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853A -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853A
KR20140075853A KR1020120138500A KR20120138500A KR20140075853A KR 20140075853 A KR20140075853 A KR 20140075853A KR 1020120138500 A KR1020120138500 A KR 1020120138500A KR 20120138500 A KR20120138500 A KR 20120138500A KR 20140075853 A KR20140075853 A KR 20140075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multimedia information
information
structured electronic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20138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5853A/ko
Publication of KR2014007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27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where protection concerns the structure of data, e.g. records, types,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서적 (e-book: Electronic book)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서적이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자서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access) 하는 단계,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 (encoding) 하는 단계 및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LECTRONIC BOOK SERVICE}
본 발명은 전자서적 (Electronic book)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서적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자서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서적이란, 문자 정보나 화상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실제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를 의미하고, 전자서적 서비스는 종이서적을 대체하는 정보제공매체의 하나로서 전자적인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텍스트 컨텐츠를 보여주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일본 NEC (Nippon Electric Company) 가 전자서적을 최초로 상용화한 이후, 전자서적 산업은 빠르게 성장해오고 있다. 독자 입장에서 전자서적은 종이서적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온라인으로 구매가 가능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만 별도로 구입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출판사 입장에서는 종이를 쓰지 않으므로 제작비와 유통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서적 내용을 업데이트 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EPUB (Electronic Publication) 은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 (IDPF;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 에서 제정한 전자서적의 개방형 자유 전자서적 표준을 의미한다. EPUB은 자동공간조정 (reflowable) 이 가능하게끔 디자인 된다. 자동공간조정이란, EPUB으로 만들어진 내용이 디스플레이 될 때 디스플레이 하는 기계의 형식, 크기에 자동으로 최적화되어 보여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EPUB이 전 세계 공식 표준이 된 이후 많은 전자서적 업체가 이 EPUB 포맷을 채택하여 전자서적 컨텐츠를 생산함에 따라 대부분의 전자서적 단말기가 EPUB을 지원하고 있다. 비단, 전자서적 단말기뿐만 아니라, 자동공간조정이 가능한 특성상, PC,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이 전자서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 내에서도 역시 이 EPUB을 지원하고 있다.
EPUB 표준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전자서적 표준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기존 EPUB 표준과의 호환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EPUB 표준을 사용하면서, 전자서적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전자서적 컨텐츠를 보호하고 전자서적 엔진을 경량화를 하는 것이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EPUB으로 만들어진 전자서적 내부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함에 있어,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는 구조화된 전자문서의 외부 데이터로 취급되기 때문에, 이를 읽어 들이기 위해서는 EPUB으로 만들어진 전자서적의 압축을 해제하여, 해제된 결과물들을 파일로서 저장하여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전자서적 내부 컨텐츠를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해서 디바이스에 별도의 엔진을 단말기에 탑재하여야만 했다. 또한 디지털 권한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를 받고 있는 전자서적의 경우, EPUB으로 만들어진 전자서적의 압축을 해제할 때, 전자서적 내부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암호화를 거쳐 별도로 저장된다. 따라서 파일들의 관리가 어려우며, 정보의 입력 및 출력 과정에서 암호화 처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자서적 엔진을 탑재하지 않고 디바이스 OS 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를 이용하여 전자서적을 읽어 들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전자서적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전자서적을 읽어 들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access) 하는 단계,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 (encoding) 하는 단계 및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가 포함된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복호기 (decoder) 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호기는 디바이스 OS 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HyperText Markup Language)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이미지 (image)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64진수 부호화로 부호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가 디지털 권한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하에 있는 경우,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할 수 있는 권한을 DRM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DRM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권한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은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access) 하고,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 (encoding) 하고,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가 포함된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복호기 (decoder) 로 전송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호기는 디바이스 OS 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HyperText Markup Language)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이미지 (image)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64진수 부호화로 부호화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가 디지털 권한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하에 있는 경우,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할 수 있는 권한을 DRM 시스템에 요청하고, 상기 DRM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권한을 수신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는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access) 하는 액세스부,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오브젝트 획득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 (encoding) 하는 부호화부 및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으므로, 전자서적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디바이스에 별도의 전자서적 엔진을 탑재하지 않고 디바이스 OS 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자서적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해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문자열로 읽어 들임으로써, 멀티미디어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전자서적을 읽어 들여, 전자서적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포맷 중 하나인 EPUB의 구조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를 사용함에 있어, 도면이 상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는 액세스부 (110), 오브젝트 획득부 (120), 부호화부 (130), 처리부 (140) 및 인터페이스부 (150) 를 포함한다.
전자서적이란, 문자 정보나 화상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를 의미하고, 전자서적 서비스는 종이서적을 대체하는 정보제공매체의 하나로서 전자적인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텍스트 컨텐츠를 보여주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는 전자서적을 판독하여 재생할 수 있는 단말을 가리킨다.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는 컴퓨터, 스마트폰 (smart phone), 노트패드, 노트북, 테플릿 (tablet) PC 등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서적 재생이 가능하다면 어느 특정한 단말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자서적은 EPUB, PDF, AZW 등의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고, 넓게는 TXT, DOC 등의 포맷도 포함한다고도 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EPUB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EPUB를 이용하는 실시예 외에 PDF, AZW 등의 포맷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UB 파일이 압축하여 내부적으로 갖고 있는 구조화된 전자문서는 html 문서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은 웹을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이다. HTML은 문서의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그래픽, 문서간의 이동 (하이퍼링크) 등을 정의하는 명령어를 이용해 문서를 구성하여, 이러한 명령어를 요소 (Element) 라고 한다. 요소는 시작 태그 (tag) 로 시작되고, 종료 태그로 종료된다. 즉, 일반적으로 태그는 요소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2개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태그는 꺾쇠괄호 '<’, ‘>’ 를 사용하여 나타내며, 종료 태그는 슬래시 문자[/]로 시작된다. 다만, "img", "br"등의 태그와 같이 시작태그만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HTML은 마크업 언어를, html은 HTML을 이용해 작성한 문서를 지칭하기로 한다.
HTML에서는 요소를 이용해 html 문서 파일에서 외부 데이터를 인용하거나 html 문서 파일과 외부 데이터를 링크시킬 수 있다. 예컨대, img 태그를 이용하여 외부의 이미지 파일을 html 문서 파일에서 인용할 수 있다.
요소의 시작 태그 안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좀 더 구체화된 명령어 체계를 의미하는 속성 (Attribute) 이 있다. 태그에 속성을 부여하면 태그의 성격을 더욱 구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속성의 값 (value) 에 해당하는 변수 (Arguments) 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는 img 태그의 속성 값을 변경함으로써,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멀티미디어 정보 그 자체를 포함시킬 수 있다.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하여 포함시키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HTML로 작성된 문서는 웹 브라우저가 판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웹 브라우저란 웹 서버상에서 쌍방향 통신하는 html 문서 파일과 연동하고 html 문서 파일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함에 있어서, 반드시 웹 서버와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웹 브라우저의 html 문서 파일을 출력하는 기능만을 이용하여 전자서적을 읽어 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에서의 액세스부 (110) 는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access)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서적의 한 종류인 EPUB 파일은 구조화된 전자문서가 포함된 파일들이 압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EPUB 포맷으로 구성된 전자서적을 액세스 하기 위해서는, EPUB 파일에 압축되어 있는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해야 한다. 액세스부 (110) 는 EPUB 파일에 압축되어 있는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에서의 오브젝트 획득부 (120) 는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획득부 (120) 가 해당 html 파일에서 참조하는 이미지 파일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img 태그로 이루어진 HTML 요소를 찾아, src 속성값에 해당하는 파일식별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를 참조해야 한다.
파일식별자란,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으로서, 웹 사이트 주소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자원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즉, 파일식별자는 해당 파일의 저장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html 문서 파일이 <img src=”image\cover.jpg”/> 문구를 포함하고 있을 때, 큰 따옴표 (“) 사이에 파일식별자가 위치하고, image\cover.jpg은 해당 이미지 파일의 저장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에서의 오브젝트 획득부 (120) 가 해당 html 파일에서 참조하는 이미지 파일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 오브젝트 획득부 (120) 는 해당 저장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에서, 오브젝트 획득부 (120) 는 해당 저장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image\cover.jpg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인 cover.jpg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에서의 부호화부 (130) 는 오브젝트 획득부 (120) 가 획득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오브젝트 획득부 (120) 가 획득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 (encoding)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에서의 부호화부 (130) 가 이미지 파일을 부호화 하는 경우에는, BASE64로 부호화할 수 있다. BASE64란, 임의의 바이트 스트림을 문자 코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아스키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영역의 문자들로만 이루어진 일련의 문자열로 바꾸는 방식을 의미한다.
아스키는 컴퓨터와 통신 장비를 비롯한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며, 대부분의 문자 부호화가 아스키에 기초를 두고 있다. 아스키는 7비트 부호화로, 52개의 영문 알파벳 대소문자와, 10개의 숫자, 32개의 특수 문자, 그리고 하나의 공백 문자로 이루어진다.
BASE64는 글자 그대로, 64진법이란 뜻이기도 하여, 64가 2의 제곱수 (64 = 2^6) 이며, 2의 제곱수들에 기반한 진법들 중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스키 문자들을 써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큰 진법에 해당한다. BASE64는 8비트씩 엮어진 바이트로 구성된 데이터가 아스키 문자로서 표현될 수 있도록, 데이터에서 3 바이트 마다 (즉, 24비트 마다) 6 비트 단위의 문자 4개로 만드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에서 3 바이트는 부호화 후, 4바이트가 된다.
오브젝트 획득부 (120) 가 해당 저장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image\cover.jpg를 참조하여 획득한 해당 위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인 cover.jpg 를, 부호화부 (130) 가 BASE64로 부호화하면, 이미지 파일인 cover.jpg는 ‘data:image/jpeg;base64,/9j/4AAQSkZJRgABA…. (생략) ’ 과 같은 문자열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image/jpeg’는 미디어 (media) 의 타입을 의미하고, ‘base64’는 BASE64로 부호화되었다는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디어의 타입으로서 jpeg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포맷의 이미지 파일이 부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에서의 처리부 (140) 는 부호화부 (130) 가 부호화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멀티미디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에서의 처리부 (140) 가 문자열로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URI 스킴 (data URI scheme) 을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URI 스킴은 이미지 파일과 같은 외부 데이터를 통합 자원 식별자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로 표현하여, html 문서 파일에 인라인 (inline) 데이터로 포함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통합 자원 식별자란 리소스 (외부 데이터) 를 식별하는 문자열을 의미한다.
html 문서 파일에서 이미지를 인용할 때에는 전술한 img 태그 요소의 src 속성의 값에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지만, 데이터 URI 스킴을 이용하여 src 속성의 값에 base-64로 부호화된 이미지 정보를 직접 입력하면, 이미지를 인용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자체를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일체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html 문서 파일에서 이미지를 인용 하는 경우 src 속성의 값에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는 방식이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img src=”image\cover.jpg”>과 같은 태그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img src=”data:image/jpeg;base64,/9j/4AAQSkZJRgABA…. (생략) ”/> 과 같이 부호화된 이미지 정보를 src 속성의 값에 입력하여 html 문서 파일에 포함시키면, src 속성의 값에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웹 브라우저 상에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는 이미지와 같은 외부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거나 참조하지 않고, 하나의 구조화된 전자문서 (html 문서 파일) 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는 전자서적 (EPUB 파일) 에서 필요한 파일들만 하나씩 압축을 해제하고, 해제된 결과물을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하지 않은 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상태에서 전자서적을 출력할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어, 해제된 결과물을 암호화 하기 위해 별도의 전자서적 엔진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전자서적의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전자서적 엔진을 탑재한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멀티미디어 정보의 부호화 여부와 상관없이 전자서적의 컨텐츠를 보호하면서 전자서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에 탑재된 전자서적 엔진은 디바이스 OS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에 비해 렌더링 속도, 안정성이 높지 않고, 별도의 전자서적 엔진이 탑재된 것이므로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존재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는 디바이스 OS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는 웹 뷰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한 전자서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전자서적 엔진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전자서적의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다. 웹 뷰란, 별도의 프로그램 내에서 디바이스 OS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에서의 인터페이스부 (150) 는 처리부 (120) 와 웹 브라우저를 인터페이스 (interface) 할 수 있다. 즉, 처리부 (120) 에 의해 처리된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인터페이스부 (150) 를 통해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면, 웹 브라우저는 해당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포맷 중 하나인 EPUB의 구조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EPUB (200) 은 컨테이너 표준인 OCF (Open Container Format), 컨텐츠 마크업 표준인 OPS (Open Publication Structure), 패키징 표준인 OPF (Open Packaging Format) 의 3개 요소로 구성된다.
OCF는 전자서적을 구성하는 파일들을 통합해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 EPUB (200) 의 디렉토리 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하나의 ZIP 파일로 압축하는 방법을 지정할 수 있다.
mimetype 파일 (210) 은 EPUB (200) 의 MIME 종류인 ‘application/epub+zip’을 기술할 수 있다.
META-INF 디렉토리 (220) 는 패키징 파일 (opf 파일, 231) 의 위치를 가리키는 container.xml 파일 (221)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DRM 관련 파일 (222) 을 포함할 수 있다.
OPF (230) 는 전자서적의 메타데이터 및 패키징 정보를 기술할 수 있고, OPF (230) 에 의해 opf 파일 (231) 과 ncx 파일 (232) 를 기술할 수 있다.
opf 파일 (231) 은 해당 전자서적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unique identifier), 해당 전자서적에 대한 메타데이터 (metadata), 메타데이터를 제외하고, 해당 전자서적을 구성하는 모든 파일 정보를 기술한 마니페스트 (manifest), 해당 전자서적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기술한 스파인 (spine), 그리고 해당 전자서적의 구조 정보를 기술한 가이드 (guide) 로 구성될 수 있다. opf 파일 (231) 의 메타데이터는 해당 전자서적에 관한 정보, 즉 서적제목, 저자, 출판사, 출판일 등의 정보들을 기술하며, 이러한 정보들을 기술하기 위해, 더블린 코어 (Dublin Core) 메타데이터 규격을 따를 수 있다.
ncx 파일 (232) 은 서적의 목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ncx 파일 (232) 을 이용하여 목차를 재생하고 재생된 목차의 특정 항목이 선택될 때, 해당 목차의 페이지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OPS (240) 는 전자서적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표준으로 컨텐츠 표현을 위한 공통 기준을 제공한다. OPS (240) 에 따라 css 스타일 시트 파일 (241), html 문서 파일 (242), 이미지 파일 (243) 이 연결되어 전자서적을 구성할 수 있다. 전자서적의 내용은 텍스트 및 이미지 등으로 구성된 페이지 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페이지 별 정보를 기술하기 위해, XHTML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1. 1을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저작자는 익숙한 HTML 형태의 태그를 사용해 전자서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ss 스타일 시트 파일 (241) 은 전자서적의 틀과 형식을 정의하고, html 문서 파일 (242) 은 XTML 1. 1에 의해 따라 기술된 전자서적의 컨텐츠를 담으며, 이미지 파일 (243) 은 html 문서 파일 (242) 의 외부데이터로서 존재하나, html 문서 파일 (242) 과는 img 태그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는, EPUB 파일의 container.xml 파일 (221) 로부터 opf 파일 (231) 및 ncx 파일 (232) 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opf 파일 (231) 및 ncx 파일 (232) 의 위치를 참조하여 획득한 opf 파일 (231) 및 ncx 파일 (232) 을 해석, 웹 언어의 목차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웹 언어의 목차 구조에 링크된 OPS ID (또는 src 정보) 를 획득하고, 획득된 OPS ID (또는 src 정보) 를 기준으로 mimetype 파일 (210) 과 OPS (240) 에 따른 컨텐츠 (241, 242, 243) 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가 mimetype 파일 (210) 의 해석이 가능하고, OPS (240) 에 따른 컨텐츠 (241, 242, 243) 의 재생이 가능하면, 해당 OPS에 따른 컨텐츠 (241, 242, 243) 를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처리 장치 (100) 의 액세스부 (110) 는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한다 (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서적의 한 종류인 EPUB 파일은 구조화된 전자문서가 포함된 파일들이 압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EPUB 포맷으로 구성된 전자서적을 액세스 하기 위해서는, EPUB 파일에 압축되어 있는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해야 한다.
액세스부 (110) 가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하면, 오브젝트 획득부 (120) 는 액세스부 (110) 가 액세스 한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참조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화된 전자문서는 html 문서 파일로 구성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정보와 같이 html 문서 파일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태그’를 통해 html 문서 파일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획득부 (120) 가 해당 html 파일에서 참조하는 이미지 파일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img 태그로 되어 있는 HTML 요소를 찾아, src 속성값에 해당하는 파일식별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를 참조해야 한다.
파일식별자는 웹 사이트 주소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자원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즉, 파일식별자는 해당 파일의 저장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html 문서 파일이 <img src=”image\cover.jpg”/> 문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큰 따옴표 (“) 사이에 파일식별자가 위치하고, image\cover.jpg은 해당 이미지 파일의 저장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오브젝트 획득부 (120) 는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한다 (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획득부 (120) 가 해당 html 파일에서 참조하는 이미지 파일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 해당 저장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 따르면, 해당 저장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image\cover.jpg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인 cover.jpg을 획득할 수 있다.
오브젝트 획득부 (120) 가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면, 부호화부 (130) 는 획득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획득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 (encoding) 한다 (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부호화 하는 경우에는, 도 1 에서 전술한 BASE64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은 BASE64 부호화를 거치면, 예를 들어, ‘data:image/jpeg;base64,/9j/4AAQSkZJRgABA…. (생략) ’ 과 같은 문자열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부호화부 (130) 가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하면, 처리부 (140) 는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멀티미디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킨다 (S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열로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도 1 에서 전술한 데이터 URI 스킴 (data URI scheme) 을 이용할 수 있다.
html 문서 파일에서 이미지를 인용할 때에는 전술한 img 태그 요소의 src 속성의 값에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지만, 데이터 URI 스킴을 이용하여 src 속성의 값에 base-64로 부호화된 이미지 정보를 직접 입력하면, 이미지를 인용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자체를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일체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html 문서 파일에서 이미지를 인용 하는 경우 src 속성의 값에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는 방식이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img src=”image\cover.jpg”>과 같은 태그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img src=”data:image/jpeg;base64,/9j/4AAQSkZJRgABA…. (생략) ”/> 과 같이 부호화된 이미지 정보를 src 속성의 값에 입력하여 html 문서 파일에 포함시키면, src 속성의 값에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웹 브라우저 상에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이미지와 같은 외부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거나 참조하지 않고, 하나의 구조화된 전자문서 (html 문서 파일) 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자서적 (EPUB 파일) 에서 필요한 파일들만 하나씩 압축을 해제하고, 해제된 결과물을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하지 않은 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상태에서 전자서적을 출력할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어, 해제된 결과물을 암호화 하기 위해 별도의 전자서적 엔진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전자서적의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전자서적 엔진을 탑재한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를 이용하더라도, 멀티미디어 정보의 부호화 여부와 상관없이 전자서적의 컨텐츠를 보호하면서 전자서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에 탑재된 전자서적 엔진은 디바이스 OS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에 비해 렌더링 속도, 안정성이 높지 않고, 별도의 전자서적 엔진이 탑재된 것이므로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존재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바이스 OS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는 웹 뷰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한 전자서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전자서적 엔진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전자서적의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다.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일체로서 포함시키면, 구성된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인터페이스부 (150) 를 통해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고 웹 브라우저는 해당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가 전자서적을 액세스 하기 위해 정보 액세스 권한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며 (S200),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DRM 모듈을 통해 DRM 시스템에 액세스 권한을 요청한다 (S2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액세스 권한은 디지털 권한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하에 있을 수 있다. 디지털 권한 관리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다. 즉, 디지털 저작물을 제공자로부터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전달하고, 이를 전달받은 사용자가 디지털 저작물을 불법 유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사용자가 디지털 권한 관리를 받는 전자서적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DRM 모듈을 통해 DRM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전자서적에 대한 액세스 권한, 구체적으로 전자서적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 라이센스를 받아야 한다 (S210). 이때, 메타데이터는 전자서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이며, 라이센스는 암호화된 전자서적을 복호화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키와 액세스 권한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DRM 모듈이 DRM 시스템으로부터 정보 액세스 권한을 수신하면, 정보 액세스 권한을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로 전송하여 (S215),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가 전자서적을 액세스 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00) 가 DRM 모듈로부터 정보 액세스 권한을 수신하면, 액세스부 (110) 는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하고 (S220), 오브젝트 획득부 (120) 는 액세스부 (110) 가 액세스 한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S225), 오브젝트 획득부 (120) 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S230), 부호화부 (130) 는 오브젝트 획득부 (120) 가 획득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화화하고 (S235), 처리부 (140) 는 부호화부 (130) 가 부호화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킨다 (S240).
단계 S220, S225, S230, S235, S24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단계 S100, S110, S120, S130, S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처리부 (140) 가 문자열로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와 대체하여, 외부 데이터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 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지 않고 하나의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킨 후, 구조화된 전자문서는 인터페이스부 (150) 에 의해 웹 브라우저로 전송된다 (S245).
구조화된 전자문서가 전송되면, 웹 브라우저는 전송 받은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로딩 (loading) 한다 (S250).
구조화된 전자문서가 로딩되면, 웹 브라우저는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된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복호화한다 (S255).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된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정보가 복호화되면, 웹 브라우저는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는 전자서적을 디스플레이 한다 (S260).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지 않고, 태그를 이용해 이미지 파일을 참조하고, OS 제공 웹 브라우저로 전자서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EPUB은 여러 파일들이 압축되어 구성된 파일이고, 압축된 여러 파일들을 읽어 들이기 위해서는 해당 파일에 대한 압축을 해제한 상태에서 불러들여야 한다. 그러나 모든 파일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면, 전자서적 내부의 컨텐츠 보호가 미흡해지게 되므로, 압축을 모두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요한 파일들에만 액세스 하게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압축을 해제하지 않으면, 동시에 여러 파일들을 액세스할 수가 없게 되는데, 이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화된 전자문서 (500a) 와 같이, 이미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고, 임의의 아이콘 (501a) 으로 표시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켜, OS 제공 웹 브라우저로 전자서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멀티미디어 정보를 문자열로 부호화하여 하나의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면, EPUB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하는 것만으로도,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화된 전자문서 (500b) 와 같이, 이미지 (501b) 를 포함하여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바이스 OS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는 웹 뷰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한 전자서적을 디스플레이 함은 물론, 별도의 전자서적 엔진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전자서적의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 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액세스부
120 오브젝트 획득부
130 부호화부
140 처리부
150 인터페이스부

Claims (15)

  1.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access) 하는 단계;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 (encoding) 하는 단계; 및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가 포함된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복호기 (decoder) 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기는 디바이스 OS 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를 포함하는,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HyperText Markup Language) 로 이루어진,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이미지 (image)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64진수 부호화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가 디지털 권한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하에 있는 경우,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할 수 있는 권한을 DRM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DRM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권한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
  8.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access) 하고,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 (encoding) 하고,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9. 제8 항에 있어서,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가 포함된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복호기 (decoder) 로 전송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기는 디바이스 OS 가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HyperText Markup Language) 로 이루어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이미지 (image)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64진수 부호화로 부호화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가 디지털 권한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하에 있는 경우,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할 수 있는 권한을 DRM 시스템에 요청하고, 상기 DRM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권한을 수신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5.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액세스 (access) 하는 액세스부;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오브젝트 획득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획득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부호화 (encoding) 하는 부호화부; 및
    부호화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 위치 정보와 대체하여 상기 구조화된 전자문서에 포함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서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KR1020120138500A 2012-11-30 2012-11-30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75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500A KR20140075853A (ko) 2012-11-30 2012-11-30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500A KR20140075853A (ko) 2012-11-30 2012-11-30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853A true KR20140075853A (ko) 2014-06-20

Family

ID=5112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500A KR20140075853A (ko) 2012-11-30 2012-11-30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58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7298A (zh) * 2019-09-27 2020-02-18 北京思维造物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对标记信息进行处理的方法及系统
KR20200102310A (ko) * 2019-02-21 2020-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책 변환 저작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310A (ko) * 2019-02-21 2020-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책 변환 저작 시스템
CN110807298A (zh) * 2019-09-27 2020-02-18 北京思维造物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对标记信息进行处理的方法及系统
CN110807298B (zh) * 2019-09-27 2023-08-08 北京思维造物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对标记信息进行处理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60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copyright on EPUB-based conten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PUB-based content according to user&#39;s right
US9202025B2 (en) Enterprise-specific functionality watermarking and management
Mir Copyright for web content using invisible text watermarking
JP2008022559A (ja) ドキュメントオブジェクト
CN101799800A (zh) 一种带超链接的电子书,电子报纸和电子杂志的编码方法
CN103870583A (zh) 一种基于关系型数据库的在线可控浏览pdf文档的方法
Whitington PDF explained
WO2014002281A1 (ja) 文書処理システム、電子文書、文書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75853A (ko) 전자서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35891B1 (ko) 디지털 저작권을 적용한 epub 파일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01082121A2 (en) Pre-computing and encoding techniques for an electronic document to improve run-time processing
GB2429311A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ompressed file
JP6445457B2 (ja) 電子文書の提供方法、システム、親本サーバ及び子本クライアント
CN115048665A (zh) 基于Excel文件的信息隐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756794A (zh) 一种网页信息反泄密方法及装置
Barve File formats in digital preservation
Antunes et al. Magmatismo Granítico de afinidade Subalcalina/Monzonítica no Maciço São José de Campestre, Província Borborema (NE do Brasil): O exemplo do Plúton de Monte das Gameleiras
Gough et al. Salmonella typhimurium DT 104 in sheep.
Abrams Digital Formats and Preservation.
Tiang Development of a mobile application for the mental wellbeing of youths (A)
Rog et al. PDF Guidelines Recommendations for the creation of PDF files for long-term preservation and access
KR20160077833A (ko) 전자출판 저작물에 대한 연관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Bailey et al. The application/pdf Media Type
Lieb QA: HTML, PDF and TXT: The Format Wars
Manes et al. Issues and Techniques for Redacting PDF F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