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803A - 프로젝션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803A
KR20140061803A KR1020120128881A KR20120128881A KR20140061803A KR 20140061803 A KR20140061803 A KR 20140061803A KR 1020120128881 A KR1020120128881 A KR 1020120128881A KR 20120128881 A KR20120128881 A KR 20120128881A KR 20140061803 A KR20140061803 A KR 20140061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een
image
curvature
curvatur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영
박준석
김성태
노정호
허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1803A/ko
Priority to US13/915,840 priority patent/US20140132935A1/en
Publication of KR2014006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형성하여 확대 투사하는 영상투사유닛, 상기 영상투사유닛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유닛 및 상기 영상투사유닛 및 상기 스크린유닛이 통합적으로 장착되는 장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유닛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션 장치{PRO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유닛이 일체로 구비된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장치는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영상투사유닛과 투사된 영상을 비추는 스크린이 서로 분리되어 구비된다.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이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 스크린은 액자형 프레임 등에 고정되어 벽에 매달리거나 또는 별도의 수납가구 등에 고정되며, 영상투사유닛은 스크린 전방에 별도의 수납장치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는 스크린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등의 구조물이 스크린에 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러한 프로젝션 장치는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이 분리되어 있어서 상호간의 위치를 제어해주는 연결 구조물이 없어 장치의 구동시마다 화면을 맞추는 작업이 선행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는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이 분리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하나의 세트라는 인식을 심어주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는 3차원 입체 영상 효과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멀티 렌즈를 사용하는 광학 방식이나 회로 구동방식 등 추가적인 방식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비용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유닛이 일체로 구비되며 저비용으로 3차원 입체 영상 효과를 구현하는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로서, 영상을 형성하여 확대 투사하는 영상투사유닛, 상기 영상투사유닛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유닛 및 상기 영상투사유닛 및 상기 스크린유닛이 통합적으로 장착되는 장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유닛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유닛은,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며,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측이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상기 스크린 부착부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부착부는,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전방 플레이트,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벌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다수의 홈이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유닛의 곡률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률조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률조정유닛은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곡률조정유닛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곡률조정유닛은, 상기 후방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돌출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체결부는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를 마주보며,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후면을 마주보는 측면 중앙이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후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곡률조정유닛은 상기 장착유닛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유닛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영상투사유닛 및 상기 스크린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덮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에는 상기 곡률조정유닛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부에는 상기 장착부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영상투사유닛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통과하는 커버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유닛이 일체로 구비되며 저비용으로 3차원 입체 영상 효과를 구현하는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젝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로젝션 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크린유닛에 구비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크린 부착부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크린 부착부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스크린유닛이 장착된 장착 브래킷을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크린유닛이 장착된 장착 브래킷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스크린유닛에 구비된 곡률조정유닛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1의 스크린유닛에 장착되는 곡률조정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곡률조정유닛을 통한 스크린유닛의 곡률 조정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사시도이다.
프로젝션 장치(10)는 영상투사유닛(100), 스크린유닛(200), 및 장착유닛(300)을 포함한다.
영상투사유닛(100)은 영상을 형성하여 확대 투사하기 위한 광학시스템을 포함한다. 영상투사유닛(100)에 대해서는 하기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스크린유닛(200)은 영상투사유닛(100)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한다. 스크린유닛(200)은 영상투사유닛(100)과 함께 프로젝션 장치(10)에 일체로 장착된다. 스크린유닛(200)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스크린유닛(200)은 곡면스크린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젝션 장치(10)는 이러한 곡면스크린 구현을 통해 별도의 추가적인 3차원 입체 형상 효과를 구현하는 매커니즘을 추가시키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3차원 입체 영상 효과와 같은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곡면스크린은 물리적인 깊이감을 통해 차별화된 입체 영상 표현이 가능하며 스크린 전 영역에서 사용자의 눈까지 거리가 동일하여 사용자의 편안한 시청이 가능할 수 있다.
스크린유닛(200)에 대해서는 하기 도 3 내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장착유닛(300)은 프로젝션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하나의 장착유닛(300) 내에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함께 장착되므로, 사용자에게 프로젝션 장치(10)가 하나의 단일 세트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장착유닛(300)에는 영상투사유닛(100)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통과될 수 있는 커버 글래스(350)가 구비된다. 커버 글래스(35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영상투사유닛(100)으로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장착유닛(300)에는 영상투사유닛을 구동이나 제어를 위한 각종 회로보드(미도시) 및 내부 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미도시)이 더 장착된다.
도 2는 도 1의 프로젝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영상투사유닛(100)은 광학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학시스템은, 조명유닛(미도시), 영상형성유닛(미도시), 투사렌즈유닛(150), 및 비구면미러(170)를 포함한다.
조명유닛은 영상 형상에 사용될 광을 생성한다. 이에 조명유닛은 적색광, 청색광 및 녹색광을 각각 생성하는 레드(R)-LED, 블루(B)-LED 및 그린(G)-LED를 광원으로서 구비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조명유닛은 광원으로서 3개의 LED들을 구비하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조명유닛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램프(예로써, 아크 램프, 할로겐 램프 등)와 같은 다른 유형의 광원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영상형성유닛은 DMD 패널로 구비된다. DMD 패널은 수 많은 마이크로미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마이크로미러는 각각의 영상 화소(image pixel)에 대응한다. 영상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미러들의 온-오프 동작함으로써 조명유닛이 생성한 광으로부터 영상이 형성된다. 영상투사유닛은 조명유닛이 생성한 백색광을 영상형성유닛을 향해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미러(미도시)를 포함한다.
투사렌즈유닛(150)은 영상형성유닛이 형성한 영상을 비구면미러(170)를 향해 확대 투사한다. 그리고, 투사렌즈유닛(150) 내에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한 다수의 투사렌즈들(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비구면미러(170)는 투사렌즈유닛(150)에 의해 확대 투사된 영상을 커버 프레임(340)에 구비된 커버 글래스(350)을 통해 스크린유닛(200) 상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영상투사유닛(100)은 비구면미러(170)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스크린유닛(200)과의 거리가 훨씬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프로젝션 장치(10)는 영상투사유닛(100)과 스크린유닛(200)을 장착유닛(300)에서 서로 가깝게 배치시킬 수 있어 장치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장착유닛(300)은 베이스 프레임(320), 커버 프레임(340), 및 장착 브라켓(36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320)은 장착 브라켓(360)을 수용하며, 커버 프레임(340)과 결합되어 프로젝션 장치(1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베이스 프레임(320)의 외관은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340)은 베이스 프레임(320)을 덮으며, 베이스 프레임(320)과 함께 프로젝션 장치(1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커버 프레임(340)은 영상투사유닛(100)으로부터의 영상이 스크린 유닛(200)으로 투사될 수 있게 앞서 살펴 본 커버 글래스(350)를 포함한다.
장착 브라켓(360)은 베이스 프레임(320)에 장착된다. 장착 브라켓(360)에는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프로젝션 장치(10) 내에 통합 형성될 수 있게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장착된다. 또한, 장착 브라켓(360)에는 곡률조정유닛(500)도 장착된다. 장착 브라켓(350)에 대해서는 하기 도 7 및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그리고, 곡률조정유닛(500)에 대해서는 하기 도 8 내지 도 13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베이스 프레임(320), 커버 프레임(340), 및 장착 브라켓(360)은 모두 아연도금강판(SECC)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은 디자인이나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로젝션 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유닛(200)은 스크린(220) 및 스크린 부착부(260)를 포함한다.
스크린(220)은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스크린(220)을 통해 원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스크린(220)은 화이버 글라스 섬유, PE 필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스크린 부착부(260)는 스크린(220)의 후면(220a)에 부착되어 스크린(220)을 지지한다. 스크린 부착부(260)는 스크린(220)을 지지하며, 스크린(220)의 일면에 굴곡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스크린(220)의 굴곡 현상은 스크린(220)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일으킬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스크린(220)이 스크린 부착부(260)에 부착되어 접촉 지지되므로, 이러한 굴곡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스크린 부착부(260)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좌우 방향에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스크린 부착부는 상하 방향에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부착부는 좌우 및 상하 방향 모두에서 만곡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크린 부착부에 스크린이 부착되면, 스크린은 표면이 구면 형태를 띄게 되며, 사용자의 영상에 대한 몰입감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스크린(220)은 접착 방식을 통해 스크린 부착부(260)에 부착되며, 접착 방식은 라미네이팅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220)의 접착은 스크린(220)이 스크린 부착부(26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접착도 이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3의 스크린유닛에 구비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부착부(260)는 전방 플레이트(262), 후방 플레이트(264), 및 강도보강부재(266)를 포함한다.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는 강도보강부재(266)가 사이에 배치되게 결합 장착된다.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는 곡면스크린 구현을 위해 모두 좌우 방향에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다.
강도보강부재(266)는 스크린 부착부(260)의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 스크린 부착부(26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강도보강부재(266)는 전방 플레이트(262)와 후방 플레이트(264) 사이에 배치되며, 강도보강부재(266) 역시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다.
강도보강부재(266)는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에 부착되며, 예로써,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찹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266)는 다수의 셀들(267)을 가지며, 각각의 셀(267)은 육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강도보강부재(266)는 전체적으로 볼 때 벌집(허니컴)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 셀(267)의 형상은 다양한 다른 형상들로 변경될 수 있으며, 예로써 다른 기둥 형상(예로써 사각 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266)는 강도가 뛰어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강도보강부재(266)는 다른 금속 물질들 또는 비금속 물질들(예로써 플라스틱)로 제조될 수도 있다.
강도보강부재(266) 이외에도, 스크린 부착부(260)를 이루는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 역시 강도가 뛰어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 역시 다른 금속 물질들 또는 비금속 물질들(예로써 플라스틱)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처럼 벌집 형상을 가진 강도보강부재(266)가 스크린 부착부(260)의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스크린 부착부(26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스크린 부착부(260)는 벌집 형상을 가진 강도보강부재(266)으로 인해 스크린 부착부(26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스크린유닛(200)의 베젤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스크린유닛(200)의 전체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스크린유닛(200)의 얇은 베젤 두께 및 경량화을 통해 가볍고 슬림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스크린 부착부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안적인 강도보강부재(266A)는 물결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강도보강부재(266A)는 볼록부(268a)와 오목부(268b)가 번갈아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볼록부(268a) 및 오목부(268b)는 강도보강부재(266A)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두 개의 볼록부(268a) 사이에 하나의 오목부(268b)가 배치되고 두 개의 오목부(268b) 사이에 하나의 볼록부(268a)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강도보강부재(266A)는 도 4의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 사이 배치를 위해 좌우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다.
도 6은 도 4의 스크린 부착부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대안적인 강도보강부재(266B)는 계란판(egg plate)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강도보강부재(266B)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볼록부(269a) 및 다수의 오목부(269b)를 포함하며, 4개의 볼록부(269a) 사이에 1개의 오목부(269b)가 배치되고 4개의 오목부(269b) 사이에 1개의 볼록부(269a)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강도보강부재(266B)는 도 5의 강도보강부재(266A)와 같이 도 4의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 사이 배치를 위해 좌우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 단지 세 가지 강도보강부재(266, 266A, 266B)를 소개하지만, 스크린유닛(200)의 강도 향상 및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상의 강도보강부재가 또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스크린유닛이 장착된 장착 브래킷을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스크린유닛이 장착된 장착 브래킷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착 브라켓(360)에는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링유닛(200)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장착 브라켓(360)은 하부에서 영상투사유닛(100)을 안착시켜 고정시키고, 상부에서 스크린유닛(200)을 고정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는 곡률조정유닛(500)이 배치된다.
곡률조정유닛(500)은 제1 곡률조정유닛(500A) 및 제2 곡률조정유닛(500B)를 포함한다.
곡률조정유닛(500)은 스크린유닛(200)의 곡률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린유닛(200)의 후방에 구비된다. 곡률조정유닛(500)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곡률조정유닛이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곡률조정유닛(500)은 앞선 제1 곡률조정유닛(500A) 및 제2 곡률조정유닛(500B)으로 2개가 구비된다.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은 돌출부(540a, 540b), 지지 플레이트(520a), 및 체결부(560a, 560b)를 포함한다.
돌출부(540a, 540b)는 제1 돌출부(540a) 및 제2 돌출부(540b)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돌출부(540a, 540b)는 두 개가 구비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는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세 개 이상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돌출부(540a)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 즉, 후방 플레이트(264; 도 4에 도시)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1 돌출부(540a)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서 상부 가장자리 근처에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540a)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 상부 가장자리 좌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돌출부(540a)는 보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제1 체결부(560a)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 형상이며, 제1 체결부(560a)와의 체결을 위해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돌출부(540b)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서 스크린유닛(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돌출부(540a)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다. 제2 돌출부(540b)는 제1 돌출부(540a)와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540b)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 상부 가장자리 우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돌출부(540b)는 제1 돌출부(540a)와 같이 보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제2 체결부(560b)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 형상이며, 제2 체결부(560b)와의 체결을 위해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돌출부(540a) 및 제2 돌출부(560b)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장착되어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제1 돌출부(540a) 및 제2 돌출부(560b)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 즉, 후방 플레이트(264; 도 4에 도시)과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지지 플레이트(520a)는 스크린유닛(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수직부(522a), 제1 수평부(524a), 및 제2 수평부(526a)를 포함한다.
수직부(522a)는 제1 돌출부(540a) 및 제2 돌출부(540b)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수직부(522a)에는 후술하는 제1 체결부(560a) 및 제2 체결부(560b)가 각각 관통되는 제1 관통홀(523a; 도 11) 및 제2 관통홀(523b; 도 11)이 형성된다.
제1 수평부(524a)는 수직부(522a)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며, 제2 수평부(526a)는 수직부(522a)의 타단부에서 연장된다. 제1 수평부(524a) 및 제2 수평부(526a)는 스크린유닛(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체결부(560a, 560b)는 제1 체결부(560a) 및 제2 체결부(560b)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체결부(560a, 560b)는 두 개가 구비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는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세 개 이상의 체결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체결부(560a) 및 제2 체결부(560b)는 각각 제1 돌출부(540a) 및 제2 돌출부(540b)와 스크류 결합된다. 제1 체결부(560a) 및 제2 체결부(560b)는 각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돌출부(540a) 및 제2 돌출부(540b)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돌출부(540a) 및 제2 돌출부(540b)에 고정된 스크린유닛(200)은 상부 가장자리 양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크린유닛(200)의 전후 방향의 이동 동작에 관한 설명은 이하 도면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은 제1 곡률조정유닛(500A)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 하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은 스크린유닛(200)의 상하 방향에서 제1 곡률조정유닛(500A)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은 제1 곡률조정유닛(500A)과 같이 돌출부(540c, 540d), 지지 플레이트(520b), 및 체결부(560c, 560d)를 포함한다.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은 제1 곡률조정유닛(500A)과 유사하며, 이하, 제1 곡률조정유닛(500A)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돌출부(540c, 540d)는 제1 곡률조정유닛(500A)과 같이 제1 돌출부(540c) 및 제2 돌출부(540d)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540c)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서 하부 가장자리 근처에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540c)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 하부 가장자리 좌측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돌출부(540c)는 스크린유닛(200)의 상하 방향에서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1 돌출부(540a)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1 돌출부(540c)는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1 돌출부(540a)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된다.
제2 돌출부(540d)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 하부 가장자리 우측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2 돌출부(540d)는 스크린유닛(200)의 상하 방향에서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2 돌출부(540b)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2 돌출부(540d)는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2 돌출부(540b)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된다.
결국,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1 돌출부(540a),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2 돌출부(540b),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1 돌출부(540c), 및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2 돌출부(540d)는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지지 플레이트(520b)는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지지 플레이트(520a)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스크린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지지 플레이트(520b) 역시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지지 플레이트(520a)와 같이 수직부(522b), 제1 수평부(524b), 및 제2 수평부(526b)를 포함한다.
제2 수평부(526b)에는 장착 브라켓(360)과의 결합을 위해 한 쌍의 장착홈(580a, 580b)이 형성된다. 장착 브라켓(360)에는 한 쌍의 장착홈(580a, 580b)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부(362, 364)가 형성된다. 한 쌍의 장착부(362, 364)는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장착부(362, 364)는 제2 수평부(526)의 장착홈(580a, 580b)에 각각 장착된다.
장착 브라켓(360)은 장착부(362, 364)의 제2 수평부(526b)와의 결합을 통해 스크린유닛(20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장착 브라켓(360)은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 접착 등의 방식으로 직접 장착되어 스크린유닛(200)을 지지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체결부(560c, 560d)는 제1 체결부(560c) 및 제2 체결부(560d)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560c) 및 제2 체결부(560d)는 각각 제1 돌출부(540c) 및 제2 돌출부(540d)와 스크류 결합된다. 제1 체결부(560c) 및 제2 체결부(560d)는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돌출부(540c) 및 제2 돌출부(540d)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돌출부(540c) 및 제2 돌출부(540d)에 고정된 스크린유닛(200)은 하부 가장자리 양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스크린유닛에 구비된 곡률조정유닛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지지 플레이트(520a)는 수직부(522a)의 중심부근이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 접촉 지지된다. 스크린유닛(200)은 후면(202) 중심부가 수직부(522a)에 접촉 지지되므로, 곡률조정유닛(500)을 통한 스크린유닛(200)의 곡률 조정시, 도 13과 같이 스크린유닛(2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제1 곡률조정유닛(500A) 및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은 스크린유닛(200)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1 체결부(560a),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2 체결부(560b),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1 체결부(560c), 및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2 체결부(560c)는 스크린 유닛(200)의 후면(202)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11은 도 1의 스크린유닛에 장착되는 곡률조정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곡률조정유닛(500A)과 스크린유닛(200)의 결합은 먼저, 제1 돌출부(540a)와 제2 돌출부(540b)를 마주보게 지지 플레이트(520a)가 배치된 후, 제1 체결부(560a)와 제2 체결부(560b)가 각각 지지 플레이트(520a)의 제1 관통홀(523a)과 제2 관통홀(523b)을 관통하여 제1 돌출부(540a)와 제2 돌출부(540b)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520a)는 앞선 도 10과 같이 수직부(522a)의 중심부근이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 접촉 지지된다.
제2 곡률조정유닛(500B)와 스크린유닛(200)의 결합은 제1 곡률조정유닛(500A)과 같이, 먼저, 제1 돌출부(540c)와 제2 돌출부(540d)를 마주보게 지지 플레이트(520b)가 배치된 후, 제1 체결부(560c)와 제2 체결부(560d)가 각각 지지 플레이트(520b)의 제1 관통홀(523c)과 제2 관통홀(523d)을 관통하여 제1 돌출부(540c)와 제2 돌출부(540d)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520b)는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지지 플레이트(520a)와 같이 수직부(522b)의 중심부근이 스크린유닛(200)의 후면(202)에 접촉 지지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곡률조정유닛을 통해 스크린유닛의 곡률 조정을 도시한 도이다.
프로젝션 장치(10; 도 1에 도시)는 설치되는 장소나 스크린유닛(200)의 곡률 편차 등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에 왜곡이 생길 수 있다. 곡률조정유닛(500; 도 8에 도시)은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스크린유닛(200)의 곡률을 조정하여 이러한 영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1 체결부(560a)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돌출부(540a)를 전후 방향(A)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540a)의 이동에 따라, 스크린유닛(200) 역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에는 스크린유닛(200)의 상부 가장자리 좌측 부근에 배치된 곡률조정유닛(500; 도 8에 도시)을 보여준다.
프로젝션 장치(10; 도 1에 도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2 체결부(560b),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1 체결부(560c), 및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2 체결부(560d) 또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2 돌출부(540b),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1 돌출부(540c), 및 제2 곡률조정유닛(500B)의 제2 돌출부(540d)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크린유닛(200)은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1 체결부(560a)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통해 좌측 상부 가장자리 부근이 전후 방향(d1)으로 이동되며,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2 체결부(560b)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통해 우측 상부 가장자리 부근이 전후 방향(d2)으로 이동된다.
또한, 스크린유닛(2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곡률조정유닛(500B; 도 8에 도시)의 제1 체결부(560c), 제2 체결부(560d)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통해 좌측과 우측 하부 가장자리 부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프로젝션 장치(10; 도 1에 도시)는 스크린유닛(200)의 상하 좌우 가장자리의 네 방향에서 독립적으로 스크린유닛(200)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로젝션 장치(10; 도 1에 도시)에서 표시되는 영상 시청시, 특정 부분에서 영상의 왜곡이 발생되는 경우, 제1 곡률조정유닛(500A)의 제1 체결부(560a)와 제2 체결부(560b), 제2 곡률조정유닛(500B; 도 8에 도시)의 제1 체결부(560c; 도 8에 도시)와 제2 체결부(560d; 도 8에 도시) 중에서 왜곡이 발생된 특정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체결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왜곡이 발생된 특정 부분에서의 스크린유닛(200)의 곡률을 조정하는 것을 통해 영상의 왜곡을 없앨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프로젝션 장치 100: 영상투사유닛
200: 스크린유닛 220: 스크린
260: 스크린 부착부 300: 장착유닛
320: 베이스 프레임 340: 커버 프레임
350: 커버 글래스 360: 장착 브라켓
500: 곡률조정유닛 500A: 제1 곡률조정유닛
500B: 제2 곡률조정유닛

Claims (19)

  1.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형성하여 확대 투사하는 영상투사유닛;
    상기 영상투사유닛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유닛; 및
    상기 영상투사유닛 및 상기 스크린유닛이 통합적으로 장착되는 장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유닛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은,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며,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측이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상기 스크린 부착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착부는,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전방 플레이트;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벌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다수의 홈이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유닛의 곡률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률조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조정유닛은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곡률조정유닛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조정유닛은,
    상기 후방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돌출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체결부는 스크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를 마주보며,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후면을 마주보는 측면 중앙이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후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조정유닛은 상기 장착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영상투사유닛 및 상기 스크린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덮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에는 상기 곡률조정유닛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부에는 상기 장착부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영상투사유닛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통과하는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KR1020120128881A 2012-11-14 2012-11-14 프로젝션 장치 KR20140061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881A KR20140061803A (ko) 2012-11-14 2012-11-14 프로젝션 장치
US13/915,840 US20140132935A1 (en) 2012-11-14 2013-06-12 Proj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881A KR20140061803A (ko) 2012-11-14 2012-11-14 프로젝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803A true KR20140061803A (ko) 2014-05-22

Family

ID=5068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881A KR20140061803A (ko) 2012-11-14 2012-11-14 프로젝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32935A1 (ko)
KR (1) KR201400618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365A1 (ko) * 2014-07-15 2016-01-21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US9320138B2 (en) 2011-12-19 2016-04-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7377B2 (en) 2005-09-08 2014-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10276170B2 (en) 2010-01-18 2019-04-3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EP3809407A1 (en) 2013-02-07 2021-04-21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10460227B2 (en) 2015-05-15 2019-10-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613422B2 (en) * 2015-12-11 2020-04-07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JP6648548B2 (ja) * 2016-02-12 2020-02-14 株式会社オーエスエム 映像表示装置
US11227589B2 (en) 2016-06-06 2022-01-18 Apple Inc. Intelligent list reading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WO2018008199A1 (ja) * 2016-07-04 2018-0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投写光学系および画像投写装置
US11204787B2 (en) 2017-01-09 2021-12-21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201770383A1 (en) 2017-05-09 2018-12-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ORRECTING RECOGNITION ERRORS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DK179549B1 (en) 2017-05-16 2019-02-12 Apple Inc.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CN107831837A (zh) * 2017-11-28 2018-03-23 慧投科技(深圳)有限公司 护眼显示器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1010561B2 (en) 2018-09-27 2021-05-18 Apple Inc. Sentiment prediction from textual data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1475898B2 (en) 2018-10-26 2022-10-18 Apple Inc. Low-latency multi-speaker speech recognition
US11638059B2 (en) 2019-01-04 2023-04-25 Apple Inc. Content playback on multiple devices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475884B2 (en) 2019-05-06 2022-10-18 Apple Inc.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US11423908B2 (en) 2019-05-06 2022-08-23 Apple Inc. Interpreting spoken request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US11496600B2 (en) 2019-05-31 2022-11-08 Apple Inc. Remote execution of machine-learned models
US11289073B2 (en) 2019-05-31 2022-03-29 Apple Inc. Device text to speech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11360641B2 (en) 2019-06-01 2022-06-14 Apple Inc. Increasing the relevance of new available information
WO2021056255A1 (en) 2019-09-25 2021-04-01 Apple Inc.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038934B1 (en) 2020-05-11 2021-06-15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KR20220090974A (ko) * 2020-12-23 2022-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2971A (en) * 1964-12-28 1968-03-12 Nat Distillers Chem Corp Optical system and materials
US4498734A (en) * 1982-09-13 1985-02-12 William C. McGeehon Mean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lected image containment
US5502481A (en) * 1992-11-16 1996-03-26 Reveo, Inc. Desktop-based projection display system for stereoscopic viewing of displayed imagery over a wide field of view
US5833340A (en) * 1994-09-06 1998-11-10 Hitachi, Ltd. Sensory integration system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concave mirror for use in the same system
NL1009506C2 (nl) * 1998-06-26 2000-01-04 Evolution Technology N V I O Weergave-inrichting.
US6530664B2 (en) * 1999-03-03 2003-03-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grated front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dry erase screen configuration
US6188517B1 (en) * 1999-05-06 2001-02-13 Phillips Petroleum Company Three-dimensional hybrid screen having multiple viewing sections
US6530667B1 (en) * 2000-02-08 2003-03-11 Elumens Corporation Optical projection system including projection dome
US6751019B2 (en) * 2001-06-11 2004-06-15 Scram Technologies, Inc. Ultrathin mesh optical panel and a method of making an ultrathin mesh optical panel
TW591321B (en) * 2002-01-21 2004-06-11 Beauty Up Co Ltd Projecting device
US6865023B2 (en) * 2002-10-29 2005-03-08 Eugene Lee Shafer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images to create a visual effect and methods of use
US7111943B2 (en) * 2003-07-28 2006-09-26 Eastman Kodak Company Wide field display using a scanned linear light modulator array
JP3921205B2 (ja) * 2004-01-13 2007-05-30 株式会社イフ 立体映像表示装置
BE1016057A3 (nl) * 2004-05-27 2006-02-07 Polyvision Nv Verbeterd visueel communicatie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ervan.
JP2006133273A (ja) * 2004-11-02 2006-05-25 Olympus Corp 投射型表示システム
US7766483B2 (en) * 2005-04-06 2010-08-03 Suresh Balu Optical projection system and methods for configuring the same
CA2653125C (en) * 2006-06-08 2012-04-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Image display device
JP4467609B2 (ja) * 2006-09-29 2010-05-26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投写型表示システム
JP4464948B2 (ja) * 2006-10-13 2010-05-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写型映像表示システム
JP5444963B2 (ja) * 2008-11-26 2014-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CN101776839B (zh) * 2009-01-08 2012-06-20 日立民用电子株式会社 倾斜投射光学系统及使用该系统的投射型图像显示装置
GB0919714D0 (en) * 2009-11-11 2009-12-30 Gamesman Ltd Topper for an entertainment machine
USD662649S1 (en) * 2010-07-16 2012-06-26 C.S.A. Photonics Limited Lighting projector
TWM427341U (en) * 2011-11-09 2012-04-21 Ashima Ltd Mounting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brake block
KR20140021788A (ko) * 2012-08-10 2014-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0138B2 (en) 2011-12-19 2016-04-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9608231B2 (en) 2011-12-19 2017-03-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9711752B2 (en)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10181575B2 (en) 2011-12-19 2019-01-15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WO2016010365A1 (ko) * 2014-07-15 2016-01-21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2935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1803A (ko) 프로젝션 장치
US798499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50280784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JP6994841B2 (ja) 映像表示装置のマウント構造
KR20140097134A (ko)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841582B2 (en) Display device
EP3457201A1 (en) Display apparatus
EP3497514B1 (en) Display device with backlight unit
US20070242351A1 (en) Screen, rear projecto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4692040B2 (ja) 液晶表示装置
US9547221B2 (en) Video projection device
US2011026768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20229771A1 (en) Projector and image display system
JP2011022530A (ja) プロジェクタ
JP5622498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40043678A1 (en) Projection apparatus including integrated image projection unit and screen unit
JP2012108270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30375854A1 (en) Space floating video display apparatus and light source apparatus
EP2570828A1 (en) Display apparatus with a backlight unit for decreasing variations in brightness
JP6984619B2 (ja) 虚像表示装置
JP5077447B2 (ja) 立体画像投影用の表示装置
US1069825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plit-type backlight module
WO2005067631A2 (en) Fresnel lens having reduced distortions
JP2010191369A (ja) 画像表示装置
JP2012042598A (ja) 反射型再帰性フロントスクリーンおよび反射型立体表示用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