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962A -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962A
KR20140044962A KR1020120098785A KR20120098785A KR20140044962A KR 20140044962 A KR20140044962 A KR 20140044962A KR 1020120098785 A KR1020120098785 A KR 1020120098785A KR 20120098785 A KR20120098785 A KR 20120098785A KR 20140044962 A KR20140044962 A KR 2014004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data
password
lock release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욱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962A/ko
Priority to US14/020,765 priority patent/US9846980B2/en
Priority to EP13183344.4A priority patent/EP2767921A1/en
Priority to CN201310403545.2A priority patent/CN103678969A/zh
Publication of KR2014004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5Environment-dependent, e.g. using captured environment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락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락(lock) 해제 방법은,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암호 해독에 이용되는 참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상기 참조 데이터와 연관성을 갖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종 전자 기기의 락을 해제하기 위한 암호를 유동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암호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시스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LOCK RELEA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PPARATUS THEREOF, AND MEDIUM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기기의 락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 폰 등의 각 종 전자 기기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에는, 사진 촬영 및 문자 메시지의 전송 등을 위한 각 종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은 스크린 락(screen lock or lock screen) 기능을 채용한다. 스크린 락이란, 스마트 폰의 초기 부팅 시에, 스마트 폰의 사용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또는 사용자에 의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스마트 폰의 대부분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게 하고, 일정한 정보만을 표시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스크린 락 기능은, 통화를 제한하고, 사진 및 문자 메시지 전송 내역 등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종래, 이러한 스크린 락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은, 암호로서 설정된 숫자들 또는 설정된 터치 패턴을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스크린 락 해제 방법에 따르면 동일한 숫자들 또는 터치 패턴의 반복적인 입력으로 인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암호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락 해제를 위한 암호가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락(lock) 해제 방법은,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암호 해독에 이용되는 참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상기 참조 데이터와 연관성을 갖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락(lock) 해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암호 결정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텍스트 및 설정된 암호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암호를 결정하는 단계; 락 중에, 사용자로부터 락 해제를 위한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암호 중 어느 하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락(lock) 해제 장치는, 입력부;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암호 해독에 이용되는 참조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을 판단하며, 상기 입력된 암호가 상기 참조 데이터와 연관성을 갖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락(lock) 해제 장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암호 결정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텍스트 및 설정된 암호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암호를 결정하며, 락 중에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락 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암호 중 어느 하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암호 해독에 이용되는 참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상기 참조 데이터와 연관성을 갖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사용자로부터 암호 결정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텍스트 및 설정된 암호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암호를 결정하는 단계; 락 중에, 사용자로부터 락 해제를 위한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암호 중 어느 하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종 전자 기기의 락을 해제하기 위한 암호를 유동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암호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시스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암호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락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주소록을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락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락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락 해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이용되는 락 해제 방법은, 동일한 암호의 반복적인 입력으로 인하여 암호 노출이 쉽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쉽게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락 해제를 위한 암호를 유동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암호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 폰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및 전자식 출입문 등의 각 종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 폰의 스크린 락을 해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종 어플리케이션의 락 해제, 컴퓨터의 락 해제, 전자식 출입문의 락 해제 등 각 종 락 해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락을 해제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암호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101)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암호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103)로 진행한다.
단계(103)에서, 단말은, 암호 설정을 위한 가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단계(105)로 진행한다. 사용자는 단말이 제공하는 가이드에 따라 이후의 단계에서 암호 설정을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105)에서, 단말은,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될 메타 데이터의 선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될 메타 데이터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단계(107)로 진행한다.
참조 데이터란, 락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화면을 통한 출력 또는 스피커를 통한 출력이 이루어지는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락 해제를 위한 암호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이다. 즉, 사용자는 참조 데이터를 보거나 들음으로써 락 해제를 위한 암호를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참조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될 메타 데이터는, 개별적인 파일마다 서로 달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음악 파일에 대하여는 커버 이미지가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되고, 제 2 음악 파일에 대하여는 곡명이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될 수 있다. 또는, 특정 유형에 속하는 파일들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참조 데이터가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음악 파일에 대한 커버 이미지가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될 수 있다.
단계(107)에서, 단말은, 암호로서 이용될 메타 데이터의 선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암호로서 이용될 메타 데이터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단계(109)로 진행한다.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될 메타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암호로서 이용될 메타 데이터는, 개별적인 파일마다 서로 달리 선택될 수도 있고, 특정 유형에 속하는 파일들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된 메타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메타 데이터가 암호로서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된 메타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메타 데이터가 암호로서 이용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계(109)에서, 단말은, 단계(105) 및 단계(107)에서 설정된 사항을 저장한다.
이상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암호 설정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락 해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락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201)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락 해제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고,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203)로 진행한다.
단계(203)에서, 단말은, 참조 데이터를 출력한 후 단계(205)로 진행한다. 참조 데이터의 출력은 화면을 통한 출력 또는 스피커를 통한 출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조 데이터 출력 시에 단말은,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 필드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에 따라, 참조 데이터 출력 후 사용자에 의한 화면 터치 또는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입력 필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암호는 음성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은 음성 입력을 위한 가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205)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암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암호가 입력된 경우, 단계(207)로 진행한다.
단계(207)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출력된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을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출력된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20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203)로 진행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출력된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은, 예를 들어, 입력된 암호와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동일한 파일에 속하는 메타 데이터인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입력된 암호와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동일한 파일에 속하는 메타 데이터인 경우,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207)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출력된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209)에서, 단말은 락 해제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207)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출력된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은 단계(103b)로 진행하여 참조 데이터의 출력을 계속한다. 이 때,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은, 이전에 출력된 참조 데이터와는 다른 참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음악 파일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제 1 음악 파일과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은 다시 참조 데이터를 출력할 때 제 2 음악 파일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이전에 입력된 암호에 의하여 락 해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이전과 다른 참조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락 해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락 해제에 이용되는 메타 데이터는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 및 동영상 파일 등의 각 종 유형의 파일의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여기서는, 음악 파일을 이용한 락 해제 방법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여, 음악 파일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음악 파일(300)은 오디오 데이터(310)와 해당 오디오 데이터(310)에 대한 메타 데이터(320)를 포함한다. 메타 데이터(320)는 해당 오디오 데이터(310)에 대한 가수명(321), 곡명(322), 앨범명(323) 및 커버 이미지(32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메타 데이터(320) 중 적어도 하나가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파일(300)의 커버 이미지(324)가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메타 데이터(320) 중 적어도 하나가 암호로서 이용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이미지(324)가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되도록 선택된 경우 가수명(321), 곡명(322) 및 앨범명(323) 등이 암호로서 이용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참조 데이터가 선택되면, 선택된 참조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메타 데이터들이 암호로서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조 데이터와 암호로서 이용될 메타 데이터의 선택이 이루어진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단말은, 설정된 참조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출력할 참조 데이터의 선택은 설정에 따라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참조 데이터의 출력은 스피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화면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의 (b)에는 참조 데이터로서 커버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도시하였다. 참조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이후, 디스플레이 영역의 터치 또는 특정 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에 따라,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에 참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암호 입력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후,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출력된 참조 데이터와 연관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특정 음악 파일의 커버 이미지가 참조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된 경우라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해당 특정 음악 파일의 메타 데이터 중 하나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해당 특정 파일의 메타 데이터 중 하나인 경우 서로 간의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락 해제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메타 데이터만이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음악 파일의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데이터가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유사하게 주소록을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주소록에 포함된 특정 정보를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하고, 나머지 정보를 암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주소록을 이용하여 락을 해제하는 실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주소록을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은 다수인에 대한 연락처(전화 번호 및 메일 주소 등)와 해당 연락처에 대한 연락처 정보(이름 및 사진 등)로 이루어진다. 주소록을 이용한 락 해제를 위하여, 주소록에 포함된 모든 인물에 대한 연락처 정보가 락 해제에 이용되도록 선택되거나, 특정인에 대한 연락처 정보만이 락 해제에 이용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연락처 정보 중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될 연락처 정보와 암호로서 이용될 연락처 정보가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될 연락처 정보가 선택된 경우 나머지 연락처 정보가 암호로서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인에 대한 연락처 정보 중 사진이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된 경우, 이름이 암호로서 이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될 연락처 정보와 암호로서 이용될 연락처 정보가 설정된 이후, 사용자에 의한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단말은, 참조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해당 참조 데이터가 속하는 연락처의 연락처 정보 중 해당 참조 데이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 정보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해당 연락처의 연락처 정보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서로 간의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락 해제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주소록을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들과 유사하게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현재 시간 정보를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하고, 현재 시간 정보를 구성하는 숫자들의 조합을 암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락을 해제하는 실시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락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시간 데이터, 즉 현재 시간 정보가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화면에 현재 시간과 암호 입력을 위한 입력 필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현재 시간을 참조하여 암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이 10시 03분인 경우, 암호는 현재 시간을 이루는 숫자들이 설정된 개수로 배열된 숫자들일 수 있다. 즉, 1003이 암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1003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경우 단말은 10시 03분과 1003은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락 해제를 수행한다.
실시 예에 따라, 현재 날짜 정보를 참조 데이터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참조 데이터를 이용한 락 해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일정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암호로서 이용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락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601)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암호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603)로 진행하여 암호 설정을 위한 가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605)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암호 결정을 위한 텍스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암호 결정을 위한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 단계(607)로 진행한다.
단계(607)에서, 단말은, 입력된 텍스트와 설정된 암호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암호를 결정하고, 결정된 암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후, 결정된 암호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은 락 해제를 수행한다. 설정된 암호 결정 방법으로 두 가지 예를 설명한다. 첫 번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설정된 언어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구성하는 각 단어의 초성을 조합한 문자 배열을 암호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모스 부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모스 부호를 암호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예를 도 7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암호 결정을 위하여 입력된 텍스트가 1234이고, 설정된 변환 방법이 영어로 변환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면, 단말은, 입력된 텍스트를 영어, 즉 'One Two Three Four'로 변환한다. 그리고, 각 단어의 초성을 조합한 문자 배열, 즉 OTTF를 암호로 결정한다.
두 번째 예를 도 7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암호 결정을 위하여 입력된 텍스트가 1234이고, 설정된 변환 방법이 모스 부호로 변환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면, 단말은, 입력된 텍스트를 모스 부호, 즉 '·----, ··---, ···--, ····-'로 변환한다. 그리고, 각 모스 부호를 조합한 배열, 즉 '·----··---···--····-'를 암호로 결정한다. 이러한 예에서, 단말은, 모스 부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구비하는 특정 키들이 모스 부호 '·', '-'에 각각 맵핑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락 해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락 해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락 해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락 해제 장치는, 제어부(810), 입력부(820), 출력부(830) 및 메모리부(840)를 포함한다.
제어부(810)는, 입력부(820)를 통한 암호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암호 설정을 위한 가이드 화면을 출력부(8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8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될 데이터를 선택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810)는, 입력부(8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암호로서 이용될 데이터를 더 선택받을 수 있다. 암호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810)는, 설정 사항을 메모리부(8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10)는, 입력부(820)를 통한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암호 해독에 이용되는 참조 데이터를 출력부(83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8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출력된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상기 출력된 참조 데이터와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참조 데이터는, 설정된 파일을 구성하는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설정된 파일을 구성하는 메타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810)는, 상기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속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메타 데이터 중 상기 출력된 참조 데이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메타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암호와 상기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락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 데이터는, 주소록을 구성하는 연락처 중 설정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일 수 있다.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주소록을 구성하는 연락처 중 설정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인 경우, 제어부(810)는, 상기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속하는 연락처의 연락처 정보 중 상기 참조 데이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 정보와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암호와 상기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락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 데이터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일 수 있다.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810)는, 상기 시간 데이터를 구성하는 숫자들 중 설정된 개수로 이루어진 숫자 배열과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암호와 상기 출력된 참조 데이터가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락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10)는, 참조 데이터의 출력 시에, 설정된 다수의 참조 데이터들 중 임의의 참조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810)는, 이전의 락 해제 요청 시에 출력된 참조 데이터와 다른 참조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810)는, 이전에 입력된 암호에 의하여 락 해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이전과 다른 참조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810)는, 입력부(8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암호 결정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10)는, 입력된 텍스트 및 설정된 암호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암호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10)는, 락 중에 입력부(8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락 해제를 위한 암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10)는, 상기 입력된 텍스트 및 설정된 암호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암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호의 결정은, 암호 결정을 위하여 입력된 텍스트를 설정된 언어로 변환한 후, 변환된 텍스트를 구성하는 각 단어의 초성을 조합한 문자 배열을 암호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호의 결정은, 암호 결정을 위하여 입력된 텍스트를 모스 부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모스 부호를 암호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입력부(820)는, 키 보드 또는 마이크일 수 있다. 이 때, 키 보드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 보드, 즉 소프트웨어 적인 키 보드이거나, 하드웨어적인 키 보드일 수 있다.
출력부(830)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메모리부(840)는,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 및 동영상 파일 등의 각 종 파일들과 주소록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840)는, 어느 데이터가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되고 어느 데이터가 암호로서 이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정보는, 락 해제 수행을 위하여 제어부(810)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되는 실행가능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7)

  1. 전자 기기에서의 락(lock) 해제 방법에 있어서,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암호 해독에 이용되는 참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상기 참조 데이터와 연관성을 갖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락 해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유형에 해당하는
    락 해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는,
    설정된 파일을 구성하는 메타 데이터인
    락 해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데이터가 속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메타 데이터 중 상기 참조 데이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메타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락 해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는,
    주소록을 구성하는 연락처 중 설정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인
    락 해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데이터가 속하는 연락처의 연락처 정보 중 상기 참조 데이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 정보와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락 해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인
    락 해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데이터를 구성하는 숫자들 중 설정된 개수로 이루어진 숫자 배열과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락 해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설정된 다수의 참조 데이터들 중 임의의 참조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락 해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이전의 락 해제 요청 시에 출력된 참조 데이터와 다른 참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락 해제 방법.
  11. 전자 기기에서의 락(lock) 해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암호 결정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텍스트 및 설정된 암호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암호를 결정하는 단계;
    락 중에, 사용자로부터 락 해제를 위한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암호 중 어느 하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락 해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설정된 언어로 변환한 후, 각 단어의 초성을 조합한 문자 배열을 암호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락 해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모스 부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모스 부호를 암호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락 해제 방법.
  14. 전자 기기에서의 락(lock) 해제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락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암호 해독에 이용되는 참조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참조 데이터의 연관성을 판단하며, 상기 입력된 암호가 상기 참조 데이터와 연관성을 갖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락 해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유형에 해당하는
    락 해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는,
    설정된 파일을 구성하는 메타 데이터인
    락 해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관성 판단 시에 상기 참조 데이터가 속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메타 데이터 중 상기 참조 데이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메타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락 해제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는,
    주소록을 구성하는 연락처 중 설정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인
    락 해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관성 판단 시에 상기 참조 데이터가 속하는 연락처의 연락처 정보 중 상기 참조 데이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 정보와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락 해제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인
    락 해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관성 판단 시에 상기 시간 데이터를 구성하는 숫자들 중 설정된 개수로 이루어진 숫자 배열과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락 해제 장치.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참조 데이터의 출력 시에, 설정된 다수의 참조 데이터들 중 임의의 참조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락 해제 장치.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참조 데이터의 출력 시에, 이전의 락 해제 요청 시에 출력된 참조 데이터와 다른 참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락 해제 장치.
  24. 전자 기기에서의 락(lock) 해제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암호 결정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텍스트 및 설정된 암호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암호를 결정하며, 락 중에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락 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암호 중 어느 하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락 해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설정된 언어로 변환한 후, 각 단어의 초성을 조합한 문자 배열을 암호로 결정하는
    락 해제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모스 부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모스 부호를 암호로 결정하는
    락 해제 장치.
  27.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98785A 2012-09-06 2012-09-06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40044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85A KR20140044962A (ko) 2012-09-06 2012-09-06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14/020,765 US9846980B2 (en) 2012-09-06 2013-09-06 Lock relea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EP13183344.4A EP2767921A1 (en) 2012-09-06 2013-09-06 Lock relea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CN201310403545.2A CN103678969A (zh) 2012-09-06 2013-09-06 电子装置的锁定解除方法及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85A KR20140044962A (ko) 2012-09-06 2012-09-06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962A true KR20140044962A (ko) 2014-04-16

Family

ID=4926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785A KR20140044962A (ko) 2012-09-06 2012-09-06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6980B2 (ko)
EP (1) EP2767921A1 (ko)
KR (1) KR20140044962A (ko)
CN (1) CN1036789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962A (ko) * 2012-09-06 201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04932661B (zh) * 2014-03-17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提示方法及电子设备
CN108769398B (zh) * 2018-05-18 2020-08-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终端的解锁方法及装置、终端
CN109102597A (zh) * 2018-06-28 2018-12-28 北京拜克洛克科技有限公司 密码识别方法、及装置智能锁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9368B2 (en) * 1999-02-11 2007-05-15 Rsa Security Inc. Robust visual passwords
US6408301B1 (en) * 1999-02-23 2002-06-18 Eastman Kodak Company Interactive image storage, indexing and retrieval system
US6509847B1 (en) * 1999-09-01 2003-01-21 Gateway, Inc. Pressure password input device and method
US20040034801A1 (en) * 2001-02-15 2004-02-19 Denny Jaeger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computer passwords
US8171300B2 (en) * 2002-04-30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KR100685001B1 (ko) 2005-03-08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657849B2 (en)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8117458B2 (en) * 2006-05-24 2012-02-14 Vidoop Llc Methods and systems for graphical image authentication
US8006097B2 (en) * 2007-01-31 2011-08-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ssword generation using genre selection
US8281147B2 (en) * 2007-06-21 2012-10-02 Microsoft Corporation Image based shared secret proxy for secure password entry
CN101499905A (zh) * 2008-02-02 2009-08-05 诚实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装置的图像密码认证系统及其方法
US20100079380A1 (en) 2008-09-30 2010-04-01 Nokia Corporation Intelligent input device lock
KR101507840B1 (ko) 2008-10-23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터치 스크린 제어방법
US9197738B2 (en) * 2008-12-04 2015-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selected data through a locked display
US8196198B1 (en) * 2008-12-29 2012-06-05 Google Inc. Access using images
US8458485B2 (en) * 2009-06-17 2013-06-04 Microsoft Corporation Image-based unlock functionality on a computing device
CN102207809A (zh) * 2010-03-30 2011-10-05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手持装置及其解锁方法
EP2386972A1 (en) * 2010-05-11 2011-11-16 Thomson Licensing A method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ecret value
US8832810B2 (en) * 2010-07-09 2014-09-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authenticating users
US8401522B2 (en) * 2011-02-21 2013-03-19 Carmela R. Crawfor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ccess to enterprise resources
US20130036461A1 (en) * 2011-08-01 2013-02-07 Apple Inc. Image-based authentication
US20130069962A1 (en) * 2011-09-15 2013-03-21 Microsoft Corporation Active Lock Wallpapers
KR20140044962A (ko) * 2012-09-06 201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9223952B2 (en) * 2012-09-28 2015-12-29 Intel Corporation Allowing varied device access based on different levels of unlocking mechanisms
US10545660B2 (en) * 2013-05-03 2020-01-28 Blackberry Limited Multi touch combination for viewing sensitiv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78969A (zh) 2014-03-26
US9846980B2 (en) 2017-12-19
US20140062653A1 (en) 2014-03-06
EP2767921A1 (en)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2912B2 (en) Image creation app in messaging app
WO2016045469A1 (zh) 信息加密方法和移动终端
TWI498807B (zh) 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EP29409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information in voice service
CN105812491B (zh) 设备远程绑定方法和装置
WO2011137868A2 (zh) 一种信息即时加密解密的方法和装置
KR20150110778A (ko) 사용자가 아는 코드 시퀀스의 서브세트를 이용한 인증
CN106778295B (zh) 文件存储、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8900553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294624A1 (en) Encryp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40044962A (ko) 전자 기기에서의 락 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966778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voice service
CN108052828B (zh) 录屏文件的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243000B (zh) 应用数据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77155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iding a data group
CN111274556A (zh) 代码混淆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6188079A1 (zh) 终端设备的数据存储方法及终端设备
KR102395697B1 (ko) 회의록 생성이 가능한 화상 회의 시스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JP201605122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06285A (ja) 携帯端末装置、暗号鍵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161365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6407818B (zh) 网络数据包加密方法及装置
WO2016123758A1 (zh) 一种在通话界面上隐藏个人信息的方法和设备
CN111538997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WO2023166636A1 (ja) 音声再生装置、音声再生方法および音声再生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