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519A -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519A
KR20140056519A KR1020120120190A KR20120120190A KR20140056519A KR 20140056519 A KR20140056519 A KR 20140056519A KR 1020120120190 A KR1020120120190 A KR 1020120120190A KR 20120120190 A KR20120120190 A KR 20120120190A KR 20140056519 A KR20140056519 A KR 20140056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hotographing
metadata
unit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6519A/ko
Priority to PCT/KR2013/006436 priority patent/WO2014069747A1/ko
Publication of KR2014005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촬영시간, 촬영장소 및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 데이터 생성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및 촬영모드가 설정될 시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시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메타 데이터 생성부에 전달하여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로 전달하여 생성된 촬영 데이터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진 혹은 동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과 촬영 장소 및 시간 등을 투명하게 관리하여 촬영 데이터가 악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촬영 데이터를 통해 부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MAGE FILING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해당 휴대단말의 고유정보와 촬영 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과 촬영 장소 및 시간 등을 투명하게 관리하여 촬영 데이터가 악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라인 상에 게시된 촬영 데이터를 통해 부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은 단말 내부에 CCD와 같은 촬상소자와 소형 렌즈를 장착하여 사진 혹은 동영상을 찍을 수 있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을 단말 내 메모리에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소지가 간편하여 언제든지 사진을 찍을 수가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이 이러한 편의성을 오남용 하여 악의적으로 또는 자신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타인의 은밀한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문제의 소지가 될만한 사진 혹은 동영상을 촬영하여 인터넷에 유출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인터넷상에 익명으로 게시된 촬영 데이터는 그 촬영자나 촬영장소 등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게시자를 추적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문제의 소지가 있는 촬영 데이터가 게시되거나 유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분실된 휴대단말을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고 습득한 사용자가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카메라 기능의 경우 통신기능을 이용하지 않고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고 카메라의 성능 또한 디지털카메라와 다르지 않다. 이에, 습득한 휴대단말을 디지털카메라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도 있기 때문에 분실된 휴대단말의 회수율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분실된 휴대단말에서 사진을 촬영하여 게시하는 경우, 휴대단말의 원 소유주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96036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해서 개인이 촬영한 영상의 배포 및 판매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해당 휴대단말의 고유정보와 촬영 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과 촬영 장소 및 시간 등을 투명하게 관리하여 촬영 데이터가 악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라인 상에 게시된 촬영 데이터를 통해 부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부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 촬영시간, 촬영장소 및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촬영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웹 상에 게시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메타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서버장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촬영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된 메타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의 외부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촬영시간, 촬영장소 및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 데이터 생성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및 촬영모드가 설정될 시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시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메타 데이터 생성부에 전달하여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로 전달하여 생성된 촬영 데이터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촬영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된 메타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의 외부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는, 피사체를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B)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위치정보와, 현재시간 및 단말 고유의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촬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촬영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된 메타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현재시간 및 단말 고유의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해당 휴대단말의 고유정보와 촬영 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과 촬영 장소 및 시간 등을 투명하게 관리하여 촬영 데이터가 악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휴대단말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에서 해당 영상의 촬영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촬영 데이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분실된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영상이 인터넷 등에 공개된 경우, 원 소유주가 촬영에 쓰인 휴대단말과 촬영 장소 및 시간 등을 확인하여 휴대단말의 소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관리 장치가 적용된 휴대단말의 제어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관리 장치가 적용된 휴대단말(100)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은, 카메라부(110), 메타 데이터 생성부(120),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 메모리(140), 위치정보 수집부(150), 입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1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70)로 전달한다. 카메라부(110)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이미지 센서(112)를 통해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사진과 같은 정지 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집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의 휴대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위치정보 수집부(150)는 GPS모듈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현재 휴대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거나, 혹은, 외부의 위치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휴대단말(100)의 고유정보인 단말 ID와, 위치정보 수집부(150)에서 수집된 휴대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는 카메라부(110)에서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에 메타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전달되는 메타 데이터를 부가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한다.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는 영상 데이터의 속성정보에 메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으며, 혹은, 영상 데이터에 메타 데이터를 워터마크의 형태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타 데이터가 워터마크 형태로 삽입되는 경우, 영상 데이터 상에서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으나 워터마크를 판독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타 데이터를 포함시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촬영 데이터를 인터넷에 게시하거나 다른 장치에 전송한 경우에도, 촬영 데이터 자체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통해 촬영 위치, 촬영 시간 및 휴대단말(100)의 ID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100)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를 확인할 경우에도 그 안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 시간 및 촬영 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촬영 데이터와 해당 촬영 데이터에 적용된 메타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4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는 촬영 데이터 내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카메라부(110) 조작을 위한 키 입력, 카메라부(110) 통해 촬영한 촬영 데이터에 대한 저장, 전송, 확인 등을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 통화 또는 문자 입력 등을 위한 다수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60)는 터치 스크린, 버튼, 동작감지 센서, 음성인식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사용자 메뉴, 사용자 선택에 따른 처리 결과, 휴대단말(100)의 상태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80)는 휴대단말(100) 내의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여 휴대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촬영모드가 설정될 시 카메라부(110)를 구동시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촬영이 완료된 후 촬영된 영상에 대한 저장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80) 위치정보 수집부(150)를 통해 해당 영상이 촬영된 위치정보와 촬영 시간정보를 수집한다. 제어부(180)는 기 저장된 휴대단말(100)의 고유 ID와, 위치정보 수집부(150)에서 수집된 촬영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메타 데이터 생성부로 전달한다(120).
제어부(180)는 휴대단말(100)의 고유 ID, 촬영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메타 데이터 생성부(120)를 제어하고,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에 메타 데이터를 첨부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80)는 촬영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하는 한편, 해당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도 메모리(140)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촬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80)는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양 측 메타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어느 쪽이든 메타 데이터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촬영 데이터의 외부전송을 차단한다.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촬영 위치정보와, 촬영시간 및 휴대단말(100)의 고유 ID 중 어느 하나라도 인위적으로 변경된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가 악의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고 메타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촬영 위치정보와, 촬영시간 및 휴대단말(100)의 고유 ID 중 어느 하나라도 조작된 경우에는 촬영 데이터가 외부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촬영 데이터 관리 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데이터 관리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부(110),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 데이터 생성부(120), 영상 데이터에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 및 촬영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10)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112)를 통해 피사체의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여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캡쳐된 피사체 이미지의 전기적 신호를 인코더(114)를 이용하여 변환, 압축 등의 처리를 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사진 등의 정지 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부(120)는 휴대단말(100)의 고유정보인 단말 ID와, 위치정보 수집부(150)에서 수집된 휴대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촬영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는 메타 데이터 삽입기(132)와 촬영 데이터 생성기(134)를 포함한다.
촬영 데이터 생성기(134)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메타 데이터 삽입기(132)가 영상 데이터에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메타 데이터는 촬영 데이터의 속성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혹은, 영상 데이터에 워터마크의 형태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타 데이터가 워터마크 형태로 삽입되는 경우, 영상 데이터 상에서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으나 워터마크를 판독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에, 휴대단말(100)을 이용하여 사진 혹은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사진, 동영상에는 해당 휴대단말(100)의 단말 ID와, 촬영 위치정보, 촬영 시간정보가 메타 데이터로 삽입된다.
따라서, 만일의 경우 휴대단말(100)로 찍은 사진을 인터넷 등을 통하여 유포할 경우 휴대단말(100)의 소재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가 조작된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는 외부 전송이 차단되므로, 게시된 촬영 데이터 포함된 메타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인코더(114)가 인코딩한 영상 데이터에 메타 데이터 삽입기(132)가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도록 하였지만, 메타 데이터 삽입과정과 인코딩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인코딩 과정에서 메타 데이터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어느 실시예에 의하든 결과에는 차이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의 흐름도로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촬영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부(110)를 구동시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S110). 이에, 카메라부(110)에서는 정지 영상 혹은 동영상 형태의 영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위치정보 수집부(150)를 통해 현재 휴대단말(100)의 위치정보, 즉 촬영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촬영 시간정보를 확인한다(S120).
제어부(180)는 촬영 위치정보 및 촬영 시간정보와 기 저장된 휴대단말(100)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메타 데이터 생성부(120)를 제어한다(S130).
제어부(180)는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에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를 제어한다(S140).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촬영 데이터의 속성정보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혹은, 영상 데이터에 워터마크의 형태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촬영 데이터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된다(S150). 여기서, 제어부(180)는 촬영 데이터 저장 시 해당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도 함께 메모리(140)에 저장함으로써,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의 흐름도로서, 휴대단말(100)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경우 제어 흐름을 예시하고 있다.
휴대단말(100)의 입력부(160)를 통해 메모리(140)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의 전송이 선택되면(S210), 제어부(180)는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 저장 시 함께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비교한다(S220). 사용자는 휴대단말(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를 인터넷에 업로드 하거나 다른 장치로 옮기기 위해, 촬영 데이터의 외부 전송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 데이터의 외부 전송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와 해당 촬영 데이터의 저장 시 생성되었던 메타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결과 메타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식으로 촬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S250).반면, 메타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80)는 촬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촬영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한다(S240). 제어부(180)는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양 측 메타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어느 쪽이든 메타 데이터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촬영된 영상의 촬영 장소, 시간, 혹은 촬영한 휴대단말(100)의 단말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변조된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는 외부 전송이 차단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100)에서 촬영된 촬영 데이터가 인터넷 등에 게시된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10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촬영 장소, 시간 및 단말 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인터넷 등에 게시된 촬영 데이터들의 촬영 장소와 시간, 단말 ID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휴대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데이터의 경우 그 촬영 단말과, 촬영 장소 및 시간 등이 투명하게 관리되므로, 피촬영자가 모르게 촬영한 촬영 데이터가 악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에서 해당 영상의 촬영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휴대단말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분실된 휴대단말을 습득한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카메라 용도로 이용하여 해당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영상이 인터넷 등에 공개한 경우, 휴대단말의 원 소유주가 촬영에 쓰인 휴대단말과 촬영 장소 및 시간 등을 확인하여 휴대단말의 소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분실된 휴대단말로 찍은 사진이 인터넷 등을 통하여 유포될 경우 휴대단말의 소재를 추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현재시간 및 단말 고유의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해당 휴대단말의 고유정보와 촬영 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과 촬영 장소 및 시간 등을 투명하게 관리하여 촬영 데이터가 악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라인 상에 게시된 촬영 데이터를 통해 부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휴대단말 110 : 카메라부
112 : 이미지 센서 114 : 인코더
120 : 메타 데이터 생성부 130 : 촬영 데이터 생성부
132 : 메타 데이터 삽입기 134 : 촬영 데이터 생성기
140 : 메모리 150 : 위치정보 수집부
160 : 입력부 170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9)

  1. 카메라부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 촬영시간, 촬영장소 및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촬영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웹 상에 게시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메타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서버장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촬영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된 메타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의 외부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3.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촬영시간, 촬영장소 및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 데이터 생성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및
    촬영모드가 설정될 시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시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메타 데이터 생성부에 전달하여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로 전달하여 생성된 촬영 데이터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 데이터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촬영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된 메타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의 외부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데이터 관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피사체를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데이터 관리 장치.
  6. (A)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B)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위치정보와, 현재시간 및 단말 고유의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촬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촬영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된 메타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촬영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
  9.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현재시간 및 단말 고유의 단말ID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를 삽입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120190A 2012-10-29 2012-10-29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6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190A KR20140056519A (ko) 2012-10-29 2012-10-29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3/006436 WO2014069747A1 (ko) 2012-10-29 2013-07-18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190A KR20140056519A (ko) 2012-10-29 2012-10-29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519A true KR20140056519A (ko) 2014-05-12

Family

ID=5062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190A KR20140056519A (ko) 2012-10-29 2012-10-29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56519A (ko)
WO (1) WO20140697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7472B1 (en) * 2000-02-07 2019-04-03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ed medium
US7068309B2 (en) * 2001-10-09 2006-06-27 Microsoft Corp. Image exchange with image annotation
US20040201751A1 (en) * 2002-01-03 2004-10-14 Genevieve Bell Secure digital photography system
JP4566683B2 (ja) * 2003-10-09 2010-10-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メタデータ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受信装置、送信装置
KR100788605B1 (ko) * 2007-01-19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9747A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8642B (zh) 用创建者身份或场景标记媒体的方法和设备
CN102594857B (zh) 移动设备上的图像识别和共享
CN108141366A (zh) 用于认证摄制图像数据的系统和方法
US20060104483A1 (en) Wireless digital image capture device with biometric readers
CN103365957A (zh) 基于邻近度和连接的照片共享
JP6223534B2 (ja) 撮影機器、撮影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2014045259A (ja) 端末装置、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5151451B2 (ja) 人物特定システム、人物特定装置、人物特定方法および人物特定プログラム
JP515347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4096270A (ja) 撮像システム
JP2015015570A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装置およ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JP6428152B2 (ja) 肖像権保護プログラム、情報通信装置及び肖像権保護方法
JP2010068247A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2019205140A (ja)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生成方法、及び検証方法
KR20140056519A (ko) 휴대단말의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413500B2 (ja) 撮像装置
JP2004179919A (ja) 画像仲介システム
KR20120080379A (ko)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어노테이션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8885653B (zh) 服务提供系统、服务递送系统、服务提供方法和程序
JP6712720B2 (ja) 照合情報処理装置
JP2019057288A (ja) 電子機器
JP201715795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86149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pturing and transmitting media
KR100463316B1 (ko) 무인 촬영 시스템
KR101354438B1 (ko) 모바일 단말을 기반으로 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관제 영상 실시간 스트리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