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614A -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 Google Patents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614A
KR20140043614A KR1020120109655A KR20120109655A KR20140043614A KR 20140043614 A KR20140043614 A KR 20140043614A KR 1020120109655 A KR1020120109655 A KR 1020120109655A KR 20120109655 A KR20120109655 A KR 20120109655A KR 20140043614 A KR20140043614 A KR 2014004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conveying
transfer device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0524B1 (en
Inventor
문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20109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524B1/en
Publication of KR2014004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6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n handling apparatus. The coin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in slot where a coin is inserted; a transfer device transferring the coin taken out from the coin slot; and a separation device arrang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transferring device, and applying transferring force to the coin in the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current transferring direction of the coin transferred by the transferring device.

Description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본 명세서는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coin processors and financial instruments.

일반적으로 동전 처리기는, 투입된 동전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In general, the coin processor is a device for recognizing the coins entered, and stores the recognized coins.

종래의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부와, 투입된 동전을 인식기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이송장치는 동전을 지지한 상태에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벨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식기의 전방에는 상기 벨트 상에 놓여진 동전을 하나씩 인식기로 이송하기 위한 배리어가 위치된다. 이 때, 상기 배리어는 상기 벨트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리어와 상기 벨트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고, 상기 간격을 상기 동전이 통과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coin processor includes a coin input portion into which coins are inserted and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input coins to the recognizer. The conveying device includes a belt for conveying the coins while supporting the coins. In front of the recognizer, a barrier for transferring the coins placed on the belt one by one to the recognizer is located. At this time, the barrier is disposed apart from the belt. Therefore,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barrier and the belt, and the coin passes through the gap.

그런데, 종래의 동전 처리기에 의하면, 동전이 하나 씩 상기 벨트와 상기 배리어 사이 간격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동전이 상기 간격을 원활히 통과할 수 있으나, 다수의 동전이 함께 이송되는 경우 특히 두 개 이상의 동전이 적층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경우 다수의 동전이 상기 배리어와 상기 벨트 사이에 끼이는 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품을 분리한 후에 잼을 해소한 후 다시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in processor, when coins pass one by one between the belt and the barrier, coins can pass through the gap smoothly. However, when a large number of coins are transported together, There is a problem that a jam phenomenon in which a large number of coins are sandwiched between the barrier and the belt occurs when conveyed in a stacked state. In this case, the user has to solve the jam after disconnecting the product, and then operate it again.

이송장치의 다른 예로서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디스크 타입의 경우에도, 디스크가 회전할 때, 배리어와 디스크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상기 간격을 통과한 동전이 상기 디스크의 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었다. 이 경우에도 다수의 동전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상에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배리어와 상기 디스크 사이 간격에 다수의 동전이 끼이는 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veying apparatus, even in the case of a disc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when the disc rotates, coins passing through the gap fall downward through the holes of the disc when the disc rotates. . Even in this case, when the coins are rotated on the disk in a stacked state, a jam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a plurality of coins are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barrier and the disk.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의 이송 과정에서 잼 발생이 방지되는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in processor and a financial device in which jams are prevented during a coin transfer process.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의 현재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동전으로 이송력을 제공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한다. Coin processing machine according to one aspect, a coin inlet for the coin;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coins discharged from the coin input port; And a separating devic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device and providing a conveying force to the coi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urrent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in conveyed by the conveying device.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 기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장치와 상기 분리장치 사이 간격으로 한 층의 동전이 통과하도록 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이송장치 상에 적층된 다수의 동전 중에서 상기 분리장치와 접촉한 동전을 상기 분리장치와 비접촉한 동전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nancial device includes a coin inlet through which coins are inserted;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coins discharged from the coin input port; And a separating devic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device and allowing a layer of coins to pass through at an interval between the conveying device and the separating device, wherein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coins stacked on the conve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ns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is separated from the coins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분리장치에 의해서 하나의 동전이 상기 분리장치와 이송장치를 통과하게 되므로, 동전의 이송 과정에서 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one coin passes through the separating device and the conveying device by the separating device, a jam phenomenon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during the coin transferr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에 투입된 동전이 동전 반환함으로 반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in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in returned to the coin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turned to the coin retur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또한, 본 발명에서 동전 처리기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제품을 이루거나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 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n processor itself can be used as a single product or can be used for various kinds of media such as banknotes, securities (including check), jiro, gift certificates, etc., Or performing financial processing such as processing such as withdrawal processing, release to paper, release of a gift certificate, and the like. At this time, an example of such a financial device may be an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such as a cash dispenser (CD), a cash recycling device (Cash Recycling Device). However, the financial instr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various devices for automating the financial business such as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in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1)는, 하나 이상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는 동전 투입부(10)와,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20)와,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을 하나 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30)와, 이송된 동전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coin proc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in input unit 10 that can put one or more coins, a transfer device 20 for transferring the injected coins, It may include a separator 30 for separating the coins conveyed by the transfer device 20 one by one, and a recognizer 40 for recognizing the transferred coins.

상기 동전 투입부(10)는, 투입된 동전을 하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가이드(guide: 112)와,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110)는 회전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 부재(110)의 작동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coin charging unit 10 may include a conveying guide 112 for conveying the inputted coins downward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veying guide 112.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0 may open and close the transfer guide 112 by a rotation method or a sliding method,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0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송 가이드(112)는 투입된 동전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송 가이드(112)는 투입된 동전이 직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측면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로 투입된 동전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4)는 다수의 동전이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ransfer guide 112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to easily drop the coin entered downward. Of course, the transfer guide 112 may also include a vertical surface so that the coin is dropped directly down. A discharge port 114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veyance guide 112 to discharge a coin inserted into the conveyance guide 112. The outlet 114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discharged a plurality of coins.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의 최저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배출구(114)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송가이드(112)의 측면에 배출구(114)가 형성되지 않고 저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의 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transfer device 20 may be located below the transfer guide 112. That is, the transfer device 20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minimum height of the outlet 114 or lower than the outlet 114. Alternatively, when the discharge port 114 is not formed on the side of the transfer guide 112 an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transfer device 20 may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discharge port.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된 동전이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The transfer device 20 may overlap the discharge port 114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coin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4 may fall into the transfer device 20.

상기 이송장치(20)는, 복수의 이송롤러(212, 214: roller)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2, 214)에 둘러져, 상측에 놓인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belt: 2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벨트(216)가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The conveying apparatus 2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212 and 214 and a conveying belt 216 for conveying coins placed on the upper side,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212 and 214. It may include. Substantially, the conveyance belt 216 may overlap with the discharge port 114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30)의 이격된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복수의 분리롤러(312, 314)와,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2, 314)에 둘러져 회전하는 분리벨트(3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device 30 may be located above the transport device 30 spaced apart. The separating device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parating rollers 312 and 314 and a separating belt 315 rotating around the plurality of separating rollers 312 and 314.

상기 분리벨트(315)와 이송벨트(216) 사이 간격(G)(최소 간격임)은 최대 두께의 동전 보다 크고, 최소 두께의 2개의 동전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예로 한국 동전의 경우, 상기 간격은 오백원짜리 동전의 두께 보다 크고, 십원짜리 두 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The gap G (which is the minimum gap) between the separation belt 315 and the transfer belt 216 may be larger than the maximum thickness coin an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wo coins of minimum thicknes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Korean coin, the spacing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a five hundred won coin, and less than two thicknesses of ten won.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을 동전의 현재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21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이송벨트(216)에 놓인 동전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반면, 상기 분리벨트(31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이송벨트와 다른 방향으로 움직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는 동전 중 일부를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The separating device 30 provides a conveying force to move the coin conveyed by the conveying device 20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urrent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i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conveyor belt 216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coin placed on the conveyor belt 216 is conveyed from left to right.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belt 31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move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nveyance belt) so that a part of the coins conveyed from left to right is conveyed from right to left.

즉,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분리장치(30)와 접촉된 동전을 상기 동전의 현재 이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동전이 이송하도록 상기 동전으로 이송력을 제공한다. That is, the separating device 30 provides a conveying force to the coin so that the coin is transferr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urrent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in in contact with the separating device 30.

그리고, 상기 분리장치(30)와 상기 이송장치(20)를 통과한 동전을 상기 인식기(40)로 이송된다. The coin passing through the separating device (30) and the conveying device (20) is transferred to the recognizer (40).

따라서, 한 층의 동전이 상기 이송장치(20)와 상기 분리장치(30)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동전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분리장치(30)로부터 상기 동전이 이송력을 전달받지 못한다. Therefore, when a single coin passes through the transfer device 20 and the separator 30, the coin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parator 30, so that the coin is transferred from the separator 30. I do not receive.

반면, 동일한 종류의 동전 또는 종류가 다른 동전이 2개 이상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장치(30)와 상기 이송장치(20) 사이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최 하측에 있는 동전 외의 하나 이상의 동전은 상기 분리장치(30)와 접촉하게 된다. 최 하측에 있는 동전 외의 다른 동전은 원래의 이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송력을 전달받으므로, 최 하측의 동전 만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의 간격(G)을 통과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wo or more coins of the same kind or coins of different types are stacked between the separating device 30 and the transfer device 20, one or more coins other than the coin at the bottom are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device. Contact with (30). Coins other than the lowest coin receives a transfer for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nveying direction, so only the lowest coin passes through the gap G between the separating device 30 and the conveying device 20. .

즉,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 상에 적층된 다수의 동전 중에서 상기 분리장치(30)와 접촉한 동전을 상기 분리장치(30)와 비접촉한 동전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separator 30 separates a coin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30 from a coin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30, out of a plurality of coins stacked on the conveyer 20 do.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분리장치(30)에 의해서 한 층의 동전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를 통과하게 되므로, 동전의 이송 과정에서 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한 층의 동전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 사이를 통과하나, 상기 이송장치(20)의 폭 방향으로 다수의 동전이 배치된 경우에는 한 층에 다수의 동전이 놓여 있음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in of one layer passes through the separator 30 and the transfer device 20 by the separator 30, a jam phenomenon is prevented from occurring during the coin transfer. Can b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layer of coins passes between the separator 30 and the transfer device 20, but when a plurality of coins are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device 20, a plurality of coins are placed on one layer.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coin of.

뿐만 아니라, 다수의 동전이 적층된 상태에서 이송되어도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에 의해서 한 층의 동전만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 사이를 통과하여 인식기(40)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층으로 쌓인 동전이 한꺼번에 인식기(40)로 이송되는 것이 방지되어, 인식기(40) 내에서 동전의 일부가 미인식되거나 인식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a plurality of coins are transferred in a stacked state, only one layer of coins passes between the separator 30 and the transfer device 20 by the separator 30 and the transfer device 20. 40 may be transferred. Thus, coins stacked in multiple layer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recognizer 40 at once, so that a part of the coins in the recognizer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cognized or a recognition error can be prevented.

또한, 분리벨트(315)가 접촉된 동전을 이송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하여도, 분리벨트(315)가 동전과 접촉한 상태에서 이송하여 안정적인 동전의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paration belt 315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contacted coins, even if the transfer speed is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paration belt 315 is transferr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coins and stable separation of the coins.

상기 분리벨트(315)는 상기 이송벨트(216)와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벨트(315)는 동전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동전이 이송될수록 상기 이송벨트(216)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The separation belt 315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ransfer belt 216. That is, the separation belt 315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transfer belt 216 as the coin is transferred based on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coin.

이 때, 동전과 상기 분리벨트(315)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적층된 다수의 동전 간의 분리가 원활해지도록, 상기 분리벨트(315)와 이송벨트(216)가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하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ngle formed by the separation belt 315 and the transfer belt 216 may be 30 degrees or less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in and the separation belt 315 to facilitate separation between the stacked plurality of coins. have.

또한, 상기 배출구(114)에서 동전이 원활히 배출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2, 314) 중에서 상기 배출구(114)와 인접한 롤러의 높이는 상기 배출구(11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moothly discharge coins from the outlet 114, the height of the roller adjacent to the outlet 114 of the plurality of separation rollers 312, 314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outlet 114.

한편, 상기 인식기(4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된 동전의 종류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기(40)는 미인식된 동전과 인식된 동전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cognizer 40 may determine the type and authenticity of the coins transferred by the transfer device 20. In addition, the recognizer 40 may discharge the unrecognized coins and the recognized coins separately. Since the recognizer 40 may be implemented by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인식기(40)에서 미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 가이드(41)와, 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 가이드(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in processor 1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guide 41 for discharging the coins unrecognized by the recognizer 40 and a second discharge guide 41 for discharging the recognized coins. .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인식기(40)에서 인식된 동전이 임시 집적되는 임시 집적부(50)와,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전 보관함(80)과, 동전을 반환하기 위한 동전 반환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in processor 1 includes a temporary accumulator 50 in which coins recognized by the recognizer 40 are temporarily accumulated, one or more coin containers 80 for storing coins, and a coin return for returning coins. It may further include a box (70).

상기 인식기(40)에서 미인식된 동전은 상기 동전 반환함(70)으로 반환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에서 인식된 동전은 상기 임시 집적부(50)로 이송될 수 있다. Coins not recognized by the recognizer 40 may be returned to the coin return box (70). Coins recognized by the recognizer 40 may be transferred to the temporary accumulator 50.

이 때, 상기 임시 집적부(50)에는 동전의 종류 별로 구분되어 동전이 임시 집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 보관함(80)은 동전의 종류 별로 구비되어 종류 별로 동전을 보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임시 집적부(50)에서 동전의 구분 없이 동전이 임시 집적되거나, 하나의 동전 보관함(80)에 두 종류 이상의 동전이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temporary accumulator 50 may be classified by type of coins and coins may be temporarily accumulated. In addition, the coin storage box 80 may be provided for each type of coin to store coins for each type. As another example, coins may be temporarily accumulated without distinguishing coins from the temporary accumulation unit 50, or two or more kinds of coins may be stored in one coin storage box 80.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 510)과, 상기 하우징(510)의 하측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mporary accumulator 50 may include a housing 510 for storing coins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5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510.

상기 동전 분리기(1)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60)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켜, 상기 임시 집적부(50)가 상기 동전 보관함(8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동전 반환함(7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in sepa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device 60 for moving the temporary accumulator 50. The mobile device 60 moves the temporary accumulator 50 so that the temporary accumulator 50 is located above the coin box 80 or above the coin return 70. You can do that.

상기 이동 장치(60)는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와,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에 둘러지는 이동벨트(6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벨트(616)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벨트(616)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 장치(6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며, 랙과 피니언 구조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거나 다수의 링크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moving device 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ving rollers 612 and 614 and a moving belt 616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moving rollers 612 and 614. In addition, the temporary integration part 50 may be fixed to the moving belt 616 and move together with the moving belt 616. Note that the structure of the mobile device 6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temporary integration unit 50 by the rack and pinion structure or to move the temporary integration unit 50 by a plurality of links. Do.

이하에서는 상기 동전 처리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in processor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에 투입된 동전이 동전 반환함으로 반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in returned to the coin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turned to the coin retur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동전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동전 투입구(10)로 하나 이상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동전 투입구(10)로 투입된 동전은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된다.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된 동전은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인식기(40) 측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분리장치(30)에 의해서 이송장치(20) 상의 동전은 하나 씩 상기 인식기(40)로 낙하된다. 1 and 2, a user may input one or more coins into the coin inlet 10 to process coins. The coins inserted into the coin input port 10 are dropped to the transfer device 2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4. The coin dropped by the conveying device 20 is conveyed to the recognizer 40 side by the conveying device 20. At this time, coins on the conveying device 20 are dropped by the separating device 30 to the recognizer 40 one by one.

즉, 하나의 동전만이 인식기(40)로 낙하될 수 있고, 여러 개의 동전이지만 한 층의 동전만이 인식기(40)로 낙하될 수도 있으나, 단 두 개의 동전이라도 두 개층 이상의 동전이 인식기(40)로 낙하될 수는 없다. That is, only one coin may fall into the recognizer 40, and several coins but only one coin may fall into the recognizer 40. Even if only two coins, two or more coins are detected by the recognizer 40 ). ≪ / RTI >

상기 인식기(40)에서는 동전을 인식하게 되고, 동전이 미인식되면 미인식된 동전을 상기 제1배출 가이드(41)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1배출 가이드(41)로 배출된 동전은 상기 제1배출 가이드(41)에 의해서 동전 반환함(70)으로 이송된다. The recognizer 40 recognizes a coin, and if the coin is not recognized, discharges the unrecognized coin to the first discharge guide 41. The coin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guide 41 are transferred to the coin return 70 by the first discharge guide 41.

반면, 상기 인식기(40)에서 동전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기(40)는 인식된 동전을 상기 제2배출 가이드(42)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2배출 가이드(42)로 배출된 동전은 상기 제2배출 가이드(42)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에 보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in is recognized by the recognizer 40, the recognizer 40 discharges the recognized coin to the second discharge guide 42. [ The coins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guide 42 are stored in the temporary accumulation unit 50 by the second discharge guide 42.

동전의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 결과가 도시되지 않은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식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는 거래를 완료하기 위하여 확인 명령을 입력하거나 취소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 장치(60)에 의해서 상기 동전 보관함(8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에 집적된 동전은 동전 보관함으로 낙하되어 보관된다. 이 때, 상기 임시 집적부(50)에서 배출된 동전은 집적 가이드(43)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동전 보관함(80)으로 낙하될 수 있다. When the recognition of the coin is completed, the recognition resul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Then, the user can confirm the recognition result, and the user can input a confirmation command or cancel command to complete the transaction. When the user inputs a confirmation command, the temporary accumulation unit 50 is located above the coin storage box 80 by the mobile device 60. [ The coins accumulated in the temporary accumulation unit 50 are dropped and stored in the coin storage box. At this time, the coins discharged from the temporary accumulation unit 50 can be guided by the accumulation guide 43 and fall into the coin storage box 80. [

반면, 사용자가 취소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 장치(60)에 의해서 동전 반환함(7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에 보관된 동전은 상기 동전 반환함(70)으로 낙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s a cancel command, the temporary accumulation unit 50 is located above the coin box 70 by the mobile device 60. Then, the coins stored in the temporary accumulator 50 falls into the coin return box (70).

위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송장치가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이송장치가 회전 동작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분리장치는 회전 동작하는 디스크 상에 놓인 동전의 이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동전이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동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벨트 또는 디스크를 통칭하여 이송부라 이름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transfer apparatus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a transfer belt, but alternatively, the transfer apparatus may include a disc that rotates. Even in such a case, the separating device may provide a conveying force to the coin so that the coin is convey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in placed on the rotating disk. Therefore, the conveying belt or the disc may be collectively called a conveying unit.

다른 예로서, 상기 분리장치가 분리벨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분리롤러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분리롤러의 직경은 동전과 접촉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롤러의 표면은 동전과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마찰력 증가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분리벨트 또는 분리롤러를 통칭하여 분리부라 이름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eparation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a separation belt,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only the separation roller. However,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separation roller may be formed large enough to be in contact with the coi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roller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the like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with the coin, or provided with a separate friction force increasing member It is also possible. Therefore, the separation belt or separation roller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eparation un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동전 투입구 20: 이송장치
30: 분리장치 40: 인식기
50: 임시 집적부 70: 동전 반환함
80: 동전 보관함
10: coin inlet 20: transfer device
30: separator 40: recognizer
50: Temporary accumulation unit 70: Return of coin
80: coin locker

Claims (10)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의 현재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동전으로 이송력을 제공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A coin inlet through which coins are inserted;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coins discharged from the coin inlet; And
And a separating devic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device, the separating device providing a conveying force to the coi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urrent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in conveyed by the convey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와 상기 분리장치의 최소 간격은, 최대 두께의 동전 1개의 두께보다 크고, 최소 두께의 동전 2개의 두께 보다 작은 동전 처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separator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one coin of maximum thickness and less than the thickness of two coins of minimum thickn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측에 놓인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이송부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device,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a coin placed on the upper side,
The separating device, the coin processor comprising a separating unit mov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convey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복수의 이송롤러에 둘러지는 이송벨트 또는 회전 동작하는 디스크이고,
상기 분리부는 복수의 분리롤러에 둘러지는 분리벨트 또는 회전 동작하는 분리롤러인 동전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veying unit is a conveying belt or a disk that rotates around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The separation unit is a coin handling belt or a separation roller that is rotated around the plurality of separation roller coin proces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벨트는 상기 이송벨트에 대해서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동전 처리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parating belt is disposed coin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bel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투입구는 동전을 상기 이송장치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 중에서 상기 배출구와 인접한 분리롤러의 높이는 상기 배출구의 최대 높이 보다 높은 동전 처리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in inlet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in to the transfer device,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roller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plurality of separation roller is high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동전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와,
상기 인식기에서 인식된 동전은 임시 집적하기 위한 임시 집적부와,
상기 임시 집적부에서 배출된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동전 보관함을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cognizer for recognizing coin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device;
Coins recognized by the recognizer is a temporary accumulator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Coin processor further comprises a coin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oins discharged from the temporary accumulation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에서 미인식된 동전이 반환되는 동전 반환함과,
상기 인식기에서 배출된 동전을 상기 동전 반환함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coin returning an unrecognized coin returned from the recognizer;
And a discharge guide for guiding the coin discharged from the recognizer to the coin retur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집적부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장치에 의해서 상기 임시 집적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임시 집적부에 집적된 동전이 상기 동전 반환함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동전 보관함으로 배출될 수 있는 동전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8,
A mobile device for moving the temporary aggregator,
And the coin handling device changes the position of the temporary accumulator so that coins accumulated in the temporary accumulator may be discharged into the coin return box or discharged into the coin holder.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장치와 상기 분리장치 사이 간격으로 한 층의 동전이 통과하도록 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이송장치 상에 적층된 다수의 동전 중에서 상기 분리장치와 접촉한 동전을 상기 분리장치와 비접촉한 동전과 분리하는 금융 기기.
A coin inlet through which coins are inserted;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coins discharged from the coin inlet; And
A separato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ransfer device and allowing a layer of coins to pass through at an interval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separator;
The separating device is a financial device for separating the coins in contact with the separating device of the plurality of coins stacked on the transfer device with the coins in contact with the separating device.
KR1020120109655A 2012-10-02 2012-10-02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KR101390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655A KR101390524B1 (en) 2012-10-02 2012-10-02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655A KR101390524B1 (en) 2012-10-02 2012-10-02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614A true KR20140043614A (en) 2014-04-10
KR101390524B1 KR101390524B1 (en) 2014-04-30

Family

ID=5065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655A KR101390524B1 (en) 2012-10-02 2012-10-02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5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087A (en) * 2020-07-22 2022-02-03 이동규 Coin c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9805A (en) * 1993-11-05 1995-05-19 Toshiba Corp Coin processing device
JPH08161581A (en) * 1994-12-09 1996-06-21 Nippon Signal Co Ltd:The Safe for coin processing machine
JP4613278B2 (en) * 2004-08-31 2011-01-12 ネッツエスアイ東洋株式会社 Collective coin separation device and coin handling device
JP2010152825A (en) * 2008-12-26 2010-07-08 Glory Ltd Coin depositing/dispens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087A (en) * 2020-07-22 2022-02-03 이동규 Coin c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524B1 (en)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3664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um transaction apparatus
EP2110792B1 (en) Sheets processing machine
JP5375425B2 (en) Coin processing equipment
KR101599131B1 (en) A diverter, a medium handling device and a financial device
KR102417037B1 (en) Storing bill apparatu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US8961275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KR101310499B1 (en)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US20170116811A1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KR101657764B1 (en) Medium cassette and Medium process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60066166A (en) A banknote recieving/dispensing cassette for two different kinds of banknotes and the ATM equipped with the same
KR101609458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390524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KR101457296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622833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WO2014061594A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with transport unit
JP5277757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KR101549757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5527393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KR20140116321A (en) Media trea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383424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JP6565191B2 (en) Coin processing equipment
KR101672597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445037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KR101447823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4857719B2 (en)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