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446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xt input i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xt input i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446A
KR20140066446A KR1020120133688A KR20120133688A KR20140066446A KR 20140066446 A KR20140066446 A KR 20140066446A KR 1020120133688 A KR1020120133688 A KR 1020120133688A KR 20120133688 A KR20120133688 A KR 20120133688A KR 20140066446 A KR20140066446 A KR 20140066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acter
walking
terminal use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9410B1 (en
Inventor
허재두
이상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410B1/en
Publication of KR2014006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text input prevent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a terminal user walks or drives a car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a terminal and limits the text inpu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Especi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walks or rides together, a mode to selectively limit the text input is set according to response inputted after a warning message is outputted. Besides, if it is finally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drives the car, a mode to limit the text input is forcedly set regardless of the response inputted after the warning message is outputted.

Description

단말의 문자 입력 방지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xt input in termi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 character input of a terminal,

본 발명은 운전 중이나 보행 중에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 등을 입력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 terminal from inputting a text message or the like during operation or walking.

최근에는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사고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다. 운전 중에 휴대폰 통화 이외에 휴대폰을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에는 전방 주시 소홀로 인하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2009년 미국의 버지니아 공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운전 중 문자 메시지를 하는 트럭 기사가 그렇지 않은 기사에 비해 교통 사고 발생률이 23배나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Recently, the incidence of accidents due to the use of mobile phones is increasing. When a text message is sent by using a mobile phone in addition to a mobile phone call during driving, accidents occur frequently due to a frontal obstacle. According to a study by Virginia Tech in 2009, a truck driver who texts while driving is 23 times more likely to have a car accident than an unskilled driver.

현재 많이 이용하는 스마트폰은 전용 자판이 있는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터치 기능을 이용한 입력 방법으로 인해 문자 메시지 작성 시 자판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여야 하며, 또한 한 손으로 문자 작성이 힘든 구조이다. 이런 스마트폰의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의 특성과 스마트폰의 보급의 증가로 인해, 운전 중 문자 메시지 작성으로 인한 사고 발생률이 스마트폰 보급 이전 보다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Unlike a feature phone with a dedicated keyboard, currently used smart phones require a visuall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keyboard when composing a text message due to the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function. In addition, Structure. Due to the nature of the text messaging method of smartphones and the increase in the spread of smartphones, it is expected that the incidence rate of text messages during driving will increase more than before the smartphone.

또한 전통적인 문자 메시지뿐만 아니라 카카오톡, 메이플 등과 같은 문자 메시지를 대체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대중화되어 있어, 예전보다 문자 메시지 작성하는 빈도수도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Also, since smartphone applications replacing conventional text messages as well as text messages such as kakao talk and maple are popularized, the frequency of writing text messages is increasing.

또한 보행 중에도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인지 능력이 떨어져, 자동차나 자전거 등과 부딪힐 가능성이 많다. 그러므로 운전 중이나 보행 중 모두 문자 메시지의 작성을 제한하여 안전 운전 및 안전 보행이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while walking, the use of text message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increasing, resulting in a decrease in cognitive ability to cope with risk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ncountering automobiles or bicyc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writing of text messages during driving or while walking to enable safe driving and safe walk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중이나 보행 중에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nput of characters using a terminal during driving or walking.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지 방법은 단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제1 설정 속도 이상이고 제2 설정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제2 설정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이거나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문자 제한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후에 설정 시간 동안에 문자 제한 동의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후에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어떠한 신호도 입력되지 않으면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venting text input, the method comprising: calculating a moving speed of a terminal;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ting speed and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cond setting speed;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user is operating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is faster than the second setting speed;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e character limit when the terminal user is judged to be walking or driving; Setting a character limit mode when a signal indicating a character limit agreement is input during a set time after outputting the warning message; And setting the character limit mode if no signal is input even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warning message is outpu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 중이나 보행 중에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이나 보행 중 문자 메시지 입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user from inputting a text message using the terminal during driving or while walk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input of a text message during driving or walk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중 문자 입력 방지 방법에서 단말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추가 판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중 문자 입력 방지 방법에서 문자 제한 알람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중 문자 입력 방지 방법에서 문자 제한 처리 설정 및 해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 movement state of a terminal user in a method of preventing a character input during a wal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ait addition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limit alarm process in the method for preventing a character input during a wal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d terminating a character limit process in the method of preventing a character input during wal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지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xt en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지 장치(1)는, 이동 속도 산출부(11), 보행 판단부(12), 문자 제한 모드 설정부(13), 처리 제어부(14), 알람 표시부(1), 및 문자 입력부(12)를 포함한다. 1, the character input preven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speed calculating unit 11, a walking determining unit 12, a character limiting mode setting unit 13, A display unit 14, an alarm display unit 1, and a character input unit 12.

문자 입력 방지 장치(1)는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에 설치되어,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이나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문자 입력을 방지한다. The character input prevention device 1 is installed in a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in various forms such as a smart phone and prevents a character input when the terminal user is judged to be driving or walking.

이를 위하여, 이동 속도 산출부(11)는 단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 이동 속도 산출부(1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신되는 GPS 신호를 토대로 단말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고, 이동 중인 경우에는 GPS 신호에 따라 확인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 이외에도 외부 시스템(이동 통신 기지국)의 도움으로 기지국 셀 기반의 위치 측위를 통해 단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것은 당업계에 알려진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o this end, the moving speed calculating section 11 calculates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The moving speed calculating unit 11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ing unit. The moving speed calculating unit 11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user is moving based on the received GPS signal. If the terminal user is moving, The moving speed is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through position location based on the base station cell with the help of an external system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ince calculating the moving speed is a technique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이동 속도 산출부(11)는 산출된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제1 설정 속도 이상이고 제2 설정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제2 설정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운전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When the calculated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ting speed and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cond setting speed, the moving speed calculating unit 11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and if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is faster than the second setting spe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operating.

보행 판단부(12)는 이동 속도를 토대로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단말 사용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속도만을 토대로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인지 아니면 보행중인지를 판단할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사용자가 운전을 하고 있었으나 차량이 서행하는 관계로 이동 속도가 설정 속도보다 느린 것으로 판단되어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on the basis of the traveling speed, the walking determining unit 12 additional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An error may occur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user is driving or walking based only on the traveling speed. For example, since the terminal user is driving but the vehicle is moving slowly,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ing speed is slower than the set speed, and thu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이러한 판단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행 판단부(12)는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며, 이를 위하여,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다. 가속도 센서는 물체의 가속도나 진동, 충격 등을 측정하여 물체의 운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경우에는 단말의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디 않고 단말이 기울거나 보행에 따른 충격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단말 사용자가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단말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 등이 적어서 단말 상태가 거의 변하지 않는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judgment error, the gait judging unit 12 additionally judges whether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or not, and uses an acceleration sensor for this purpose. The acceleration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motion state of an object by measuring the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of the object.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the state of the terminal is not maintained constant, and a change occurs such that the terminal tilts or vibration occurs due to an impact due to the walk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user is operating, the terminal state is hardly changed because there is little vibration or shock applied to the terminal.

그러므로 보행 판단부(12)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의 패턴을 설정 시간 동안 측정하고, 신호들의 패턴 변화에 따라 단말 사용자의 보행 여부를 파단한다. 신호들의 패턴 변화가 설정량 이상인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신호들의 패턴 변화가 설정량 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Therefore, the walk determining unit 12 measures a pattern of signals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during a set time, and breaks the walking of the terminal user according to the pattern change of the signals. When the pattern change of the signal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If the pattern change of the signals is smaller than the set amount, the terminal user is determined to be in operation.

문자 제한 모드 설정부(13)는 단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한다. 단말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작성 등을 제한하기 위하여,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문자 제한 모드가 설정되면 단말 사용자의 운전 중 또는 보행 중 또는 차량에 동승한 경우인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단말의 문자 입력이 제한된다. 또는 문자 제한 모드 설정부(13)는 문자 제한 오프(off)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문자 제한 오프 모드가 설정되면, 단말 사용자의 운전 중 또는 보행 중의 여부에 상관없이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The character limit mode setting unit 13 sets the character limit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terminal user. The terminal user can set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to restrict the text message creation and the like. When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is set, the character input of the terminal is restric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terminal user is driving, walking, or traveling with the vehicle. Or the character limit mode setting unit 13 can set the character limit off mode. When the character limit off mode is set, character input is possible regardless of whether the terminal user is driving or walking.

처리 제어부(14)는 이동 속도 산출부(11), 보행 판단부(12), 그리고 문자 제한 모드 설정부(13)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을 토대로 단말로의 문자 입력 처리를 제어한다. 문자 제한 모드 설정부(13)로부터 문자 제한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이동 속도 산출부(11), 보행 판단부(12)로부터의 결과에 상관없이 단말의 문자 입력을 제한한다. The processing control unit 14 controls character input processing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movement speed calculation unit 11, the walking determination unit 12, and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setting unit 13. [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is set is inputted from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setting section 13, character input of the terminal is restricted regardless of the result from the movement speed calculating section 11 and the walking determining section 12. [

이동 속도 산출부(11) 및 보행 판단부(12)로부터 제공되는 결과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중이나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 제한 처리를 수행한다. 문자 제한 처리를 위하여, 처리 제어부(14)는 알람 표시부(15)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 작성을 금지함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경고 메시지는 팝업(pop-up)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처리 제어부(14)는 경고 메시지 출력 후에 알람 표시부(15)를 통하여 사용자가 경고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문자 제한에 동의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문자 입력을 제한한다. 즉,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하여 단말로의 문자 입력을 제한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driving or is walk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provided by the travel speed calculating unit 11 and the walking determining unit 12, character limit processing is performed. For the character limit process, the process control unit 14 outputs a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ext message creation is prohibited through the alarm display unit 15. [ The warning message may be displayed in a pop-up form.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confirms the warning message or agrees with the character limit is input through the alarm display unit 15 after outputting the warning message, the processing control unit 14 restricts the character input. That is, the character limit mode is set to restrict the inputting of characters to the terminal.

또한 처리 제어부(14)는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한 다음에 설정 시간 동안 단말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거나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제1 설정 속도보다 느린 경우에는, 문자 제한 모드를 자동적으로 해지한다. 사용자가 문자 제한 모드 설정부(13)를 통하여 직접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문자 제한 모드 해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설정된 문자 제한 모드를 유지할 수도 있다. Also, the process control unit 14 automatically terminates the character limit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s not detected during the set time after the character limit mode is set, or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terminal is slower than the first set speed. When the user directly sets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through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setting unit 13,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can be maintained as long as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is not canceled by the user.

알람 표시부(15)는 처리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는 오디오 형태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The alarm display unit 15 outputs a warning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 control unit 14. [ Or an audio message in the form of an audio message.

문자 입력부(16)는 단말로 문자를 포함한 데이터를 입력하며, 예를 들어, 단말에 부착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터치 스트린 상에 표시되는 키패드,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The character input unit 16 inputs data including characters to the terminal and includes various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ttached to the terminal, a keypa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buttons .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문자 입력을 제한하는 것은 단말에서 지원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단말 사용을 위하여 전화 번호부 입력이나 메모 등의 일련의 문자 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tricting the input of a character includes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 text message creating application supported by the terminal, and may include inputting a series of characters such as a phone book entry or a memo have.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중 문자 입력 방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preventing a character input during wal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중 문자 입력 방지 방법에서 단말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 movement state of a terminal user in a method of preventing a character input during a wal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문자 입력 방지 장치(1)는 단말 사용자가 운전중인지 아니면 보행중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먼저, 이동 속도 산출부(11)를 통하여 단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nput prevention apparatus 1 first calculates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through the moving speed calculating unit 11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user is driving or is walking.

이를 위하여, 이동 속도 산출부(11)는 도 2에서와 같이, GPS 위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토대로 단말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S100, S110). 2, the moving speed calculating unit 11 receives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 (not shown) and calculates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user based on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S100, S110 ).

처리 제어부(14)는 산출된 이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설정 속도와 비교하며(S120), 산출된 이동 속도가 제1 설정 속도보다 느린 경우에 단말 사용자가 이동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The processing control unit 14 compares the calculated movement speed with the preset first and second preset speeds (S120), and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user is not moving when the calculated movement speed is slower than the first set speed.

한편 산출된 이동 속도가 제1 설정 속도 이상이지만 제2 설정 속도보다 느린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S130, S140). 반면 산출된 이동 속도가 제2 설정 속도보다 느린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S150, S160).If the calculated movement spee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speed but slower than the second set spe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S130, S140). On the other hand, if the calculated movement speed is slower than the second set spe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in operation (S150, S160).

한편,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실질적으로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인데도 불구하고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의 단계(140)에서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과 같이 추가 판단 처리를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while the terminal user is actually driving. 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40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the additional deter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추가 판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ait addition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말의 이동 속도에 따라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 제어부(14)는 보행 판단부(12)를 구동시켜 단말 사용자의 보행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 As described abo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terminal, the processing control unit 14 drives the walk determination unit 12 to addition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즉, 도 3에서와 같이,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제1 설정 속도 이상이지만 제2 설정 속도보다 느린 보행 속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141), 보행 판단부(12)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단말의 이동 상태를 판단한다(S142).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의 크기가 불규칙하거나 신호 패턴의 변화량이 설정량 이상인 경우에 보행 판단부(12)는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최종 판단한다(S143). 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 speed but is slower than the second set speed (S141), the walking determining unit 12 determines that the walking speed (Step S142). If the magnitude of the signals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is irregular 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ignal patter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t amount, the walk determining unit 12 finally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S143).

그러나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의 크기가 불규칙하지 않거나 신호 패턴의 변화량이 설정량보다 작은 경우에 보행 판단부(12)는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이지만 서행하고 있거나 또는 차량에 동승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144). 보행 판단부(12)의 최종 판단 결과는 처리 제어부(14)로 전달된다. However, if the magnitude of the signals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is not irregular, or i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ignal pattern is smaller than the set amount, the walk determining unit 12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user is driving, but is slowing down or traveling with the vehicle S144). The final determination result of the walking determination unit 12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control unit 14. [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또는 차량 동승 중)이나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과 같이 문자 제한 처리를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driving (or is in the car) or walking, the character limit process is performed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중 문자 입력 방지 방법에서 문자 제한 알람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limit alarm process in the method of preventing a character input during wal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또는 차량 동승 중)이나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첨부한 도 4에서와 같이, 처리 제어부(14)는 문자 입력 시도에 따라 문자 제한 처리를 수행한다. 단말 사용자의 문자 입력 시도(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킴)가 감지되면(S200), 처리 제어부(14)는 먼저 문자 제한 모드 설정부(13)에 의하여 문자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10). 문자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문자 메시지 작성을 제한한다(S220). 이 경우, 알람 표시부(15)를 통하여 문자 제한 모드 설정에 따라 문자 메시지 작성이 허용되지 않음을 표시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driving (or is in the car) or is walking, the processing control unit 14 performs a character limit process in response to a character input attempt, as shown in FIG. If the character limit mode is set by the character limit mode setting unit 13, the process control unit 14 determines whether the character limit mode is set by the character limit mode setting unit 13 (step S200) (S210). If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is set, the text message creation is restricted (S220). In this case, i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alarm display unit 15 that the text message creation is not allow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limit mode setting.

한편 처리 제어부(14)는 문자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문자 제한 알람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처리 제어부(14)는 알람 표시부(15)를 통하여 현재 보행 중임으로 문자 입력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며, 경고 메시지 출력과 함께 경고 알람도 출력할 수 있다(S30, S240). 경고 메시지는 팝업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control unit 14 does not set the character limit mode, but performs character limit alarm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or is in operation. 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the process control unit 14 outputs a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haracter input is restricted through the alarm display unit 15 and is currently walking, and a warning alarm is output (S30, S240). The warning message may be output in a pop-up form.

또한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처리 제어부(14)는 알람 표시부(15)를 통하여 현재 운전 중임으로 문자 입력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며, 경고 메시지 출력과 함께 경고 알람도 출력할 수 있다(S30, S240). 경고 메시지는 팝업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Also,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operating, the processing control unit 14 outputs a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haracter input is restricted through the alarm display unit 15 and the warning message is output along with the warning message output (S30, S240). The warning message may be output in a pop-up form.

여기서, 보행 중일 때 출력되는 경고 알람과 운전 중일 때 출력되는 경고 알람의 오디오 레벨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중의 문자 입력이 더 위험성이 높으므로, 운전 중으로 판단된 경우에 출력되는 경로 알람의 오디오 레벨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Here, the audio levels of the warning alarm output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warning alarm output when the vehicle is running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since the risk of inputting characters during operation is high, the audio level of the path alarm output when it is determined to be in operation can be made higher.

한편,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이거나 운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 입력을 허용한다(S27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or not driving, character input is allowed (S27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문자 제한 알람 처리에 따라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 경우, 다음과 같이 선택적으로 문자 제한 처리 모드를 설정한다. When a warning message is output according to the character limit alarm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limit process mode is selectively set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중 문자 입력 방지 방법에서 문자 제한 처리 설정 및 해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d terminating a character limit process in the method of preventing a character input during wal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자 제한 알람 처리에 따라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 경우, 경고 메시지는 문자 제한 처리가 수행됨을 알려주며, 또한 이러한 문자 제한 처리에 사용자가 동의하는지를 문의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a warning message i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 limit alarm process, the warning message indicates that the character limit process is to be performed, and may include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user agrees with the character limit process.

처리 제어부(14)는 단말 사용자의 경고 메시지 확인에 따라 문자 제한을 동의하는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되면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하고, 문자 제한을 동의하지 않는다는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되면 문자 제한 오프 처리를 수행한다. The process control unit 14 sets a character limit mode when a response of a user agreeing with a character limit is input according to a warning message confirmation of the terminal user, and performs a character limit off process when a user's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user does not agree with the character limit is input do.

여기서, 처리 제어부(14)는 경고 메시지 출력 후 설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S310), 입력된 응답이 문자 제한을 동의하는 경우에는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한다(S320, S330). 반면 입력된 응답이 문자 제한을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문자 입력을 허용한다(S340). 이와 같이 경고 메시지 출력 후 설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이거나 또는 차량에 동승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한다. If the user's response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after the warning message is output (S310), the process control unit 14 sets the character limit mode if the input response agrees with the character limit (S320, S330). 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response does not agree with the character limit, the character input is permitted (S340). If the user's response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after the warning message is output, the terminal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walking or traveling with the vehicle, and sets the character limit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terminal user.

한편 처리 제어부(14)는 경고 메시지 출력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것으로 최종 판단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문자 제한 모드를 강제적으로 설정한다(S330).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response is not input so that the set time elapses after outputting the warning message, the process control unit 14 finally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user is in operation and, in this case, forcibly sets the character limit mode in step S33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문자 제한 모드가 설정되면, 처리 제어부(14)는 문자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처리를 허용하지 않으므로, 문자 메시지 작성을 포함한 일련의 문자 입력 과정이 수행되지 않는다. When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control unit 14 does not permit the character processing input from the character input unit 16, so that a series of character input processes including creation of a text message is not performed.

이와 같이 문자 제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S350), 처리 제어부(14)는 단말의 이동 속도를 체크하여 단말의 이동 속도가 보행 속도보다 느린 경우 즉, 제1 설정 속도보다 느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S360), 이러한 상태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70). 문자 제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제1 설정 속도보다 느린 상태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이거나 운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문자 제한 모드를 해지하여 문자 입력을 허용한다(S380). When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is set (S350), the processing control unit 14 checks the movement speed of the termi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speed of the terminal is slower than the walking speed, that is, S36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is state is maintained for the set time (S370). If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speed of the terminal is slower than the first set speed is maintained for the set time while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is set,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user is not walking or driving, and the character limitation mode is canceled to allow character input (S380).

한편 문자 제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문자 제한 오프 요청이 입력되면, 처리 제어부(14)는 단말 사용자의 보행 중 또는 운전 중에 상관없이 문자 제한 모드를 해지하여 문자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haracter limit off request is input by the user while the character limit mode is set, the process control unit 14 can cancel the character limit mode regardless of whether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or driv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The embodiment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

단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제1 설정 속도 이상이고 제2 설정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제2 설정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는 단말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 사용자가 보행 중이거나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문자 제한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후에 설정 시간 동안에 문자 제한 동의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후에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어떠한 신호도 입력되지 않으면 문자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지 방법.





Calculating a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user is walking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setting speed and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cond setting speed;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user is operating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is faster than the second setting speed;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e character limit when the terminal user is judged to be walking or driving;
Setting a character limit mode when a signal indicating a character limit agreement is input during a set time after outputting the warning message; And
If no signal is inputted even after the set time has passed after the warning message is output,
Wherein the character input preventing method comprises:





KR1020120133688A 2012-11-23 2012-11-23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xt input in terminal KR102029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88A KR102029410B1 (en) 2012-11-23 2012-11-23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xt input i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88A KR102029410B1 (en) 2012-11-23 2012-11-23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xt input i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46A true KR20140066446A (en) 2014-06-02
KR102029410B1 KR102029410B1 (en) 2019-10-07

Family

ID=5112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688A KR102029410B1 (en) 2012-11-23 2012-11-23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xt input i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4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2639A (en) * 2017-07-07 2017-09-29 上海爱优威软件开发有限公司 User security is reminded to use the method and system of mobi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2049A (en) * 2006-04-10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10040280A (en) * 2009-10-14 2011-04-20 조동혁 The method or service for prohibiting sms of handphone in driving
KR20120021550A (en) * 2010-08-06 2012-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dang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2049A (en) * 2006-04-10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10040280A (en) * 2009-10-14 2011-04-20 조동혁 The method or service for prohibiting sms of handphone in driving
KR20120021550A (en) * 2010-08-06 2012-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dan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2639A (en) * 2017-07-07 2017-09-29 上海爱优威软件开发有限公司 User security is reminded to use the method and system of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410B1 (en)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800B2 (en) Prevention of texting while operating a motor vehicle
US92042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abling communication and/or other application function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967944B1 (en) Providing a user interface experience based on inferred vehicle state
US101293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while operating a vehicle
US20140270243A1 (en) Mobile device to vehicle integration
US9277349B2 (en) Method of processing an incoming communication signal at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8307295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accident for vulnerable road user
US201401792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stricting the us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14506081A (en) In-vehicle electronic device blocker
CN110060465B (en) Interaction method and interaction system for vehicle-pedestrian interaction system
US86762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stricting the us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1176389B2 (en) Non-intrusive intra-vehicular user location detection
AU2018201545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ensuring safe operation of a vehicle
JP2016066231A (en) Collision prevention device, collision prevention method, collision preven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5200942A (en)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4558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ed vehicle and mobile device communications
US9773416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ane filtering
JP4274054B2 (en) Pedestrian detection system for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US96183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situation with a potentially in-alert driver
KR1020294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ext input in terminal
JP2023029454A (en) Mobile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mobile device, and program for terminal device
EP2814229B1 (en) Method of processing an incoming communication signal at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24933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river-specific start control and driving information generation for a motorcycle based on biometrics
CN109151773B (en)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and related product
CN112954002A (en) Method for monitoring a vehicle and vehicle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