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852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852A
KR20140023852A KR1020130064263A KR20130064263A KR20140023852A KR 20140023852 A KR20140023852 A KR 20140023852A KR 1020130064263 A KR1020130064263 A KR 1020130064263A KR 20130064263 A KR20130064263 A KR 20130064263A KR 20140023852 A KR20140023852 A KR 20140023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ome screen
information
personalized
personalized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6491B1 (en
Inventor
이상윤
박상택
홍진우
강태근
김승철
김승희
정인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949,57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053189A1/en
Publication of KR2014002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which provide various personalized home screens for a plurality of users who use the same smart TV and provide the same home screen for a different smart TV using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a cloud server.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identification unit for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nd transfer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home screen processing unit for comp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o personal information of multiple users, and output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a screen based on the identified user personal information. As a result, user can conveniently use a smart TV by being provided an appropriate home screen for the user, and can be provided the same home screen although the user use a different smart TV. [Reference numerals] (110) User identif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40) Cloud server; (AA) User personal information request; (BB) User personal information; (CC)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D) Control signal

Description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본 발명은 스마트TV에서의 홈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screen in a smart TV,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fferent personalized home screen to each user.

텔레비전은 가장 대중적인 정보 전달 기기로 다양한 정보 및 콘텐츠를 제공한다. 종래의 텔레비전은 사용자들에게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방송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PC 및 인터넷이 대중화 되면서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등장한 스마트TV(smart television)가 주목을 받고 있다. Television is the most popular information delivery device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content. Conventional television had a form of broadcasting that is unilaterally delivered to users. However, with the popularity of PCs and the Internet, users' interest in interactive broadcasting services has increased. Smart televisions, which have emerged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users, are attracting attention.

스마트TV는 TV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결합하고, 운영체제와 중앙처리장치를 탑재하여 종래의 텔레비전 방송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해 웹 서핑 및 VOD(Video On Deman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및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 할 수 있는 다기능 TV를 말한다. 이러한 스마트TV는 스마트폰 및 테블릿PC의 초기화면(home screen, 이하 홈 스크린)에 다양한 메뉴를 통합적으로 관리 운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콘텐츠 및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mart TVs combine Internet access with TVs, and are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to install various applications, as well as conventional television broadcasts, to surf the web, watch video on demand (VOD),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ocial Networking Service, It is a multifunctional TV that can utilize various functions such as SNS) and games. Such smart TVs allow the user to use contents and applications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by integrating and managing various menus on the home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home screen) of smartphones and tablet PCs.

현재 스마트TV에서 제공되는 홈 스크린은 스마트TV를 사용하는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홈 스크린을 제공받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하지만 각각의 사용자는 사용 패턴 및 취향 등이 다르기 때문에 주로 시청하는 방송 및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이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하게 제공되는 홈 스크린은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우며,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 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한다.Currently, the home screen provided in the smart TV is provid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several users using the smart TV provided with the same home screen. However, since each user has a different usage pattern and taste, the broadcasting and the application to be used may be different. In this case, the same home screen is difficult to provide a convenient use environment, and does not meet the needs of users who want a more convenient service.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일한 스마트TV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통해 다른 스마트TV에서도 동일한 홈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개인화된 홈스크린을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편집하고 재배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allows a different personalized home screen can be us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same smart TV, the same home screen on another smart TV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loud server And a metho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ly editing and rearrang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로그인(log-in) 정보 또는 사용자 신체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사용자 식별부와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출력하는 홈 스크린 처리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신체 특징 정보는 홍채 정보, 지문 정보, 얼굴 윤관 정보 및 음성 정보와 같은 개인을 구분할 수 있는 신체의 특징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g-in information or user body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a user,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And a home screen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compare the stored plurality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to identify user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o output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the screen based on the identified user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 body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body capable of distinguishing an individual such as iris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facial limbal tube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가 없는 경우,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사용자 개인정보를 요청하고,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와 비교한다.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user personal information from a cloud server storing a plurality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re is no user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user from the cloud server. Compare personal information with user ident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비교하고,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 중에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최적화 된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각각에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a user. The col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are compared, and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earched among the plurality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Next, a personalized home screen optimized for the user is output to the screen based on the correspon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This can provide a personalized home screen for each user.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인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출력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의 화면을 복제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는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을 포함한다.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은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형태로 스마트 기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응용프로그램의 크기 또는 위치를 편집할 수 있으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레이아웃(Layout)을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using a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is a personalized home screen that outputs a personalized home screen corresponding to a user identified on the screen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t includes a providing device and a touch screen interface, and includes a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 that duplicates the screen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and edits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interface.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can be installed in the smart device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and can edit the size or position of the application constituting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based on the touch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You can set the layout of the home scree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홈 스크린 제공 장치의 편집 방법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혹은 전용 TV 리모콘을 통해 TV 화면을 실시간으로 그대로 복제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TV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앱 형태의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을 통해 편집 할 수 있다.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은 TV 화면을 그대로 복제하므로 스마트 리모콘에서의 이벤트나 멀치 터치 등의 제어 신호를 그대로 TV에 전달하여 TV에 배치되어 있는 홈스크린 레이아웃을 사용자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다. 레이아웃 변경에는 멀치 터치로 TV 화면 크기를 임의의 크기로 줄이거나 늘릴 수 있으며, 화면 내 위치도 드래그 앤 드랍 기능을 이용해 변경할 수 있으며, 설치된 앱의 아이콘의 크기와 화면내 위치 변경이 가능하며, 화면을 페이지 단위로 관리하여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앱들의 그룹화 기능이 가능하다.And the editing method of the device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rror form of the app form that can be copied to the screen and control the TV function in real time by duplicating the TV screen in real time through a smartphone, a smart pad or a dedicated TV remote control Can be edited using the smart remote control. Since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duplicates the TV screen as it is, the home screen layout placed on the TV can be changed freely by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such as events or mulch touches from the smart remote controller to the TV. To change the layout, you can reduce or increase the TV screen size to any size with multi-touch, change the position on the screen by dragging and dropping, change the size of the icon of the installed app and the position on the screen. You can manage the page by page to move to other pages, and apps can be grouped.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홈 스크린을 제공받아 스마트TV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스마트TV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홈 스크린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동일한 가구 내의 여러 사용자들이 각각 본인의 사용 패턴, 개인 취향에 따라 본인에게 익숙한 홈 스크린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홈스크린 화면을 편집하고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다른 가구원의 홈스크린을 임의로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모가 관리자라면 자녀의 홈스크린 내용 중 차단시켜야 할 콘텐츠나 앱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를 통해 다른 곳에서 TV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자신이 직접 홈스크린을 제작하여 전송함으로써 교체도 가능하다.Through th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onveniently use a smart TV by receiving a home screen suitable for him, and can receive the same home screen even when using another smart TV. Several users in the same household can use the home screen that is familiar to them according to their usage patterns and personal preferences, so that the desired content can be efficiently provided. In addition, the home screen screen can be edited and rearranged in the form desired by the user. And, a user with administrator rights can arbitrarily edit the home screen of another household member. For example, if you are an administrator, you can delete content or apps from your child's home screen that you want to block.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nd send home screens directly to users who use TV elsewhere through the clou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 처리부(13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 처리부의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20)의 구성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11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음성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11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로그인 방법을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30)가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홈 스크린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서로 다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가 동일한 사용자에 대해 서로 다른 스마트TV에서 동일한 홈 스크린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동일한 사용자(631)에게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632)에서 서로 다른 제1 홈 스크린(633) 및 제2 홈 스크린(634)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d는 동일한 사용자(641)에게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642) 및 테블릿PC(643)에서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644)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을 이용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둘 이상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data storage unit 133 of a home scree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the input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dentification unit 111 using an image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2 using the voice input unit.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dentification unit using a login method.
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30 providing different home screens to different users.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differen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s provide the same home screen on different smart TVs for the same user.
FIG. 6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home screen 633 and a second home screen 634 provided to the same user 631 by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632.
FIG. 6D is a view show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642 and a tablet PC 643 providing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644 to the same user 641.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using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method using a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system including two or mor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에서의 기능 및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경우에는 명시된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and effect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or the operator or industry custom.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based on the defined definition when specifically sta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는 사용자 식별부(110) 및 홈 스크린 처리부(130)를 포함하고, 입력부(12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and a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and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120.

사용자 식별부(110)는 음성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 지문 인식 장치, 홍채 인식 장치 및 사용자의 형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는 종래의 ID(identification) 및 비밀번호를 사용한 로그인(log-in)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뿐만 아니라, 얼굴 형태, 지문, 홍채 및 음성 등 신체적인 특징을 수집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부(110)는 전술한 수집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includes a microphone capable of collecting a voice signal, a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an iris recognition device, and a camera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 user's shape.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dentifies a user through a log-in method using a conventional identification and password, but also provides physical features such as face shape, fingerprint, iris, and voice. Collect to identify the user. 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may include not only the aforementioned collection device but also various devices capable of collect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사용자 식별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 및 식별한다. 그리고 사용자 식별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홍채 및 지문과 같은 신체의 외형적인 특징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하거나, 사용자의 음성 신호 등을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식별부(110)는 사용자 식별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홈 스크린 처리부(130)로 전달한다. 홈 스크린 처리부(130)로 전달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를 인식 및 식별하는 데이터로 활용된다.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recognizes and identifies a user based on a signal collected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receives or coll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external features of the body, such as a user's face, iris, and fingerprint, or receives a user's voice signal. 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to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for user identificati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home screen processor 130 is used as data for recognizing and identifying the user.

또한, 사용자 식별부(110)는 홈 스크린 처리부(130)와 따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 스크린 처리부(130)에 내장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may not onl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but also may be integrated into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입력부(120)는 홈 스크린 처리부(130) 및 사용자 식별부(110)를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다양한 신호를 홈 스크린 처리부(130)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홈 스크린 처리부 및 사용자 식별부(110)를 포함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제어하고,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모콘(remote control) 또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control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and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at a long distance, and transmits various signals input by the user to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The user may control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including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and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through the input unit 120 and input text information.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or a smart phone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홈 스크린 처리부(130)는 사용자 식별부(1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개인정보는 홈 스크린 처리부(130)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사용하거나, 클라우드 서버(140)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수신 받아 사용할 수 있다.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and identify the user by comparing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a plurality of stored user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may use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screen processor 130 or may receive and use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loud server 140.

홈 스크린 처리부(130)는 홈 스크린(home screen)이라고 불리는 초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수신된 방송 영상만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TV와 달리 스마트TV는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저장된 콘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홈 스크린은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및 위젯(widget)을 포함하고,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홈 스크린을 통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home screen processor 130 provides various functions to the user through an initial screen called a home screen. Unlike general TVs that provide only received broadcast video, smart TVs can provide installed applications or stor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uch as a PC or a smartphone. The home screen may include icons and widgets for the application and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such a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 efficiently provide such services to a user. The user may execute a desired application through the home screen and receiv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홈 스크린 처리부(130)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서로 다른 홈 스크린을 제공 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는 사용 습관 및 개인 취향 등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이 다를 수 있으며, 익숙하게 사용하는 GUI 또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에 대해 최적화 된 홈 스크린을 저장하고, 각 사용자에게 미리 저장된 최적화 된 즉,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제공한다. 각각의 홈 스크린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 및 편집을 통해 자신에게 최적화 된 홈 스크린을 직접 제작하거나, 제조업체 또는 타인에 의해 설정된 홈 스크린 중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홈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아이콘을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화면의 크기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응용프로그램이 전체화면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하거나, 전체화면이 아닌 소정의 크기로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TV에 적용되는 경우, TV 영상 화면 또한, 전체화면뿐만 아니라, 소정의 크기로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동시에 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또는 영상 화면을 감상 또는 사용할 수 있다.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different home screens for each user. Each user may have different contents and applications that are frequently used according to usage habits and personal preferences, and a familiar GUI may also be different. Thus it saves the home screen optimized for each user, and gives each user a pre-stored optimized i.e. personalized home screen. Each home screen allows the user to create a home screen optimized for himself through presetting and editing, or to select a home screen suitable for himself or herself from a home screen set by a manufacturer or others. The user can arrange the execution icon of the application programs he / she frequently uses in a convenient location, and can control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execution screen on which each application is executed. For example, the video reproducing application may be set to be executed in full screen or may be set to be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predetermined size rather than in the full screen. When applied to a smart TV, not only the TV video screen but also the full screen may be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predetermined size. This allows the user to view or use more than one application or video screen at the same time.

다수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은 홈 스크린 처리부(130)에 저장된다. 홈 스크린 처리부(130)는 사용자 식별부(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ID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해당 사용자에 해당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표시한다.The plurality of personalized home screens are stored in the home screen processor 130.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identifies a user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or identifies a user using an ID and a password, and displays a personalized hom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r on the screen. Display.

홈 스크린 처리부(130)는 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거나 시청한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 웹브라우저(web browser)의 즐겨찾기 또는 북마크(book mark) 정보, 사용자가 사용한 유튜브(youtube) 검색 키워드와 같은 시청자의 선호 동영상 정보 및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종류 및 제목, 주 시청 시간 등의 주사용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사용자에 대한 홈 스크린 레이아웃, 테마 및 GUI 정보 등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The home screen processor 130 stores user pattern information for each user. User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viewers' favorite video information, such as a list of content or applications you've primarily used or watched, bookmarks or bookmarks from a web browser, YouTube search keywords you've used, Information about the injection program such as the type and title of the program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nd the main viewing time is included. And, home screen information including home screen layout, theme and GUI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stored and managed.

홈 스크린 처리부(130)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자 패턴 정보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해당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정보,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 패턴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저장 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홈 스크린 처리부(130)로 전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홈 스크린 처리부(140)의 종류에 관계 없이 동일한 홈 스크린을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의 스마트TV에서 사용하던 홈 스크린을 방에 비치된 스마트TV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집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스마트TV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하여 관련된 정보를 수신 받아 동일한 홈 스크린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TV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와 같은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도 동일한 홈 스크린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user may be identified by us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home screen information, and user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and a correspon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user personal information, home screen information, and usage patter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cloud server 140. User personal information, home screen information, and usag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cloud server 140 may be delivered to and used by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rough this, the user may receive and use the same home screen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40. For example, the home screen used in the smart TV in the living room may be used in the same way as the smart TV provided in the room. In addition, even when the smart TV is used at a place other than the home, the same home screen may be provided by receiving the related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cloud server 140. In addition, not only a smart TV, but also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home screen.

클라우드 서버(140)는 홈 스크린 처리부(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개인정보,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자 패턴 정보 등을 저장하고, 홈 스크린 처리부(130)로부터 수신된 해당 정보 요청에 따라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 패턴 정보 등을 홈 스크린 처리부(130)로 전달한다.The cloud server 140 stores user personal information, home screen information, and user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and stores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according to a request for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The home screen information and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 처리부(130)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 처리부(130)은 통신부(131), 제어부(132),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 및 영상표시부(134)를 포함한다.1 and 2, the home screen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31, a controller 132, a user data storage unit 133, and an image display unit 134. .

통신부(131)는 사용자 식별부(110), 입력부(120) 및 클라우드 서버(140)와 송수신이 가능한 유선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홈 스크린 처리부(130)는 통신부(131)를 통해 사용자 식별부(11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부(120)로부터 제어 명령 및 문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LAN 및 무선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버(140) 및 서비스 제공업체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1 includes a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the input unit 120, and the cloud server 140.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receiv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1 and receives control commands and text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20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or Bluetooth. Can be received. In addition, the wired LAN and wireless LAN interface to access the Internet network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cloud server 140 and the service provider.

제어부(132)는 사용자 식별부(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 또는 클라우드 서버(140)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부(110)의 의해 수집된 사용자 식별정보는 홈 스크린 처리부(130)의 제어부(132)로 전달된다. The controller 132 may identify the user by comp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with user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data storage unit 133 or the cloud server 140.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2 of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제어부(132)는 사용자 식별부(1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확인한다. 사용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 지문, 홍채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에서 검색하거나, 클라우드 서버(140)에 요청한다.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개인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가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제공받기에 적합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해당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전달하고, 미등록 사용자인 경우, 기본적인 홈 스크린을 제공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2 receiv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and confirms the user's bod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user's face shape, fingerprint, iris, and vo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is searched in the user data storage unit 133 or the cloud server 140 is requested. By comparing the bod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ata storage unit 133 or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140 and the bod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is recognized and the user is personaliz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home screen is suitable for being provid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e-registered user, a correspon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be delivered, and in the case of an unregistered user, a basic home screen may be provided or the use thereof may be restricted.

그리고, 제어부(132)는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에 저장된 사용자의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홈 스크린 레이아웃, 사용자의 패턴 정보에 포함된 시청 이력 정보, 북마크 및 콘텐츠 목록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 된 GUI를 포함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TV 화면을 전체화면이 아닌 소정의 크기로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제공하고, TV 화면이 아닌 나머지 화면 영역에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식별된 사용자가 매일 특정한 시간에 홈 스크린 처리부(130)를 이용하여 특정 방송을 시청하는 사실을 인식하고, 해당 시간에 사용자가 홈 스크린 처리부(130)에 사용을 요청하면, 해당 방송을 미리 볼 수 있는 작은 화면 또는 바로 연결 할 수 있는 메뉴를 홈 스크린 중앙에 배치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2 may provide the user with a personalized home screen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user data storage 133. The user may provide a personalized home screen including a GUI optimized for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a home screen layout preset by the user, viewing histor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s pattern information, a bookmark, and a list of contents. For example,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 TV screen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predetermined size instead of a full screen, and a screen of another application program may be arranged in the remaining screen area instead of the TV screen. In addition, the user pattern information is analyzed to recognize that the identified user watches a specific broadcast by using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at a specific time every day, and the user requests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to use the corresponding time. In this case, a small screen for previewing the broadcast or a menu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can be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home screen.

또한, 제어부(132)는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콘텐츠를 재생하여 영상표시부(134)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된 문자 정보를 영상표시부(134)에 표시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웹 사이트 주소나 SNS 내용을 포함하는 문자 정보는 제어부(132)를 통해 해당 웹 브라우저 또는 SNS에 입력되어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2 may execute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20, or may reproduce and display the content on the image display unit 134. The tex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20 may b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134 or input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or the web browser. For example, text information including a web site address or SNS content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may be input to a corresponding web browser or SNS through the control unit 132 to access the corresponding web site.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는 수신된 사용자 개인정보,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개인정보,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자 패턴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 별로 분류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그리고 광고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는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user data storage unit 133 stores the received user personal information, home screen information, and usage pattern information. User personal information, home screen information, and user pattern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stored and managed for each user. And it can store more information about the advertising content. Details of the user data storage unit 133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영상표시부(134)는 화면을 이용하여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써, 홈 스크린,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및 광고 등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에 사용되는 CRT(cathode ray tube) 및 액정디스플레이(L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부(134)는 전술한 CRT 및 LC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unit 134 is an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as an image using a screen. The image display unit 134 receives an image signal for a home screen, content, an application, an advertisement, and the like and displays the image signal on the screen. In general, it may include a cathode ray tube (CR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used in a television or a monitor. The image display unit 134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RT and LCD and may include an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n a scree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 처리부의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data storage unit 133 of a home scree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 처리부의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는 각 사용자 별로 분류된 개인정보 저장부(1331), 홈 스크린 정보 저장부(1332) 및 사용 패턴 정보 저장부(1333)를 포함하고, 광고콘텐츠 저장부(1334)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user data storage unit 133 of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331, a home screen information storage unit 1332, and a usage pattern classified for each user.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333 is included,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storage unit 1334 is further included.

사용자 개인정보 저장부(1331)는 각 사용자 별로 분류된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개인정보는 사용자 식별부(11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형상, 지문, 홍채 및 음성을 포함하는 신체정보 및 로그인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개인정보는 사용자로부터 홈 스크린을 요청받을 경우, 사용자를 식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331 stores personal information classified for each user.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body information including a shape, a fingerprint, an iris, and a voice of the user collected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0, and an ID and password for logging in. User personal information is used to identify a user when a home screen is requested from the user.

홈 스크린 저장부(1332)는 각 사용자 별로 분류된 홈 스크린 정보를 저장한다. 홈 스크린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또는 선택한 홈 스크린의 레이아웃, 테마 및 GUI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이나 습관 등에 따라 홈 스크린의 레이아웃을 직접 설정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나 위젯을 배치하고, GUI를 자신에게 편리하도록 최적화/개인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홈 스크린의 테마를 설정하여 개인적인 취향 또는 관심사를 반영한 배경화면 및 음성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홈 스크린 정보에 기초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제공받아 개인의 취향 및 개성이 반영된 홈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The home screen storage unit 1332 stores home screen information classified for each user. The home scree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layout, themes, and the GUI of a home screen that is set by the user or selected. The user can directly set the layout of the home screen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s or habits, arrange icons or widgets of the application, and optimize / personalize the GUI to be convenient for the user. In addition, by setting the theme of the home screen, you can set a wallpaper and voice that reflects personal preferences or interests.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personalized home screen based on home screen information to use a home screen reflecting personal tastes and personalities.

사용 패턴 정보 저장부(1333)는 각 사용자 별로 분류된 사용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웹브라우저의 북마크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목록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의 스마트TV 이용 시간 및 사용 이력을 포함한다.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패턴 정보는 예를 들어, 검색 엔진의 검색 키워드, 사용자가 자주 시청하는 VOD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스마트TV 사용 시간 및 각 시간의 사용 내역을 포함하는 시청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홈 스크린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강조하거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일 특정한 시간에 뉴스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경우, 해당 시간에 홈 스크린에 뉴스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storage unit 1333 stores usage pattern information classified for each user.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bookmark information and an application list of a web browser set by the user.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a user's smart TV usage time and usage history. The patter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may include, for example, a search keyword of a search engine, information about VODs frequently watched by the user, and viewing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usage time of the user's smart TV and usage history of each time. have. When a user requests a home screen, the user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emphasizing or facilitating access to a specific content or application based on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a user watching a news at a specific time every day may provide a better service to the user by providing a preview of the news on the home screen at that time.

사용 패턴 저장부(1333)는 사용자가 주로 보고자 하는 채널 목록을 관리하는 채널 목록 관리부, 웹브라우저의 북마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북마크 관리부, VOD 및 유튜브 검색 동영상의 목록을 관리하는 VOD 목록 관리부, 사용자가 시청하는 프로그램 명 및 시청 시간 등의 시청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청 이력 정보 관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age pattern storage unit 1333 may include a channel list manager for managing a list of channels that the user primarily wants to view, a bookmark manager for sharing bookmark information of a web browser, a VOD list manager for managing a list of VOD and YouTube search videos, And a viewing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viewing pattern information such as a program name and viewing time to watch.

광고콘텐츠 저장부(1334)는 각 사용자 별로 분류된 광고콘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광고콘텐츠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허가된 광고 영상 및 제품 정보를 포함한다. 광고콘텐츠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시청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콘텐츠를 통해 사용자는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content storage unit 1334 stores advertisement content information classified for each user. The advertisement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dvertisement image and product information authorized by the user. The advertisement conte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gether when the user watches a specific content or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Such advertising content allows users to use the content or application for free or at a low pr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 처리부의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에 포함된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 패턴 정보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표이다.Table showing a table of home screen information and usage patter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data storage unit 133 of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 패턴 정보Home screen info and usage pattern info 클라우드 사용자 IDCloud user ID Cloud_ID_0001Cloud_ID_0001 홈 프로파일Home profile 프로파일 BProfile B 프로파일 AProfile A 프로파일 BProfile B 프로파일 CProfile C 내 채널 목록My channel list KBS1, TV조선KBS1, TV Chosun MBC, OCNMBC, OCN SBS, EBS, OCNSBS, EBS, OCN 홈 스크린 레이아웃Home screen layout A.xmlA.xml B.xmlB.xml C.xmlC.xml 방송 녹화 예약Broadcast recording reservation MBC/2012.08.15 14:00~18:00MBC / 2012.08.15 14: 00 ~ 18: 00 인터넷 북마크Internet bookmarks Mybook1.htmlMybook1.html Mybook2.htmlMybook2.html Mybook3.htmlMybook3.html 방송 선호도 정보Broadcast Preference Information 드라마, 영화Drama, Movie 스포츠, 게임Sports, games SNS, 웹 브라우저SNS, web browser ... ... ... ...

표 1을 참조하면, 홈 스크린 처리부의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33)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의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 패턴 정보의 테이블에서 클라우드 사용자 ID는 입력부(120)의 사용자 버튼(121)을 통해 사용자 식별을 요청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홈 프로파일은 다수의 프로파일 중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프로파일이다. 프로파일 A, 프로파일 B 및 프로파일 C는 해당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홈 스크린 정보 및 사용 패턴 정보를 나타낸다. 세 개의 프로파일을 설정한 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사용자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 각 프로파일은 자주 시청 또는 사용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인터넷 북마크 및 방송 선호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해 높은 홈 스크린 레이아웃 정보를 한다. 홈 스크린 레이아웃 정보는 XML로 표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n the table of home screen information and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included in the user data storage unit 133 of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the cloud user ID may be assign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button 121 of the input unit 120. When you ask for identification, it is for connecting with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loud server. The home profile is a profile provided by default among a plurality of profiles. Profile A, profile B, and profile C represent home screen information and usage pattern information preset by the user. Setting three profiles is an embodiment, and more or less profiles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 Each profile contains information about content that is frequently viewed or used, and includes Internet bookmarks and broadcast preference information. It also allows the user to set high home screen layout information. Home screen layout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in XM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20)의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the input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20)는 4개의 제1 내지 제4 사용자 버튼(121), 탐색 버튼(122) 및 기능 버튼(12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input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first to fourth user buttons 121, a search button 122, and a function button 123.

제1 내지 제4 사용자 버튼(121)은 각각 서로 다른 4명의 사용자와 1:1로 대응하는 사용자 본인의 홈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는 사용자 식별부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하여 서로 다른 홈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 가정에 비치된 스마트TV의 경우 거의 고정된 가족 구성원이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매번 사용자 식별부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은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버튼(121)을 서로 다른 사용자(가족구성원)에게 대응하도록 설정함으로써, 해당하는 사용자 버튼(121)을 사용하여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제공받을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버튼(121)은 일면 상에 숫자, 문자, 문양 및 사용자 사진 등을 표기하여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0)의 사용자 버튼(121)은 4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숫자 및 스마트TV가 비치된 위치에 따라 사용자 버튼(121)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user buttons 121 may select their own home screens corresponding to four different users 1: 1.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different home screen by identifying each user through a user identification unit. However, since a smart TV provided in a general home is mainly used by almost fixed family members,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identify the user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every time. Accordingly, by setting each user button 121 to correspond to different users (family members), a personalized home screen can be provided using the corresponding user button 121. Each user button 121 may be distinguished by marking numbers, letters, patterns, and user photos on one surface. The number of user buttons 121 of the input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our, and the number of user buttons 121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and the location of the smart TV.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입력부(120)와 대응하는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Table 1 shows an example of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other input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입력부의 홈 스크린 설정 정보Input screen home screen setting information 댁내 사용자 IDHome User ID 클라우드 사용자 IDCloud user ID 제1 사용자 버튼First user button 제1 사용자First user Cloud_ID_0001Cloud_ID_0001 제2 사용자 버튼Second user button 제2 사용자Second user Cloud_ID_0002Cloud_ID_0002 제3 사용자 버튼3rd user button 제3 사용자3rd user Cloud_ID_0003Cloud_ID_0003 제4 사용자 버튼4th user button 제4 사용자4th user Cloud_ID_0004Cloud_ID_0004 ... ... ...

표 2를 참조하면, 입력부(1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사용자 버튼(121) 각각과 대응하는 댁내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열과 클라우드에서 정보를 얻어 오기 위한 클라우드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열로 구성될 수 있다. 댁내 사용자 ID는 입력부(120)의 사용자 버튼(121)을 통해 사용자 식별을 요청하는 경우, 홈 스크린 처리부(130)가 자체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사용자 개인정보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클라우드 사용자 ID는 입력부(120)의 사용자 버튼(121)을 통해 사용자 식별을 요청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Table 2,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buttons 121 constituting the input unit 120 may be composed of a colum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user ID corresponding to the column and a column corresponding to the cloud user ID for obtaining information from the cloud. The indoor user ID is for connecting with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by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0 when a user identification request is made through the user button 121 of the input unit 120. When the user ID is requested through the user button 121 of the input unit 120, the cloud user ID is for connecting with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loud server.

사용자 버튼(121)의 개수보다 대응이 필요한 사용자의 숫자가 많은 경우, 사용자 버튼(121)의 개수와 동일한 숫자의 사용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여 다수의 사용자의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탐색 버튼(122)을 통해 각 그룹을 선택한다. 이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버튼(121)을 할당 할 수 있다.If the number of users that need correspondence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user buttons 121, the number of users equal to the number of user buttons 121 is set as one group to be classified into several groups of a plurality of users, and the navigation buttons Each group is selected through 122. Through this, the user buttons 12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sers may be allocated.

기능 버튼(123)은 일반적인 리모콘에 포함된 다수의 기능을 나타내는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기능 버튼(123)을 통해 채널 및 음량을 변경하고,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하여, 문자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SNS 및 웹브라우저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function button 123 includes a button representing a plurality of functions included in a general remote controller. The user may change a channel and a volume, select and control content and an application through the function button 123. In addition, by provid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by inputt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se the SNS, web browser and the like.

전술한 입력부(120)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모콘 및 리모콘과 유사한 기능을 포함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입력부(120)는 하드웨어로 개발 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로 개발 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기능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서 실행함으로써, 입력부(120)로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nput unit 120 represents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include all devices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and a remote controller which are similarly used. 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described above may be developed in hardware or may be developed and used in software. For example,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in the smartphone, it can be used as the input unit 120.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11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dentification unit 111 using an image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111)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로부터 신체 정보를 수집한다. 영상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111)는 카메라, 캠코더 및 지문인식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TV(130)에 설치된 웹캠(web cam)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의 얼굴 형상과 미리 저장된 다수의 얼굴 형상을 비교하여 대응하는 얼굴 형상을 검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dentifier 111 using the image input unit captures a user and collects body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1 using the image input unit may include a camera, a camcorder,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For example, a user's face is collected by collecting a user's face through a web cam installed on the smart TV 130, and the collected user's face is compared with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face shapes. Retrieve the face shape. This can identify the user.

도 5b는 음성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11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2 using the voice input unit.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집한다. 음성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112)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음성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음성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112)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특징을 미리 저장된 다수의 음성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을 통해 ID와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로그인 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2 using the voice input unit receives a voice from the user and collects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2 using the voice input unit receives the user's voice and collects voice information.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12 using the voice input unit may identify the user by searching for corresponding voic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pre-stored voi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be identified by logging in by inputting an ID and password through voice.

도 5c는 로그인 방법을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dentification unit using a login method.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방법을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는 사용자에게 영상표시부를 통해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a user ID using a logi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user with a login interface through an image display unit and may receive an ID and a password from the user to identif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부는 전술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채 인식 및 지문 인식과 같은 다양한 신체 특징을 이용하는 식별방법이나 ID카드 등을 이용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dent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methods for identifying a user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method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method using various body features such as iris recognition and fingerprint recognition, or a method using an ID card.

도 6a는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30)가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홈 스크린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30 providing different home screens to different users.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는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30)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제1 사용자(611) 및 제2 사용자(612) 각각에 서로 다른 개인화 된 제1 홈 스크린(613) 및 제2 홈 스크린(614)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부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제1 사용자(611)와 제2 사용자(612)를 각각 식별하고, 식별된 제1 사용자(611)에게 대응하는 제1 홈 스크린(613)을 제공하고, 식별된 제2 사용자(612)에게 제2 홈 스크린(614)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different personalizations to different first user 611 and second user 612 using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30. The first home screen 613 and the second home screen 614 may be provided. By identifying the user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the first user 611 and the second user 612 are respectively identified, and the identified first user 611 is provided with a first home screen 613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The second home screen 614 to the second user 612.

도 6b는 서로 다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가 동일한 사용자에 대해 서로 다른 스마트TV에서 동일한 홈 스크린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differen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s provide the same home screen on different smart TVs for the same user.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장치는 동일한 사용자(621)가 서로 다른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622)와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623)를 사용할 때, 동일한 홈 스크린(624)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621)가 본인이 소유한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621)를 사용할 때, 사용자 식별을 통해 개인화 된 홈 스크린(624)를 제공 한다. 하지만 다른 장소에서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622)를 사용할 때,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사용자 개인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 식별을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624)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622 and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623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user 621. When the same home screen 624 can be provided. When the user 621 uses the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621 owned by the user 621, the user 621 provides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624 through user identification. However, when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622 is used in another place,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624 may be provided by receiv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from a cloud server and performing user identification.

도 6c는 동일한 사용자(631)에게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632)에서 서로 다른 제1 홈 스크린(633) 및 제2 홈 스크린(634)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home screen 633 and a second home screen 634 provided to the same user 631 by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632.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장치는 하나의 사용자(631)에게 하나의 홈 스크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사용자에게 둘 이상의 홈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631)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홈 스크린(633)과 제2 홈 스크린(634)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로 스위칭 하면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홈 스크린(633)은 VOD 및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고, 제2 홈 스크린(634)은 SNS 및 웹 브라우저 중심으로 구성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C,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provide one home screen to one user 631, but also provide two or more home screens to one user. The first home screen 633 and the second home screen 634 preset from the user 631 may be provided while switching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xample, the first home screen 633 may be configured based 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OD and the broadcast program, and the second home screen 634 may be configured around the SNS and the web browser.

도 6d는 동일한 사용자(641)에게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642) 및 테블릿PC(643)에서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644)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D is a view show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642 and a tablet PC 643 providing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644 to the same user 641.

도 6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장치는 사용자(641)가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642)를 사용할 때, 개인화 된 홈 스크린(644)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블릿PC(643)와 같은 다른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644)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641)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면서도,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644)을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D,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provide a personalized home screen 644 when the user 641 uses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642.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644 can be provided even when using other smart devices such as tablet PC 643. This allows the user 641 to use the service effectively by using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644 while using a variety of smart devic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의 사용 요청을 수신한다(701). 사용자가 리모콘과 같은 입력부를 통해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사용을 요청하면, 이를 수신하여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의 전원을 켠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집한다(702).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사용자 식별부를 통해 홍채 정보, 지문 정보, 얼굴 윤곽 정보 및 음성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 특징을 수집한다. 또는 사용자로부터 ID와 비밀번호를 수신하거나, 리모콘과 같은 입력부에 포함된 사용자 버튼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 user first receives a request for us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from the user (701). When the user requests the use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n input unit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he user receives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nd turns on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In operation 702,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user. The method of collec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collects body features of the user including iris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facial contour information, voice information, and the like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Alternatively, an ID and password may be received from a user, or a signal may be received from a user button included in an input unit such as a remote controller.

다음으로, 수집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사용자 개인정보를 비교한다(703). 사용자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특징 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개인정보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가 없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개인정보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사용자를 비교하여 검색한다. 만약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입력부에 포함된 사용자 버튼에 대한 신호인 경우, 해당 사용자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바로 검색한다.Next, the col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are compared (703).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body feature information and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may use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If there is no stored user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 may access the cloud server and receive the stored user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cloud server.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is searched by comp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with the corresponding user. If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signal for the user button included in the input unit,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user button is directly searched.

다음으로,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한다(704).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 중에서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발견하면, 검색된 사용자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 및 식별한다. 그리고 사용자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출력한다(705). 사용자 개인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 패턴 정보 및 홈 스크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북마크와 사용자의 시청 패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홈 스크린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홈 스크린의 레이아웃, 테마 및 GUI 정보를 포함한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 패턴 정보 및 홈 스크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 되어있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자는 화면에 출력된 홈 스크린을 통해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Next, if there is a correspon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 is identified through this (704). If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found among the plurality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 is recognized and identified based on the retrieved user personal information. In operation 705, a correspon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is output on the screen based on user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user is identified through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and the home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checked.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bookmark set by the user and a viewing pattern of the user, and the home screen information includes the layout, theme, and GUI information of the home screen set by the user in advance. Outputs a personalized home screen optimized for the user based on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and the home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user may use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through the home screen output on the scree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을 이용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using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은 영상 재생 화면(821) 및 조작 버튼(8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includes an image reproduction screen 821 and an operation button 822.

영상 재생 화면(821)은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에서 표시중인 화면을 그대로 복제하여 동일하게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재생 화면(821)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조작 버튼(822)을 함께 이용하여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 및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인터페이스 및 구성요소를 설정 및 편집할 때,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설정 및 편집할 수 있다.The image playback screen 821 may duplicate the screen being displayed by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as it is and output the same on the screen. The user may edit and se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by using the touch screen interface provided on the image playback screen 821 or by using the operation buttons 822 together. When the user sets and edits the interface and components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the user may set and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more conveniently using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의 영상 재생 화면(821)은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의 화면을 동일하게 표시할 뿐만 아니라,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을 통해 입력 또는 변경된 내용이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의 영상 재생 화면(821)에 표시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을 설정 및 편집함으로써,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재생 화면(821)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을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포함하는 다양한 터치 입력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조작 버튼(822)을 이용하여 영상 재생 화면(821)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은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편집뿐만 아니라,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The image playback screen 821 of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not only displays the screen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in the same way, but also the contents input or changed through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are personalized. It may be applied to the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That is, the user may change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by setting and edi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displayed on the image playback screen 821 of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 The user may se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of the image playback screen 821 through various touch inputs including drag and drop through the touch screen interface.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interface, a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of the video playback screen 821 may be set using the operation button 822. In addition,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may control not only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editing but also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즉,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은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의 화면을 복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하는 편집부를 통해 상술한 기능을 구현한다. 편집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응용프로그램의 크기 또는 위치를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레이아웃(Layout)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은 구비된 음성 센서 또는 동작 센서를 이용한 음성 명령, 특정 제스처 및 눈동자의 움직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통해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다.That is,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includes a touch screen interface, and a touch for copying a screen of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user identified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and outputting the screen to a screen. The above-described function is implemented through a screen unit and an editing unit that edits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based on an input received through the touch screen interface. The editor may edit the size or position of an application constituting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based on a touch input received from a user, and set a layout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may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through at least one input of a voice command, a specific gesture, and a pupil movement using a provided voice sensor or a motion sensor.

도 8에서는 영상 재생 화면(821) 및 조작 버튼(822)을 구비한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을 통해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를 제어하고,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하는 내용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도 8에 기재된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은 하나의 실시예일뿐,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은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설계된 전용 TV 리모콘뿐만 아니라,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화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FIG. 8,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is controlled through a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having an image playback screen 821 and an operation button 822, and details of edi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re described. Doing. However,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described in FIG. 8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may include various smart devices including not only a dedicated TV remote controller separately designed to control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but also a screen capable of playing an image.

특히,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는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의 실시예가 될 수 있다.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와 연결되어,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를 제어하고,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형태로 스마트 기기에 탑재하여 스마트 기기를 통해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를 제어하고,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으로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음성 센서 및 동작 센서 등을 활용하여, 음성 명령 혹은 특정 제스처나 눈동자의 움직임 등을 이용하여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810)를 제어하고,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may be embodiments of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Connected with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the user can control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and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in a smart device. The device may control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and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When using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as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a separat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In addition, by using a voice sensor and a motion sensor included in the smart device, the user can control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810 using voice commands or a specific gesture or movement of the pupil, and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Can be.

사용자는 이와 같은 다양한 입력 방법을 통해 편집 모드 전환 명령을 입력하여 응용프로그램 아이콘의 위치/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화면의 크기 및 해상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화면 레이아웃을 설정하여, 화면의 구성요소, 응용프로그램 실행 화면의 크기 및 위치 등을 편집하는 경우,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의 터치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편리하게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다.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을 통해 이벤트나 멀치 터치 등의 제어 신호를 그대로 TV에 전달하여 TV에 배치되어 있는 홈스크린 레이아웃을 사용자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다. 레이아웃 변경에는 멀치 터치로 TV 화면 크기를 임의의 크기로 줄이거나 늘릴 수 있으며, 화면 내 위치도 드래그 앤 드랍 기능을 이용해 변경할 수 있으며, 설치된 앱의 아이콘의 크기와 화면내 위치 변경이 가능하며, 화면을 페이지 단위로 관리하여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앱들의 그룹화 기능이 가능하다.The user may input an edit mode switch command through various input methods such as changing the position / size of an application program icon and changing the size and resolution of the screen. In particular, when setting the screen layout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and editing the components of the screen,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etc., the touch input interface of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You can edit your personalized home screen. Through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a control signal such as an event or a mulch touch may be transmitted to the TV as it is, thereby changing the home screen layout disposed on the TV. To change the layout, you can reduce or increase the TV screen size to any size with multi-touch, change the position on the screen by dragging and dropping, change the size of the icon of the installed app and the position on the screen. You can manage the page by page to move to other pages, and apps can be grouped.

또한,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은 도 1의 사용자 식별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을 통해 식별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may serve as a user identifier of FIG. 1. The user may input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through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820)을 통해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설정 및 화면을 편집하는 방법과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은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edi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nd editing a screen and a method of identifying each user through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820 may be identically applied to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method using a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은 먼저, 9, a method of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using a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과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연결한다(901).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은 상술한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위해 구비된 리모콘일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구비된 리모콘이 아닌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 와 같은 스마트 기기에 응용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위해 구비된 리모콘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은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거나, 또는, Wifi와 같은 무선랜 그리고 스마트 기기에 탑재된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3G/LTE와 같은 이동통신 등을 이용하여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과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은 상술한 통신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함으로써,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and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re connected (901).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may be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for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on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not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separately.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and a smart device provided for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uses infrared communication 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is mounted on a wireless LAN and smart device such as Wifi. The mobile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 LT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and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used. In addition,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may function as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s by installing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controll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과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가 연결되면,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으로부터 홈 스크린 편집 모드 명령을 수신한다(902). 스마트 기기를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경우,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홈 스크린 편집 모드 명령을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로 전달한다. 홈 스크린 편집 모드 명령은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설정, 화면 구성 요소 및 응용프로그램 위치 등을 변경하기 위한 홈 스크린 편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 신호이다.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으로부터 홈 스크린 편집 모드 명령이 수신되면,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는 홈 스크린 편집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한다(903). 만약 홈 스크린 편집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으루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 대기한다.When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and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re connected, the home screen editing mod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902). When using a smart device as a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 the installed application transmits the home screen edit mode command to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The home screen edit mode command is an input signal for switching to the home screen edit mode for changing the settings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the location of screen components and applications, and the like. When the home screen edit mod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witch to the home screen edit mode in which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can be edited (903). If you do not switch to the home screen editing mode, it listens for input signals from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만약 홈 스크린 편집 모드로 전환되면,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로부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904).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 신호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설정을 변경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화면 구성 요소, 응용프로그램 및 응용프로그램 아이콘의 위치와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에 포함된 응용프로그램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크기 및 해상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904 단계에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을 편집하고 설정을 변경하는 과정 및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8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f the home screen editing mode is switched, an input signal for chang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setting is received from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904). The input signal for changing the settings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include a signal for changing the settings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and may change the position and size of screen components, applications, and application icons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Can be. In addition, the type of application programs included in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be changed or the size and resolution of the screen may be changed. In the process of edi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and changing settings and a method of identifying each user in step 904,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may be equally appli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둘 이상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system including two or mor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둘 이상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시스템은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10) 및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20)를 포함한다.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10)과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20)는 클라우드 서버(1050)를 통해 원격에서 서로 연결되어,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설정 정보를 교환하거나, 두 장치(1010, 1020) 상호간에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설정 신호를 전달 및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가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1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050)를 통해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20)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system including two or mor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es includes a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10 and a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20. . The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10 and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remotely through the cloud server 1050 to exchange personalized home screen setting information, or 1010 and 1020 may transmit and receive personalized home screen setting signals. That is, the first user may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of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20 through the cloud server 1050 using the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10.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10)로부터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편집 요청이 수신되면,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20)는 수신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편집 요청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편집 요청이 승인되면,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20)는 홈 스크린 화면 정보를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10)로 전달한다. 홈 스크린 화면 정보는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20)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에 대한 정보이다. When a personalized home screen edit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10,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20 determines whether to approve the received personalized home screen editing request. I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editing request is approved,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20 transmits home screen screen information to the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10. The home screen scree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of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20.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10)는 수신된 홈 스크린 화면 정보를 통해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20)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을 직접 확인하면서 편집할 수 있다.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10)는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20)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을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으며,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 등을 통해 편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사용자는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1020)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을 원거리에서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거리에서 거주중인 나이 드신 부모님이 직접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을 편집하기 어려운 경우, 자식이 원거리에 부모님이 사용하기 위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화면을 편집할 수 있다. The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10 may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of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20 by directly checking the received home screen screen information. The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10 may display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of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20 on a portion of the screen, and may be edited through a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have. In this way, the first user may remotely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of the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1020. For example, if an older parent living in a remote area is unable to directly edit a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the child may edit a personalized home screen screen for use by the parent at a distance.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에는 다양한 식별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각각의 사용자에게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제공하며, 식별된 사용자에 의해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이 편집되는 과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각각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은 사용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가 아닌 제3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1 through 10 describe a process of identifying a user through various identification methods,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to each identified user, and editing a home screen personalized by the identified user. . However, the right to edit each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be granted to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user identifi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 and purpose.

둘 이상의 사용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또는 특정한 대표 사용자에게만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족 구성원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가족 구성원 중에서 아버지 또는 어머니와 같은 부모님에게만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편집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인화 된 홈 스크린 편집 권한을 가진 부모님은 아이들이 시청할 수 없는 채널 및 응용프로그램을 홈 스크린에서 삭제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group two or more users into one group and to provide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to all the users who make up one group. The right to edit a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be equally given to all users constituting a group, or the right to edit a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be granted only to a specific representative user. For example, one family member can be grouped into one group, and only the parent, such as father or mother, can be given personalized home screen editing rights. In this case, parents with personalized home screen editing rights can delete channels and applications from their home screens or restrict their use.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110: 사용자 식별부
111: 영상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
112: 음성입력부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부
120: 입력부
121: 사용자 버튼
122: 탐색 버튼
123: 기능 버튼
130: 홈 스크린 처리부
131: 통신부
132: 제어부
133: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
1331: 개인정보 저장부
1332: 홈 스크린 정보 저장부
1333: 사용 패턴 정보 저장부
1334: 광고콘텐츠 저장부
134: 영상표시부
140: 클라우드 서버
611: 제1 사용자
612: 제2 사용자
613: 제1 홈 스크린
614: 제2 홈 스크린
622: 제1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623: 제2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810: 개인화 된 홈 서비스 제공 장치
820: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
1010: 제1 개인화 된 홈 서비스 제공 장치
1020: 제2 개인화 된 홈 서비스 제공 장치
1050: 클라우드 서버
110: user identification unit
111: user identification unit using an image input unit
112: user identification unit using the voice input unit
120: Input unit
121: user button
122: navigation button
123: function button
130: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31: communication unit
132:
133: user data storage unit
1331: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332: home screen information storage unit
1333: usage pattern information storage unit
1334: advertising content storage unit
134: image display unit
140: cloud server
611: first user
612: second user
613: first home screen
614: second home screen
622: a device for providing a first personalized home screen
623: second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810: personalized home service provision device
820: mirrored smart remote control
1010: first personalized hom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20: second personalized hom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50: cloud server

Claims (19)

사용자로부터 로그인(log-in) 정보 또는 사용자 신체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식별부; 및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출력하는 홈 스크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A user identif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g-in information or user body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a user; And
Compa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with a plurality of stored user personal information to search for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the user, and personalized based on the identified user personal information A home screen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the home screen on the screen;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 특징 정보는 홍채 정보, 지문 정보, 얼굴 윤곽 정보 및 음성 정보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user body featur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ris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face contour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 처리부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신체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정보, 미리 설정한 홈 스크린의 레이아웃(layout), 테마(theme)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홈 스크린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시청 이력 및 북마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User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pre-stored user body feature information, a preset home screen layout, home screen information including a theme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 user's past viewing history and bookmarks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by storing usage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해당하는 ID(identification)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gin information includes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ID) and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 처리부는,
상기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When there is no correspon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for requesting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to the cloud server storing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cloud server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통해 다른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에서 동일한 상기 홈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wherein the same personalized home screen can be provided by another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through user pers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상대방의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may access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cloud server to remotely edit the home screen of the other party, and provide a personalized home scree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은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홈 스크린의 레이아웃(layout), 테마(theme)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홈 스크린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시청 이력 및 북마크를 포함하는 사용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include home screen information including a layout, a theme,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a home screen preset by the user, and a usage pattern including a viewing history and a bookmark of the user.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 처리부는,
둘 이상의 사용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그룹에 포함된 둘 이상의 사용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게 그룹 전체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me screen processing unit,
Personalized home, characterized in that to classify two or more users into one or more groups, and to give any one of the two or more users included in the classified group the right to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of the entire group Screen providing device.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최적화 된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
Collec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Comparing the col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a plurality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Identifying the user through user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ptimized for the user on a screen based on the correspon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로그인(log-in)을 위한 ID와 비밀번호, 상기 사용자의 신체 특징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n ID and password for log-in, body featur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signal of an in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the plurality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from a cloud server;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최적화 된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에 포함된 홈 스크린의 레이아웃(layout), 테마(theme)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홈 스크린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사용자의 과거 시청 이력 및 북마크를 포함하는 사용 패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최적화 된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output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ptimized for the user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rrespon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Use based on home screen information including a layout, a theme,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a home screen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including a past viewing history and a bookmark of the user A method of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comprising genera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ptimized for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pattern information.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의 화면을 복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하는 편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
A touch screen unit having a touch screen interface, which duplicates a screen of a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user identified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and outputs the screen to a screen; And
An editing unit to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based on an input received through the touch screen interfac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 comprising a.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은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형태로 스마트 기기에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
The method of claim 14,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 is a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on a smart device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Applica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응용프로그램의 크기 또는 위치를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의 레이아웃(Layout)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
The method of claim 14,
The editing unit,
Based on a touch input received from a user, the size or position of an application constituting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be edited, and the layout of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may be set. remote control.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은,
구비된 음성 센서 또는 동작 센서를 이용한 음성 명령, 특정 제스처 및 눈동자의 움직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통해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형 스마트 리모콘.
The method of claim 14,
The mirror type smart remote control,
Mirrored smart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for editing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through at least one input from the voice command, a specific gesture and the movement of the eyes using the provided voice sensor or motion sensor.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 및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 및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호 간에 상기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편집할 수 있는 둘 이상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시스템.
A cloud server that stores a plurality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personalized home screens; And
Outputs a personalized hom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on the scree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and provides two or more personalized home screens that can edit the personalized home screens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loud server. Devic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는,
상기 둘 이상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에서 설정된 개인화 된 홈 스크린을 다른 하나의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at least two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Personalized home, characterized in that to share the personalized home screen set in any one of the at least one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with the other personalized home screen providing device through the cloud server Screen providing system.
KR1020130064263A 2012-08-17 2013-06-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KR101526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49,576 US20140053189A1 (en) 2012-08-17 2013-07-2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62 2012-08-17
KR20120090262 2012-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852A true KR20140023852A (en) 2014-02-27
KR101526491B1 KR101526491B1 (en) 2015-06-05

Family

ID=5026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263A KR101526491B1 (en) 2012-08-17 2013-06-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491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127A (en) * 2014-12-18 2016-06-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086275A1 (en) * 2015-04-21 2016-10-26 Xiaomi Inc. Numerical value transfer method, terminal, cloud server,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70028104A (en) * 2015-09-03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53451A (en) * 2017-11-10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Server,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102507A (en) * 2018-02-26 2019-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WO2020040579A1 (en) * 2018-08-24 2020-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ntrol device
CN112602052A (en) * 2018-08-24 2021-04-02 三星显示有限公司 Contro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516B1 (en) 2018-01-09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thereof
KR102613249B1 (en) * 2021-11-05 2023-12-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and personalization service through personal voice identific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aratu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489B1 (en) * 2009-03-25 2011-11-08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providing cloud computing-based integrated user environment and device thereof
KR101044747B1 (en) * 2009-06-23 2011-06-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P set-top box for IPTV and EPG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KR101657565B1 (en) * 2010-04-21 201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748647B1 (en) * 2011-01-26 2017-06-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Controlling AVN By Smart Phon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127A (en) * 2014-12-18 2016-06-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086275A1 (en) * 2015-04-21 2016-10-26 Xiaomi Inc. Numerical value transfer method, terminal, cloud server,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70028104A (en) * 2015-09-03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53451A (en) * 2017-11-10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Server,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601725B2 (en) 2017-11-10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02507A (en) * 2018-02-26 2019-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1228815B2 (en) 2018-02-26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WO2020040579A1 (en) * 2018-08-24 2020-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ntrol device
CN112602052A (en) * 2018-08-24 2021-04-02 三星显示有限公司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491B1 (en)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76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levant season series recording functionality
KR1015264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US201400531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JP62728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user within a detection area of a media device
JP55844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media guidance dashboard application
US88504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interface based on time of day
US2023000734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ng media guidance among multiple devices
JP2019071621A (en) User defined rules for assigning destinations of content
CA266474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interface based on time of day
US20130257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on a user equipment having a multi-region touch sensitive display
US20130326583A1 (en) Mobile computing device
JP2017212740A (en) Maintaining user profile based on dynamic data
US201402820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user input interfaces
US201401728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US200800921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interface based on time of day
JP69148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duplicates between calendar appointments and media asset transmission times
US20080092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interface based on time of day
WO2022012271A1 (en) Display device and server
WO2017028622A1 (en) Remote control method, controlled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EP3906695A1 (en) Network-connected television devices with knowledge-based media content recommendations and unified user interfaces
KR20170132867A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cluster-based search results
WO2021197068A1 (en) Display device and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WO2023246157A1 (en) Display device and channel processing method
KR20240003719A (en) Network-connected television devices with knowledge-based media content recommendations and unified user interfaces that present upcoming media content
JP2014017791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gram,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distribution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