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398A -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398A
KR20140062398A KR1020130015183A KR20130015183A KR20140062398A KR 20140062398 A KR20140062398 A KR 20140062398A KR 1020130015183 A KR1020130015183 A KR 1020130015183A KR 20130015183 A KR20130015183 A KR 20130015183A KR 20140062398 A KR20140062398 A KR 20140062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able terminal
signal
audio signal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기태
이현욱
지혜경
정회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13001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2398A/en
Publication of KR2014006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oy actuat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smart toy actuating system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to express a reaction due to an interaction between a particular character and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actuation of the character depending on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mart toy actuating system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udio signal generating part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ing an audio signal with a certain pattern of a waveform; a terminal part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audio signal generating part; a signal switching part switching the audio signal into an actuation signal after receiving the audio signal from the terminal part; and an actuating part receiving the switched actuation signal from the signal switching part, and actuating a mechanism part so that the mechanism part can perform a predetermined actuation depending on the waveform of the audio signal.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0001]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으로써, 휴대단말기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특정 캐릭터와 휴대단말기 유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반응을 캐릭터의 동작으로 표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에 과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oys driv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oys driv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apable of expressing a reaction by interaction between a specific character and a user of a portable terminal, This is in excess of the smart toy drive system.

최근에는 휴대단말기 및 무선통신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으며 일상 속에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시간의 비중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Recently, many people ar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time fo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n everyday life is gradually increasing.

그리고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무선통신 등 휴대단말기의 주요기능 이외에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오락적 기능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wireless communication, such mobile terminals are widely used as entertainment function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특히, 휴대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있는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받아 휴대단말기에 설치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이 중에는 다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도 포함되어 있다.In particular, a variety of applications are downloaded from a download server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Among them, a large number of game applications are also included.

등록특허공보 제10-0725825호에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캐릭터 육성 게임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725825 discloses a character upbringing game method and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육성 게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apable of downloading a character upbringing game from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캐릭터를 육성하는 게임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가 성장을 완료하면, 소정의 캡슐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캡슐과 함께 메시지를 입력하고 수신자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단계; 서버에서 수신자 번호를 검증하고, 수신자가 캐릭터 육성 게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수신자가 상기 캡슐에서 생성된 캐릭터를 육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자의 캐릭터가 성장 완료되면, 전송받은 메시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game in which a charact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s developed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capsule when the character is grown in the portable terminal; Inputting a message together with the capsule, inputting a recipient number,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Verifying the recipient number at the server, and verifying that the recipient has an application for a character upbringing game; Cultivating a character generated by the recipient in the capsule; And outputting the received message when the character of the recipient is completed.

그리고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캐릭터 육성 게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사의 승인을 얻어 캐릭터 육성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캐릭터 육성 게임 컨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캐릭터 육성 게임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이를 전송해주는 다운로드 서버; 및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캐릭터 육성 게임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기를 요청하고, 상기 다운로드 서버에서 전송하는 상기 캐릭터 육성 게임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게임을 실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haracter training game system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character training game contents with approval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 download server for registering the character upbringing game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s provid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game contents according to a download request of the character upbringing game content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to request downloading of the character upbringing game contents, and downloading the character upbringing game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downloading server to execute the game.

이러한 캐릭터 육성 게임은 캐릭터를 육성하기 위한 육성요소(밥주기, 씻겨주기, 치료하기 등)를 미니 게임화 하여 실행할 수 있다.Such a character upbringing game can be carried out by miniaturizing the upbringing factor (rice cycle, washing, treating, etc.) for cultivating a character.

그러나 종래의 캐릭터 게임은 단순히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정보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게임에 대한 흥미 및 오락적인 요소에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haracter game uses only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limits the interest and entertainment factors of the game.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163052호에는 휴대단말기의 액세서리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163052 discloses an accessory of a portable terminal.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ccessory.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500)에 적용되는 이어폰(400)의 전선을 권취하여 수납하고, 상기 전선을 권취 해제하여 신장시켜 사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잭(510)에 삽입되고 터치스크린 방식인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520)을 가압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감압팁(100); 및 상기 하우징(200)에 장착되고, 상기 휴대단말기(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착신시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이디(300);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400)의 사용은 상기 감압팁(100)이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로 마련된 이어폰 연결단자(410)가 상기 하우징(200)에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ccessory includes a housing 200 in which an electric wire of an earphone 400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500 is taken up and accommodated, an inner space is formed to extend and untie the electric wire, and is used; A decompression tip 10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200 to be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510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esses the display panel 520 of the portable terminal, ; And at least one LED 300 mounted on the housing 2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500 to emit light when receiv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410 separately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reducing tip 10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is fastened to the housing 200.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200)은 특정한 형상의 캐릭터나 특정한 형상의 입체 등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구매 및 소장 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Here, the housing 200 may be formed as a character of a specific shape, a solid body of a specific shape, or the like so that a user can purchase and desire to hold it.

이러한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사리는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연결단자(410)에 체결되어 엘이디(300)를 발광시킬 수 있지만, 단순히 액세서리의 형상을 특정 캐릭터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엘이디(300)를 발광시키는 것 이외에는 다른 오락적 요소 및 기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기능이 나타나 있지 않다.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ccessory may be coupl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410 of the portable terminal to emit the LED 300. However, the accessory may simply be formed in a specific character shape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300 There are no other recreational factors or other interesting features except for luminescen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특정 캐릭터와 휴대단말기 유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반응을 캐릭터의 동작으로 표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xpressing a reaction by interaction of a specific character and a user of a portable terminal with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toy driving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은,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특정 패턴의 파형을 갖는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음성신호생성부와; 휴대단말기의 음성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음성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음성신호의 파형에 따라 미리 지정된 특정 동작을 구현하도록 기구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toy driv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voice signal generator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a voice signal having a waveform of a specific pattern; A terminal unit connected to a voice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voice signal generation unit; A signal converting unit which receives the audio signal from the terminal unit and converts the audio signal into a driving signal; A driving unit that receives the driving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ting unit and operates the mechanical unit to implement a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a waveform of the audio signal; .

상기 음성신호생성부는 휴대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이다.The voice signal generation unit is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emor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기구부는, 상기 단자부가 결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특정 동작을 구현하는 제1동작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동작부와 독립적으로 특정 동작을 구현하는 제2동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음성신호는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로 이루어진 2채널(2CH) 스테레오(stereo) 신호이며, 상기 제1동작부는 상기 제1음성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제2동작부는 상기 제2음성신호에 의해 동작한다.The mechanism portion includes: a fixing portion to which the terminal portion is coupled; A first operation unit coupled to the fixed unit to implement a specific operation; A second operation unit coupled to the fixed unit and implementing a specific operation independently of the first operation unit; (2CH) stereo signal including a first audio signal and a second audio signal, wherein the first operation unit is operated by the first audio signal, and the first operation unit is operated by the first audio signal, 2 operating section is operated by the second audio signal.

상기 음성신호는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로 이루어진 스테레오 신호이며, 상기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는 동시에 하나의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킨다.The audio signal is a stereo signal composed of a first audio signal and a second audio signal, and the first audio signal and the second audio signal simultaneously operate one driving unit.

상기 기구부는, 상기 단자부가 결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특정 동작을 구현하는 동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와; 상기 동작부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신호를 받아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동작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하게 되는 코일; 로 이루어진다.The mechanism portion includes: a fixing portion to which the terminal portion is coupled; An operation unit coupled to the fixed unit to implement a specific operation; Wherein the driving unit comprises: a magnet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 coil which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and receives a driving signal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operating portion by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 .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mart toy driv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휴대단말기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특정 캐릭터와 휴대단말기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반응을 캐릭터의 동작으로 표현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개성있게 표현할 수 있고 오락적 요소로써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더욱 실감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A mobile terminal can be expressed in a personalized manner by expressing a reaction of interaction between a specific character and a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operation of a character coupl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you can enjoy the game more realistically.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 캐릭터 육성 게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의 사시도,
도 4는 고정부를 제외한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휴대단말기에 동작 캐릭터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apable of downloading a character upbringing game from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ccessory,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to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smart toy for a portable terminal excluding a fixed portion,
Fig. 5 is a right side view of Fig. 4,
6 illustrates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of a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system of a smart to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veform of a voice signal output from a voic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peration character is coupled to a portabl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고정부를 제외한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의 정면도이며, 도 5(a)는 도 4의 우측면도이고, 도 5(b)는 제2동작부와 제2구동부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5(a)에서 제1동작부 및 제1구동부를 제거한 상태의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휴대단말기에 동작 캐릭터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to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mart toy for a portable terminal excluding the fixing portion, FIG. 5 (a) (b)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operation unit and the first drive unit are removed in FIG. 5 (a) to show the second operation unit and the second drive unit, and FIG. 6 is a cross-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system of a smart to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peration character is coupled to a portable terminal.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veform of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signal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은 음성신호생성부(50), 단자부(40), 신호변환부(311) 및 구동부(20)로 이루어진다.The smart toy driv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oice signal generating unit 50, a terminal unit 40, a signal converting unit 311, and a driving unit 20.

상기 음성신호생성부(50)는 휴대단말기(2)의 메모리부에 설치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특정 패턴의 파형을 갖는 음성신호가 생성되어 휴대단말기(2)의 음성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The voice signal generator 50 is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emor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2.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 voice signal having a waveform of a specific pattern is generated, Terminal to the outside.

이러한 음성신호는 기구부(1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패턴의 파형으로 생성된다.These voice signals are generated in various patterns of waveforms to operate the mechanical part 10. [

상기 기구부(10)는 휴대단말기(2)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미리 지정된 특정 동작을 구현한다.The mechanical unit 10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2 to implement a predetermined operation predetermined by the driving unit 20. [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부(10)는 고정부(11), 구동축(12a,12b) 및 동작부(13a,13b)로 이루어진다.3 and 4, the mechanical unit 10 includes a fixed portion 11, driving shafts 12a and 12b, and operating portions 13a and 13b.

상기 고정부(11)는, 휴대단말기(2)의 음성출력단자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부(40)가 결합되고, 상기 단자부(40)가 상기 음성출력단자에 삽입됨으로써 휴대단말기(2)에 결합되게 된다.The fixing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40 inserted into the voice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2 and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2 by inserting the terminal portion 40 into the voice output terminal do.

이러한 고정부(11)는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캐릭터가 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11 may be various characters made up of human or animal shapes.

상기 구동축(12a,12b)은 상기 고정부(11)에 결합되며, 상기 동작부(13a,13b)가 회전하는 중심축이 된다.The drive shafts 12a and 12b are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11 and serve as a central axis for rotating the operation portions 13a and 13b.

이러한 상기 구동축은 제1구동축(12a)과 제2구동축(12b)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drive shaft includes a first drive shaft 12a and a second drive shaft 12b.

상기 동작부(13a,13b)는 상기 구동축(12a,12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12a,12b)에 결합된다.The operating portions 13a and 13b are coupled to the driving shafts 12a and 12b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driving shafts 12a and 12b.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축(12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동작부(13a)와 상기 제2구동축(12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동작부(13b)로 이루어진다.5,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 first operation unit 13a that rotates about the first drive shaft 12a and a second operation unit 13b that rotates about the second drive axis 12b ).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11)는 동물의 얼굴이고, 상기 제1동작부(13a)는 동물의 눈꺼풀이 되어 상기 제1구동축(12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눈을 깜빡이게 되며, 상기 제2동작부(13b)는 동물의 귀가 되어 상기 제2구동축(12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귀를 움직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11 is an animal's face, and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3a is an eyelid of an animal and blinks when it rotates around the first driving shaft 12a ,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3b is an ear of an animal and can rotate when the second driving shaft 12b rotates about the ear.

전술한 상기 제1동작부(13a)와 제2동작부(13b)는 눈꺼풀, 귀 이외에도 다양한 부분의 동작을 표현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동작만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구동축 및 동작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first operation unit 13a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b may represent various operations of the eyelids, the ear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one drive shaft and one operation unit so that only one operation may be performed.

상기 고정부(11) 또한 동물의 얼굴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11 is not limited to the face of the animal bu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한편, 도 9(a) 및 도 9(b)는 상기 음성신호생성부(50)에서 생성되는 음성신호의 다양한 파형 중 하나로 삼각파 형태로 나타나 있다.9A and 9B show one of various waveforms of the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audio signal generator 50 in the form of a triangle wave.

또한, 도 9(c) 및 도 9(d)는 상기 음성신호생성부(50)에서 생성되는 음성신호의 다양한 파형 중 하나이며,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9 (c) and 9 (d) are one of various waveforms of the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audio signal generator 50, and are formed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도 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신호의 다양한 파형 중에서 특정 패턴을 나타낸 어느 하나의 예로써, 이외에도 다양한 파형의 음성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음성신호에 따라 상기 기구부(10)의 다양한 동작을 표현하도록 할 수 있다.9 is an example of a specific pattern among various waveforms of the audio signal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udio signals of various waveforms are generated to represent various operations of the mechanical unit 10 according to the audio signal .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신호생성부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패턴의 여러 음원파일(wav,mp3)이며 휴대단말기(2)의 음성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The voice signal is a plurality of sound source files (wav, mp3) having a specific pattern stored in the voice signal generating unit and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voice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2. [

즉, 상기 음성신호는 일반적으로 이어폰이 결합되는 휴대단말기(2)의 음성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음원파일로써 특정 패턴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만들어 놓은 것이다.That is, the voice signal is generally a sound source file outputted to the voice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2 to which the earphone is coupled, so as to output a sound wave of a specific pattern.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신호는 2채널(2CH) 스테레오(streo) 신호이며,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audio signal is a 2-channel (2CH) stereo signal, and is composed of a first audio signal and a second audio signal.

상기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가 상기 구동부(20)의 제1구동부(20a)와 제2구동부(20b)로 각각 전달되는 것은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는 좌우 이어폰으로 각각 음성신호가 출력되어 이어폰 사용자의 양쪽 귀로 각각의 소리가 전달되는 것과 같다.The first audio signal and the second audio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20a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0b of the driving unit 20, respectively, because audio signals are output to the left and right earphon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t's like each sound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s.

이러한 상기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는 상기 단자부(40)를 통해 상기 신호변환부(311)로 전달되고, 상기 신호변환부(311)의 정류회로에 의해 상기 기구부(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신호(직류)로 변환된다.The first audio signal and the second audio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311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and the mechanism unit 10 is operated by the rectification circuit of the signal conversion unit 311 (DC) for driving.

즉, 상기 제1동작부(13a)는 상기 제1음성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제2동작부(13b)는 상기 제2음성신호에 의해 동작한다.That is, the first operation section 13a is operated by the first audio signal, and the second operation section 13b is operated by the second audio signal.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 제1동작부(13a)와 제2동작부(13b)는 동작하지 않는다.If the voice signal is not generated, the first operation unit 13a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b do not operate.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면 캐릭터의 눈은 뜬 상태로 유지되고, 귀는 움직이지 않고 서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0, if the voice signal is not generated, the eyes of the character remain in a floating state, and the ear remains in a state in which the ear does not move.

상기 음성신호의 음파가 삼각파로 생성되면, 상기 제1동작부(13a)가 동작하면서 캐릭터의 눈이 감겼다 떠지며, 상기 제2동작부(13b)가 동작하면서 귀가 앞으로 접혀졌다 다시 세워진다.When the sound wave of the voice signal is generated as a triangle wave, the eyes of the character are closed while the first operation portion 13a is operated, and the ear is folded forward and raised again while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13b is operated.

상기 제1동작부(13a)와 제2동작부(13b)는 상기 음성신호의 파형에 따라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고 각각 따로 동작할 수도 있다.The first operation unit 13a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b may operate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waveform of the voice signal, or may operate separately.

그리고 도 9(a)와 도 9(b)를 비교하여 볼 때, 이러한 삼각파의 주기가 짧아질수록 상기 제1동작부(13a)와 제2동작부(13b)의 동작속도가 더 빨라져서 캐릭터 눈의 깜빡거림과 귀의 움직임이 빨라지게 된다.9A and 9B, when the period of the triangular wave is shortened, the operating speed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3a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3b becomes faster as the period of the triangular wave becomes shorter, The flickering of the ear and the movement of the ear are accelerated.

또한, 도 9(c)와 같이 상기 음성신호가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되면 상기 제1동작부(13a)와 제2동작부(13b)가 초기 위치에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어 캐릭터의 눈이 감긴 상태 및 귀가 접힌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9 (c), when the audio signal is maintained at a constant voltage, the first operation portion 13a and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13b are maintained in a rotated state at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eyes of the character are wound And the ears are kept in a folded state.

그리고 도 9(c)와 비교하여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신호의 전압이 캐릭터의 눈이 완전히 감긴 상태 또는 귀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낮게 생성되면 캐릭터의 눈이 반쯤 감긴 상태 및 귀가 반쯤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9 (d), if the voltage of the voice signal is lower than the state in which the eyes of the character are completely wound or the ear is completely folded as shown in Fig. 9 (d), the character's eyes are half- It may be kept in a half-folded state.

이와 같이 상기 음성신호의 파형 및 그 특성에 따라 캐릭터의 다양한 동작 표현이 가능하다.Thus, various expressions of the character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waveform of the voice signal an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동작부가 하나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는 동시에 하나의 구동부를 작동시키게 된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unit is one, the first and second voice signals simultaneously operate one driver.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가 제1구동부(20a)와 제2구동부(20b)를 각각 작동시켜 상기 제1동작부(13a)와 제2동작부(13b)가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를 이용하여 동시에 하나의 구동부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더욱 증가시켜 하나의 동작부가 더 큰 동작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audio signal and the second audio signal respectively operate the first driving unit 20a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0b so that the first operation unit 13a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b operate However, if one driver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using the first and second audio signal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r can be further increased, so that one operation unit can realize a larger ope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동작부(13a)와 제2동작부(13b)를 동작시킬 때는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음성신호가 각각 그라운드 신호와 함께 상기 제1구동부(20a)와 제2구동부(20b)를 작동시키고, 하나의 동작부를 동작시킬 경우에는 그라운드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동부를 작동시키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operation section 13a and the second operation section 13b are operated, a stereo audio signal including a first audio signal and a second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ing section 20a When the second driving unit 20b is operated and one operating unit is operated, one driving unit is operated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audio signals without using the ground signal.

이에 따라 상기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하나의 구동부는 2배 이상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one driver that operates by the first and second audio signals can obtain a driving force twice or more.

상기 단자부(40)는 상기 기구부(10)에 결합되고, 휴대단말기(1)의 음성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음성신호생성부(50)에서 생성된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신호변환부(311)로 전달한다.The terminal unit 40 is coupled to the mechanical unit 10 and is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audio signal generation unit 50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311 .

즉, 상기 단자부(40)는 휴대단말기(1)의 이어폰이 삽입되는 음성출력단자에 삽입되어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신호변환부(311)로 전달한다.That is, the terminal unit 40 is inserted into a voice output terminal through which the earphone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serted,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311.

상기 신호변환부(311)는 상기 기구부(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40)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신호로 변환한다.The signal converting unit 311 is installed inside the mechanical unit 10 and receives the audio signal from the terminal unit 40 to convert the audio signal into a driving signal.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변환부(311)는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회로부(30)에 실장되고, 상기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음성신호의 파형에 따라 상기 기구부(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부(20)로 보낸다.Specifically, the signal conversion unit 311 is mounted on a circuit unit 30 formed of a circuit board, and receives the audio signal and converts it into a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echanical unit 10 according to the waveform of the audio signal And sends it to the driving unit 20.

즉, 상기 회로부(30)는 상기 단자부(40)로부터 음성신호인 제어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신호변환부(311)에서 상기 음성신호를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부(20)를 작동시킨다.That is, the circuit unit 30 receives a control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from the terminal unit 40, and the signal conversion unit 311 converts the audio signal into a driving signal to operate the driving unit 20.

이러한 상기 회로부(30)는 탄성재질의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동작부(13a,13b)에 연결되어 상기 동작부(13a,13b)의 동작시 상기 동작부(13a,13b)에 복원력을 제공한다.The circuit board 30 is made of a circuit boar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arts 13a and 13b so that the operating parts 13a and 13b can be operated when the operating parts 13a and 13b are operated.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상기 회로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부(31)와 탄성부(32)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circuit unit 3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1 and an elastic portion 32 as shown in FIG.

상기 실장부(31)에는 제어회로 및 상기 신호변환부(311)가 실장되어 있다.The mounting portion 31 has a control circuit and the signal converting portion 311 mounted thereon.

상기 탄성부(32)는 일단이 상기 실장부(31)에서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동작부(13a,13b)에 각각 연결된다.The elastic portion 32 has one end extended from the mounting portion 3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portions 13a and 13b.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32)의 타단은, 일단 방향에 상기 구동부(20)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동작부(13a,13b)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2a,12b)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부(20)와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있다.5,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ortion 3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portions 13a, 13b in which the driving portion 20 is disposed in the one end direction, and the driving shafts 12a, 12b The driving unit 20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driving unit 20.

이에 따라 상기 동작부(13a,13b)가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동작할 때 상기 탄성부(32)가 함께 탄성 변형되고, 상기 구동부(20)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탄성부(32)가 상기 동작부(13a,13b)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동작부(13a,13b)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e elastic portions 32 are elastically deformed together when the actuating portions 13a and 13b are operated by the driving portion 20. When the actuating portion 20 stops operating, The operating portions 13a and 13b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perating portions 13a and 13b.

상기 구동부(20)는 제1구동부(20a)와 제2구동부(20b)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부(30)는 상기 제1구동부(20a)와 제2구동부(20b)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킨다.The driving unit 20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20a and a second driving unit 20b and the circuit unit 30 independently operates the first driving unit 20a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0b.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회로부(30)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기구부(10)가 특정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driving unit 20 is operated by the circuit unit 30 to provide a driving force so that the mechanical unit 10 can implement a specific ope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21), 마그네트(22) 및 코일(23)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20 includes a yoke 21, a magnet 22, and a coil 23 as shown in FIG.

상기 요크(21)는 상기 고정부(11)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마그네트(22)가 장착된다.The yoke 21 is fixedly mounted inside the fixing part 11 and the magnet 22 is mounted.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요크(21)는 '[' 형상으로 이루진 두 개의 메인요크(211)가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에 직선형 서브요크(212)가 배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yoke 21 is disposed such that the open portions of the two main yokes 211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a linear sub yoke 212 is disposed therebetween.

상기 마그네트(22)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코일(23)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magnet 22 generates a magnetic field so that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coil 23.

이러한 상기 마그네트(22)는 2개가 상기 메인요크(211)의 내측에 각각 고정 장착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다.Two of the magnets 22 are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yoke 21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코일(23)은 상기 동작부(13a,13b)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부(3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으면 상기 마그네트(2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동작부(13a,13b)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The coil 23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actuating part 13a or 13b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ircuit part 30. When the control part 23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ircuit part 30, (13a, 13b).

상기 제어신호는 구동신호로 변환된 전기신호이며, 자기장 속에서 상기 코일(23)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코일(23)에 로렌츠의 힘(Lorentz's force)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코일(23)이 장착된 상기 동작부(13a,13b)가 회전하게 된다.The control signal is an electric signal converted into a driving signal. When a current flows in the coil 23 in a magnetic field, a Lorentz force is generated in the coil 23, so that the coil 23 is mounted The operating portions 13a and 13b rotate.

상기 코일(23)은 한 쌍의 상기 마그네트(22) 사이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서브요크(212)를 중심으로 권취되어 있다.The coil 23 is spaced between the pair of magnets 22 and is wound around the sub yoke 212.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22)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상기 구동축(12)과 평행하도록 상기 코일(23)을 통과하고, 한 쌍의 상기 마그네트(22)는 자기극성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 22 passes through the coil 23 so as to be in parallel with the drive shaft 12 and the pair of magnets 22 are arranged in a magnetic polarity opposite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코일(23)은 한 쌍의 상기 마그네트(22) 사이에서 상기 구동축(12a,12b)을 중심으로 상기 서브요크(212)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The coil 23 can rotate along the sub yoke 212 between the pair of magnets 22 about the drive shafts 12a and 12b.

이러한 상기 구동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동작부(13a)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1구동부(20a)와 상기 제2동작부(13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2구동부(20b)로 이루어진다.The driving unit 20 includes the first driving unit 20a that provides the driving force to the first operating unit 13a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0b that provides the driving force to the second driving unit 13b, 20b.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2)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휴대단말기(2)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특정 캐릭터와 휴대단말기(2)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반응을 상기 제어신호에 의한 캐릭터의 동작으로 표현함으로써, 휴대단말기(2)를 개성있게 표현할 수 있고 오락적 요소로써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더욱 실감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A control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in accordance with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2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pecific character and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2 By expressing the reaction by the action of the character by the control signal, the portable terminal 2 can be expressed personally, the entertainment element can be multiplied with interest and fun, and the game can be enjoyed more realistically.

다음은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의 게임 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본다.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the smart toy game system for mobile terminals.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게임 시스템은, 메모리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3),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및 동작 캐릭터(3)로 이루어진다.The smart toy game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emory unit (not shown), a display unit 3, an interface unit (not shown), and an operation character 3.

상기 동작 캐릭터(3)는 상기 기구부(10), 구동부(20), 회로부(30) 및 단자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토이가 된다.The operation character 3 is a smart toy including the mechanism part 10, the driving part 20, the circuit part 30 and the terminal part 40. [

상기 메모리부에는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A dedicated application for generating a voice signal is installed in the memory unit.

즉,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의 음성신호생성부(50)이다.That is,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the voice signal generator 50 of the smart toy driving system.

구체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2)와 통신 연결된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제공되어져 상기 메모리부에 설치된다.Specifically, the application is provided from the download server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 of the user and installed in the memory unit.

이러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제공되지 않고 휴대단말기(2)에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application may not be provided from the download server but may b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2 in advance.

따라서 상기 다운로드 서버는 스마트 토이 게임 시스템의 필수요소일 필요는 없다.Therefore, the download server need not be an essential element of the smart toy game system.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그 메시지를 표시한다.As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display unit 3 receives information requesting a user's response from the memory unit, and displays the messag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한 상기 동작 캐릭터(3)와 연동되는 캐릭터 영상(4)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3 displays a character image 4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character 3 detachable from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동작 캐릭터(3)는 사람이나 동물의 얼굴 등이 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2)에 결합된다.The operation character 3 may be a face of a person or an animal and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2. [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캐릭터(3)는 상기 기구부(10) 즉, 상기 고정부(11)를 포함하며 캐릭터의 얼굴 부분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character 3 includes the mechanical part 10, that is, the fixing part 11, and is not limited to the face part of the character.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 출력되는 캐릭터 영상(4)은 상기 동작 캐릭터(3)와 연동되는 사람이나 동물의 몸이 되어 상기 동작 캐릭터(3)의 동작에 따라 그에 맞는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The character image 4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3 becomes a body of a person or an animal linked to the operation character 3 and can express the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haracter 3.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캐릭터의 건강, 사용자와의 관계 등과 같은 캐릭터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 may display a character state such as a health of a character, a relationship with a user, and the like.

상기 캐릭터 상태표시 또한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메시지기 될 수 있다.The character status indication may also be a message requesting a response from the user.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 전달한다.The interface unit transmits the user's response information to the memory unit.

이러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터치스크린, 자이로센서, 송화용 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screen, a gyro sensor, and a microphone for transmission.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응답정보를 전달한다.The touch screen transmits th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emory unit by touching the display unit 3 by the user.

그리고 상기 자이로센서는 사용자에 의한 휴대단말기(2)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응답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전달한다.The gyro sensor senses the shaking of the portable terminal 2 by the user and transmits response information to the memory unit.

또한, 상기 송화용 마이크는 외부 소음이 입력되어 그 소리의 크기를 정보화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전달한다.Also, the transmitting microphone inputs external noise, and informs the size of the sound to the memory unit.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스마트 토이 게임의 진행을 위하여 사용된다.The interface unit as described above is used for the progress of the smart toy game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상기 동작 캐릭터(3)는 상기 메모리부에 사용자의 응답정보가 입력되면 생성되는 상기 음성신호에 의해 미리 지정된 특정 동작을 구현한다.
The operation character 3 implements a specific operation predetermined by the voice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s respons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emory unit.

이하,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의 게임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game system of a smart toy for a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휴대단말기(2)의 메모리부에 설치한 후, 휴대단말기(2)의 음성출력단자에 상기 단자부(40)를 삽입하여 상기 기구부(10)를 휴대단말기(2)에 결합시킨다.The portable terminal 2 receives the dedicated application from the download server and installs the terminal in the memor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2 and inserts the terminal unit 40 into the voice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2, To the portable terminal 2.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상기 기구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작 캐릭터(3)와 연동되는 캐릭터 영상(4)이 출력된다.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 character image 4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character 3 including the mechanical unit 10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3.

상기 동작 캐릭터(3)는 고양이의 얼굴이며, 상기 제1동작부(13a)와 제2동작부(13b)가 동작함에 따라 고양이 눈꺼풀이 움직여 눈을 깜빡이게 되고, 고양이의 귀가 움직이게 된다.The operation character 3 is a face of a cat. As the first operation part 13a and the second operation part 13b operate, the cat's eyelids move to blink, and the ears of the cat mov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음성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는 눈을 뜨고 있고 귀가 서 있는 상태로 있다.As shown in FIG. 10, when a voice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application, it is in an open state and an ear standing stat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 출력되는 캐릭터 영상(4)은 고양이의 몸이며, 상기 동작 캐릭터(3)의 동작에 맞춰 발이나 꼬리 등이 움직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mage 4 output to the display unit 3 is a cat's body, and the feet, tails, and the like ar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haracter 3.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캐릭터의 건강, 사용자와의 관계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캐릭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lso, on the display unit 3, the health of the charac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and the like ar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atus of the character.

이러한 캐릭터의 건강지수나 사용자와의 관계지수에 따라 상기 동작 캐릭터(3) 및 캐릭터 영상(4)이 동작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응답신호에 따라 캐릭터 상태가 변화시킬 수도 있다.The action character 3 and the character image 4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health index of the character or the relationship index with the user, or the character stat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메모리부에서는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한다.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memory unit outputs a message requesting the user's response to the display unit 3.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서 출력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로 사용자의 응답신호가 전달하고, 상기 음성신호생성부(50)에서 음성신호를 생성한다.A user's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unit through the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 messag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3, and the voice signal generator 50 generates a voice signal.

상기 음성신호는 휴대단말기(2)의 음성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단자부(40)를 통해 상기 회로부(30)로 전달된다.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ircuit unit 30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connected to the voice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2. [

상기 회로부(30)에서는 상기 신호변환부(311)에서 상기 음성신호를 구동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제1동작부(13a) 또는 제2동작부(13b)가 동작하게 된다.In the circuit unit 30, the signal converting unit 311 converts the audio signal into a driving signal, and the first operating unit 13a or the second operating unit 13b oper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이에 따라 캐릭터의 눈을 깜빡이거나 귀를 움직일 수 있다.As a result, you can blink your character's eyes or move your ears.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되는 메시지는 음식, 놀이, 휴식 등을 요구할 수 있으며 말풍선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mess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 may require food, play, rest, etc., and may be expressed as a speech balloon.

캐릭터가 음식을 섭취한 후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용자에게 음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한다.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character has consumed the food, a message requesting the user to display the food on the display unit 3 is display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다양한 음식들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캐릭터가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여 줄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food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 and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food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사용자는 선택한 음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되어 있는 그릇에 놓을 수도 있고, 캐릭터 영상(4)의 다른 부위에 놓을 수도 있다.The user may place the selected food in a bow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 or on another part of the character image 4. [

이에 따라 상기 캐릭터는 각기 다른 반응을 표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haracter can express a different reaction.

이러한 사용자의 반응에 의해 사용자의 응답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부에 입력되고, 상기 응답정보에 따라 상기 캐릭터 영상(4)은 다양한 동작을 표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user, the user's respons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emory unit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he character image 4 can express various operations according to the response information.

뿐만 아니라 상기 메모리부에 사용자 응답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패턴의 음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단자부(40)를 통해 상기 회로부(30)로 전달되어 상기 동작 캐릭터(3)의 눈이 깜빡이거나 귀가 움직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spons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emory unit, the application generates a voice signal of a specific pattern, and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ircuit unit 30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Blinking or moving ears.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용자에게 놀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한다.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user executes the application, a message requesting pla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실제 동물과 함께 놀이를 하는 것처럼 간지럼 태우기, 쓰다듬기 등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의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캐릭터 영상(4)이 움직이고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눈을 깜빡이거나 귀를 움직여 사용자가 캐릭터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user can use the touch screen to perform tickling, stroking, and the like as if playing with an actual animal. The character image 4 moves according to a response signal of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generates a voice signal You can see the character's reaction instantly by blinking or moving your ears.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수면모드를 포함한다.The application also includes a sleep mode.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 캐릭터의 피로함을 표시한다.And displays the tiredness of the character on the display unit 3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passed aft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2)를 흔들면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휴대단말기(2)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이러한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수면모드가 시작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shakes the portable terminal 2,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2 is detected by the gyro sensor, and the sleep mode is started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이때, 상기 송화용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소리가 동시에 입력되게 되는데, 상기 송화용 마이크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소리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일정 값보다 크면 상기 수면모드가 시작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At this time, external sounds are simultaneously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for transmission. If the size of the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icrophone for transmission is larger than a preset predetermined value, the time for starting the sleep mode is increased.

이와 같이 상기 수면모드가 시작된 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종료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pplication automatically terminates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leep mode is started.

전술한 다양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빈도나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이용 횟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time set for displaying the various messages described above may vary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interface unit, and the like.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smart toy driv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휴대단말기, 2 : 디스플레이부, 3 : 동작 캐릭터, 4 : 캐릭터 영상
10 : 기구부, 11 : 고정부, 12a : 제1구동축, 12b : 제2구동축, 13a : 제1동작부, 13b : 제2동작부,
20 : 구동부, 20a : 제1구동부, 20b : 제2구동부, 21 : 요크, 211 : 메인요크, 212 : 서브요크, 22 : 마그네트, 23 : 코일,
30 : 회로부, 31 : 실장부, 311 : 신호변환부, 32 : 탄성부,
40 : 단자부,
50 : 음성신호생성부,
1: portable terminal, 2: display unit, 3: operation character, 4: character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moto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The electric motor includes a driving unit, a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unit, a second driving unit, a yoke, a main yoke,
30: circuit part, 31: mounting part, 311: signal converting part, 32: elastic part,
40: terminal portion,
50: a voice signal generator,

Claims (3)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특정 패턴의 파형을 갖는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음성신호생성부와;
휴대단말기의 음성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음성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음성신호의 파형에 따라 미리 지정된 특정 동작을 구현하도록 기구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
A voice signal generation unit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a voice signal having a waveform of a specific pattern;
A terminal unit connected to a voice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voice signal generation unit;
A signal converting unit which receives the audio signal from the terminal unit and converts the audio signal into a driving signal;
A driving unit that receives the driving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ting unit and operates the mechanical unit to implement a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a waveform of the audio signal; Wherein the smart toy driving system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생성부는 휴대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signal generator is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a memor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는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로 이루어진 스테레오 신호이며,
상기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는 동시에 하나의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스마트 토이 구동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udio signal is a stereo signal composed of a first audio signal and a second audio signal,
Wherein the first voice signal and the second voice signal simultaneously operate one of the driving units.



KR1020130015183A 2013-02-13 2013-02-13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 KR201400623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83A KR20140062398A (en) 2013-02-13 2013-02-13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83A KR20140062398A (en) 2013-02-13 2013-02-13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489A Division KR101272582B1 (en) 2012-11-14 2012-11-14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98A true KR20140062398A (en) 2014-05-23

Family

ID=5089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183A KR20140062398A (en) 2013-02-13 2013-02-13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239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701A (en) * 2015-10-0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o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701A (en) * 2015-10-0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582B1 (en)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
US10062247B2 (en) Vibration generation system,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vibration generation program, and vibration generation method
JP5574865B2 (en) Toy set, game control program
JP6092506B2 (en) Tactilely enhanced interactivity of interactive content
KR101275740B1 (en) Smart toy for portable device
WO2008042671A2 (en) Interactive toy system
KR2004006260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in interacting with virtual pets
AU2006230693A1 (en) Interactive toy system
KR20140062398A (en) Smart toy drive system for portable device
US20150220663A1 (en) Computer-interactive building system
KR101438481B1 (en) Drum toy for portable device
KR101940447B1 (en) Multi fuction character doll having multi media player function
KR101474992B1 (en) Toy game method for portable device
EP1250179B1 (en) Interacting toy figure for computer users
US20180350261A1 (en) Behavior encouragement system and methods
KR101416295B1 (en) Dancing toy for portable device
TWI412393B (en) Robot
KR101419038B1 (en) toy control method with scenario instruction
KR20040033517A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 toy using Web
CN111514590A (en) Toy
US20140011423A1 (en)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toys
JP3154555U (en) EEG induction device
Park et al. Designing for Interaction: A Robot Toy for Children: A Robot Toy for Children
Keller et al. Children's Hospital Animatronic
JP2001060131A (en) Doll type controller and gam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