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906A - Display apparatus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906A
KR20140056906A KR1020120123366A KR20120123366A KR20140056906A KR 20140056906 A KR20140056906 A KR 20140056906A KR 1020120123366 A KR1020120123366 A KR 1020120123366A KR 20120123366 A KR20120123366 A KR 20120123366A KR 20140056906 A KR20140056906 A KR 2014005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tal reflection
reflection mirror
mirror
light emitting
half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0495B1 (en
Inventor
최헌정
김영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495B1/en
Publication of KR2014005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9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09F2013/142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multiple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04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 G09F2013/1831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using more than on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me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display device having a visual effect function such as holes are formed in the portion which is displayed using the reflected light and an air cleaner having the same. The disclosed display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using; a half mirror which is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housing; a total reflection mirror which is mounted on the housing and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half mirror; a light emitting member which is mounted to irradiate light to the total reflection mirror side; and a light diffusing member which transfer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to the space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nd the half mirror.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apply a three-dimensional impression to a two-dimensional light source by using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nd the half mirror to be able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devic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DISPLAY APPARATUS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에 홀이 형성된 듯한 시각효과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n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visual effect function such that a hole is formed in a portion to be displayed using reflection of light, and an air purifier .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으며, 화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Generally, a display device can give a user a sense of beauty by using a light source, and can transmit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an image.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을 화면(디스플레이부)에 비추거나 직접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2차원 평면형태의 시각효과만을 수행할 수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can perform only a visual effect of a two-dimensional planar shape by illuminating a light source on a screen (a display unit) or providing the light source directly to a user.

특히,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가정에 상시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치의 디자인적 요소를 중시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제품 외형에 관한 디자인적 요소를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욕구에 충분히 부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ome appliances, since they are always on the home, the user tends to focus on the design elements of the device. In recent years, emphasizing the design elements of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has been 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 not be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제품에 구비된 기능을 심미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aesthetically displaying functions provided in a product and an air cleaner having the display device.

특히,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외관과 관련된 디자인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심미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sthetically realizing not only design elements related to appearance of home appliances but also various kinds of functions provided in home appliances through displays, and an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관에 장착된 하프미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전면이 상기 하프미러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전반사 미러; 상기 전반사 미러 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하프미러와 전반사 미러 사이의 공간에 전달하는 광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at least part of the above objects, A half mirror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total reflection mirro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front surfac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half mirror; A light emitting member arranged to emit light towar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nd a light diffus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to a space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바람직하게,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전반사 미러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alf mirror may be configured to be larger or equal to the total reflection mirro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전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More preferably, the half mirror may constitute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전반사 미러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부재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light emitting members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member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프미러와 전반사 미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프미러와 전반사 미러를 이격시키고 상기 하프미러와 전반사 미러의 사이에서 상기 광확산 부재를 고정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half mirror and a total reflection mirror, wherein the half mirro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light diffusion member is fixed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Member; < / RTI >

바람직하게, 상기 전반사 미러는, 상기 전반사 미러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가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프미러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total reflection mirror is connected to a movable part that reciprocates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can be adjusted.

이때, 상기 광확산 부재와 전반사 미러 사이에는 상기 광확산 부재와 전반사 미러 간을 이격시키는 이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이격부재는 복수의 환형체가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폭이 후방으로 연장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spac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light diffusion member from the total reflection mirror is provided between the light diffusion membe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nd the spacing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annular members are slidable in multiple stages, Lt; / RTI >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청정필터; 상기 공기청정필터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ying filter comprising: an air purifying filter; A blowing fan for blowing air to the air cleaning filter;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바람직하게, 공기청정기의 장치외관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청정필터 및 송풍팬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appearance of the apparatus of the air purifier is constituted by a housing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air purifying filter and the blowing fan can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한편, 상기 발광부재의 온/오프, 밝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장치의 타이머, 온/오프, 풍량 기능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의 온/오프, 밝기 또는 색상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on / off, brightness, and hue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on / off and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according to a timer, on / off, Or color.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프미러와 전반사 미러를 이용하여 2차원 광원에 입체감을 부여함으로써, 장치의 디자인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three-dimensional effect is imparted to the two-dimensional light source by using the half mirro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whereby the design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을 하프미러로 구성하여 거울로도 사용할 수 있고, 발광부재를 장치의 기능에 따라 제어하여 장치의 기능을 심미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to be displayed may be constituted by a half mirror so as to be used as a mirror, and an effect that a function of the device can be esthetically displayed b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device .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확산 부재를 통하여 디지털 홀의 이미지를 균일한 밝기로 제공하여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of a digital hole is uniformly provided through the light diffusion member, thereby providing a smooth atmosphe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프미러, 전반사 미러 및 발광부재의 조립상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평면도, (e)는 저면도, (f)는 전방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g)는 전방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h)는 전방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i)는 전방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전반사 미러의 가동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제2 이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제2 이격부재의 폭이 좁은 상태의 사시도, (b)는 제2 이격부재의 폭이 넓은 상태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y details of the half mirror,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c) is a right side view, (d) is a plan view, (G)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 front left side, (h)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 front upper side, and (i)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 front lower side.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movable structure of a total reflection mirror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pacing member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wherein (a)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width of the second spacing member is narrow,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pacing member is wid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하프미러, 전반사 미러 및 발광부재의 조립 상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rs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il of assembly of a half mirror, a total reflection mirror, and a light emitting mem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110), 하프미러(120), 전반사 미러(130), 발광부재(140), 광확산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이격부재(161) 및 제2 이격부재(16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2 and 3,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half mirror 120, a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 light emitting member 140, Member 150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pacing member 161 and a second spacing member 162. [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후술할 하프미러(120), 전반사 미러(130), 발광부재(140) 및 광확산 부재(15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장치의 외관을 구성한다.The housing 110 may have a space in which a half mirror 120, a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 light emitting member 140, and a light diffusion member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accommodated. .

또한, 상기 하프미러(120)는 하우징(110)의 외관에 장착되며, 입사하는 빛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통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서, 상기 하프미러(120)는 반사율이 40% 내지 60%인 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일정 수준의 빛을 반사할 수 있다면 반사율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하프미러(120)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제품의 전면(前面)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half mirror 12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is configured to reflect a part of incident light and to pass a part of the incident light. For example, the half mirror 120 may be made of a glass having a reflectance of 40% to 60%, but the reflectance and the material are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a certain level of light can be reflected. The half mirror 120 functions as a display unit and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roduc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하프미러(120)는 후술할 전반사 미러(130)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프미러(120)는 하우징(110)의 전면(前面)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전면(前面) 전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alf mirror 120 may be configured to be greater or equal to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described below. At this time, the half mirror 120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or may constitute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

여기서, 하프미러(120)가 하우징(110)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前面)에 하프미러(1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前面)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half mirror 120 constitutes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110, the housing 110 has a front face opened to allow the half mirror 120 to be mounted on the front fac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프미러(120)가 장치의 디스플레이되는 부분 또는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경우에, 후술할 발광부재(140)가 꺼졌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부분 또는 전면(前面)이 거울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디자인적으로 우수하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lf mirror 120 constitutes the display portion or the front surface of the device, when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turned off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played part or the front surface can have a mirror function. Therefore,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operated, an advantage of being excellent in design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전반사 미러(130)는 상기 하프미러(120)와 달리 반사율이 95%이상, 바람직하게는 100%(또는 100%에 가깝게)로 구성되어 입사하는 빛을 대부분 반사시키는 거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반사 미러(13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전면이 하프미러(120)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반사 미러(130)는 하프미러(120)의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may be composed of a mirror that reflects most of the incident light with a reflectance of 95% or more, preferably 100% (or close to 100%), unlike the half mirror 120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faces the rear surface of the half mirror 120. At this time,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alf mirror 120.

한편, 상기 발광부재(140)는 전기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부재로서, 전반사 미러(130) 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전반사 미러(130)의 둘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재(140)는 도 3의 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사 미러(130)의 전방 또는 후방이 아닌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재(140)가 전반사 미러(130)의 측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사 미러(130)의 주변 영역에서 상이 맺히게 되므로 디지털 홀(200)의 외곽 영역이 뚜렷해지고, 보는 각도에 따른 디지털 홀(200)의 차이를 분명히 할 수 있어 심미적인 효과가 높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s a member that emits light through electricity.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may be disposed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to emit light towar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not on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as shown in the side sectional view of FIG. When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the image is formed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outer region of the digital hole 200 is clear And the difference of the digital holes 200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can be clarified,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that the aesthetic effect is high.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재(140)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발광부재(14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회로기판(145)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발광부재(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발광다이오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기가 작은 백열등, 형광등 또는 야광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140)는 다양한 색의 조합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발광부재(140)의 온/오프나 밝기, 색상의 조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표현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may be comprised of a light emitting diode, in which case a circuit board 145 capable of supply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may be provided. However,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s not limited to a light emitting diod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formed of an incandescent lamp, a fluorescent lamp, or a luminous body having a small size.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combinations of colors, and on / off, brightness, and color adjustmen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Lt; / RTI >

그리고, 상기 광확산 부재(150)는 발광부재(140)의 빛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부재로서, 발광부재(140)의 빛을 하프미러(120)와 전반사 미러(130) 사이의 공간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광확산 부재(150)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ight diffusing member 150 is a member capable of diffus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n various directions and diffuse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nto the space between the half mirror 12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 In one embodiment, such a light diffusing member 150 may be composed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한편, 이격부재(161,162)는 하프미러(120)와 전반사 미러(130) 간에 간격을 형성시키고, 상기 하프미러(120)와 전반사 미러(130)의 사이에서 광확산 부재(15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161,162)는 제1 이격부재(161)와 제2 이격부재(16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격부재(161)는 하프미러(120)와 광확산 부재(150) 사이에 장착되고, 제2 이격부재(162)는 광확산 부재(150)와 전반사 미러(13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The spacing members 161 and 16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n interval between the half mirror 12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nd between the half mirror 12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to be. At this time, the spacing members 161 and 162 may include a first spacing member 161 and a second spacing member 162. For example, the first spacing member 161 is mounted between the half mirror 120 and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and the second spacing member 162 is mounted between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s shown in FIG.

이때, 제2 이격부재(162)는 전반사 미러(130)를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spacing member 162 may be configured to couple and fix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는 이격부재(161,162)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이격부재(161,162)의 일부 또는 전부는 광확산 부재(1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2 and 3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spacing members 161 and 162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units. It is also possible that part or all of the spacing members 161 and 162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반사 미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발광부재(140)는 복수개가 전반사 미러(13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2, the light-emitting member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on mirrors 130 (see FIG. 2), a plurality of reflection mirrors 130, and a plurality of reflection mirrors 130. In th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 발광부재(140)가 장착되는 회로기판(145)은 중공부에 전반사 미러(130)가 수용될 수 있는 환형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확산 부재(150)는 환형으로 배치된 발광부재(140)에 대응하는 환형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격부재(161) 및 제2 이격부재(162)도 전반사 미러(130)와 광확산 부재(150)에 대응하여 환형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circuit board 145 on which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s mounted may have an annular structure in which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can be received in the hollow portion. Also,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may have an annular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The first spacing member 161 and the second spacing member 162 may also have an annular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nd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그러나, 발광부재(140)의 배치, 전반사 미러(130), 광확산 부재(150) 등의 형상은 전술한 환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폐곡선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부재(140)를 개곡선 형태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to the annular structure described above, but may be variously changed, such as a polygon or a closed curv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light emitting members 140 in the shape of an open curve.

한편, 광확산 부재(150)는 전반사 미러(130)의 측방에 배치된 발광부재(140)의 빛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사 미러(130)의 둘레를 따라 확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점 단위로 배치된 발광부재(140)의 빛이 광확산 부재(150)의 둘레(내주면)를 따라 확산되면서 광확산의 둘레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The light diffusing member 150 may diffuse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long the periphery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s shown in FI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disposed on a point-by-point basis can be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eriphery of the light diffusion while being diffused along the periphery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따라서, 광확산 부재(150)를 통해 발광부재(140)의 빛이 직접 전반사 미러(130)로 전달되는 경우에 비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의 디지털 홀(200)을 구현할 수 있어 심미적 효과가 높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glare can be prevent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through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and as shown in FIG. 4,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hole 200,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aesthetic effect is high.

또한, 발광부재(140)의 빛은 광확산 부재(150)를 통해 전반사 미러(130)와 하프미러(120)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된 후, 전반사 미러(130)와 하프미러(120) 사이에서 투과와 반사를 반복하면서 도 4의 (a), (f), (g), (h) 및 (i)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동일 중심(동심원)을 갖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전반사 미러(130)에 맺힌 발광부재(140)의 상을 보는 것이 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s transmitted to the space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nd the half mirror 120 through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and then transmitted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nd the half mirror 120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mage having a plurality of concentric concentric circles as shown in Figs. 4A, 4F, 4G, 4H and 4I by repeating transmission and reflection. Here, the user views the image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formed on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미러(120)와 전반사 미러(130) 간에 반복적으로 반사되는 빛은 하프미러(120)에 반사될 때, 일부가 반사되고 나머지는 투과되므로 빛의 세기가 반사횟수 즉, 전반사미러의 중심부로 갈수록 약해진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수의 동심원 빛이 중심으로 갈수록 점점 어두워지는 것을 볼 수 있다.3, when light reflected repeatedly between the half mirror 12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is reflected by the half mirror 120, part of the light is reflected and the remaining light is transmitted, The number of reflections, that is, toward the center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becomes weaker. As a result, the user can observe that the light of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becomes gradually darker toward the cent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중심부가 점점 어두워지면서 깊이를 가지는 홀이 형성된 듯한 착시현상을 이용하여 도 4의 (a), (f), (g), (h) 및 (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감을 가지는 디지털 홀(200)을 표시할 수 있다.4 (a), (f), (g), and (g) of FIG. 4,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optical illusion in which a hole having a depth is formed, h and digital holes 200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s shown in (i).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부재(140)가 전반사 미러(130)의 전방이나 후방이 아닌 측방에 배치되므로, 도 4의 (f), (g), (h) 및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를 정면이 아닌 경사방향에서 보는 경우에 장치 안쪽으로 파인 듯한 디지털 홀(200)을 표시할 수 있다.4 (f), (g), and (g) of FIG. 4 because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digital hole 200 as if it looks like the inside of the apparatus when the apparatus is viewed in the oblique direction rather than the front direction as shown in FIGS.

한편, 상기에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발광부재(140)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원형 디지털 홀(200)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부재(140) 및 광확산 부재(150)와 전반사 미러(130)는 다각형, 폐곡선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is circularly arranged to display the circular digital hole 200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flection mirror 150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 and a closed curve.

다음으로,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전반사 미러의 가동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제2 이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Nex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Here,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movable structure of a total reflection mirror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pacing member.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반사 미러(130)는 전반사 미러(130) 자체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가동부(170)에 연결되어, 하프미러(120)와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5 and 6,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170 that reciprocates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distance from the half mirror 120 can be adjusted.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전반사 미러(130)의 후면에는 전반사 미러(130)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가동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부(170)는 특별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반사 미러(130)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기계적 구성도 가능하다.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movable mirror 17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to reciprocate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back and forth. The moving part 17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tructure, and any mechanical structure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is possible.

또한, 제2 이격부재(162)는 복수의 환형체가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2 이격부재(162) 전체의 폭이 후방으로 연장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pacing member 162 may be structur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annular members can be slidably mov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entire width of the second spacing member 162 can be extended rearward.

예를 들어, 제2 이격부재(16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환형체와, 제1 환형체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결합된 제2 환형체로 구성되어, 광확산 부재(150)에 고정된 제2 환형체로부터 전반사 미러(130)가 결합된 제1 환형체가 펼쳐지며 전체 폭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second spacing member 162 is composed of a first annular member and a second annular memb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annular member, as shown in Fig. 6, and the light diffusing member 150 The first annular body to which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is coupled is unfolded so that the entire width of the first annular body can be extended.

이를 통해, 전반사 미러(130)와 하프미러(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광확산 부재(150)에서 확산되는 빛의 각도가 일정한 경우, 전반사 미러(130)와 하프미러(1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하는 동심원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terval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nd the half mirror 120 can be adjusted. In this case, when the angle of the light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member 150 is constant, the interval between the concentric circles recognized by the us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mirror 130 and the half mirror 120.

한편,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공기청정기에 적용될 수도 있는데, 이때, 공기청정기의 장치외관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11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2 to 6 may be applied to an air cleaner, wherein the appearance of the apparatus of the air cleane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housing 110 of the display device 100 ).

여기서, 상기 공기 청정기에는 통상의 공기 청정기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필터(미도시)와 공기청정필터에 외부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air cleaner may include an air purifying filter (not shown) for purifying the air and a blowing fan (not shown) for blowing outside air to the air purifying filter, as in a normal air purifier, It will be omitt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장치외관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110)으로 구성된 경우에, 공기청정필터, 송풍팬을 포함한 각종 부품들은 하우징(110)에 내장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air purifying filter and the blower fan can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whe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apparatus of the air cleaner is constituted by the housing 110 of the display device 100.

또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같이 하우징(110)의 전면이 하프미러(120)로 구성된 경우에, 공기청정기는 하프미러(120)로 구성된 전면(前面)으로 인하여 디지털 홀(200)을 구현하면서도 전체적인 외관 디자인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2,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is constituted by the half mirror 120, the air purifier has the front surface including the half mirror 120, It is advantageous that the overall appearance design is improved while implementing the digital hole 200 due to the front surface.

이와 같이 하우징(110)의 전면(前面)이 하프미러(120)로 구성된 경우, 외부공기가 하우징(110)과 하프미러(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is formed of the half mirror 120,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er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half mirror 120 .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용된 공기청정기에는 발광부재(140)의 온/오프, 밝기 또는 색상, 가동부(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는 공기청정기의 타이머, ON/OFF, 풍량 등의 다양한 기능에 따라 발광부재(140)의 온/오프, 밝기 또는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cleaner to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on / off, brightness or color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operation of the moving unit 170,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on / off, brightness, or hue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such as a timer, ON / OFF, and air volume of the air purifier.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의 전원이 ON/OFF 될 때, 발광부재(140)의 빛이 일측 영역에서 타측 영역으로 점점 켜지거나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풍량 기능이 수행될 때 복수의 발광부재(140)가 순차적으로 점멸하여 디지털 홀(200)이 회전하는 시각효과를 만들 수도 있다. 또한, 타이머 기능이 수행될 때 발광부재(140)가 잔여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점등된 영역이 점점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air purifier is powered on / off,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may be gradually turned on or off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addition, when the airflow function is performe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40 may sequentially turn on and off to create a visual effect in which the digital holes 200 are rotated. Further,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timer function is performed, the lighted area gradually decreases as the remaining time decreases.

이에 더하여, 발광부재(140)의 밝기나 색상을 조절하여 공기 청정필터의 오염도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rightness or color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40 may be adjusted to display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cleaning filter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pollution degre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용된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의 전면(前面)에 표시되는 디지털 홀(200)의 동작 및 형태를 통해 공기청정기의 현재 수행중인 기능을 쉽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to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operated by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and the form of the digital hole 200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clea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unc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하우징
120 : 하프미러 130 : 전반사 미러
140 : 발광부재 145 : 회로기판
150 : 광확산 부재 161 : 제1 이격부재
162 : 제2 이격부재 170 : 가동부
200 : 디지털 홀
100: display device 110: housing
120: half mirror 130: total reflection mirror
140: light emitting member 145: circuit board
150: light diffusion member 161: first spacing member
162: second spacing member 170: moving part
200: Digital Hall

Claims (13)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관에 장착된 하프미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전면이 상기 하프미러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전반사 미러;
상기 전반사 미러 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하프미러와 전반사 미러 사이의 공간에 전달하는 광확산 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housing;
A half mirror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total reflection mirro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front surfac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half mirror;
A light emitting member arranged to emit light towar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nd
A light diffus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to a space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전반사 미러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lf mirror is configured to be larger or equal to the total reflection mirr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alf mirror forms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하우징 전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half mirror constitutes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전반사 미러의 측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전반사 미러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light emitting membe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ght emitting member comprises a light emitting di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와 전반사 미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프미러와 전반사 미러를 이격시키고 상기 하프미러와 전반사 미러의 사이에서 상기 광확산 부재를 고정시키는 이격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pac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for separating the half mirror from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nd fixing the light diffusion member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미러는,
상기 전반사 미러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가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프미러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tal reflection mirror comprises:
Wherein the first mirror is connected to a movable part reciprocat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total reflection mirro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mirror is adjustab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부재와 전반사 미러 사이에는 상기 광확산 부재와 전반사 미러 간을 이격시키는 이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이격부재는 복수의 환형체가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폭이 후방으로 연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spac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light diffusion member from the total reflection mirror is provided between the light diffusion member and the total reflection mirror,
Wherein the spacing member is configured so that the plurality of annular members can be slidably mov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width can be extended rearward.
공기청정필터;
상기 공기청정필터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ir purifying filter;
A blowing fan for blowing air to the air cleaning filter; And
An air purifier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제11항에 있어서,
장치외관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청정필터 및 송풍팬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 appearance of the apparatus is constituted by a housing of the display apparatus,
Wherein the air purifying filter and the blowing fan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의 온/오프, 밝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장치의 타이머, 온/오프, 풍량 기능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의 온/오프, 밝기 또는 색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on / off, brightness, and hue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ON / OFF, brightness or color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according to a timer, an ON / OFF, and an air flow function of the apparatus.
KR1020120123366A 2012-11-02 2012-11-02 Display apparatus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000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366A KR102000495B1 (en) 2012-11-02 2012-11-02 Display apparatus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366A KR102000495B1 (en) 2012-11-02 2012-11-02 Display apparatus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06A true KR20140056906A (en) 2014-05-12
KR102000495B1 KR102000495B1 (en) 2019-07-17

Family

ID=5088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366A KR102000495B1 (en) 2012-11-02 2012-11-02 Display apparatus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4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221A3 (en) * 2016-04-01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borne matter measurement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air purifier including airborne matter measurement device
WO2021132994A1 (en) * 2019-12-26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498Y1 (en) 1999-09-14 2000-03-15 배인수 Picture card
KR200296222Y1 (en) * 2002-08-20 2002-11-23 주식회사 윈스텍 Combination mirro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60109657A1 (en) * 2004-01-23 2006-05-25 Larry Kuhl Vehicular lighting arrangement with infinity effect
KR100794676B1 (en) 2007-07-18 2008-01-14 김상선 Hand drier having advertisement function
KR100875972B1 (en) 2008-07-29 2008-12-26 (주)엘이디피아 Space producing device
KR101022799B1 (en) * 2010-03-24 2011-03-17 (주)엘이디피아 Space producing device using side ligh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498Y1 (en) 1999-09-14 2000-03-15 배인수 Picture card
KR200296222Y1 (en) * 2002-08-20 2002-11-23 주식회사 윈스텍 Combination mirro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60109657A1 (en) * 2004-01-23 2006-05-25 Larry Kuhl Vehicular lighting arrangement with infinity effect
KR100794676B1 (en) 2007-07-18 2008-01-14 김상선 Hand drier having advertisement function
KR100875972B1 (en) 2008-07-29 2008-12-26 (주)엘이디피아 Space producing device
KR101022799B1 (en) * 2010-03-24 2011-03-17 (주)엘이디피아 Space producing device using side ligh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221A3 (en) * 2016-04-01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borne matter measurement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air purifier including airborne matter measurement device
WO2021132994A1 (en) * 2019-12-26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112107B2 (en) 2019-12-26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495B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3964B2 (en) Lighting device
EP2391248B1 (en) Mirror unit comprising a mirror surface and a lighting unit
EP2734784B1 (en) A lighting system for providing a daylight appearance and a luminaire
CN104755831B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WO2016022721A1 (en) Electric lighting devices
EP3426974B1 (en) Lighting device with sparkling effect
RU2265969C1 (en) Decorative multicolor lamp with control device
CN101568866B (en) Light projec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KR20080000678U (en) LED sensitive faculty lighting equipment
US8418385B2 (en) Lighting device
KR102000495B1 (en) Display apparatus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JPH03254006A (en) Decorational lighting fixture
JP2004085022A (en) Air conditioner
KR101468543B1 (en) Cheering device
US20080102963A1 (en) Internally illuminated video game cabinet
KR20140056908A (en) Display structure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US10371955B2 (e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 lenticular lens sheet that is formed in a concave manner having a plano-convex cylindrical convex surface with a light source disposed within the convex surface
JP2005003334A (en) Light emissive display device for air cleaner
KR101673570B1 (en) Lighting apparatus that can express variety color and images
CN104613017A (en) Ventilator
CN219536241U (en) Bluetooth sound box with perspective 3D atmosphere lamp
CN217382802U (en) Sky simulation lamp lighting module
CN220870688U (en) Double-sided luminous lamp cap
JP6055053B1 (en) Backlight illumination device for shaped body
KR20170062858A (en) Mood illumination device vehicl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