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858A -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radio unit in ccc - Google Patents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radio unit in cc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858A
KR20140055858A KR1020120123225A KR20120123225A KR20140055858A KR 20140055858 A KR20140055858 A KR 20140055858A KR 1020120123225 A KR1020120123225 A KR 1020120123225A KR 20120123225 A KR20120123225 A KR 20120123225A KR 20140055858 A KR20140055858 A KR 2014005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unding reference
reference signal
processing uni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민석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2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858A/en
Publication of KR2014005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parameter to request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reques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to a terminal in order to check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on where the terminal is disposed.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a base station detects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checks that the terminal is disposed in the region of any one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among the region of a first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region of a second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Description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radio unit in CCC}[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and a radio signal processor using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은 CCC(Cloud Communication Center) 환경에서의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in a CCC (Cloud Communication Center) environment and a method for checking a radio signal processor using the base station.

종래의 통신 기지국은 크게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Unit, 이하 'DU'라 지칭함)와 무선 신호 처리부(Radio Unit, 이하 'RU'라 지칭함)가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함께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모든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셀에 다 설치하여야 하므로, 셀 설계의 최적화에 한계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에 복수의 안테나를 연결하여, 필요한 방식대로 셀을 형성하여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을 줄이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A conventional communication base station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U) and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RU) together in one physical system. However, such a system requires a base station including all the processing units to be installed in the cell, which limits the optimization of the cell design. To improve this, a plurality of antennas are connected to one base station, and cells are formed in a required manner to reduce coverage holes.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효율적인 셀 설계는 가능하지만, 시스템의 무선 용량을 극대화 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무선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지국의 새로운 구조 및 전송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제안된 것이 CCC(Cloud Communication Center)이다. CCC는 기존 기지국 시스템과는 달리 기지국의 DU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RU를 분리하여, DU는 전화국에 집중 배치하고 RU는 서비스 지역에 설치하는 무선망 기술이다. However, this approach allows efficient cell design,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maximize the wireless capacity of the syste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new structure and transmiss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for maximizing the radio capacity, and the CCC (Cloud Communication Center) is proposed accordingly. Unlike the existing base station system, the CCC is a wireless network technology that separates the DU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RU that transmits / receives wireless signals, DU concentrates on the telephone office, and RU installs on the service area.

CCC 구조 하에서 RU로서 사용되는 장비로는 2세대 통신(2G)에서 사용하던 중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매크로 셀 배치(macro cell deployment)와 다양한 스몰 셀 배치(small cell deployment)를 고려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상황에서도, 다양한 트래픽 환경과 2세대 통신보다 증가된 통신 커버리지를 얻기 위하여 더 많은 수의 RU들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2G 중계기 외에 추가적인 4세대 통신(LTE: Long Term Evolution)에 적합한 RU로서의 중계기가 도입될 수 있다.The equipment used as RU under the CCC structure can use the repeater used in the second generation communication (2G). Even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macro cell deployment and various small cell deployment are considered, a larger number of traffic environments and a larger number of RUs are required.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2G repeater, a repeater as an RU suitable for an additional 4th generation (LTE: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can be introduced.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LTE 주파수에 적합한 중계기(이하, 'LTE-RU'라 지칭함)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지만 일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지 못하는 RU로서의 중계기(예를 들면, 2G 중계기(2G-RU))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단말이 속한 RU의 정보를 알 수 없다. 그리고 DU는 해당 단말이 속한 RU가 2G 중계기를 사용한 2G-RU인지 LTE 상향링크 주파수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LTE-RU인지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repeater (for example, a 2G repe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repeater ") as an RU that overlaps a frequency band used by a repeater suitable for an LTE frequency 2G-RU) are mixed and used, the terminal can not know the information of the RU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And DU can not recognize whether the RU to which the UE belongs is a 2G-RU using a 2G repeater or an LTE-RU designed for an LTE uplink frequency.

만약, DU가 기지국 스케줄링을 통해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고 해당 RU가 2G-RU일 경우에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한 전송 손실이 발생한다. If DU allocates resources to the UE through base station scheduling and the corresponding RU is 2G-RU, it can not detect signals transmitted through resources allocated to a specific frequency band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UE. Therefore, a transmission loss occurs for the uplink channel and the signal.

이는 단말이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해야 하며, 데이터 재전송의 실패에 따른 상향링크의 상당한 데이터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은 2G 중계기를 사용하는 RU로 상향링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때, 단말이 위치한 RU가 2G-RU인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탐지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인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전송할 때, 기지국에서 해당 특정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PUSCH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한 호핑(hopping) 및 논-호핑 경우(non-hopping case)에 상관없이 PUSCH의 탐지 실패에 따른 데이터 재전송 및 데이터 손실이 발생한다. This means that the UE has to perform data retransmission and cause a significant data loss of the uplink due to the failure of data retransmission. Also, when transmitting a signal through an uplink to an RU using a 2G repeater, the terminal can not detect a specific frequency band when the RU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is 2G-RU. Accordingly, when the MS transmits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which is an uplink data channel, when the BS performs scheduling for the specific band, the BS performs scheduling on the PUSCH to obtain a frequency diversity gain Data retransmission and data loss due to PUSCH detection failure occur regardless of the hopping and non-hopping cases.

또한, PUSCH의 자원을 할당할 때 특정 대역을 피해서 할당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슬롯간 PUSCH 호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한쪽 슬롯에 대한 PUSCH가 해당 주파수 대역에 부분적으로나 혹은 전체적으로 겹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RU가 신호를 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한 전송 손실이 발생하고, 이는 단말에 신호 재전송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신호 재전송의 실패에 따른 상향링크의 데이터 손실이 발생한다.Also, when allocating resources by allocating the PUSCH resource while avoiding a specific band, when inter-slot PUSCH hopping is performed, the PUSCH for one slot may partially or wholly overlap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As a result, the RU does not detect the signal. Therefore, a transmission loss occurs on the uplink channel and the signal, which not only requests retransmission of the signal to the UE but also causes uplink data loss due to the failure of signal retransmission.

또한, 대역 경계(Band edge)에 할당될 수 있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전송의 경우에는, 한쪽 슬롯의 PUCCH를 모두 탐지 할 수 없다. 따라서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관점에서 3dB의 탐지 손실이 기본적으로로 발생된다. 이는 하향링크에 대한 상항 링크의 HARQ Ack/Nack 채널 및 하향링크의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에 대한 피드백의 신뢰성 확보를 방해하고, 하향링크 데이터 손실 및 성능 감소의 원인이 된다.Also, in the case of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transmission which can be allocated to a band edge, it is impossible to detect all the PUCCHs in one slot. Therefore, a detection loss of 3 dB is basically generated from the viewpoint of signal to noise ratio (SNR). This hinders the reliability of the feedback for the HARQ Ack / Nack channel and the downlink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of the uplink to the downlink, and causes downlink data loss and performance degradation.

또한, 광대역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는 시퀀스를 기반으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므로, 시퀀스의 일부가 RU를 탐지할 수 없는 주파수 대역에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겹치는 경우 해당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RU는 주파수 독립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채널의 상반성(channel reciprocity)을 이용한 하향링크 빔포밍에 해당 사운딩 참조 신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채널 상태 정보에 의한 하향링크 빔포밍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어 하향링크 성능에 대한 손실이 발생한다.Since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in a wide band is transmitted from a UE to a base station based on a sequence, if a part of a sequence partially or completely overlaps a frequency band where RU can not be detected, the correspond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Can not be detected. Therefore, the RU can not perform frequency independent scheduling. Also, in the TDD system, a correspond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used for downlink beamforming using channel reciprocity. In this case, the downlink beamforming by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is accurately performed Loss occurs in the downlink performance.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가 분리된 구조를 갖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station for identifying a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unit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in a network environmen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are separated, and a method for checking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using the same.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dentifying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in which a terminal is located,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요청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또는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신호 처리부 영역에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etting a parameter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th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s detected; And confirming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one of a first radio signal processor or a second radio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whether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2세대 통신을 위한 2G 중계기를 무선 신호 처리부로 사용하는 2G-무선 신호 처리부이고,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4세대 통신을 위한 LTE-무선 신호 처리부(Long Term Evolution RU)일 수 있다.Wherein the first wireless signal processor is a 2G wireless signal processor using a 2G repeater for second generation communication as a wireless signal processor and the second wireless signal processor is an LTE wireless signal processor ).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탐지하지 못하나,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can not be detected by the first radio signal processor, bu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a frequency band that can be detected by the second radio signal processor.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allocating resources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에 위치하여 있으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자원이 상기 단말에 할당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tep of allocating the resource may control the resource of the specific frequency band not to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first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파라미터와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에 주파수 자원 대역폭인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parameter may comprise: determining a parameter specifying a position of a frequency resource with respect to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a terminal specific sounding reference signal bandwidth, which is a frequency resource bandwidth, to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an be assigned.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한 뒤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단말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may include performing terminal scheduling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requesting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기지국은 기지국 영역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 유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가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인지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인지를 인지하는 단말 스케줄링부; 및 상기 단말 스케줄링부가 인지한 무선 신호 처리부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etting a parameter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one or more terminals located in a base station area, A parameter setting unit for requesting signal transmission; A terminal scheduler for recognizing whether the radio signal processor is a first radio signal processor or a second radio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whether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s detected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parameter setting unit; And a resource allocation unit allocating resources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a type of a radio signal processor recognized by the terminal scheduling unit.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탐지하지 못하나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requency band that the first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can not detect from the one or more terminals but can be detected by the second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는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 및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may be divided into a 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an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상기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는 상기 기지국의 트리거링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일 수 있다. The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may be a sound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by triggering the base st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2G-RU와 LTE-RU의 혼재 사용시 자원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RU의 재사용을 보장하여 새로운 LTE-RU 장비의 추가적인 도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ource alloc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hen the 2G-RU and the LTE-RU are mixed, and reuse of the RU can be guarante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w LTE-RU equipment.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 손실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재전송을 줄여,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ata retransmission of the UE due to loss of uplink data is reduced, and battery consumption of the UE is reduced.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또 다른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대역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n illustration of a typical communication system.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nother common communication system.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requency band relationship in a general communication system.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requency band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ructural view of a cloud-based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ecking a radio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ecking a radio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terminal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n access terminal (AT),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of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ubscriber station, a user equipment,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BS) is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S), a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obile Multihop Relay) -BS, and may include all or some of the functions of an access point,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an MMR-BS.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과 주파수 대역 관계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Hereinafter, a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fore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l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frequency band relationship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또 다른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Figure 1 is an illustration of a typ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nother common communication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가지는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이 중첩적으로 배치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Het-Net) 형태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두 개의 기지국(100, 200)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1,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first base station 100 and a second base station 200, each having a cell coverage of a different size, and a heterogeneous network in which the second base station 200 is disposed in an overlapping manner. Het-Net. Although only two base stations 100 and 200 are shown in FIG. 1, they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이러한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에서, 제1 기지국(1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매크로 셀(Macro Cell)(300)과 제2 기지국(2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스몰 셀(Small Cell)(400)은 셀 영역이 중첩된다. 스몰 셀(400)은 매크로 셀(300) 보다 작은 지역을 커버한다. 이때, 하나의 매크로 셀(300)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스몰 셀(400-1, 400-2)이 존재할 수 있다. In this heterogeneous network, a macro cell 300, which is a service coverage area of the first base station 100, and a small cell 400, which is a service coverage area of the second base station 200, . The small cell 400 covers an area smaller than the macro cell 30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mall cells 400-1 and 400-2 may exist in one macro cell 300 as shown in FIG.

즉 하나의 매크로 셀(300) 내에는 분산된 저전력 RRH(Remote Radio Heads)에 의한 피코 셀(Pic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펨토 셀(Femto Cell)과 같은 스몰 셀(400)이 중첩되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1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매크로 셀의 셀 식별자는 '1'이라 가정하고, 제2 기지국(2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스몰 셀의 셀 식별자는 '2'라 가정한다.In other words, a small cell 400 such as a pico cell, a micro cell, and a femtocell is formed by overlapping low power RRH (Remote Radio Heads) . Here, it is assumed that the cell identifier of the macro cell serving as the coverage area of the first base station 100 is '1', and the cell identifier of the small cell serving as the coverage area of the second base station 200 is '2'.

협력형 멀티-포인트(CoMP) 시나리오에 따르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제1 단말(500)은 제1 기지국(100)뿐만 아니라 인접한 제2 기지국(200)과의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500)은 매크로 셀(300)에 위치하나 스몰 셀(400)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한 단말로 정의한다. According to the cooperative multi-point (CoMP) scenario, the first terminal 500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may be requested to estimate the uplink channel with the neighboring second base station 200 as well as the first base station 100 have.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500 is located in the macro cell 300 but is defined as a terminal located in an area that can be influenced by the small cell 400.

이러한 제1 단말(500)은 스몰 셀(400)의 중심에 위치한 제2 단말(600)이 제2 기지국(200) 하고만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과 달리, 현재 접속한 제1 기지국(100)뿐만 아니라 인접 기지국인 제2 기지국(200)과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500)은 셀 식별자를 '1'로 인식함과 동시에, 제2 기지국(200)과의 상향링크 통신을 위해 가상 셀 식별자로 '2'도 함께 인식한다. The first terminal 50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20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mall cell 400 as well as the first base station 100 And can als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200, which is an adjacent base station.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500 recognizes the cell identifier as '1' and also recognizes '2' as the virtual cell identifier for the uplink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200.

제1 단말(500)은 제1 기지국(100) 즉,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다(①). 이를 위해 제1 단말(100)은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셀 식별자 '1'을 수신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은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The first terminal 500 receives a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a data channel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00, i.e., the serving base station 100 (1 & cir &). To this end, the first MS 100 receives the cell identifier '1' from the serving BS 100. Here,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include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and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그리고 제1 단말(500)은 상향링크 관련 채널을 모두 제2 기지국(200) 즉,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②). 여기서, 상향링크 관련 채널은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관련 참조 신호(related RS: related 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며, 가상 셀 식별자인 '2'를 이용하여 상향링크를 통해 인접 기지국(20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The first MS 500 transmits the uplink-related channels to the second BS 200, i.e., the neighbor BS 200 ((2)). Here, the uplink related channel includes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RS) related reference signal,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uplink using the virtual cell identifier '2'.

이처럼, 제1 단말(500)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송수신 타겟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자신이 속한 서빙 기지국(100)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한 단말이 상향링크의 채널 품질(quality) 및 지오메트리(geometry)가 더 나은 인접 기지국(200)로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단말(500)이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200)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단말(500)이 제1 기지국(100)으로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2 단말(600)이 제2 기지국(200)으로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500 can set the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 reception targets differently. That is, the terminal receiving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through the serving base station 100 to which it belongs can support transmission to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200 with better channel quality and geometry of the uplink. 1, the first terminal 500 receives the downlink signal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00 and transmits the uplink signal to the second base station 200. However, the first terminal 500 May transmit and receive an uplink signal and a downlink signal to an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00 and a second terminal 600 may transmit and receive an uplink signal and a downlink signal to the second base station 2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나의 매크로 셀 영역 내에 복수의 스몰 셀(제1 스몰 셀, 제2 스몰 셀이라 지칭함)이 중첩되고, 매크로 셀(300)의 셀 식별자는 '0', 제1 스몰 셀(400-1)의 셀 식별자는 '1', 제2 스몰 셀(400-2)의 셀 식별자는 '2'라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small cells (referred to as a first small cell and a second small cell) are superimposed in one macro cell area, and the cell identifiers of the macro cells 300 are '0' It is assumed that the cell identifier of the first small cell 400-1 is '1' and the cell identifier of the second small cell 400-2 is '2'.

이 경우, 또 다른 협력형 멀티-포인트(CoMP) 시나리오에 따르면, 제1 스몰 셀(400-1)과 제2 스몰 셀(400-2)이 서로 다른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매크로 셀(300)의 식별자가 0이기 때문에, 단말은 셀 식별자로 0을 인식한다. 이는 제1 스몰 셀(400-1)과 제2 스몰 셀(400-2)의 식별자가 가상 셀 식별자이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another cooperative multi-point (CoMP) scenario, even if the first small cell 400-1 and the second small cell 400-2 have different cell identifiers, ) Is 0, the terminal recognizes 0 as the cell identifier. This is because the identifiers of the first small cell 400-1 and the second small cell 400-2 are virtual cell identifiers.

한편, CCC 구조하의 LTE 시스템에서 2G 중계기를 RU로 재활용한다고 가정하고 주파수 대역 관계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ssuming that the 2G repeater is reused in the RU in the LTE system under the CCC structure, the frequency band relationshi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대역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requency band relationship in a general communication system.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G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일부 중첩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3의 (a) 및 (b)는 2G 중계기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LTE 단말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 band used in 2G and the frequency band used in the LTE system partially overlap. 3 (a) and 3 (b)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band used by the 2G repeater and the frequency band used by the LTE terminal.

2G 주파수 대역과 LTE 주파수 대역과의 관계에 있어, 도 3의 (a) 및 (b)에 나타낸 주파수 대역의 크기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RU의 주파수 대역의 크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리고 주파수 대역과의 관계에 있어 서로 겹치는 대역이 발생하고, 특정 RU가 탐지할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G frequency band and the LTE frequency band, the sizes of the frequency bands shown in FIGS. 3A and 3B are one embodiment,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depend on i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overlapping bands occur in relation to a frequency band and a frequency band that can not be detected by a specific RU exists.

또한, 낮은 주파수 대역에 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존재할 수도 있고, 높은 주파수 대역에 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는 서로 다른 중계기가 도입이 되는 상황에서 가능한 시나리오로 고려될 수 있으며, 특정 사업자에 국한된 상황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Also, there may be resources that the RU can not detect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resources that the RU can not detect in the high frequency band may exist. This can be considered as a possible scenario in a situation where different repeaters capable of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are introduced, and is not limited to a situation applicable only to a specific business operato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CC 구조 하에서 LTE 시스템에서 2G 중계기를 재활용하게 될 경우, 2G에서 사용하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과 LTE에서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의 일부가 중첩된다. 그리고, LTE 주파수에 적합한 중계기와 2G 중계기를 혼합하여 재활용하는 경우, 단말은 자신이 속한 RU의 정보를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DU는 해당 단말이 속한 RU가 2G 중계기를 재활용한 2G-RU인지 LTE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LTE-RU인지 인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2G repeater is reused in the LTE system under the CCC structure, some of the uplink frequency band used in 2G and the uplink frequency band used in LTE are overlapped. In addition, when a repeater and a 2G repeater suitable for the LTE frequency are mixed and recycled, the UE can not grasp the information of the RU to which the UE belongs. In addition, the DU can determine whether the RU of the UE is a 2G- Or an LTE-RU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system.

또한, 단말은 2G 중계기를 사용하는 RU로 상향링크를 전송할 때, 특정 대역을 탐지할 수 없어 PUSCH 탐지 실패에 따른 데이터 재전송 및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의 SRS 전송시에 해당 SRS를 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주파수 의존 스케줄링에 어려움이 발생한다.Also, when the UE transmits an uplink to an RU using a 2G repeater, it can not detect a specific band, and data retransmission and loss due to PUSCH detection failure may occur. In addition, since the corresponding SRS can not be detect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a broadband SRS, frequency-dependent scheduling become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G 중계기를 재활용하여 2G-RU와 LTE-RU가 혼재된 CCC 구조하의 LTE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 처리부인 RU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firming an RU, which is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in an LTE system under a CCC structure in which 2G-RU and LTE-RU are mixed by reusing a 2G repeater will be described .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관계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First, the frequency band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requency band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G 중계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과 LTE 단말이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은 그 대역의 대부분이 중첩된다. 그러나 LTE 단말이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의 일부분은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포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most of the uplink frequency band used by the 2G repeater and the uplink frequency band used by the LTE terminal are overlapped. However, a portion of the uplink frequency band used by the LTE terminal includes resources that the 2G-RU can not detect.

즉,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에서 전송 가능한 LTE 주파수 대역 중 일부분은 2G 중계기인 2G-RU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지만, 일부는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2G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이 전체 20MHz라 가정하고, LTE 단말이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이 10MHz라 가정할 때, 10MHz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 중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일부 포함됨을 알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A, some of the LTE frequency bands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re overlapped with the frequency band used by the 2G-RU, which is a 2G repeater, but some have resources that the 2G-RU can not detect . Also, assuming that the uplink frequency band of 2G is 20MHz and the uplink frequency band used by the LTE terminal is 10MHz as shown in FIG. 4B, 2G-RU among the 10MHz uplink frequency band is detected It can be seen that some resources that can not be included are included.

따라서, 단말은 단말 자신이 어떠한 RU에 속해 있는지를 모르는 상태에서, 기지국 DU로 하여금 단말이 속한 RU가 어떠한 RU 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은 RU로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주파수 자원상에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DU는 RU가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하여, DU가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를 수행한다. DU가 해당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DU는 해당 단말이 2G-RU 영역에 있는지 LTE-RU 영역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allow the base station DU to determine which RU is the RU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in the state where the terminal itself does not know to which RU the terminal belongs, the terminal transmits a frequency that can not be detected by the 2G- And transmits a sounding reference signal on the resource. Then, DU performs detection of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with respect to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by the RU. Depending on whether DU detects the signal, DU allows DU to determine if it is in the 2G-RU or LTE-RU reg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의 구조도이다.5 is a structural view of a cloud-based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구조는 일반적인 기지국이 무선 신호 처리 장치(RU: Radio Unit)(7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U: Digital Unit)(800)로 분리되어 있다. 일반적인 기지국은 이러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부를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포함하고,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이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5, a cloud-bas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base station (RU) 700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U) . A typical base station includes a process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7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800 in one physical system, and one physical system is installed in the service target area.

이에 반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에 따르면,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만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가 각각의 독립적인 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에 대한 제어 관리 기능을 가진다. 이때,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는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loud-based base station structure,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7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800 are physically separated, and only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700 is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800 has a control management function for a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s 700 forming respective independent cells. At this time,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7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800 may be connected by an optical cable.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700)는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파트로서, 코어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주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 등과 같은 통신 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는 가상화 기술을 통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 등 다양한 무선 기술을 하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적용해 다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가 하나처럼 운용될 수도 있다.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700 is a part that performs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resource management control functions of the base station and is connected to a core system (not shown). It is installed in centralized areas such as Internet Data Center (IDC, Internet Data Center).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800 can transmit various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nd LTE to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800 through software And a plurality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800 may be operated as one.

또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는 기지국의 무선 신호 처리 부문의 전파신호를 증폭해 안테나로 방사하는 파트이다. 즉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한다.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700 is a part for amplifying a radio wave signal in the radio signal processing section of the base station and radiating it to the antenna. That is,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700 converts a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800 in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and amplifies the signal.

여기서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도 4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eNB, RU, RRH(Remote Radio Heads)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의 상위 단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로 구현된 기지국 제어 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단일 기지국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관리되거나, 서로 다른 기지국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각각 관리될 수도 있다.The base station 10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00 may be implemented by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700 of FIG. At this time, the first base station 10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00 may be referred to as eNB, RU, and RRH (Remote Radio Heads). A base station controller (not shown) implement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8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ase station 10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00, 200 can be managed. Here, the first base station 10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00 may be managed by a single base station controller (not shown) or managed by different base station controllers (not shown),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00)의 구조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지국(100)이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 즉 RU를 지칭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가 DU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RU의 종류를 구분한다 함은 기지국 자신의 타입이 2G-RU인지 LTE-RU인지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ase station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base station 100 refers to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700, that is, the RU. However,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700 may be included in the DU.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ypes of RUs, it is explained that the type of the base station itself is 2G-RU or LTE-RU.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기지국은 파라미터 설정부(710), 신호 수신부(720), 단말 스케줄링부(730) 및 자원 할당부(740)를 포함한다. 도 6에서 설명하는 구조는 '무선 신호 처리부 구분 장치'라 지칭하여 RU 즉 기지국에 포함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신호 처리부 구분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즉 DU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무선 신호 처리부 구분 장치의 전체 구성 요소가 DU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a base station capable of classifying RUs includes a parameter setting unit 710, a signal receiving unit 720, a terminal scheduling unit 730, and a resource allocating unit 740. The structure described in FIG. 6 is referred to as a 'radio signal processor division device' and is included in an RU, that is, a base st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some components of the radio signal processor division unit may be includ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unit DU, or the entire components of the radio signal processor division unit may be included in the DU.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는 다수의 단말(500)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사운딩 참조 신호를 위한 파라미터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주체인 기지국에서 설정하므로,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다양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The parameter setting unit 710 requests the plurality of terminals 500 within the base station area to transmit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At this time, the parameter for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set by the base station that performs the scheduling, so the parameter setting unit 710 sets parameters for various sounding reference signals.

사운딩 참조 신호를 위한 파라미터로는 사운딩 참조신호의 셀 특정 SRS 대역폭, 전송 콤(transmission comb), 단말 특정 SRS 대역폭, 호핑 관련 구성 파라미터, 주파수 도메인 포지션, 주기성,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해야 할지를 지정하는 서브 프레임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파라미터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의 수를 지정하거나 안테나 포트 수를 결정하는 안테나 구성, PUCCH에서 사용하는 시퀀스 그룹 번호 u와 시퀀스 호핑 구조에 따라 정해지는 시퀀스 번호 v에 따라 결정되는 베이스 시퀀스 인덱스, 사운딩 참조신호 생성시 사용되는 레퍼런스인 싸이클릭 쉬프트 인덱스(cyclic shift index) 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파라미터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파라마터를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arameters for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nclude the cell specific SRS bandwidth of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he transmission comb, the terminal specific SRS bandwidth, the hopping related configuration parameters, the frequency domain position, the periodicity, Frame to be transmitted. The parameters include an antenna configuration for specifying the number of antennas transmitting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or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antenna ports, a base sequence u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quence number u used in the PUCCH and the sequence number v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quence hopping structure Index, a cyclic shift index, which is a reference used in generat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the like. Each parameter is already known, and a description of how to set each parama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신호 수신부(720)는 파라미터 설정부(710)의 요청에 의해 단말(5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사운딩 참조 신호는 파라미터 설정에 의해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인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The signal receiving unit 720 receive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500 at the request of the parameter setting unit 710. At this time, the signal receiving unit 720 may not recognize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because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frequency band that is a resource that 2G-RU can not detect by parameter setting.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단말(500)이 위치한 RU(700)의 형태에 대한 별도의 인지 없이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단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한다. 즉, 해당 단말(500)이 위치한 곳의 RU가 2G-RU인지 LTE-RU인지에 대한 별도의 파악 없이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때, 2G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가 중첩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500)은 2G-RU가 형성한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에 위치할 수도 있고, LTE-RU가 형성한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UE scheduling unit 730 performs scheduling for the UE without recognizing the type of the RU 700 where the UE 500 is located to generate UE scheduling information. That is, the mobile station UE performs scheduling for the UE without knowing whether the RU of the terminal 500 is 2G-RU or LTE-RU. In this case, 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the 2G network and the LTE network overlap, the terminal 500 may be located in the base station of the service area formed by the 2G-RU or may be located in the base station of the service area formed by the LTE-RU .

따라서, 기지국은 특정 RU들에 대해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이하,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이라 지칭함)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탐지할 수 없는 RU들 즉, 2G-RU(또는, 제1 RU라 지칭함)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RU들에 대해서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도 모두 인지하거나 모두 탐지할 수 있는 RU 즉, LTE-RU(또는, 제2 RU라 지칭함)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RUs that can not recognize or detect the specific frequency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 undetectable frequency band "), that is, the 2G-RU (or the first RU) . Also, for certain RUs, there may be an RU, i.e., an LTE-RU (or a second RU), which can both detect or detect both undetectable frequency bands.

그러므로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단말로부터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된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를 통해 수신한 기지국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할 때, 사운딩 참조 신호가 탐지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한 RU가 2G-RU(또는 제1 RU)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와 반대로, 단말로부터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된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를 통해 수신한 기지국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할 경우,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해당 신호를 수신한 RU가 LTE-RU(또는 제2 RU)라는 것으로 인식한다.Therefore, when the BS receiving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U in the undetectable frequency band from the AT detec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f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not detected, And recognizes that the RU receiving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2G-RU (or first RU). On the other hand, when the BS receiving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undetectable frequency band from the UE through the RU detec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he UE scheduling unit 730 notifies the RU, RU (or second RU).

자원 할당부(740)는 단말 스케줄링부(730)의 스케줄링에 따라,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이 2G-RU 영역에 있는지 LTE-RU 영역에 있는지 인지한다. 그리고 인지한 RU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DU로 사운딩 참조 신호 수신 결과를 전달한다. 그리고 DU로부터 해당 단말에 자원을 할당할 제어 신호와 단말 스케줄링부(730)에서 생성한 단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 신호 및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단말로 자원을 할당한다. 그리고 단말(500)로 데이터 채널 및 신호 전송 요청, 또는 제어 채널 전송 요청 신호를 전달하여, 단말(500)이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The resource allocation unit 74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in the 2G-RU region or the LTE-RU region according to the scheduling of the terminal scheduling unit 730. And transmits the reception result of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the DU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RU that is recognized. Upo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UE from the DU and the U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E scheduling unit 730, the UE allocates resources to the U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nd the scheduling information. The terminal 500 transmits a data channel, a signal transmission request, or a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500 so that the terminal 500 transmits a data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signal.

만약 단말이 2G-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하면, 자원 할당부(740)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의 자원들이 사용되지 않도록 자원을 할당한다. 그러나, 단말이 LTE-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하면, 자원 할당부(740)는 주파수 대역의 제한 없이 LTE에서 제공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전체 중 어느 한 곳의 자원을 할당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E is in the 2G-RU region,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740 allocates resources such that resources of the undetectable frequency band are not used. However,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E is in the LTE-RU region,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740 allocates resources in any one of all the frequency bands available in the LTE without restriction of the frequency band.

이상에서 설명한 기지국에서 RU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7은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RU에 위치한 경우의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DU에 위치한 경우의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A method of confirming the RU in the above-described base st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FIG. 7 shows a method of checking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when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resource management is located in an RU, and FIG. 8 shows an apparatus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resource management DU. ≪ / RTI >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ecking a radio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단말이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단말(500)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S100, S110). 이때, 단말(500)은 제1 RU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 RU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S100 단계에서 파라미터 설정 시, 단말(500)이 제2 RU가 탐지하지 못하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한다.7, the parameter setting unit 710 sets a parameter to request the terminal to transmit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then requests the terminal 500 to transmit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S100, S110). At this time, the terminal 5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RU area or in the second RU area. In step S100, when the parameter is set, the terminal 500 sets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undetectable frequency band that the second RU does not detect.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 받은 단말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에서 S100 단계에서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로 전송한다(S120). 그리고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해 RU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0). In step S120, the UE receiving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the RU in accordance with the parameters set in step S100 in the preset undetectable frequency ban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U detects a sounding reference signal with respect to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500 (S130).

만약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지 못하였다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500)은 현재 제1 RU 영역 즉, 2G-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S140). 즉, RU는 자신이 2G-RU임을 인지한다. 그러나, RU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다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은 현재 제2 RU 영역 즉, LTE-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S150). 즉, RU는 자신이 LTE-RU임을 인지한다.If the signal receiving unit 720 does not detect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he terminal 500 transmitting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confirms that it is presently in the first RU area, i.e., the 2G-RU area (S140). That is, the RU recognizes that it is the 2G-RU. However, if the RU detec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presently in the second RU region, i.e., the LTE-RU region (S150). That is, the RU recognizes that it is an LTE-RU.

S140 또는 S150 단계에 의해 단말 스케줄링부(730)가 단말이 위치한 영역의 RU 타입을 확인하면, 자원 할당부(740)는 확인한 RU 타입을 포함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 수신 결과를 DU로 전달한다(S160). DU는 S16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수신 결과를 토대로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스케줄링부(730)에 전달하고(S170),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180). If the UE scheduling unit 730 confirms the RU type of the area where the UE is located in step S140 or step S150,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740 delivers the result of receiving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ncluding the confirmed RU type to the DU ). DU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UE based on the reception result received in step S160 and transfer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UE scheduling unit 730 in step S170 and the UE scheduling unit 73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UE (S180).

여기서 단말 스케줄링부(730)가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시점을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아닌 S110 단계에서 요청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후에 스케줄링 하는 것은, RU가 단말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전송 주파수 대역을 탐지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한 시간 이후에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 scheduling of the scheduling time for the UE by the UE scheduling unit 730 is not performed after the signal receiving unit 720 receive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but after the preset time at step S110, And may not be able to detect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at transmitted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duling is performed for a terminal after a preset tim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DU는 S16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 수신 결과를 토대로 단말(500)에 자원 할당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스케줄링부(720)에 전달하면 단말 스케줄링부(720)는 S180 단계의 단말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자원 할당부(740)는 수신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단말에 자원을 할당한다(S190). DU로부터의 자원 할당 제어 신호와 RU에서의 단말 스케줄링 정보 및 자원 할당부(740)에 의한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자원 할당부(740)는 데이터 채널 및 신호, 혹은 제어 채널 전송 요청 신호를 단말(500)에 전달하여 해당 자원 할당 정보에 따른 단말로부터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게 한다(S195).That is, DU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esource allocation to the UE 500 based on the reception result of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in step S16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UE scheduling unit 720. The UE scheduling unit 720, At the same time,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740 allocates resources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190).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740 allocates the data channel and the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710) according to the resource alloc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DU, the terminal scheduling information in the RU, and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by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740 500 to transmit the data channel and the control channel and the signal from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S195).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U가 2G-RU이고 단말이 LTE-단말인 경우, S100 단계에서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단말 특정 SRS 구성을 설정할 때, 특정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는 파라미터인 freq.DomainPosition과 특정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에 주파수 자원 대역폭인 단말 특정 SRS 대역폭(UE-specific SRS Bandwidth)을 할당한다. 이들 파라미터는 2G-RU가 탐지하지 못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단말 특정 SRS 구성 파라미터에 포함된다.If the RU is 2G-RU and the terminal is an LTE-terminal, the parameter setting unit 710 sets the terminal-specific SRS configuration in step S100, Specific SRS bandwidth, which is a frequency resource bandwidth, to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a specific mobile station and freq.DomainPosition, which is a parameter capable of specifying a position of a frequency resource with respect to a reference reference signal. These parameters are included in the UE-specific SRS configuration parameters for the frequency bands the 2G-RU can not detect.

그러면 단말은 파라미터 정보를 RRC 정보로 수신하여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에 사용한다.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가 수신할 때, 해당 신호를 탐지한 것으로 확인하면 해당 단말은 RU의 형태가 LTE-RU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다른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해서는 DU로부터의 스케줄링에 대한 주파수 자원 제한 없이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n, the UE receives the parameter information as RRC information and uses it to transmit the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 When the RU receive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E, the UE scheduling unit 730 confirms that the RU is within the LTE-RU region. For other uplink channels and signals, resource allo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frequency resource limitation for scheduling from DU.

반면에 RU가 해당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지 못하였다고 확인하면,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해당 단말이 2G-RU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그리고 다른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해서 DU가 스케줄링을 수행 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자원에 대해서는 스케줄링 제한(scheduling restriction)을 가지고 자원 할당을 수행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U has not detected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he terminal scheduling unit 730 recognizes th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located in the 2G-RU region. Also, when DU performs scheduling for other uplink channels and signals, resource allocation can be performed with a scheduling restriction on resources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이는 주파수 대역의 자원에 대해서는 특정 RU에 대해 스케줄링 제한을 가질 수 있지만, 시간 영역의 자원의 관점에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탐지될 수 없는 채널 및 신호들의 자원 할당을 피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may allow for scheduling restrictions for specific RUs for resources in the frequency band but it may be possible to set up to avoid resource allocation of channels and signals that can not be detected in a particular frequency band in terms of time domain resources, Because i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ime resources.

상기에서는 RU를 구분하기 위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이용하며 이때의 신호를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이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used to distinguish the RUs, and the signal at this time is not divided into a 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an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However, the 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the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As shown in FIG.

즉, 파라미터 설정부(710)에서 설정한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의 단말 특성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 파라미터들 중, freq.DomainPosition과 단말 특성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할 때, 파라미터를 통해 RU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 That is, the terminal se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using the freq.DomainPosition and the terminal characteristics sounding reference signal bandwidth parameters among the terminal sound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parameters of the 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set by the parameter setting unit 710 When transmitting, you can identify the type of RU through parameters.

또한, 기지국에 의해 트리거링되어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말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의 단말 특성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 파라미터들 중, freq.DomainPosition와 단말 특성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어떤 타입의 RU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를 토대로 RU를 구분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시되는 한번의 트리거링에 의해 한번의 상향링크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자원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so, the UE, which is triggered by the base station and instructs the UE to transmit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s the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this case, among the UE signal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parameters of the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at type of RU is possible by using freq.DomainPosition and the terminal characteristics sounding reference signal bandwidth parameter. Here, when the RU is divided based on the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since a single uplink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by one triggering to transmit the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e resource efficiency of the reference signal can be improved.

이상에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RU에 위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 도 8을 참조로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DU에 위치한 경우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bove, a case where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resource management is located in the RU has been described. Referring to FIG. 8, a device for controll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resource management is located in DU A method of confirming the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ecking a radio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에 위치한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단말이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RU를 통해 단말(500)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S200, S210). 이때, 단말(500)은 제1 RU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 RU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S200 단계에서 파라미터 설정 시, 단말(500)이 제2 RU가 탐지하지 못하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한다.As shown in FIG. 8, the parameter setting unit 710 located at DU sets a parameter to request the terminal to transmit a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then transmi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the terminal 500 through the RU (S200, S210). At this time, the terminal 5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RU area or in the second RU area. When the parameter is set in step S200, the terminal 500 sets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undetectable frequency band that the second RU does not detect.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 받은 단말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에서 S200 단계에서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로 전송하고, RU는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를 DU로 전달한다(S220). 단말(500)로부터 전송된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해, DU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30). The terminal that is requested to transmit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the RU according to the parameter set in the step S200 in the preset undetectable frequency band and the RU transmi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the DU S220). In step S230,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DU detec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with respect to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500 (S230).

만약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지 못하였다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은 현재 제1 RU 영역 즉, 2G-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S240). 즉, DU는 RU가 2G-RU임을 인지한다. 그러나, RU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다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은 현재 제2 RU 영역 즉, LTE-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S250). 즉, DU는 RU가 LTE-RU임을 인지한다. If the signal receiver 720 does not detect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presently in the first RU area, that is, the 2G-RU area (S240). That is, DU recognizes that RU is 2G-RU. However, if the RU detec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presently in the second RU region, i.e., the LTE-RU region (S250). That is, DU recognizes that the RU is an LTE-RU.

S240 또는 S250 단계에 의해 단말 스케줄링부(730)가 단말이 위치한 영역의 RU 타입을 확인하면,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S210 단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260). If the terminal scheduling unit 730 confirms the RU type of the area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in step S240 or step S250, the terminal scheduling unit 730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step S210, And performs scheduling (S260).

여기서 단말 스케줄링부(730)가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시점을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아닌 S210 단계에서 요청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후에 스케줄링 하는 것은, RU가 단말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전송 주파수 대역을 탐지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한 시간 이후에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 the scheduling of the UE by the UE scheduling unit 730 is not performed when the signal receiving unit 720 receive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but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at the request of the UE in step S210, And may not be able to detect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at transmitted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duling is performed for a terminal after a preset tim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자원 할당부(740)는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RU로 전달하고(S270, S280), RU는 수신한 자원 할당을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500)로 전달하여 자원이 할당되도록 한다(S290). 즉, DU로부터의 단말 스케줄링 및 자원 할당 제어 신호에 따라 RU는 데이터 채널 및 신호, 또는 제어 채널 전송 요청 신호를 단말(500)에 전달하여, 해당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단말로부터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게 한다.The resource allocation unit 74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RU (S270, S280). The RU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resource allocation to the terminal 500, (S290). That is, according to the terminal scheduling and resource alloc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DU, the RU transmits a data channel and a signal or a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500, and according to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Signal.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U가 2G-RU이고 단말이 LTE-단말인 경우, S200 단계에서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을 설정할 때, 특정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는 파라미터인 freq.DomainPosition과 특정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에 주파수 자원 대역폭인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UE-specific SRS Bandwidth)을 할당한다. 이들 파라미터는 2G-RU가 탐지하지 못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 파라미터에 포함된다.If the RU is 2G-RU and the terminal is an LTE-terminal, the parameter setting unit 710 sets a terminal-specific sound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in step S200, Specific SRS Bandwidth, which is a frequency resource bandwidth, to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a specific UE, and a parameter, freq.DomainPosition, which is a parameter that can specify a position of a frequency resource with respect to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be transmitted, ). These parameters are included in the UE-specific sound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parameters for the frequency bands not detected by the 2G-RU.

그러면 단말은 파라미터 정보를 RRC 정보로 수신하여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에 사용한다.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가 수신할 때, 해당 신호를 탐지한 것으로 확인하면 해당 단말은 RU의 형태가 LTE-RU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다른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해서는 DU로부터의 스케줄링에 대한 주파수 자원 제한 없이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n, the UE receives the parameter information as RRC information and uses it to transmit the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 When the RU receive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E, the UE scheduling unit 730 confirms that the RU is within the LTE-RU region. For other uplink channels and signals, resource allo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frequency resource limitation for scheduling from DU.

반면에 RU가 해당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지 못하였다고 확인하면,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해당 단말이 2G-RU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그리고 다른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해서 DU가 스케줄링을 수행 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자원에 대해서는 스케줄링 제한(scheduling restriction)을 가지고 자원 할당을 수행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U has not detected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the terminal scheduling unit 730 recognizes th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located in the 2G-RU region. Also, when DU performs scheduling for other uplink channels and signals, resource allocation can be performed with a scheduling restriction on resources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이는 주파수 대역의 자원에 대해서는 특정 RU에 대해 스케줄링 제한을 가질 수 있지만, 시간 영역의 자원의 관점에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탐지될 수 없는 채널 및 신호들의 자원 할당을 피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may allow for scheduling restrictions for specific RUs for resources in the frequency band but it may be possible to set up to avoid resource allocation of channels and signals that can not be detected in a particular frequency band in terms of time domain resources, Because i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ime resources.

상기에서는 RU를 확인하기 위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이용하며 이때의 신호를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이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used to identify the RU, and the signal at this time is not divided into the cyclic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the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However, the cyclic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the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As shown in FIG.

즉, 파라미터 설정부(710)에서 설정한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의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 파라미터들 중, freq.DomainPosition과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할 때, 파라미터를 통해 RU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sets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using the freq.DomainPosition and the terminal-specific sounding reference signal bandwidth parameters among the terminal-specific sound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parameters of the 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set by the parameter setting unit 710 When transmitting, you can identify the type of RU through paramete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3)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요청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또는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신호 처리부 영역에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A method for identifying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in which a terminal is located,
Setting a parameter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th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s detected; And
Confirming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a region of the first radio signal processor or a region of the second radio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whether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And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2세대 통신을 위한 2G 중계기를 무선 신호 처리부로 사용하는 2G-무선 신호 처리부이고,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4세대 통신을 위한 LTE-무선 신호 처리부(Long Term Evolution RU)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signal processor is a 2G wireless signal processor using a 2G repeater for second generation communication as a wireless signal processor and the second wireless signal processor is an LTE wireless signal processor ) ≪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탐지하지 못하나,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first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but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a frequency band that can be detected by the second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confirming step,
Allocating a resource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a type of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And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에 위치하여 있으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자원이 상기 단말에 할당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allocating resources comprises:
And controls resources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not to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of the first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파라미터와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에 주파수 자원 대역폭인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을 할당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parameter comprises:
And assigning a parameter specifying a location of a frequency resource with respect to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nd a terminal specific sounding reference signal bandwidth having a frequency resource bandwidth to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한 뒤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단말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자원 할당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ifying step comprises:
Performing terminal scheduling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resource allocation to the terminal
And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기지국 영역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 유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가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인지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인지를 인지하는 단말 스케줄링부; 및
상기 단말 스케줄링부가 인지한 무선 신호 처리부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A parameter setting unit for setting a parameter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one or more terminals located in a base station area and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o the one or more terminals;
A terminal scheduler for recognizing whether the radio signal processor is a first radio signal processor or a second radio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whether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s detected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parameter setting unit; And
A resource allocation unit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a type of a radio signal processor recognized by the terminal scheduling unit;
/ RTI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부는,
상기 단말 스케줄링부에서 생성한 단말 스케줄링 정보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단말로 데이터 채널 요청 신호 또는 제어 채널 전송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source allocator comprises:
Allocates resources for the UE based on the U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E scheduling unit and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either a data channel request signal or a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탐지하지 못하나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radio signal processor is not able to detect the first radio signal processor from the one or more terminals but receives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frequency band that can be detected by the second radio signal processor,
And a base st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2세대 통신을 위한 2G 중계기를 무선 신호 처리부로 사용하는 2G-무선 신호 처리부이고,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4세대 통신을 위한 LTE-무선 신호 처리부인 기지국.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is a 2G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using a 2G repeater for second generation communication as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is an LTE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for fourth generation communic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는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 및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되는 기지국.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divided into a cyclic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an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는 상기 기지국의 트리거링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인 기지국.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is a sound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by triggering the base station.
KR1020120123225A 2012-11-01 2012-11-01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radio unit in ccc KR201400558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25A KR20140055858A (en) 2012-11-01 2012-11-01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radio unit in cc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25A KR20140055858A (en) 2012-11-01 2012-11-01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radio unit in cc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58A true KR20140055858A (en) 2014-05-09

Family

ID=5088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225A KR20140055858A (en) 2012-11-01 2012-11-01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radio unit in cc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85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022A (en) * 2015-10-12 2018-06-22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 cellular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022A (en) * 2015-10-12 2018-06-22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 cellular systems
US10630358B2 (en) 2015-10-12 2020-04-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 cellular system
US11070267B2 (en) 2015-10-12 2021-07-2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 cellula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35472A1 (en) Beam failure detec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6538013B (en) Radio base statio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9479330B (e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2138749B1 (en) Handover for coverage expansion
CN109923843B (en) Cyclic prefix management in new radios
KR201801080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ti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20295B2 (en) Over-the air signaling for coordination of time-division duplexing
WO2019092859A1 (e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3417651B1 (en) Methods,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s controller for managing connec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8084207A1 (e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872305B2 (en) Optimized cellular transmission scheduling based on knowledge of interference-mitigation capabilities in neighbor cell
KR1023545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30992A1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210409993A1 (en) Interference management for sidelink on resources shared with direct link
US10075981B2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8084205A1 (e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4830727A (en) Operational modes for L1/L2 centric inter-cell mobility
US20210251002A1 (en) Unlicensed medium access without listen before talk for millimeter wave
WO2021076916A1 (en) Enhanced ultra-reliable/low-latency communications over-the-air mechanism for shared spectrum
CN114051709A (en) Uplink transmission preemption
CN114930909A (en) Bandwidth part/frequency location limitation for L1/L2 centric inter-cell mobility
US20240049207A1 (en) Beam Management in Multi-TRP Operation
US20220303079A1 (en) Uplink Transmission Enhancements for Multi-TRP Operation
CN116326039A (en) UE operation for beam management in multi-TRP operation
WO2020115908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