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019A - 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 - Google Patents

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019A
KR20140074019A KR1020120142158A KR20120142158A KR20140074019A KR 20140074019 A KR20140074019 A KR 20140074019A KR 1020120142158 A KR1020120142158 A KR 1020120142158A KR 20120142158 A KR20120142158 A KR 20120142158A KR 20140074019 A KR20140074019 A KR 2014007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location
mobile terminal
displaying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7728B1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나랩
Priority to KR2012014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728B1/en
Publication of KR2014007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7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xecuting a location based messaging application; displaying a history of reception and transmission of messages on an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displaying, if any one history item is selected from the history of reception and transmission of messages, a list of messag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history item; checking whether a message is an unread message if the message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messages; comparing the current location of a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message if the selected message is an unread message; and displaying the message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s within a preset radius from the loc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message.

Description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0001] 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 [0002]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장소에 메시지를 남기고, 메시지가 남겨진 특정 장소에 이동단말기가 근접하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e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method that allows a message to be left on a specific pla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

일반적으로, 메시지 서비스는 별도의 다른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단말기만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는 지정된 특정인에게만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동일한 메시지를 다수에게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발신자가 자신의 이동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 버튼을 입력하면 작성된 메시지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달되고, 다시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자의 이동단말기에 최종적으로 도달한다.Generally, a message service refers to a service that allows a message to be exchanged only with a mobile terminal without using another device. This message service allows a message to be sent only to a specified person or to a plurality of the same message. When the sender creates a message on his / her mobile terminal and inputs a transmission button, the created message is delivered to the message service center through the network, and finally reaches the recipient's mobile terminal through the transmission channel.

이와 같은 종래의 메시지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여 더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가입자들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능동적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message service merely transmits a message in order to send and receive messages in real tim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ctive service capable of meeting the needs of service subscribers who wish to receive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re are limits to implementation.

이에 따라, 메시지 서비스에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위치파악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접목하여 보다 능동적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to implement a more active service by effectively combining the location service that enabl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ssage service to be grasp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기반하여 창출된 것으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장소에 메시지를 남기고, 메시지가 남겨진 특정 장소에 이동단말기가 근접하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method for creating a message in a specific pla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allowing a message to be confirmed when a mobile terminal approaches a specific place where a message is left .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위치기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에 새메시지 작성을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새메시지 작성 요청에 따라 메시지 작성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수신자 및 메시지 남길 장소를 선택하며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해당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method comprising: executing a location-based message application; receiving a request for creating a new message on an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Entering a message creation mode, creating a message by selecting a place to leave a recipient and a message in the message creation mode,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message creation is complet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위치기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에 메시지 송수신 이력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송수신 이력 중 어느 하나의 이력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이력 항목에 대응되는 메시지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시지 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메시지가 미개봉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시지가 미개봉 메시지이면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선택된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선택된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면 해당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method including: executing a location-based message application; displaying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on an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message list corresponding to the history item if the selected message is an unopened message; checking if the selected message is an unopened message when one of the messages is selected;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messag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message, and displaying the message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message .

본 발명에서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장소에 메시지를 남기고, 메시지가 남겨진 특정 장소에 이동단말기가 근접하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므로, 수신자가 미래의 어느 시점에 특정 장소에서 메시지를 개봉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is left at a specific pla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ssage can be confirmed when a mobile terminal approaches a specific place where a message is left, so that a receiver can open a message at a specific place at a future time And can provide a fun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회원가입 및 로그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별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mbership registration and login process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 based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FIG. 6 are views illustrating a step-by-step screen using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 개의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 간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이하, 서버)(200)를 포함한다.1,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ssage service ser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er) that provides a ser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between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and a mobile terminal 100, (200).

이동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tablet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위치 취득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음향 출력부(150), 메모리(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location acquisition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 audio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d a control unit 170 .

무선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타이동단말기(100) 또는 서버(20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인터넷망 등을 의미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enables communication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the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Here, the network mean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위치 취득부(120)는 이동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위치 취득부(120)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로 구현된다.The location acquisition unit 120 acqui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position acquisition unit 120 is implemented a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keypad) 및 터치패드(touch pa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pad and a touch pad.

디스플레이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른 상태 정보 및 결과를 표시(출력)한다. 이러한 이동단말기(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outputs) status information and result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14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And a transparent display.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와 결합을 통해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출력장치로써 뿐만 아니라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rough combination with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peration.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40 can be used not only as an output device but also as an input device.

음향 출력부(150)는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른 효과음 및 배경음악 등과 같은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5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50 outputs sound signals such as an effect sound and a background music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메모리(160)는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저장한다.The memory 160 stores various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stores location-based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또한, 메모리(160)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앱)을 저장한다. 이동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다운로드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한다.Also, the memory 160 stores an application (application) for using the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The mobile terminal 100 downloads the application directly from the application market providing the application purchase service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60. [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수신자)과 메시지를 남길 장소를 선택하고, 메시지 내용을 작성한다.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제어부(170)는 작성된 메시지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전송된 메시지(발송메시지)를 메모리(160)에 저장하며, 서버(200)로부터 발송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확인여부를 제공받아 발송메시지에 대한 상태정보로 함께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170 selects a place where a message is to be received and a place to leave a message according to inpu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input unit 130, and creates a message content. When the message cre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70 transmits the created message to the server 2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stores the transmitted message (the outgoing message) in the memory 160, receives the acknowledgment of the recipient of the outgoing message from the server 200, and stores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outgoing message.

또한, 제어부(170)는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제어부(170)는 위치 취득부(120)를 통해 획득한 이동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와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이동단말기(100)가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면 해당 메시지의 상태정보를 읽기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즉,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읽을 수 있도록 읽기 권한을 활성화한다. 이후, 해당 메시지를 수신자가 확인하면 제어부(170)는 해당 메시지의 상태정보를 읽은 상태로 변경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receives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and stores the received message in the memory 160. The control unit 170 compa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quired through the location acquisition unit 120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and if the comparison result indicates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ha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ssage is changed to the readable state. That is, the control unit 170 activates the read permission so that the user can read the message. Thereafter, when the receiver confirms the message, the controller 170 chang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essage to the read state.

제어부(170)는 이동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와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동단말기(100)가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해당 메시지의 상태정보를 읽기 불가능 상태(미개봉 상태)로 유지한다.If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mpared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and the mobile terminal 100 is no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Keep the information unreadable (unopened).

제어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에 근접하면 해당 메시지를 팝업형태로 표시하거나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place where the message is left,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the corresponding message in a pop-up form or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essage exists.

서버(200)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에 대한 정보 및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서버(200)는 각 회원의 이동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의 계정과 연동을 통해 친구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 server 200 manag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members who subscribe to the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and message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erver 200 allows the user to perform friend management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account of a contact or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f each member.

서버(200)는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의 수신자를 확인하고, 해당 수신자의 단말기로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알림메시지를 푸시한다. 이때, 서버(200)는 알림메시지를 문자 메시지, 전자메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게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전송한다. 상기 알림메시지는 메시지 발신자 및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 정보 등을 포함한다.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erver 200 confirms the recipient of the message and pushes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recipient's terminal of the arrival of the message. At this time,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in the form of one or more of a text message, an electronic mail, and a social networking service post. The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a place where the message originator and the message are left.

또한, 서버(20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메시지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위치에 남겨진 메시지(편지)를 출력하여 수신자에게 우편으로 발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 남겨진 메시지를 수신자가 확인하지 않는 경우 발신자는 자신의 단말기에서 해당 메시지에 대한 우편발송을 요청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이동단말기(100)로부터 특정 메시지에 대한 우편발송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에게 알린다. 관리자는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우편발송 요청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메시지를 출력하여 수신자에게 우편으로 발송한다. 또는, 수신자가 일정 기간 동안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으면, 관리자는 해당 메시지를 출력하여 우편으로 수신자에게 발송한다.
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managing the server 200 may output a message (letter) left at a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message sender and send it to the receiver by mail. For example, if the recipient does not confirm the message left at a specific location, the sender can select a menu for requesting mail delivery for the message from his or her terminal, and the server 200 transmits a specific message When a mailing request is received, the administrator is notified. The administrator confirms the mail forwarding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outputs the message, and sends the mail to the recipient. Alternatively, if the recipient does not acknowledge the mess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anager outputs the message and sends it to the recipient by mail.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회원가입 및 로그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mbership registration and login proces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정보(입력 데이터)에 따라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앱)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이동단말기(100)는 사전에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온라인 상의 스토어(예: 안드로이드 마켓, 앱스토어, T스토어 등)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단말기 내에 설치한다.3, the control unit 170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ecutes an application (app) that provides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input data)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 Here, the mobile terminal 100 accesses a store (for example, an Android market, an app store, a T store, etc.) which provides an appl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 advance and downloads the application and installs the application in the terminal.

이동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로그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한다(a).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이동단말기(100)는 자동 로그인 설정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 자동 로그인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로그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한편, 자동 로그인이 설정된 경우, 이동단말기(100)는 메모리(160)에 기저장된 계정정보(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a login screen to the display unit 140 (a).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mobile terminal 100 confirms whether or not automatic login is set, and displays a login screen on the display unit 140 when automatic login is not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On the other hand, when automatic login is set, the mobile terminal 100 automatically performs the login procedure using the account information (ID and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160.

로그인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 재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이동단말기(100)는 서버(200)에 비밀번호 재설정을 요청하고,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임시 비밀번호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메일(e-mail)로 전송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 재설정 아이콘(141)이 선택되면 이동단말기(100)는 임시비밀번호 발급요청 화면(b)을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이메일 주소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메일 주소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이메일 주소가 회원정보에 존재하는 이메일 주소인지를 확인한 후 상기 제공받은 이메일 주소가 회원정보에 존재하면 해당 이메일 주소로 임시비밀번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메일을 통해 임시비밀번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폰 인증을 통해 휴대폰으로 임시비밀번호를 받을 수도 있다.When the password reset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on the login screen,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s the server 200 to reset the password, and the server 200 moves the user to a web page that can reset the passwor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Or transmits the temporary password to the e-mail entered by the user (e-mail). 3, when the password reset icon 141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he temporary password issuance request screen b to the display unit 140, and when the user inputs an e-mail address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input e-mail address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confirms whether the email address provid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exists in the memb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temporary password to the corresponding email address if the received email address exists in the member information. In this embodiment, the temporary password is transmitted through e-mail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emporary password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mobile phone authentication.

한편, 로그인 화면 상에서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아이디 필드와 비밀번호 필드에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이 선택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회원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회원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On the login screen, the mobile terminal 100 inputs the ID and the passwor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in the ID field and the password field, and transmits the ID and the password to the server 200 when the login button is selected. The server 200 compares the ID and the password with the member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or not matching member information exists,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obile terminal 100.

또한, 서버(200)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예: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와의 연동을 통해 이동단말기(100)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계정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enables the mobile terminal 100 to perform a login operation using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by interworking with a social networking service (e.g., Twitter, Facebook, MeeDay, etc.).

도 3의 (a)에 도시된 로그인 화면 상에서 이동단말기(100)가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새계정 생성(회원가입) 요청을 수신하면, 새계정 생성모드로 진입한다. 즉, 로그인 화면 상에서 회원가입 아이콘(142)가 선택되면 이동단말기(100)는 새로운 계정 생성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로 출력한다(c).When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 new account creation (membership subscription) reques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on the login screen shown in FIG. 3A, the mobile terminal 100 enters a new account creation mode. That is, when the subscription icon 142 is selected on the login screen,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a new account creation screen to the display unit 140 (c).

새계정 생성모드에서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새계정 정보를 입력받고, 새계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새계정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인증절차를 거쳐 새계정을 생성한다. 이때, 서버(200)는 새계정 정보로 입력된 이메일 또는 이동단말기(100)로 인증코드를 전송하고, 그 전송된 인증코드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그 인증코드가 일치하면 새계정을 생성한다. 예컨대, 이동단말기(100)를 통해 문자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단말기(100)는 인증번호를 받을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번호를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한 후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증번호를 인증번호 입력필드에 입력한다(d). 인증번호 입력 후 '확인' 아이콘이 입력되면 이동단말기(100)는 인증번호 입력필드에 입력된 인증번호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해당 인증번호가 유효한 것인지를 확인받으므로 새로운 계정이 생성된다.
In the new account creation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new accoun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put unit 130 and transmits the new account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when the new account information is input. The server 200 creates a new account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At this time,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e-mail entered as the new account information or the mobile terminal 100, compares the transmitted authentication code with the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If a match is found, a new account is created. For example, when charact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100 inputs a telephone number to receive the authentication number, transmits the telephone number to the server 200,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number,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D) the authent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is input into the authentication number input field. When the 'OK' icon is input after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number input in the authentication number input field to the server 200, and it is confirmed whether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valid, so a new account is crea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 based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메뉴조작에 따라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1). 이때,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obile terminal 100 execute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 menu operation of a user (S11).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동단말기(100)는 메시지 송수신 이력이 표시되는 메시지 박스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S12). 여기서, 메시지 박스 화면은 읽지 않은 메시지 개수, 메시지 송수신 이력, 새메시지 작성 기능이 할당된 아이콘 등을 포함한다.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message box screen on which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12). Here, the message box screen includes an unread message count,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an icon allocated with a new message creation function, and the like.

상기 메시지 박스 화면 상에서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새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13).On the message box screen, the mobile terminal 100 confirms whether there is a new message creation request from the user (S13).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새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메시지 작성 모드로 진입한다(S14).The mobile terminal 100 enters a message creation mode if there is a new message creation request from the user (S14).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에 따라 수신자 및 메시지 남길 장소를 선택한다(S15). 이때, 사용자는 메시지 남길 장소를 키워드 검색를 통해 선택하거나 지도 상에서 직접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message creation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selects a receiver and a place to leave a message according to the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30 (S15).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a place to leave a message through a keyword search or directly select a place on the map.

이어서,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시지 내용 필드에 삽입하여 메시지 내용을 작성한다(S16).Then, the mobile terminal 100 inserts the data input by the user into the message content field to create the message content (S16).

이동단말기(100)는 메시지 작성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S17),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메시지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18).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 후 ‘완료’ 아이콘을 선택하면 이동단말기(100)는 메시지 작성완료 명령으로 인식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서버(200)에 전송하여 메시지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confirms whether or not message creation is completed (S17). When the message creation is completed,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created message to the server 200 (S18).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the 'Finish' icon after creating the message, the mobile terminal 100 recognizes the message as a message creation completion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essage to the server 200 and stores the message in the message management database.

또한,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버(200)를 통해 메시지 수신자의 단말기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한다(S19). 즉,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버(200)로 수신자에게 알림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 서버(200)는 이동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 수신자에게 알림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게시물 등의 형태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message recipient through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19).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s the server 200 to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receiver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The server 20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a message recipient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or a social networking service post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100.

이동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40)의 메시지 박스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가 미개봉 메시지인지를 확인한다(S21, S22).If any one of the message lists displayed on the message box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message is an unopened message (S21, S22).

상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메시지가 미개봉 메시지이면 이동단말기(100)는 위치 취득부(120)를 통해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현재위치가 해당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한다(S23). 즉, 이동단말기(100)는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에 단말기 근접여부를 확인한다.If th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s an unopened message, the mobile terminal 100 confirm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acquisition unit 120, and if the confirmed current location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S23).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close to the place where the message is left.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면 해당 메시지에 대해 읽기 권한을 읽기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S24).If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place where the message is left, the read permission for the message is changed to the readable state (S24).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해당 메시지의 읽기 불가능 상태를 유지한다(S25).If the mobile terminal 100 is no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place where the message is left, the message is held unreadable (S25).

한편,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가 미개봉 메시지가 아니면 해당 메시지를 표시한다. 즉, 선택된 메시지가 이전에 읽은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를 표시한다.
Meanwhile, if the message selected by the user is not an unopened messag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corresponding message. That is, if the selected message is a previously read message, the corresponding message is display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별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ep-by-step screen using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메뉴 조작에 따라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동단말기(100)는 로그인 절차를 거쳐 송수신 메시지 이력을 표시하는 목록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한다(a). 목록화면은 미개봉 메시지의 개수를 표시하는 영역(143)과 메시지를 송수신한 송수신 이력이 표시되는 영역(144), 화면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새메시지 작성 아이콘(145)을 포함한다. 메시지 송수신 이력이 표시되는 영역(144)에는 프로필 사진, 상대방 이름, 송수신 메시지 개수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항목들로 구성된다. 항목의 프로필 사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동단말기(100)는 해당 프로필 사진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프로필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필 화면상에는 단말기 내의 연락처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와 연동여부를 시각적(예: 컬러)으로 다르게 표시하는 아이콘들(147)과 상대방 이름, 친구 수, 사서함 정보, 상대방과 주고받은 메시지 수 등이 표시된다. 사서함 정보는 텍스트 또는 지도로 표시될 수 있다.First, the mobile terminal 100 executes a location-based message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 menu operation of a user.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a list screen display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ssage history to the display unit 140 through the login procedure (a). The list screen includes an area 143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unopened messages, an area 144 for display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of sending and receiving the messages, and a new message creation icon 145 located at one point on the screen. In the area 144 in which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is displayed, one or more items including a profile photograph, a name of the other party, and the number of messages transmitted / When the profile picture of the item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o the display unit 140 a profile screen for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corresponding to the profile picture. As shown in FIG. 5 (b), on the profile screen, there are icons 147 for displaying visually (for example, color) whether or not the contact in the terminal and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are linked with each other, , And the number of messages exchanged with the other party. Mailbox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s text or a map.

이동단말기(100)는 새메시지 작성 아이콘(145)이 선택되면 새메시지 작성 모드로 진입하고, 디스플레이부(140)에 메시지 작성 화면(c)을 표시한다. 메시지 작성(리본 묶기)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따라 수신자(받는 사람)와 메시지를 남길 장소(묶을 장소)를 선택하고, 메시지 내용을 메시지 입력필드에 삽입한다. 이때, 이동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도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사진, 동영상, 음성, 음악, 지도 등을 포함한다.When the new message creation icon 145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enters a new message creation mode and displays a message creation screen (c) on the display unit 140. In the state of outputting a message (ribbon binding) screen, the mobile terminal 100 selects a recipient (receiver) and a place (bundled place) to leave a message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30, Into the message input field.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lso include the multimedia data in the message. The multimedia data includes a photograph, a moving picture, a voice, a music, a map, and the like.

메시지를 남길 장소는 키워드 검색을 통해 선택되거나 또는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될 수 있으며, 또는 위치 취득부(120)를 통해 획득한 현재 위치로 선택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상대방이 사서함을 지정한 경우 메시지 남길 장소로 상대방이 지정한 사서함을 디폴트로 선택한다.The place to leave a message may be selected by keyword search or directly by the user on the map, or may be selected as the current location obtained through the location acquisition unit 120. [ The mobile terminal 100 selects a mailbox designated by the other party as a default location when the other party designates a mailbox.

이동단말기(100)는 메시지 작성화면에서 미리보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작성된 메시지를 최종 수신자가 받아보는 메시지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발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review icon is selected on the message creation screen,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created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in the form of a message received by the final recipient so that the user (caller) can confirm the message.

또한, 도 5의 (c)와 같은 메시지 작성화면 상에서 메시지 작성을 완료한 후 사용자가 '완료' 아이콘을 선택하면 이동단말기(100)는 특정 위치에 위치기반 메시지가 남겨졌음을 수신자(상대방)에게 알리는 알림 방법을 선택하는 알림옵션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알림 방법은 SNS 게시물, 이메일, 문자메시지들 중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하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가 알림 방법을 선택하여 서버(200)에 알리면, 서버(200)는 그 선택된 알림 방법으로 알림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그 알림 메시지에는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예: 지도 이미지)가 포함된다.If the user selects the 'Finish' icon after completing the message creation on the message creation screen as shown in FIG. 5 (c), the mobile terminal 100 notifies the recipient (the other party) that the location- Alias prints a notification option screen to select the notification method. Here, the notification method is selectively available among SNS posts, emails, and text messages. If the mobile terminal 100 selects the notification method and notifies the server 200 of the notification method, the server 20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other party using the selected notification method. The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e.g., a map image) of the location where the message was left.

메시지 송수신 이력이 표시되는 목록 화면(리본 박스) 상에서 도 6의 (a)에서와 같이 상대방 이름 또는 송수신 메시지 개수가 표시되는 영역이 선택되면 이동단말기(100)는 도 6의 (b)와 같이 선택된 이력에 대응되는 송수신한 메시지 목록을 표시한다. 이때, 이동단말기(100)는 미개봉 메시지와 개봉 메시지를 구별가능하게 표시한다. 미개봉 메시지인 경우에는 읽기 권한이 활성화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림 텍스트와 해당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로부터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까지의 거리 정보 등을 표시한다. 반면, 개봉된 메시지인 경우에는 읽은 상태를 표시하며 메시지 내용의 일부를 표시한다. 이때, 이동단말기(100)는 읽은 메시지가 남겨졌던 장소와 해당 메시지를 읽은 후 경과한 시간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한다.6 (a) on the list screen (ribbon box) on which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is displayed, when the other party's name or the area where the number of transmitted / received messages is displayed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selects And displays a message list corresponding to the history.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unopened message and the unsealing message in a distinguishable manner. In the case of an unopened message, a notification text indicating that the read right is not activated, information on the place where the message is left,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place where the message is left are displayed. On the other hand, if the message is an opened message, it indicates the read status and displays a part of the message content.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place where the read message is left and the time information that has elapsed after reading the message.

이동단말기(100)는 도 6의 (b)와 같이 특정 상대와 주고받은 메시지 목록을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지도 아이콘이 선택되면 지도 상에 메시지가 남겨진 장소를 표시한다(c). 이동단말기(100)는 지도 상에 송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표시할 때 송신 메시지가 남겨진 위치와 수신 메시지가 남겨진 위치를 상이한 색상의 핀 아이콘(147a, 147b)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상기 핀 아이콘이 선택되면 이동단말기(100)는 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말풍선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선택된 핀 아이콘이 표시된 위치에 남겨진 메시지가 복수 개인 경우, 팝업으로 그 리스트를 표시하고, 그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선택되면 메시지를 해당 메시지를 표시한다.6 (b),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lace where a message is left on the map when the map icon is selected on the screen displaying the message list exchanged with the specific partner (c). When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ssage on the map, the mobile terminal 100 distinguishes the location where the transmission message is left and the location where the reception message is left, by using pin icons 147a and 147b of different colors. When the pin icon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icon as a speech balloo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messages left in the position where the selected pin icon is displayed, the list is displayed with a pop-up, and when one of the messages in the list is selected, the message is displayed.

또한, 이동단말기(100)는 지도 상에 단말기의 현재 위치(148)을 표시하며,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을 메시지 개봉 가능 영역(149)을 표시한다.Also,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148 of the terminal on the map, and displays the message opening area 149 with a certain radius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위치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자가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 도착하면 그 메시지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온라인 타임캡슐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 동반자 등의 정보를 설정하여 타임캡슐을 남긴 후 타입캡슐을 남길 때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타입캡슐을 개봉할 수 있도록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online time capsule by allowing a sender to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o read the message when the destination arrives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For example, if the user sets time and place, companion information, and leaves a time capsule, the type capsule can be opened when the condition set when leaving the type capsule is satisfied.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위치 취득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음향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제어부
200: 서비스 제공서버
100: mobile terminal
110:
120:
130: user input unit
140:
150:
160: Memory
170:
200: service providing server

Claims (10)

위치기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에 새메시지 작성을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새메시지 작성 요청에 따라 메시지 작성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수신자 및 메시지 남길 장소를 선택하며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해당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Executing a location based message application;
Receiving a request for creating a new message on an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Entering a message creation mode in response to the new message creation request;
Generating a message by selecting a place where a receiver and a message are to be left in the message creation mode;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message creation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남길 장소는,
키워드 검색 또는 지도 상에서 직접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ce where the message is left,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irectly selected on a keyword search or a m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자에게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a receiver of the received message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알리 메시지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게시물, 이메일, 문자메시지와 같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nd transmitting the Ali message in the form of a social networking service post, an e-mail, a text message, and the like.
위치기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에 메시지 송수신 이력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송수신 이력 중 어느 하나의 이력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이력 항목에 대응되는 메시지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시지 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메시지가 미개봉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시지가 미개봉 메시지이면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선택된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선택된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면 해당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Executing a location based message application;
Displaying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on an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When the history item of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is selected, displaying a message list corresponding to the history item;
Confirming that the selected message is an unopened message if any one of the selected message lists is selected;
Compa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with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message if the selected message is an unstructured message;
And displaying the message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mess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 이력 표시단계는,
메시지를 송수신한 상대의 프로필 사진 및 이름, 송수신 메시지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display step may include:
A profile photograph and name of a person who has sent and received a message, and the number of messages sent and receiv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목록 표시 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력 항목에 대응되는 상대와 송수신한 메시지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ssage list display step may include:
And displaying a list of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 corresponding par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history i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한 메시지 목록은,
미개봉 메시지와 개봉 메시지를 구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st of transmitted /
Wherein the unread message and the unread message are distinguishably display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한 메시지 목록은,
지도 상에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st of transmitted /
And displaying on the map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선택된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메시지가 남겨진 위치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guiding a location where the message is left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s no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message.
KR20120142158A 2012-12-07 2012-12-07 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 KR1014777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2158A KR101477728B1 (en) 2012-12-07 2012-12-07 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2158A KR101477728B1 (en) 2012-12-07 2012-12-07 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019A true KR20140074019A (en) 2014-06-17
KR101477728B1 KR101477728B1 (en) 2015-01-30

Family

ID=5112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2158A KR101477728B1 (en) 2012-12-07 2012-12-07 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7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49A (en) * 2020-06-25 2022-01-0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ce information between us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434A (en) * 2003-02-06 2004-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leaving message with setting up the received location
KR100620687B1 (en) * 2004-08-17 2006-09-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Short Message Service System based on the position of a mobile phone and message generation method and message display method
KR101084003B1 (en) * 2004-10-14 2011-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method for displaying photo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73446B1 (en) * 2010-09-30 2012-08-16 주식회사 포비커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49A (en) * 2020-06-25 2022-01-0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ce information between users
US11765107B2 (en) 2020-06-25 2023-09-19 LINE Plu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ce information between u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728B1 (en) 201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9151B1 (en) Method and system to converse across fragmented messaging services based on discussion topics
RU2641655C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tent of short message,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hort message display
US10419399B2 (en) Method for at least one submitter to communicate sensitive incident information and locations to receivers
US8160549B2 (en) Mood-based messaging
US9225831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uto answering function and auto answering method for use in the mobile terminal
US7860935B2 (en) Conditional communication
AU2012211130B2 (en) Content access control in social network
US8769418B2 (en) Enhanced message handling
US20060009243A1 (en) Always-on mobile instant messaging of a messaging centric wireless device
US20080268882A1 (en) Short message service enhancement techniques for added communication options
CN103141075A (en) Media/voice binding protocol and related user interfaces
KR20140078608A (en) Phone with multi-portal access for display dur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s
TW200915789A (en) Social mobilized content sharing
AU2015401019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sensitive incident information and locations to receivers
WO2016008413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lient
CN101479710A (e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transmitting program, transmitting/receiv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7208393A (en) Presence management system
JP2013016944A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program
KR101477728B1 (en) Location based messaging service method
US9559991B1 (en) Automated text response system
KR1007833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photograph and leave a comment of mobile phone
KR101437521B1 (en) Mobile terminal which eables to discriminatively display spam short message and commun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1697712B1 (en) Voice message transmission system using avatar
KR20110073219A (en)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KR1017395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condition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