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735A - Headphone - Google Patents

Head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735A
KR20140074735A KR1020120143023A KR20120143023A KR20140074735A KR 20140074735 A KR20140074735 A KR 20140074735A KR 1020120143023 A KR1020120143023 A KR 1020120143023A KR 20120143023 A KR20120143023 A KR 20120143023A KR 20140074735 A KR20140074735 A KR 20140074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phone
disposed
speaker
bridg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0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길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735A/en
Publication of KR2014007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7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phone comprising a bridge which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which are divide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which form left and right headbands of the headphone and include ends which are arranged 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respectively, without overlapping, and a plurality of combination members which are combined with the bridge via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hing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the bridge and include rotation shafts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rotate and fol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ithout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he portability of the headphone is improved by rotating and fold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Description

헤드폰{HEADPHONE}Headphone {HEADPHONE}

본 발명은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접이식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headphone capable of deforming a shape.

헤드폰은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헤드밴드를 머리에 걸어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헤드폰은 진동판이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다이내믹형, 콘덴서형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발달에 따라 휴대하면서 전화통화를 시도하거나, 음악을 청취하기 위한 용도로 헤드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A headphone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verts an electric signal into an acoustic signal and is capable of listening to the sound output from the acoustic output section by hanging the headband on the head. Headphones are divided into a dynamic type and a condenser type according to the manner in which the diaphragm is driven.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he use of headphones has been increasing for mobile phones, smart phones, and the like.

헤드폰은 일반적으로 음향 출력부를 귀에 삽입하지 않으므로 이어폰(earphone)에 비해 위생적이다. 또한 외부의 잡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현장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어 통신, 방송 등의 업무용이나 학습용 또는 음악감상용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Headphones are generally hygienic compared to earphones because they do not insert the sound output into the ear. In addition, it can block external noise and has a merit of providing a sense of presence, and is widely used for communication, broadcasting, business, learning, or music appreciation.

반면, 헤드폰은 이어폰에 부피가 커서 휴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부분의 이어폰 사용자들이 헤드폰의 탁월한 음질에도 불구하고 사용을 꺼리는 이유 중의 하나도 바로 휴대성이 이어폰에 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adphone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because the earphone is bulky. One of the reasons why most earphone users are reluctant to use the headphones despite their excellent sound quality is that the portability is lower than the earphones.

따라서 탁월한 음질은 유지하면서 휴대성을 개선하여 이어폰을 대체할 수 있는 헤드폰에 대하여 고려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headphone capable of replacing earphones by improving portability while maintaining excellent sound quality.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휴대성이 개선된 헤드폰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headphone with improved portability.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리시버와 스피커를 모두 구비하여 음향 출력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헤드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phone capable of switching the sound output mode by having both a receiver and a speak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헤드폰은 서로 구분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브리지(bridge), 각각 헤드폰의 좌우 헤드밴드를 형성하고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일 단부가 각각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상기 브리지에 각각 힌지 결합시키도록 각각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브리지에 체결되고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서로 간섭 없이 회전시켜 접을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는 회전축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respectively, so as not to overlap, and a second body and a second body respectively hing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the bridge,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that are coupled to the bridge through the second body and form rotational shaf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can be rotate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들은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서로 간섭 없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xes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can rotate without interferenc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는 서로를 향해 회전시 각각의 일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상기 일 측면들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formed such that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body correspon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rotated toward each other.

상기 브리지는,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형성하는 받침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받침은 상기 일 측면들이 서로 맞닿을 때까지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마주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bridge includes a cover disposed to cover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 cover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form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etween the cover and the cover Wherei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formed to have a flat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rotat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until the one side faces each other, have.

또한, 상기 일 측면들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일 측면들의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복수의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s disposed at mutually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one side surface and mutually exerting an attraction force so as to keep the one side surfa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반복적이 회전에 의한 단선을 방지하도록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는 도선, 및 상기 도선의 배치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일 측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도선의 여유길이 배치를 위해 상기 체결부재의 측면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배선홀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electrically,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repeatedly rotated Each of which is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provide an arrangement space for the conductor and which is held in a relaxed state to prevent disconnection, And a plurality of wiring holes formed so as to partially surround the plurality of wiring holes.

상기 브리지에는 상기 도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배선홀들과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회전에도 상기 도선의 좌우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도선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bridg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wiring holes so as to allow the conductor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s shown in Fig.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리시버,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스피커, 및 전기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리시버와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의 음향 출력모드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eaker comprising: a receiver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each other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 speaker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lect an acoustic output mode of either the receiver or the speaker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상기 스피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터치에 의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터치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touch user input uni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peaker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input commands by touch.

또한, 회전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일 측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회전에 의해 서로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점들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리시버에서 스피커로 음향 출력모드를 전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acing each other at the time of rotation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at the contacts and to switch the acoustic output mode from the receiver to the speaker.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헤드폰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헤드폰의 착용이 감지되면 스피커에서 리시버로 음향 출력모드를 전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senso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surfac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acing each other to detect whether the headphone is worn or not, wherein when the wear of the headphone is detected by the sensor, And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output mod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바디와 제2바디를 회전시켜 헤드폰을 접을 수 있으므로 헤드폰의 휴대성을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can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which is spaced apart from and parallel to each other, the headphone can be folded, thereby improving the portability of the headphone.

또한 본 발명은, 리시버와 스피커를 모두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기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음향 출력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both a receiver and a speaker, and can switch an acoustic output mode manually or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user's input command or other electrical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향 출력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드폰의 접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헤드폰의 접은 후 스피커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폰의 브리지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폰의 음향 출력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ph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of part A shown i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shown in Fig.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headphone show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ed speaker mode of the headphone shown in Fig. 1; Fig.
7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bridge portion of a head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acoustic output unit of a head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헤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hea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suffixes "parts"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to b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nly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they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폰(1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phone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헤드폰(100)은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헤드밴드(110a, 120a)를 포함한다. 헤드밴드(110a, 120a)는 하나의 바디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가 헤드폰(100)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는 브리지(130)에 결합되어 각각 헤드폰(100)의 좌우 헤드밴드(110a, 120a)를 형성한다.The headphone 100 includes headbands 110a and 120a formed to be worn on the hea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are coupled to a bridge 130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eadphone 100 and are connected to the headphones 110a and 120b, The left and right head bands 110a and 120a of the base 100 are formed.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는 음향 출력부(110b, 120b)를 포함한다. 음향 출력부(110b, 120b)는 헤드밴드(110a, 120a)와 힌지 결합(121)되어 헤드폰(100)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폰(100)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가 서로 마주하는 면(머리에 착용시 귀를 향하는 면)에 귀를 향해 상대적으로 작은 음향을 출력하는 리시버(122)가 배치되고,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가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각각 공중을 향해 상대적으로 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13)가 배치된다. 헤드폰(100)은 도시한 바와 달리 리시버(122)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귀로 직접 전달하기 위해 이어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nclude sound output units 110b and 120b. The sound output units 110b and 120b are hinged to the head bands 110a and 120a to be rotatable inward of the headphones 100. [ The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mall sound toward the ear on the side wher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face each other (the face facing the ear when worn on the head) And a speaker 113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facing opposite directions to output relatively large sound toward the air . The headphone 100 may further include ear plugs for directly transmitting sound output from the receiver 122 to the ear unlike the earphone.

헤드폰(100)은 리시버(122)와 스피커(113) 중 어느 하나의 음향 출력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 또는 헤드폰(100)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근거하여 리시버(122)와 스피커(113) 중 어느 하나의 음향 출력모드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The headphon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selecting an acoustic output mode of either the receiver 122 or the speaker 113, an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mmand input by the user or an electrical signal The sound output mode of the receiver 122 and the sound output mode of the speaker 113 is selected.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회전시켜 접을 수 있는 헤드폰(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headphone 100 capable of fold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by rotat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shown in Fig.

브리지(130)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131)와 상기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의 배면에 배치되는 받침(132)을 포함한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각각의 일 단부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커버(131)는 상기 일 단부들의 상부에서 받침(132)은 상기 일 단부들의 하부에서 서로를 향해 결합된다. 브리지(130)는 서로 구분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리지(130)가 커버(131)와 받침(13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상기 커버(131)와 받침(1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bridge 130 includes a cover 131 disposed to cover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nd a base 131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disposed such th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adjacent to each other, . The bridge 130 includes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bridge 130 includes the cover 131 and the support 132,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be formed between the cover 131 and the support 132.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제1바디(110)의 일 단부가 제1영역에 배치되고, 제2바디(120)의 일 단부가 제2영역에 배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e end of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so that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second body 120 i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do.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체결부재(140)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를 브리지(130)에 각각 힌지 결합시키도록 복수개가 각각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를 관통하여 브리지(130)에 체결된다. 체결부재(1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가 될 수 있으며, 받침(132)을 관통하여 커버(131)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140)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를 브리지(13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커버(131)와 받침(132)을 결합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40 pass through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hing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the bridge 130, (Not shown). The fastening member 140 may be a bolt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may be fastened to the cover 131 through the support 132. The fastening member 140 may not only keep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coupled to the bridge 130 but also engage the cover 131 and the bearing 13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폰(100)은 휴대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회전시켜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체결부재(140)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를 서로 간섭 없이 회전시켜 접을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는 회전축들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축들이 인접하게 배치되면 제1바디(110)의 일 단부와 제2바디(120)의 일 단부가 회전 중 서로 간섭을 일으켜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체결부재(140)를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서로 이격되는 회전축들을 형성하도록 설계하였다.The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able to fol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by rotat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improve portability. The fastening member 140 forms rotation shaf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can be rotate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n the rotation shaft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first body 110 and one end of the second body 120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rotation to mov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a desired position It can not be rotat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s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design the rotation shafts spaced from each other.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서로를 향해 회전시 제1바디(110)의 측면과 제2바디(120)의 측면에 서로 맞닿도록 각각의 상기 측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가 접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가 이루는 각도는 약 180°가 된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어느 하나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키고, 다른 하나를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각 측면이 서로 맞닿게 된다.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formed so that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y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rotated toward each other . Wh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not folde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form an angle of about 180 degrees because they are opposite to each other. If on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rotated by 90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other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90 degrees,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Each si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커버(131)와 받침(132)은 제1바디(110)의 일 측면 제2바디(120)의 일 측면이 서로 맞닿을 때까지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마주하는 면(134, 135)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마주하는 면(134, 135)이 평행하지 않으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회전 중 회전을 방해하게 되므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서로 맞닿을 수 없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헤드폰(100)의 휴대성을 저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마주하는 면(134 ,135)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측면이 서로 맞닿을 때까지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헤드폰(100)의 휴대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ver 131 and the bearing 132 are fixed to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body 110 of the first body 110 can rotate until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20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f the surfaces 134 and 135 fac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the rota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during the rotation is interrupted, The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can not contact each other. This deteriorates the portability of the headphone 100 to be improv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s 134 and 135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in parallel so that the sides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ortability of the headphone 100 can be improved.

도선(150)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헤드폰(100)은 연결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내부에는 상기 전자기기와의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이에 따라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도선(150)을 이용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브리지(130)에는 상기 도선(150)이 통과하도록 관통홀(133)이 형성된다.The conductive line 15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Since the headphone 100 can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ransmit / receive an electric signal to / from the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components are built i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wire 150 and the through hole 133 is formed in the bridge 130 so that the wire 150 passes therethrough.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동시에 회전시켜 접는 경우는 문제가 없으나, 어느 하나를 먼저 접고 다른 하나를 그 이후에 접거나 혹은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켜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브리지(130)를 기준으로 도선(150)의 좌우길이가 달라질 수 있고, 이는 장기간 헤드폰(100)의 사용시 단선을 유발할 수 있다. 고정부(미도시)는 관통홀(133)을 지나는 도선(15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도선(150)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회전에도 상기 도선(150)의 좌우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서 접이식 헤드폰(100)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도선(150)의 피로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There is no problem in fold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by rotating them at the same time. However, when one of them is folded first and the other one is folded thereafter or only one of them is rotated to be folded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wire 150 may be varied with respect to the bridge 130, which may cause disconnection when the headphone 100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fixing part (not shown) is form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conductive line 15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33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conductive line 150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lead wire 150 are kept constant. Accordingly, even if the foldable headphone 100 is used for a long time, the fatigue of the wire 150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excessively high, and the possibility of disconnection can be reduc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평면도이다. 다만,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브리지(130)의 배면이 투영될 수 있도록 도시하였다.3 is a plan view of part A shown in Fig. FIG. 3 shows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bridge 130 can be projected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expressed.

브리지(130)는 서로 구분되는 제1영역(136)과 제2영역(137)을 구비한다.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1바디(110)의 일 단부는 상기 제1영역(136)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120)의 일 단부는 상기 제2영역(137)에 배치된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각 일 단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됨으로써, 체결부재(140)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회전시킬 때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서로 인접하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의 각 일 단부의 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달리 각 일 단부의 곡면이 양쪽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모두 회전시켜 접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체결부재(140)는 양쪽으로의 회전을 위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양 측면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dge 130 includes a first region 136 and a second region 137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e end of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136 so that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Is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137).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rotated about the respective rotation axes formed by the coupling member 140, 120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o this end, the side surfaces of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re at least partially curved. In this cas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can be folded by rotating both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spectivel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member 140 is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for rotation to both sides.

도선(150)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반복적인 회전에 의한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이완된 상태로 유지된다. 단선이 발생하는 이유는 직선으로 배치된 도선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회전에 따른 곡률만큼 길이가 늘어나야 하나, 도선(150)의 길이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선(150)은 미리 여유길이를 배치시켜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The wire 150 is maintained in a relaxed state to prevent disconnection due to repeated rota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The reason for the disconnection occurs because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wire 150 is increased by the curvatur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but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wire 150 is fixed. Therefore, the lead wire 150 can be prevented from disconnection by arranging an allowance length in advance and keeping it in a relaxed state.

배선홀(114, 124)은 상기 도선(150)의 배치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일 측면을 따라 상기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내부에 형성된다. 특히 배선홀(114, 124)은,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150)의 여유길이 배치를 위해 체결부재(140)의 측면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선홀(114, 124)이 체결부재(140)의 측면을 일부 감싸면 배선홀(114, 124)의 내부를 통과하는 도선(150)도 체결부재(140)의 측면을 일부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 도선(150)에는 여유 길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반복적인 회전에도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어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The wiring holes 114 and 124 are formed i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lo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provide a space for arranging the lead wires 150. [ As shown in Fig. In particular, the wiring holes 114 and 124 may be formed so as to partially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140 for arranging an allowable length of the wire 150 as shown in the figure. The wire 150 passing through the wiring holes 114 and 124 partially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140 when the wiring holes 114 and 124 partially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140. [ Accordingly, an extra length can be formed in the wire 150, an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can be maintained in a relaxed state even during repetitive rotation to prevent disconnection.

관통홀(133)은 배선홀(114, 124)과 통하도록 브리지(130)에 형성된다. 도선(150)은 제1바디(110)의 배선홀(114), 관통홀(133) 및 제2바디(120)의 배선홀(124)을 통과하여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내부에 설치된 전자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The through hole 133 is formed in the bridge 13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wiring holes 114 and 124. The lead wire 150 passes through the wiring hole 114 of the first body 110, the through hole 133 and the wiring hole 124 of the second body 120 to connect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향 출력부(110b)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에는 제1바디(110)의 음향 출력부(110b)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제2바디(120)의 음향 출력부(120b)도 대칭 또는 거의 같은 구성을 갖는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110b shown in FIG. Although only the sound output unit 110b of the first body 110 is shown in FIG. 4, the sound output unit 120b of the second body 120, which is not shown, has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음향 출력부(110b)는 착용시 귀에 접촉되는 부분이고,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리시버(112)와 스피커(113)를 내부에 수용한다. 리시버(112)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방향과 스피커(113)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이에 따라 리시버(112)는 착용시 사용자의 양쪽 귀를 향해 음향을 출력하고, 스피커(113)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 110b is a portion that contacts the ear when worn, and accommodates the receiver 112 and the speaker 113 therein so that sound can be outp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is outputted from the receiver 112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is outputted from the speaker 113 are opposit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receiver 112 outputs sound toward both ears of the user when worn, and the speaker 113 outputs sound in the opposite direction.

인쇄회로기판(151)은 음향 출력부(110b)의 내부에 배치되어 다른 전자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부품들에는 터치 사용자 입력부(152),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무선안테나, USB, 마이크, 블루투스(Bluetooth), 오디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51)은 제1바디(110)의 음향 출력부(110b)와 제2바디(120)의 음향 출력부(120b) 내부에 모두 배치되므로 상기 전자부품들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에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51 is disposed inside the acoustic output portion 110b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components. Electronic componen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51 may include a touch user input unit 152, a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a USB, a microphone, Bluetooth, audio, and the like. The printed circuit board 151 is disposed inside the acoustic output portion 110b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acoustic output portion 120b of the second body 120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The first body 120 and the second body 120, respectively.

터치 사용자 입력부(152)는 스피커(11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152a, 152b),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터치 사용자 입력부(152)도 인쇄회로기판(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터치키마다 헤드폰(100)의 사용을 위한 재생, 일시정지, 정지, 건너뛰기, 되돌아가기 등의 기능이 할당된다. 상기 기능들은 제한된 터치키에 모두 할당되기 위해 하나의 터치키가 터치되는 시간 또는 빈도에 따라 다른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어느 하나의 터치키를 짧게 한번 터치하면 음악이 재생되고 다시 한번 짧게 터치하면 일시정지가 입력되도록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터치키를 한번 짧게 터치하면 건너뛰기, 두 번 짧게 터치하면 되돌아가기가 입력되도록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터치 사용자 입력부(152)에 의해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헤드폰(100)의 외부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헤드폰(100)의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The touch user input unit 15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peaker 113 (152a and 152b), respectively, and is formed to be capable of inputting a desired command by a user's touch. The touch user input unit 152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51 and functions such as play, pause, stop, skip, and return for use of the headphone 100 are assigned to each touch key. The functions may be configured to input different commands according to the time or frequency with which one touch key is touched to be allotted to the limited touch keys. For example, a function may be assigned such that when one of the touch keys is touched for a short time, the music is played, and again, for a short time, a pause is input. Also, a function may be assigned such that if one of the touch keys is touched for a short time, skipping is performed, and if the user touches the touch key for a short time, a return is inputted. By inputting information by the touch user input unit 152, a separate button for inputting a command to the outside of the headphone 100 is not projected, so that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headphone 100 can be realized.

전원 공급부(153)는 인쇄회로기판(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헤드폰(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장치가 음향 출력부(110b)의 단부를 통해 삽입되며, 특히 전자기기와 헤드폰(100)이 무선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헤드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110b)의 단부에는 배터리를 삽입 또는 추출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마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5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51 and supplies power for operating the headphone 100. A power supply unit such as a battery is inserted through the end of the sound output unit 110b and supplies power to the headphone 100 when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headphone 100 are wirelessly connected. To this end, a stopper (not shown) which can be opened or closed to insert or extract a battery may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sound output unit 110b.

제어부(미도시)는 인쇄회로기판(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 신호에 근거하여 리시버(112)와 스피커(113) 중 어느 하나의 음향 출력모드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 리시버(112)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귀에 직접 전달되므로, 리시버(112)는 스피커(113)에 비하여 작은 소리를 방출한다. 통상적으로 헤드폰(100)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리시버모드로 작동하고 착용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피커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51 and is configured to select an acoustic output mode of either the receiver 112 or the speaker 113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Since the sound output from the receiver 112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ear, the receiver 112 emits a small sound as compared with the speaker 113. [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phone 100 normally operates in the receiver mode while wearing on the head, and operates in the speaker mode when the wearer is off.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에서 본 발명의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헤드폰(100)을 접는 과정과 접은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lding process and the folding state of the headphone 100 us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드폰(100)의 접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headphone 100 shown in FIG.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의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바디(110)는 시계방향으로, 제2바디(120)는 반시계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회전시키면 약 90°가량 회전되었을 때 서로 만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바디(110)의 측면과 제2바디(120)의 측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면 양 측면이 회전에 의해 서로 맞닿을 수 있다.When the first body 110 rotates clockwise and the second body 120 rotates counterclockwise to each other about the rotation ax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When they rotate about 90 °, they meet each other. As shown in the figure, i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both side surfaces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rotation.

상기 양 측면에는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복수의 자석(116, 126)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석(116, 126)은 자기장의 범위 내에서 서로 끌어당기므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회전시켜 접을 때 상기 양 측면이 맞닿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magnets 116 and 126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gnet. Since the magnets 116 and 126 are attracted to each other within the range of the magnetic fiel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can be rotated to keep the both sides abutted when folded.

헤드폰(100)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양쪽으로 넓게 펼쳐진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한곳에 모이도록 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폰(100)이 차지하는 영역이 줄어들게 되므로 헤드폰(100)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headphone 100 can be fold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headphone 100 is gathered at one place whil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rotated. As a result, the area occupied by the headphone 100 is reduced, so that the portability of the headphone 100 can be improved.

사용자 입력부(115 ,125)는 자석이 배치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도 4에서 설명한 터치 사용자 입력부(152)와 달리 사용자 입력부(115 ,125)는 가압에 의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사용자 입력부(115 ,125)에는 전원이나 음향 출력모드 전환 등의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The user inputs 115 and 125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on which the magnets are disposed. Unlike the touch user input unit 15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user input units 115 and 125 are formed to be capable of inputting commands by pressing. The user input units 115 and 125 may be assigned functions such as switching the power source or sound output mod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헤드폰(100)의 접은 후 스피커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eaker mode state after the folding of the headphone 100 shown in Fig.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각각 헤드밴드(110a, 120a)와 음향 출력부(110b, 120b)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밴드(110a, 120a)와 음향 출력부(110b, 120b)는 모두 상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와 하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와 하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는 결합부재(117, 127)에 의하여 결합된다.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nclude headbands 110a and 120a and sound output units 110b and 120b and the headbands 110a and 120a and the sound output units 110b and 120b, 120b are formed by coupling the upper case 110a ', 110b', 120a ', 120b' and the lower case 110a ", 110b", 120a ", 120b". The upper case 110a ', 110b', 120a ', 120b' and the lower case 110a ", 110b", 120a ", 120b" are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s 117,

상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와 하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는, 도시한 바와 달리 전자부품의 실장을 위해 적어도 하나가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와 하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가 모두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작은 것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와 하부케이스(110a", 110b", 120a", 120b") 중 적어도 하나가 "ㄷ"자 형태로 형성되면, 전자부품들의 실장이 용이해지므로 제조공정상의 불량 발생률이 줄어들 수 있다.Unlike the case shown in the draw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cases 110a ', 110b', 120a ', 120b' and the lower cases 110a ", 110b", 120a " . ≪ / RTI > In the case where the upper cases 110a ', 110b', 120a ', 120b' and the lower cases 110a ", 110b", 120a " And can be formed into a shape that surrounds a side of a small one. If at least one of the upper case 110a ', 110b', 120a ', 120b' and the lower case 110a ", 110b", 120a ", 120b" is formed in a "C" sha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idence of defec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헤드밴드(110a, 120a)는 머리에 착용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머리의 모양을 따라 굽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밴드(110a, 120a)와 음향 출력부(110b, 120b)는 힌지 결합(111, 121)된다. 이에 따라 헤드폰(1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착용이 해제된 상태에서 힌지 결합(111, 121)된 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접혀진 상태의 헤드폰(100) 형상을 이용하여 헤드폰(100)을 세워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곳에 모아진 스피커(113 ,123)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고, 헤드폰(100)이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연결된 경우 근거리 내에서 헤드폰(100)을 직접 귀에 대지 않은 상태로 전화통화가 가능하다.The headbands 110a, 120a are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bands 110a, 120a bend along the shape of the head for wearing on the head. The head bands 110a and 120a and the sound output units 110b and 120b are hinge-coupled 111 and 121,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headphone 100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eadphone 100 is set up using the folded state of the headphone 100 by rotating the hinge joints 111 and 121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 is released from the wearer as shown in the figure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music by using the speakers 113 and 123 collected in one place. When the headphone 100 is connected to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the telephone conversation can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dphone 100 is not directly in the ear It is possible.

도시한 바와 달리 헤드폰(100)을 뒤집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헤드폰(100)을 뒤집어 놓으면 헤드밴드(110a, 120a)의 어느 한 부분에 무게중심이 형성되어 헤드폰(100)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headphone 100 upside down as shown in FIG. When the headphone 100 is turned upside down, the center of gravity is formed on any one of the headbands 110a and 120a, so that the headphone 100 can be balanced.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에서 리시버와 스피커 사이의 음향 출력모드 전환에 관하여 다른 실시예를 이용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ound output mode switching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speak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폰의 브리지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7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bridge portion of a head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는 회전시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복수의 접점(260)을 구비한다. 제1바디(210)에 배치된 접점(260a)과 제2바디(220)에 배치된 점점(260b)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의 회전시 서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have a plurality of contacts 260 on their side facing each other at the time of rotation. The contact 260a disposed on the first body 210 and the contact point 260b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2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rot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가 회전되어 서로 접촉한 상태는 헤드폰의 착용이 해제된 상태로써, 사용자의 의도는 헤드폰의 스피커모드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사실을 반영하여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리시버에서 스피커로 음향 출력모드를 전환시키도록 설계된다. 반대로 헤드폰을 접기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스피커에서 리시버로 음향 출력모드가 전환된다.The state where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are rotated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a state in which the wear of the headphones is released, so that the intention of the user is to operate the speaker mode of the headphone. In response to such an empirical fact, the controller (not shown)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and is designed to switch the acoustic output mode from the receiver to the speaker. Conversely, when the headphones are returned to the state before folding, the sound output mode is switched from the speaker to the receiver.

제어부에 의한 음향 출력모드는 전환은 상기 접점들(260)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사용자가 음향 출력모드의 자동전환 기능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따로 설정을 통해 기능을 꺼 놓을 수 있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coustic output mode by the control unit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contacts 260. [ However,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he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of the sound output mod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function to be turned off through the setting.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폰의 음향 출력부(310b)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ound output unit 310b of a head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리시버(312)로부터 음향이 출력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370)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370)는 헤드폰의 착용여부를 감지한다. 센서(370)는, 예를 들어 피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감지거리 내에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등이 될 수 있다. 헤드폰의 착용시 귀가 센서에 접촉되거나 머리가 감지거리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센서(370)는 헤드폰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sensor 370 is disposed on a surface from which sound is output from the receiver 312, and the sensor 370 detects whether or not the headphone is worn. The sensor 370 may be, for example,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contact of the skin,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within the detection distance, and the like. When the headphone is worn, the ear sensor is contacted or the head is positioned within the sensing distance, so that the sensor 370 can detect wearing of the headphone.

헤드폰을 머리에 착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리시버모드로 음향을 출력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사실을 반영하여 제어부(미도시)는 헤드폰의 착용이 감지되면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스피커(313)에서 리시버(312)로 음향 출력모드를 전화시키도록 설계된다. 반대로 센서(370)에서 헤드폰의 착용이 감지되던 것이 사라지면 리시버(312)에서 스피커(313)로 다시 음향 출력모드가 전환된다.Wearing headphones on the head means that the user wants to output sound in receiver mode. In response to the empirical fact,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headphone is worn and is designed to call the acoustic output mode from the speaker 313 to the receiver 312. Conversely, when the sensor 370 detects disappearance of wearing of the headphone, the acoustic output mode is switched from the receiver 312 to the speaker 313 again.

이상에서 설명된 헤드폰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headphones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the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Claims (11)

서로 구분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브리지(bridge);
각각 헤드폰의 좌우 헤드밴드를 형성하고,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일 단부가 각각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상기 브리지에 각각 힌지 결합시키도록 각각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브리지에 체결되고,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서로 간섭 없이 회전시켜 접을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는 회전축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A bridg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each of which forms left and right headbands of the headphones, one end of each of which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to the bridge throug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respectively hing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that form rotational shaf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s to ro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들은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서로 간섭 없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 shafts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can rotate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는 서로를 향해 회전시 각각의 일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상기 일 측면들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formed such that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body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rotated toward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형성하는 받침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받침은 상기 일 측면들이 서로 맞닿을 때까지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마주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3,
The bridge includes:
A cover disposed to cover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nd a base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form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etween the cover and the cover,
Wherein the cover and the support have a flat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rotat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until the one side faces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 측면들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일 측면들의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복수의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agnets arranged at mutually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one side surfaces and mutually exerting an attraction force so as to keep the one side surfaces thereof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반복적이 회전에 의한 단선을 방지하도록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는 도선; 및
상기 도선의 배치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일 측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도선의 여유길이 배치를 위해 상기 체결부재의 측면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배선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re maintained in a relaxed state to prevent disconnection due to repeated rot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Lead; And
A plurality of wiring holes each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provide a space for arranging the wires and formed so as to partially cover a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for arranging an allowable length of the conductor Wherein the headphone is a headpho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에는 상기 도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배선홀들과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도선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회전에도 상기 도선의 좌우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wiring holes is formed in the bridge so that the lead wire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conductive line and is formed with a fixing part for maintaining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conductive line constant with rot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리시버;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스피커; 및
전기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리시버와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의 음향 출력모드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ceiver dispos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facing each other;
A speaker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pposite to each other;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lect an acoustic output mode of either the receiver or the speaker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터치에 의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터치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touch user input uni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peaker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input a command by a touch.
제8항에 있어서,
회전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일 측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회전에 의해 서로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점들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리시버에서 스피커로 음향 출력모드를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9. 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bodies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acing each other at the time of rotation and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at the contacts and to switch an acoustic output mode from a receiver to a speak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헤드폰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헤드폰의 착용이 감지되면 스피커에서 리시버로 음향 출력모드를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senso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detect whether the headphone is worn,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witch the sound output mode from the speaker to the receiver when the wear of the headphone is detected by the sensor.
KR1020120143023A 2012-12-10 2012-12-10 Headphone KR201400747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23A KR20140074735A (en) 2012-12-10 2012-12-10 Head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23A KR20140074735A (en) 2012-12-10 2012-12-10 Head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735A true KR20140074735A (en) 2014-06-18

Family

ID=5112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023A KR20140074735A (en) 2012-12-10 2012-12-10 Head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4735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892A (en) * 1998-10-16 2000-05-25 이데이 노부유끼 Headphone Device
KR20040101965A (en) * 2004-11-08 2004-12-03 이은승 Earphone combined with speaker
KR20070018482A (en) * 2005-08-10 200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Sound control apparatus with wireless head-phone and Wireless head-phone thereof
KR20080014241A (en) * 2006-08-10 2008-02-14 강인석 Wireless mp3 earphone
KR20080099947A (en) * 2007-05-11 2008-11-14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Head phone
KR20090015569A (en) * 2007-08-09 200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set capable of external speaker and method for adjusting speaker output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892A (en) * 1998-10-16 2000-05-25 이데이 노부유끼 Headphone Device
KR20040101965A (en) * 2004-11-08 2004-12-03 이은승 Earphone combined with speaker
KR20070018482A (en) * 2005-08-10 200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Sound control apparatus with wireless head-phone and Wireless head-phone thereof
KR20080014241A (en) * 2006-08-10 2008-02-14 강인석 Wireless mp3 earphone
KR20080099947A (en) * 2007-05-11 2008-11-14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Head phone
KR20090015569A (en) * 2007-08-09 200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set capable of external speaker and method for adjusting speaker output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087B1 (en) Bluetooth headset
US80190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quipment with configurable audio path circuitry
US20170295421A1 (en) Wireless earphone set
US9131309B2 (en)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TWI702853B (en) mobile phone
KR20170119922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CN103891311A (en) Headset with proximity determination
US9742890B2 (en) System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KR20120012607A (en) Portable terminal for having detachable bluetooth headset
KR20240017858A (en) Cradles and portable audio devices
CN109644302A (en) Wireless earphone system
KR20170136293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20070223762A1 (en) External sound outputting device
US10165101B2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KR101913263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EP4236356A2 (en) Wireless listening device
WO2023020322A1 (en) Wireless earphone, earphone case and wireless earphone system
US20220369021A1 (en) Acoustic output apparatuses
KR20140074735A (en) Headphone
KR20160116555A (en) Speaker mounted by headset and headset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808253B1 (en) Wireless headphone and sound ampl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3572882B (en) Protective sleeve of electronic equipment
US20230007382A1 (en) Headset with detachable arm
CN216086975U (en) Earphone box and combination equipment
CN111182148B (en)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