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281A -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281A
KR20140042281A KR1020120108825A KR20120108825A KR20140042281A KR 20140042281 A KR20140042281 A KR 20140042281A KR 1020120108825 A KR1020120108825 A KR 1020120108825A KR 20120108825 A KR20120108825 A KR 20120108825A KR 20140042281 A KR20140042281 A KR 2014004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battery
weight information
efficiency
battery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무용
한지광
Original Assignee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2010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2281A/en
Publication of KR2014004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2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9Fuel consumption; Energy use; Emission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6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economical driv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using weighted value information relative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alculating driv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residue of a battery by using the weighted value information of battery consumption directly related to the driving of an electric vehicle; and providing an optimal route which can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based on the driving efficiency, and minimizing the battery consumption based on the driving efficiency. Therefore, the device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a user to safely drive an electric vehicle to the destination while maintaining the stable residue of the battery without the waste of time and costs of the user. [Reference numerals] (210) Storage part; (220) Weighted value information detection part; (230) Driving efficiency calculation part; (240) Control part; (AA) Weighted value information on road sections; (BB) Driving efficiency for driving routes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와 그 방법{A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AND THE METHOD THEREOF}Navigation apparatus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electric vehicle and its method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들을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정확한 주행효율을 산출하고, 그 주행효율을 바탕으로 배터리 소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경로와 운행 방법을 안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and a method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alculates the accurate driv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guiding a path and a driving method for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based on the driving efficiency.

최근 세계적인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업계에서도 에너지 소비가 적고 친환경인 전기자동차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Recently, as global exhaustion of energy and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ve increased, the automobile industry is concentrating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electric vehicles with low energy consumption.

그런데 상기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같은 거리일지라도 각 도로의 운행 환경(오르막, 내리막, 고도 등) 및 차량 내 전기장치의 작동이나 탑승 인원, 또는 탑재 중량에 따라서 배터리의 소모량에 급격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행효율을 정확히 산출할 수 없었다. 여기서 주행효율이란, 전기자동차의 주행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배터리 소모량(W)에 대한 주행거리(Km), 즉 배터리의 잔량으로 전기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However, since the electric vehicle uses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it has an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pollution, but even at the same distance,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each road (uphill, downhill, altitude, etc.) and the operation or occupancy of electric devices in the vehicle, or The driving efficiency could not be calculated accurately because there is a drastic difference in battery consumption depending on the weight. Here, the driving efficiency refers to the running cos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means, for example, the driving distance Km with respect to the battery consumption amount W, that is, the distance that the electric vehicle can travel wit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다시 말해 종래에도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였으나, 운행 환경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이 고려되지 않은 단순한 배터리 잔량의 표시에 의해서는 정확한 주행가능시간이나 주행가능거리를 예측할 수 없었다. 즉, 전기자동차의 운행 환경(또는 운행 환경에 따른 배터리 소모율)이 변하여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게 될 경우 배터리 잔량은 더욱 빠르게 소모되지만, 종래에는 배터리가 소모되는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배터리 잔량 또는 평균 소모량을 적용한 주행가능거리만 표시하였기 때문에 그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정확한 주행가능시간이나 주행가능거리, 또는 배터리 잔량의 완전 소모시간을 예측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안한 마음에 충전을 하지 않아도 될 상태에서도 미리 충전을 수행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displays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but it is not possible to predict the accurate driving time or the driving distance by a simple display of the remaining battery power, which does not consider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That is, when the battery consumption increases due to a change in the driving environment (or battery consumption rate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electric vehicle,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consumed more rapidly. Because only the available driving distance is displayed, it is not possible to predict the exact driving time, the driving distance, or the complete consumption time of the remaining battery power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power. Therefore, the user may be in a situation where the charging is performed in advance even when the user does not have to be charged with anxiety.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은 급속 충전 시 최소 30분에서 완속 충전 시 최소 6시간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충전이 불필요한 상황에서 충전을 수행하게 될 경우 사용자는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더구나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소의 인프라가 충분하게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akes at least 30 minutes for fast charging and at least 6 hours for slow charging, a user wastes time and money when charging is performed in a situation where charging is unnecessary. There is this. In addition, the above problems may occur more seriously when the infrastructure of the charging station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is not sufficiently equipped.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을 때, 주변의 충전소 위치를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지만, 운행 환경에 따른 배터리의 소모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배터리 잔량에 의해서만 충전이 필요한 시점을 판단하기 때문에 배터리 잔량이 완전히 소모되는 시간이나, 그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시간, 또는 주행 가능한 거리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하게 되고, 결국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시점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며, 그에 따라 불필요한 시점에 충전을 수행하여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거나, 충전을 못하는 상황이 발행할 수도 있다.
In view of this, in the past, a navigation system for guiding the location of a nearby charging station is known, when the time when the battery needs to be charged, but charging only by the remaining battery charge, without considering the battery consumption speed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Sinc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n this battery is completely consume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predict the time at which the battery can be run, the time at which the battery can run, or the distance at which it can run. As a result, the charging may be performed at an unnecessary time point, resulting in a waste of time and money, or a situation in which charging is not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의 운행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배터리 소모량의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에 따른 주행효율을 산출하고, 그 주행효율을 바탕으로 배터리 소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최적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battery consumption direct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alculates the runn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based on the running efficiency battery consump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vig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guiding an optimal path which can minimize the number.

또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운행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배터리 소모량의 가중치 정보를 바탕으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주행효율을 산출하고, 그 주행효율을 이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차량 운행 방법을 안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driv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battery consumption direct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guides the vehicle driving method that can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by using the driving efficienc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viga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주행경로를 탐색하는 주행경로 탐색수단; 상기 탐색된 각 주행경로들에 대하여 운행환경에 따른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효율을 산출하는 주행효율 산출수단; 및 상기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이 산출되면, 그 중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선택된 주행경로의 실제 주행거리와 현재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주행가능거리를 비교하고, 그 주행가능거리가 실제 주행거리보다 짧은 경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검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주행속도 감속, 전기장치의 사용 중지, 연속 주행시간의 단축, 배터리 충전, 탑재 중량의 축소, 온도 낮춤, 또는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할 경우, 각 방법에 해당하는 가중치 정보, 또는 각 방법을 수행할 경우에 증가시킬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를 추가로 포함하여 안내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키더라도 주행가능거리가 실제 주행거리보다 짧은 경우, 주행가능거리 이내에 위치한 배터리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하거나, 그 배터리 충전소를 경유하면서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재탐색하여 표시하며, 상기 주행효율 산출수단은, 상기 탐색된 각 주행경로의 도로구간별 각 가중치 정보를 검출하여 합산하고, 그 합산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을 각기 산출하고, 상기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는, 운행환경을 고려하여 가장 적은 배터리 소모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주행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driving route searching means for searching a driving route connect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Driving efficiency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driving efficiency for each of the searched driving paths using at least on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And control means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a driving route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when the driving efficiency for each driving route is calculated, wherein the control means comprises: an actual driving distance and a current battery of the selected driving route; Comparing the driving allowable distance with the remaining amount, and if the driving allowable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actual driving distance, detecting and outputting a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traveling efficiency, and the control means can increase the traveling efficiency. The method includes at least one of deceleration of the traveling speed, deactivation of the electric device, shortening of the continuous running time, charging of the battery, reduction of onboard weight, lowering of tempera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rein th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adjust the running efficiency. When guiding methods that can be increased, we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method, or driving that can be increased when each method is performed The control means further guides the location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located within the driving distance, or if the driving means is shorter than the actual driving distance even if the driv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re-searching and displaying the driving route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while passing through, the driving efficiency calculating means detects and sums each weight information of each road section of the found driving route, and adds the weight information using the summed weight information. The driving efficiency for each corresponding driving route is calculated, and the driving route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is a driving route capable of running with the least battery consump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은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주행경로를 탐색하는 제1 단계;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들에 대한 주행효율을 각기 산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이 산출되면, 그 중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단계는 운행환경에 따른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효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선택된 주행경로의 실제 주행거리와 현재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를 비교하고, 주행가능거리가 실제 주행거리보다 짧은 경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주행속도 감속, 전기장치의 사용 중지, 연속 주행시간의 단축, 배터리 충전, 탑재 중량의 축소, 온도 낮춤, 또는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출력할 경우, 각 방법에 해당하는 가중치 정보, 또는 각 방법을 수행할 경우에 증가시킬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를 추가로 포함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키더라도 주행가능거리가 주행경로의 실제 주행거리보다 짧은 경우, 주행가능거리 이내에 위치한 배터리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하거나, 그 배터리 충전소를 경유하면서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재탐색하여 표시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탐색된 각 주행경로의 도로구간별 각 가중치 정보를 검출하여 합산하고, 그 합산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을 각기 산출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최단거리 주행경로, 최단시간 주행경로, 도로의 운행환경을 고려한 배터리소모 최소 주행경로 및 그들을 조합한 주행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그 주행경로는 고속도로, 고속화도로, 국도, 지방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경유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avigation method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 first step of searching for a driving route connect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Calculating a driving efficiency for each of the searched driving paths; And a third step of selecting and displaying a driving path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among the driving paths when the driving efficiency is calculated for each driving path, wherein the second step is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The driving efficiency may be calculated by using weight information. The third step may include comparing the actual driving distance of the selected driving route with the distance that can be driven by the current battery level, and the driving distance may be shorter than the actual driving distance. In this case, a fifth step of detecting and outputting a method for increasing driving efficiency may be further included. The third step may include a method for increasing the driving efficiency. At least one of discontinuing use, shortening of continuous running time, charging of a battery, reduction of onboard weight, lowering of tempera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we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method or driving distance that may be increased when performing each method when outputting a method of increasing the driving efficiency. In step 3, even when the driving efficiency is increased, when the driving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actual driving distance of the driving route, the step of guiding the location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located within the driving distance, or passing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s the best driving efficiency. And a sixth step of re-navigating and displaying a route, wherein the second step includes detecting and summing each weight information of each road section of the searched driving route and using the summed weight information. The driving efficiency is calculated for each corresponding driving route, and the third step includes the shortest driving route, the shortest driving route, and the road operation. Displaying the battery consumption at least one of the minimum traveling path and are combined traveling route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the traveling rou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to selectively including or via the highway, road speed, national road, prefectural road.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운행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배터리 소모량의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에 따른 주행효율을 산출하고, 그 주행효율을 바탕으로 배터리 소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최적 경로를 안내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주행효율을 이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차량 운행 방법을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지 않고 안정적인 배터리 잔량을 유지하면서 전기자동차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runn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by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battery consumption direct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can guide the optimal path to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based on the driving efficiency In addition, by using the driving efficiency to guide the vehicle operation method that can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drive the electric vehicle to the destination while maintaining a stable battery level without wasting user's time and cost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그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효율을 산출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의 수집과 그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주행효율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탐색된 주행경로의 각 도로구간별 가중치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ollecting a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truct a database, and calculating the driving efficiency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FIG. 2 is an example of a database configured with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in FIG. 1;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llection method of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driving efficiency calculation method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device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detecting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of a found driving route in FIG. 4.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avigation method using weigh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guiding a method of increasing driving efficiency with the same battery level in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들을 이용하여 도로구간별 주행효율을 산출하고, 그 주행효율을 바탕으로 배터리 소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주행경로 및 차량 운행방법을 안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ing route and a vehicle driving 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efficiency for each road section by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nd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based on the driving efficienc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a guiding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is described.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그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효율을 산출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First,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ollecting a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ng a database, and calculating driving efficiency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효율 산출장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상태를 검출하거나 그 배터리의 충전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부(110), 자동차의 주행에 관련된 정보들을 검출하는 센서부(120), 상기 배터리의 상태 및 주행에 관련된 정보들을 제어부(150)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입력받기 위한 제1,2 인터페이스부(130, 140), 상기 배터리의 상태 및 주행에 관련된 정보들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거나, 그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주행효율을 산출하는 제어부(15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주행효율 산출에 관련된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저장부(160)를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driving efficiency cal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manager 110 for detecting a battery state of an electric vehicle or managing charging of the battery,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120, first and second interface units 130 and 140 for conver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and the driving of the battery into a form suitable for processing by the controller 150, and related to the state and the driving of the battery. A controller 15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formation into a database, or calculate a driving efficienc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database, and a storage unit 160 to store the database and an algorithm related to calculating the driving efficiency.

상기 배터리 관리부(110)는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이 일정 영역(과충전과 과방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영역)에서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배터리는 완전 충전과 완전 방전이 될 경우 수명이 급속히 짧아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 시에는 약 2/3 정도의 충전 상태가 되었을 때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알려주고, 방전 시에는 약 2/3 정도가 방전되었을 때(배터리 잔량이 약 1/3 정도가 되었을 때) 재충전 하도록 알람 할 수 있다.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10 manage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so as to be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an area for preventing overcharging and over-discharging). When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or completely discharged, When there is a disadvantage, when the battery is charged, it indicates that the charging is completed when the charging state is about 2/3. When the discharging is about 2/3 (when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about 1/3) It can be alarmed to recharge.

예컨대 상기 배터리 관리부(110)는 배터리 사용구간(예 : 가령 배터리의 전체 용량을 3등분 하였을 경우, 상/하 각각 1/3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1/3 구간을 사용구간으로 설정한 경우)에서만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며, 배터리의 상태정보(예 : 잔량, 전압, 전류, 온도 등)를 검출하여 제어부(150)에 출력한다.For example, the battery manager 110 charges only in a battery use section (for example, when the total capacity of the batter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when the remaining 1/3 section is set as the use section except for 1/3 section, respectively). It is managed to perform the over discharge, and detec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attery (for example, remaining amount, voltage, current, temperature, etc.)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50.

상기 배터리 관리부(110)는 목적과 비용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배터리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The battery manager 110 may detect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the cost.

예컨대 전압기반의 배터리 잔량 검출 방법이 있으며, 이는 저렴한 비용과 구조가 간단한 특징으로 인해 휴대용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배터리 임피던스 변동에 취약하며, 동적 부하조건과 온도변화로 인해 최대 50%의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안전을 우선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is a voltage-based battery level detection method, which is widely used in portable devices due to its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but is vulnerable to battery impedance variation occurring over time, and is a dynamic load condition and temperature change. Because of this, measurement errors of up to 50% may occur, so it may not be suitable as a method for detect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a vehicle that prioritizes safety.

다음 쿨롬 계수 기법을 이용한 배터리 잔량 검출 방법이 있으며, 이는 사용된 전하와 전하상태(SOC : State of Charge)의 산출을 위해 쿨롬 값을 연속적으로 적분하는 대안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있으며, 전체 용량에 대한 사전지식을 이용하여 잔여용량을 산출할 수 있으나, 이 방법은 자체방전에 대해서는 정확한 모델링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왜냐 하면 주기적인 전체 사이클(충전 사이클)의 교정이 없을 경우 시간(배터리의 자체 방전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오차가 누적되기 때문이다. There is a battery residual quantity detection method using the following Coulomb counting technique, which takes an alternative approach of continuously integrating the Coulomb value to calculate the used charge and state of charge (SOC: state of charge) The remaining capacity can be calculated using knowledge, but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accurate modeling is difficult for self discharge. This is because, if there is no calibration of the periodic full cycle (charge cycle), the measurement error accumulates with the elapse of time (self-discharge time of the battery).

또한 임피던스 트랙 기술을 이용한 배터리 잔량 검출 방법이 있으며, 이는 실제 배터리를 사용하는 시간 동안 임피던스 및 용량의 변화를 추적하여, 노화 및 온도, 사용 이력 등의 조건하에서 배터리의 특성을 알 수 있는 동적인 모델링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셀 임피던스에 대한 지식을 이용하여 부하와 온도에 대한 보상이 정확하게 모델링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전체 사이클에 대한 별도의 용량 교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배터리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동적인 학습을 통해 배터리 측정의 정확도가 배터리의 전체 수명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battery residual quantity detection method using the impedance track technology. This is a dynamic modeling which can track the change of the impedance and the capacity during the use time of the real battery and can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under the conditions of aging, As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algorithm, this metho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apacity calibration for the periodic full cycle because the compensation for load and temperature is accurately modeled using knowledge of the cell impedance, Dynamic learning has the advantage that the accuracy of battery measurements can be maintained throughout the life of the battery.

따라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110)는 상기 예시된 배터리 잔량 검출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된 배터리 잔량 검출 방법은 일 실시예로서 기재된 것일 뿐이며, 배터리잔량 검출 방법을 그것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더 향상된 배터리잔량 검출 방법이 있을 경우 그 방법으로 변경하거나 추가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관리부(110)는 내리막 도로에서 회생 제동력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될 경우에 그 충전된 용량을 반영하여 배터리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ttery manager 110 may be configured by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ction methods or a combination thereof. However,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cting method exemplified above is only described as an embodiment,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ct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when there is a battery residual quantity detection method which is further improved, it can be changed or combined with another method.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is charged by the regenerative braking force on the downhill road, the battery manager 110 may detect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by reflecting the charged capacity.

상기 센서부(120)는 자동차의 주행에 관련된 정보들(예 : 위치, 도로 기울기, 노면 상태, 속도, 무게 등)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예 : 기울기 센서, GPS, 온/습도 센서, 진동 센서, 중량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e.g., a tilt sensor, a GPS, an on /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information (e.g., position, road inclination, road surface condition, , A vibration sensor, a weight sensor, etc.).

상기 제1, 제2 인터페이스부(130, 140)는 상기 배터리 관리부(110) 및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상태 및 주행에 관련된 정보들을 각기 제어부(150)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신호나 특정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가공한다(예 : A/D 변환, 증폭, 잡음제거 등).The first interface unit 130 and the second interface unit 140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10 and the sensor unit 120. The first interface unit 130 and the second interface unit 14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unit 150, (Eg, A / D conversion, amplification, noise cancellation, etc.).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제2 인터페이스부(130, 140)를 통해 입력된 배터리 상태 및 주행에 관련된 정보들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처리하여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한다. 또는 전기자동차에 실질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각 기능에 관련된 각종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직접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lassifies and process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state and the driving inpu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e units 130 and 140 for each type to calculat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and to configure a database. do. Alternatively, a database may be configured by directly collecting necessary information from various electronic control units (ECUs) related to each function substantially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예컨대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자동 변속 제어 장치(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 전자 조향장치(EPS : Electronic Power Steering), 브레이크 잠김 방지 장치(ABS : Anti Lock Brake System), 배터리 관리 장치(BMS : 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전기자동차는 다양한 기능의 전자제어장치(ECU)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may include a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an electronic steering unit (EPS),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and a battery management unit (BMS). : Battery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may includ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having various functions.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의 변화, 연속 주행거리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의 변화, 배터리의 온도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의 변화, 주변 온도/습도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의 변화, 탑재 중량(또는 탑승 인원)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의 변화, 차량 내 전기장치의 사용에 따른 배터리의 소모량의 변화, 도로(예 : 평탄한 도로, 오르막/내리막 도로)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의 변화, 노면 상태(예 : 포장도로, 비포장도로)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의 변화, 또는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database may include a change in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a driving speed of a vehicle, a change in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a continuous driving distance, a change in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a battery temperature, and an ambient temperature / humidity. Changes in battery consumption, changes in battery consumption due to onboard weight (or occupants), changes in battery consumption due to the use of in-vehicle electrical devices, and changes in the slope of roads (e.g. flat roads, uphill / downhill roads) A databas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hange in battery consumption, a change in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eg, pavement, unpaved road),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주행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속도나 휠(타이어)의 회전속도를 알아내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마그네틱 타입(리드 스위치 포함)과 홀 타입 센서를 많이 사용한다. 예컨대 자동차에서는 디퍼렌셜 기어의 기어비, 타이어의 크기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변속기 출력축이나 휠의 회전수를 알면 자동차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속도는 휠의 회전수와 타이어의 둘레 길이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만약 타이어의 규격이 바뀌거나, 또는 타이어 공기압의 변화에 의해 타이어의 사이즈(또는 둘레 길이)가 변경될 경우, 그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정확한 주행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Here, the method for detecting the traveling speed use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mission output shaft 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tire), and generally uses a magnetic type (including a lead switch) and a hall type sensor. For example, since the gear ratio of the differential gear and the size of the tire are determined in an automobile, the speed of the automobile can be calculated by know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transmission output shaft or the wheel. The traveling speed may be detected u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wheel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tire. If the size of the tire (or the circumferential length) is changed by changing the size of the tire or by changing the tire air pressure, the accurate travel distance can be detected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는 임의로 설정된 기준으로부터 주행속도가 10km/h 단위로 증가할 때마다 기준 시간당(예 : 1시간, 1분, 10초 등 측정 기준시간은 변경될 수 있음) 배터리 소모량이 1.5%에서 3.1%, 4.7%, 6.5%로 점차 증가하고, 연속 주행거리가 1km 단위로 증가할 때마다 배터리 소모량이 1.5%에서 3.1%, 4.7%, 6.5%로 점차 증가하고, 중량이 5kg 단위로 증가할 때마다 배터리 소모량이 2.0%에서 4.1%, 6.2%, 8.5%로 점차 증가하고, 온도가 3도 단위로 증가할 때마다 배터리 소모량이 1.0%에서 2.1%, 3.2%, 4.3%로 점차 증가하고, 전기장치의 전기 사용량이 1W 단위로 증가할 때마다 배터리 소모량이 3.2%에서 6.5%, 10.9%, 17.2%로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base shown in FIG. 2 is based on a randomly set reference, each time the driving speed increases in units of 10 km / h. Gradually increase from 1.5% to 3.1%, 4.7% and 6.5%, and each time the continuous mileage increases by 1 km, the battery consump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1.5% to 3.1%, 4.7% and 6.5%, and the weight is 5 kg. Each unit increase increases battery consumption from 2.0% to 4.1%, 6.2%, 8.5%, and every 3 degrees increase battery consumption from 1.0% to 2.1%, 3.2%, 4.3%. Gradually increasing, it can be seen that the battery consump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3.2% to 6.5%, 10.9%, and 17.2% whenever the electricit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increases by 1W.

이때 상기 기재된 여러 가지 주행 상황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의 변화(가중치 정보)는 일 실시예로 기재된 것이며, 또한 상기 기재되지 않은 주행 상황(또는 배터리 소모를 유발시키는 정보)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이 가능함에 유의한다. 그리고 각 증가단위 사이의 배터리 소모량은 필요시 각 증가단위 값과 배터리 소모량을 각기 균등 분할하여 해당하는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nge in the battery consumption amount (weigh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driving condition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and an additional database may be configured for the driving conditions (or information causing battery consumption) not described above. Be careful. The amount of battery consumption between each incremental unit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each incremental unit value and battery consumption equally if necessary, and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battery consumption amount.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전기자동차 제조사에서 차량 출시 전에 반복적인 테스트를 통해서 미리 구성하여 탑재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별적인 운행 특성을 고려한 개인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base can be pre-configured and installed continuously through repetitive testing before the vehicle is launched by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and can continuously provide update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 updat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individual driving characteristics.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컨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내장형 메모리 또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카드)나 USB 메모리와 같은 외장형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클라우드 형태의 스토리지(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데이터서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해서 유무선 통신수단(미도시)을 추가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is a means for storing the database, for example, a non-volatile memory may be an internal memory or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Secure Digital (SD) memory (card) or a USB memory, and may be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Cloud-type storage (or data servers connected to a network). Therefore,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itionally includ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for the network or Internet connection.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활용하여 주행상황별 또는 주행경로별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주행효율(또는 주행 가능거리)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잔량에 따른 주행효율은 직접적인 전압 소모량이나 비율(퍼센티지)로 나타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여 주행 가능거리나 주행 가능시간으로 변환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효율은 자동차 계기판에 게이지(예 : 디지털 게이지, 아날로그 게이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driving efficiency (or driving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by driving condition or driving path by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amount configured in the database. The runn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may be represented by a direct voltage consumption amount or a percentage (percentage), or may be converted into a running distance or a travelable tim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And the running efficiency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gauge (for example, digital gauge, analog gauge) on the vehicle instrument panel.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필요시마다 그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활용하여 배터리 잔량과 그에 따른 주행효율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람 정보는 자동차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예 : 계기판)과 오디오 수단(예 : 라디오)을 통해 출력하거나, 혹은 별도의 알람 수단(또는 알람 소프트웨어 앱)을 구비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ontinuously manages the database, and when necessary, calculates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driv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database, and alarms the user. In this case, the alarm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a display means (for example, an instrument panel) and an audio means (for example, a radio) provided in a vehicle, or may be output with a separate alarm means (or an alarm software app).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배터리 잔량과 그에 따른 주행효율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예 : 핸드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제어부(15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은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해야 하며, 상기 배터리 잔량과 그에 따른 주행효율을 출력하기 위한 전용 앱(APP)을 제공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alculate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and the driving efficiency thereof and output the same through a user's mobile terminal (eg,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laptop, etc.). The network 150 should be able to access a network us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Wi-Fi and Bluetooth, and should provide a dedicated app (APP) for outputting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and driving efficiency according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의 수집과 그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주행효율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 수집 장치는 전기자동차에 전원이 인가되면 배터리 상태와 주행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다(S10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weighting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nd calculating a driving efficiency using the weigh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the collecting device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a battery state and driving (S101).

상기 배터리 상태와 주행에 관련된 정보는 주기적으로 입력받거나, 지정된 특정 조건이 되었을 때(또는 운행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도 자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터리 상태와 주행에 관련된 정보를 일정시간(예 : 1분) 간격으로 입력받거나, 혹은 포장도로에서 비포장도로에 진입하거나, 평평한 도로에서 소정의 기울기가 있는 도로에 진입하거나, 하나의 전기장치(예 : 라디오)를 사용하다가 다른 전기장치(예 : 에어컨)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주행에 관련된 정보가 변경될 경우에도 입력받을 수 있다.The battery state and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may be periodically input or automatically input when a specified specific condition is reached (or when the driving state is changed).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state and the traveling is inputted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minute), or the vehicle enters the unpaved road on the pavement road, enters the road with a predetermined slope on the flat road, (For example, a radio) and then use other electrical devices (such as an air conditioner) to change the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상기와 같이 배터리 상태와 주행에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그 정보들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각 정보에 대한 배터리 소모량과 그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산출한다(S102). 이때 상기 정보들은 각기 배터리 소모량이 다르며 그에 따른 가중치도 다를 뿐만 아니라, 운행 환경이 변함에 따라 각 정보들의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전기자동차가 80km/h의 일정한 속도로 평탄한 포장도로를 주행한다고 가정할 경우, 주행속도는 변경되지 않지만 연속 주행거리와 배터리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그 정보(예 : 연속 주행거리와 배터리 온도)에 대한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dition and the driving is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classifies the information into categories,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battery consumption and the we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ed information (S102). In this case, each of the information may have a different battery consumption and a different weight, and the weight associated with the battery consumption of each information may be changed as the driving environment changes. For example, suppose an electric vehicle is driving on a flat pavement at a constant speed of 80 km / h. The driving speed is not changed, but the information (eg, continuous mileage and battery temperature) is increased because the continuous mileage and the battery temperature rise.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may be changed.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각 정보의 종류별로 가중치 정보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기존의 가중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103).Accordingly, the controller calculates weigh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information and stores the weight information in a database or updates existing weight information (S103).

상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되면 그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정확한 주행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S104). 예컨대 현재 배터리 잔량이 전체 배터리 용량 대비 40% 정도가 남아 있다고 가정할 경우, 기존에는 가중치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배터리 잔량(예 : 40%)만 표시하였기 때문에 현재의 주행상태에서 얼마나 더 주행이 가능한지 알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중치 정보를 고려하여 주행효율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주행상태에서 현재의 배터리 잔량으로 얼마나 더 주행이 가능한지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즉, 현재의 주행상태에 따른 총 가중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총 가중치 정보를 이용해 현재의 배터리 잔량에 따른 주행효율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database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ccurate driv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urrent battery remaining amoun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amount (S104).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urrent battery level is about 40% of the total battery capacity, how much more driving is possible in the current driving state because the battery level (eg, 40%) is simply displayed without considering weight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efficienc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know how much more the vehicle can be driven with the current battery level in the current driving state. That is, the total weigh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running state is calculated, and the runn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urrent battery remaining amoun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total weight information.

상기와 같이 주행효율이 산출되면, 단순한 배터리 잔량이 아니라, 현재의 주행상태에서 배터리가 소모되는 속도를 고려하여, 그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 또는 주행 가능한 시간 등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배터리 잔량이 전체 용량 대비 50% 정도이고,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의 합이 50%라고 가정할 경우(즉,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의 합이 시간당 50%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으로는 1시간 정도를 더 주행할 수 있음을 출력하고, 만약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의 합이 100%(즉, 시간당 100%)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예 : 50%)으로는 30분 정도를 더 주행할 수 있음을 출력하는 것이다. When the driving efficiency is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and output a distance that can be driven or a time that can be traveled with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at which the battery is consumed in the current driving state, not just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urrent battery level is about 50% of the total capacity and the sum of the weights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is 50% (that is, assuming that the sum of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is 50% per hour) (For example, 50%), assuming that the sum of the weights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is 100% (that is, 100% per hour) It is possible to drive for about 30 minute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정확한 주행효율의 산출이 가능함으로써, 현재의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거리를 더 늘리기 위한 방법을 안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배터리 소모량의 가중치가 높은 전기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 그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안내하거나, 주행속도가 너무 높을 경우 경제속도 이하로 낮추어 주행하게 하거나, 차량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잠시 정차를 유도할 수도 있으며, 또는 운행해야 될 거리보다 배터리 잔량이 적을 경우에 운행 경로에 있는 배터리 충전소를 안내하여 충전을 요청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ccurate calculation of driving efficiency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thereby guiding a method for further increasing the driving distance with the current battery level. For example, if you are using an electric device with a high battery consumption weight, you may be advised not to use the electric device, or if it is too high, you may want to travel at a speed below the economy speed, Or if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to be operated,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n the driving route may be guided to request charg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들을 이용하여 산출된 도로구간별 주행효율을 바탕으로 배터리 소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주행경로 및 차량 운행방법을 안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specifically calculated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device capable of guiding a driving route and a vehicle driving method capable of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based on driving efficiency by road sec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들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210),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주행경로 탐색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각 주행경로의 도로구간별 가중치 정보를 검출하는 가중치 정보 검출부(220), 상기 검출된 도로구간별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된 각 주행경로의 주행효율을 산출하는 주행효율 산출부(230), 상기 산출된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선택하여 안내하고, 또한 그 주행경로에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주행효율(현재의 운행환경에서 실질적으로 운행 가능한 거리나 시간)이나 그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운행 방법(예 : 경제속도 유지, 운행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전기장치의 사용 중지, 배터리 충전소 경유 등)을 안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GPS 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경로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경로 탐색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the navigation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210 for storing a database consisting of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when searching for a driving rout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Weight information detection unit 220 for detecting the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of the driving route using a database, a driving efficiency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running efficiency of each searched driving route using the detected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230, selecting and guiding the driving route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and also calculating driving efficiency (distance or time that can be substantially operated in the current driving environment) or driv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in the driving route. Operational methods that may increase (e.g. maintaining economic speed, discontinuing the use of electrical equipment not directly related to oper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240 to guide the re-filling station via, etc.).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route searcher (not shown) for performing the driving route search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and a map database (not shown).

먼저,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들로 구성된 것으로서, 도로의 각 구간별 상태(예 :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비포장 도로, 교통 체증이 있는 도로 등)에 따른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주행경로가 탐색될 경우, 상기 주행경로의 각 구간별 도로의 가중치 정보를 합산함으로써, 그 합산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database is composed of weighted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nd is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each section of the road (eg, uphill road, downhill road, unpaved road, traffic jam road, etc.). Store weight information. Therefore, when the driving rout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s searched, the weighting information of the roads for each section of the driving route is summed to calculate the driving efficiency for the found driving route using the summed weight information. Will be.

상기 가중치 정보 검출부(220)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주행경로 탐색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각 주행경로의 도로구간별 가중치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주행경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 탐색될 수 있으며, 상기 가중치 정보 검출부(220)는 그 탐색된 주행경로별로 각 도로구간별 가중치 정보를 검출한다.The weight information detection unit 220 detects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of the driving route using the database when searching for a driving rout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n this case, at least one driving path may be searched for, and the weight information detecting unit 220 detects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for each searched driving path.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 환경이 다른 A 구간(예 : 평탄한 도로), B 구간(오르막 도로) 및 C 구간(내리막 도로)으로 구성된 주행경로가 탐색되고, 상기 각 도로구간을 소정의 기준속도(또는 평균속도)로 주행할 경우의 A 구간에서의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가 약 10%, B 구간에서의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가 약 15%, C 구간에서의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가 회생 제동력을 고려하여 약 5%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가중치 정보 검출부(220)는 상기 주행경로에 대한 각 구간별 도로의 가중치 정보를 검출하여 합산한다. 상기 각 도로구간별 가중치 정보를 합산한 결과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에서의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의 합은 약 30% 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driving route consisting of a section A (for example, a flat road), a section B (uphill road), and a section C (downhill road) having a different driving environment is searched, and each road section is determined. The weight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in section A is about 10%, the weight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in section B is about 15%, and the weight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in section C when driving at the reference speed (or average speed) Assuming that is about 5% in consider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force, the weight information detector 220 detects and sum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oads for each section of the driving route. As a result of summing the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gment, it can be seen that the sum of weights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in the found driving route is about 30%.

상기 주행효율 산출부(230)는 상기 검출된 도로구간별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을 산출한다. 예컨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된 주행경로를 주행할 경우(다른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는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의 가중치가 30% 라고 가정할 때, 그 가중치 정보(예 : 30%)를 고려하여 해당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배터리 소모량에 대한 주행거리)을 산출한다. 만약 더 많은 주행경로가 탐색되었을 경우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을 각기 산출한다. 상기 각 주행경로별로 산출된 주행효율은 저장부(210)의 임의의 영역에 저장한다.The driving efficiency calculator 230 calculates driving efficiency for the searched driving route using the detected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weight of the driving route (when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other battery consumption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s shown in FIG. 5 is 30%, the weight information (for example, 30%)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he driving efficiency (mileage based on battery consumption) for the corresponding driving route is calculated. If more driving routes are found, the driving efficiency for each driving route is calculated separately. The driving efficiency calculated for each driving route is stored in an arbitrary area of the storage unit 210.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각 주행경로별로 산출된 주행효율을 비교하고, 그 중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선택한다. 즉, 운행 환경을 고려하여 가장 적은 배터리 소모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최적 주행경로를 선택한다. 상기 주행효율은 통상적으로 주행거리에 비례하지만 반드시 정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주행거리가 짧아도 배터리 소모가 많은 운행 환경(예 : 오르막 도로, 비포장 도로, 교통체증이 상대적으로 심한 도로 등)을 통해서 주행할 경우에는 오히려 주행거리가 긴 경로를 통해서 주행하는 경우보다 더 주행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행 환경을 고려하여 산출된 주행효율을 이용하여 배터리 소모가 가장 적은 최적의 주행경로를 선택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ler 240 compares the driving efficiency calculated for each driving route, and selects the driving route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That is, the optimum driving route that can run with the least battery consumption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environment. The running efficiency is typically proportional to the travel distance but not necessarily directly proportional. For example, driving in a battery-intensive driving environment (e.g., an uphill road, an unpaved road, a road with relatively heavy traffic, etc.) even when the driving distance is short may be more efficient than driving through a long driving distance. This can fal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riving efficiency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environment to select and guide the optimal driving route with the lowest battery consumption.

그런데 현재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주행효율을 이용하여 예측된 주행가능거리)가 상기 선택된 최적 주행경로의 실제 주행거리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40)는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 운행 방법(즉, 배터리의 소모를 줄여 현재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However, the distance that can be traveled with the current battery level (travelable distance estimated using the driving efficiency) may not reach the actual driving distance of the selected optimal driving path.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40 may guide a vehicle driving method (that is, a method of extending the distance that can be driven by the current battery level b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that can increase driving efficiency.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40)는 현재 배터리를 소모시키고 있는 요소들(예 : 전기 장치, 주행 속도, 주행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를 소모시키는 요소들은 가중치가 큰 것부터 작은 순서(즉, 배터리 소모량이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서)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에어컨, CD 플레이어, 또는 인터리어 조명과 같은 전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 배터리 소모량이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서대로 그 항목과 가중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를 소모시키고 있는 요소들을 제거할 경우에 증가시킬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를 추가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소 위치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240 may output elements (for example, an electric device, a traveling speed, a traveling time, etc.) that are currently consuming a battery to the display means. At this time, the elements that consume the battery are preferably output in the order from the largest weight to the smallest (that is, from the largest to the smallest battery consumption). For example, assuming that an electric device such as an air conditioner, a CD player, or an interior lighting is used, the items and weigh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order from the largest to the lowest battery consump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display the driving distance that can be increased when removing the elements that are consuming the battery, and can also additionally display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position to charge the battery.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출력된 배터리를 소모시키고 있는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요소들을 제거할 경우, 즉 전기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주행속도를 경제속도 이하로 낮추거나, 연속 주행을 멈추고 엔진의 온도(또는 배터리의 온도)를 낮추거나, 또는 탑재 중량을 줄여 배터리를 소모시키고 있는 요소들을 제거할 경우, 그 요소들에 해당하는 가중치만큼 배터리가 소모되는 속도를 줄임으로써 주행가능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removes the corresponding elements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elements consuming the output battery, that is,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evice, lowers the driving speed below the economic speed, or executes continuous driving. When stopping and lowering the engine's temperature (or battery's temperature), or by reducing the payload, to remove the elements that are consuming the battery, you can reduce the mileage by reducing the rate at which the battery consumes by that weight. It can be exten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들을 이용하여 산출된 도로구간별 주행효율을 바탕으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주행경로 및 차량 운행방법을 찾아 안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avigation method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specifically, by road section calculated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This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navigation method that can find and guide a driving route and a vehicle driving method that can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based on driving efficiency.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내비게이션 방법은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주행경로의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S201), 가능한 모든 주행경로를 탐색한다(S202).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navigation command of the driving rout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s input (S201), the navigation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ll possible driving routes (S202).

그리고 미리 설정된 주행경로 표시옵션에 해당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행경로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한다. At least one driving rout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driving route display op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예컨대, 상기 주행경로에는 최단거리 주행경로 및 최단시간 주행경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유료/무료 도로 선택 여부에 따라서, 고속도로, 고속화도로, 국도, 지방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경유하는 주행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로 본 발명에서는 도로의 운행 환경(예 :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비포장 도로, 포장 도로 등)를 고려하여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즉, 배터리 소모율이 가장 적은) 배터리소모 최소 주행경로를 더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route may include a shortest driving route and a shortest driving route, and may display a driving route selectively including or passing through a highway, a high speed road, a national road, and a local road depending on whether a toll / free road is selected. hav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a road driving environment (eg, an uphill road, a downhill road, a dirt road, a pavement, etc.), the driving path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that is, the battery consumption rate is the least) is determined. Can display more.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탐색된 각 주행경로들에 대한 주행효율을 산출한다(S203). 예컨대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각 주행경로의 도로 구간별 각 가중치 정보를 검출하여 합산하고, 그 합산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을 산출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driving efficiency for each of the searched driving paths (S203). For example, by using a database composed of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each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of the driving path is detected and summed, and the running efficiency for each corresponding driving path is calculated using the weighted information. do.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이 산출되면, 그 중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배터리소모 최소 주행경로로 선택하여 표시한다(S204).When the driving efficiency for each driving route is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route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is selected and displayed as the battery driving minimum driving route (S204).

그런데 만약 현재의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상기 배터리소모 최소 주행경로의 실제 주행거리보다 짧은 경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즉, 주행가능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 또는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검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distance that can be driven with the current battery level is shorter than the actual driving distance of the minimum battery consumption path, a method of increasing driving efficiency (that is, a method of extending the driving distance or a battery consumption amount) may be used. Can be detected and output.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배터리가 소모되고 있는 요소들(또는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들)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그 배터리 소모 요소들을 제거할 경우 증가될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를 안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배터리 소모 가중치가 25% 인 에어컨의 작동을 중지시킬 경우, 동일한 배터리 잔량(예 : 30%)에서 주행가능거리가 5Km 증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주행속도를 경제속도(80Km) 이하로 낮추거나, CD 플레이어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인테리어 조명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경우에 해당하는 가중치만큼 배터리가 소모되는 속도를 줄여 주행가능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 a list of elements (or elements that may increase driving efficiency)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for a battery may be output, and may be increased when the user removes the battery consumption elements. Can guide the range. For example, when the user stops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battery consumption weight of 25%, the driving distance may increase by 5 km at the same battery level (eg, 30%). In addition, you can extend the range by reducing the speed at which the battery is consumed by a weight equivalent to lowering the driving speed below economic speed (80 km), turning off the CD player, or turning off the interior lighting. Can be.

만약 상기와 같은 주행가능거리의 연장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잔량이 부족할 경우, 주행가능거리 이내에 위치한 배터리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또는 그 배터리 충전소를 경유하는 배터리소모 최소 주행경로를 재탐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If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insufficient despite the extension of the driving distance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located within the driving distance can be guided, or the minimum driving path of the battery consumption passing through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s displayed again. can do.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 : 배터리 관리부 120 : 제1 인터페이스부
130 : 센서부 140 : 제2 인터페이스부
150 : 제어부 160 : 저장부
210 : 저장부 220 : 가중치정보 검출부
230 : 주행효율 산출부 240 : 제어부
110: battery management unit 120: first interface unit
130: sensor unit 140: second interface unit
150: control unit 160:
210: storage unit 220: weight information detection unit
230: driving efficiency calculation unit 240: control unit

Claims (14)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주행경로를 탐색하는 주행경로 탐색수단;
상기 탐색된 각 주행경로들에 대하여 운행환경에 따른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효율을 산출하는 주행효율 산출수단; 및
상기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이 산출되면, 그 중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Driving route search means for searching a driving rout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Driving efficiency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driving efficiency for each of the searched driving paths using at least on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And
And a control means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a driving route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among the driving routes when the driving efficiency is calculated for each driving rou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선택된 주행경로의 실제 주행거리와 현재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주행가능거리를 비교하고, 그 주행가능거리가 실제 주행거리보다 짧은 경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Compare the actual driving distance of the selected driving route with the available driving distance at the current battery level, and if the driving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actual driving distance, detecting and outputting a method for increasing driving efficiency. Navigation device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주행속도 감속, 전기장치의 사용 중지, 연속 주행시간의 단축, 배터리 충전, 탑재 중량의 축소, 온도 낮춤, 또는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means,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running efficienc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riving speed reduction, stopping of the electric device, shortening of continuous running time, charging of a battery, reduction of onboard weight, lowering of tempera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할 경우, 각 방법에 해당하는 가중치 정보, 또는 각 방법을 수행할 경우에 증가시킬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를 추가로 포함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means,
In the case of guiding a method for increasing the driving efficiency, the electric vehicle further includes guiding a weigh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method or a driving distance that can be increased when performing each method. Navigation device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키더라도 주행가능거리가 실제 주행거리보다 짧은 경우, 주행가능거리 이내에 위치한 배터리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하거나, 그 배터리 충전소를 경유하면서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재탐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means,
If the driving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actual driving distance even though the driving efficiency is increased,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located within the driving distance can be guided, or the driving path having the highest driving efficiency can be re-searched and displayed while passing through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효율 산출수단은,
상기 탐색된 각 주행경로의 도로구간별 각 가중치 정보를 검출하여 합산하고, 그 합산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을 각기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nning efficiency calculation means,
Detecting and summing the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of each of the searched driving paths, and calculating the driving efficiency for each corresponding driving path by using the summed weight information, respectively. Navigation device using the associated weight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는,
운행환경을 고려하여 가장 적은 배터리 소모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주행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The driving route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route having the best running efficiency is provided.
A navigation device using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path that can be driven with the least battery consump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environment.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주행경로를 탐색하는 제1 단계;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들에 대한 주행효율을 각기 산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이 산출되면, 그 중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단계는 운행환경에 따른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효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A first step of searching for a driving rout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Calculating a driving efficiency for each of the searched driving paths; And
When the driving efficiency for each of the driving route is calculated, a third step of selecting and displaying the driving route having the best driving efficiency of the;
The second step is a navigation method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driving efficiency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선택된 주행경로의 실제 주행거리와 현재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를 비교하고, 주행가능거리가 실제 주행거리보다 짧은 경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hird step,
A fifth step of comparing the actual driving distance of the selected driving path with the distance that can be driven by the current battery level, and detecting and outputting a method of increasing driving efficiency when the driving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actual driving distance; Navigation method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주행속도 감속, 전기장치의 사용 중지, 연속 주행시간의 단축, 배터리 충전, 탑재 중량의 축소, 온도 낮춤, 또는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running efficienc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riving speed reduction, stopping of the electric device, shortening of continuous running time, charging of a battery, reduction of onboard weight, lowering of tempera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Navigation method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출력할 경우, 각 방법에 해당하는 가중치 정보, 또는 각 방법을 수행할 경우에 증가시킬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를 추가로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hird step,
When outputting the method for increasing the driving efficiency, th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including the we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method, or the additional distance that can be increased when performing each method further outputs Navigation method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주행효율을 증가시키더라도 주행가능거리가 주행경로의 실제 주행거리보다 짧은 경우, 주행가능거리 이내에 위치한 배터리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하거나, 그 배터리 충전소를 경유하면서 주행효율이 가장 좋은 주행경로를 재탐색하여 표시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9,
If the driving range is shorter than the actual driving distance of the driving route even if the driving efficiency is increased, the location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located within the driving range is guided, or the driving route having the highest driving efficiency is re-searched through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a sixth step of displaying, by using the weigh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탐색된 각 주행경로의 도로구간별 각 가중치 정보를 검출하여 합산하고, 그 합산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각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효율을 각기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step,
Detecting and summing the weight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of each of the searched driving paths, and calculating the driving efficiency for each corresponding driving path by using the summed weight information, respectively. Navigation method using related weight inform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최단거리 주행경로, 최단시간 주행경로, 도로의 운행환경을 고려한 배터리소모 최소 주행경로 및 그들을 조합한 주행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그 주행경로는 고속도로, 고속화도로, 국도, 지방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경유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hird step,
Display at least one of the shortest driving route, the shortest driving route, the minimum battery consumption route consider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road, and the driving route combining them, and the driving route selectively selects the highway, highway, national road, and local road. Navigation method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or via the display.
KR1020120108825A 2012-09-28 2012-09-28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400422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25A KR20140042281A (en) 2012-09-28 2012-09-28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25A KR20140042281A (en) 2012-09-28 2012-09-28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81A true KR20140042281A (en) 2014-04-07

Family

ID=5065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825A KR20140042281A (en) 2012-09-28 2012-09-28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2281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6453B2 (en) 2016-06-23 2018-12-18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of electric vehicle
KR20190138294A (en) * 2018-06-04 2019-12-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Cloud-Based Drone Navigation for Efficient Battery Charging in Drone Networks
WO2020070051A1 (en) * 2018-10-02 2020-04-09 Pirelli Tyre S.P.A.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a residual range of a vehicle
KR20220086132A (en)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이에스피 Vehicle operating system with vehicle display applied to EV
KR20220097007A (en)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ing range of electric kickboard
CN117128966A (en) * 2023-08-02 2023-11-28 山东科技大学 Vehicle charging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multi-factor coupl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6453B2 (en) 2016-06-23 2018-12-18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of electric vehicle
KR20190138294A (en) * 2018-06-04 2019-12-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Cloud-Based Drone Navigation for Efficient Battery Charging in Drone Networks
WO2020070051A1 (en) * 2018-10-02 2020-04-09 Pirelli Tyre S.P.A.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a residual range of a vehicle
KR20220086132A (en)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이에스피 Vehicle operating system with vehicle display applied to EV
KR20220097007A (en)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ing range of electric kickboard
CN117128966A (en) * 2023-08-02 2023-11-28 山东科技大学 Vehicle charging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multi-factor coupling
CN117128966B (en) * 2023-08-02 2024-04-02 山东科技大学 Vehicle charging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multi-factor coup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3694B (en) Range extender control
JP5359391B2 (en) Navigation device and destination reachability determination method
US9644979B2 (en) Travel support device, travel support method, and drive support system
KR101450619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driving efficiencies by collecting and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US9902392B2 (en) Mo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riving support system
JP5454537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US8874358B2 (en) Route guidance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140042281A (en) A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auto-mobile and the method thereof
US9857183B2 (en) Travel support device, travel support method, and drive support system
EP3060445B1 (en) Movement support apparatus and movement support method
CN103575285A (en) Route planning device
KR101417401B1 (en) Apparatus for guiding drive-able distance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104136888A (en) Fuel consumption calculations and warnings
CN109109784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residue driving information are provided according to user behavior
US20150241228A1 (en) Travel support device, travel support method, and drive support system
JP2011033447A (en) Navig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for
CN104512272A (en) Efficiency gauge for plug-in electric vehicle
WO2014120849A2 (en) System and method for inhibiting a driver of an electric vehicle from being stranded
WO2021059950A1 (en) In-vehicle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program, and calculation device
KR101574137B1 (en)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specific navigation adopting battery consumption weight algorithm according to the slope change of road and the method thereof
JP5387853B2 (en) Travelable distance calculation device and vehicle using the same
JP5387854B2 (en) Travelable distance calculation device and vehicle using the same
JP59196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lectric vehicle
CN116853001A (en) Vehicle endurance mileag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3178661A (en)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