079890A1 (en) Monitoring system
KR101285650B1 (en) Security service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independantly electric power supply
JP2010098900A (en) Power monitoring device
US11372033B1 (en) Electric power monitoring system
JP2006309389A (en) Communication terminal, earthquake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and program
CN108050551A (en) A kind of long-range monitoring reminding type gas-cooker
JP2006324741A (en) Digital assistant, method of acquiring earthquake information, and program thereof
JP2009130973A (en) Power management system
JP2009025911A (en)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JP2004170276A (en) Electric current display
KR20200134612A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terworking with security system
JP2007041906A (en) Communication terminal, safety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program
JP5914816B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CN107909158A (en) Power grid maintenance supervisory systems based on current limi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