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177A -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 Google Patents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177A
KR20140020177A KR1020130025711A KR20130025711A KR20140020177A KR 20140020177 A KR20140020177 A KR 20140020177A KR 1020130025711 A KR1020130025711 A KR 1020130025711A KR 20130025711 A KR20130025711 A KR 20130025711A KR 20140020177 A KR20140020177 A KR 2014002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image
display device
wear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5868B1 (en
Inventor
박종일
서병국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3/873,617 priority Critical patent/US9568735B2/en
Publication of KR2014002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ensing function is disclosed. The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ensing function includes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a sensor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user's circumstances; a sensing part for determining a dangerous situ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sensor unit; and an alarm information output part for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ing part. The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ensing function effectively senses dangerous objects including vehicles; and secures safety for users by properly controlling the images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which obstructs user's field of vision. [Reference numerals] (200) Determination unit; (202)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04) Storage unit; (206) Processor; (208) Interface reception unit; (210) Function limit unit; (212) Setting unit; (214) Video driver; (216) Audio driver

Description

감지 기능을 구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Wearable display device with a sensing function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본 발명은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 기능을 구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ensing function.

대표적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HMD(Head Mounted Display)는 비행기의 고도, 속도 등의 비행 정보를 조종사가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탄생한 장치이다. 일반 상업용 제품은 199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1997년 이후로 상용화 제품이 나오면서 많은 주목을 받았었다. The HMD (Head Mounted Display), which is a typical wearable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was created to allow pilots to know flight information such as altitude and speed of an airplane. Commercial commercial products were developed in the 1990s, and since 1997 commercialization product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HMD는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전방의 가상 이미지의 대형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1인치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급 광학 기술이 적용되어 약 100배 확대에 가까운 화면을 볼 수 있다. HMD is a device that allows you to wear a head like a pair of glasses to see a large screen of a virtual image of the front. The display used here is generally one inch or less in size. You can see the screen.

HMD와 같은 주변기기의 기술 개발 및 상용화로 웨어러블 컴퓨팅 산업의 성장도 기대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HMD는 주로 영화나 게임을 즐기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소형화화 LCD로 대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웨어러블(Wearable) 모니터로서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용화된 제품도 출시되었다. The development of the wearable computing industry is also expected due to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peripheral devices such as HMD. In recent years, the HMD has been mainly developed for enjoying movies and games. However,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conducted as a wearable monitor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a display device and a video communica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a high-performance and miniaturized LCD of a computer system. Products were also released.

HMD 시장은 과거 수 년 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인해 시장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웨어러블 컴퓨터 산업에 편승해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웨어러블 HMD는 산업현장,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대형기기의 정비 현장, 물류 창고 등은 물론 자동차 경주와 같은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분야로까지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HMD market has suffered many difficulties in the market due to relatively high prices in the past few years, but the market is expected to grow sharply in the wearable computer industry. The wearable HMD is expected to be extended to the sports field such as automobile racing as well as maintenance sites, warehouses, etc. of large-sized equipment such as industrial sites, automobiles, aircrafts and ships.

특히,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은 컴퓨팅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HMD는 단순히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에 그치지 않고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컴퓨팅 장치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n particular, advances in processors and software technologies have enabled miniaturization of computing devices, and HMDs are expected to evolve into personal computing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not just devices that display images.

HDM가 개인용 컴퓨팅 장치로 활용될 경우 실내 환경에서는 물론 실외 환경에서도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HMD의 디스플레이는 시야에 상당한 영향을 주므로 사용자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When HDM is used as a personal computing device,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indoor as well as outdoor environments. HMD's display can affect the user's safety because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eld of view.

예를 들어, HMD를 착용하고 길을 걷고 있을 때 HMD의 디스플레이는 갑작스럽게 나타난 차량이나 기타의 위험 객체를 사용자가 인지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ile walking on the road wearing the HMD, the display of the HMD can interfere with the user's perception of suddenly appearing vehicles or other dangerous objects, which can seriously affect the safety of the user.

본 발명은 실외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ear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safely used even in an outdoor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챠량과 같은 위험 객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ear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detecting a dangerous object such as a vehicle and promoting user safety.

또한, 본 발명은 시야를 가리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적절히 제어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ear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controlling an image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covering a field of view, thereby promoting user safe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유닛; 상기 센서 유닛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알람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sensor unit for acquiring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And an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larm information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기능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earabl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limiting unit that deactivates a specific function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의 주변에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객체 감지부를 포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includes a dangerous object detec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dangerous object exists near a user.

상기 위험 객체 감지부는 감지된 객체가 위험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객체 특징 분석부, 감지된 객체의 속도를 분석하는 객체 속도 분석부 및 감지된 객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객체 방향 분석부를 포함한다. The dangerous object detector includes an object feature analyzer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object is a dangerous object, an object speed analyzer to analyze the speed of the detected object, and an object direction analyzer to analyz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etected object.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환경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Th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n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movem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ovement speed of the user.

상기 환경 판단부는 조도, 조명 파장, 온도, GPS 수신율, 특정 무선 신호의 수신 여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environment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using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illuminance, illumination wavelength, temperature, GPS reception rate, and whether a specific wireless signal is received.

상기 위험 객체 감지부는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비활성화된다. The dangerous object detector is deactivated when the user is located indoors or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speed.

상기 기능 제한부는 상기 알람 정보가 출력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위험 상황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The function limiting unit deactivates a specific function when a dangerous situation is not solved even after a preset time elapses after the alarm information is output.

상기 기능 제한부는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를 중단시키거나 이미지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 이하로 축소시킨다. The function limiting unit stops the display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or reduces the size of the image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유닛; 상기 센서 유닛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를 중단시키거나 이미지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 이하로 축소시키는 기능 제한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sensor unit for acquiring situation information about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 movement detecting unit detecting a moving speed of a user based on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speed, a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unction limiting unit which stops display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or reduces the size of the image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및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n image to a user, comprising the steps of: (a) acquir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step (a); And (c)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ep (b).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및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c)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n image to a user, comprising the steps of: (a) acquir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step (a); And (c) deactivating a specific function based o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b).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외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safely in an outdoor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과 같은 위험 객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시야를 가리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적절히 제어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detect a dangerous object, such as a vehicle, and appropriately control the image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covering the field of view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객체 감지부(300)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감지부의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형태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속도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
1 is a view showing an elet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unit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ul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odule configuration of the dangerous object detect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ule of the environ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xample of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in a video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larm message for a moving sp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표시 유닛(100), 연결 유닛(102), 인터페이스 유닛(104), 프로세서 유닛(106), 센서 유닛(108)을 포함하는 본체부(120) 및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100, a connection unit 102, an interface unit 104, a processor unit 106, and a sensor unit 108. It may include a main body 120 and a frame 110 to include.

프레임(110)은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인 바디이며,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110)에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들이 결합된다. The frame 110 is a main body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nd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glass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frame has a wearable structure on the user's head and the frame 110 is join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프레임(110)은 금속과 유전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컴퓨팅 동작 및 RF 신호 수신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유전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ame 1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ncluding a metal and a dielectric, but preferably, the frame 110 is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so as not to affect computing operations and RF signal reception.

도 1에는 안경과 유사한 형태의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으나, 프레임(11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일례로, 프레임은 헬멧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헤드폰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1 illustrates a frame similar to glasses, the frame 110 may have any shape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For example, the frame may have the form of a helmet, or it may have the form of a headphone.

프레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때, 프레임은 두 개의 렌즈 장착부(110a, 110b)를 구비한다. 안경 렌즈가 필요한 사용자는 안경 렌즈 장착부(110a, 110b)에 렌즈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When the frame has a shape similar to spectacles as shown in Fig. 1, the frame has two lens mounts 110a and 110b. A user who requires a spectacle lens may mount the lens on the spectacle lens mounting parts 110a and 110b.

또한, 프레임(100)은 사용자의 귀에 프레임을 착용하기 위한 두 개의 걸이부(110c, 110d)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rame 100 includes two hook parts 110c and 110d for wearing a frame on a user's ear.

본체부(120)는 인터페이스 유닛(104) 및 프로세서 유닛(106)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04)과 프로세서 유닛(106)은 별개의 하우징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main body 120 includes an interface unit 104 and a processor unit 106. The interface unit 104 and the processor unit 106 may be provided in separate housings 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인터페이스 유닛(104)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세서 유닛(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04)은 전원 온/오프와 같은 제 어 정보뿐만 아니라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실행, 통화, 정보 검색 등 다양한 제어 명령을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interface unit 104 functions to receive control information from a user and provide it to the processor unit 106. The interface unit 104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user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s well as control information such as power on / off.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control commands via the interface unit, such as playing a video, calling or retrieving information.

인터페이스 유닛(104)은 다양한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버튼을 통해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노트북의 마우스 컨트롤러와 같이 평면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interface unit 104 may be realiz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number of buttons, and a flat interface may be provided, such as a mouse controller of a notebook.

프로세서 유닛(10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The processor unit 106 function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 유닛(106)과 인터페이스 유닛(104)은 전기 신호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케이블 또는 기타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프로세서 유닛(106)은 인터페이스 유닛(104)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한다. The processor unit 106 and the interface unit 104 are connected via a cable or other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exchange electrical signals with each other, and the processor unit 106 is control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interface unit 104. Receive and process the user's request.

이미지 표시 유닛(100)은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 정보를 제공한다. 이미지 표시 유닛(100)은 사용자의 눈 전방에 설치된다. 이미지 표시 유닛(100)이 사용자의 눈 전방에 고정되도록 연결 부재(102)는 본체부(120)와 이미지 표시 유닛(100)을 연결한다. The image display unit 100 displays an image to provide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eyes of the user. The connection member 102 connects the main body 120 and the image display unit 100 so that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fix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연결 부재(102)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체부(120)는 프레임(110)의 걸이부(110c)와 평행하게 결합되고, 이미지 표시 유닛(100)은 프레임(110)의 걸이부(110c, 110d)와 수직으로 배치된다. The connecting member 102 may have an 'L' shape, and by this structure, the main body 120 is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hook portion 110c of the frame 110, and the image display unit 100 includes a frame ( It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hook portions 110c and 110d of the 110.

연결 부재(102)에는 프로세서 유닛(106)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제어 신호를 이미지 표시 유닛(100)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들이 내장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102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bles for providing an imag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rocessor unit 106 to the image display unit 100.

이미지 표시 유닛(100)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형태의 1인치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유닛(100)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때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야가 차단되는 이미지 표시 유닛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image display unit 100 may have a size of about 1 inch in the form of a micro display and display an image in various known ways.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not to disturb the user's view when the image is not displayed, but an image display unit may be used in which the view is blocked.

이미지 표시 유닛(100)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외부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An external light source may be used to display an image on the image display unit 100, or a method of emitting light by itself may be used.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방식으로 일례로 OLED가 이용될 수 있다. OLED는 전자와 홀이 주입되고 이들이 여기 상태를 거쳐 다시 재결합하는 것에 의해 발광하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기 때문에 별도의 외부 광원 없이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An OLED can be used as an example in a self-luminous manner. OLEDs emit light by injecting electrons and holes, recombining them through the excited state, and emit light by themselves, so that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mage without a separate external light source.

외부 광원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투과형 디스플레이가 이용될 수도 있다. 대표적인 방식으로 TFT-LCD가 있으며, TFT-LCD는 형광 램프에서 나온 빛이 반사 및 분산 장치에 의해 액정 패널 쪽으로 입사되는 구조를 가진다. 액정 패널은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비틀림 네마틱(TN) 액정이 채워져 있으며 빛이 입사된 쪽의 유리판 위에 TFT 및 ITO 화소와 액정 배향층이 있고 다른쪽의 유리판 위에는 컬러필터와 액정 배향층(폴리이미드)이 코팅된 구조를 가진다. A transmissive display may be used in a manner that utilizes an external light source. TFT-LCD is a typical method, and TFT-LCD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 emitted from a fluorescent lamp is incident on a liquid crystal panel by a reflection and dispersion device. The liquid crystal panel is filled with a twisted nematic (TN) liquid crystal between two glass plates, and has TFT and ITO pixels and a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on a glass plate on the side where light is incident, and a color filter and a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 Coated structure.

외부 광원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반사형 디스플레이가 이용될 수도 있다. 반사형 디스플레이의 일례로 LCoS가 있으며, LCoS 방식은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광원으로부터 빛을 반사시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디스플레이 소자로는 실리콘 기판을 주로 사용하며 소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고해상도의 이미지 표시가 가능하다. Reflective displays may be used in a manner that utilizes an external light source. LCoS is an example of a reflection type display, and LCoS is a reflection type display method in which light is reflected from a light source to display an image. As a display device, a silicon substrate is mainly used, and a high-resolution image can be displayed on a small display screen.

센서 유닛(108)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센서 유닛은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해 프레임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8)의 제1 기능은 사용자의 주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사용자 주변의 영상 정보는 위험 객체를 감지하기 위해 획득한다. 여기서, 위험 객체는 자동차 등과 같이 빠르게 이동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The sensor unit 108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user or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user. FIG. 10 is a front view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0, the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a fram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surrounding conditions. The first function of the sensor unit 108 is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user.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user is obtained to detect dangerous objects. Here, the dangerous object refers to an object that can move quickly such as an automobile and threaten the safety of the user.

센서 유닛(108)은 카메라와 같은 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넓은 범위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센서 유닛(108)은 광각 렌즈를 이용하는 카메라 또는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08 may acquire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by using an image sensor such as a camera. In order to acquire a wider range of image information, the sensor unit 108 may include a camera using a wide-angle lens or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 panoramic image.

센서 유닛(108)의 제2 기능은 조도, 온도와 같은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것이다. 조도와 같은 주변 환경 정보의 감지는 사용자가 실내 환경에 위치하는지 또는 실외 환경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second function of the sensor unit 108 is to sense ambient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illuminance and temperature. Detection of surrounding information such as illumination is intended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an indoor environment or an outdoor environment.

센서 유닛(108)의 제3 기능은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센서 유닛(108)은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third function of the sensor unit 108 is to detect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user. The sensor unit 108 may detect a moving speed of the user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센서 유닛(108)은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기능을 위해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08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for the first to third functions described above.

센서 유닛(108)은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위험 객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이미지 표시 유닛(100)과 가까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연결 유닛(10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08 is preferably disposed in an area close to the image display unit 100 in order to effectively detect dangerous objects existing around the user, and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102 as an example.

프로세서 유닛(106)은 센서 유닛(108)에서 획득하는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 유닛(106)은 센서 유닛(108)에 포함된 영상 센서에서 획득하는 영상 정보 등을 분석하여 주변에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해당 위험 객체가 빠른 속도로 사용자에게 근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processor unit 106 analyzes the sens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or unit 108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processor unit 106 analyzes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08 to determine whether a dangerous object exists in the vicinity and whether the dangerous object is approaching the user at a high speed.

프로세서 유닛(106)은 위험 객체가 사용자에게 근접한다고 판단될 경우 미리 설정된 알람 정보를 출력하거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제한시킨다. 물론 알람 정보의 출력과 기능 제한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능 제한의 일례로 표시되는 이미지가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중지시키거나 이미지의 사이즈를 축소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중지 또는 축소되는 이미지의 일례로 영상 통화 이미지 또는 재생되는 동영상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The processor unit 106 outputs preset alarm information or limits the func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ous object is close to the user. Of course, the output of alarm information and the function limitation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an example of the functional limitation, an operation of stopping the display of the image or reducing the size of the image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image displaye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r's field of view. An example of an image to be stopped or reduced may include a video call image or a reproduced video image.

또한, 프로세서 유닛(106)은 센서 유닛(108)에서 감지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한다면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위험 객체가 근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 및 알람 정보 출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위험을 감지하여 기능을 제한시키거나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은 사용자가 임의로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unit 106 analyz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08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or outdoors. If the user is indoors, it may be possible to disable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function and the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the dangerous object is approaching to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Of course, the function of detecting a danger and limiting the function or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may be arbitrarily deactivated by the user.

또한, 프로세서 유닛(106)은 센서 유닛(108)에서 감지하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며, 사용자의 이동 속도 역시 위험 객체가 근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킬 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보조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unit 106 determines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sensed by the sensor unit 108, and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also assists in 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a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a dangerous object is in proximity. It can be used as.

요컨대, 프로세서 유닛(106)은 사용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만한 위험 객체가 사용자에게 근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정보를 출력하거나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한한다. 또한, 이러한 감지 기능은 리소스 및 배터리 절약을 위해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거나 이동 중이 아닌 경우에는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short, the processor unit 106 determines whether a dangerous object that may affect the safety of the user is close to the user to output alarm information to the user or to limit the image display function. In addition, this sensing function is preferably deactivated when the user is not indoors or is not moving to save resources and batter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알람 정보를 출력하거나 기능을 제한할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user's moving speed exceeds a preset threshold, alarm information or a function may be limi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unit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106)은 판단부(200), 알람 정보 출력부(202), 저장부(204), 프로세서(206), 인터페이스 수신부(208), 기능 제한부(210), 설정부(212), 비디오 드라이버(214) 및 오디오 드라이버(21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processor unit 106 of the wearabl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200, an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02, a storage unit 204, a processor 206, The interface receiving unit 208, the function limiting unit 210, the setting unit 212, the video driver 214, and the audio driver 216 are included.

판단부(200)는 센서 유닛(108)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객체가 근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200)는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dangerous object is close to the user by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or unit 108.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and whether the user moves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spe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odule configur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200)는 위험 객체 감지부(300), 환경 판단부(302) 및 이동 감지부(30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determination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ngerous object detection unit 300, an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302, and a movement detection unit 304.

위험 객체 감지부(300)는 센서 유닛(108)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객체가 근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위험 객체 감지부는 센서 유닛(108)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객체가 근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angerous object detecting unit 300 analyze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unit 108 to determine whether the dangerous object is close to the user. The dangerous object detector may determine whether the dangerous object is close by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108.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객체 감지부(300)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the dangerous object detect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객체 감지부(300)는 객체 특징 분석부(400), 객체 속도 분석부(402), 객체 방향 분석부(404) 및 위험 판단부(40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dangerous object detector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bject feature analyzer 400, an object velocity analyzer 402, an object direction analyzer 404, and a risk determiner ( 406).

객체 특징 분석부(400)는 센서 유닛(108)에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 객체에 상응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위험 객체의 특징에 대한 정보는 미리 학습될 수 있으며 객체 특징 분석부(400)는 미리 학습된 위험 객체 특징에 상응하는 객체가 획득된 영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객체 특징은 객체의 형상 정보 및 객체의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bject feature analyzer 400 analyzes an image acquired by the sensor unit 108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dangerous object exists.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gerous object may be learned in advance, and the object feature analyzer 400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learned dangerous object feature exists in the acquired image. Here, the object characteristic may include shape information of the object, color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like.

객체 특징 분석부(400)는 획득한 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들의 특징과 미리 학습된 객체의 특징을 비교하여 획득한 영상에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객체 특징을 비교하는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bject feature analyzer 400 may determine whether a dangerous object exists in the acquired image by comparing the features of the objects existing in the acquired image with the features of the previously learned object. Since a method of comparing object features is widel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객체 속도 분석부(402)는 영상으로 포착되는 객체들의 이동 속도를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속도 분석을 위해 영상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레이더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object velocity analyzer 402 analyzes the moving velocity of the objects captured by the image. Image information may be used for speed analysis, or a separate radar or ultrasonic sensor may be used.

객체 방향 분석부(404)는 이동하는 객체들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객체 방향의 분석은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object direction analyzer 404 analyz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s. Analysis of object orientation can be performed using image information.

위험 판단부(406)는 객체 특징 분석부(400), 객체 속도 분석부(402) 및 객체 방향 분석부(404)에서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risk determination unit 406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object feature analyzer 400, the object velocity analyzer 402, and the object direction analyzer 404.

도 4에서는 위험 판단부(406)는 객체의 특징, 객체의 속도 및 객체의 방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위험상 상황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위험 판단부(406)는 미리 학습된 위험 객체가 존재할 경우 객체의 속도 및 객체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위험 객체가 임계 속도 이상으로 사용자 방향으로 근접할 경우에만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FIG. 4, the risk determining unit 406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eature of the object, the speed of the object, and the direction of the object. Judgment as to whether the situation is dangerous may be made based on various conditions. For example, the risk determination unit 406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dangerous regardless of the speed of the object and the direction of the object when there is a pre-learned dangerous object. Alternatively, the user may determine that the dangerous object is only dangerous if the dangerous object approaches the user's direction above the threshold speed.

다른 예로, 학습된 위험 객체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특정 객체가 임계 속도 이상으로 사용자 방향으로 근접할 경우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특정 객체가 사용자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황이 감지되면 위험 객체인지 여부 및 속도와는 무관하게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even if the learned dangerous object is not detected, the user may determine that the dangerous object is close to the user at a speed higher than the threshold speed. As another example, when a situation in which a specific object moves toward the user is detected, the user may be determined to be dangerou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a dangerous object.

환경 판단부(302)는 사용자가 위치한 환경이 실내 환경인지 또는 실외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The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302 functions to determine whethe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is an indoor environment or an outdoor environm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판단부의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of an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판단부(302)는 조도 감지부(500), 조명 파장 감지부(502) 및 온도 감지부(50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environment determiner 3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lluminance detector 500, an illumination wavelength detector 502, and a temperature detector 504.

조도 감지부(500)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조도를 감지하며, 조명 파장 감지부(502)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조명의 파장을 감지하고, 온도 감지부(504)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를 감지한다. 조도, 조명 파장, 온도는 알려진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하다. The illuminance detector 500 detects the illuminance of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the illumination wavelength detector 502 detects the wavelength of the light of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temperature detector 504 is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Detect it. Illuminance, illumination wavelength, and temperature can be obtained from known sensors.

환경 판단부(302)는 조도, 조명 파장 및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환경 판단부(302)는 위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추가적인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환경 판단부(302)는 조도가 미리 설정된 조도 범위 내에 위치하고 조명의 파장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environmental determiner 302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by using the illuminance, the illumination wavelength,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course, the environmental determination unit 302 may selectively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is located indoors by using the above information, or may use addition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environment determiner 302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doors when the illuminance is within the preset illuminance range and the wavelength of the illumination is within the preset range.

도 5와는 달리, 환경 판단부(302)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여 GPS 신호의 수신율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환경 판단부(302)는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환경 판단부(302)는 특정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설치된 RFID 또는 NFC 모듈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의해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Unlike FIG. 5, the environment determiner 302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by using a wireless sig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ocated indoors and the reception rate of the GPS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he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302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located indoors. Alternatively, the environment determiner 302 may determine whether to be located indoors by using a specific radio signal.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by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n RFID or NFC module installed indoors.

물론, 환경 판단부(302)는 조도, 조명 파장, 온도, GPS 수신율, RFID 또는 NFC와 같은 특정 무선 신호의 수신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가 실내 환경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environment determiner 302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door environment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whether to receive a specific wireless signal such as illuminance, illumination wavelength, temperature, GPS reception rate, RFID, or NFC.

이동 감지부(304)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감지되는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판단한다. 또는, 이동 감지부(304)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movement detector 304 determines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by using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lternatively, the movement detector 304 may determine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by using the GPS signal.

이동 감지부(304)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사용자가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한다. The movement detector 304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dangerous state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알람 정보 출력부(202)는 판단부(200)에서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알람 정보 출력부(202)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형태로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02 functions to output alarm information when the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dangerous.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02 may output alarm information in the form of audio or video.

일례로, 알람 정보 출력부(202)는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는 사운드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이미지 표시 유닛에 알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For example,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02 may output a sound informing the user of danger, and notify the user of the dangerous situation. As another example,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02 may display the alarm information on the image display unit to notify the user of the dangerous situation.

알람 정보 출력부(202)는 비디오 드라이버(214) 또는 오디오 드라이버(216)에 제어 정보를 제공하여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형태로 미리 설정된 알람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알람 정보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형태로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다.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02 provides control information to the video driver 214 or the audio driver 216 to output the preset alarm information in the form of audio or video. Of course, the alarm information may be output simultaneously in the form of audio or video.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형태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llustrates an example of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in a video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표시되던 이미지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위험 대상 감지" 라는 알람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람 정보의 디스플레이로 인해 사용자는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착용형 디스플레이의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larm information called “dangerous object detection” may be displayed in an overlay manner on the displayed image. This display of alarm information allows the user to detect a dangerous situation and stop using the wearable display.

알람 정보는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향후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도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일 경우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형태로 알람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The alarm information may be output even if the user is moving at a high speed and may be exposed to danger in the future. That is,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speed, the alarm information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udio or video.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속도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larm message for a moving sp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기존에 표시되던 이미지에 오버레이 형식으로 "빠른 속도 이동중" 이라는 알람 메시지로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n alarm message of “fast speed moving” may be displayed on an image that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in an overlay format.

기능 제한부(210)는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제한시킨다. 일례로, 기능 제한부(210)는 이미지 표시 유닛(100)의 이미지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시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착용형 디스플레이의 장치의 기능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미지의 표시 사이즈가 사용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축소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function limiting unit 210 limits the func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For example, the function limiting unit 210 may limit the function of the device of the wearable display such that the image is not displayed by deactivating the image display function of the image display unit 100. Alternatively, the display size of the image may be reduced so as not to disturb the user's field of view.

또는 기능 제한부(210)는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 오디오 출력 기능을 제한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the function limiting unit 210 may limit the audio output fun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기능 제한부(210)는 알람 정보의 출력 후에도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The function limiting unit 210 may operate to deactivate a specific func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when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user is not solved even after the alarm information is output.

이와 달리, 기능 제한부(210)는 알람 정보의 출력 후 즉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function limiting unit 210 may deactivate a specific func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mmediately after output of the alarm information.

또 다른 실시예로, 알람 정보의 출력이 생략되고 기능 제한부(210)를 통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징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알람 정보를 출력이 생략되는 경우는 위험 객체가 매우 빠른 속도로 근접하는 경우로서 사용자의 위험 정도가 매우 위급하다고 판단될 때 알람 정보의 출력이 생략되고 즉시 특정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put of the alarm information may be omitted and the feature func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may be deactivated through the function limiting unit 210. If the alarm information is omitted, the dangerous object is approaching at a very high spe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gree of danger of the user is very urgent, the output of the alarm information may be omitted and a specific function may be immediately deactivated.

설정부(212)는 위험 정보를 감지하고 출력하는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위험 정보를 감지하고 출력하는 기능은 상당한 전력을 요구하므로, 배터리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특정 상황에서 설정부(212)는 위험 정보를 감지하고 출력하는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한다. The setting unit 212 serves to set activation / deactivation of a function of detecting and outputting danger information. Since the function of detecting and outputting the dangerous information requires considerable power, in order to increase the battery use efficiency, the setting unit 212 may disable the function of detecting and outputting the dangerous information in a specific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부(212)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의해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일례로, 사용자에게는 본 발명의 위험 객체 감지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 발명의 감지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명령이 선택될 경우 설정부(212)는 본 발명의 감지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알람 정보 출력 기능 및 기능 제한 기능 역시 활성화/비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unit 212 deactivates a specific function by a user's control command. For example, the user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for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dangerous object det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a control command for deactivating the det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interface, the setting unit 212 selects the present invention. Deactivate the detection function of. In addition,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function and the function limitation function may also be enabled / disabl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부(212)는 판단부(200)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이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00)에서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될 경우 설정부(212)는 위험 객체 감지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판단부(200)에서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하일 경우 설정부(212)는 위험 객체 감지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거나 이동 중이 아니라고 판단될 때 알람 정보 출력 기능 및 기능 제한 기능 역시 비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unit 212 may deactivate a specific function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200. For example, when the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located indoors, the setting unit 212 may deactivate the dangerous object detection func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n the determination unit 20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speed, the setting unit 212 may deactivate the dangerous object detection function.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located indoors or moving,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function and the function limit function may also be deactivated.

인터페이스 수신부(208)는 인터페이스 유닛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명령을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The interface receiving unit 208 is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interface unit to receive a user's interface command.

저장부(204)는 본 발명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The storage unit 204 stores a program and user data for driving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비디오 드라이버(214)는 이미지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며, 오디오 드라이버(216)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비디오 드라이버(214) 및 오디오 드라이버(216)는 알람 정보 출력부(202)의 제어에 따라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제한부(210)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드라이버(214) 및 오디오 드라이버(216)는 그 동작이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The video driver 214 generates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audio driver 216 functions to generate an audio signal. The video driver 214 and the audio driver 216 may output alarm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02. In addition, the video driver 214 and the audio driver 216 may be de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function limiting unit 21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유닛(10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800). Referring to FIG. 8,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plays an image on the image display unit 100 (step 800).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 유닛(108)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내 환경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단계 802). The wearable display device use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08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whether the user is moving (step 802).

판단된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객체 감지 기능을 활성화시킬지 또는 비활성화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804). 위험 객체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실내 환경에 위치하고 이동 중이지 아닐 때 비활성화될 수도 있으며, 실내 환경에 위치하거나 이동 중이 아닌 경우 중 어느 하나만 만족할 경우에 비활성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determined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activate or deactivate the dangerous object detection function (step 804). The dangerous object detection function may be deactivated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is not moving, or may be deactivated when only one of the cases where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door environment or is not moving is satisfied.

감지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806).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주변의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해당 위험 객체가 사용자에게 근접하는지 여부에 의해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If the detection function is activ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step 806).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whether there is a dangerous object around the user and whether the dangerous object is close to the user.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알람 정보를 출력한다(단계 808). 알람 정보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의 형태로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출력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utputs alarm information (step 808). The alarm information is output in a form of video or audio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또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능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810). 예를 들어, 알람 경고의 출력에도 불구하고 위험 상황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능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function (step 810). For example, when the dangerous situation is not solved despite the output of the alarm warning, the wearable display device may determine that the function needs to be limited.

기능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기능 제한을 수행한다(단계 812). 기능 제한은 이미지 표시를 중단시키거나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 이하로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 needs to be limited, the wearable display device performs a preset function limitation (step 812). The functional limit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stopping the image display or reducing the image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도 8에는 알람 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진 후 기능 제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기능 제한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람 정보의 출력과 기능 제한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8 illustrates a process of performing a function limit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unction limitation is necessary after the output of the alarm information, the output and function limitation of the alarm information may be selectively and simultaneously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유닛(10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900). 9, the wearabl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on the image display unit 100 (operation 900).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 유닛(108)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내 환경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902). The wearable display device use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08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whether the user is moving (902).

판단된 정보에 기초하여 감지 기능을 활성화시킬지 또는 비활성화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904). 도 8과 동일하게,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실내 환경에 위치하고 이동 중이지 아닐 때 비활성화될 수도 있으며, 실내 환경에 위치하거나 이동 중이 아닌 경우 중 어느 하나만 만족할 경우에 비활성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determined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activate or deactivate the sensing function (step 904). As in FIG. 8, the sensing function may be deactivated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is not moving. Alternatively, the sensing function may be deactivated when only one of the cases where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door environment or is not moving is satisfied.

감지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906). If the detection function is activ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step 906).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가 판단되면, 위험 정도에 대한 레벨을 판단한다(단계 908). 여기서 위험 정도에 대한 레벨은 높음(제1 레벨) 및 아주 높음(제2 레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위험 정도가 매우 높은지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다. I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 level for the degree of danger is determined (step 908). The level of risk here can be divided into high (first level) and very high (second level).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gree of danger of the user is very high.

사용자의 위험 정도가 매우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알람 정보의 출력을 생략하고 기능을 제한시킨다(단계 9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isk of the user is very high, the wearable display device skips the output of the alarm information and limits the function (step 910).

사용자의 위험 정도가 매우 높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알람 정보를 출력한다(단계 912). 알람 정보의 출력에도 불구하고 위험 상황이 해소되지 않아 기능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제한시킨다(단계 91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gree of danger of the user is not very high, alarm information is output as shown in FIG. 8 (step 91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is not solved due to the output of the alarm information and the function needs to be limited, the func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s limited (step 91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인 상태 등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으로 판단되며,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능이 차단된 경우, 차단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오디오로 제공하는 오디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state in which the user's moving speed is more than the threshold speed, and when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image is blocked, information about the block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It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unit provided to.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이미지 형태로 안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임계속도 이상이 되어 이미지 표시 기능이 제한되는 경우, 오디오부는 차단된 이미지, 즉 길 안내에 대한 정보를 오디오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For example, when the navigation function is executed to guide the user in the form of an image and the user's moving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speed, and the image display function is limited, the audio unit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blocked image,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driving direction. To convert and provide it to the us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20)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유닛;
상기 센서 유닛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알람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sensor unit for acquiring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And
And an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larm information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기능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unction limiting unit configured to deactivate a specific func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의 주변에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객체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rmination unit includes a dangerous object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dangerous object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객체 감지부는 감지된 객체가 위험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객체 특징 분석부, 감지된 객체의 속도를 분석하는 객체 속도 분석부 및 감지된 객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객체 방향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angerous object detection unit includes an object feature analyzer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object is a dangerous object, an object speed analyzer to analyze the speed of the detected object, and an object direction analyzer to analyz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etected object. Wear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환경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etector may further include an environment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etermin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movement speed of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판단부는 조도, 조명 파장, 온도, GPS 수신율, 특정 무선 신호의 수신 여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environment determining unit wear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using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illuminance, illumination wavelength, temperature, GPS reception rate, or whether a specific wireless signal is receiv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객체 감지부는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angerous object detecting unit may be deactivated when the user is located indoors or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spe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한부는 상기 알람 정보가 출력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위험 상황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unction limiting unit deactivates a specific function if a dangerous situation is not solved even after a preset time elapses after the alarm information is out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한부는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를 중단시키거나 이미지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 이하로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unction limiting unit stops display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or reduces the size of the image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유닛;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유닛;
상기 센서 유닛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이미지 표시 유닛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를 중단시키거나 이미지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된 사이즈 이하로 축소시키는 기능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sensor unit for acquiring situation information about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 movement detecting unit detecting a moving speed of a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And a function limiting unit configured to stop display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or reduce the size of the image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spe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이며,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능이 제한된 경우, 차단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오디오로 제공하는 오디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dio uni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blocked image as audio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speed and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image is limited.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및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n image to a user,
Obtaining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step (a); And
And (c)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ep (b).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d) deactivating a specific func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ep (b).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사용자의 주변에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b) is a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dangerous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us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객체 특징, 객체 속도 및 객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b) determining whether a dangerous object exists based on at least one of an object feature, an object speed, and an object dire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b)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doors and whether the user is mov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실내에 있거나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주변에 위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determining that there is a dangerous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indoors or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spe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알람 정보가 출력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위험 상황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d) is a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risk situation is not solved even after a preset time elapses after the alarm information is output.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및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n image to a user,
Obtaining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step (a); And
And (c) deactivating a specific func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ep (b).
KR1020130025711A 2012-08-07 2013-03-11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KR1013758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73,617 US9568735B2 (en) 2012-08-07 2013-04-30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dete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6484 2012-08-07
KR1020120086484 2012-08-07
KR1020120092937 2012-08-24
KR20120092937 2012-08-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368A Division KR20140020214A (en) 2012-08-07 2013-08-28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77A true KR20140020177A (en) 2014-02-18
KR101375868B1 KR101375868B1 (en) 2014-03-17

Family

ID=502673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711A KR101375868B1 (en) 2012-08-07 2013-03-11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KR1020130102368A KR20140020214A (en) 2012-08-07 2013-08-28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KR1020130152448A KR101952972B1 (en) 2012-08-07 2013-12-09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368A KR20140020214A (en) 2012-08-07 2013-08-28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KR1020130152448A KR101952972B1 (en) 2012-08-07 2013-12-09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375868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1747A1 (en) * 2014-08-05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016540A (en)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wearable glasses for providing a content
KR20160054397A (en) * 2014-11-06 201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warning the danger
KR20160143373A (en) * 2015-06-05 201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1897425A (en) * 2014-07-31 2020-11-06 三星电子株式会社 Wearable glasse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20210082586A (en) * 2019-12-26 2021-07-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WO2024075924A1 (en) * 2022-10-07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951A2 (en) * 2014-07-10 2016-01-14 넥시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ing wearable device
US9947215B2 (en) * 2014-09-26 2018-04-1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Pedestrian inform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903A (en) * 2003-01-31 2004-08-19 Nikon Corp Head-mounted display
JP2005252735A (en) 2004-03-04 2005-09-15 Olympus Corp Head-mounted display having danger prevention function
JP2006146778A (en) 2004-11-24 2006-06-08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Head mount display device
JP2006205930A (en) * 2005-01-28 2006-08-10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Image display device
JP5145669B2 (en) 2006-08-21 2013-02-20 株式会社ニコン Portabl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wearable display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540A (en)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wearable glasses for providing a content
CN111897425A (en) * 2014-07-31 2020-11-06 三星电子株式会社 Wearable glasse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11150738B2 (en) 2014-07-31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glasse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 using the same
CN111897425B (en) * 2014-07-31 2024-03-12 三星电子株式会社 Wearable glasse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WO2016021747A1 (en) * 2014-08-05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444930B2 (en) 2014-08-05 2019-10-15 Lg Electronics Inc.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054397A (en) * 2014-11-06 201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warning the danger
KR20160143373A (en) * 2015-06-05 201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10082586A (en) * 2019-12-26 2021-07-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WO2024075924A1 (en) * 2022-10-07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214A (en) 2014-02-18
KR101952972B1 (en) 2019-02-27
KR20140020217A (en) 2014-02-18
KR101375868B1 (en)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868B1 (en)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US9568735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detection function
KR101321157B1 (en)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liding structure
US9465216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US9726895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liding structure
KR101747616B1 (en) On-head detection for head-mounted display
US8493204B2 (en) Displaying sound indications on a wearable computing system
US9864198B2 (en) Head-mounted display
JP7241778B2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OF AUTOMATIC GUIDED VEHICLE
US8957916B1 (en) Display method
US9351141B2 (en) Headset computer with handsfree emergency response
KR20160066605A (en) Wearable display device
US20160070101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form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201501121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Movement of an Electronic Device
CN109104689B (en) Safety warning method and terminal
KR101952973B1 (en) Wearable Display Deice
WO202102635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ncreasing pedestrian awareness during mobile device usage
CN112954265A (en) Early warn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CN113034822A (e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for prompting user
KR101619267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20130077623A (en) Apparatus for driving guidan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891837B1 (en) Wearable Display Deice Using Augmented Reality
KR20240018331A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obstacle-related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