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555A -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555A
KR20140061555A KR1020147011777A KR20147011777A KR20140061555A KR 20140061555 A KR20140061555 A KR 20140061555A KR 1020147011777 A KR1020147011777 A KR 1020147011777A KR 20147011777 A KR20147011777 A KR 20147011777A KR 20140061555 A KR20140061555 A KR 2014006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protrusion
ridges
rid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랄프 카메르비크
존 헨리 프라만드
안제니타 도로시아 포스트 반 룬
헨드릭 코르넬리스 코엘링
아렌드 코넬리스 야코부스 비에슈벨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claimed from PCT/NL2009/05081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137946A1/en
Publication of KR2014006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4Sealing means for the interface with the processing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에 사용되고,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캡슐은 원주벽 및 상기 원주벽의 제1단에서 상기 원주벽을 막는 바닥을 포함하는 컵과 사용시 바닥 반대편의 원주벽의 제2단에서 상기 컵과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원주벽, 상기 바닥 및 상기 뚜껑은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감싸고, 상기 용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고안된 상기 캡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제공되어 상기 용기와의 밀봉접합을 형성시킨다.

Description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시스템 및 방법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본 발명은 추출 가능한 제품(extractable product)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量)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capsule),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제조장치(beverage brewing device)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 하에서, 일정량의 음료 성분(beverage ingredient)을 포함하는 캡슐에 물과 같은 액체를 공급하여 커피와 같은 음료를 제조하는 시스템은 알려져 있다. 보통, 음료제조장치는 캡슐을 감싸기 위한 감쌈 부재(enclosing member)와 같이 캡슐을 수용(receiving)하는 용기(receptacle)를 포함한다. 사용시 캡슐과 감쌈 부재 사이에 밀봉접합(sealing engagement)이 형성되어, 물 또는 음료와 같은 액체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밀봉접합은 보통 캡슐과 감쌈 부재를 맞대고 접촉 부분의 주변을 둘러싸는 선(circumferential line of contact)을 따라서 압력을 가하여 얻어진다.
밀봉접합 위치에서의 감쌈 부재의 재료(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물질)로 캡슐의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보다 연성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례로 이런 시스템은 EP 1 203 554에서 알 수 있다. 이런 케이스에서는 밀봉접합 위치에서 감쌈 부재의 재료는 압축될 수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밀봉접합 위치에서의 감쌈 부재의 재료가 마모, 열화(degradation) 및/또는 파울링(fouling)되어 음료제조장치가 사용될수록 밀봉접합의 질이 악화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은 밀봉접합 위치에서의 감쌈 부재의 재료(예를 들어, 금속)를 캡슐의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보다 강성인 것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극복할 수 있다. 실례로 이러한 시스템은 FR 2 617 389에서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밀봉접합 위치에서의 캡슐의 재료가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좋은 밀봉접합을 얻으면서도 밀봉접합 위치에서의 감쌈 부재의 재료가 덜 마모, 열화 및/또는 파울링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특히 밀봉접합 위치에서의 캡슐의 재료가 원주벽(circumferential wall)의 재료와 동일할 때에는 매우 쉽게 캡슐을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은 밀봉접합 위치에서 감쌈 부재가 스크래치, 틈새(crevice), 뭉친 파울(caked-on foul), 돌출(protrusion) 또는 이와 같은 불균일(irregularity)을 가진다면 밀봉접합이 업셋(upset)될 수도 있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보완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과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에 사용되도록 고안된 캡슐, 즉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고, 캡슐과 용기 사이의 접합(engagement)을 개선하여 용기 및/또는 캡슐 표면의 불균일(irregularity)에 의한 누수를 완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에 사용되고,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이 제공된다. 캡슐은 원주벽(circumferential wall) 및 원주벽의 제1단에서 원주벽을 막는 바닥을 포함하는 컵과, 사용시 바닥 반대편의 원주벽의 제2단에서 컵과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원주벽, 바닥 및 뚜껑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감싸고, 용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고안된 캡슐 표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rojection)가 제공되어 용기와의 밀봉접합(sealing engagement)을 형성시킨다.
용기의 표면과 상호작용을 하도록 고안된 캡슐의 표면 위에 국부(local) 돌출부를 제공하면 용기 표면의 표면 불균일이 효과적으로 완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국부적 리세스(recess), 국부적 돌출, 금(crack), 파열(burst), 국부적 마모 등(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각각 다른 종류의 표면 불균일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불균일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것 같은 위치의 캡슐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는 컵의 외측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컵이 원주벽의 제2단에서 원주벽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flange) 형상의 테두리(rim)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용기는 감쌈 부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캡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감쌀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 캡슐의 테두리에 의하여 압박될 수 있다. 용기는 보통 압출성형(extruded) 플라스틱으로부터 만들어진다는 사실 때문에 작은 제작 결함들이 발생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시에 캡슐의 플랜지 형상 테두리와 접합되도록 고안된 용기의 외측 표면에 추가적으로 국부적 불균일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국부적 불균일은 리세스, 즉 용기의 외측 표면의 국부적 딥프닝(deepening) 또는 돌출, 즉 용기의 외측 표면의 국부적 융기(elevation)와 관련될 수 있다.
용기의 표면과 상호작용되도록 고안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함께 캡슐의 플랜지 형상 테두리를 제공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시에 용기와의 밀봉접합을 형성할 수 있고, 상술한 불균일이 완화될 수 있다.
각각 다른 종류의 밀봉접합이 예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사용시에 캡슐과 상호작용하도록 고안된 용기의 표면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인접(abutment)을 형성하기 위해 캡슐의 어느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캡슐과 접하도록 고안된 용기의 외측 표면의 형상과 치수를 알고 있는 당업자라면 상기 인접을 형성하기 위하여 캡슐의 어느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제공되어져야 하는지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일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에 대하여 둘러싼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형성된 둘러싸는 돌출부는 원형일 필요는 없을 것이다. 용기의 표면과 작용(cooperate)하기에 적당한 불규칙한 형상의 둘러싸는 돌출부도 예상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불규칙한 형상의 둘러싸는 돌출부 역시 회전대칭을 이루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면과 관련하여 자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된 분리된 영역과 같이 불균일한 표면을 가질 것 같은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선택적인 영역에 제공되어도, 음료제조장치의 용기 안에 캡슐을 배치하기 위해 회전대칭이 유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둘러싸는 구조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액체를 보존(retaining)할 수 있는 몸체(body)를 포함한다.
용기와의 밀봉접합을 형성하도록 고안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재료로, 액체를 보존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히나 유리하다.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밀봉접합에 있을 수 있는 미세한 결함이 돌출부의 재료에서의 액체 흡수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재료로 스폰지와 같은 재료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연장된(elongated) 개별적(individual)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브러시(brush) 모양의 영역을 형성한다.
브러시 모양의 구조체가 캡슐의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에 제공되는 경우처럼, 견실한(reliable) 밀봉접합이 달성되기 위해서는 다중몸체(multi-body) 돌출부가 예상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연장된 개별적 돌출부는 이웃하는 연장된 돌출부의 공간 위치(spatial position)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고 용기에 의하여 굽혀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시에 캡슐과 접하도록 고안된 용기의 표면이 리세스를 포함할 경우, 리세스는 하나 혹은 몇몇의 머리카락과 같은 연장된 돌출부에 의해 채워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완화되고, 이웃하는 연장된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된 개별적 돌출부는 각기 다른 높이를 갖는다.
용기 표면의 국부적 높이 차이는 브러시 모양의 구조체의 연장된 몸체들이 다른 높이를 가지는 경우 효과적으로 개선(smooth out)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표면의 불균일이 없는 경우의 기본적인 높이가 밀봉접합을 형성시키기 위해 선택된다. 일부 연장된 몸체는 리세스에 의한 국부적 표면 불균일을 완화하기 위해 매우 큰 높이를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된 개별적 돌출부의 높이는 0.1 - 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 - 1 mm,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0.5 mm이다. 연장된 개별적 돌출부가 0.25 mm 정도의 높이를 가졌을 때 좋은 결과가 달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마모 등으로 인한 금, 표면불량(indentation)과 같은 실질적인 표면 불균일을 완화하기 위해 캡슐의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 위에 그러한 브러시 모양의 구조체가 제공된다.
연장된 몸체들은 베이스 구조체(base structure) 위에 제공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는, 융기된(elevated) 베이스 위에 한 세트(set)의 그루브(groove)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상단(top)을 기준으로 측정된 연장된 구조체의 높이는 0.1 - 2 mm, 바람직하게는 0.13 - 1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0.5 mm 이다. 이러한 높이는 캡슐의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베이스 표면에 대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면과 관련하여 자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상기 연장된 구조체는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극단적으로, 연장된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납작해질 수 있다. 연장된 구조체는 삼각형, 원형 또는 다른 적당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 위에 배열된 돌출부는 0.8 - 1.0 mm의 높이를 가진 채 실질적으로 평평(flat)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이 가능한 연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로서는 그러한 돌출부를 제작(implementing)하기 어떠한 종류(class)의 재료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용되어져야 할 것인가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직물(textured material)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수단은 직물(texture)과 같은 조절된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제공하여 미세한 표면 불균일을 완화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조절된 표면은 규칙적으로 이격된 오목한 영역과 융기된 영역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영역과 융기된 영역의 높이 차이는 적어도 0.0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mm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용기의 표면에 리세스 및/또는 돌출이 있을 때, 용기의 표면과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 사이의 알맞은 밀봉접합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다수의 상호연결된 관형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를 보존할 수 있는 재료의 특성과 개별적 변형이 가능한 재료의 특성을 유리하게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상호연결된 관형 구조체는 벌집 구조체와 같은 다각형 구조체를 포함한다. 돌출이나 오목한 영역을 가지는 용기의 표면과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 관형 구조체의 배열은 국부적 불균일(오목한 영역 또는 돌출)과 매칭되는 기하형상으로 국부적으로 변형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접합을 위해 용기의 표면과 접촉할 때 관형 구조체 배열이 적어도 약간 압축되도록 관형 구조체의 높이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와 원주벽 사이를 연장하는 경사 브리지(oblique bridge)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수단은 수직의 캡슐 벽이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평평한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에 접촉하는 영역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사용시 용기와의 밀봉접합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는, 용기와 벽/테두리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기하형상 사이에서 피팅(fitting)으로 작용하는 경사 구조체를 구비한다.
브리지 구조체는 벽과 인접한 테두리의 전체 둘레를 따라 제공되거나, 선택적으로는 적당한 수의 고립된(isolated) 브리지 요소들이 제공된다.
캡슐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리지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에 부착된 베이스부(base portion)로부터 벗어나는(deviating) 2 이상의 브랜치(branch)를 포함한다.
두 개의 벗어나는 브랜치를 제공함으로써 용기의 국부적 표면 불균일을 수용하는데 더 큰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캡슐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유연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캡슐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원주형 리지(circumferential ridge)를 포함한다. 그러한 원주형 리지는, 예를 들어 용기 표면의 어떠한 불균일에도 적응할 수 있도록 국부적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다수의 원주형 리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캡슐은 원주벽(circumfer ential wall) , 상기 원주벽의 제1단에서 상기 원주벽을 막는 바닥, 상기 원주벽의 제2단에 상기 원주벽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을 포함하는 컵과, 사용시 벽, 바닥, 뚜껑 안의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한다. 상기 뚜껑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감싸고, 상기 컵은 컵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 다수의 실질적으로 동심(concentric)인 원주형 리지를 더 포함한다.
사용시에 적어도 하나의 원주형 리지는 감쌈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과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지와 감쌈 부재와 같은 용기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 밀봉접합을 형성한다. 다수의 리지가 제공되었기 때문에 캡슐과 감쌈 부재 사이의 정렬 불량(misalignment)은 밀봉정합이 얻어지고 있는 동안 허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컵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리지 혹은 다수의 리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뚜껑과 떨어져 있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측면과 같이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 위에 배열된다. 그리하여 리지 혹은 다수의 리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감쌈 부재의 선단(leading edge)과 인접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접합은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를 들어, 리지 또는 다수의 리지)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와 일체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컵과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를 들어, 리지 또는 다수의 리지)를 일체로 사출 성형(injection moulding)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컵의 제작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를 들어, 리지 또는 다수의 리지)의 제작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로써 캡슐의 컵의 쉬운 제작이 가능해진다.
일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리지 중 각 리지는 사용 전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를 가진다. 그래서 각 리지는 감쌈 부재와 캡슐 사이의 밀봉접합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각 리지는 같은 폭을 가진다.
다수의 리지 중 각 리지의 폭은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것이 각 리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리지는 슬렌더형(slender form)을 가지고, 리지의 상단이 리지의 베이스(base)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과 같이 쉬운 변형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리지는 밀봉접합 위치에서의 감쌈 부재의 불균일(예를 들어, 감쌈 부재의 선단에서의 덴트(dent) 및/또는 돌출)을 쉽게 따라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두께 이하의 폭을 가진다. 높이 역시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다수의 리지 중 각 리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압축에 대한 리지의 저항이 압축에 대한 테두리의 저항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밀봉접합 위치에서 감쌈 부재가 불균일을 가져도 상기 감쌈 부재와의 밀봉접합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테두리는 상대적으로 경직(rigid)한 반면, 리지는 리지의 형상 및/또는 치수로 인해 충분한 압축성을 갖는다.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가 0.3 mm 보다 큰 높이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0.21 mm, 더 바람직하게는 0.15 mm 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의 최대 폭은 0.3 mm 보다 클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1 mm, 더 바람직하게는 0.15mm의 최대 폭을 가진다. 이것이 다수의 리지 중 각 리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치들은 감쌈 부재와 리지 사이에 좋은 밀봉접합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일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는 테이퍼(tapered : 예를 들어, 실질적인 삼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것이 다수의 리지 중 각 리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지가 압축되는데 있어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힘을 필요로 한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리지에 국부적으로 증가된 힘을 가하는 감쌈 부재의 불균일에 있어서, 리지는 상기 불균일의 컨투어(contour)를 쉽게 따라갈 수 있다.
다수의 리지 중 모든 리지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서는, 이웃하는 두 개의 리지 사이의 방사 거리(radial distance)는 리지의 최대 폭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폭의 5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폭의 25% 미만이다. 따라서, 리지는 서로 가깝게 위치하고,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리지는 감쌈 부재에 적절히 인접할 수 있으며, 리지의 압축에 의한 폭 증가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리지가 감쌈 부재에 완전히 인접하지 않아도 감쌈 부재와 캡슐 사이에 충분한 밀봉접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리지 간 좁은 공간이 미로(labyrinth)를 형성하여 액체 유동에 대한 충분한 저항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가깝게 위치한 리지는 캡슐의 감쌈 부재에 대한 정렬불량에 대해 증가된 내성(tolerance)을 감안한 것이다.
뚜껑은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추출 가능한 제품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사용 준비된 캡슐이 제공된다. 캡슐의 유통 기한을 증가시키는 것과 같은 이유로 캡슐은 밀폐(hermetically closed)되고, 선택적으로는, 뚜껑 및/또는 바닥이 다공성이고/이거나 액체의 내부 공간에의 투입(enter) 및/또는 배출(exit)을 가능케 하는 개구(opening)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는, 캡슐은 일회용(disposable)이다. 상기 일회용 캡슐은 한번의 사용 후에 처분(diposed)되도록 의도되고 설계된다. 따라서 세균 증식과 같은 위생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캡슐은 1인분(single serving)의 음료를 제조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기도 한데,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및 캡슐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용기(예를 들어, 캡슐을 감싸는 감쌈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리지)가 적어도 용기(예를 들어, 감쌈 부재)의 일부분과 인접하여 캡슐과 용기(예를 들어, 감쌈 부재) 간의 밀봉접합을 형성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감쌈 부재의 선단의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리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리지는 캡슐의 플랜지 형상 테두리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리지 각각은 감쌈 부재의 선단의 폭보다 작은 개별적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지가 감쌈 부재의 선단에 비해 좁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리지는 덴트, 스크래치, 틈, 및/또는 돌출과 같은 감쌈 부재의 선단 위의 작은 불균일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
다수의 리지의 폭의 합은 감쌈 부재의 선단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감쌈 부재의 선단에 대한 캡슐의 정렬불량에 대한 상당한 내성이 얻어진다.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의 높이는 감쌈 부재의 선단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이 각 리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리지는 감쌈 부재의 선단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를 갖게 된다. 이는 리지의 좌굴(buckling)을 방지하여 리지와 감쌈 부재의 선단 사이의 좋은 밀봉접합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다양한 측면들은 도면과 관련하여 자세하게 다루어질 것이다. 여기서 참조 숫자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면은 발명을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한 의미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에 사용되고,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 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이 제공된다. 캡슐은 원주벽(circumferential wall) 및 원주벽의 제1단에서 원주벽을 막는 바닥을 포함하는 컵과, 사용시 원주벽의 제2단에서 컵과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원주벽, 바닥 및 뚜껑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감싸고, 용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고안된 캡슐 표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rojection)가 제공되어 용기와의 밀봉접합(sealing engagement)을 형성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하여 표면의 불균일을 완화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와 함께 캡슐의 플랜지 형상 테두리를 제공하는 것을 통하여서도 상기 불균일을 완화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과 용기 사이의 접합(engagement)을 개선하여 용기 및/또는 캡슐 표면의 불균일에 의한 누수를 완화할 수 있다.
지금부터 도면예를 통해 본 발명이 더 설명될 것이나,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 상세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 상세도이다.
도 10a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b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원주형 돌출부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1)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시스템(1)은 교환 가능한 캡슐(2)과 음료제조장치(4)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4)는 교환 가능한 캡슐(2)을 홀딩(holding)하기 위해 감쌈 부재(6)의 형태로 용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4)는 캡슐(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8)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캡슐(2), 감쌈 부재(6) 및 지지 부재(8) 사이의 간극(gap)은 투명성(clarity)을 위한 것이다. 사용시 캡슐(2)은 감쌈 부재(6) 및 지지 부재(8)와 접촉한다. 흔히, 감쌈 부재(6)는 캡슐(2)의 형상을 보완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장치(4)는 물과 같은 일정 양의 액체를 일정 압력(예를 들어, 9 bars) 하에서 교환 가능한 캡슐(2)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dispensing) 장치(10)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교환 가능한 캡슐(2)은 컵(12)과 뚜껑(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컵(12)은 원주벽(16), 제1단에서 원주벽을 막는 바닥(18) 및 바닥(18)벽 반대편의 제2단에서 원주벽(16)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를 포함한다. 원주벽(16), 바닥(18) 및 뚜껑(14)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22)를 감싼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캡슐(2)은 초기에 밀봉되어 있다. 즉 사용되기 전에는 밀폐되어 있다.
도 1의 시스템(1)은 캡슐(2)의 바닥(18)에 천공(piercing)을 만들기 위해 바닥 천공 수단(24)을 포함한다. 이는 바닥(18)에 적어도 하나의 투입 개구(25)를 만들어 상기 투입 개구(25)를 통해 액체를 추출 가능한 제품에 공급하기 위함이다.
도 1의 시스템(1)은 캡슐(2)의 뚜껑(14)에도 천공을 만들기 위해 지지 부재(8) 위에 돌출처럼 구현된 뚜껑 천공 수단(26)을 더 포함한다. 뚜껑 천공 수단(26)은 내부 공간(22) 안의 (액체)압력이 임계압력(threshold pressure)을 넘어서서 뚜껑(14)을 뚜껑 천공 수단(26)에 대해 충분한 힘으로 압박할 때 뚜껑(14)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뚜껑(14)은 절개 가능한 호일(foil)(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컵(12)은 실질적으로 동심인 원주형 리지(28.i, i=1,2,3)의 형태로 다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지(28.i)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 위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리지(28.i)가 뚜껑(14)에서 떨어져 있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의 측면 위에 배치되었다. 더 일반적으로는, 리지(28.i)는 컵(1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지(28.i)는 컵(12)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고, 컵(12)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시에 리지(28.i)는 감쌈 부재(6)의 선단(30)에 인접한다. 적어도 하나의 리지(28.i)가 감쌈 부재(6)의 선단(30)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하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부분에서 캡슐(2)과 감쌈 부재(6) 간의 밀봉접합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은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 커피를 제조한다. 여기서 추출 가능한 제품은 볶은 커피와 분말(ground) 커피이다.
캡슐(2)이 감쌈 부재(6) 안에 놓인다. 지지 부재(8)가 캡슐(2)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투입 개구(25)를 생성하기 위해 바닥 천공 수단(24)이 캡슐(2)의 바닥(18)에 구멍을 뚫는다. 액체(여기에서는 일정 압력 하의 뜨거운 물)가 투입 개구(25)를 통해 내부 공간(22) 안의 추출 가능한 제품에 공급되고, 물이 커피 분말을 적셔서 원하는 물질을 추출하여 커피 음료를 얻는다.
내부 공간(22)에 일정 압력 하에서 물을 공급하는 동안 캡슐(2) 안의 압력은 상승된다. 상기 압력 상승은 뚜껑(14)을 변형시키고 뚜껑 천공 수단(26)에 대해 눌리게 할 것이다. 압력이 특정 수준에 이르러 뚜껑(14)의 절단강도(tear strength)를 뛰어넘으면, 뚜껑(14)은 뚜껑 천공 수단(26)에 의해 파열되면서 배출 개구를 형성한다. 제조된 커피는 배출 개구와 지지 부재(8)의 배출구(32)를 통해 캡슐(2)로부터 빼내져 컵(도시되지는 않음)과 같은 그릇에 담겨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이 개략도에서, 캡슐 일부분의 개략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캡슐(110)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I)의 적어도 일부분을 나타내는(define) 내측 표면(102b)을 구비하는 벽(102)을 포함한다. 캡슐의 외측 표면(102a)은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104)에 대하여 수직 또는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104)는 음료제조장치의 용기(108)의 표면(109)과 상호작용을 하는 윗면(104a)을 포함한다.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104)는 벽(102a)과 단자링(106, terminal ring)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자링은 용기(108)를 캡슐에 대하여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용기(108)는 캡슐(110)을 수용하게끔 형상화될 수 있으며, 이로써 용기(108)가 캡슐(110)을 실질적으로 감싸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시 캡슐(110)과 용기의 표면(109) 사이의 밀봉접합을 위하여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윗면(104a)에 돌출부(107)가 제공된다. 돌출부(107)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폭 L을 따라서 어느 곳에든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밀봉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부(107)가 사용되는 방법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첫째, 돌출부(107)는 벽(102)이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104)와 교차(intercept)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용기의 표면(109)이 돌출부(107)와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돌출부(107)가 약간 압축되어 용기(108)의 표면 불균일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에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의 재료로서 유체를 보존할 수 있는 물질이 선택되었을 때, 테두리-용기 인터페이스(interface)로부터의 미세한 누수가 완화될 수 있다.
둘째, 돌출부(107)가 스폰지와 같은 몸체(body)라면, 돌출부(107)는 외측링(106) 가까이에 배치되어 용기 표면(109)과 인접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수직 외측 표면과도 접합한다. 이 경우 스폰지와 같은 몸체(107)가 용기(108)의 가장 외측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게 되어 스폰지와 같은 돌출부(107)는 보다 개선된 밀봉접합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캡슐(120)과 용기(108)의 기하형상은 도 2에서 언급되었듯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다수의 연장된 개별 부재(117)를 포함한다. 연장된 개별 부재는 같은 높이를 가지거나 다른 높이(h1, h2)를 가질 수도 있다. 연장된 개별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가 예상된다. 우선, 상기 부재는 적당한 접착성(adhesive)을 이용해 표면(104a)에 접착할 수 있는 브러시 모양의 구조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별 부재는 플라스틱, 인조모발과 같은 것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개별 부재는 컵(102), 104, 106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개별 부재는 컵과 개별 부재를 동시에 사출 성형(injection moulding)하는 방식 등을 통해 컵과 일체형이 될 수 있다. 돌출부(117)는 캡슐 테두리의 주변을 따라 원주형 구조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주형 구조체는 하나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동심인 것이 바람직하다(도시되지는 않음). 또한, 1개보다 많은 수의 원주형 돌출부(117)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원주형 돌출부가 테두리-벽 인터페이스에(또는 가까이) 제공되고, 두 번째 원주형 돌출부가 테두리-링 인터페이스에 제공되어, 발생 가능한 미세한 누수를 막기 위한 두 번째 장애물(barrier)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돌출부(117)은 표면(104a)를 따라 다수의 국부적인 섬(isolated island)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섬은 체크 패턴(pattern)과 같이 2차원적 패턴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다른 적당한 패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개별 부재들은 곧게 뻗은 형태로 도시되었다. 개별 부재가 굽은 형태거나 말려 있는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부재는 서로 얽혀 양털과 같은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양털과 같은 구조체는 컵과 함께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캡슐(130)과 용기(108)의 기하형상은 도 2에서 언급되었듯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표면(104a)의 폭 L을 따라 어디에든지 위치할 수 있는 직물(127)을 포함한다. 또한, 이 경우 돌출부(127)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원주형 구조체로 제공될 수도 있고, 개별적 영역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직물(127)은 융기된 영역과 오목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접한 상기 양 영역의 높이 차이는 적어도 0.5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캡슐(140b)과 용기(108)의 기하형상은 도 2에서 언급되었듯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평면도(140a)에서, 캡슐 부분은 링(106)과 벽(102a) 사이의 표면(104a) 위에 도시되었고, 다수의 상호연결된 관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돌출부가 제공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는 벌집 관형 구조체가 도시되었지만 어느 단면 형상이든지 가능하다. 다수의 인접 관형 구조체와 연결되어 수직 방향 V로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다각형의 단면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형 구조체는 표면(104a)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거나 선택된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중공(hollow) 관형 몸체를 포함하는 돌출부는 밀봉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중공 관형 몸체가 용기(도시되지는 않음)에 의해 쉽게 압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관형 몸체의 내부 볼륨은 미세한 베셀(vessel)로 사용되어 밀봉접합에서 이탈하는 액체를 수용함으로써 밀봉접합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캡슐(150)과 용기(108)의 기하형상은 도 2에서 언급되었듯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표면(104a)과 벽(102a)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bridge)로 제공된다. 다수의 브리지(147a, 147b, 147c,...147n)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리지 구조체는 표면(104a) 위에 베이스부(153, base portion)를 구비하고, 벽(102a)에서 끝나는 엔드부(end portion)를 구비하는 경사진 링크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브리지는 표면(104a)와 벽(102a) 사이를 삼각형형 또는 각기둥형으로 채우는 형식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브리지는 양자의 경우 모두 같은 베이스를 구비하며, 벽(102a)를 나누는 2 이상의 분기(bifurcation)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가 테두리/벽 인터페이스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떨어져있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국부적(isolated) 브리지 구조체는 각기 다르게 위치한 베이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테두리 표면(104a)과 벽(102)을 연결하는 원주형으로 구성된 브리지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언급되었던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1)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시스템(1)은 교환 가능한 캡슐(2)과 음료제조장치(4)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4)는 교환 가능한 캡슐(2)을 홀딩하기 위해 감쌈 부재(6)인 용기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상기 장치(4)는 캡슐(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8)을 더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캡슐(2), 감쌈 부재(6) 및 지지 부재(8) 사이의 간극(gap)은 투명성을 위한 것이다. 사용시 캡슐(2)은 감쌈 부재(6)와 지지 부재(8)에 접촉한다. 흔히, 감쌈 부재(6)는 캡슐(2)의 형상을 보완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장치(4)는 물과 같은 일정 양의 유체를 일정 압력(예를 들어, 9 bars) 하에서 교환 가능한 캡슐(2)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dispensing) 장치(10)를 더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교환 가능한 캡슐(2)은 컵(12)과 뚜껑(14)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컵(12)은 원주벽(16), 제1단에서 원주벽(16)을 막는 바닥(18) 및 바닥(18)벽 반대편의 제2단에서 원주벽(16)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를 포함한다. 원주벽(16), 바닥(18) 및 뚜껑(14)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22)을 감싼다. 이 예에서, 상기 캡슐은 최초에 열려있다. 그리하여 캡슐(2)은 기생성된 투입 개구(25)를 포함한다. 투입 개구(25)는 바닥(18)에 있는 구멍을 관통(through)한다. 더 나아가, 캡슐(2)은 기생성된 배출 개구(27)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구멍(27)은 플라스틱 물질 등으로 제작된 호일(foil)과 같은 뚜껑(14)을 관통한다. 또는 상기 배출 구멍(27)은 필터 페이퍼(paper)와 같이 부직포(non-woven) 재료 등으로 제작된 다공성 뚜껑(14)의 구멍(pore)일 수 있다.
도 7의 시스템(1)은 바닥 천공 수단이나 뚜껑 천공 수단(26)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컵(12)은 실질적으로 동심인 다수의 원주형 리지(28.i, i=1,2,3)를 더 포함한다. 이 예에서, 리지(28.i)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 위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리지(28.i)가 뚜껑(14)에서 떨어져있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의 측면에 배치되었다. 더 일반적으로는, 리지(28.i)는 컵(1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지(28.i)는 컵(12)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고, 컵(12)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시 리지(28.i)는 감쌈 부재(6)의 선단(30)과 인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지(28.i)가 감쌈 부재(6)의 선단(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인접하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위치에서 감쌈 부재(6)와 캡슐(2) 간의 밀봉접합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시스템(1)은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 커피를 제조한다. 여기서 추출 가능한 제품은 볶은 커피와 분말 커피이다. 캡슐(2)이 감쌈 부재(6) 안에 놓이고, 지지 부재(8)가 캡슐(2)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액체(여기에서는 일정 압력 하의 뜨거운 물)가 투입 개구(25)를 통해 내부 공간(22) 안의 추출 가능한 제품에 공급되고, 물이 커피 분말을 적셔서 원하는 물질을 추출하여 커피 음료를 얻는다.
내부 공간(22)에 일정 압력 하에서 물을 공급하는 동안 캡슐(2) 안의 압력은 상승된다. 제조된 커피는 배출 개구(27)와 지지 부재(8)의 배출구(32)를 통해 캡슐(2)로부터 배출되어 컵(도시되지는 않음)과 같은 그릇에 담겨지게 된다.
도 8a와 8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 상세도다. 이 실시예에서, 4개의 원주형 리지(28.i)가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상기 리지(28.i)는 테두리(20)와 일체이다. 이 실시예에서 각 리지(28.i)들은 서로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되었고, 컵(12)의 축(axis)와도 동심으로 배치되었다.
도 8a에서 감쌈 부재(6)의 선단(30)은 불균일을 돌출물(bulge), 버(burr) 또는 덩어리(lump, 예를 들어, 뭉친 이물질(debris))와 같은 돌출(34)의 형태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특정 리지(28.3)는 돌출(34)과 인접하고 국부적으로 더 압축된다. 그리하여 리지(28.i)와 감쌈 부재(6)는 돌출(34)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밀봉접합을 이룰 수 있다.
도 8b에서, 감쌈 부재(6)의 선단(30)은 불균일을 리세스(35, recess) 또는 덴트(dent), 스크래치, 틈과 같은 오목한 영역의 형태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특정 리지(28.2)는 리세스(35)와 마주한다. 따라서 이웃한 리지(28.3)는 국부적으로 더 압축되고 감쌈 부재(6)의 선단(30)과 인접한다. 그리하여 리지(28.i)와 감쌈 부재(6)는 리세스(35)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밀봉접합을 이룰 수 있다.
도 8a와 8b의 예에서, 각 리지(28.i)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이는 상기 리지(28.i)가 압축될 때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힘을 필요로 한다는 것에 장점을 가진다. 그리하여 각 리지(28.i)는 감쌈 부재(6)의 불균일의 컨투어(contour)를 쉽게 따라갈 수 있다.
도 8a와 8b의 예에서, 모든 리지는 사용되기 전(예를 들어, 압축되기 전)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HR을 가진다. 그로써 모든 리지는 캡슐(2)과 감쌈 부재(6) 사이의 밀봉접합에 동일하게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선단(30)이 어느 리지(28.i)와도 인접을 못하지 않는 이상 캡슐(2)과 감쌈 부재(6) 사이의 정렬불량은 용인될 수 있다.
도 8a와 8b의 실시예에서, 리지(28.i) 각각은 감쌈 부재(6)의 선단(30)의 폭(WLE)보다 작은 최대 폭(WR)를 가진다. 각 리지(28.i)는 선단(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선단(30)에 의해 쉽게 압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수의 리지는 감쌈 부재(6)의 선단(30)의 폭(WLE)보다 큰 합쳐진 총 폭(WC)를 가진다. 따라서 선단(30)이 어느 리지(28.i)와도 접촉을 못하지 않는 이상 캡슐(2)과 감쌈 부재(6) 사이의 정렬불량은 용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의 개별 부재의 폭은 캡슐과 상호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용기 부분의 폭보다 작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의 폭은 캡슐과 상호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용기 부분의 폭보다 크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하기 전의 각 리지(28.i)의 폭(WR)는 상기 리지의 높이(HR)보다 작다. 이로 인해 리지는 슬렌더형을 가지고, 리지의 베이스(38) 방향으로 리지의 상단(36)에 의해 압축되는 것과 같이 쉬운 변형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리지는 밀봉접합 위치에서의 감쌈 부재의 불균일을 쉽게 따라갈 수 있다. 여기에서 리지의 폭(WR)는 상기 리지가 배치되어 있는 평면에 평행으로 측정되고, 높이(HR)는 폭에 수직으로 측정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각 리지(28.i)의 폭(WR)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의 두께(HF)보다 작다. 또한, 사용되기 전 높이(HR)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의 두께(HF)보다 작다. 이로 인해, 압축에 대한 리지(28.i)의 저항이 압축에 대한 테두리(20)의 저항보다 작다. 이 실시예들에서, 밀봉접합 위치에서 감쌈 부재가 불균일을 가져도 상기 감쌈 부재와의 밀봉접합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테두리는 상대적으로 경직한 반면, 리지는 리지의 형상 및/또는 치수로 인해 충분한 압축성을 갖는다. 리지(28.i)의 압축에 대한 저항과 테두리(20)의 압축에 대한 저항의 비(ratio)는 리지(28.i)의 위치에서 적어도 국부적으로 테두리(20)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더 개선할 수 있다.
컵(12)의 잔여물(remainder)을 실질적으로 강직하게 하도록 하는 재료가 선택된 경우라도, 리지(28.i)의 기하형상은 리지가 감쌈 부재(6)의 불균일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질적으로 경직한 컵(12)은 캡슐(2) 취급의 용이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지(28.i)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 원주벽(16) 및 임의의 바닥(18)과,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로, 일체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에, 선택된 플라스틱 물질이 70 이상의 쇼어 D 경도(shore D hardness)를 갖는다고 하여도, 컵(12)은 실질적으로 경직하고 리지(28.i)는 감쌈 부재(6)와 협력하여 밀봉접합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테두리(20)의 두께는 대략 0.2 mm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감쌈 부재(6)의 선단(30)의 폭은 대략 0.7 mm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 전의 각 리지(28.i)의 높이(HR)는 대략 0.2 mm이다. 높이(HR)가 0.3mm이면 바람직하고, 0.21mm이면 더 바람직하다. 사용 전의 높이(HR)가 0.15mm 보다 큰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각 리지(28.i)의 최대 폭(WR)는 대략 0.14 mm이다. 최대폭은 바람직하게는 0.3 mm 보다 크고, 더 바람직하게는 0.21mm 보다 크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5 mm 보다 크다. 이러한 수치들은 리지(28.i)와 감쌈 부재(6) 사이에 좋은 밀봉접합을 제공하기 위해 얻어진 값들이다.
도 8a와 8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리지(28.i)는 방사형으로 위치하여 2개의 이웃한 리지는 실질적으로 방사형으로 인접한다. 일반적으로 2개의 이웃한 리지(28.i)의 방사거리는 바람직하게는 리지(28.i)의 최대 폭(WR)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폭(WR)의 5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폭(WR)의 25% 미만이다. 따라서 리지는 서로 가깝게 위치하고,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리지는 감쌈 부재에 적절히 인접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리지가 감쌈 부재에 완전히 인접하지 않아도 감쌈 부재와 캡슐 사이에 충분한 밀봉접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리지 간 좁은 공간이 미로(labyrinth)를 형성하여 액체 유동에 대한 충분한 저항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가깝게 위치한 리지는 캡슐의 감쌈 부재에 대한 정렬불량에 대해 증가된 내성을 감안한 것이다.
도 8a 또는 8b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지(28.i)는 컵(12)과 일체로 형성된다. 컵(12)과 리지(28.i)의 앙상블(ensemble)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앙상블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리지(28.i)의 재료는 소성 변형이 가능한 물질로 선택되고, 적어도 리지(28.i)의 상부(36)가 감쌈 부재(6)와 접촉하면서 소성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 변형 가능한 리지(28.i)는 밀봉접합 위치에서의 감쌈 부재(6)의 불균일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
도 8a와 8b의 상세 사항들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다 상세한시스템(1)의 한 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캡슐(2)은 다수의 리지(28.i) 뿐만 아니라 추가적 리지(40)를 더 포함한다.
도 9에서, 추가적 리지(40)는 뚜껑(14)으로부터 떨어져있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2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추가적 리지(40)는 리지(28.i)와 실질적으로 동심이며 리지(28.i)에 외접한다. 추가적 리지(40)의 높이(HFR)는 리지(28.i)의 높이(HR)와 다르며, 이 실시예에서는 추가적 리지(40)의 높이(HFR)가 리지(28.i)의 높이(HR)보다 크다.
이 실시예에서, 추가적 리지(40)는 감쌈 부재(6)의 외측 원주 표면(42)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측 원주 표면(42)은 추가적 리지(40)의 내측 원주 표면(44)에 대하여 경사져 있을 수 있다. 감쌈 부재(6)가 추가적 리지(40)의 주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추가적 리지(40)는 내측 원주형 표면(44)에 원추형인 부분(4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리지(28.i)가 감쌈 부재에 접하고, 그에 더하여 추가적 리지(40)가 감쌈 부재(6)에 접하게 된다. 이로써 감쌈 부재(6)와 캡슐(2) 사이에 개선된 밀봉접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 리지(40)는 도 1, 7, 8a 및 8b의 상황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2 - 6에서 언급된 돌출 중 어느 것과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a의 시스템(1)은 도 1의 시스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도 10a에서는 컵(12) 위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여기서는 리지(28.i))의 위치가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여기서는 리지(28.i))는 컵(12)의 원주벽(16) 위에 위치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여기서는 리지(28.i))는 감쌈 부재(6)의 내측 원주 표면(48)과 접촉한다. 도 10a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여기서는 리지(28.i))와 감쌈 부재(6)의 내측 원주 표면(48) 사이에 밀봉접합이 형성된다. 또한, 도 2 - 7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를 들어, 리지(28.i))도 컵(12)의 원주벽(16)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b의 시스템(1)은 도 7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도 10b에서는 컵(12)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여기서는 리지(28.i))의 위치가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여기서는 리지(28.i))는 컵(12) 바닥(18)의 외측 표면에 위치해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여기서는 리지(28.i))는 감쌈 부재(6)의 내부 뒷면(50)과 접촉하게 되어 양자가 밀봉접합된다. 또한, 도 1 - 6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예를 들어, 리지(28.i))도 컵(12) 바닥(18)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캡슐(160)을 도시한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캡슐의 축방향 단면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에서 자세하게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도 2와 관련된 설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108)의 표면(109)이 연장된 구조체(164)와 교차할 때, 캡슐(160)과 용기의 표면(109)이 사용시 실질적인 밀봉접합을 형성한다.
외측 링(106) 가까이에 있는 캡슐(160)의 주변부에 위치한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104)의 높이는 약 0.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된 구조체(164)는 플랜지 형상 테두리의 바닥면(104a)으로부터 산출한 높이(H1)가 0.5 - 0.7 mm인 돌출부(162) 위에 제공될 수 있고, 높이(H2)가 약 0.25 mm인 연장된 구조체(164)는 이 영역에서의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총 높이 상승(0.8 - 1.0 mm)을 이끈다.
캡슐의 외측 표면(102a)과 연결되거나 인접한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를 국부적으로 상승시키면 캡슐과 용기 사이의 밀봉접합이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장된 구조체가 개별적으로 변형되면서 오목하게 되어 밀봉접합이 실질적으로 개선된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변형체(variant)가 도시되었다.
간략화를 위해 변경된 사항이 없으면 도 2 및 도 11에서 언급한 내용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첫 번째 구현에서,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표면은 0.8 - 1.0 mm 정도의 H3 만큼 상승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슐의 외측 표면(102a)과 매끄럽게 연결된 실질적으로 상승된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104")는 실질적으로 연하고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슐도 그와 동일한 연하고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져 돌출부(104")와 선천적으로 일체형이라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구조체는 적당한 몰딩(moulding) 기술로 제공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승된 돌출부(104")는 돌출부(104) 몸체에서의 적당한 그루부(grooved)로 제공되는 연장된 돌출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장된 구조체(164")가 개별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돌출부(104")의 국부 변형량은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연장된 구조체는 상승된 돌출부(104") 위에 제공되거나 그것의 표면 전체를 덮을 수도 있다.
도 13은 규칙적이지 않은 형상을 구비한 적당한 원주형 돌출부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180)은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 위에 배치되어 사용시에 용기의 표면에 의해 차지되는 경로와 마주친다. 지그재그, 미로 등과 같이 다양한 돌출부(180)의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일관성 있는(coherent) 불규칙적인 형상 a, b도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들과 같이 본 발명의 더 넓은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분명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표현된 캡슐은 도 1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고, 캡슐은 바닥 천공 수단에 의해 바닥에 구멍이 뚫리지 않게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캡슐의 내부 공간 안의 액체 압력의 영향 하에서는 뚜껑이 절개되지 않도록 뚜껑 및 뚜껑 천공 수단을 설계할 수도 있다.
감쌈 부재가 캡슐의 플랜지 형상 테두리와의 인접을 위한 선단을 가진다면, 이 선단은 다수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그루부의 형태로 불균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경우, 캡슐의 리지와 감쌈 부재의 선단 사이에 밀봉접합이 형성될 수 있다.
캡슐은 사용자에 의해 채워지거나 다시 채워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캡슐은 분리된 컵과 사용자가 캡슐에 음료 재료를 채우고 컵과 결합할 수 있는 뚜껑의 형태로 제공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힌지 등을 이용하여 뚜껑을 부분적으로 컵과 결합하여 사용자가 컵에 음료 성분를 채운 후 뚜껑을 플랜지 형상 테두리의 주변 전체에 결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다수의 리지는 3 또는 4개의 리지를 포함한다. 또한, 2, 5 또는 6개의 리지와 같이 리지의 개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앞서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된 것과 달리, 본 발명은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국부적 특성들은 서로 결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변경, 변형 및 대체도 가능하다. 따라서 앞서 언급된 설명, 도면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함이지, 한정하고자 하는 의미는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괄호 사이에 위치한 모든 참조 부호들은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포함한다'는 단어는 청구항에 기재된 다른 특성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하나의'라는 단어도 '오직 하나'의미가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다수'의 의미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서로 다른 청구항에 나열된 특정 수단들은, 상기 수단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0)

  1.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에 사용되고,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원주벽 및 제1단에서 상기 원주벽을 막는 바닥을 포함하는 컵; 및
    사용시 상기 바닥 반대편의 상기 원주벽의 제2단에서 상기 컵과 결합되는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원주벽, 상기 바닥 및 상기 뚜껑은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감싸고,
    상기 용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고안된 상기 캡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용기와의 밀봉접합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제공되는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상기 원주벽의 상기 제2단에 상기 원주벽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제공되는 캡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캡슐에 대해 둘러싸는(circumferential) 캡슐.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캡슐의 주변을 따라 분리된 영역에 제공되는 캡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캡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원주형 리지(circumferential ridge)를 포함하는 캡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다수의 원주형 리지를 포함하는 캡슐.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에 제공된 상기 컵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다수의 동심의(concentric) 원주형 리지가 아닌 캡슐.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액체를 보존시킬 수 있는 몸체를 포함하는 캡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스폰지를 포함하는 캡슐.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연장된(elongated) 개별적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다수의 연장된 개별적 돌출부는 브러시(brush) 모양의 영역을 형성하는 캡슐.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장된 개별적 돌출부는 나머지 상기 연장된 개별적 돌출부와 다른 높이를 가지는 캡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개별적 돌출부의 높이는 0.1 - 2 mm, 바람직하게는 0.13 - 1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0.5 mm인 캡슐.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직물(textured material)을 포함하는 캡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융기된 영역과 오목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융기된 영역과 상기 오목한 영역의 높이 차이는 적어도 0.0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5 mm인 캡슐.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다수의 상호 연결된 관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캡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호 연결된 관형 구조체는 다각형 구조체, 바람직하게는 벌집 구조체를 포함하는 캡슐.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구조체는 중공인 캡슐.
  1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와 상기 원주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경사 브리지(oblique bridge)를 포함하는 캡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상기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에 부착된 베이스부로부터 나뉘어지는 2 이상의 브랜치(branch)를 포함하는 캡슐.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유연한 캡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캡슐.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소성 변형이 가능한 캡슐.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컵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캡슐.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컵과 일체형인 캡슐.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 중 각 리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캡슐.
  27. 제14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 중 각 리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캡슐.
  28. 제14항,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의 폭은 그 리지의 높이보다 작은 캡슐.
  29.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는 상기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두께 이하의 폭을 갖는 캡슐.
  30.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는 상기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의 두께 이하의 높이를 갖는 캡슐.
  31.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 중 각 리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캡슐.
  32.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는 테이퍼(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갖는 캡슐.
  33.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이웃하는 상기 리지들 간의 방사거리는 상기 리지들의 최대 폭 미만, 바람직하게는 최대 폭의 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폭의 25% 미만인 캡슐.
  34.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는 2, 3, 4, 5 또는 6개의 리지를 포함하는 캡슐.
  35.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는 0.3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21 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mm 미만의 높이를 갖는 캡슐.
  36.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지 중 하나의 리지는 0.3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21 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mm 미만의 최대 폭을 갖는 캡슐.
  37.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캡슐.
  38. 제14항 또는 제26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소성 변형이 가능한 캡슐.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감싸는 추가적 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적 리지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높이와 다른 캡슐.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 리지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의 높이보다 큰 캡슐.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 리지는 그것의 내측 원주형 표면 상에 원추형 부분을 포함하는 캡슐.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원주벽의 상기 제2단에서 상기 컵과 결합되고(예를 들어, 플랜지 형상의 테두리와 결합), 상기 내부 공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으로 채워지는 캡슐.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밀폐되는 캡슐.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및/또는 상기 바닥이 다공성이고/이거나 액체의 내부 공간에의 투입(enter) 및/또는 배출(exit)을 가능케 하는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캡슐.
  45. 제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일회용인 캡슐.
  46.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의 캡슐; 및
    상기 캡슐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
    를 포함하고,
    사용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적어도 상기 용기의 일부분과 인접(abut)하여 상기 캡슐과 상기 용기 사이의 밀봉접합이 형성되는 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감쌈 부재의 형태로 제공되는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39항에 따른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적 리지는 감쌈 부재의 외측 원주 표면의 접하도록 배치되는 시스템.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4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의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이 상기 감쌈 부재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적어도 상기 감쌈 부재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캡슐과 상기 감쌈 부재 사이의 밀봉접합이 형성되는 시스템.
  50. 추출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의 캡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캡슐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캡슐과 상기 용기 사이의 밀봉접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적어도 상기 용기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상기 용기 내에 상기 캡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의 내부 공간에 물과 같은 액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음료를 상기 캡슐로부터 빼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47011777A 2009-06-17 2009-12-30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15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916293 2009-06-17
EP09162931.1 2009-06-17
EP09162895.8 2009-06-17
EP09162914.7 2009-06-17
EP09916291 2009-06-17
EP09916289 2009-06-17
EP09916331 2009-06-19
EP09163310.7 2009-06-19
EP09167851.6 2009-08-13
EP09916785 2009-08-13
EP09917059 2009-09-17
EP09170590.5 2009-09-17
PCT/NL2009/050814 WO2010137946A1 (en) 2009-06-17 2009-12-30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246A Division KR101473065B1 (ko) 2009-06-17 2009-12-30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210A Division KR101828727B1 (ko) 2009-06-17 2009-12-30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555A true KR20140061555A (ko) 2014-05-21

Family

ID=5089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777A KR20140061555A (ko) 2009-06-17 2009-12-30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15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727B1 (ko)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1555A (ko) 섭취하기 적당한 기설정된 양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시스템 및 방법
RU2791473C2 (ru) Капсула,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данного количества напитка, пригодного к употреблени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99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23

Effective date: 2018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