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679A - Foldable transfer cart - Google Patents

Foldable transfer 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679A
KR20140074679A KR1020120142914A KR20120142914A KR20140074679A KR 20140074679 A KR20140074679 A KR 20140074679A KR 1020120142914 A KR1020120142914 A KR 1020120142914A KR 20120142914 A KR20120142914 A KR 20120142914A KR 20140074679 A KR20140074679 A KR 20140074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unit
guide
hole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6073B1 (en
Inventor
고병기
Original Assignee
고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102012014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73B1/en
Priority to PCT/KR2013/009713 priority patent/WO2014092331A1/en
Publication of KR2014007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6Foldable with a scissor-lik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transfer cart which can minimize the volume thereof by folding a handle and an elastic supporting unit for convenience in transfer and storage. The foldable transfer cart comprises: a base unit where transfer wheels are mounted; a stack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unit in order to elevate up and down, and can stack an object; a link connecting unit which is to support the stacking unit in order to be elevated from the base unit, and which includes an X-link where a first and a second link member, whose top and bottom are installed in the stacking unit and the base unit respectively in order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cross in an X shape centering on a rotary shaft; and an elastic support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base unit or the stacking unit, and is connected with the rotary shaft in order to elevate the rotary shaft from the base unit. The elastic supporting unit is formed to be extended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of the stacking unit because one end thereof supported by the base unit or the stacking unit is installed in order to rotate.

Description

접이식 이송대차 {Foldable transfer cart}Foldable transfer cart

본 발명은 접이식 이송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 및 보관 편의성을 위해 손잡이 및 탄성지지부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conveyance tru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conveyance truck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by folding a handle and an elastic support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convenience.

일반적으로 이송대차(移送臺車)는 적재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과, 적재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를 포함한다.Generally, a conveyance truck is for conveying a load, and includes a loader for loading the load and a wheel for moving the loader.

그런데 종래의 이송대차는 운반하는 적재함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적재물을 옮길 때, 적재물의 적재 높이에 따라 허리나 다리를 구부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ying carriage of the related art has a fixed height, the user has to bend his or her back or leg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oad when the user moves the loa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06632호에는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이송대차는 푸시레버의 조작을 통해 입출되는 공압에 의해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이송대차는 사용자가 직접 상판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서 적재되는 적재물의 적재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적재함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적재물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적재물이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송대차가 마련되지 않았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06632 discloses a device for adjusting a height of a bogie. The conventional conveying bogie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by pneumatic pressure input / outpu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ush lever. However, since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is directly adjusted by the user,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lowered. Therefor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operation, the loading car is automatically raised or lower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loaded cargo is loaded so that the cargo is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regardless of the cargo loading amount, so that the transportation car is not provided for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본 신청인이 한국특허출원 제10-2008-0124682호와, 10-2009-0024421호에 자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송대차를 출원하였으며, 모두 특허 결정을 받은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pplicant applied for a height-adjustable transfer car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10-2008-0124682 and 10-2009-0024421, all of which were patented.

그런데 종래의 이송대차는 휴대나 보관시에 이송대차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휴대 및 보관 편의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veyance truck, there is no means f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conveyance carriage when carrying or storing the conveyance truck.

등록특허공보 제10-0306632호 :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306632: elevator control device of bogie 등록특허공보 제10-1001677호 :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001677: A conveying device having a conveyed object support which ascends and descend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탄성지지부와 손잡이를 접어 휴대성 및 보관편의성을 높인 접이식 이송대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type conveyance truck which is folded into an elastic support portion and a handle to enhance portability and storage convenie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는 이송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적재부와 베이스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링크부재가 엑스자 형태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 엑스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연결부와, 성가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승강시키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적재부에 지지되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lding type conveyance truck comprising: a base portion on which a conveying wheel is mounted; a loading portion vertically movab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configured to load a load;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which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ar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respectively, And a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on the hanging base portion or the load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to elevate the rotation shaft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And one end supported by the loading section is rotatably install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ading section As shown in Fig.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인출부재와, 일단이 상기 바디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인출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인출부재를 상기 바디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단이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comprises a body having a hollow opening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drawing member provided to be able to be drawn in and pulled out from the body, one end supported by the body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drawing member, And a spring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of being drawn out from the body, wherein the body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hinge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a vertic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stacking portion.

아울러 상기 적재부에는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축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이 상기 축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적재부의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가이드부재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할 수 있는 장공형태의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위치일 때 상기 힌지축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꺾어져 연장된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with two shaft guide member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and sp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The hinge shaft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of the loading portion along the shaft guide portion Wherein the shaft guide member is formed such that a guide hole in the form of an elongated hole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can penetrate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unting portion The fixing hol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hole so as to prevent the hinge shaft from moving along the guide hole when the hinge shaft is bent upward from the end of the guide hole.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 양측로부터 상기 적재부의 후방 상하면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의 상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드와, 상기 가이드로드의 상단을 상호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부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구간이 상기 적재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uide rod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from the rear side of the base to guide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loading part, and a handle including an upper end of the guide rod and an interconnecting rod, And the guide rod is rotatably formed so that a protruding s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section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s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section is lowered by rotation of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아울러 상기 적재부가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승하강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클램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적재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드가 통과하여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된 파지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하로 연장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로드와 밀착되거나 상기 가이드로드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클램핑바디와, 상기 클램핑바디에 상기 절개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트결합홀에 삽입설치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파지홀의 직경을 조절하여 상기 클램핑바디와 가이드로드 사이의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클램핑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And the clamping unit may be fixed to the loading uni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d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d, A clamping body having a grasping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vertically extending cutout at one side thereof so th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guide rod or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od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cutouts, A bolt member inserted into a bolt coupling hole formed so as to extend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ip hole so as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bolt holes and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utouts when the bol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r another direction; A bol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lt member, By rotating the feed balan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mping lev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friction between the clamping body and the guide rods to adjust the gripping diameter of the hole.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는 휴대 또는 보관시에 적재부를 하강시키고 손잡이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성과 보관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folding type transporting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loading part and fold the handle to minimize the volume during carrying or storage,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and storage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이식 이송대차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접이식 이송대차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적재부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탄성지지부재가 축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클램핑부를 더 구비하는 접이식 이송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클램핑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olding type conveyance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ed state of the folding transportation bogie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when the folding transportation bogie is in a folded stat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sec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portion where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shaft guide member,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olding type conveyance truck further comprising a clamping unit,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portion of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 to 5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lding conveyance tru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접이식 이송대차(100)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부(120), 적재부(120)와 베이스부(110)를 연결하는 링크연결부(130), 적재부(12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140) 및 탄성지지부(140)의 힌지축(145)을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축가이드부재(16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folding type transporting truck 100 includes a base 110, a loading unit 12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0, a loading unit 120 and a base 110 A shaft supporting member 160 for supporting the hinge shaft 145 of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140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Respectively.

베이스부(110)에는 이송바퀴(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부(110)의 후방 양측에는 적재부(1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로드(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로드(112)는 상단은 연결로드(11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이 연결로드(113)가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Two guide rods 112 extending upward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base 110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oading unit 120 Is installed. The upper ends of the guide rods 112 ar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ng rod 113, which serves as a handle of the user.

상기 적재부(120)는 이송대상물을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링크연결부(130)를 통해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면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링크연결부(130)의 상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가이드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The loading unit 120 is provided to be able to vertically move up and down through a link connection unit 130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unit 110.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unit 120 can be loaded with a load, And a link guide part 121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link connection part 130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ar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부(120)의 상면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적재물의 형상이나 특성ㅇ 따라 적재부(120) 상면의 형상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적재물이 구형 또는 원통형인 경우 적재부(120)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테두리를 설치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unit 120 is formed as a flat surface. Howe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unit 12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ad. When the load is spherical or cylindrical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rim on the edge portion so as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loading portion 120. [

상기 링크연결부(130)는 상술한 것처럼 적재부(120)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엑스링크(131)를 포함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nk connection unit 130 supports the loading unit 120 so that the loading unit 120 can vertically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unit 110, and includes two X-links 131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엑스링크(131)는 각각 엑스자 형태로 교차되는 제1, 제2 링크부재(132,133)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앙에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적재부(120)와 베이스부(110)에 마련된 링큭이드부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적재부(120) 또는 베이스부(110)의 전단과 후단 측으로 이동하면 적재부(120)가 하강하고, 반대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가까워지도록 적재부(120)와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엑스링크(131)의 상하 높이가 높아지면서 적재부(120)도 상승하게 된다. The X-links 131 are formed of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32 and 133, respectively, which are crossed in an X-shaped configuration.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32 and 133 ar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134 at the center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32 and 133 are slidabl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ing portion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120 and the base portion 110, respectively. Wh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32 and 133 move toward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stacking unit 120 or the base unit 110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acking unit 120 descends, Wh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32 and 133 are moved toward the center of the loading unit 120 and the base unit 11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32 and 133 are closer to each other, The loading unit 120 is also elevated.

상기 탄성지지부(140)는 상기 엑스링크(131)의 회전축(134)을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지지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적재부(120)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elastic support part 140 elastically supports the rotation shaft 134 of the X-link 131 upward against the base part 110 to elastically bias the loading part 120 upward when no external force acts will be.

탄성지지부(140)는 적재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디(141)와, 바디(14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부재(142)와, 바디(141)와 인출부재(142)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43)을 포함한다.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140 includes a body 141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120, a drawing member 142 which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141, And a spring 143 installed inside.

상기 바디(141)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의 원통체로서 상부는 상기 중공이 막혀있는 상태이며, 적재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단에 힌지축(145)이 설치되어 있다.The body 141 is a hollow cylindrical body which is opened downward.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hinge shaft 145 at an upper end thereof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ading part 120.

상기 힌지축(145)은 상기 적재부(1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hinge shaft 145 is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20.

상기 인출부재(142)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하단이 막혀있는 중공의 원통체로서 외경이 상기 바디(141)의 내경에 대응하여 상부가 바디(141)의 중공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pull-out member 142 is a hollow cylindrical body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lower end closed, and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141,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installed to be pulled out or drawn out into the hollow of the body 141.

상기 스프링(143)은 상단이 바디(141)의 상부에, 하단이 인출부재(142)의 하부에 각각 지지되어 인출부재(142)가 바디(141)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한다.The upper end of the spring 143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41 and the lower end of the spring 143 is suppor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rawing member 142 so that the drawing member 142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awing member 142 is drawn out from the body 141.

인출부재(142)에는 링크연결부(130)의 회전축(134)과 연결하기 위한 축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축연결부재(144)는 인출부재(142)에 결합되고 양단이 회전축(1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탄성지지부(140)가 회전축(134)과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drawer member 142 is provided with a shaf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with the rotating shaft 134 of the link connecting portion 130. The shaft connecting member 144 is coupled to the drawing member 142 and both ends thereof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34 so that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14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34.

따라서 적재부(12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부재(142)가 회전축(134)을 하방으로 밀게 되는데, 바디(141)와 인출부재(142)의 상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베이스부(11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적재부(120)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loading unit 120, the pulling member 142 pushes the rotating shaft 134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43,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32 and 133 is narrowed and the loading unit 120 is maintained in an elevated state because the base unit 110 is fixed.

여기서 적재부(120)에 적재물을 적재하여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143)이 압축되면서 인출부재(142)가 바디(141)의 내부로 인입되고, 바디(141)와 인출부재(142)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회전축(134)과 적재부(120) 사이의 거리도 짧아져야 하므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전후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적재부(120)가 하강하게 된다. When the load is loaded on the loading unit 120, the spring 143 is compressed to draw the drawing member 142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41 and the body 141 and the drawing member 142,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shaft 134 and the loading unit 120 must be shorten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32 and 133 are exten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loading unit 120 is lowered do.

이렇게 적재물이 적재부(120)에 적재됨에 따라서 적재부(120)가 하강하면 적재물의 적재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적재부(120)가 낮아지므로 최상단측의 적재물은 거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 적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loading part 120 is lowered as the load is loaded on the loading part 120, the loading part 120 is lowered even if the loading height of the load increases, so that the load on the uppermost side can be maintained at a substantially constant height. Can be easily achieved.

반대로 적재부(120)에 적재물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재물을 내리게 되면 적재부(1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작아지면서 상기 스프링(1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지지부(140)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회전축(134)과 적재부(12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축(134)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적재부(12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물을 내리더라도 적재부(120)가 점점 상승하면서 작업자가 적재물을 파지하는 파지 높이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load is lowered while the load is loaded on the loading unit 120, the load applied to the loading unit 120 becomes smaller, and the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ing unit 140 becomes longer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43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32 and 133 are moved toward each other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ry shaft 134 and the loading unit 120 to raise the height of the rotary shaft 134, So that the loading unit 120 also ascends. Therefore, even if the load is lowered, the height of the holding portion 120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grip height at which the operator grasps the load can be kept substantially constant.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지지부(140)로서 탄성스프링(143)이 적용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공기스프링(143)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지지부(140)의 바디(141)가 적재부(1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었으나, 바디(141)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인출부재(142)가 상방으로 인출되면서 회전축(134)을 베이스부(110)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여 적재부(120)를 승강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spring 143 is used as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140, but the air spring 143 may be used. In this embodiment, the body 141 of the elastic supporting part 14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20, but the body 14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The rotary shaft 134 may be formed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loading unit 120 by pressing the rotary shaft 134 away from the base unit 110 while being drawn upward.

상기 축가이드부재(160)는 바디(141)의 힌지축(145)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부(120)의 하면에 형성된다.The shaft guide member 16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ading unit 120 for guiding the hinge shaft 145 of the body 141.

축가이드부재(160)는 힌지축(145)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두 개가 설치되며, 적재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축지지부재에는 힌지축(145)이 관통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홀(16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홀(161)은 적재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축(145)이 이 가이드홀(161)을 따라 적재부(1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wo shaft guide members 160 ar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145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20. The shaft support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hole 161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145 can pass so that the guide hole 16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lot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ing unit 120 So that the hinge shaft 145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hole 16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20.

아울러 상기 가이드홀(161)의 일측 단부에는 적재부(120)의 하면을 향해 꺾어져 연장된 고정홀(1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홀(162)은 상기 탄성지지부(140)재가 상하로 연장되어 적재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134)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일 때 힌지축(145)이 가이드홀(16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 fixing hole 16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hole 161 so as to be ben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20. The fixing hole 162 moves along the guide hole 161 when the resilient supporting member 140 is vertically extended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34 so as to support the load .

상기 바디(141)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축(145)이 상기 가이드홀(16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을 위해 부피를 줄여야할 때, 상기 힌지축(145)을 축가이드부재(160)에 형성된 가이드홀(161)의 타측 단부로 이동시키면서 바디(141) 및 인출부재(142)가 수평방향에 가깝도록 회전시킨다. 이렇게 탄성지지부(140)재가 회전하면 적재부(120)를 베이스부(110)에 최대한 가깝도록 하강시켜 적재부(120)의 높이를 낮춘다.Since the hinge shaft 145 formed on the body 141 can move along the guide hole 161 when the volume is to be reduced for carrying and storing the hinge shaft 145, The body 141 and the pull-out member 142 are rotated so as to be clos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140 is rotated, the loading unit 120 is lower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ase unit 110 to lower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120.

그리고 가이드로드(112)는 적재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바디(141) 및 인출부재(142)가 회전하여 적재부(120)가 하강한 상태에서 적재부(120)의 상부로 돌출된 위치에서의 가이드로드(112)의 하부에는 가이드로드(112)를 적재부(1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가이드로드(112)는 상부로드(114)와 하부로드(115)로 분할되어 있고, 상부로드(114)의 하단이 하부로드(115)의 상부 중공을 통해 하부로드(11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로드(114)와 하부로드(115)는 회전링크(116)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로드(114)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링크(116) 및 상부로드(114)의 하단이 하부로드(115)의 상측 내부로 진입하여 상하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로드(114)를 절곡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부로드(114)를 위로 들어올려 상부로드(114)의 하단과 회전링크(116)가 하부로드(115)로부터 인출되게 한 다음 상부로드(114)를 적재부(1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회전시킨다. 따라서 휴대 또는 보관시에는 상기 가이드로드(112)도 접어 대차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The guide rod 112 is formed so as to extend upwar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ading unit 120. When the loading unit 120 is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body 141 and the drawing member 142 A guide rod 11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unit 120 at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d 112 at a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unit 120. 2 and 3, the guide rod 112 is divided into an upper rod 114 and a lower rod 115,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rod 114 is connected to the lower rod 115 via the upper hollow of the lower rod 115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ower rod 115. The upper rod 114 and the lower rod 1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otating link 116. When the upper rod 114 extends upwardly, the lower ends of the rotating link 116 and the upper rod 114 When the upper rod 114 is to be bent, the upper rod 114 is lifted up and the lower rod 114 is lifted up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rod 114. [ And the rotary link 116 are drawn out from the lower rod 115, and then the upper rod 114 is rotated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art 120. Therefore, when carrying or storing, the guide rod 112 can also be folded to reduce the total volume of the carriage.

도 6 및 도 7에는 접이식 이송대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6 and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folding conveying carriage.

본 실시예의 접이식 이송대차(100)는 가이드로드(112)의 승하강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적재부(120)에 적재물이 적재되더라도 적재부(120)가 하강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클램핑부(170)를 더 구비한다.The folding type transporting carriag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lamping unit 170 which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guide rod 112 and can prevent the loading unit 120 from descending even if the load is loaded on the loading unit 120, Respectively.

클램핑부(170)는 적재부의 하면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로드(11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된 파지홀(172)이 형성된 클램핑바디(171)와, 이 클램핑바디(171)에 결합되는 볼트부재(175)와, 볼트부재(175)와 연결되어 볼트부재(175)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클램핑레버(176)를 포함한다.The clamping part 17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ading part by welding and includes a clamping body 171 having a holding hole 172 extending vertically so that the guide rod 112 can pass therethrough, And a clamping lever 176 connected to the bolt member 175 to rotate the bolt member 175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클램핑바디(171)는 상술한 것처럼 가이드로드(11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파지홀(1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파지홀(172)의 일측에 절개부(173)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절개부(173)를 벌리거나 오므려 파지홀(172)의 직경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홀(172)의 내주면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된 파지부재(177)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클램핑바디(171)가 가이드로드(112)와 밀착되어 적재부(120)의 승하강을 제한할 때, 상호 접촉하는 가이드로드(112)의 외주면과 클램핑바디(171)의 내주면 사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The clamping body 171 is formed with a gripping hole 172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lamping body 171 so that the guide rod 112 can pass therethrough, and a cutout 17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ripping hole 172 So that the diameter of the holding hole 172 can be enlarged or reduced by opening or closing the cutout 173. A gripping member 177 made of reinforced plastic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hole 172 so that the clamping body 17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rod 112 to restric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oading unit 120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damag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d 11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171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클램핑바디(171)에는 또한 상기 파지홀(172)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볼트결합홀(17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볼트결합홀(174)은 절개부(173)를 기준으로 양측에 연장되어 있다. 이 볼트결합홀(174)은 절개부(173)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The clamping body 171 is also formed with a bolt coupling hole 174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grip hole 172. The bolt coupling hole 17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tout 173 Extended. In this bolt coupling hole 174, a screw thread is form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utout 173, and no screw thread is formed at the other side.

상기 볼트부재(175)는 볼트결합홀(174)에 삽입되는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나사산이 형성된 일측 볼트결합홀(174)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며 클램핑레버(176)와 연결되어 있다. 클램핑레버(176)는 볼트결합홀(17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결합홀(174)로 진입할 수 없으며, 클램핑레버(176)를 돌려 상기 볼트부재(17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bolt member 175 is inserted into the bolt coupling hole 174 and is screwed to one side bolt coupling hole 174 formed with a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clamping lever 176. The clamping lever 176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bolt coupling hole 174 so that it can not enter the bolt coupling hole 174 and rotates the clamping lever 176 to rotate the bolt member 175 have.

볼트부재(175)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볼트부재(175)가 볼트결합홀(174)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절개부(173)를 중심으로 클램핑바디(171)의 일측단부(171a)가 타측단부(171b)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파지홀(172)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클램핑바디(171)와 가이드로드(112)가 상호 밀착된다. 이렇게 하면 적재부(12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차단할 수 있다. Since the bolt member 175 is screwed to the bolt coupling hole 174 when the bolt member 175 is rotated to one side, the one end portion 171a of the clamping body 171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The clamping body 171 and the guide rod 11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the diameter of the holding hole 172 is reduced. In this way, the lifting or lowering of the loading unit 120 can be blocked.

반대로 볼트부재(175)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절개부(173)를 중심으로 클램핑바디(171)의 일측단부(171a)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클램핑바디(171)의 타측 단부(171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파지홀(172)이 확장되고 가이드로드(112)와의 밀착이 해제되어 적재부(120)가 자유롭게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bolt member 175 is rotated to the other side, one end 171a of the clamping body 171 is moved away from the other end 171b of the clamping body 171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bout the cutout 173 The holding hole 172 is extended and the contact with the guide rod 112 is released, so that the loading part 120 can freely move up and dow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접이식 이송대차
110; 베이스부
111; 이송바퀴 112; 가이드로드
113; 연결로드
120; 적재부
121; 링크가이드부
130; 링크연결부
131; 엑스링크 132; 제1 링크부재
133; 제2 링크부재 134; 회전축
140; 탄성지지부
141; 바디 142; 인출부재
143; 스프링 144; 축연결부재
145; 힌지축
160; 축가이드부재
161; 가이드홀 162; 고정홀
170; 클램핑부
171; 클램핑바디 172; 파지홀
173; 절개부 174; 볼트결합홀
175; 볼트부재 176; 클램핑레버
177; 파지부재
100; Folding feed truck
110; Base portion
111; A conveying wheel 112; Guide rod
113; Connection load
120; The loading section
121; Link guide part
130; Link connection
131; X-Link 132; The first link member
133; A second link member 134; Rotating shaft
140; Elastic support
141; Body 142; Out member
143; Spring 144; The shaft connecting member
145; Hinge axis
160; The shaft guide member
161; A guide hole 162; Fixed hole
170; The clamping portion
171; Clamping body 172; Phage hole
173; An incision section 174; Bolt coupling hole
175; A bolt member 176; Clamping lever
177; The gripping member

Claims (6)

이송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적재부와 베이스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링크부재가 엑스자 형태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 엑스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연결부와;
성가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승강시키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적재부에 지지되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송대차.
A base portion on which the conveying wheels are mounted;
A load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to load the loa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which are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un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respectively, A link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n X-link connected to be crossed with the center;
And an elastic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tongue base part or the load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to elevate the rotation shaft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Wherei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formed such that one end thereof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or the loading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인출부재와, 일단이 상기 바디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인출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인출부재를 상기 바디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단이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송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comprises a body having a hollow opening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drawing member provided to be able to be drawn in and pulled out from the body, one end supported by the body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drawing member, And a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in a direction drawn out from the body,
Wherein the body is rotatably mounted on a hinge shaft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vertical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는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축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이 상기 축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적재부의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송대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ading section is formed with two shaft guide member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section and sp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Wherein the hinge shaft is movable along the shaft guide portion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loading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가이드부재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할 수 있는 장공형태의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위치일 때 상기 힌지축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꺾어져 연장된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송대차.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haft guide member is formed such that a guide hole having a long hole shape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can penetrate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inge shaft is bent upward from the end of the guide hole at one end of the guide hole so as to prevent the hinge shaft from moving along the guide hole when the elastic support member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stacking unit. Wherein the fixing hole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 양측로부터 상기 적재부의 후방 상하면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의 상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드와, 상기 가이드로드의 상단을 상호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부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구간이 상기 적재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송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rod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from the rear side of the base to guide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and a handle including an upper end of the guide rod and an interconnecting rod,
Wherein the guide rod is rotatable such that a protruding s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section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section in a state where the loading section is lowered by rotation of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가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승하강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클램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적재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드가 통과하여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된 파지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하로 연장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로드와 밀착되거나 상기 가이드로드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클램핑바디와,
상기 클램핑바디에 상기 절개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트결합홀에 삽입설치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파지홀의 직경을 조절하여 상기 클램핑바디와 가이드로드 사이의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클램핑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amping unit for restricting the stacking unit from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od,
The clamping portion is fixed to the loading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grip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rod passes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d. The clamping portion is formed with a vertically extending cut- A clamping body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closely attached to the guide rod or spaced from the guide rod,
The clamping body is inserted into a bolt coupling hole formed to extend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ip hole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ut-out part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ut- A bolt member for adjusting the bolt member,
And a clamping lev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lt member for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gripping hole by rotating the bolt member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lamping body and the guide rod.
KR1020120142914A 2012-12-10 2012-12-10 Foldable transfer cart KR101426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14A KR101426073B1 (en) 2012-12-10 2012-12-10 Foldable transfer cart
PCT/KR2013/009713 WO2014092331A1 (en) 2012-12-10 2013-10-30 Liftable support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14A KR101426073B1 (en) 2012-12-10 2012-12-10 Foldable transfer c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679A true KR20140074679A (en) 2014-06-18
KR101426073B1 KR101426073B1 (en) 2014-08-01

Family

ID=5112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914A KR101426073B1 (en) 2012-12-10 2012-12-10 Foldable transfer c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073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5864A (en) * 2015-11-14 2016-03-02 合肥天之通电子商务有限公司 Novel transportation trolley
WO2016129971A1 (en) * 2015-02-13 2016-08-18 주식회사 삼홍사 Height-adjustable desk
CN107215371A (en) * 2017-06-14 2017-09-29 合肥易美特建材有限公司 A kind of carrier carried for power equipment
US10499730B2 (en) 2015-02-13 2019-12-10 Samhongsa Co., Ltd. Height-adjustable desk
CN111691727A (en) * 2020-07-14 2020-09-22 北京交通大学 Three-dimensional parking garage structure with parking and bidirectional carrying functions
CN112677072A (en) * 2020-12-09 2021-04-2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丽江供电局 High-voltage wire clamp mounting tool and using method
CN113479568A (en) * 2021-06-28 2021-10-08 浙江广厦建设职业技术大学 Production transfer trolley for assembled type external wall board for building
US11414115B2 (en) 2020-10-16 2022-08-16 Oko Co., 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4635B (en) * 2016-11-16 2018-12-04 南通大学 Multifunctional foldable to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1870U (en) * 1983-03-31 1984-10-11 花岡車輌株式会社 hand truck
JP3568513B2 (en) * 2002-03-20 2004-09-22 安裕 浅井 Folding table
KR200314799Y1 (en) * 2003-02-06 2003-05-27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Saddle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bicycle
KR100930085B1 (en) * 2009-03-23 2009-12-07 고병기 Transfer car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71A1 (en) * 2015-02-13 2016-08-18 주식회사 삼홍사 Height-adjustable desk
US10499730B2 (en) 2015-02-13 2019-12-10 Samhongsa Co., Ltd. Height-adjustable desk
CN105365864A (en) * 2015-11-14 2016-03-02 合肥天之通电子商务有限公司 Novel transportation trolley
CN107215371A (en) * 2017-06-14 2017-09-29 合肥易美特建材有限公司 A kind of carrier carried for power equipment
CN111691727A (en) * 2020-07-14 2020-09-22 北京交通大学 Three-dimensional parking garage structure with parking and bidirectional carrying functions
US11414115B2 (en) 2020-10-16 2022-08-16 Oko Co., 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CN112677072A (en) * 2020-12-09 2021-04-2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丽江供电局 High-voltage wire clamp mounting tool and using method
CN113479568A (en) * 2021-06-28 2021-10-08 浙江广厦建设职业技术大学 Production transfer trolley for assembled type external wall board for building
CN113479568B (en) * 2021-06-28 2022-10-04 浙江广厦建设职业技术大学 Production transfer trolley for assembled type external wall board for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073B1 (en)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73B1 (en) Foldable transfer cart
KR100930085B1 (en) Transfer cart
KR101426072B1 (en) Transfer cart
US8162190B2 (en) Ergonomic lift mechanism for a truck box
US6454512B1 (en) Person-guided vehicle
KR101820931B1 (en) Tongs Type Manipulator for Forklift Truck
KR100671315B1 (en) Pallet for transporting plate glass
US20020003996A1 (en)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US20020109319A1 (en) Ergonomic merchandiser
KR200463603Y1 (en) Bracket device for folding type carrier and folding type carrier having the same
JP4328121B2 (en) 6-wheel truck for transportation
KR101426074B1 (en) Footdown type transfer cart
KR102476247B1 (en) Cylinder action point moving type hand crane
KR200431212Y1 (en) Cart the angle control of the handle was possible
KR20100066048A (en) Transtfer cart
JP2017100481A (en) Carriage
CN110937386A (en) Transport device
JP3194428U (en) Trolley
KR101412952B1 (en) Foldable transfer cart
KR20080004142U (en) Cart for freight
US20230406383A1 (en) Cart with a foldable platform
JP6605534B2 (en) Hand cart
JP2004238183A (en) Low lift truck with raised fork
CN211001470U (en) Roll up core floor truck
KR200263363Y1 (en) The Handcart for Transporting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