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215A -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215A
KR20140061215A KR1020130083574A KR20130083574A KR20140061215A KR 20140061215 A KR20140061215 A KR 20140061215A KR 1020130083574 A KR1020130083574 A KR 1020130083574A KR 20130083574 A KR20130083574 A KR 20130083574A KR 20140061215 A KR20140061215 A KR 2014006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watermark
menu
remote contro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738B1 (ko
Inventor
판카지 미슈라
니샨트 부갈리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077,679 priority Critical patent/US9196154B2/en
Publication of KR2014006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캡쳐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메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ING WATERMARK}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분야와 관련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케이블 박스, 및 에어컨과 같은 여러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범용 원격 제어 장치가 인기를 얻고 있다. 범용 원격 제어 장치는 전형적으로 여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작동 모드가 있다. 각 작동 모드는 사용자가 여러 장치들 중 하나를 원격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범용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작동모드를 변경할 것을 요한다. 또한, 범용 원격 제어 장치의 작동은 특히 사용자가 여러 장치를 켜고 여러 장치들 중 하나를 제어하고자 할 때 종종 혼란에 빠진다. 게다가, 수많은 버튼 누름이 여러 장치를 켜고 끄기 위해 전형적으로 요구된다.
현재의 범용 원격 제어 장치는 여러 장치 각각에 따른 별도의 버튼 대신 싱글 모드 버튼을 포함에 왔다. 모드 버튼을 누르면, 범용 원격 제어 장치의 작동 모드가 하나의 작동 모드에서 다음 작동 모드로 변한다. 그러나, 하나의 작동 모드에서 다른 작동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모드 버튼을 여러 번 누르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는 장치 사이클 내의 장치의 위치를 기억하고 장치의 메뉴를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요구된다. 게다가, 범용 원격 제어 장치의 디자인에 의해 버튼의 수는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의 효율적인 방법 및 전자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캡쳐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워터마크를 추출하고,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획득하여 원격 제어 장치에게 메뉴를 제공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쉽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전자장치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캡쳐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메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메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됨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캡쳐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가 기 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에 매칭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장치의 장치 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장치 ID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ID, 상기 워터마크 및 상기 기능 정보를 매칭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ID, 상기 워터마크 및 상기 기능 정보를 매칭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된 메뉴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촬영한 이미지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렌더링된 상기 워터마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렌더링된 비디오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다른 장치, 및 제조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식별됨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각각 매칭된 복수개의 메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제공된 메뉴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워터마크 추출 모듈;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획득하는, 메뉴 획득 모듈; 및 상기 획득된 메뉴를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전송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가 기 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워터마크 식별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메뉴가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워터마크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ID, 상기 워터마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캡쳐 이미지를 전자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워터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워터마크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메뉴를 획득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장치가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쳐 이미지 생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등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를 로딩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내의 방법 단계 및 시스템 구성 요소는 종래의 기호로 표시되며,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관련된 세부 정보를 보여준다. 또한, 세부 사항으로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자명할 수 있는 사항은 개시되지 않았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및 제 2와 같은 관계적 용어는 개체를 다른 개체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이들 개체 사이의 실제 관계 또는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5A) 및 디스플레이 장치(105B)와 같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5), 네트워크(110), 원격 제어 장치(115) 및 전자장치(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15) 및 전자장치(120)에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예는 디지털 TV, 모바일 장치, 노트북, 태블릿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및 홈 시어터 시스템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110)의 예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전자장치(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원격 제어 장치(115)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캡쳐 이미지를 수신한다. 캡쳐 이미지는 캡쳐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인증하고 식별하기 위해 전자장치(1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메뉴를 원격 제어 장치(115)에 제공한다. 이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115)의 사용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전자장치(120)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란,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메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기능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목록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목록에 대응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디스플레이 장치(105)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메뉴는 원격 제어 장치(115)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11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15)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115)는, 카메라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블루투스/와이파이 등의 통신 기능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원격 제어 장치(115)에 의해 촬영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5)가 촬영됨에 따라 캡쳐 이미지가 원격 제어 장치(115)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캡쳐 이미지는 전자장치(120)로 전송되고,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워터마크가 전자장치(120)에 의해 추출되고,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메뉴가 획득된다. 획득된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원격 제어 장치(115)의 디스플레이(230)상에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는 제어 명령을 위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5), 원격 제어 장치(115), 및 전자장치(120)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115)는 이미지 캡쳐 모듈(305)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워터마크 추출 모듈(310), 워터마크 식별 모듈(315), 워터마크 생성 모듈(320), 메뉴 획득 모듈(325), 데이터 베이스(330), 명령 처리 모듈(335), 및 통신 모듈(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20)는 원격 제어 장치(115)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장치(120)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디지털 워터마크(이하 ‘워터마크’)를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렌더링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워터마크는, 디스플레이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소정의 영역에 삽입된 이미지 또는 데이터일 수 있다. 워터마크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심볼 이미지에 삽입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워터마크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상에 표시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CD/DVD 플레이어 및 오디오 플레이어와 같은 주변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주변 장치의 워터마크를 보여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워터마크 및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전자장치(120)와 더 통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또한 원격 제어 장치(115)로부터 직접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15)는 캡쳐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해 이미지 캡쳐 모듈(305)을 사용한다. 캡쳐 이미지의 주파수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 될 수 있는 디폴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이미지 캡쳐 모듈(305)은 원격 제어 장치(115)의 모션 센서에 의해 모션이 감지될 때에만 캡쳐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또한, 캡쳐 이미지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기 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에만, 원격 제어 장치(115)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캡쳐 이미지는 추가 처리를 위해 전자장치(120)에 보내진다. 전자장치(120)는 식별된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대한 메뉴를 원격 제어 장치(115)에게 제공한다. 메뉴는 원격 제어 장치(115)의 디스플레이(43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제어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직접 전송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기능에 기초해 전자장치(120)에 전송된 후, 전자장치(120)를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전송될 수 있다. 통신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430)는 전자장치(120)로부터 수신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어 명령을 수신할 것이다.
전자장치(120) 내의 워터마크 추출 모듈(310)은 이미지 캡쳐 모듈(305)로부터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고,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워터마크의 존재를 추출한다. 워터마크 식별 모듈(315)은 워터마크의 유효성을 식별하고, 만약 워터마크가 유효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5)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장치 ID를 생성하고, 추출된 워터마크와 장치 ID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만약, 캡쳐 이미지에서 워터마크가 추출되지 않으면, 워터마크 및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장치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워터마크 및 장치 id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워터마크 생성 모듈(320)은 새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대해 장치 ID에 기초하여 워터마크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워터마크는 데이터 베이스(330)내에 저장된다. 워터마크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람의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메뉴 획득 모듈(325)은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대해 메뉴를 획득한다. 메뉴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에서 가져오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11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되어 획득할 수 있다. 메뉴는 데이터 베이스(330)내에 저장된다. 데이터 베이스(330)는 원격 제어 장치(115)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목록을 유지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5)와 관련된 워터마크와 메뉴를 저장한다.
또한, 전자장치(120)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대해 장치 ID가 생성되고, 할당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기능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세부 사항, 메뉴 및 워터마크는 장치 ID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330)에서 조회될 수 있다. 명령 처리 모듈(335)은 원격 제어 장치(115)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명령 처리 모듈(335)은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해, 통신 모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식별한다. 통신 모듈(3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5)와 원격 제어 장치(115)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통신 모듈(340)은 데이터 베이스(330)로부터 가져온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장치 기능 정보 및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통신 모드에 기초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도 3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115) 및 전자장치(120)를 구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의 전자장치(120)의 기능이 원격 제어 장치(115)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115)가 캡쳐 이미지로부터 워터마크를 추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20)의 블록도이다.
전자장치(120)는 정보 통신을 위한 버스(405) 또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 및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버스(405)와 연결된 프로세서(410)를 포함한다. 전자장치(120)는 또한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및 제어 명령을 저장하기 위해 버스(405)에 연결된,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다른 동적 저장 장치와 같은 메모리(415)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15)는 프로세서(410)에 의해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임시 변수 또는 다른 중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프로세서(410)에 대한 정적 정보 및 제어 명령을 저장하기 위해 버스(405)와 연결된 ROM(read only memory)(420) 또는 다른 정적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버스(405)를 통해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디스플레이(430)에 연결될 수 있다. 문자, 숫자 및 다른 키를 포함한 입력 장치(435)는 프로세서(410)에 대해 정보 통신 및 명령 선택을 위해 버스(405)에 연결된다. 사용자 입력 장치의 다른 유형은 프로세서(410)에 방향 정보와 명령 선택의 통신 및 디스플레이(430)에 커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우스, 트랙볼 또는 커서 방향 키와 같은 커서 컨트롤(44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여기에 기재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장치(120)의 사용과 관련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술은 메모리(415)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41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120)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제어 명령은 저장부(425)와 같은 다른 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415)에 읽힐 수 있다. 메모리(415)에 포함된 제어 명령의 실행은 프로세서(410)가 여기에 설명된 프로세스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0)는 프로세서(410)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부는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제어 명령을 대신하거나 이것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하드웨어 회로이다.
용어 “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여기서, 장치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참여하는 임의의 기록매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전자장치(120)를 사용하여 구현된 실시예에서, 다양한 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예를 들어,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410)에 제어 명령을 제공하는 것과 관계될 수 있다. 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휘발성 기록매체는 메모리(415)와 같은, 예를 들어 동적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기록매체는 저장부(425)와 같은, 예를 들어 광학 또는 자기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이러한 기록매체는 기록매체에 의해 전달된 제어 명령이 제어 명령을 장치에 읽을 수 있는 물리적 매커니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적이어야 한다. 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일반적인 형태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또는 다른 자기 기록매체, CD-ROM, 기타 광학 미디어, 천공 카드, 천공 테이프, 다른 어떤 천공 패턴을 가진 물리적 기록매체, RAM, PROM, EPROM, FLASH-EPROM 및 다른 임의의 메모리 칩 또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버스(405)를 포함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동축 케이블, 구리선, 광섬유를 포함하는 전송 매체가 될 수 있다. 전송 매체는 또한 라디오파와 적외선 데이터 통신 중에 발생되는 것과 같은 음향이나 빛의 파장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는 이하 설명될 전송파 또는 전자장치(120)가 읽을 수 있는 다른 임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은 처음으로 원격 컴퓨터의 자기 디스크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는 그것의 동적 메모리로 제어 명령을 로딩할 수 있고 제어 명령을 모뎀을 이용해 전화 회선을 통해 보낼 수 있다. 전자장치(120)에 대한 모뎀 로컬은 전화 회선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적외선 송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검출기는 적외선 신호로 전달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적절한 회로는 버스(405)상에 데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버스(405)는 데이터를 메모리(415)에 전달할 수 있고, 이것으로부터 프로세서(410)는 제어 명령을 검색하고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415)에 의해 수신된 제어 명령은 프로세서(410)에 의한 실행 전이나 후에 선택적으로 저장부(425)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기록매체는 기록매체에 의해 전달된 제어 명령이 제어 명령을 장치에 읽을 수 있는 물리적 메커니즘에 의해 검출되도록 유형적이어야 한다.
전자장치(120)는 또한 버스(405)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445)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445)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전자장치(120)와 디스플레이 장치(105) 사이, 및 전자장치(120)와 원격 제어 장치(115)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445)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카드 또는 전화 회선의 유형에 대응하여 데이터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모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 인터페이스(445)는 호환 가능한 LAN에 대해 데이터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LAN(local area network) 카드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445)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하는 전기, 전자 또는 광학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자장치(120) 내의 프로세서(410)는 원격 제어 장치(115)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 가능하다. 캡쳐 이미지는 캡쳐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식별하기 위해 프로세서(410)에 의해 처리된다. 프로세서(410)는 원격 제어 장치(115)에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메뉴를 제공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원격 제어 장치(115)의 사용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제어가 가능하다.
전자장치(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부(450)와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전자장치(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캡쳐 이미지를 원격 제어 장치(115)로부터 수신한다. 캡쳐 이미지는 원격 제어 장치(115)의 이미지 캡쳐 모듈(305)에 의해 캡쳐될 수 있다. 캡쳐 이미지는 원격 제어 장치(115)의 모션 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모션이 검출된 때에만 생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원격 제어 장치(115)가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향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15)에 의해 촬영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5)가 촬영됨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15)에 의해 캡쳐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전자장치(120)는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워터 마크를 추출한다. 워터마크 생성 모듈(320)은 장치 ID에 기초하여 워터마크를 생성할 수 있다. 워터마크 추출 모듈(310)은 워터마크를 검출하기 위해 캡쳐 이미지를 수신한다. 워터마크 식별 모듈(315)은 워터마크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워터마크가 유효하면 워터마크 식별자가 생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주변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면, 주변 장치의 워터마크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 혼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상에서 렌더링될수 있다.
단계 530에서, 전자장치(120)는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획득한다. 메뉴 획득 모듈(325)은 추출된 워터마크가 유효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위한 메뉴를 획득할 수 있다. 메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장치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장치 ID를 디스플레이 장치(105) 또는 제조사 전자장치(120)에 제공함으로써 전자장치(120)에 의해 추가로 획득될 수 있다. 메뉴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생성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115)에서 이용될 수 있는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다.
메뉴 획득 모듈(235)은 추출된 워터마크, 추출된 워터마크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장치 ID 및 원격 제어 장치(115)의 장치 ID를 이용하여 메뉴를 획득할 수 있다. 메뉴는 디스플레이 장치(105) 제어를 위한 조작이 수행되는 원격 제어 장치(115)상에서 디스플레이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전자장치(120)는 원격 제어 장치(115)에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메뉴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115)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5)들이 식별되는 경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5)들에 각각 매칭된 복수개의 메뉴들을 원격 제어 장치(115)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5)들이 식별되는 경우란, 촬영된 이미지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5)들의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복수개의 캡쳐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하나의 캡쳐 이미지에 복수개의 워터마크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뉴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장치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11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15)에 메뉴가 제공되어 원격 제어 장치(115)상에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면, 원격 제어 장치(115)의 사용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제어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30)상의 메뉴를 열람하고, 제어할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43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선택은 제어 명령으로 변환되고, 제어 명령은 명령 처리 모듈(335)에 전송된다. 제어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5) 및 원격 제어 장치(115)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통신 모듈(34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5)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115)에서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105)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장치가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피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피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없는 다른 장치일 수도 있다.
단계 610에서, 피제어 장치가 전자장치(120)로부터 워터마크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서, 워터마크는 피제어 장치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피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피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단계 620가 수행되고, 피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경우, 단계 630이 수행된다.
단계 620에서, 워터마크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상에 렌더링된다.
단계 625에서, 비디오 데이터가 또한 렌더링된다.
단계 6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피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피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경우, 단계 635가 수행되고, 아닌 경우, 단계 640이 수행된다.
단계 635에서, 워터마크는 피제어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비디오 스트림 내에 블렌딩된다. 그러면, 단계 625에서 워터마크가 블렌딩된 비디어 데이트를 디스플레이 장치가 렌더링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피제어 장치도 주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워터마크를 렌더링할 수 있고, 워터마크가 식별되면, 원격 제어 장치(115)에 의한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쳐 이미지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710에서, 원격 제어 장치(115)가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향해 위치하였는지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모션 또는 기 설정된 모션이 검출된 후, 원격 제어 장치(115)가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향해 위치하는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촬영하는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촬영하는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단계 71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캡쳐 이미지를 생성한다. 캡쳐 이미지는 이미지 캡쳐 모듈(305)에 의해 캡쳐된다. 일 실시예에서, 여러 장치가 검출된 경우에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우선순위가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격 제어 장치(115)는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5)들이 비슷한 우선 순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5)들 중 제어할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캡쳐 이미지는 전자장치(120)에 전송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등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810에서, 네트워크상에서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5)가 식별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전자장치(120)에 의해 식별된다.
단계 815에서, 전자장치(120)는 데이터 베이스(330)를 검색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5)가 이미 등록되었는지 확인한다.
단계 8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5)가 이미 등록되었다면, 방법은 종료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5)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단계 825가 수행된다.
단계 825에서 장치 ID가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대해 생성되고, 데이터 베이스(330) 내에 저장된다.
단계 8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대해 워터마크가 생성되고 장치 ID에 매칭하여 데이터 베이스(330) 내에 저장된다.
단계 83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5)로부터 가져오고, 장치 ID에 매칭하여 장치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5)뿐 아니라, 사용자의 다른 장치 및 제조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840에서, 메뉴는 디스플레이 장치(105), 사용자의 다른 장치 및 제조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장치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메뉴가 획득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메뉴를 로딩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910에서, 워터마크 추출 모듈(310)은 캡쳐 이미지로부터 워터마크를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워터마크가 추출된 경우, 복수개의 피제어 장치에 매칭된 복수개의 메뉴가 원격 제어 장치(115)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장치 ID가 워터마크 식별 모듈(315)으로부터 획득된다. 워터마크 식별 모듈(315)은 워터마크의 유효성을 식별하고, 만약 워터마크가 유효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5)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장치 ID를 생성하고, 추출된 워터마크와 장치 ID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단계 930에서, 장치 ID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330)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를 가져온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ID에 기초하여 제조사 서버로부터 직접 메뉴를 가져올 수 있다.
단계 940에서, 메뉴는 원격 제어 장치(115)에 전송된다. 메뉴는 원격 제어 장치(115)의 스크린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1010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15)의 메뉴로부터 제어 명령을 선택한다.
단계 1015에서, 선택된 메뉴의 제어 명령이 장치 ID와 함께 명령 처리 모듈(335)로 전송된다.
단계 1020에서, 명령 처리 모듈(3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기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제어 명령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1025에서, 선택된 제어 명령이 유효하면, 단계 1030이 수행되고, 유효하지 않다면, 단계 1045가 수행된다.
단계 1030에서, 통신 모듈(3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기능으로부터 통신 모드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따라 적외선,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가 될 수 있다.
단계 1035에서, 통신 모듈은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전송한다.
단계 104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11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제어 명령을 전자장치(12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105)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명시된 실시예들은 워터마크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115)는 여러 장치를 가리키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5) 및 주변 장치를 포함한 여러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메뉴를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를 들어 적외선,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제어 할 수 있게 한다.
앞선 설명에서, 본 발명과 그것의 이점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하기 청구항에 나와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본 발명의 설명적 예로 간주된다. 이러한 모든 가능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기록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기록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기록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기록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전자장치가,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캡쳐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메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메뉴를 획득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메뉴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됨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캡쳐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가 기 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에 매칭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장치의 장치 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장치 ID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ID, 상기 워터마크 및 상기 기능 정보를 매칭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메뉴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촬영한 이미지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렌더링된 상기 워터마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렌더링된 비디오 콘텐트를 포함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다른 장치, 및 제조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식별됨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각각 매칭된 복수개의 메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제공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제공된 메뉴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어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5.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워터마크 추출 모듈;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획득하는, 메뉴 획득 모듈; 및
    상기 획득된 메뉴를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전송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가 기 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워터마크 식별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메뉴가 획득되는 것인,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워터마크 생성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ID, 상기 워터마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21. 원격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캡쳐 이미지를 전자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워터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워터마크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메뉴를 획득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방법.

KR1020130083574A 2012-11-12 2013-07-16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10213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77,679 US9196154B2 (en) 2012-11-12 2013-11-12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ing waterma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4720/CHE/2012 2012-11-12
IN4720CH2012 2012-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215A true KR20140061215A (ko) 2014-05-21
KR102137738B1 KR102137738B1 (ko) 2020-07-24

Family

ID=50890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574A KR102137738B1 (ko) 2012-11-12 2013-07-16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7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228B1 (en) * 1997-04-23 2001-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video or image presentation according to encoded content classifi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video or image data
US20070013775A1 (en) * 2005-07-15 2007-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JP2008172817A (ja) * 2008-02-18 2008-07-24 Seiko Epson Corp 制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適合する被制御装置
KR20090061155A (ko) * 2007-12-11 2009-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228B1 (en) * 1997-04-23 2001-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video or image presentation according to encoded content classifi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video or image data
US20070013775A1 (en) * 2005-07-15 2007-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KR20090061155A (ko) * 2007-12-11 2009-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08172817A (ja) * 2008-02-18 2008-07-24 Seiko Epson Corp 制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適合する被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738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6154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ing watermark
CN111897507B (zh) 投屏方法、装置、第二终端和存储介质
US1029888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0996136B (zh) 视频资源的显示方法及装置
CN102281538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程序
CN102595228A (zh) 内容同步设备和方法
CN111131898B (zh) 播放媒体资源的方法、装置、显示设备及存储介质
US1009101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80781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788143B2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83260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448107B2 (en) Display device
US20140359650A1 (en) Text inpu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405321A (zh) 视频获取方法、显示设备、服务器
US101027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US97124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KR102137738B1 (ko)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EP2793478A1 (en)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devices within a local environment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CN111526392B (zh) 视频获取方法、显示设备、服务器
KR10151700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단말과 외부장치 매칭 방법 및 장치
KR101759563B1 (ko) 콘텐츠 요청 장치 및 방법과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220309095A1 (en) Display device
JP2015032934A (ja) 制御装置、制御方法、送信端末、送信方法、受信端末、受信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