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170A - A method and system conversion and sharing of web-based mindmap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system conversion and sharing of web-based mindm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170A
KR20140070170A KR1020120138332A KR20120138332A KR20140070170A KR 20140070170 A KR20140070170 A KR 20140070170A KR 1020120138332 A KR1020120138332 A KR 1020120138332A KR 20120138332 A KR20120138332 A KR 20120138332A KR 20140070170 A KR20140070170 A KR 20140070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d map
web
server
map
m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3261B1 (en
Inventor
허원
장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노테크
Priority to KR102012013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261B1/en
Publication of KR2014007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2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converting and sharing a web-based mind map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converting and sharing a mind map, which are capable of converting and outputting a web-based mind map into a different file format or allow a plurality of clients to share and simultaneously edit a mind map.

Description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and system conversion and sharing of web-based mindmap}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and sharing method,

본 발명은 웹 기반 마인드 맵의 변환 및 공유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을 다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마인드 맵을 공유하여 동시에 편집할 수 있는 마인드 맵의 변환, 공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and sharing a web-based mind m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and sharing a web-based mind map into a different file format,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and sharing a mind map.

마인드 맵이란 생각의 지도란 뜻으로 무순서, 다차원적인 특성을 가진 사람의 생각을 종이 한가운데에 중심 이미지로부터 가지를 쳐서 핵심어, 이미지, 칼러, 기호, 심볼 등으로 방사형으로 펼침으로써 사고력, 창의력 및 기억력을 높이는 두뇌개발기법/두뇌사용기법이다.A mind map is a map of thoughts. It is a map of people with random and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It spreads the idea from a central image in the center of the paper and radiates it with keywords, images, colors, symbols and symbols. Brain development techniques that increase brain / brain use techniques.

도 1은 마인드 맵의 이점을 마인드 맵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마인드 맵을 활용하면 생각을 정리하고, 학습효과를 배가하며 및 업무의 다양한 분야까지 쉽게 도식화할 수 있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rit of a mind map in mind map. By using mind maps, you can organize your thoughts, multiply learning effects, and easily visualize various areas of your work.

이러한 마인드 맵을 손으로 그리는 것도 좋지만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확장, 변경 등의 관리가 쉽다. It is good to draw these mind maps manually, but it is easy to manage expansion, change, etc. using software.

마인드 맵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일반 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자신의 프로그램으로 설치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인드맵퍼(Mindmapper) 등의 상용 프로그램과 프리마인드(Freemind) 등의 오픈 소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된다. There are two types of software that support mind maps. When installing and using the program as a general computer application, you can use commercial programs such as Mindmapper and open source programs such as Freemind.

다른 방법으로는 웹에서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활용할 수 있는 웹 기반 마인드 맵 서비스로 코매핑(Commapping) 등이 존재한다.Another method is web-based mind map service that can be utilized by using the browser on the web, and there is commapping.

그러나, 대부분의 웹 기반 마인드 맵 프로그램이 Active-X 또는 플래시 설치를 요구한다. 또한 자바의 설치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자바를 별도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However, most web-based mind map programs require Active-X or Flash installation. If you want to install Java, you need to install Java separately.

따라서 마인드 맵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운영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개 이상의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 장치에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install the operating program in order to use the mind map application. Even if you use more than one computer or mobile terminal, you must install the program on each device.

모바일 장치는 기능의 제한 때문에 특정 단말기마다 지원하는 해당 서비스의 앱을 따로 설치해야 한다. 더군다나 외부에서 프리젠테이션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USB 메모리만 가져가서 자신의 마인드맵을 보여줄 때 프로그램 설치와 하드웨어 호환성 때문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Because of limitation of the 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the application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to be provided for each specific terminal must be separately installed. Furthermore, if you are going to make a presentation from outside, it is more likely to fail because of program installation and hardware compatibility when you take your USB memory and show your mind map.

그러나, 한국등록특허문헌 10-0787404호(공고일자 2007년 12월 21일)과 같이 기존의 웹 기반 마인드 맵 시스템은 마인드 맵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마인드 맵을 구성하고 표시하였으나, 여러 사람이 마인드 맵을 공유하여 협업하거나 마인드 맵 편집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web-based mind map system constructed and displayed the mind map using the mind map configuration information, such as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87404 (published on Dec. 21, 2007), however,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collaborative work or mind map editing at the same time.

또한, 한국공개특허문헌 10-2005-0000632호(공개일자 2005년 1월 6일)과 같이 마인드 맵에서 다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마인드 맵을 웹 기반에서 변환하여 다른 파일 형식, 예를 들어 파워포인트(ppt) 형식으로 변환할 수 없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function of converting the mind map to another file format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00632 (published on January 6, 2005),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mind map into a web- For example, I could not convert to PowerPoint (ppt) format.

한국등록특허문헌 10-0787404호(공고일자 2007년 12월 21일)Korean Patent No. 10-0787404 (Published on Dec. 21, 2007) 한국공개특허문헌 10-2005-0000632호(공개일자 2005년 1월 6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00632 (published on Jan. 6, 2005)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을 자동 생성하고, 특정된 파일 형식으로 마인드 맵을 변환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mind map conversion function through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mind map server and converting a mind map into a specified file format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을 자동 생성하고, 마인드 맵을 작성한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마인드 맵의 파일 형식으로 마인드 맵을 변환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mind map conversion function through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mind map server, and a web based method for converting a mind map into a mind map file format created by an application different from an application in which a mind map is created And to provide a mind map transformation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공유 기능을 자동 생성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서 상기 마인드 맵을 수정하여 임포트할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mind map sharing function through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mind map server when a mind map is created, The mind map sha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을 자동 생성하고, 특정된 파일 형식으로 마인드 맵을 변환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시스템과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공유 기능을 자동 생성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서 상기 마인드 맵을 수정하여 임포트할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mind map conversion function through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mind map server and converting the mind map to a specified file form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based mind map sharing system in which a shared function of a mind map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rough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server and each of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can modify and import the mind map.

본 발명의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은 상기와 같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이 자동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변환 기능을 통해 특정된 파일 형식으로 상기 마인드 맵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necting to a mind map server with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purpose as described above,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in the server, Generating a mind map conversion function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and converting the mind map into a file format specified through the generated conversion function .

여기서 상기 특정된 파일 형식은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마인드 맵의 파일 형식이거나, 웹 문서, SVG, 이미지, 텍스트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pecified file format may be a file format of a mind map created by an application different from the web application, or a file format of a web document, an SVG, an image, or a text fil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은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마인드 맵 또는 다른 인터넷 주소에 등재된 마인드 맵을 임포트하여 편집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재 정보를 임포트하여 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mporting and editing a mind map registered in a mind map or another Internet address created by an application different from the web application, or impor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f a social network service .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이 자동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변환 기능을 통해 마인드 맵의 계층적 위치상태를 파워포인트의 장표 형태의 일반적 노트 서술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necting a mind map server to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in the server; A step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mind map conversion function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and a step of converting the hierarchical position state of the mind map into a general note description system of the form of a power point by means of the generated conversion function .

특히,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은 마인드 맵의 지정된 마디에 대하여 지정된 마디의 내용을 기준으로 첫번째 하위 마디의 내용과 두 번째 수준의 마디 내용의 들여쓰기가 다르게 표시되어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시에 PPT 방식의 단위 장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in the web-based mind map transformatio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entation of the content of the first sub-node and the content of the second-level node are displayed differently on the basis of the content of the specified node for the specified node of the mind map And is converted into a PPT type unit form at the time of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본 발명의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방법은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의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공유 기능이 자동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공유 기능을 통해 상기 마인드 맵에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동시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서 상기 마인드 맵을 수정하여 임포트하는 단계와 상기 임포트된 마인드 맵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동기화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b-based mind map sha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reating a mind map by accessing a mind map server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in the server, and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A step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map sharing function, a step of simultaneous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to the mind map through the generated sharing function, and a step of modifying and importing the mind map in each of the connected client terminals And displaying the imported mind map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특히, 상기 공유 기능은 특정 다수에게 오픈되거나 허가받은 특정 사용자에게만 활성화될 수 있으며, 그룹을 지정하여 그룹에게만 공유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haring function can be activated only for a specific user who is opened or authorized to a specific plurality, and can specify a group and activate the sharing function only for the group.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방법은 마인드 맵의 지정된 마디에 대하여 지정된 마디의 내용을 기준으로 첫번째 하위 마디의 내용과 두 번째 수준의 마디 내용의 들여쓰기가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b-based mind map shar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dentation of contents of a first sub-node and contents of a second level are displayed differently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a specified node with respect to a specified node of the mind map .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재 정보를 임포트하여 편집하거나 웹 브라우저 상의 북마킹 정보를 임포트하여 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eb-based mind map sharing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import and edit the listing informatio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or import and edit the book marking information on the web browser.

본 발명의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시스템은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을 자동 생성으로 생성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요구하는 특정된 파일 형식으로 상기 마인드 맵을 변환하는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connected to a mind map server and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in the server, and a mind map conversion function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for generating the generated map by automatic generation and converting the mind map into a specified file format requested by the client terminal.

본 발명의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시스템은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의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제1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마인드 맵의 공유 기능을 자동 생성하는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생성된 공유 기능을 통해 상기 마인드 맵에 동시에 접속하며, 각각 상기 마인드 맵을 수정하여 임포트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임포트된 마인드 맵을 동기화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b-based mind map sha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lient terminal connected to a mind map server and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in the server, and a first clien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connected to the mind map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generated sharing function and for importing and correcting the mind map, respectively, And the displayed mind map is synchronized and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본 발명의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은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을 통해 특정된 파일 형식으로 마인드 맵이 변환되기 때문에 이미 작성된 마인드 맵을 다른 형식으로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다. The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use a previously created mind map in a different format because the mind map is converted into a specified file format through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mind map.

또한, 본 발명은 마인드 맵을 작성한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마인드 맵의 파일 형식으로 마인드 맵을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마인드 맵을 작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마인드 맵으로 활용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mind map can be converted into a mind map file format created by an application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mind map is created, one mind map can be created and used as various kinds of mind maps.

본 발명의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방법은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자동 생성된 마인드 맵의 공유 기능으로 많은 사람들이 마인드 맵 편집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web-based mind map sha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ring function of a mind map automatically generated through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mind map server. Many people can simultaneously perform a mind map editing operation or check the reaction of other people in real time .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마인드 맵의 파일 형식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도 공유할 수 다양한 콘텐츠 자원을 하나의 마인드 맵에서 활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various content resources in one mind map to share the file format of the mind map created by another applic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도 1은 마인드 맵의 개념도.
도 2는 마인드 맵 서버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마인드 맵을 작성하기 전의 웹 브라우저 화면.
도 3은 마인드 맵 서버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마인드 맵을 작성한 후의 웹 브라우저 화면.
도 4는 마인드 맵 작성 후에 변환되는 파일 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마인드 맵에서 다른 파일 형식을 가져오는 것을 나타낸 도면.
1 is a conceptual view of a mind map;
2 is a web browser screen before creating a mind map as a web application of the mind map server.
3 is a web browser screen after creating a mind map as a web application of the mind map server.
4 is a diagram showing a file format to be converted after creating a mind map;
5 illustrates importing a different file format from the mind map;

일반적인 웹 기반의 마인드 맵은 Active X 또는 Flash 를 설치해야만 다른 컴퓨터 단말이나 모바일 단말기 또는 다른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이 가능하나,본 발명에 적용되는 웹 기반 마인드 맵은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없이 다른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A general web-based mind map can be used by other computer terminals, mobile terminals or other web browsers only when the active X or Flash is installed. However, the web-based mind ma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quired to install a program, It can be used on mobile.

이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웹 기반 마인드 맵이 웹 기반으로 표준 HTML5 기술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가능하며, 이렇게 HTML5 기술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컴퓨터 단말, 모바일 단말기 또는 웹 브라우저의 종류에 관계없이 특정 프로그램의 설치없이 사용이 가능하다.This is because the web-based mind ma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tandard HTML5 technology applied to the web, and since the HTML5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web-based mind map, This is possible.

HTML5 기술의 최종 초안은 2011년 5월에 W3C의 HTML Working Group에서 발표를 했으며 향후의 마일스톤에 대해서도 발표를 하였다. 2012년 현재에는 크롬, 오페라 등의 브라우져에서 초안에 대한 테스트를 통해 지속적인 후보 표준안을 수정하고 있으며, 2014년에 최종적으로 확정적인 표준안을 내놓는다는 것이 이들의 향후 계획으로 발표되었다.The final draft of HTML5 technology was announced by the W3C's HTML Working Group in May 2011, and also made announcements about future milestones. As of 2012, we are revising the draft proposals by testing the drafts in chrome, opera, and other browsers, and announced plans to finalize definitive standards in 2014.

HTML5 기술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멀티미디어 요소로서 별도의 플러그인(plug-in) 없이 멀티미디어의 재생이 가능하다.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HTML5 technology is that it can play multimedia without a separate plug-in as a multimedia element.

특히,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은 HTML5 기술 중에서도 SVG(Scalable Vector Graphics)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디오 파일이나 오디오 파일 또는 동영상까지도 임베딩(마인드 맵 화면에서 동영상을 보이게 하는 기능)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SVG (Scalable Vector Graphics) technology among HTML5 technologies, it is possible to embed a video file, an audio file, or a moving image (a function of displaying a moving image on a mind map screen).

SVG는 2차원 벡터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XML기반의 파일 형식으로, 1999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주도하에 개발된 오픈 표준의 벡터 그래픽 파일 형식이다. SVG 형식의 이미지와 그 작동은 XML 텍스트 파일들로 정의 되어 검색화·목록화·스크립트화가 가능하며 필요하다면 압축도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SVG는 모바일 장치와도 호환이 잘 되며, 대부분의 주요 웹 브라우저들은 SVG를 지원한다.SVG is an XML-based file format for expressing two-dimensional vector graphics. It is an open standard vector graphics file format developed in 1999 led by 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 SVG format images and their operations are defined as XML text files that can be searched, cataloged, scripted and can be compressed if necessary. For this reason, SVG is compatible with mobile devices, and most major web browsers support SVG.

따라서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은 무선 인터넷 또는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항상 마인드 맵 자료를 접근할 수 있으므로 이동성이 뛰어나고,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ess the mind map data by using the wireless Internet or the wired Internet at all times, so that it is excellent in mobility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installing a program separately.

또한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은 텍스트 뿐만 아니라 웹링크,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편리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강의록 작성, 프리젠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마인드 맵의 용량이 커지는 경우에는 맵을 분리하여 마인드 맵 간에 링크로 연결된 분리 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Further,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text but also web links, images, moving pictures, and the like. Since various multimedia elements can be easily combined and configured,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writing a lecture, presentation, etc. When the capacity of the mind map becomes large, the map is divided into a divided map connected between the mind maps It is also possible to do.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마인드 맵을 작성한 후에 여러 가지 다른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Using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can create the desired mind map and then convert the data into various other formats.

즉, 클라이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은 일반적인 컴퓨터, PC, 노트북, PDA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 웹 브라우저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면 된다.That is, the client connects to the mind map server with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At this time, the client terminal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web browser such as a smart phone, a general computer, a PC, a notebook, and a PDA.

도 2는 마인드 맵 서버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마인드 맵을 작성하기 전의 웹 브라우저 화면으로 기본기능과 고객센터에 접속하거나 도움말을 얻을 수 있는 기능만이 존재한다. FIG. 2 is a web browser screen before a mind map is created as a web application of the mind map server. In the web browser screen, there is only a function of accessing a basic function and a customer center or obtaining help information.

상기 기본 기능에는 새 마인드 맵을 작성하거나, 기존에 만들어진 맵을 불러 들이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마인드 맵을 변환하거나 공유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 The basic functions include the function of creating a new mind map or importing an existing map, and does not include a function of converting or sharing a mind map.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는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인드 맵을 작성하게 된다. A client connected to a mind map server as a client terminal creates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in a server for creating a web 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인드 맵을 작성하게 되면 도 3의 마인드 맵 서버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마인드 맵을 작성한 후의 웹 브라우저 화면에서와 같이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 또는 제어장치를 통해 공유기능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the sharing function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the control device of the mind map server as shown in the web browser screen after the mind map is created as the web application of the mind map server of FIG.

중앙처리장치는 서버의 장치 동작을 제어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장치이며, 제어장치는 주기억 장치에 기억된 명령에 따라 시스템 또는 서버에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장치로 인식된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of the server and executes the command. The control device is recognized as a device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the system or server according to an instruction stored in the main storage device or the same device unless specified otherwise .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단말에서 입력장치를 통해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생성된 변환 기능을 통해 특정된 파일 형식으로 마인드 맵을 변환하게 된다. The client using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mind map into a file format specified by the conversion func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rough the input device at the terminal of the client.

여기서, 특정된 파일 형식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마인드 맵의 파일 형식이거나 웹 문서, SVG, 이미지, 텍스트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 형식이다. Here, the specified file format is a file format of a mind map created by an application different from the web application as shown in FIG. 4, or a file format of a web document, an SVG, an image, or a text file.

또한, 본 발명의 웹 기반의 마인드 맵에서는 마인드 맵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마인드 맵 또는 다른 인터넷 주소에 등재된 마인드 맵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재 정보를 임포트하여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Further, in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import and edit the mind map created by the application different from the web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ind map server or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mind map or the social network service registered in another Internet address Do.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은 일반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재 정보의 임포트가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는 페이스북, 트위터 또는 딜리셔스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임포트하기에 적합하다.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orting the listing information of a general social network service, but is preferably suitable for importing a 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Facebook, Twitter or Delicious.

본 발명의 마인드 맵에서의 변환 기능은 마인드 맵의 마디 구조가 탭으로 들여쓰기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들여쓰기 형태로 되어 있는 일반 텍스트 구조 형식으로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유사한 방식을 파워포인트, HTML 문서의 변환도 가능하다. The conversion function in the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a general text structure format in which the mind map has an indentation form in the tab structure and is indented in this way. Conversion of HTML documents is also possible.

특히, 본 발명의 마인드 맵은 지정된 마디에 대하여 지정된 마디의 내용을 기준으로 첫번째 하위 마디의 내용을 한번 들여쓰기로 표시하고, 두번째 수준의 하위 마디의 내용을 두 단계 더 들여쓰기로 표시하여 일반적인 PPT 방식의 단위 장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first sub-word once indented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the designated bar for the specified node, displays the content of the second sub- And can be displayed by switching to the unit form of the method.

또한 이러한 마디에 따라 들여쓰기가 다르게 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통상의 창작능력을 발휘하여 세 번쩨 수준의 하위 마디에서는 세 단계 더 들여쓰기할 수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들여쓰는 단계를 다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indentation according to these nodes may be indented by three levels in the subordinate level of the third level, i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belongs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So, you might have to do different indentation steps.

예를 들어 첫 번째 하위 마디에서는 한번 들여쓰고, 두번째 마디에서는 두 단계가 아닌 1.5 단계 등으로 얼마든지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first subdivision, it is indented once, and in the second section, it can be modified or modified as many as 1.5 steps, not two.

또한, 이렇게 마디에 따라 마인드 맵이 일반적인 PPT 방식의 단위 장표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마인드 맵을 파일단위가 아닌 웹 기반으로 프리젠테이션되게 변환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mind map can be converted to a general PPT type unit form according to the node,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mind map into a web based presentation rather than a file unit.

즉, 마인드 맵의 마디의 계층적 위치상태를 파워포인트의 장표 형태의 일반적 노트 서술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PPT 파일은 웹에서 그대로 확대, 축소, 회전 또는 이동하며 디스플레이하거나, 박스 형태의 표면에 회전을 하며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크린이 앞으로부터 뒤로 또는 뒤에서 앞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되거나 하나씩 옆으로 밀리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hierarchical position state of the mind map segment into a general note description format of the power point's form, and the converted PPT file can be enlarged, reduced, rotated, The display can be rotated and displayed on the surface, or the screen can be displayed moving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front or pushed side by side.

특히, 마인드 맵을 이미지 형태로 출력하거나, SVG 형태로 출력하여 일러스트레이터 등에서 변경 작업을 하는 것도 가능하며 웹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다른 웹 사이트에서 마인트맵을 임베딩하여 표현하기 쉽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mind map in the form of an image, or output it in the form of SVG so that it can be changed in the illustrator or the like. Since it is operated on the web basis, it is easy to embed the map in another website.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의 공유 기능을 이용하면 다른 장소에 있는 클라이언트와 여러 종류의 브라우저를 통해 하나의 마인드 맵 문서를 수정하거나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modify or edit one mind map document through a client located in another place and various kinds of browsers by using the web based mind map shar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에서 공유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는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의 마인드 맵을 작성한다. In order to use the sharing function in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accesses the mind map server and creates one mind map through the web application provided in the server.

마인드 맵을 작성하게 되면 도 3의 마인드 맵 서버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마인드 맵을 작성한 후의 웹 브라우저 화면에서와 같이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 또는 제어장치를 통해 공유기능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the sharing function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the control device of the mind map server as shown in the web browser screen after the mind map is created as the web application of the mind map server of FIG.

중앙처리장치는 서버의 장치 동작을 제어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장치이며, 제어장치는 주기억 장치에 기억된 명령에 따라 시스템 또는 서버에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장치로 인식된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of the server and executes the command. The control device is recognized as a device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the system or server according to an instruction stored in the main storage device or the same device unless specified otherwise .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을 사용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단말에서 입력장치를 통해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생성된 공유 기능을 통해 하나의 마인드 맵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서는 마인드 맵을 수정하여 임포트할 수 있게 된다. A plurality of clients using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ess the one mind map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haring func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rough the input device at the own terminal, The mind map can be modified and imported.

특히, 본 발명의 마인드 맵은 지정된 마디에 대하여 지정된 마디의 내용을 기준으로 첫번째 하위 마디의 내용을 한번 들여쓰기로 표시하고, 두번째 수준의 하위 마디의 내용을 두 단계 더 들여쓰기로 표시하여 일반적인 PPT 방식의 단위 장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first sub-word once indented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the designated bar for the specified node, displays the content of the second sub- And can be displayed by switching to the unit form of the method.

또한 이러한 마디에 따라 들여쓰기가 다르게 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통상의 창작능력을 발휘하여 세 번쩨 수준의 하위 마디에서는 세 단계 더 들여쓰기할 수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들여쓰는 단계를 다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indentation according to these nodes may be indented by three levels in the subordinate level of the third level, i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belongs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So, you might have to do different indentation steps.

예를 들어 첫 번째 하위 마디에서는 한번 들여쓰고, 두번째 마디에서는 두 단계가 아닌 1.5 단계 등으로 얼마든지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first subdivision, it is indented once, and in the second section, it can be modified or modified as many as 1.5 steps, not two.

또한, 이렇게 마디에 따라 마인드 맵이 일반적인 PPT 방식의 단위 장표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마인드 맵을 파일단위가 아닌 웹 기반으로 프리젠테이션되게 변환하여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mind map can be displayed by switching to the general PPT type unit form according to the nodes,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mind map into a presentation based on a web rather than a file, and share the same.

즉, 마인드 맵의 마디의 계층적 위치상태를 파워포인트의 장표 형태의 일반적 노트 서술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PPT 파일은 웹에서 그대로 확대, 축소, 회전 또는 이동하며 디스플레이하거나, 박스 형태의 표면에 회전을 하며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크린이 앞으로부터 뒤로 또는 뒤에서 앞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되거나 하나씩 옆으로 밀리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hierarchical position state of the mind map segment into a general note description format of the power point's form, and the converted PPT file can be enlarged, reduced, rotated, The display can be rotated and displayed on the surface, or the screen can be displayed moving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front or pushed side by side.

또한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마인드 맵을 수정하여 임포트하기 때문에 특정 시점의 마인드 맵을 다시 보거나 편집하고자 할 경우가 발생한다. Also, since a plurality of clients modify and import the mind map, there is a case where the mind map at a specific point of time is to be viewed or edited again.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을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타임라인을 이용하여 맵을 사용하다가 타임라인 기능을 이용하면 그 시점의 맵이 저장되며, 저장된 맵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p is used by using the timeline of the web application providing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p at that time is stored and the stored map can be confirmed by using the timeline function.

복수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임포트된 마인드 맵은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동기화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므로 실시간적으로 하나의 마인드 맵을 수정하거나 편집하는 공동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The mind map imported by the plurality of clients is synchroniz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so that it is possible to collaborate to edit or edit one mind map in real time.

또한 마인드 맵을 작성한 클라이언트는 작성된 맵의 공동 작업을 위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거나 지정된 특정 사용자에게만 공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ient who created the mind map can open the map to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for collaborative work of the created map, or can disclose it only to a designated user.

이러한 기능은 본 발명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룹관리 기능 또는 공유설정 기능을 통해 작성된 마인드 맵에 모든 사람이 접근가능하게 하여 편집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던지, 또는 비밀번호, 그룹과 같은 것을 선택하여 허가받은 특정 사용자에게만 마인드 맵의 편집기능과 수정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Such a function may be provided in the web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granting the right to edit or modify the mind map created through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or the sharing setting function so that all persons can access it, Only the specific user can be enabled to edit and modify the mind map.

특히, 본 발명의 웹 기반의 마인드 맵은 웹 브라우저 상의 북마킹 정보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재 정보를 임포트하여 편집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ort and edit bookmarking information on a web browser or listing information of a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은 페이스북, 트위터 또는 딜리셔스의 내용을 가져올 수 있어 일반적인 검색 결과보다 전문적이고 더 나은 인터넷 자료의 확보가 가능하다.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etch the contents of Facebook, Twitter or Delicious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professional and better Internet data than general search results.

게다가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에서는 각 마디에 구글의 검색기능을 삽입하여 각 마디에 콘텐츠를 입력하면 그와 관련되어 검색된 콘텐츠가 보여지며,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마인드 맵에 적합한 콘텐츠를 링크하거나 직접 임포트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arch function of Google is inserted into each node and contents are input to each node, the retrieved contents are displayed, and the client links the content suitable for the mind map of the user, So that it can be used.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은 메신저나 화상 통신 모듈을 사용하면서도 공유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메신저 또는 화상 통신 모듈을 통해 동일한 마인드 맵에 접속이 가능하다.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ess the same mind map through a messenger or a video communication module because a shared function can be used while using a messenger or a video communication module.

이는 맵의 정보가 웹 주소이므로 브라우저의 웹 주소를 공유하도록 설정하면 메신저 또는 화상 통신 모듈을 통해 공유가 가능한 것이다. This is because the information of the map is a web address, so if the web address of the browser is set to be shared, it can be shared through a messenger or a video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웹 기반 마인드 맵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여야 한다. In order to create the web-based mi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must be connected to the mind map server.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마인드 맵을 작성하면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는 자동으로 마인드 맵의 변환기능과 공유기능을 생성하게 된다.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at the cli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mind map serv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mind map server automatically generates the mind mapping conversion function and the sharing function.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는 변환 기능을 클릭하여 원하는 특정된 파일 형식을 지정하게 되며,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는 지정된 파일 형식으로 마인드 맵을 변환한다. Clients that want to use the mindmap conversion function click the conversion function to specify the desired specific file forma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mindmap server converts the mind map to the specified file format.

마인드 맵의 공유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생성된 공유 기능을 통해 제1의 클라이언트 또는 마인드 맵을 작성한 클라이언트의 마인드 맵에 동시에 접속하며, 마인드 맵을 수정하거나 편집하여 임포트한다.A client terminal that wishes to use the mind map sharing function simultaneously accesses a mind map of a client that created the first client or the mind map through the created sharing function, and modifies, edits, and imports the mind map.

이때 마인드 맵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는 임포트된 마인드 맵을 동기화하여 가장 나중에 임포트된(최신 버전의) 마인드 맵을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마인드 맵에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게 한다. At this tim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mind map server synchronizes the imported mind map and displays the latest imported (latest version) mind map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so as to work jointly in one mind map.

특히,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타임라인 기능을 통해 특정 시점에서 마인드 맵을 저장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가 마인드 맵의 저장기능을 제어함으로서 가장 최신 버전이 아닌 특정 시점에서의 마인드 맵을 가져와서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ntrols the storage of the mind map so that any client can store the mind map at a specific point in time via the timeline fun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trieve and modify the mind map at a specific point other than the latest version Do.

따라서 본 발명의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및 공유 기능을 통해 이미 작성된 마인드 맵을 다른 형식으로 자유로이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마인드 맵에서 공동으로 작업할 수도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lready created mind map can be freely used in other formats through the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and shar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clients can work jointly in one mind map.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thes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이 자동 생성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변환 기능을 통해 특정된 파일 형식으로 상기 마인드 맵을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
Accessing the mind map server with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er;
Automatically creating a mind map conversion function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Converting the mind map into a file format specified through the generated conversion function;
Wherein the web-based mind map transformation method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파일 형식은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마인드 맵의 파일 형식이거나 웹 문서, SVG, 이미지, 텍스트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cified file format is a file format of a mind map created by an application different from the web application, or a file format of a web document, an SVG, an image, or a text file
A web - based mind map transforma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은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마인드 맵 또는 다른 인터넷 주소에 등재된 마인드 맵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재 정보를 임포트하여 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method can import and edit the mind map created by an application different from the web application or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mind map or the social network service registered in another Internet address
A web - based mind map transformation method.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이 자동 생성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변환 기능을 통해 마인드 맵의 계층적 위치상태를 파워포인트의 장표 형태의 일반적 노트 서술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
Accessing the mind map server with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er;
Automatically creating a mind map conversion function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Converting the hierarchical position state of the mind map into a general note description mode of the form of a power point by means of the generated conversion function
A web - based mind map transformation method.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인드 맵의 지정된 마디에 대하여 지정된 마디의 내용을 기준으로 첫번째 하위 마디의 내용과 두 번째 수준의 마디 내용의 들여쓰기가 다르게 표시되어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시에 PPT 방식의 단위 장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indentation of the contents of the first sub-section and the contents of the second sub-section are displayed differently on the basis of the content of the designated section with respect to the designated section of the mind map, so that the PP is converted into the PPT- Featured
A web - based mind map transformation method.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의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마인드 맵의 공유 기능이 자동 생성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공유 기능을 통해 상기 마인드 맵에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동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서 상기 마인드 맵을 수정하여 임포트하는 단계;
상기 임포트된 마인드 맵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동기화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방법.
Accessing a mind map server and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er;
Automatically creating a mind map sharing function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Connecting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to the mind map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generated sharing function;
Modifying and importing the mind map at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ed client terminals;
Displaying the imported mind map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ased mind map sharing metho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기능은 허가받은 특정 사용자에게만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haring function is activated only for a specific authorized us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재 정보 또는 웹 브라우저 상의 북마킹 정보를 임포트하여 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eb-based mind map sharing method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import and edit bookmarking information of a social network service or book marking information on a web browser
Web - based mind map sharing method.
제 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인드 맵의 지정된 마디에 대하여 지정된 마디의 내용을 기준으로 첫번째 하위 마디의 내용과 두 번째 수준의 마디 내용의 들여쓰기가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indentation of the content of the first sub-node and the content of the second level are displayed differently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the specified node with respect to the specified node of the mind map
Web - based mind map sharing method.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마인드 맵의 변환 기능을 자동 생성으로 생성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요구하는 특정된 파일 형식으로 상기 마인드 맵을 변환하는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변환 시스템.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mind map server and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er;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conversion function of a mind map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and converting the mind map into a specified file format requested by the client terminal;
Wherein the web-based mind map conversion system comprises:
마인드 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의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제1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마인드 맵이 작성되면 마인드 맵의 공유 기능을 자동 생성하는 상기 서버의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생성된 공유 기능을 통해 상기 마인드 맵에 동시에 접속하며, 각각 상기 마인드 맵을 수정하여 임포트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임포트된 마인드 맵을 동기화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마인드 맵 공유 시스템.
A first cli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mind map server and creating a mind map through a web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er;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shared function of the mind map when the mind map is created;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simultaneously accessing the mind map through the generated sharing function, and modifying and importing the mind map,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ynchronizes the imported mind map and displays it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Web - based mind map sharing system.
KR1020120138332A 2012-11-30 2012-11-30 A method and system conversion and sharing of web-based mindmap KR1014532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32A KR101453261B1 (en) 2012-11-30 2012-11-30 A method and system conversion and sharing of web-based mind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32A KR101453261B1 (en) 2012-11-30 2012-11-30 A method and system conversion and sharing of web-based mindm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170A true KR20140070170A (en) 2014-06-10
KR101453261B1 KR101453261B1 (en) 2014-10-22

Family

ID=5112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332A KR101453261B1 (en) 2012-11-30 2012-11-30 A method and system conversion and sharing of web-based mindm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2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6069A (en) * 2022-05-30 2022-08-23 易协云(杭州)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project by brain pi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1999B2 (en) * 2002-01-18 2009-07-08 株式会社インターネットディスクロージャー Document creation system and creation management program
KR101038561B1 (en) * 2008-11-26 2011-06-02 정영교 Mindmap system for colabara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6069A (en) * 2022-05-30 2022-08-23 易协云(杭州)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project by brain picture
CN114936069B (en) * 2022-05-30 2024-03-22 易协云(杭州)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carrying out project display by utilizing brain m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261B1 (en)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2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notation and connection of electronic documents
JP2020194567A (en) Methods and systems for web content generation
Han et al. WebSplitter: a unified XML framework for multi-device collaborative Web browsing
TWI598750B (en) Method of collaboration using multiple editors or versions of a featur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related instructions thereon
JP67029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a content
US2007023972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forming data for web communities and web applications
CN106682219A (en) Association document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JP2011008787A (en) Method and device for facilitating directed reading of document portion based on information-sharing relevance
CN10425244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s with live application integration
US8140593B2 (en) Data viewer management
Ardito et al. Creation and use of service-based distributed interactive workspaces
JPWO2007132568A1 (en) Data processing server and data processing method
Ardito et al. Enabling end users to create, annotate and share personal information spaces
KR101453261B1 (en) A method and system conversion and sharing of web-based mindmap
Pastore Website development and web standards in the ubiquitous world: Where are we going
US9514099B1 (en) Documentation system
CN107066437B (en) Method and device for labeling digital works
KR101856626B1 (en) Creative production and play system Web type based DIY
KR100856132B1 (en) System for managing web subjects
Fernando et al. A framework to develop location based services applications using OGC map services
Madjarov et al. Multimodality and context adaptation for mobile learning
Dahl et al. share. loc-A Multi Tiered Interoperable E-Learning Metadata Repository
KR20110134664A (en) Method and server for publishing on demand
Park et al. Mashup Application for Geo-spatial Feature Generation on Web Browser using Google Maps API
Hoff et al. ArCoMo-An Artefact-Based Collaborative Mobile Learning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