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501A -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501A
KR20140070501A KR1020137028730A KR20137028730A KR20140070501A KR 20140070501 A KR20140070501 A KR 20140070501A KR 1020137028730 A KR1020137028730 A KR 1020137028730A KR 20137028730 A KR20137028730 A KR 20137028730A KR 20140070501 A KR20140070501 A KR 20140070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haracter string
characters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모히로 이와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7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5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8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or by human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8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or by human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s
    • G06V10/987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or by human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s with the intervention of an oper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06V30/387Matching; Classification using human interaction, e.g. selection of the best displayed recognition candi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기입 영역(11a)에 필적을 입력하는 필적 입력부(11)와, 동일한 영역에 입력된 필적으로부터,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식별부(12)와, 인식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문자 표시부(14)와,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문자열의 문자 표시부(14)에 의한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하는 제어부(13)를 구비한다. The character input device includes a handwriting input section 11 for inputting handwriting to the character input area 11a, a character identification section 12 for recognizing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from handwriting input in the same area, And a control unit 13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character strings by 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recognized character strings or editing the character strings.

Figure P1020137028730
Figure P1020137028730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필적으로부터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입력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 character input progra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for recognizing characters from handwriting.

종래, 필기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明日の12時に、」라는 문자열을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필기로 입력하는 경우, 1문자의 문자 기입 영역에 「12」의 필적이 기입되면, 문자 입력 장치는, 「12」의 필적으로부터 인식 결과로서 「1」, 「2」의 문자 코드를 취득한다.Conventionally,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handwritten characters is known.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string " 12 at tomorrow " is input by handwriting using a stylus pen or the like, if the handwriting of " 12 " is written in the character input area of one character, Quot; 1 " and " 2 "

이런 종류의 선행 기술로서, 1개의 문자 영역에 복수의 숫자를 입력해도 인식할 수 있는 문자 인식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As a prior art of this kind, there is known a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even when a plurality of numbers are input into one character region (see Patent Document 1).

일본국 특허 공개 평 6-23645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236454

그러나, 종래의 문자 입력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입력된 「明日の12時に、」라는 문자열에 대해, 우측에서부터 포커스 혹은 커서를 이동시키는 경우, 「時」→「2」→「1」→「の」와 같은 순으로 이동이 행해진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12」에 대해, 포커스가 맞춰지는 문자는 「1」혹은 「2」가 되어, 입력 문자와의 불일치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한테는 위화감이 발생했다. 이것은, 포커스나 커서의 이동뿐만 아니라, 1문자를 삭제하는 경우나 재기록하는 경우에도 동일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device, for example, when the focus or the cursor is moved from the right side to the inputted character string "at 12 o'clock tomorrow", "time" → "2" → "1" → " &Quot;, " That is, for the character " 12 " input by the user, the character to which the focus is set is "1" or "2", and inconsistency with the input character occurs. For this reason, the user has a sense of incongruity. This is true not only for the movement of the focus or the cursor, but also for the case of deleting one character or rewriting.

이와 같이, 종래에서는 인식된 문자를 편집시나 표시시에 어떻게 취급하는 지에 대한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no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how to handle a recognized character in editing or display.

본 발명은, 복수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에도, 입력시와 표시 또는 편집시에서,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 character input program that can be operated without causing a sense of incongruity at the time of inputting and displaying or editing even when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is input .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소정의 영역에 필적을 입력하는 필적 입력부와, 동일한 영역에 입력된 필적으로부터,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와,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상기 표시부에 의한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writing input part for inputting handwriting to a predetermined area; a character recognition part for recognizing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from a handwriting input in the same area; A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a character string and a control section for performing control at the time of display or editing by the display section of the character string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tring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s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므로, 복수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에도, 입력시와 표시시 또는 편집시에서 문자수가 일치해,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control is performed when a character string is displayed or edi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recognized character string, even when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is input,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out causing an uncomfortable feeling.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은, 소정의 영역에 필적을 입력하는 단계와, 동일한 영역에 입력된 필적으로부터,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문자열을 표시부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갖는다.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putting a handwriting to a predetermined area, recognizing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from a handwriting input in the same area, displaying the recognized character string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r editing of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recognized character string.

이 방법에 의하면,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므로, 복수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에도, 입력시와 표시시 또는 편집시에서 문자수가 일치해,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method, since control is performed when a character string is displayed or edi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recognized character string, even when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is input,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out causing an uncomfortable feeling.

본 발명의 문자 입력 프로그램은,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The character input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each step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이 프로그램에 의하면,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므로, 복수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에도, 입력시와 표시시 또는 편집시에서 문자수가 일치해,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program, the control of displaying or editing a character str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recognized character string. Therefore, even when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is input,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out causing an uncomfortable feeling.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라도, 입력시와 표시시 또는 편집시에서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is input,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out incongruity at the time of inputting, displaying or edit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장치의 외관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서 및 포커스의 이동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의 메모리에 기억된 입력 문자열 및 플래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서 및 포커스의 이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식 후보의 표시 및 재작성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의 (A)~(C)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열 번호별로 인식되는 입력 문자와 후보 문자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적 입력부의 위치에 표시되는 후보 문자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식 후보의 표시와 커서 및 포커스의 이동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자 인식 후, 인식된 문자의 필적을 문자 인식부에 재입력하여 수정되는 인식 문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서 및 포커스의 이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earance of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oving sequence of a cursor and a focu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put string and a flag stored in a memory of the control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vement of a cursor and a focu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and rewriting sequence of recognition candidat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character and a candidate character recognized by the arrangement numb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andidate character group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display of the recognition candidates and the sequence of movement of the cursor and the focu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gnition characters corrected by re-inputting the handwriting of the recognized character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after recognition of the charact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vement of a cursor and focu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장치,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문자 입력 장치는 필기 입력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에 적용된다.A character input device,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 character input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handwriting input function.

(제1의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문자 입력 장치(1)는, 필적 입력부(11), 문자 인식부(12), 제어부(13), 문자 표시부(14) 및 사용자 조작부(15)를 갖고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includes a handwriting input unit 11,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 control unit 13, a character display unit 14, and a user operation unit 15.

필적 입력부(11)는, 문자 표시부(14)의 화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문자 기입 영역(11a)(후술하는 도 2 참조)에 기입된 사용자의 필적을 입력한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접촉식인 것이어도 되고, 가압식인 것이어도 된다.The handwriting inputting section 11 is constituted by a touch panel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and inputs a handwriting of the user written in the character entry area 11a (see FIG. 2 described later) by using a stylus pen or the like . Further, the touch panel may be of a contact type or of a press type.

문자 인식부(12)는, 필적 입력부(11)에 의해 입력된 필적으로부터 문자를 인식한다. 문자 인식부(12)에는, 필적 입력부(11)에 의해 입력된 "00"~"99" 등의 필적이나 후보 문자군을 기억하는 메모리(12a), 및 필적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예를 들면, Unicode)가 등록된 데이터 베이스(12b)가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 베이스(12b)는, 복수 자리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예를 들면 「12」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를 특수 코드로서 유지하고 있다. 문자 인식부(12)는, 문자 기입 영역(11a)(소정의 영역)에 기입된 1문자의 문자를 인식하는 것 외에, 복수 자리의 숫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문자열도 인식하고, 이 복수 자리의 숫자(문자열)에 대응하는 특수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12b)로부터 취득하여 메모리(12a)에 기억한다.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recognizes the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handwriting input unit 11.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is provided with a memory 12a for storing handwritten or candidate character groups such as "00" to "99" input by the handwriting input unit 11 and character cod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Unicode) are registered in the database 12b. The database 12b holds a character code (for example, a character code corresponding to "12")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haracters as a special code.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recognizes not only a character of one character written in the character entry area 11a (predetermined area) but also a character string of a plurality of digits and the like, Character string) from the database 12b and stores the special code in the memory 12a.

또한, 문자 인식부(12)는, 인식된 문자의 문자 코드를 제어부(13)에 통지한다. 또, 인식된 문자가 복수 자리의 숫자인 경우,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특수 코드로부터 개개의 숫자의 문자 코드를 취득하여, 제어부(13)에 통지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문자열로서 복수 자리의 숫자를 들고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알파벳이나 히라가나로 문자열이 구성되어도 된다.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lso notifies the control unit 13 of the character code of the recognized character. If the recognized character is a number of a plurality of digits, the character code of each number is acquired from the special code corresponding to the digits of the plurality of digits, and the control unit 13 is notified. In this example, although a plurality of digits are held as a string, a string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alphabets or hiragana, as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3)는, 문자 인식부(12)에서 인식되어 메모리(12a)에 기억된 문자 코드를 수취한다. 그리고, 제어부(13)는, 이 문자 코드를 기초로, 사용자 조작부(15)의 이벤트에 따라 커서 위치나 포커스 위치를 제어하고, 인식 후보의 표시나 재작성 등을 행한다. 즉, 제어부(13)는, 문자 인식부(12)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문자열의 문자 표시부(14)에 의한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한다.The control unit 13 receives the character code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nd stored in the memory 12a. Based on the character code,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cursor position and the focus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event of the user operation unit 15, and displays or rewrites the recognition candidate. That is,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of the character string at the time of display or edit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tring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또, 제어부(13)에는, 메모리(13a), 후술하는 포커스나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포커스/커서 위치 제어부(13b), 및 문자 인식부(12)를 제어하는 문자 인식 제어부(13c)가 설치되어 있다.The control section 13 is provided with a memory 13a, a focus / cursor position control section 13b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focus and a cursor to be described later, and a character recognition control section 13c for controlling the character recognition section 12 .

문자 기입 영역(11a)에 복수 자리의 숫자가 기입된 경우, 제어부(13)는, 메모리(13a)에 "1", "2" 등 개개의 숫자의 필적을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13)는, 문자 인식부(12)에서 인식된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개개의 숫자의 문자 코드를 문자 인식부(12)로부터 수취하여, 메모리(13a)에 기억한다.When a plurality of numbers are written in the character entry area 11a, the control unit 13 stores the handwriting of individual numbers such as "1" and "2" in the memory 13a. The control unit 13 also receives the character codes of the respectiv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igit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from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nd stores them in the memory 13a.

문자 표시부(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장치이며, 제어부(13)의 지시에 따라 화면에 문자 등을 표시한다. 문자 표시부(14)는, 예를 들면, 문자 인식부(12)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을 표시한다.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s characters and the like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control section 13. [ 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displays a character string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for example.

사용자 조작부(15)는 각종 키로 이루어지고, 키 조작에 의한 커서 이동 등의 이벤트를 입력하고, 이벤트의 입력이 있었던 것을 제어부(13)에 통지한다.The user operation unit 15 is made up of various keys, and inputs an event such as a cursor movement by key operation,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13 that an event has been input.

또한, 제어부(13) 및 문자 인식부(12)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 회로로 실현되어도 되고, CPU에 의한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 제어부(13)에는, USB 등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Th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13 and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may be realized by a dedicated hardware circuit or by software control by a CPU. An input / output interface (not shown) such as a USB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 to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an external device.

도 2는 문자 입력 장치(1)의 외관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s shown in Fig.

문자 입력 장치(1)의 예를 들면 하우징 전면에는, 문자 표시부(14), 필적 입력부(11), 및 사용자 조작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문자 표시부(14)에는, 입력된 문자열이 표시된다. 필적 입력부(11)에는,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해 필기 입력 가능한 문자 기입 영역(1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문자 기입 영역(11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자리의 숫자 등을 기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필기로 「12」가 기입되어 있다.A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a handwriting input section 11, and a user operating section 15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for example. In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the inputted character string is displayed. The handwriting input section 11 is provided with a character entry area 11a capable of handwriting input by a stylus pen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write a plurality of digits or the like in the character entry area 11a as described above. Here, " 12 " is written by handwriting.

사용자 조작부(15)는, 삭제 키(15a), 변환 키(15b), 정정 키(15c), 좌측 키(15d), 우측 키(15e), 및 확정 키(15f) 등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 조작부(15)는, 이들 각종 키가 표시된 부분의 화면을 전환함으로써, 전각/반각 키 등 그 외의 키도 가져도 된다.The user operation unit 15 has a deletion key 15a, a conversion key 15b, a correction key 15c, a left key 15d, a right key 15e and a confirmation key 15f. The user operation unit 15 may also have other keys, such as full-width / half-width keys, by switching the screen of the portion where these various keys are displayed.

다음에, 문자 입력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will be described.

처음에, 문자 입력 장치(1)에 의한 커서 및 포커스의 이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문자 입력 장치(1)의 커서 및 포커스의 이동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동작을 행하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은, 문자 입력 장치(1) 내의 ROM에 저장되고, 문자 입력 장치(1) 내의 CPU에 의해서 실행된다.Initially, the movement of the cursor and focus by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will be described.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dure for moving the cursor and the focus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Fig. The character input program for performing this operation is stored in the ROM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nd is executed by the CPU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

우선, 제어부(13)가 필적 입력부(11)에 의해 필적이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1).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기입 영역(11a)에는, 필기에 의한 복수 자리의 숫자 「12」가 입력된다. 필적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문자 입력 장치(1)는 단계 S5의 처리로 진행된다.First,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or not a handwriting is input by the handwriting input unit 11 (step S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digit number " 12 " of plural digits by handwriting is input into the character entry area 11a. If the handwriting is not input,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proceeds to the process of step S5.

한편, 필적 입력부(11)에 의해 필적의 입력이 있으면, 문자 인식부(12)는, 입력된 필적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한다(단계 S2). 이 때, 문자 인식부(12)는, 필적의 좌표 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12b)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 코드를 취득하고, 메모리(12a)에 기억한다. 또한, 인식된 필적이 복수 자리의 숫자를 나타내는 것인 경우에도 통상과 동일하게, 문자 인식부(12)는,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도 취득한다. 단, 복수 자리의 숫자는 특수한 문자 코드를 이용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handwriting input by the handwriting input unit 11,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recognize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input (step S2). At this time,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cquires the character code registered in the database 12b using the handwriting coordinate pattern,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2a. Also, even when the recognized handwriting indicates a plurality of digits,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lso acquires a character code corresponding to the digits of a plurality of digits. However, a special character code is used for a multiple digit number.

제어부(13)는, 문자 인식부(12)로부터 인식된 문자 코드를 수취하여, 제어부(13) 내의 메모리(13a)에 기억한다(단계 S3). 인식된 문자가 복수 자리의 숫자(문자열)인 경우, 이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개개의 숫자의 문자 코드를 메모리(13a)에 기억한다. 여기에서는, 제어부(13)는, 특수 코드인 점에서 복수 자리라고 판단하고, 1개의 특수 코드로부터 복수의 통상(개개의) 문자 코드로 변환한다. 즉, 메모리(13a)에는, 개개의 숫자의 문자 코드가 기억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메모리(13a)에는 복수의 문자가 입력된 입력 문자열이 기억된다.The control unit 13 receives the character code recognized from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3a in the control unit 13 (step S3). When the recognized character is a plurality of digits (strings), the character codes of the respectiv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digits of the plural digits are stored in the memory 13a.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at there are a plurality of digits in terms of special codes, and converts them into a plurality of normal (individual) character codes from one special code. That is, in the memory 13a, character codes of individual numbers are stored. By repeating this operation, an input character string into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inputted is stored in the memory 13a.

제어부(13)는, 제어부(13) 내의 메모리(13a)에 기억된 입력 문자열에 대해, 플래그를 설정한다(단계 S4). 또한, 제어부(13)는, 특수 코드인 점에서 복수 자리 숫자라고 판단하고, 플래그를 설정한다.The control unit 13 sets a flag for the input character string stored in the memory 13a in the control unit 13 (step S4). Further,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at the special code is a multiple digit number and sets a flag.

도 4는 메모리(13a)에 기억된 입력 문자열 및 플래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메모리(13a)에는, 「明日の12時」라는 입력 문자열과, 각 문자에 대응하는 플래그의 값이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자 「明」, 「日」, 「の」, 「時」의 플래그에는, 값 "0"이 설정되어 있다. 한편, 문자 「1」, 「2」의 플래그에는, 값 "0" 이외의 플래그가 세워져, 여기에서는 값 "2"가 설정되어 있다. 이 수치는, 입력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대응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커스 이동 등을 행할 때의 이동량을 나타낸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put character string and a flag stored in the memory 13a. Here, in the memory 13a, the input string "12 o'clock tomorrow" and the value of the flag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are stored. Specifically, the flag " 0 "is set to the flags of the letters " bright ", " date ", " On the other hand, flags other than the value "0" are set in the flags of the characters "1" and "2", and the value "2" is set here. This numerical value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input character string, and it indicates the amount of movement when the focus is moved or the like a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설명은, 「12」를 한칸(도 2에서의 1개의 문자 기입 영역(11a))에 기재한 경우를 상정하여 플래그의 값이 "2"가 되는 설명을 했는데, 각 칸에 「1」과「2」를 각각 기재했을 때에는, 플래그의 값은 "0"이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value of the flag is "2" assuming that "12" is written in one column (one character write area 11a in FIG. 2) Quot; and " 2 ", respectively, the value of the flag becomes "0 ".

또, 플래그에는, 값 "3" 이상의 값이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한칸에 「123」이라고 3개의 숫자를 기재한 경우에는 플래그의 값은 "3"이 된다.A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value "3" may be set in the flag. For example, when "123" and three numbers are described in one column, the value of the flag is "3".

문자 표시부(14)는, 제어부(13)의 지시에 따라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5).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displays the inputted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control unit 13 (step S5).

그 후, 제어부(13)는, 사용자 조작부(15)의 각종 키 중, 좌측 키(15d)가 압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6). 좌측 키(15d)가 압하되지 않은 경우, 문자 입력 장치(1)는 단계 S1의 처리로 되돌아온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eft key 15d among the various keys of the user operation unit 15 is pressed down (step S6). When the left key 15d is not pressed dow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1.

한편, 좌측 키(15d)가 압하된 경우, 제어부(13)는, 메모리(13a)에 기억된 플래그의 값을 판별한다(단계 S7).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제어부(13)는, 문자 표시부(14)에 표시된 문자열에 대해, 커서를 1개 이동시켜(단계 S8), 1문자분의 포커스를 맞춘다(단계 S9). 그 후, 문자 입력 장치(1)는, 단계 S5의 처리로 되돌아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ft key 15d is pressed down, the control unit 13 discriminates the value of the flag stored in the memory 13a (step S7). If the value of the flag is "0 ", the control unit 13 moves one cursor to the character string displayed on 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step S8), and adjusts focus for one character (step S9). Thereafter,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5.

또, 단계 S7에서 플래그의 값이 "0" 이외, 예를 들면 "2"인 경우, 제어부(13)는, 플래그의 값만큼 커서를 이동시켜(단계 S10), 이동한 부분에 포커스를 맞춘다(단계 S11). 그 후, 문자 입력 장치(1)는 단계 S5의 처리로 되돌아온다.If the value of the flag is other than "0", for example, "2" in step S7, the control unit 13 moves the cursor by the value of the flag (step S10) and focuses on the moved part Step S11). Thereafter,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5.

도 5는 커서 및 포커스의 이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좌측 키(15d)를 압하하기 전, 커서 및 포커스는, 문자열 「明日の12時に、」 중, 문자 「時」의 위치에 있었지만, 좌측 키(15d)를 압하하면, 커서 및 포커스는 복수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는 문자열 「12」의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좌측 키(15d)를 압하하면, 커서 및 포커스는 문자 「の」한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커서는 사각의 틀로 표시되고, 포커스는 이 틀 내의 반전 표시로 표시되어 있다.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vement of a cursor and a focus. Before the left key 15d is depressed, the cursor and the focus were at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 at 12 o'clock tomorrow ", but when the left key 15d is depressed, And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string " 12 " Further, when the left key 15d is pressed down, the cursor and the focus move to one position of the character " ". Here, the cursor is represented by a rectangular frame, and the focus is indicated by an inverted display within the frame.

이와 같이, 기억부로서의 메모리(13a)는, 문자 인식부(12)에 의해 인식된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의 각 문자에 대응시켜 문자수에 의거하는 플래그를 기억해도 된다. 제어부(13)는, 메모리(13a)에 기억된 플래그에 의거하여 이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로 하여, 이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서 및 포커스를 이동시키면 사용자가 문자 기입 영역(11a)에 기입한 복수 자리의 숫자 「12」와 동일하게, 문자수가 동일한 숫자 「12」로 커서가 이동하여 포커스가 맞춰지므로, 사용자한테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13a serving as the storage unit may store flags based on the number of characters in correspondence with each character of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 Th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display of this character string or the editing of the character string as a single character based on the flag stored in the memory 13a. Thus, when the cursor and the focus are moved, the cursor is moved to the number "12" having the same number of characters as the number "12" of the plural digits written by the user in the character entry area 11a, No incongruity occurs.

또, 문자를 삭제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삭제 키(15a)를 압하함으로써, 커서가 위치하는 숫자 「12」를 하나의 문자로 하여 한번에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deleting a character, similarly, the number "12" at which the cursor is located can be deleted as one character at a time by similarly pressing down the delete key 15a.

다음에, 인식 후보의 표시 및 재작성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display and re-creation of recognition candidates will be described.

도 6은 인식 후보의 표시 및 재작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동작을 행하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은, 문자 입력 장치(1) 내의 ROM에 저장되고, 문자 입력 장치(1) 내의 CPU에 의해서 실행된다.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 and re-creation of recognition candidates. The character input program for performing this operation is stored in the ROM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nd is executed by the CPU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

도 3과 같이, 제어부(13)는, 필적 입력부(11)에 의해 필적이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21). 필적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문자 입력 장치(1)는 단계 S25의 처리로 진행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or not a handwriting is input by the handwriting input unit 11 (step S21). If the handwriting is not input,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proceeds to the process of step S25.

한편, 필적 입력부(11)에 의한 필적의 입력이 있으면, 문자 인식부(12)는, 입력된 필적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한다(단계 S22).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 input of handwriting by the handwriting input unit 11,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recognize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handwriting (step S22).

제어부(13)는, 문자 인식부(12)로부터 인식된 문자 코드를 수취하여, 제어부(13) 내의 메모리(13a)에 기억한다(단계 S23). 여기서, 복수 자리의 숫자 등의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의 동작은, 상술한 도 3과 동일하다.The control unit 13 receives the character code recognized from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3a in the control unit 13 (step S23). Here, the operation when a character string such as a plurality of digits is inputted is the same as that in Fig. 3 described above.

제어부(13)는, 제어부(13) 내의 메모리(13a)에 기억된 입력 문자열에 대해, 배열 번호를 설정한다(단계 S24). 여기서, 배열 번호는, 표시 혹은 편집시에, 인식된 문자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배열 번호의 정보는 메모리(13a)(기억부)에 기억된다. 또, 동일한 배열 번호를 갖는 복수의 문자는 하나의 문자로서 취급된다. 즉, 동일한 배열 번호를 갖는 문자의 수는, 입력된 문자열의 문자수와 동일하다.The control unit 13 sets the arrangement number for the input character string stored in the memory 13a in the control unit 13 (step S24). Here, the arrangement number indicates the position where the recognized character is arranged at the time of display or editing. The information of the array number is stored in the memory 13a (storage s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characters having the same arrangement number are treated as one character. That is, the number of characters having the same arrangement number is equal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inputted string.

도 7은 배열 번호별로 인식되는 입력 문자와 후보 문자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배열 번호 (1)에서는, 입력 문자 「明」의 후보 문자 「明」, 「朋」이 유지되고, 배열 번호 (4)에서는, 입력 문자 「1」, 「2」의 후보 문자 「12」, 「72」가 유지된다.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character and a candidate character that are recognized by the arrangement number. For example, in the arrangement number (1), the candidate characters "bright" and "red" of the input character "bright" are held and in the arrangement number (4), the candidate characters " 12 ", " 72 "

문자 표시부(14)는, 제어부(13)의 지시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25). 그 후, 제어부(13)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조작부(15) 등을 통해 후보 표시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기다린다(단계 S26). 이 후보 표시 조작은, 좌측 키(15d)나 우측 키(15e)의 압하에 의해 포커스 위치 a(도 7 참조)를 이동시키고, 변환 키(15b)의 압하에 의해 필적 입력부(11)의 위치에 후보 문자군을 표시시켜, 후보 문자에 포커스를 맞추는 조작이다. 도 8은 필적 입력부(11)의 위치에 표시되는 후보 문자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문자 「12」의 후보 문자로서, 「12」, 「口」, 「ロ」, 「72」, 「に」, 「R」 등의 문자가 표시된다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displays the inputted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section 13 (step S25).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3 waits until the candidate display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operation unit 15 or the like (step S26). This candidate display operation is performed by moving the focus position a (see FIG. 7) by the depression of the left key 15d or the right key 15e and moving th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section 11 The candidate character group is displayed and the focus is set on the candidate character.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roup of candidate characters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section 11. Fig. Here, characters such as "12", "mouth", "b", "72", "to", "R" are displayed as candidat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12"

계속해서, 제어부(13)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커스 위치 a에 있는 문자의 인식 후보(여기에서는, 「12」)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27).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문자 입력 장치(1)는, 단계 S25의 처리로 되돌아온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recognition candidate (here, " 12 ") in the focus position a is selected as shown in Fig. 7B (step S27). If not selected,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25.

한편, 인식 후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3)는, 정정 키(15c)가 압하되어 입력 문자를 재작성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28). 재작성하는 경우, 제어부(13)는, 포커스 위치 a에 있는 문자의 수정으로 이행하고(단계 S29), 단계 S21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도 7(C)에서는, 포커스 위치 a에 있는 문자 「12」가 「14」로 재작성된 경우가 나타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ognition candidat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the correction key 15c is pressed to rewrite the input character (step S28). When rewriting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13 shifts to modification of the character at the focus position a (step S29), and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21. In Fig. 7 (C), the case where the character " 12 " in the focus position a is rewritten to " 14 " is shown.

한편, 단계 S28에서 사용자가 재작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3)는, 확정 키(15f)가 압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30). 문자 입력 장치(1)는, 확정 키(15f)가 압하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5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확정 키(15f)가 압하된 경우, 단계 S21의 처리로 되돌아온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rewrite in step S28,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firmation key 15f is pressed down (step S30). When the determination key 15f is not pressed dow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25.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firmation key 15f is pressed dow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1.

이와 같이, 기억부로서의 메모리(13a)는, 문자 인식부(12)에 의해 인식된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의 각 문자에 대응시켜 동일한 배열 번호의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제어부(13)는, 메모리(13a)에 기억된 동일한 배열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하나의 문자로 하여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인식 후보의 표시(문자열의 후보의 표시의 제어)나 재작성(재작성 처리)을 행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문자 기입 영역(11a)에 기입한 복수 자리의 숫자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어, 사용자한테는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13a serving as the storage unit may store information of the same array number in association with each character of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Th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same arrangement number stored in the memory 13a as one character when displaying or editing the character string. Thus, even in the case of displaying the recognition candidate (control of display of a candidate of a character string) or rewriting (rewri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treat the same as the multiple digit number written in the character entry area 11a There is no incongruity to the user.

제1의 실시형태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에도, 입력시와 표시시 및 편집시에서 문자수가 일치해,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even when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is input, the number of characters in input, display, and edit can be matched without causing an uncomfortable feeling.

(제2의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문자 기입 영역에 복수 자리의 숫자가 입력된 경우, 복수 자리분의 커서 및 포커스 이동이 행해지고, 또한, 복수 자리의 후보 문자가 표시되었다.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실시형태의 동작 외에, 복수 자리의 후보 문자를 표시하는 한편, 커서/포커스 이동에 있어서는 1문자씩 행하는 동작도 가능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digits are entered in the character entry area,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cursor and focus shift are performed, and a plurality of candidate characters are displayed.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isplay a plurality of candidate characters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o perform one character at a time of cursor / focus move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장치(1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문자 입력 장치(1A)는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장치(1)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여기에서는 상이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has almos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 The different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here.

문자 입력 장치(1A)에는, 선택 제어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선택 제어부(23)는,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제어(제1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3)와, 후술하는 제어(제2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3A)를 갖고, 이들의 제어를 전환한다. 이 전환 동작은, 예를 들면 사용자 조작부(15)의 키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행할 수 있다. 또, 선택 제어부(23)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스위치로 구성되어도 되고, 하드웨어 스위치로 구성되어도 된다.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a selection control unit 23 is provided. The selection control unit 23 has a control unit 13 that performs the same control (first control)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control unit 13A that performs control (second control) . This switc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user, for example, by a key operation of the user operation unit 15. [ The selection control section 23 may be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software switch or a hardware switch.

제어부(13A)에는, 제어부(13)와 동일하게 메모리(13Aa), 포커스/커서 위치 제어부(13Ab), 및 문자 인식 제어부(13Ac)가 설치되어 있다.The control section 13A is provided with a memory 13Aa, a focus / cursor position control section 13Ab and a character recognition control section 13Ac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trol section 13. [

제어부(13A)는, 복수 자리의 후보 문자가 확정된 후, 문자 인식부(12)의 메모리(12a)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자리의 필적 및 후보 문자를 삭제하고, 메모리(13Aa)에 기억되어 있는 1문자씩의 필적을 메모리(12a)에 재입력하여 문자를 인식시킨다.The control unit 13A deletes the handwriting and candidate characters of the plurality of digits stored in the memory 12a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fter the candidate characters of a plurality of digits are confirmed, The handwriting of one character is re-entered into the memory 12a to recognize the character.

도 10은 인식 후보의 표시와 커서 및 포커스의 이동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동작을 행하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은 문자 입력 장치(1A) 내의 ROM에 저장되어 문자 입력 장치(1A) 내의 CPU에 의해 실행된다. 도 10에서는, 선택 제어부(23)에 의해서 제2의 제어를 행하도록 선택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of the recognition candidates and the movement sequence of the cursor and the focus. The character input program for performing this operation is stored in the ROM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and is executed by the CPU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In Fig. 10, it is assumed that the selection control section 23 is selected to perform the second control.

우선, 제어부(13A)는, 필적 입력부(11)에 의해 필적이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31). 필적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문자 입력 장치(1A)는 단계 S35의 처리로 진행된다.First, the control section 13A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handwriting input section 11 has input a handwriting (step S31). If the handwriting is not input,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proceeds to the process of step S35.

한편, 필적 입력부(11)에 의한 필적의 입력이 있으면, 문자 인식부(12)는, 입력된 필적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한다(단계 S32). 이 때, 입력 문자가 복수 자리의 숫자인 경우에는, 복수 자리의 필적 및 후보 문자가 메모리(12a)에 기억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 input of handwriting by the handwriting input unit 11,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recognize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handwriting (step S32). At this time, when the input character is a plurality of digits, the handwriting and candidate characters of the plurality of digits are stored in the memory 12a.

제어부(13A)는, 문자 인식부(12)로부터 인식된 문자 코드를 수취하여, 제어부(13A) 내의 메모리(13Aa)에 기억한다(단계 S33). 이 때, 인식된 문자가 복수 자리의 숫자인 경우, 문자 인식부(12)로부터 수취한 문자 코드는,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복수 자리의 숫자에 대응하는 개개의 문자 코드이다. 제어부(13A)는, 이 문자 코드를 메모리(13Aa)에 기억한다.The control section 13A receives the character code recognized from the character recognition section 12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3Aa in the control section 13A (step S33). At this time, when the recognized character is a number of a plurality of digits, the character code received from the character recognizing section 12 is an individual character cod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gi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ol section 13A stores this character code in the memory 13Aa.

제어부(13A)는, 복수 자리의 숫자 등의 문자열인 경우, 인식된 문자를 수정하는 동작을 행한다(단계 S34). 여기에서는, 제어부(13A)는, 문자 인식부(12)의 메모리(12a)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자리의 필적 및 후보 문자를 삭제하고, 메모리(13Aa)에 기억되어 있는 1문자씩의 필적을 메모리(12a)에 재입력하여, 문자를 인식시킨다. 이에 의해, 복수 자리의 필적에 대응하는 후보 문자에 의거해, 메모리(12a)에는 1문자씩의 필적 및 후보 문자가 기억된다.In the case of a character string of a plurality of digits or the like, the control section 13A performs an operation of correcting the recognized character (step S34). Here, the control unit 13A deletes the handwriting and candidate characters of the plurality of digits stored in the memory 12a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nd stores the handwriting of one character, which is stored in the memory 13Aa, (12a) to recognize a character. Thereby, the handwriting and the candidate character of one character are stored in the memory 12a based on the candidat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of the plural digits.

도 11은 문자 인식 후, 인식된 문자의 필적을 문자 인식부(12)에 재입력하여 수정되는 인식 문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 자리의 후보 문자로서 「12」가 인식되고, 「12」그 외의 후보 문자로서 「72」가 인식되고, 이들이 메모리(12a)에 기억된 후, 제어부(13A)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즉, 제어부(13A)는, 문자 인식부(12)의 메모리(12a)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자리의 문자의 필적을 삭제하고, 대신에, 메모리(13Aa)에 기억되어 있는 후보 문자 「1」, 「2」, 및, 문자 「7」, 「2」의 필적을 문자 인식부(12)에 재입력한다. 이에 의해, 복수 자리의 후보 문자가 표시된 후, 문자 인식부(12)의 메모리(12a)에는, 후보 문자 「1」, 「2」, 그 외의 후보 문자 「7」, 「2」가 기억된다.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gnition characters which are corrected by re-inputting the handwriting of the recognized character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section 12 after recognizing the character. Quot; 12 " is recognized as a candidate character of plural digits, and " 72 " is recognized as " 12 " and other candidate characters. After these are stored in the memory 12a, the control section 13A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In other words, the control section 13A deletes the handwriting of the plural-digit characters stored in the memory 12a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section 12 and instead writes the candidate characters " 1 ", " 2 ", and characters " 7 " and " 2 "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section 12 again. As a result, the candidate characters " 1 ", " 2 ", and other candidate characters " 7 " and " 2 " are stored in the memory 12a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after the plural-

문자 표시부(14)는, 제어부(13A)의 지시에 따라 입력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35).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displays the input charact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section 13A (step S35).

그 후, 제어부(13A)는, 사용자 조작부(15) 중, 좌측 키(15d)가 압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36). 좌측 키(15d)가 압하되지 않은 경우, 문자 입력 장치(1A)는, 단계 S31의 처리로 되돌아온다.Thereafter, the control section 13A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eft key 15d among the user operation section 15 has been pressed down (step S36). When the left key 15d is not pressed dow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31.

한편, 좌측 키(15d)가 압하된 경우, 제어부(13A)는, 문자 표시부(14)에 표시된 문자열에 대해, 커서를 1개 이동시켜(단계 S37), 1문자분의 포커스를 맞춘다(단계 S38). 그 후, 문자 입력 장치(1A)는, 단계 S35의 처리로 되돌아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ft key 15d is pressed down, the control unit 13A moves one cursor to the character string displayed on 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step S37), and focuses one character (step S38 ). Thereafter,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35.

도 12는 커서 및 포커스의 이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좌측 키(15d)를 압하하기 전, 커서 및 포커스는, 문자열 「明日の12時に、」 중, 문자 「時」의 위치에 있었으나, 좌측 키(15d)를 압하하면, 커서 및 포커스는 복수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는 문자열 「2」의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좌측 키(15d)를 압하하면, 커서 및 포커스는 문자 「1」의 위치로 이동한다.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vement of a cursor and focus. Before pressing down the left key 15d, the cursor and the focus were at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 at 12 o'clock tomorrow ", but when the left key 15d is depressed, And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string " 2 " When the left key 15d is pressed down, the cursor and the focus move to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 1 ".

이와 같이,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문자 입력 장치(1A)가, 제1의 제어와 제2의 제어를 전환하는 제어부로서의 선택 제어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제1의 제어에서는, 문자 인식부(12)에 의해 인식된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이 문자열의 표시시 및 편집시의 제어를 행한다. 제2의 제어에서는, 이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에 상기 문자수에 따른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자 입력 장치(1A)에 의하면, 복수 자리의 숫자 등의 문자열을 입력하는 경우,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는 것 외에, 제어를 전환함으로써 후보 문자의 변환만을 복수 자리의 숫자로 행하게 하고, 커서나 포커스, 삭제 등의 제어를 1문자씩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에 맞춘 입력 조작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is provided with the selection control section 23 as a control section for switching between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In the first control, control is performed at the time of display and editing of this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 In the second control,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is not performed at the time of displaying or editing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device 1A, when a character string such as a plurality of digits is input,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by switching the control,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cursor, the focus, and the deletion by one character. Thus, the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prefere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나타낸 기능, 또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이 갖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applied to any function as long as the function shown in the claims or the fun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chieved.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자리의 문자를 입력하는 예로서 두 자리의 숫자를 들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자리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문자열로서, 알파벳에서는 혈액형 「AB」, 히라가나에서는 「あした」, 기호에서는 「+-」, 기호와 숫자의 편성에서는 「30℃」 등 다양하게 들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a two-digit number is used as an example of inputt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character string consisting of a plural number of characters, such as blood type "AB" in alphabet, "ai" in hiragana, "+ -" in symbol, and "30 ° C." in combination of symbol and number.

또, 상기 실시형태는, 정형문을 표시, 편집하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문자 입력 장치는, 입력된 필적으로부터 1개의 문자 「あ」를 인식하고, 이 문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의 후보 「あした」를 표시한다. 그리고, 문자 입력 장치는, 이 문자열의 후보의 문자수에 따라, 커서나 포커스의 이동, 삭제 등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The above embodiment is also effective in displaying and editing a formal sentence.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device recognizes one character " a " from the input handwriting and displays a candidate " a " of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may move or delete the cursor or the focu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candidate of the character string.

이와 같이, 문자 인식부(12)는, 소정의 영역으로서의 문자 기입 영역(11a)에 입력된 필적으로부터 1개의 문자(예를 들면 「あ」)를 인식해도 된다. 표시부로서의 문자 표시부(14)는, 문자 인식부(12)에 의해 인식된 1개의 문자로부터 복수의 문자열로 구성된 문자열의 후보(예를 들면 「あした」)를 표시해도 된다. 제어부(13)는, 문자열의 후보의 문자수에 따라, 문자열의 후보의 문자 표시부(14)에 의한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정형문의 표시나 편집이 간단해진다.In this wa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 may recognize one character (e.g., " a ") from the handwriting input to the character writing area 11a as the predetermined area.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as the display section may display a character string candidate (e.g., "a")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from one character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section 12. The control unit 13 may perform control at the time of display or editing by the candidate character display unit 14 of the character string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tring candidates. This simplifies the display and editing of the formal sentence.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혹은 각종 기억 매체를 통해 문자 입력 장치에 공급하고, 이 문자 입력 장치 내의 컴퓨터가 독출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도 적용 범위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program in which a character input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s of the above embodiment is supplied to a character input device via a network or various storage media and a computer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reads and executes the character input program.

또, 상기 실시형태의 문자 입력 장치는 필기 입력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로서, 단체(單體)의 장치여도 되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 각종 전자기기에 탑재되어도 된다.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above embodiment may b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handwriting input function, or may be mounted o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terminal.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은, 2011년 10월 7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No.2011-223202에 의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서 참조로서 도입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1-223202 filed on October 7, 2011, the content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복수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라도, 입력시와 표시시 또는 편집시에서,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 등에 유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 character input program that can be operated without causing a sense of discomfort at the time of input, display, or editing, even when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is input Do.

1, 1A:문자 입력 장치
11:필적 입력부
12:문자 인식부
12a:메모리
12b:데이터 베이스
13, 13A:제어부
13a, 13Aa:메모리
13b, 13Ab:포커스/커서 위치 제어부
13c, 13Ac:문자 인식 제어부
14:문자 표시부
15:사용자 조작부
15a:삭제 키
15b:변환 키
15c:정정 키
15d:좌측 키
15e:우측 키
15f:확정 키
23:선택 제어부
1, 1A: character input device
11: handwriting input section
12: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a: Memory
12b: Database
13, 13A:
13a, 13Aa: memory
13b, 13Ab: focus / cursor position control section
13c, 13Ac: Character recognition control unit
14:
15:
15a: Delete key
15b: conversion key
15c: correct key
15d: Left key
15e: Right key
15f:
23:

Claims (9)

소정의 영역에 필적을 입력하는 필적 입력부와,
동일한 영역에 입력된 필적으로부터,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와,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상기 표시부에 의한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문자 입력 장치.
A handwriting input unit for inputting handwriting in a predetermined area,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from handwriting input in the same are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acter string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And a control section for performing control at the time of display or editing by the display section of the character string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tring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각 문자에 대응시켜 상기 문자수에 의거하는 플래그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플래그에 의거해 상기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로 하여, 상기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that stores a flag based on the number of characters in association with each character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haracter string to be displayed or edited by using the character string as one character based on the flag stored in the storage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로 하여, 상기 문자열에 있어서의 커서 이동, 포커스 이동, 문자열의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at least one of moving a cursor, moving a focus, and deleting a character string in the character string by using the character string as one charac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각 문자에 대응시켜 동일한 배열 번호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동일한 배열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하나의 문자로 하여, 상기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f the same arrangement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same arrangement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one character when displaying or editing the character str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의 후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로 하여, 상기 문자열의 후보의 표시의 제어, 상기 문자열의 재작성 처리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candidate of a character string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at least one of control of display of candidates of the character string and re-creation of the character string by using the character string as one charact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소정의 영역에 입력된 필적으로부터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하나의 문자로부터 복수의 문자열로 구성된 문자열의 후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열의 후보의 문자수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후보의 상기 표시부에 의한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recognizes one character from a handwriting input in the predetermined area,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candidates of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from one character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control at the time of display or editing by the display unit of the candidate of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tring candida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표시시 및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는 제1의 제어와, 상기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에 상기 문자수에 따른 제어를 행하지 않는 제2의 제어를 전환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first control for performing control at the time of display and editing of the character string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tring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And switches the second control not to perform the control.
소정의 영역에 필적을 입력하는 단계와,
동일한 영역에 입력된 필적으로부터,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문자열을 표시부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인식된 문자열의 문자수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표시시 또는 편집시의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갖는, 문자 입력 방법.
Inputting a handwriting to a predetermined area;
Recognizing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from a handwriting input in the same area;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recognized character string by a display unit;
And performing control at the time of displaying or editing the character string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recognized character string.
청구항 8에 기재된 문자 입력 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문자 입력 프로그램.
A character input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each step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claim 8.
KR1020137028730A 2011-10-07 2012-10-03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KR2014007050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3202 2011-10-07
JP2011223202A JP2013084101A (en) 2011-10-07 2011-10-07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PCT/JP2012/006349 WO2013051257A1 (en) 2011-10-07 2012-10-03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501A true KR20140070501A (en) 2014-06-10

Family

ID=4804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730A KR20140070501A (en) 2011-10-07 2012-10-03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3084101A (en)
KR (1) KR20140070501A (en)
CN (1) CN103503001A (en)
TW (1) TW201324381A (en)
WO (1) WO201305125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6974B (en) * 2013-12-10 2016-08-17 南京富士通南大软件技术有限公司 A kind of hand-written inputting method that can input word at multiple hand-written frames
CN105389112B (en) * 2015-10-28 2018-08-24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The display methods and user terminal of handwriting on a kind of user terminal
JP6544319B2 (en) * 2016-08-25 2019-07-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control method, and character input control program
KR102603900B1 (en) * 2018-12-07 2023-11-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Input display control device, input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put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629A (en) * 1994-01-13 1995-08-11 Hitachi Ltd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JP3780023B2 (en) * 1996-01-12 2006-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5352653A (en) * 2004-06-09 2005-12-22 Omron Corp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1257A1 (en) 2013-04-11
TW201324381A (en) 2013-06-16
CN103503001A (en) 2014-01-08
JP2013084101A (en)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5519B2 (en)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sequence into an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id method
US7768503B2 (en) Capacitive touchpad integrated with a graphical input function
KR100931466B1 (en) Electronic dictionary device and dictionary search method of electronic dictionary device
JP2010061656A (en) On-screen virtual keyboard system
KR1008103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input
CN101221478A (en) Indication and operation through virtual tabletop and virtual keyboard of mobile phone touch panel
KR20140070501A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CN102866826A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CN110806807A (en) Computer keyboard providing symbol key layout at reference key position
KR101204151B1 (en) Letter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JP2004145848A (en) Key input system and method
KR100790550B1 (en) Letter input device for touch pannel
CN102736822B (en) Improve the system and method for hand-held device touch control keyboard discrimination power
JP2010262535A (en) Computer with handwriting input function, and program
CN101388976A (en) Method for implementing text input on television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JPH10289055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6230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JPH06223220A (en)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02323948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S60138627A (en) Multi-item input device
JPH10116318A (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JP2005092596A (en) Data input device and data inpu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