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055A -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055A
KR20140020055A KR1020120086435A KR20120086435A KR20140020055A KR 20140020055 A KR20140020055 A KR 20140020055A KR 1020120086435 A KR1020120086435 A KR 1020120086435A KR 20120086435 A KR20120086435 A KR 20120086435A KR 20140020055 A KR20140020055 A KR 2014002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balance
account
electronic wallet
wallet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박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8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0055A/ko
Priority to US13/961,221 priority patent/US20140046788A1/en
Publication of KR2014002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with the personal data of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결제 방법은, 전화번호에 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해 구매된 상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Payment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신용카드, 현금 지급 없이 사용자의 전자 지갑을 통해 실시간으로 결제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결제 방법은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현금 지급, 실계좌 이체 또는 신용카드를 구비한 상태에서의 결제가 일반적인 방법이다. 물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신용카드 결제를 위해서는 신용카드 정보가 사용자 단말상에 저장되어 있어야만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사용자가 별도로 현금 또는 신용카드를 소지하여야 하거나, 사용자 단말상에 신용카드 정보가 저장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사용자 단말상에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신용카드 정보가 악의적인 방법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현금, 신용카드 소지 또는 사용자 단말상에 저장 없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신용카드, 현금을 소지 하지 않고, 사용자의 전자 지갑을 통해 실시간으로 결제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도 전자 태그 인식을 통해 전자 지갑에서 실시간으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수의 신용카드 또는 현금을 소지할 필요가 없어, 분실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불카드와 전자 지갑을 동기화시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사용자 단말은 가맹점에 부착 또는 가맹점 단말을 통해 표출된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 정보를 획득함;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에 연계된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에 연계된 제2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상기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전화번호이다.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 중 적어도 하나와의 잔액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선불카드와 연동된 경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선불카드의 사용을 승인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가상 계좌와 연동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전자 지갑 계정이 가상 계좌와 연동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가상 계좌의 잔액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전체 잔액 중 사용 용도가 결제 허용된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그룹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변동된 잔액 정보를 상기 그룹의 모계정의 전체 잔액에 차감하여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상기 결제 금액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포함된 그룹의 모계정에 대응하는 대표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잔액 부족에 따른 결제 미처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계정에서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으로 상기 결제 금액 중 부족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확인 요청을 상기 대표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부족한 결제 금액을 상기 모계정의 잔액에서 차감하고,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합산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상기 결제 금액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포함된 그룹의 모계정에 대응하는 대표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잔액 부족에 따른 결제 미처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계정에서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으로 상기 결제 금액 중 부족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확인 요청을 상기 대표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만큼 결제 금액 일부를 차감하고, 나머지 결제 금액을 상기 모계정의 잔액에서 차감하고, 상기 제2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상기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 처리하는 단계이다.
선불 카드 결제에 따른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상기 잔액 정보와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불 카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스마트카드에 발급된 교통카드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교통카드의 결제에 따른 잔액 변동시 상기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은 복수의 타 계좌와 연동되고, 상기 복수의 타 계좌는 각각 사용에 따른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는 것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른 타 계좌 순으로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 지갑에 기반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상기 사용자 단말은 가맹점에 부착 또는 가맹점 단말을 통해 표출된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 정보를 획득함;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에 연계된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에 연계된 제2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상기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 처리하는 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기 결제 결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결제 지원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 중 적어도 하나와의 잔액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선불카드와 연동된 경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선불카드의 사용을 승인하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가상 계좌와 연동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2 전자 지갑 계정이 가상 계좌와 연동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가상 계좌의 잔액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그룹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잔액 변동을 상기 그룹의 모계정의 잔액에 반영할 수 있다.
각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은 사용 용도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관리되며, 상기 모계정은 그룹 구성원 각각의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사용 용도에 따라 통합하여 사용 용도별 전체 잔액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전체 잔액 중 사용 용도가 결제 허용된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 처리하되,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모계정의 사용 용도별 전체 잔액 중 상기 결제 처리를 위해 차감된 사용 용도에 따른 잔액을 차감하여 동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상기 결제 금액 미만인지 확인하는 계정 확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인 결과 결제 금액 미만이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잔액 부족에 따른 결제 미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포함된 그룹의 모계정에 대응하는 대표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표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계정을 통해 부족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에 대한 결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모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부족한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합산하여 상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상기 결제 금액 미만인지 확인하는 계정 확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인 결과 결제 금액 미만이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잔액 부족에 따른 결제 미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포함된 그룹의 모계정에 대응하는 대표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표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계정을 통해 부족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에 대한 결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만큼 결제 금액 일부를 차감하고, 나머지 결제 금액을 상기 모계정의 잔액에서 차감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부는, 선불 카드 결제에 따른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상기 잔액 정보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선불 카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스마트카드에 발급된 교통카드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교통카드의 결제에 따른 잔액 변동시 상기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에 부착 또는 가맹점 단말을 통해 표출된 태그를 판독하여 가맹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가맹점 정보와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연계된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에 연계된 제2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상기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 처리하는 결제 지원 서버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지원 서버는,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NFC 태그, RFID 태그, 바코드 및 QR 코드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결제 지원 서버는,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하여 관리하며, 상기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선불카드 및 상기 가상 계좌의 잔액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지정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불카드는 서버에 저장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마트카드에 발급된 교통카드일 수 있다.
상기 선불카드가 상기 교통카드인 경우, 상기 교통카드의 결제에 따른 잔액 변동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백그라운드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잔액 변동에 따른 동기화 요청을 상기 결제 지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지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기화 요청 수신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상기 교통카드의 잔액으로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신용카드, 현금을 소지 하지 않고, 사용자의 전자 지갑을 통해 실시간으로 결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다수의 신용카드 또는 현금을 소지할 필요가 없어, 분실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도 전자 태그 인식을 통해 전자 지갑에서 실시간으로 결제가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와 전지 지갑을 동기화하여 이용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지갑 계정에 그룹을 설정하여 그룹 구성원 전체의 잔액을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을 이용한 단말간의 실시간 결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기반한 단말간 결제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지원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회원 가입 및 전자 지갑 계정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 가입 결과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예치(충전)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계좌 입금을 통해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액 결제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예치(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소액 결제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 충전을 위해 단말을 통해 표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 충전을 위해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계좌 이체를 통한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계좌 이체를 통해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충전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지원 서버에서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가상 계좌 또는 선불카드의 잔액과 동기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에 포함된 전자 지갑 계정에서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복수의 타 계정이 연동되어 등록된 경우, 타 계좌에 설정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결제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해 선불교통카드를 충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을 이용한 단말간의 실시간 결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단말은 당해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이 결제 중개 시스템을 통해 등록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전자 지갑 계정이 당해 단말에 대한 전화번호에 연계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니, 이외에도, 사용자를 식별(또는 특정)하거나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단말을 식별 또는 특정할 수 있는 식별수단인 경우에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전자 지갑 계정이 전화번호에 대해 연계된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전화번호 이외에도, 사용자 또는 단말을 식별/특정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이름, 닉네임 등)를 더 이용하여 전자 지갑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또는 단말을 특정 또는 식별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전자 지갑 계정은 금융 기관에서 발급한 가상 계좌, 실계좌, 선불카드, 후불카드 및 휴대폰 결제 계좌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어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맹점에 부착 또는 출력된 태그를 판독하여 가맹점 정보를 획득하고, 결제할 결제 금액 및 결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여 결제 요청을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는 RFID 태그, NFC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일 수도 있으며, QR 코드 및 바코드와 같은 N차원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태그는 가맹점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출입구, 결제 단말에 인접한 위치 등-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결제 단말과 연결된 출력 수단을 통해 표출될 수도 있다.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의 결제 요청에 따라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이하, 가맹점 계정이라 칭하기로 함)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10)에 상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이하에서는 사용자 계정이라 칭하기로 함)의 잔액에서 결제 금액을 차감한 후 가맹점 계정의 잔액으로 정산(즉, 합산)하여 결제처리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에 상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이 각각 금융 기관 시스템의 가상 계좌와 연동된 경우, 결제 처리에 따른 계정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여 전자 지갑 계정과 가상 계좌의 잔액을 동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계정 동기화 요청은 각각 잔액(또는 변동 금액) 및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지원 서버(120)는 금융 기관 시스템으로부터 계정 동기화 요청에 따른 동기화 결과가 수신되면, 결제 결과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결제 지원 서버(120)는 가맹점 정보에 따른 가맹점 단말 또는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복수의 대상 단말로 결제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은 전자 화폐가 예치되는 계정으로, 전자 지갑 계정에 전자 화폐를 예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 지갑 계정에 금융 기관 시스템에서 발급된 가상 계좌가 각각 연동된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전자 지갑 계정은 가상 계좌에 연동될 수도 있으며 연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한 결제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자.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기반한 단말간 결제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가맹점 단말(130), 결제 지원 서버(120) 및 금융 기관 시스템(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10) 및 가맹점 단말(130)은 각각 결제 지원 서버(120)를 통해 당해 사용자 단말(110) 및 가맹점 단말(130)에 대한 단말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에 기반한 전자 지갑 계정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간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유형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 태블릿 PC, 패드, 노트북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하며,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10)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장치일 수도 있으며, POS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설명하고 있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110) 및 가맹점 단말(130)은 결제 지원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전자 지갑 계정에 기반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 및 가맹점 단말(13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웹 서비스를 통해 전자 지갑 계정에 기반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결제 지원 서버(120)는 각 단말의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통해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결제 지원 서버(12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서버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결제 지원 서버(120)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 및 가맹점 단말(130)의 단말정보 및 사용자 정보(또는 가맹점 정보)에 기반한 전자 지갑 계정을 등록/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에 금융 기관 시스템(140)에서 발급한 가상 계좌가 연동된 경우, 해당 전자 지갑 계정에 대응하여 가상 계좌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같이, 전자 지갑 계정과 가상 계좌 정보가 연동된 경우, 결제 지원 서버(120)는 금융 기관 시스템(140)과 연계되어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또는 가상 계좌의 잔액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상호 통지하여 전자 지갑 계정과 가상 계좌의 잔액을 동기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예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예치하는 수단에 따라 예치금에 사용 용도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용도는 쇼핑 카테고리, 가맹점 카테고리 등과 같이 결제와 관련된 세부 사용 용도일 수도 있으며, 결제 또는 금융 서비스와 같은 이용 분류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용도는 멤버쉽, 포인트 등으로의 이용을 위한 비환급성 용도로 지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결제 지원 서버(120)는 복수의 전자 지갑 계정을 그룹으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룹으로 전자 지갑 계정이 설정되는 경우, 그룹내의 복수의 전자 지갑 계정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계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메인 계정의 대표자는 그룹내의 구성원 전자 지갑 계정으로 사용 용도를 설정하여 예치금을 이체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자는 메인 계정의 소유자일 수 있다. 또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대표자의 단말을 대표자 단말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그룹내의 구성원 단말로부터 일정 금액 이체 요청이 수신되면, 대표자 단말은 사용 용도를 특정한 후 당해 메인 계정의 잔액에서 해당 구성원의 전자 지갑 계정으로 이에 요청된 금액을 이체(예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과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설치)된 교통카드의 잔액을 동기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가 신용카드사를 통해 발급받은 선불카드의 잔액과 당해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동기화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각각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제 지원 서버(120)는 각 사용자 단말(110) 또는 가맹점 단말(130)에 상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을 관리하고, 각 전자 지갑 계정과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등록된 선불카드의 잔액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선불카드는 온라인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선불카드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의 스마트카드에 발급되어 이용 가능한 선불카드(예를 들어, 교통카드)일 수도 있다.
금융 기관 시스템(140)은 결제 지원 서버(120)의 요청에 따라 당해 결제 지원 서버(120)에 등록된 전자 지갑 계정과 가상 계좌의 잔액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지원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제 지원 서버(120)는 통신부(310), 등록부(315), 동기화부(320), 메시지 생성부(325), 충전 관리부(330), 계정 확인부(335), 저장부(340) 및 서비스 제어부(3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 금융 기관 시스템(140)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결제 요청 또는 충전 요청 등을 수신하여 서비스 제어부(345)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동기화부(320)의 제어에 따라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140) 또는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등록부(315)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등록 요청 수신에 따라, 사용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등록하고, 사용자 정보 및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지갑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주소, 생년월일, 이메일, 닉네임, SNS 계정 정보 등과 같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써, 이외에도 I-PIN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정보는 당해 사용자 단말(11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로, 예를 들어, 전화번호, IMSI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단말 정보가 전화번호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전자 지갑 계정은 단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에 연계되어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가 “010-1111-2222”라고 가정하자. 이때, 전자 지갑 계정은 “##-010-1111-2222”와 같이 생성되어 등록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지갑 계정의 “##”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인덱스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전화번호 “010-1111-2222”로 홍길동이 전자 지갑 계정을 신청한 경우, 전자 지갑 계정은 “00-010-1111-2222”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이어, 홍길동이 전화번호를 변경하고, 임꺽정이 홍길동의 전화번호를 신규로 발급받았다고 가정하자. 임꺽정이 신규 발급받은 전화번호 “010-1111-2222”로 전자 지갑 계정을 신청한 경우, 전자 지갑 계정은 “01-010-1111-2222”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홍길동과 임꺽정은 전화번호만으로는 전자 지갑 계정을 식별할 수 없으므로, 등록부(315)는 전자 지갑 계정 등록시,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이름)를 더 이용하여 전자 지갑 계정을 생성/등록할 수 있다.
동기화부(320)는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선불카드 또는 당해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다른 장치에 저장된 선불카드 또는 당해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과 연계된 금융 기관 시스템(140)에서 발급된 가상 계좌의 잔액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에, 동기화부(320)는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연계된 선불카드 또는 가상 계좌의 잔액과의 동기화를 위해, 각각 사용자 단말(110) 또는 지정된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 변화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부(320)는 해당 사용자 단말(110) 또는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부터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동기화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동기화부(320)는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에 연계된 가상 계좌 또는/및 선불카드와의 동기화 이외에도,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이 그룹 설정된 경우, 해당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변경되면, 그룹에 설정된 모계정의 잔액에 이를 반영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325)는 서비스 제어부(34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 및 가맹점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알림 메시지, 안내 메시지 등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메시지 생성부(325)는 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SNS 계정내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해당 메시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SNS 계정에서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대응되어 등록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한 결제 서비스 가입시, 해당 SNS 계정 정보를 별도로 입력할 수도 있다. SNS 계정 정보가 전자 지갑 계정에 대응하여 별도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알림 메시지, 안내 메시지 등은 SNS 계정을 통해 발송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325)는 각 가맹점에서 미리 설정한 특정 문자 또는 이미지 등을 알림 메시지, 안내 메시지 등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가맹점에서 미리 설정한 특정 문자 또는 이미지 등을 알림 메시지, 안내 메시지 등에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악의적으로 특정 가맹점을 사칭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맹점에서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메시지에 가맹점에서 설정한 특정 문자 또는 이미지(또는 문구)(예를 들어, “ZooMoney No.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맹점에서 가변적 상황(예를 들어, 시간, 일시, 위치 등)에 따라 각기 다른 문구, 이미지 등을 메시지에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악의적인 이용을 방지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메시지 생성부(325)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및 가맹점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상술한 메시지 유형에 따른 메시지 이외에, 푸시 메시지의 형태로 알림 메시지, 안내 메시지 등을 생성하여 발송할 수도 있다.
충전 관리부(330)는 각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일정 금액 이하인 경우, 사용자 단말(110)로 충전 알림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관리부(330)는 각 사용자에 의해 당해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이 예치되는 경우, 예치 방법에 따른 사용 용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는 금융 기관 시스템(140)을 통한 가상 계좌 입금을 통해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예치(충전)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소액 결제, 신용카드 결제, 실계좌 입금 등의 방법을 통해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예치할 수 있다.
이때, 충전 관리부(330)는 예치 방법에 따라 예치되는 금액에 대한 사용 용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계좌 입금, 실계좌 입금을 통해 일정 금액에 대한 충전이 요청되면, 충전 관리부(330)는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일정 금액(즉, 충전(예치)된 금액)을 합산하고, 해당 충전된 금액에 대한 사용 용도를 “뱅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소액 결제, 신용카드 결제를 통해 전자 지갑 계정으로 일정 금액 충전이 요청되면, 충전 관리부(330)는 전지 지갑 계정의 잔액에 충전된 금액을 합산하여 예치시키고, 해당 충전된 금액에 대한 사용 용도를 “결제”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 용도는 이외에도, “도서”, “식비”, “경조사”, “공연” 등과 같이, 세부적으로 결제를 위한 특정 카테고리가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이 그룹으로 설정된 경우, 그룹내의 대표자(예를 들어, 부모님)가 모계정에서 일정 금액을 해당 전자 지갑 계정으로 이체하는 경우, 대표자는 사용 용도를 특정하여 일정 금액을 이체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 지갑 계정에 이체된 금액은 사용 용도가 특정되도록 설정되고, 해당 용도 이외에는 결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모계정에서 전자 지갑 계정으로 이체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다른 사람(예를 들어, 부모님 등)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예치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충전하는 경우에도, 사용 용도를 특정하여 충전 요청할 수도 있다.
계정 확인부(335)는 각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의 상태 및 잔액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계정 확인부(335)는 사용자 단말(110)의 결제 요청시, 사용자 단말(110)의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을 확인하고, 해당 전자 지갑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예를 들어, 전자 지갑 계정이 휴먼 상태인지,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결제금액 이상인지 등)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계정 확인부(335)는 사용자 단말(110)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요청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통지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지원 서버(12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40)는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전화번호에 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을 저장한다. 또한, 전자 지갑 계정에 연계된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지원 서버(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310), 등록부(315), 동기화부(320), 메시지 생성부(325), 충전 관리부(330), 계정 확인부(335), 저장부(34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345)는 사용자 단말(110)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합산처리하여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각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해 결제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회원 가입 및 전자 지갑 계정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 가입 결과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41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회원 가입을 위한 인증정보 발송 요청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단계 41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 지원 서버(120)는 생성된 인증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의 단말정보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인증정보는 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SNS 계정 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210)로 발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당해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표출된 인증정보를 확인한 후, 당해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인증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단계 42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기저장된 인증정보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 43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인증정보 미일치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고, 이후 프로세스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단계 43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회원 가입을 위한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가입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가입 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 그룹정보, 사용자 이름, 단말정보, 장치 식별정보, 계정비밀번호, 거래 비밀번호, 이메일, 닉네임, 주소, SNS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I-PIN등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경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단말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또한, 장치 식별정보는 MAC 어드레스와 같이,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거래 비밀번호는 전자 지갑에 기반하여 가맹점 계좌로의 송금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해당 사용자 단말(210)에 상응하는 전자 화폐의 증가 또는 감소가 발생되는 일련의 트랜잭션을 위한 비밀번호를 나타낸다.
계정비밀번호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전자 지갑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예를 들어,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금융 거래 제공 시스템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를 나타낸다.
여기서, 계정비밀번호 및 거래 비밀번호는 각각 하나 이상의 문자, 숫자, 특수 기호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로그인 비밀번호 및 거래 비밀번호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특정 패턴 또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단계 44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단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에 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을 생성한다.
이어, 단계 44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단말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계좌 발급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 전송한다.
이때, 가상 계좌 발급 요청은 생성된 전자 지갑 계정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금융 기관 시스템(140)은 전자 지갑 계정에 연계된 가상 계좌를 발급하고, 발급된 가상 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계좌 발급 결과를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한다.
즉, 단계 45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부터 가상 계좌 발급 결과를 수신하고, 전자 지갑 계정에 대응하여 가상 계좌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결제 지원 서버(120)는 회원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회원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전자 지갑 계정이 금융 기관 시스템(140)에서 발급된 가상 계좌에 연계되어 등록/관리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전자 지갑 계정이 가상 계좌와 연계되지 않은 경우, 단계 445 내지 단계 450을 미수행할 수도 있다.
회원 가입 절차를 완료한 후, 단계 45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회원 가입 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도 5에 회원 가입 완료에 상응하여 사용자 단말(210)으로 통지된 회원 가입 결과가 예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 거래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회원 가입에 상응하여 단말의 단말 정보와 발급된 가상 계좌를 회원 가입 결과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원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결제 지원 서버(120)는 당해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하여 전자 지갑 계정을 생성하는 것이므로,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명의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계 46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명의자 인증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명의자 인증 요청은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46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명의자 인증 요청에 따라,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단말(210)에 대한 실제 명의자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여 명의자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명의자 인증 수행 절차가 완료되면, 단계 47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실계좌 연동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실계좌 연동 요청은 실계좌 정보와 가상 계좌 및 단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계좌 정보는 실계좌 번호 및 실계좌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계좌 연동 요청에 따라, 단계 47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 실계좌 확인 요청을 전송하여 그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실계좌 확인 요청은 실계좌 정보를 포함할 수 잇다.
또한, 단계 48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부터의 실계좌 확인 결과에 따라 실계좌 연동 확인 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예치(충전)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충전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예치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방법은 가상 계좌를 통한 입금, 실계좌를 통한 입금, 소액 결제, 신용 카드 결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결제 지원 서버(120)는 해당 충전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자 지갑 계정에 충전 금액이 예치되는 경우, 충전 방법에 따라 설정된 사용 용도를 설정하여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전자 지갑 계정은 충전 방법에 따른 사용 용도에 따라 잔액이 별도로 관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110)이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한 결제 또는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결제 지원 서버(120)는 각 사용 용도별 잔액 범위내에서 결제 또는 금융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계좌 입금을 통해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금융 기관 시스템을 통해 가상 계좌로 일정 금액을 입금한 것을 가정하며, 그 이후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자는 금융 기관 시스템에 설치된 현금자동입출금기기(ATM: Automatic Teller’s Machine)를 통해 현금을 입금하거나, 가상 계좌로 일정 금액을 이체한 경우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금융 기관 시스템(140)은 사용자의 가상 계좌로의 입금에 상응하여 입금 금액 및 가상 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계좌 입금 통지를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한다.
단계 71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부터의 가상 계좌 입금 통지에 따라 당해 가상 계좌에 대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의 상태를 확인한다.
만일 전자 지갑 계정이 이용 불가능한 상태이면, 단계 72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 이용 불가능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자 지갑 계정이 장기 미이용 등의 이유로 인한, 휴먼 상태인 경우, 결제 지원 서버(120)는 이를 사용자 단말(110)로 통지하고, 휴먼 상태를 해지하기 위한 과정을 선행한 후 이후의 충전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전자 지갑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이면, 단계 72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의 이용 한도를 확인한다. 여기서, 이용 한도는 전자 지갑 계정에 예치 가능한 최대 금액을 나타낸다.
충전 금액(즉, 가상 계좌 입금 금액)이 전자 지갑 계정의 한도를 초과하면, 단계 73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충전 금액 한도 초과에 따른 충전 불가능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그러나 만일 충전 금액이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 73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충전 금액을 합하여 예치한다.
이때, 결제 지원 서버(120)는 예치 방법(즉, 충전 방법)에 따른 사용 용도를 설정하여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예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지갑 계정의 제1 사용 용도에 따른 잔액이 5000원이고, 제2 사용 용도에 따른 잔액이 30000원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충전된 충전 금액이 20000원이고, 충전 방법에 따른 사용 용도가 제1 사용 용도라고 가정하자. 가상 계좌를 통한 충전에 따라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의 제1 사용 용도에 따른 잔액을 25000원으로 예치하고, 제2 사용 용도에 따른 잔액은 변화 없이 30000원이 예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의 전체 잔액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사용 용도별 잔액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해 특정 결제 또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결제 지원 서버(120)는 각 서비스에 따라 사용이 허용된 사용 용도의 잔액 내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전자 지갑 계정의 사용 용도가 “뱅킹” 및 “결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 용도는 다양하게 세분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결제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대한 사용 용도가 설정될 수도 있다.
단계 74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충전 금액 예치에 상응하여 가상 계좌 입금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 전송한다.
이어, 단계 74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으로의 충전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의 전송을 요청한다. 여기서, 충전 알림 메시지는 신규 예치된 금액(즉, 충전 금액), 사용 용도별 잔액 및 전체 잔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같은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로 발송될 수도 있으며, 푸쉬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로 발송 요청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액 결제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예치(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소액 결제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 충전을 위해 단말을 통해 표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 충전을 위해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에 전자 지갑 계정의 이용 또는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 예치(충전)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가정하여 이후의 충전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액 결제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실행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액 결제에 따른 충전 메뉴를 선택한 후, 충전 금액을 입력한다. 이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실행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액 결제를 수행할 대상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대상 단말은 당해 사용자 단말(110)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다른 장치일 수도 있다.
단말 정보를 입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소액 결제를 위한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충전을 요청하면, 도 8에 따른 충전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는 신용카드 결제에 따른 충전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신용카드 결제에 따른 충전 메뉴를 선택한 후, 충전 금액과 카드정보를 선택한 후 충전 요청을 수행하면, 도 8에 따른 충전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소액 결제 및 신용카드 결제에 따른 충전 방법의 경우, 결제 수단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는 상이하나, 이는 충전 과정과는 무관하며, 각 결제 프로세스는 이미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소액 결제 및 신용카드 결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 충전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8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충전 요청을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충전 요청은 충전 금액, 충전 방법 및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81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충전 요청에 포함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 정보에 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의 충전 한도를 조회한다.
충전 한도 조회 결과, 충전 한도를 초과하면, 단계 82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충전한도 초과에 따른 충전 불가능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때, 충전 불가능 메시지는 충전 한도 및 충전 한도 초과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충전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 82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당해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가상 계좌 및 선불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충전에 따른 동기화 요청을 사용자 단말(110) 및 지정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되어 가상 계좌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당해 충전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가상 계좌의 잔액과의 동기화를 위해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요청은 변동된 잔액 정보 및 가상 계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변동된 잔액 정보는 사용 용도에 따른 잔액 정보일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지갑 계정이 선불카드와 연동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선불카드가 특정 신용카드사에서 발급된 것이라고 가정하자. 결제 지원 서버(120)는 선불카드에 상응하여 지정된 신용카드사 시스템으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요청은 변동된 잔액 정보 및 신용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선불카드가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스마트카드에 발급된 교통카드라고 가정하자. 결제 지원 서버(120)는 충전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교통카드와의 잔액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요청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요청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전자 지갑 계정은 적어도 하나의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와 각각 연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의 잔액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요청을 각각 지정된 서버 및 사용자 단말(110)로 각각 전송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어, 단계 83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동기화 요청에 따른 동기화 반영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 및 지정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83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동기화 반영 결과 수신에 따라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충전 금액을 합산하여 예치한다.
물론, 단계 835가 단계 825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충전 금액 반영에 따라, 단계 84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충전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계좌 이체를 통한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계좌 이체를 통해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충전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실행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계좌 정보를 선택(또는 입력)받고, 충전 금액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실계좌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실계좌에서 충전 금액을 이체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공인인증서를 선택받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인인증서가 당해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공인인증서에 대한 비밀번호(편의상 인증서 비밀번호라 칭하기로 한다)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충전 메뉴를 선택하면, 단계 12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충전 요청을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충전 요청은, 실계좌 정보(실계좌 번호 및 실계좌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정보(선택된 인증서 및 인증서 비밀번호) 및 충전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계 121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충전 요청에 따라 당해 사용자 단말(110)에 상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의 이용 한도 금액 및 잔액을 확인하여 충전 금액이 이용 한도 금액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충전 금액이 이용 한도 금액을 초과하면, 단계 122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이용 한도 초과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때, 이용 한도 초과에 따른 안내 메시지는 충전 가능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충전 금액이 이용 한도 금액 이내이면, 단계 132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실계좌 정보 및 충전 금액을 포함하는 출금 충전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 전송한다.
단계 1230에서 금융 기관 시스템(140)은 출금 충전 요청에 따라 실계좌 정보의 이용 가능 상태 및 잔액이 충전 금액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출금 충전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출금 충전이 불가능 상태이면, 단계 1235에서 금융 기관 시스템(140)은 출금 충전 불가능 이유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출금 충전 불가능 메시지라 칭하기로 함)를 생성하고, 이를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한다.
그러나, 만일 출금 충전이 가능한 상태이면, 단계 1240에서 금융 기관 시스템(140)은 실계좌 정보에서 충전 금액을 차감하고, 출금 충전 결과를 생성하여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때, 해당 금융 기관 시스템이 전자 지갑 계정에 연계된 가상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 기관 시스템인 경우, 금융 기관 시스템(140)은 실계좌에서 충전 금액을 차감하여 가상 계좌로 이체처리 할 수도 있다.
단계 124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부터 출금 충전 결과 수신에 따라,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충전 금액을 합산하여 반영한다. 이후, 결제 지원 서버(120)는 해당 전자 지갑 계정에 연계된 가상 계좌 또는 선불카드와의 동기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25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충전 반영에 따른 충전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도 7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전자 지갑 계정에 일정 금액을 예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7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도, 사용자가 특정 가맹점에서 현금을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한 경우, 거스름돈을 현금으로 받는 대신에 전자 지갑 계정에 거스름돈을 예치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즉, 가맹점 단말에서 거스름돈 및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잔돈 충전 요청을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결제 지원 서버(120)는 해당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거스름돈을 합산하여 예치한 후 잔돈 충전 결과를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잔돈 충전 결과는 충전된 잔돈 및 전자 지갑 계정의 전체 잔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맹점과의 제휴를 통해 사용자의 현금 사용에 따른 잔돈을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으로 예치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잔돈을 소지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거스름돈의 유통에 일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지원 서버에서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가상 계좌 또는 선불카드의 잔액과 동기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선불카드는 교통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41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잔액 변동은 잔액 증가 또는 잔액 감소일 수 있다.
만일 잔액 변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1410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잔액 변동이 감지되면, 단계 141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당해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 또는 지정된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동기화 요청은 가상 계좌 또는 선불카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결제 지원 서버(120)는 당해 전자 지갑 계정에 잔액 변동이 발생한 경우, 연계된 가상 계좌 또는 선불카드의 잔액과 동기화할 수 있다.
이어, 단계 142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동기화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동기화 요청은 가상 계좌 또는 선불카드 정보와 잔액 변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동기화 요청은 가상 계좌 또는 선불카드에 연동된 전자 지갑 계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융 기관 시스템(140)의 가상 계좌의 잔액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금융 기관 시스템(140)은 변동 정보와 함께 가상 계좌 정보를 포함하여 결제 지원 서버(120)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신용카드 시스템의 선불카드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신용카드사에서 발급한 선불카드를 통해 상품을 구매한 경우, 신용카드사 시스템은 선불카드를 통한 상품 결제에 따라 선불카드의 잔액에서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변동된 잔액 정보를 선불카드 정보와 함께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하여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10)상에 발급된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교통요금 등을 정산한 경우, 교통카드 이용에 따른 잔액 변동을 사용자 단말(110)은 백그라운드로 히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결제 지원 서버(120)과의 연동을 통해 전자 지갑 계정 중 교통카드 정산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110)이 교통요금 정산을 위해 대중교통에 부착된 리더기에 근접 접촉을 통해 잔액이 차감되면, 백그라운드 히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감 금액 또는 차감된 잔액을 결제 지원 서버(120)으로 통지할 수 있다. 이에, 결제 지원 서버(120)은 해당 차감 금액만큼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차감하거나 차감된 잔액으로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대해 사용 용도가 지정된 경우, 해당 사용 용도에 따른 잔액에서 차감 금액을 차감하거나 차감된 잔액 및 차감된 잔액에 따른 전체 잔액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자 지갑 계정에 연계된 가상 계좌 또는 선불카드의 잔액 변동을 지정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여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만일 사용자 단말 또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동기화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결제 지원 서버(120)는 단계 1420에서 대기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 단말 또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동기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단계 142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동기화 요청에 포함된 변동된 잔액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동기화한다.
이때, 변동된 잔액 정보는 잔액 증가 또는 잔액 감소에 따른 전체 잔액 정보일 수도 있으며, 증가된 잔액 또는 감소된 잔액 정보일 수도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가맹점을 통해 특정 물품을 구입하여 그에 따른 계산을 위해, 가맹점에 부착되거나 가맹점 단말(130)을 통해 표출된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가맹점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1510). 여기서, 전자 태그는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태그, NFC 태그 등이거나, N차원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일 수도 있다.
태그의 형태에 따라 태그를 통해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상이하나, 상술한 전자 태그를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이미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151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결제 금액을 입력받는다.
이어, 단계 15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결제 금액 및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결제 지원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 요청은 당해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단말 정보(즉, 전화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전자 지갑 계정의 이용을 위해 별도의 비밀번호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결제 요청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152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결제 요청 수신에 따라, 당해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편의상 사용자 전자 지갑 계정이라 칭하기로 함)과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편의상 가맹점 전자 지갑 계정이라 칭하기로 함)을 각각 확인하여, 이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전자 지갑 계정의 상태 및 잔액을 확인하여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금액 차감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가맹점 전자 지갑 계정의 상태를 조회하여 입금 반영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전자 지갑 계정 및 가맹점 전자 지갑 계정 중 어느 하나라도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결제 승인하지 않고 이를 사용자 단말(110) 및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로 통지할 수 있다(단계 1530).
그러나 만일 사용자 전자 지갑 계정 및 가맹점 전자 지갑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이면, 단계 153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가맹점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 처리한다.
이어, 단계 154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결제 처리에 따른 가상 계좌와의 동기화를 위해 잔액 변동 정보 및 가상 계좌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 전송한다.
이때, 동기화 요청은 사용자 전자 지갑 계정 및 가맹점 전자 지갑 계정 각각의 잔액 변동 정보와 각각의 가상 계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처리에 따른 사용자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연동된 가상 계좌의 잔액을 동기화시킬 수 있으며, 가맹점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연동된 가상 계좌의 잔액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단계 154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금융 기관 시스템(140)으로부터 동기화 반영 결과를 수신한다.
이어, 단계 155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결제 결과는 결제 처리된 전자 지갑 계정 정보, 결제 금액 및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55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를 가맹점 단말(130)로 통지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지원 서버(120)는 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같은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결제 결과를 가맹점 단말(130)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지원 서버(120)는 푸시 메시지의 형태로 결제 결과를 가맹점 단말(130)로 통지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가맹점 정보에 따른 가맹점 단말(130)의 유형이 3G 단말이라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결제 지원 서버(120)는 콜백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결제 결과를 가맹점 단말(130)로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맹점 단말(130)은 해당 콜백 문자 메시지를 통해 결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내역을 당해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및 가맹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어, 단계 156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결제 내역 조회 요청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단계 156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결제 내역 조회 요청의 수신에 따라, 단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결제 내역을 추출하고, 이를 포함하는 결제 내역 조회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 지원 서버(120)는 날짜를 기준으로 최신 결제 내역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가장 최근에 결제된 가맹점 정보별로 결제 내역을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일 날짜로 제1 가맹점에서 결제가 이루어지고, 어제 날짜로 제2 가맹점에서 결제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자.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제1 가맹점에 상응하여 최근 일정 기간 동안 결제된 결제 내역들을 날짜로 1차 정렬하고, 제2 가맹점에 상응하여 최근 일정 기간 동안 결제된 결제 내역을 날짜로 2차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결제 내역을 조회할 가맹점 정보를 별도로 입력받거나 선택받는 경우, 해당 가맹점 정보에 대응한 결제 내역들만을 미리 지정된 정렬 방법으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에 포함된 전자 지갑 계정에서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그룹 구성원 전체 잔액을 관리하는 계정을 모계정이라고 칭하고, 모계정에 상응하는 단말을 대표자 단말이라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모계정에는 제1 전자 지갑 계정과 제2 전자 지갑 계정이 각각 그룹 구성원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1 전자 지갑 계정에서 결제 금액을 결제하는 경우, 결제 금액이 부족한 경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자.
이하에서는 도 15의 단계 1510 내지 1520에 따른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지원 서버(120)에서 결제 금액 부족을 이유로 하여 결제 불가능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통지한 것을 가정하여 이후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161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결제 금액 부족에 따른 결제 미처리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 및 대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 미처리 메시지는 결제를 수행하는 대상 단말에 대한 단말정보(또는 전자 지갑 계정) 및 부족한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족한 결제 금액 대신 결제 금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미처리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은 결제 지원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대표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1615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대표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결제 미처리에 따른 결제 지원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결제 지원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계 1615에서 대기한다. 이때, 일정 시간 이내에, 결제 지원 수락 메시지가 대표자 단말로부터 미수신되면,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제1 사용자 단말의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불가능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지원 수락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계 1620에서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금액을 모계정의 잔액에서 차감하고, 가맹점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합산하여 결제 처리한다.
다른 예를 들어, 결제 지원 서버(120)는 전제 결제 금액 중에서 제1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해당하는 일부 결제 금액을 해당 사용자 전자 지갑 계정에서 차감하고, 부족한 결제 금액을 모계정의 잔액에서 차감한 후, 전체 결제 금액을 가맹점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합산처리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이후, 결제 결과를 가맹점 단말로 통지하는 방법, 결제 내역을 조회하는 방법은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이 모계정에서 일부 결제 금액 또는 결제 금액에 대해 결제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 모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연동된 가상 계좌 또는 선불카드의 잔액과 동기화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이미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에서는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전자 지갑 계정의 부족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지원 수락에 따라 대표자 단말에 상응하는 모계정의 잔액에서 결제 금액을 차감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구현 방법에 따라, 대표자 단말이 모계정에서 부족한 결제 금액을 제1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전자 지갑 계정으로 이체처리하여 결제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에서는 각 전자 지갑 계정에 사용 용도가 설정된 경우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고 있지 않으나, 각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은 사용 용도가 각각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대표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의 결제 지원에 대해 사용 가능한 사용 용도의 잔액에서 부족한 결제 금액(또는 전체 결제 금액)을 차감하거나 전자 지갑 계정으로 이체하여 결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에 복수의 타 계정이 연동되어 등록된 경우, 타 계좌에 설정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결제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은 타 계좌(예를 들어, 선불카드, 금융사 실계좌, 금융사 가상계좌, 후불카드, 휴대폰 소액 결제)와 각각 연동되어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당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전자 지갑 계정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위해 특정 앱(또는 웹 브라우저)을 실행시키거나 전자 지갑 계정을 실제 사용하는 시점에 결제 지원 서버(120)를 통해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각 타 계정의 잔액을 각 계정 서버로부터 확인받은 후 이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지원 서버(120)는 후불카드 또는 휴대폰 소액 결제의 경우 신용카드사 또는 휴대폰 소액 결제 시스템과 연동되어 이용 가능한 한도(잔여 한도)를 확인받은 후 이를 사용자 단말(110)상에 표출할 수도 있다.
도 1710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타 계정의 잔액 또는 이용 가능 한도 금액을 각각 표출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1710에서는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타 계정 각각에 대한 잔액 또는 이용 가능 한도 금액을 각각 표출한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전체 금액이 합산된 형태로 표출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타 계좌에 대한 이용 우선 순위가 예를 들어, 선불카드, 금융사 실계좌, 금융사 가상 계좌, 후불카드 및 휴대폰 소액 결제 순으로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각 타 계좌에는 해당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되어 결제 가능한 사용 한도와 사용 용도가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사 실계좌의 잔액이 10만원이라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되어 금융사 실계좌에서 이용 가능한 사용 한도를 1만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이용 가능한 사용 한도는 일일 한도일 수도 있으며, 1회 한도일수도 있으며, 한달동안 이용 가능한 한도 금액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타 계좌에 대한 이용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해 10만원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고 가정하자. 이때,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은 5만원이고, 선불카드에는 잔액이 1만원이고, 금융사 실계좌에는 2만원이 잔액이 남아있고, 금융사 가상 계좌에는 3만원 잔액이 남아있다고 가정하자.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한 10만원 결제 요청에 대해, 전자 지갑 계정에서 5만원을 차감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선불카드에서 1만원을 차감 결제하고, 금융사 실계좌에서 2만원을 차감 결제하고, 금융사 가상 계좌에서 2만원을 차감 결제하여 결제 금액(10만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해 선불교통카드를 충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선불교통카드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IC칩이 내장된 형태의 플라스틱 카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실행된 전자 지갑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불교통카드 충전 메뉴를 선택받는다. 해당 선불교통카드 충전 메뉴 선택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선불교통카드에 충전할 충전 금액을 입력받는다. 이어, 사용자 단말(110)은 선불교통카드 충전을 위한 충전 요청을 결제 지원 서버(12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충전 요청은 충전 금액과 충전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형은 전지 지갑 계정을 통한 선불교통카드 충전일 수 있다.
결제 지원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유형에 따라 해당 충전 요청이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한 선불교통카드 충전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지원 서버(120)은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충전 금액 이상인지를 조회하여 충전 금액 이상이면,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중 충전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의 사용 용도를 선불교통카드 이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결제 지원 서버(120)은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충전 금액을 차감하여 당해 결제 지원 서버(120)의 가상 계좌에 일시적으로 임시 예치한 후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선불교통카드로 충전 금액이 충전되도록 충전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결제 지원 서버(120)로부터의 충전 실행 요청에 따라,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변경하여 IC 칩이 내장된 선불교통카드에 충전 금액을 기록할 수 있도록 당해 사용자 단말(110)을 제어한다. 이어, 사용자 단말(110)은 선불교통카드의 근접 접촉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에 충전 금액을 합산하도록 기록하여 충전처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결제 지원 서버(120)의 충전 실행 요청에 따른 선불교통카드의 근접 접촉에 따라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을 독출하도록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리더기 모드로 변경하여 잔액을 먼저 독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잔액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 단말(110)은 근거리 통신 모듈의 모드를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변경한 후 잔액과 충전 금액을 합산한 금액을 선불교통카드에 기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불교통카드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상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제 지원 서버(120)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중 충전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의 사용 용도를 교통카드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10)은 충전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당해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한 후 교통카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금액 이용에 따라 차감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연계된 전자 지갑 계정을 통해 단말간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
120: 결제 지원 서버
130: 가맹점 단말
140: 금융 기관 시스템

Claims (34)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사용자 단말은 가맹점에 부착 또는 가맹점 단말을 통해 표출된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 정보를 획득함;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에 연계된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에 연계된 제2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상기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 중 적어도 하나와의 잔액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선불카드와 연동된 경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선불카드의 사용을 승인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가상 계좌와 연동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전자 지갑 계정이 가상 계좌와 연동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가상 계좌의 잔액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제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전체 잔액 중 사용 용도가 결제 허용된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그룹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변동된 잔액 정보를 상기 그룹의 모계정의 전체 잔액에 차감하여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제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상기 결제 금액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포함된 그룹의 모계정에 대응하는 대표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잔액 부족에 따른 결제 미처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계정에서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으로 상기 결제 금액 중 부족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확인 요청을 상기 대표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부족한 결제 금액을 상기 모계정의 잔액에서 차감하고,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합산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상기 결제 금액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포함된 그룹의 모계정에 대응하는 대표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잔액 부족에 따른 결제 미처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계정에서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으로 상기 결제 금액 중 부족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확인 요청을 상기 대표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만큼 결제 금액 일부를 차감하고, 나머지 결제 금액을 상기 모계정의 잔액에서 차감하고, 상기 제2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상기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 처리하는 단계인 결제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선불 카드 결제에 따른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상기 잔액 정보와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 카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스마트카드에 발급된 교통카드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교통카드의 결제에 따른 잔액 변동시 상기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하는 결제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은 복수의 타 계좌와 연동되고, 상기 복수의 타 계좌는 각각 사용에 따른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는 것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른 타 계좌 순으로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방법.
  14.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상기 사용자 단말은 가맹점에 부착 또는 가맹점 단말을 통해 표출된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 정보를 획득함;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에 연계된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에 연계된 제2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상기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 처리하는 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 결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결제 지원 서버.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지원 서버.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 변동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된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 중 적어도 하나와의 잔액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결제 지원 서버.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선불카드와 연동된 경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선불카드의 사용을 승인하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가상 계좌와 연동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결제 지원 서버.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2 전자 지갑 계정이 가상 계좌와 연동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라 변동된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금융 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가상 계좌의 잔액과 동기화시키는 결제 지원 서버.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그룹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잔액 변동을 상기 그룹의 모계정의 잔액에 반영하는 결제 지원 서버.
  20. 제19 항에 있어서,
    각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은 사용 용도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관리되며,
    상기 모계정은 그룹 구성원 각각의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사용 용도에 따라 통합하여 사용 용도별 전체 잔액을 관리하는 결제 지원 서버.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전체 잔액 중 사용 용도가 결제 허용된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 처리하되,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모계정의 사용 용도별 전체 잔액 중 상기 결제 처리를 위해 차감된 사용 용도에 따른 잔액을 차감하여 동기화시키는 결제 지원 서버.
  22.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상기 결제 금액 미만인지 확인하는 계정 확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인 결과 결제 금액 미만이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잔액 부족에 따른 결제 미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포함된 그룹의 모계정에 대응하는 대표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표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계정을 통해 부족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에 대한 결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모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부족한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합산하여 상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지원 서버.
  23.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이 상기 결제 금액 미만인지 확인하는 계정 확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인 결과 결제 금액 미만이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잔액 부족에 따른 결제 미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이 포함된 그룹의 모계정에 대응하는 대표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표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계정을 통해 부족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에 대한 결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만큼 결제 금액 일부를 차감하고, 나머지 결제 금액을 상기 모계정의 잔액에서 차감하여 결제 처리하는 결제 지원 서버.
  24.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선불 카드 결제에 따른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을 상기 잔액 정보와 동기화시키는 결제 지원 서버.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 카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스마트카드에 발급된 교통카드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교통카드의 결제에 따른 잔액 변동시 상기 잔액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요청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하는 결제 지원 서버.
  2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지갑 계정은 타 계좌와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지원 서버.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타 계좌는 신용카드, 선불카드, 금융사 실계좌, 금융사 가상 계좌 및 휴대폰 소액 결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지원 서버.
  28.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타 계좌는 각각 사용에 따른 우선 순위가 설정되며,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타 계좌에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른 순서로 타 계좌의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지원 서버.
  29. 가맹점에 부착 또는 가맹점 단말을 통해 표출된 태그를 판독하여 가맹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가맹점 정보와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연계된 제1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에 연계된 제2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상기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결제 처리하는 결제 지원 서버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지원 서버는,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결제 시스템.
  31.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NFC 태그, RFID 태그, 바코드 및 QR 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결제 시스템.
  32.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지원 서버는,
    선불카드 및 가상 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 지갑 계정에 연동하여 관리하며,
    상기 전자 지갑 계정의 잔액에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선불카드 및 상기 가상 계좌의 잔액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지정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결제 지원 시스템.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카드는 서버에 저장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마트카드에 발급된 교통카드인 결제 지원 시스템.
  34.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카드는 서버에 저장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마트카드에 발급된 교통카드인 결제 지원 시스템.
KR1020120086435A 2012-08-07 2012-08-07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20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435A KR20140020055A (ko) 2012-08-07 2012-08-07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US13/961,221 US20140046788A1 (en) 2012-08-07 2013-08-07 Payment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435A KR20140020055A (ko) 2012-08-07 2012-08-07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055A true KR20140020055A (ko) 2014-02-18

Family

ID=5006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435A KR20140020055A (ko) 2012-08-07 2012-08-07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46788A1 (ko)
KR (1) KR2014002005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373A1 (ko) * 2014-10-13 2016-04-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지원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723659B1 (ko) * 2016-06-13 2017-04-11 (주)마그넥스페이 선불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결제방법
KR101871467B1 (ko) * 2017-04-19 2018-06-26 이연재 전통시장 노점 상인의 판매 대금 현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3592A (ko) * 2019-03-26 2020-10-07 김승훈 하나의 단말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방법 및 그 결제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10123717A (ko) *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티머니 Qr코드를 이용한 usim 선불카드 결제방법
KR102380707B1 (ko) * 2021-05-07 2022-04-01 나이스디앤알(주) 중고차 안심거래 지원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840A (ko) * 2012-06-29 2014-01-10 주식회사 케이티 금융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60267451A1 (en) * 2014-02-04 2016-09-15 Gilbert Eid Payment processing based on vehicle remote identification
CA2896763C (en) * 2014-07-11 2021-01-12 The Toronto Dominion Bank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e-paid multicards
JP6395678B2 (ja) * 2014-08-14 2018-09-26 エヌエイチエヌ ペイコ コーポレーション 統合機能を有するカードを利用した決済サービス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80012218A1 (en) * 2015-02-06 2018-01-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ayment Method, Payer Terminal, and Payee Terminal
US10089609B2 (en) * 2015-12-14 2018-10-02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s for online/offline synchronization
SG10201600834WA (en) * 2016-02-03 2017-09-28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Computer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making purchases
US11386420B2 (en) 2017-12-29 2022-07-12 Intel Corporation Contextual authentication of an electronic wallet
US11288740B2 (en) * 2017-12-29 2022-03-29 Intel Corporation Securing distributed electronic wallet shares
CN108154356A (zh) * 2018-02-06 2018-06-12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跨境汇款方法、第一电子设备以及支付服务器
JP7009695B2 (ja) * 2018-03-19 2022-01-26 株式会社Nttドコモ 決済装置
TWI674542B (zh) * 2018-10-23 2019-10-11 臺灣行動支付股份有限公司 無需交易繞送作業的行動支付交易系統及其資料處理方法
CN110363516A (zh) * 2019-06-19 2019-10-22 北京尚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充能站支付系统及方法
US11270275B2 (en) * 2019-08-16 2022-03-08 Comenity Llc One card
US11769133B2 (en) * 2019-08-27 2023-09-26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epayment towards goods or services at point-of-sale terminals
US11294693B2 (en) * 2020-04-14 2022-04-05 Ncr Corporation Virtualized transaction terminal platform
CN112364272B (zh) * 2021-01-13 2021-07-16 统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交互方法、系统及计算设备
JP7153160B1 (ja) 2022-01-13 2022-10-13 PayPay株式会社 処理システム、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8855B2 (en) * 1998-09-15 2007-07-24 Upaid Systems, Ltd. Convergent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with a rule set for authorizing, debiting, settling and recharging a mobile commerce account
CA2406838A1 (en) * 2000-04-20 2001-11-01 Innovative Payment Systems, Llc Method and system for ubiquitous enablement of electronic currency
US10185936B2 (en) * 2000-06-22 2019-01-22 Jpmorgan Chase Bank, N.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ternet payments
US8260699B2 (en) * 2001-05-30 2012-09-04 Finicity Cor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pending through account allocation
EP1396805A4 (en) * 2001-06-11 2006-11-08 Sony Corp ELECTRONIC MONEY SYSTEM
US8352323B2 (en) * 2007-11-30 2013-01-08 Blaze Mobile, Inc. Conducting an online payment transaction using an NFC enabl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2187353A (zh) * 2008-09-05 2011-09-14 吉弗坦戈公司 用于虚拟储值卡的身份验证的系统和方法
US8955747B2 (en) * 2009-06-23 2015-02-17 At&T Mobility Ii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int-of-sale
US20110264543A1 (en) * 2010-04-26 2011-10-27 Ebay Inc. Reverse payment flow
US8442914B2 (en) * 2010-07-06 2013-05-14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Virtual wallet account with automatic-loading
US20120123924A1 (en) * 2010-10-20 2012-05-17 Mark Rose Virtual currency configu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9785988B2 (en) * 2010-11-24 2017-10-10 Digital River, Inc. In-application commerce system and method with fraud prevention, management and control
WO2012083093A1 (en) * 2010-12-15 2012-06-21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ocial media payment platfor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20253913A1 (en) * 2011-04-01 2012-10-04 Postrel Richard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xecuting a mobile transaction
SG195079A1 (en) * 2011-06-03 2013-12-30 Visa Int Service Ass Virtual wallet card selec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20330743A1 (en) * 2011-06-27 2012-12-27 Felix Schul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transaction for a mobile device
US9721319B2 (en) * 2011-10-14 2017-08-0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Tap and wireless payment methods and devic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373A1 (ko) * 2014-10-13 2016-04-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지원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723659B1 (ko) * 2016-06-13 2017-04-11 (주)마그넥스페이 선불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결제방법
KR101871467B1 (ko) * 2017-04-19 2018-06-26 이연재 전통시장 노점 상인의 판매 대금 현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3592A (ko) * 2019-03-26 2020-10-07 김승훈 하나의 단말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방법 및 그 결제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10123717A (ko) *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티머니 Qr코드를 이용한 usim 선불카드 결제방법
KR102380707B1 (ko) * 2021-05-07 2022-04-01 나이스디앤알(주) 중고차 안심거래 지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6788A1 (en)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0055A (ko)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US935539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ggregating split payments using a settlement ecosystem
JP5518740B2 (ja) プッシュ識別子を含むデータ完成の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方法
KR101524957B1 (ko) 빌러의 결제플랫폼을 이용해 고객의 요금을 결제하는 시스템과 방법
KR20140003840A (ko) 금융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80270246A1 (en) Global electronic payment system
KR20130141191A (ko)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20078736A1 (en) On-demand generation of tender ids for processing third-party payments via merchant pos systems
US20130253956A1 (en) Chargeback insurance
JP6839630B2 (ja) スマートフォンを利用したキャッシュアウトシステム
JP2018055669A (ja) 汎用携帯端末を利用した決済システム
KR10113468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선불 가상계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6667010B2 (ja) モバイルプリペイドカードの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クローンカード保存装置及びサービス方法
JP2018014106A (ja) 取引記録との関連付けのための取引額の識別
WO2015138639A1 (en) Real-time portable device update
JP2018077639A (ja) 決済システム
JP2018077640A (ja) 中間決済サーバ
JP2018077641A (ja) 決済システム
KR20180089136A (ko) 가상결제정보를 이용한 전자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9330A (ko) 가상결제정보를 이용한 비대면 거래 및 정산 방법, 관리 서버
KR20180106446A (ko)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803075B1 (ko) 모바일 카드의 클론 카드 저장장치,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클론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195141B1 (ko) 선불카드를 이용한 송금방법
KR101030896B1 (ko) 하이브리드 카드와 하이브리드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90188714A1 (en) Method for permitting a transaction indicating an amount that is less than a threshold a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