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156A - 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156A
KR20140031156A KR1020130163998A KR20130163998A KR20140031156A KR 20140031156 A KR20140031156 A KR 20140031156A KR 1020130163998 A KR1020130163998 A KR 1020130163998A KR 20130163998 A KR20130163998 A KR 20130163998A KR 20140031156 A KR20140031156 A KR 20140031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content
terminal
receiver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중혁
Original Assignee
안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혁 filed Critical 안중혁
Priority to KR102013016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1156A/en
Publication of KR2014003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1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location-based content transmitting system and a providing method for the same. The location-based content transmitting system includes a control module receiving a transmission request including a receiver information of which predetermined content is transmitted from a sender terminal; a location confirming module to confirm the location of one or more receiv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module performing a transmission process to transmi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to one or more receiver terminals when the location of at least one of the receiver terminals is confirmed as a content obtained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The content obtained loca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ender terminal. [Reference numerals] (110) Control module; (120) Location confirming module; (130) Transmission module; (200) Caller terminal; (300) Receiver terminal; (400) External system; (500) Content system

Description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의 전송이 수신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in which the transmission of content can be mad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소정의 컨텐츠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간편하게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들은 SMS, MMS와 같은 휴대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및/또는 다양한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anger)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지인들과 다양한 컨텐츠 또는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한 기술들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쿠폰, 사진, 동영상, 웹 페이지 등뿐만 아니라, SMS, MMS,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텍스트 등을 통틀어 컨텐츠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Various services are provided to easily communicate by transmitting predetermined content or messages. For example, technologies for content transmission services that allow users to exchange various contents or messages with their acquaintances through mobile phone text messaging services such as SMS and MMS and / or various instant messanger programs are well known. have.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not only various coupons, photos, videos, web pages, etc. but also texts through SMS, MMS, or instant messenger will be defined as contents.

종래의 컨텐츠 전송 서비스는 발신자가 전송한 컨텐츠(예컨대, 문자 메시지)가 수신자에게 즉시성 있게 전송됨으로 인한 편리함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컨텐츠 전송 서비스에 의하면 사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은 전송된 컨텐츠 자체에 의해서만 의미를 가져왔으며, 전송 프로토콜 또는 전송 스킴(scheme)은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유의미한 가치도 가지지 못하였다. 즉, 종래에는 전송된 컨텐츠의 종류나 내용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왔으나, 전송 스킴에 의해서는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 그 어떠한 의미도 없었다. 따라서, 전송 스킴을 통해 서로에게 교감을 느끼거나 하는 등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Conventional content delivery service has been convenient because the content (eg, text message) sent by the sender is immediately sent to the receiver.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tent delivery service, communication of users has meaning only by the transmitted content itself, and the transmission protocol or transmission scheme has no significant value for communication. That is, in the past, communication has been entirely dependent on the type or content of the transmitted content, but the transmission scheme has no meaning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Therefore, effects such as sympathy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ransmission scheme could not be expected.

한편,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휴대폰에 포함된 GPS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점 주변의 음식점이나 기타 편의시설 등을 알려줄 수 있는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다.Meanwhile, various services are provid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a service for identifying a user's current location by using a GPS, etc. included in the user's mobile phone, and informing a restaurant or other convenient facility around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provid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 전송 서비스들을 이용한 마케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SMS, MMS 등을 통해 특정 매장에서 할인받을 수 있거나 특정 메뉴를 서비스받을 수 있는 전자쿠폰 또는 기프티콘 등(이하, 통합하여 디지털 쿠폰이라 함)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을 상기 특정 매장으로 유도할 수 있다.Meanwhile, marketing using various content delivery services as described above is being actively performed. For example, an electronic coupon or a gift ic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gital coupon), which can be discounted at a specific store through SMS, MMS, or a specific menu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s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specific store. Can be derived from.

그러나, 상기 디지털 쿠폰을 제공받은 모든 사용자들이 바로 해당 매장으로 이동하여 제공받은 디지털 쿠폰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예컨대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에 디지털 쿠폰이 저장된 사실을 잊고 유효기간이 지나버릴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방문하거나 이용하기를 원하지 않는 매장과 관련된 쿠폰 등이 무작위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공받은 디지털 쿠폰이 일반적인 스팸 메시지와 다를 바가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However, not all users who have been provided with the digital coupon go directly to the corresponding store and use the provided digital coupon. For example, the user may forget the fact that the digital coupon is stored in his mobile phone and the expiration date may pass. Alternatively, when a coupon or the like related to a store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visit or use is randomly provided to the users, the provided digital coupon may be different from the general spam message.

결국, 매장의 입장에서는 모두 사용된다는 보장이 없는 디지털 쿠폰의 컨텐츠를 대량으로 전송하는데 불필요한 자원이 낭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뿐 아니라 별다른 관심없는 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쿠폰이 제공되는데 대한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resources can be wasted in large quantities of content transmission of digital coupons that are not guaranteed to be used in the store, and users are not only required services but also digital coupons for services that are not of interest. There may be inconvenience in being provided.

따라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당 매장을 찾은 사용자들에게만 디지털 쿠폰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받은 디지털 쿠폰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Therefore, a technical idea of providing a digital coupon only to users who find a corresponding store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service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use the provided digital coupon is required.

또한, 컨텐츠의 전송 스킴 자체를 수신자의 위치에 기반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추억이 담긴 장소 등 해당 장소에서 발신자가 원하는 위치에서만 수신자에게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서로 간의 추억을 상기하거나 교감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In addi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scheme itself i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so that the sender can check the content only at the desired location of the caller in the corresponding place, such as a place containing the user's memories, so that the users can remind each other's memories or increase the rapport. Technical ideas are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발신자가 수신자가 컨텐츠를 획득할 위치 즉, 컨텐츠 획득위치를 특정하면, 수신자의 위치가 특정된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컨텐츠가 수신자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위치기반의 컨텐츠 전송스킴을 통해 발신자와 수신자들 간의 컨텐츠 전송 스킴 자체에 유의미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부여할 수 있는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f the caller specifies the location from which the receiver will acquire the content, i.e.,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he content is delivered to the recipient only if the location of the recipient corresponds to the specified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By providing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cheme to provide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that can give a meaningful communication tool to the content delivery scheme itself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또한, 고객(즉, 수신자)이 특정 매장에 실제로 방문하는 경우에만 디지털 쿠폰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기 원하는 고객이 상기 특정 매장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digital coupon can be provided only when a customer (ie, a receiver) actually visits a specific store, thereby providing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that allows a customer who wants to receive the content to flow into the specific store. It i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컨텐츠가 전송될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요청을 수신하는 제어모듈,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전송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 획득위치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a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request containing the receiv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from the sender terminal, the predetermined content, the location of at least one receiv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information; A positioning module for checking, and a transmission process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to the at least one receiver terminal when the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receiver terminal is identified as a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And a transmission module for performing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wherein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all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발신자가 수신자가 컨텐츠를 획득할 위치 즉, 컨텐츠 획득위치를 특정하고 수신자의 위치가 특정된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컨텐츠가 수신자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위치기반의 컨텐츠 전송스킴을 통해 발신자와 수신자들 간의 컨텐츠 전송 스킴 자체에 유의미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s received only if the sender specifies a location from which the recipient will acquire the content, i.e.,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recipient corresponds to the specified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give a meaningful communication tool to the content delivery scheme itself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through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cheme.

또한, 고객(즉, 수신자)이 특정 매장에 실제로 방문하는 경우에만 디지털 쿠폰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기 원하는 고객이 상기 특정 매장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coupon can be provided only when the customer (ie, the receiver) actually visits the specific store, so that the customer who wants to receive the contents can be introduced into the specific store.

또한, 인근에 복수의 매장들이 위치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수신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획득위치를 매장단위로 특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매장별 마케팅이 가능하거나, 특정 매장 내에서만 발신자가 전송하기를 원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컨텐츠 전송스킴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a plurality of stores are located nearb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hereby having an effect of specifying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in units of stores. In addition, through this, various store-specific marketing is possible, or a content delivery scheme in which a content that a sender wants to transmit only in a specific store can be delivered to a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을 위한 UI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에 의한 알림정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컨텐츠 획득위치가 특정 매장인 경우인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I for content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by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cific store.
5 shows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transmit the data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And may transmit the data to the other component.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Conversely, when one element 'directly transmits' data to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lement without passing through another element in the ele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위치확인모듈(120), 및 전송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110, a location module 120, and a transmission module 130.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컨텐츠 전송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required for a content delivery ser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할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후술할 바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수신자 단말기(300)가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receives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from the caller terminal 200, and when the received content satisfies a con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location where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If present i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 및/또는 소정의 컨텐츠 시스템(500)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컨텐츠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직접 또는 상기 컨텐츠 시스템(500)이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and / or a predetermined content system 500,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from the caller terminal 200 When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ent system 500 may directly transmi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수신자 단말기(300)로부터 직접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소정의 외부 시스템(400)으로부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이 직접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에는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위치판단수단(예컨대, GPS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이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에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즉,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라디오 핑거 프린트(radio fingerprint)를 이용해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파악된 위치는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Meanwhile, in order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should be able to check whether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o this end,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directly from the receiver terminal 300, or from a predetermined external system 400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It may als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In some implementations,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may direct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For example,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rmination means (for example, GPS, etc.) that can determine its own position, the position determined by the position determination means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may receive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end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and the installed application, that is, the application system may include a radio finger. You can also use radio fingerprints to pinpoint your location. The identified lo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400)으로부터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외부 시스템(400)은 이동통신사 시스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소정의 LBS(Location Based Service) 시스템이 상기 외부 시스템(400)일 수도 있다. 상기 LBS 시스템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로 구성되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센싱되면,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이 이동통신사 시스템 등과 같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from the external system 400 that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received, and the external system 4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Alternatively, a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service (LBS) system capable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the external system 400. The LBS system is composed of, for example, at least one sensor, when the send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sensed, based on the sensed signal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It may be a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Alternatively,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may be a system that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는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PC 등)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컴퓨터 등과 같이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include any type of data processing device that can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end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The application may be organically combined with hardware of the send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to implement an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양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Herein, a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carrying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mean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hardware resource for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a kind of hardware. Can be easily inferred by the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하나의 물리적 장치처럼 도시하였지만,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복수의 반드시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필요는 없다.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is illustrated as one physical device in FIG. 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physical devices. .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may be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physical devices are organically combined directly or through a network.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예컨대, 위치확인모듈(120) 및/또는 전송모듈(130) 등)의 리소스 및/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10 may control resources and / or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eg, the positioning module 120 and / or the transmission module 130, etc.)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송요청에는 적어도 상기 수신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요청은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컨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송요청은 상기 컨텐츠를 수신자가 획득할 컨텐츠 획득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10 may receive a transmission request including receiver information to receive a predetermined content from the caller terminal 200. The transmission request may include at least the receiv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request may include the content or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ntent.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reques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a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for the receiver to obtain the content.

상기 수신자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300)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휴대폰인 경우, 이에 상응하는 휴대폰 번호가 상기 수신자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신자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전송될 수신자 단말기(300)를 특정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The receiver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on the receiver terminal 300 to receive the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a mobile phone, the corresponding mobile phone number may be the receiver information. That is, the receiver information may mean predetermined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receiver terminal 300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상기 컨텐츠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를 통해 작성된 컨텐츠(예컨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SMS, MMS 등) 또는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이나 소정의 컨텐츠 시스템(500)에 미리 저장된 컨텐츠(예컨대, 전자쿠폰 또는 기프티콘 등의 디지털 쿠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content is previously created in the content (for example, SMS, MMS, etc. including text and / or images) created through the caller terminal 200 or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or the predetermined content system 500. It may be at least one of stored content (eg, digital coupon such as an electronic coupon or gifticon).

상기 컨텐츠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되기 위해, 상기 전송요청에는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이나 소정의 컨텐츠 시스템(500)에 미리 저장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컨텐츠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를 통해 작성된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 의해 작성된 정보 및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 또는 상기 컨텐츠 시스템(500)에 저장된 소정의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컨텐츠 식별정보를 같이 포함할 수도 있다.In order to transmit the content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the transmission request includes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content previously stored i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or a predetermined content system 500, and / Alternatively, content created through the caller terminal 200 may be included. Alternatively, the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created by the caller terminal 200 an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predetermined content stored i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or the content system 500. .

예를 들어, 상기 전송요청에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이나 소정의 컨텐츠 시스템(5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들 중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전송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request, the control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content among the contents previously stored i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or the predetermined content system 500. The transmission module 130 may be controlled so that content corresponding to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또한, 상기 전송요청에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를 통해 작성된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송요청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도록 상기 전송모듈(13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전송모듈(130)이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transmission request includes the content created through the sender terminal 200, the control module 100 is the transmission module (100) so that the content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130 may be controlled. A process for the transmission module 130 to transmit the content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전송요청에는 컨텐츠 획득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수신자가 상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지정된 특정 위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reques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mean a location where a receiver can receive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a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or a specific location designated from the caller terminal 200.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신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예컨대, 발신자가 위치한 특정 매장, 특정 공간, 또는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의 위치)에 수신자 단말기(300)가 위치해야만 상기 컨텐츠가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도록 원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발신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와는 다른 소정의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지정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예컨대, 발신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하는 특정 매장, 특정 공간, 또는 상기 지정한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의 위치)에 수신자 단말기(300)가 위치해야만, 상기 컨텐츠가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도록 원하는 경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a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caller must locate the receiver terminal 300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his current location (eg, a specific store where a caller is located, a specific space, or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current location). This may be the case if it is desired to be transmitted to 300. Alternatively, the caller may designate a predetermined location different from his current location. In this case, the receiver terminal 300 must be locat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location (for example, a specific stor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specified by the caller, a specific space, or a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designated location), so that the content cannot be displayed. This may be the case when it is desired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 의해 판단될 수 있으며, 판단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는 GPS 모듈과 같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라디오 핑거 프린트를 이용해 실내에서도 매장별로, 또는 매장내에서도 어떠한 위치에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가 위치하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물론, 수신자 단말기(300)에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실내 또는 실외에 구분없이 정확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위치별로 해당 위치에서 수신되는 다양한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의 특성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즉, 위치별 RF 신호의 핑거 프린트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위치별 RF 신호의 핑거 프린트는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치를 판단하고자 할 때는 현재의 RF 신호와 동일 또는 유사한 RF 핑거 프린트를 탐색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특별한 장치의 설치 없이 정확하게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GPS 등에 비해 위치의 오차도 훨씬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후술할 바와 같이 특정 건물이나 특정 공간에서 인접한 매장들이 복수 개 위치하는 경우에도,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어떤 매장에 위치하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컨텐츠 전송서비스가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바운더리(boundary)내에 존재하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에 기반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세밀한 위치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발신자는 특정 매장을 컨텐츠 획득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면, GPS 등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내로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해당하는 범위 내에는 상기 특정 매장이 아닌 다른 매장인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즉, GPS 등과 같은 방식으로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특정 공간(또는 매장)의 구분이 불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라디오 핑거 프린트에 기초한 위치판단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설령 소정의 제1위치와 제2위치가 인근에 위치하더라도, 서로 다른 매장 또는 공간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컨텐츠 전송 서비스는 공간별(또는 매장별)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라디오 핑거 프린트에 기반한 위치판단 방식은 한국득록특허(10-1089995, "핑거 프린트 방식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도 개시된 바 있으며, 이와 관련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may be determined by the caller terminal 200, and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call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determining a location, such as a GPS module. Alternativel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aller terminal 200 may check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The application may accurately know where the caller terminal 200 is located at a store or indoors in a store or at a store using a radio fingerprint. Of course, the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receiver terminal 300, and the application may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in the same manner regardless of indoor or outdoor. To this end, the application may receive various RF signals receiv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for each location, and st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ed RF signal in advance. That is, the fingerprint of the position-specific RF signal can be stored in advanc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the fingerprint of the location-specific RF signal may be stored i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tion, the location of the send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determined by searching for an RF fingerprint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urrent RF signal.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send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without installing a special device in the indoor as well as the outdoor, and the error of the position is much reduced compared to the GPS. Theref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even when a plurality of adjacent stores are located in a specific building or a specific space, there is an effect of accurately identifying which store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locat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ent delivery service can be performed based on a more detailed location rather tha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boundary based on a specific location. For example, the caller may designate a specific store as a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hen, when using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se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designated location. However, in this case, there may be a case other than the specific store with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hat is, in the case of determining the location in a manner such as GPS, it may not be possible to distinguish a specific space (or store). However,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location determination based on the radio fingerprint, even if the predetermined first loc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are located near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different stores or spac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by space (or store). The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the radio finger print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Deukrok Patent (10-1089995, "Finger print method position tracking system and its method"), and active researches on this are being conduct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공간별(또는 매장별)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에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서비스가 하고 활용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간별(또는 매장별)로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의 일 예로 라디오 핑거 프린트에 기반한 위치판단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는 것일 뿐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라디오 핑거 프린트에 기반한 위치판단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라디오 핑거 프린트에 기반한 위치 판단 방식 외에도, 매장 또는 공간별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설치하고,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상응하는 시스템으로부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공간별(또는 매장별)로 구분되게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diversified and positively used by the content deliver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ation can be identified by space (or store).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a method of identifying a location by space (or store), only a method of determining a location based on a radio fingerprint can be use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pecific method to clarif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the radio fingerprint, at least one sensor is installed for each store or space, and the posi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determined from a system corresponding to the installed at least one sensor. By grasping, the loca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space (or store).

또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400)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400)은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이동통신사 시스템 등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이 직접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인 경우, 이동통신사 시스템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판단하여 판단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10)로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로 결정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predetermined external system 400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receiver terminal 300. The external system 4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capable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may direct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end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is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to determin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determined by the control module.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또한,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아닌 네트워크와 연결된 컴퓨터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외부 시스템(400, 예컨대 IPS 시스템 등)은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된 컴퓨터에 할당된 IP 주소 등과 같은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ISP 시스템은 네트워크 식별자별로 미리 소정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ller terminal 200 is implemented as a computer connected to a network other tha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he external system 400 (eg, an IPS system, etc.) may be assigned an IP address assigned to a computer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may be determined using a network identifier. In this case, the ISP system may stor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network identifier in advance.

이처럼 상기 외부 시스템(400)에서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즉,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하여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method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predetermined user terminal (ie, the send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in the external system 400 are well known. Omit it.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가 소정의 추가행위를 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가 특정될 수 있다. 즉, 발신자는 발신자 단말기(200)를 통해 소정의 추가행위를 수행할 수 있고, 그러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현재의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판단하여 판단되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컨텐츠 획득위치로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UI를 통해 컨텐츠 전송요청을 수행하면,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가 전송요청에 포함되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aller terminal 200 performs a predetermined additional action,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may be specified. That is, the caller may perform a predetermined additional action through the caller terminal 200, and then the applic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caller terminal 200 determin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and determines the caller terminal ( The location of 200 may be specified as a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Whe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s per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UI,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request and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상기 추가행위는 예컨대, 발신자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를 수차례 가볍게 흔드는 행위 또는 현재 위치확인을 위한 소정의 UI를 선택하는 행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는 발신자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추가행위를 수행하는 시점의 위치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action may mean, for example, the caller shaking the caller terminal 200 several times or selecting a predetermined UI for the current locati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may be a position of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caller performs the additional action through the caller terminal 200, and obtains the conten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The location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발신자가 자신의 휴대폰을 이용해 컨텐츠를 작성하기 전(또는 컨텐츠를 작성한 후), 또는 현재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UI를 선택한 후 상기 휴대폰을 흔들거나 별도의 위치확인 UI를 선택하는 등의 추가행위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추가행위가 수행된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발신자는 상기 컨텐츠가 전송될 수신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고 전송요청을 함으로써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before a caller writes content using his or her mobile phone (or after writing the content) or selects a predetermined UI for checking the current location, the caller shakes the mobile phone or selects a separate positioning UI. When additional actions such as are performed, a position at which the additional action is performed may be determined as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Then, the caller inputs the mobile number of the receiver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and makes a request for transmission, so that the content is provided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when the receiver terminal 300 enter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Can be.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서 소정의 방식으로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지도정보에서 발신자가 선택한 특정 지역 또는 특정 공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가 발신자로부터 특정 지역명, 특정 매장의 상호, 또는 특정 주소 등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로 결정될 수도 있다. In some implementations,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mean information on a specific location designated by the caller terminal 200 in a predetermined manner. For example,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space selected by the caller from predetermined map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aller terminal 200. Alternatively, the call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specific region name, a name of a specific store, or a specific address from the caller, and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상기 위치확인모듈(120)은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module 120 may check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information.

즉, 상기 제어모듈(110)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전송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위치확인모듈(120)은 상기 전송요청에 포함된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자 단말기(300)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3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trol module 110 receives the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caller terminal 200, the positioning module 120 specifies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location of the specified receiver terminal 300 can be confirmed. The receiv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receiver terminal 300.

예를 들어,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위치확인모듈(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는 GPS 모듈 등과 같은 위치판단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라디오 핑거 프린트에 기초한 위치판단이 수행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terminal 300 to the positioning module 120. In this case,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rmining means such as a GPS module.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received from an applic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receiver terminal 300, and at this time, location determination based on a radio fingerprint may be performed.

또는, 상기 위치확인모듈(120)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400)으로부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치확인모듈(120)이 직접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positioning module 120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from a predetermined external system 400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In addition, the positioning module 120 may direct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이와 같이 상기 위치확인모듈(120)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As such, the positioning module 120 may check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and check whether the identified posi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지역구(강남구, 또는 신사동 등)나 특정 장소(예컨대, 강남역, 학동공원 등), 및/또는 특정 공간(예컨대, 특정 매장 또는 특정 건물 등)이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a specific district (Gangnam-gu, Sinsa-dong, etc.), a specific place (eg, Gangnam Station, Hakdong Park, etc.), and / or a specific space (eg, a specific store or a specific building, etc.). .

상기 위치확인모듈(120)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로 지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예컨대, 반경 500m 등) 내에 진입하는지 여부, 또는 특정 공간(예컨대, 특정 매장 등) 내에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The location determining module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r terminal 300 enter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a radius of 500 m, etc.) or a specific space (for example, a specific store, etc.)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designated as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특정 지역 또는 특정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특정 공간(또는 매장)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경우에는 매우 유의미한 서비스 형태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매장에 수신자 단말기(300)가 위치하여야만 소정의 컨텐츠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매장으로 고객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는 수신자가 상기 특정 매장 내에 진입하여야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에게 제공되기를 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수신자가 상기 특정 매장에 진입하지 않고, 인근 위치에만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가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발신자가 원하는 결과를 서비스로 제공하지 못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특정 공간별(또는 매장별)로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유의미한 작업일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매장이 인접해 있는 환경에서는 GPS 또는 이동통신사 시스템에 의해 파악되는 위치정보로는 이러한 구분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실내 환경에서는 오차가 더 심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se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a specific region or a specific reference location. However, when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set to a specific space (or store), a very meaningful service type may be generated. have.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content is transmitted only when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located at a specific store, a customer may be introduced to the store. In addition, the sender may want the receiver to enter the specific store to provide the desired content to the receiver.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receiver does not enter the specific store and exists only in a nearby location, when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the caller may not provide a desired result as a service.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a very meaningful task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by identifying a specific space (or store). In particular, in an environment where a plurality of stor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such a classification is virtually impossible by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a GPS or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ystem, and an error may be more severe in an indoor environmen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도 4에 도시된다.Therefore, the technical idea that can solve this problem is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컨텐츠 획득위치가 특정 매장인 경우인 예를 나타낸다.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cific store.

우선 도 4a를 참조하면, A 레스토랑(10)에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상기 A 레스토랑(10)에서 할인받을 수 있는 전자쿠폰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상기 A 레스토랑(10)이라는 특정 공간 내부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GPS 모듈 또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파악되는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범위로(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원) 파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범위에는 상기 A 레스토랑(10) 외에도 여러 개의 매장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상기 A 레스토랑(10)에 위치하는지, 또는 단순히 인근에 위치하는지, 또는 근처 다른 매장에 위치하는지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공간이 실내인 경우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상대적으로 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A 레스토랑(10)이 아닌 다른 매장에 들어간 수신자 단말기(300)로 상기 전자쿠폰이 잘못 전송될 수도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A, when an electronic coupon that can be discounted in the restaurant A is provided to a customer who visits the restaurant A, the content obtaining position is a specific space called the restaurant A. It can be intern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determined through the GPS modul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all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are identified. The position of may be identified to a certain range (eg, the circle shown in FIG. 4A) as shown in FIG. 4A.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restaurant A, the range may include several stores. Therefore, it may be very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located in the restaurant A or simply located nearby or in another store nearby. In particular, when the space shown in the drawing is indoors, it may be mo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In this case, the electronic coupon may be erroneously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that enters a store other than the A restaurant 10.

따라서, 상기 위치확인모듈(120)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가 특정 공간(또는 특정 매장)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라디오 핑거 프린트에 기반한 위치판단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is set to a specific space (or a specific store), the positioning module 120 may use a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a radio fingerprint as described above.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센서 시스템을 통해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파악될 수도 있다. 물론,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 역시 파악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determined through a predetermined sensor system as shown in FIG. 4B. Of course,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can also be grasped.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 레스토랑(10)의 입구(또는 상기 A 레스토랑(10)의 내부)에 소정의 센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상기 A 레스토랑(10)으로 들어오게 되면 상기 센서 시스템이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와 소정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상기 A 레스토랑(10)으로 들어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B, a predetermined sensor system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restaurant A (or inside the restaurant A) 10, and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restaurant A. FIG. When entering (10), the sensor system may perform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er terminal 300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r terminal 300 has entered the restaurant A (10).

이처럼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상기 A 레스토랑(10)으로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위치확인모듈(120)은 상기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상기 A 레스토랑(10)에 들어왔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레스토랑(10)이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A 레스토랑(10)에 방문한 고객에게만 상기 전자쿠폰이 제공될 수 있다. As such,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ceiver terminal 300 enters the restaurant A, the positioning module 120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receiver terminal 300 enters the restaurant A from the sensor system. Can be received. 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estaurant A 10 corresponds to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As such, whe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confirmed, the electronic coupon may be provided only to the customer who visited the restaurant A.

한편, 상기 전송모듈(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확인모듈(120)에 의해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module 12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confirmed a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by the positioning module 120, the content of the receiver terminal ( A transmission process for transmitting to 300 may be performed.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지역(강남구, 또는 신사동 등)나 특정 장소(예컨대, 강남역, 학동공원 등), 및/또는 특정 공간(예컨대, 특정 매장 또는 특정 건물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송모듈(130)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a specific area (Gangnam-gu, Sinsa-dong, etc.) or a specific place (eg, Gangnam Station, Hakdong Park, etc.), and / or a specific space (eg, a specific store or a specific building, etc.). have. That is, when the receiver terminal 300 exist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the transmission module 130 may perform a transmission process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상기 전송프로세스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전송프로세스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컨텐츠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또는 소정의 컨텐츠 시스템(500)에 저장된 컨텐츠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시스템(500)에 상기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송모듈(130)은 상기 컨텐츠 시스템(500)으로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process may refer to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ransmission process may be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aller terminal 200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Alternatively, when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aller terminal 200, the content previously stored i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or the content stored in a predetermined content system 500 is transferred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It may be a process that is sent. When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content system 500, the transmission module 13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system 500.

상기 컨텐츠 시스템(500)은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컨대, 쿠폰, 할인권, 기프티콘 등의 다양하고 가치있는 디지털 쿠폰이 상기 컨텐츠 시스템(5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The content system 500 may be a system that stores various contents. For example, various and valuable digital coupons such as coupons, discount coupons, gifticons, and the like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system 500 in advan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을 위한 UI의 일 예를 나타낸다.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I for content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우선 발신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된 UI 중 위치확인 UI(1) 또는 위지지정 UI(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위치확인 UI(1)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지도(6) 상에 현재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확인 UI(1)가 선택된 후, 발신자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를 통해 소정의 추가행위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지도(6) 상에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즉, 상기 추가행위가 수행된 위치)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지점이 아니라, 일정한 영역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A, first, the caller may select one of the positioning UI 1 or the positioning UI 2 among the UIs displayed on the caller terminal 200. When the positioning UI 1 is selecte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on the map 6 displayed on the caller terminal 200.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location checking UI 1 is selected, when the caller performs a predetermined additional action through the caller terminal 200, the caller terminal 200 on the map 6 is displayed. The location (ie, the location where the additional action is performed) may be displayed, and the displayed loca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a certain area, not any one point as shown in the drawing.

한편, 발신자가 상기 위치지정 UI(2)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UI를 통해 발신자로부터 원하는 위치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지역의 주소, 특정 장소의 명칭, 특정 매장의 상호, 및/또는 특정 지역명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UI를 통해 컨텐츠 획득 위치가 입력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지도(6) 상에 발신자가 지정한 상기 특정 지역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발신자가 상기 위치지정 UI(2)를 선택한 후, 상기 지도(6)를 통해 직접 컨텐츠 획득 위치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er selects the positioning UI (2), as shown in Figure 2b may be input the desired position from the caller through a separate UI. For example, a UI for receiving an address of a specific region, a name of a specific place, a name of a specific store, and / or a specific region may be displayed, and a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input through the UI.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area designated by the caller may then be displayed on the map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the caller selects the positioning UI 2, the caller may receive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directly through the map 6.

이와 같이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 의해 컨텐츠 획득위치가 결정되면, 발신자는 컨텐츠 작성 UI(3)를 선택하여 컨텐츠(예컨대, 메시지 등의 텍스트)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작성을 위한 별도의 UI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As such, when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caller terminal 200, the caller may select the content creation UI 3 to create content (eg, a text such as a message). In this case, a separate UI for creating the content may be displayed.

또는,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될 컨텐츠가 전자쿠폰 또는 기프티콘 등의 디지털 쿠폰인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쿠폰을 선택하기 위한 소정의 쿠폰 UI(4)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쿠폰 UI(4)가 선택되면, 선택가능한 디지털 쿠폰의 리스트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에 리스트업될 수 있다. 선택가능한 디지털 쿠폰은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 또는 상기 컨텐츠 시스템(500)에 미리 저장된 컨텐츠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에 따라 선택가능한 디지털 쿠폰이 달라질 수도 있다. 즉,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에 따라 전송할 수 있는 컨텐츠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매장에 발신자 단말기(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매장에 관련된 디지털 쿠폰이 리스트업될 수도 있으며, 제2매장에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매장에 관련된 디지털 쿠폰이 리스트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텐츠 획득위치 역시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컨텐츠 획득위치가 제1매장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현재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가 존재하는 제1매장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매장(예컨대, 동일한 프렌차이즈 매장)이 컨텐츠 획득위치로 결정될 수도 있다. 그러면, 수신자는 상기 제1매장에 방문하여야만 상기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 전송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매장별 또는 공간별로 위치기반의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a digital coupon such as an electronic coupon or a gift icon, a predetermined coupon UI 4 for selecting the digital coupon may be selected. When the coupon UI 4 is selected, a list of selectable digital coupons may be listed up in the caller terminal 200. The selectable digital coupon may be content previously stored i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or the content system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lectable digital coupon may var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That is, the content that can be transmitt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caller terminal 200 is located in a first store, a digital coupon related to the first store may be listed up, and when the caller terminal 200 is located in a second store, the second coupon may be listed. Digital coupons related to the store may be listed up.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also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200. When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first store, not only the first store in which the caller terminal 200 currently exists, but also the same type of store (eg, the same franchise store) may be determined as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Then, the recipient can visit the first store to obtain the content. Therefore, a content delivery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location-based content services are available for each store or space.

전송가능한 컨텐츠가 리스트업되고 발신자에 의해 소정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상응하는 식별정보가 전송요청에 포함되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deliverable content is listed up and predetermined content is selected by the sen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may b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request and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그리고 발신자는 컨텐츠의 작성 또는 컨텐츠의 선택 완료되면 전송 UI(5)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송 UI(5)가 선택되면 컨텐츠를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300)를 특정할 수 있는 수신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소정의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발신자가 상기 수신자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으로 컨텐츠에 상응하는 전송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The sender may select the transmission UI 5 when the creation of the content or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When the transmission UI 5 is selected, a predetermined UI for receiving receiver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receiver terminal 300 to receive content may be displayed. When the caller inputs the receiver information, a transmiss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전송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송요청에 포함된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300)로 소정의 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모듈(13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알림정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10, when the transmission request is received, the transmission module to transmit predetermined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to receiv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request 130 may be controlle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에 의한 알림정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3 shows an embodiment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by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3a는 상기 제어모듈(110)이 특정 발신자(또는 특정 매장의 운영주체)로부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소정의 전자쿠폰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알림정보의 일 예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에 발신자에 대한 정보, 상기 전자쿠폰을 전송받을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쿠폰이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전자쿠폰을 전송받을 수 있는 위치 즉, 컨텐츠 획득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UI(매장 위치확인)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UI가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예컨대, 약도, 교통편 등)First, FIG. 3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ontrol module 110 receive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electronic coupon to a receiver terminal 300 from a specific sender (or an operator of a specific store). It may be an example of the displayed notification information. Then,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aller, information on a location where the electronic coupon can be received, and / or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lectronic coupon has been transmitted may be displayed on the receiver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location where the electronic coupon can be transmitted, that is, a predetermined UI (store location confirmation) for identifying a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and when the UI is selecte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Can be displayed (eg, directions, transportation, etc.).

즉, 특정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컨텐츠가 존재한다는 것을 수신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상기 수신자가 상기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위치로 이동하게끔 유도할 수 있다.That is, by notifying the receiver that there is content transmitted from a specific sender, the receiver can be induced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to confirm the content of the content.

예를 들어, 특정 음식점에서 단골손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음식점을 방문하는 사용자에게 할인쿠폰 또는 특정 메뉴가 서비스되는 디지털 쿠폰을 제공한다는 내용의 알림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음식점으로 유입을 유도하고, 직접 상기 음식점에 방문한 사용자들에게만 상기 할인쿠폰 또는 기프티콘을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provides a discount coupon or a digital coupon for a particular menu service to a user who visits the restaurant for a regular customer or a user who uses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uce the inflow to the restaurant by sending, and may provide the discount coupon or gifticon only to users who visited the restaurant directly.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요청이 수신된 시점에 바로 상기 알림정보가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 진입하는 경우에 특정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컨텐츠가 존재한다는 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알림정보가 수신자에게 제공되는 위치는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를 포함하면서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보다는 넓은 범위일 수도 있다. 따라서, 수신자가 컨텐츠 획득위치의 인근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수신자의 인근에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는 컨텐츠 획득위치가 존재함을 알려주는 효과도 존재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immediately transmitted when the transmission request is received, but is transmitted from a specific caller when the receiver terminal 300 enter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the existing content exists. In this case, the location wher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receiver may be wider than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while including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herefore, when the receiver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here is an effect of notifying that there is a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for acquiring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sender in the vicinity of the recipient.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알림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발신자와 수신자가 연인 또는 친구관계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수신자가 모르는 상태로 있다가, 상기 수신자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컨텐츠를 바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벤트 형식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Of course, in some embodiment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not be transmitted. For example, wh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have a relationship with a lover or a friend, the receiver may not know whether to transmit the content, but when the receiver moves to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he content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utilize the content as an event format.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5 shows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컨텐츠 전송요청을 수신(s10)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call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

그러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s20), 확인된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The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can confirm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s20),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It may be determined (S30).

판단결과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면, 상기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40). 만약 판단결과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지 않으면 상기 (s20)단계로 돌아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If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the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may perform a transmission process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receiver terminal 300 ( s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does not correspond to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발신자 단말기(200) 및/또는 수신자 단말기(30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편의상 발신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제1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정의하기로 하고, 수신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제2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 및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In FIG. 6, a predetermined application system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ender terminal 200 and /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For convenience, the applic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caller terminal 200 will be defined as a first application system, and the applic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receiver terminal 300 will be defined as a second application system. Of course, the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sender terminal 200 and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the same application.

발신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제1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컨텐츠가 전송될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요청을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s11). 그러면, 입력받은 상기 전송요청을 서버(즉,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로 전송할 수 있다(s22).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pplic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caller terminal 200 may receive from the caller terminal 200 a transmission request including receiver information to which predetermined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S11). Then, the received transmiss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at is,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s22).

그러면, 상기 서버(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100))는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상기 전송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 도 6에는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Then, the server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s33). .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erver acquir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from the receiver terminal 300, but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confirm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판단결과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컨텐츠 획득위치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제2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서버 또는 또는 소정의 컨텐츠 시스템(500)으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44).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content acquisition location, the second applic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receive the content from the server or the predetermined content system 500. (S4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hard disk,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컨텐츠가 전송될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요청을 수신하는 제어모듈;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전송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 획득위치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획득위치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 전송시스템.

A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request including receiver information to which predetermined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from a caller terminal;
A positioning module for check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receiv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information; And
And a transmission module for performing a transmission process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to the at least one receiver terminal when the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receiver terminal is identified as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
The content acquisition position is,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aller terminal.

KR1020130163998A 2013-12-26 2013-12-26 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400311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98A KR20140031156A (en) 2013-12-26 2013-12-26 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98A KR20140031156A (en) 2013-12-26 2013-12-26 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716A Division KR20140030433A (en) 2012-08-29 2012-08-29 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156A true KR20140031156A (en) 2014-03-12

Family

ID=5064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998A KR20140031156A (en) 2013-12-26 2013-12-26 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115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0506B2 (en) Location-based ticket books
US9712962B2 (en) Public and private geo-fences
US8983497B2 (en) Method for managing a geo-targeted campaign
US20230230120A1 (en) Mobile credit acquisition
US8185601B2 (en) Sharing information between devices
EP2208022B1 (en) Location-based messaging system
KR1012370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cing and issuing coupon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data
US201402132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group tracking and notifications
US20120019365A1 (en) Short-range communication-enabled mobile device, method and related server arrangement
EP30127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content receiver recommendation service
WO2019055089A1 (en) Enabling and disabling location sharing based on environmental signals
JP2021182414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evices in relation to user defined geographic area
CN104067270A (en) People presence detection in a multidocument knowledge base
JP6077231B2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20170332200A1 (en) Radiocommunic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0992661B2 (en) Method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a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via an operator platform
KR101958922B1 (en) System for searching member store of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ex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8385942B1 (en) End-user interaction framework
KR20140031156A (en) 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40030433A (en) Location-based contents transfer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6162540A (en) Location-based information push method and device
KR2016005346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ap sharing service and server thereof
KR1015998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with location information,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TW201251392A (en) Location-based address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101890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ap sharing service and serve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