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454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454A
KR20140016454A KR1020120082895A KR20120082895A KR20140016454A KR 20140016454 A KR20140016454 A KR 20140016454A KR 1020120082895 A KR1020120082895 A KR 1020120082895A KR 20120082895 A KR20120082895 A KR 20120082895A KR 20140016454 A KR20140016454 A KR 2014001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speed
input
moving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아
박예지
복일근
태은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6454A/ko
Priority to US13/952,838 priority patent/US20140028555A1/en
Priority to EP13178393.8A priority patent/EP2693324B9/en
Priority to CN201310325587.9A priority patent/CN103577065B/zh
Publication of KR2014001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1Cursor retrieval aid, i.e. visual aspect modification, blinking, colour changes, enlargement or other visual cues, for helping user do find the cursor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은 상기 오브젝트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감지 시 상기 터치 입력 감지 후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을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 비율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G FOR MOVING OBJECT OF MOBILE TERMINAL COMPRI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터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전자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수적이다.
종래에는 커서나 이미지와 같은 오브젝트(object)를 이동시키는 경우,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켰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실제 드래그 움직임과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가 1:1로만 대응하게 되어 있어 기본적인 오브젝트 이동은 가능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좁은 간격으로 이루어진 단어 또는 문장에서 커서를 움직이고자 하는 경우, 미세한 이동이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은 상기 오브젝트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감지 시 상기 터치 입력 감지 후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을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 비율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감지 시 상기 터치 입력 감지 후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 비율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글자 간격이 좁은 문장 상에서 커서를 미세하게 움직이거나, 수많은 이미지 상에서 이미지를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가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 경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 비율이 임의의 비율(동일한 비율이 아닌 경우)로 설정된 경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드래그 속도와 커서의 이동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 경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드래그 속도와 이미지의 이동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 경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드래그 속도와 이미지의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여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드래그 속도와 연락처의 이동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 경우, 연락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드래그 속도와 연락처의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여 연락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용어들을 정의하기로 한다.
오브젝트(object)란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 입력에 의해 이동되는 대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브젝트는 커서, 이미지,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이란 상기 오브젝트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 경우, 오브젝트는 제어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입력부(130), 터치스크린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4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입력부(130)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30)는 오브젝트 이동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40)는 터치센서부(141) 및 표시부(14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4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4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4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표시부(14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42)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50)는 터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드래그 제어부(16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드래그 제어부(161)는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감지 시 상기 터치 입력 감지 후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을 확인한다. 그리고 드래그 제어부(161)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 비율을 설정한다. 그리고 드래그 제어부(161)는 상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래그 제어부(161)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드래그 제어부(161)는 상기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어부(160), 드래그 제어부(161)가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기술상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와 같이 각 기능이 구분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제어부(161)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을 제어부(16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160)는 S210 단계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음을 감지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갤러리, 동영상, 전화번호부, 인터넷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이동될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감지 시, 제어부(160)는 S220 단계에서,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제어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는 커서, 이미지, 연락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제어 영역 내부에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어 영역 외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230 단계에서 터치 입력 수신을 감지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S240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S250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입력을 대기한다.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S260 단계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6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가 유지된 후, 이어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설정된 시간은 반드시 고정될 필요는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0.5초, 1초 등일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60)는 S280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동일한 비율 즉, 동일한 속도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일한 속도로 설정한다는 의미는, 드래그 거리와 오브젝트의 이동 거리를 동일하게 설정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반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어부(160)는 S270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한다. 상기 임의의 비율로 설정한다는 것은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설정하는 것을 제외한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드래그 속도를 오브젝트의 이동속도보다 더 빠르게 설정할 수도 있고, 드래그 속도를 오브젝트의 이동속도보다 더 느리게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반드시 고정된 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작은 글씨체의 문장에서 커서를 미세하게 움직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드래그 속도를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보다 더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많은 이미지 중에서 특정 이미지를 찾기 위해, 이미지를 스크롤해야 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드래그 속도보다 더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S270 단계 또는 S280 단계를 통해 설정된 비율에 따라, 드래그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임의로 설정된 비율에 따라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3은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가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 경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2)에 오브젝트(310), 상기 오브젝트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영역(320)이 도시된다. 도 3에서는 오브젝트(310)가 제어 영역(320) 외부에 위치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310)가 제어 영역(32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우선, 제어부(160)는 제어 영역(320) 내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0.5초 이내에 상기 터치 입력 후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설정한다. 다시 말해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동일한 비율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 영역(320) 내의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되는 드래그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드래그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오브젝트를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도 4는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 비율이 임의의 비율(동일한 비율이 아닌 경우)로 설정된 경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도 도 3과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2)에 오브젝트(410), 상기 오브젝트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영역(420)이 도시된다.
우선, 제어부(160)는 제어 영역(420) 내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0.5 초 경과 후에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1:a로 설정한다. 이 경우, 상기 a는 1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a가 1보다 작게 설정되었음을 가정한다.
그리고 제어 영역(320) 내의 c 위치에서 d 위치로 이동되는 드래그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드래그 속도 대비 a 속도로 오브젝트를 c' 위치에서 d'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 특히, 문자 입력 시 커서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5는 드래그 속도와 커서의 이동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 경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현재 문자가 입력될 위치를 지시하는 커서(510), 상기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영역(520)이 도시된다.
우선, 도 5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제어 영역(520) 내에서 터치 입력 발생 후, 상기 터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즉, 드래그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도 5b에서 도시되는 바에 따라, 커서(510)가 상기 드래그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현재 문자가 입력될 위치를 지시하는 커서(610), 상기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영역(620)이 도시된다.
우선, 도 6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제어 영역(620) 내에서 터치 입력 발생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한다. 도 6에서는 드래그 속도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었음을 가정한다.
그리고 도 6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상기 터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즉, 드래그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도 6c에서 도시되는 바에 따라, 제어부(160)는 커서(610)가 상기 드래그 속도 대비,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소된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서는 문장 내 각 단어를 기준으로 한 칸 씩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좌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임의의 속도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60)는 상기 커서를, 상기 드래그의 이동 속도보다 설정된 비율 이하의 속도로, 문자(character)를 최소 단위로 좌측으로 한 칸 씩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 특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7은 드래그 속도와 이미지의 이동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 경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이미지를 이동시킨다는 것은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거나, 또는 현재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현재 화면을 전환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서, 제어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는 복수 개의 이미지(710)이다. 상기 이미지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표시부에 나열된다. 도 7에서는 복수 개의 이미지(710)들이 격자 형태로 배열되었음을 가정한다. 또한, 도 7에서는 상기 이미지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영역(720), 및 상기 제어 영역(720) 내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의 대상이 되는 핸들러(730)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객체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대상인 핸들러(7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 영역에 표시 또는 미표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어부(160)는 핸들러(730)를 통해 터치 입력이 발생한 후, 상기 터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즉, 드래그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상기 드래그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좌측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미지들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미지 D 우측에 배열되지만 표시부 상으로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들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래그의 방향과 이미지의 이동 방향이 반대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드래그 방향과 이미지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8은 드래그 속도와 이미지의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서로 다른 속도 비율)로 설정하여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이미지를 이동시킨다는 것은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전환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서, 이동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는 복수 개의 이미지(710)이다. 상기 이미지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표시부에 나열된다. 도 8에서는 복수 개의 이미지(810)들이 격자 형태로 배열되었음을 가정한다. 또한, 도 8에서는 상기 이미지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영역(820), 및 상기 제어 영역(820) 내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의 대상이 되는 핸들러(830)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객체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대상인 핸들러(8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 영역에 표시 또는 미표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어부(160)는 핸들러(830)를 통해 터치 입력이 발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서로 다른 속도 비율)로 설정한다. 도 8에서는 이미지의 이동 속도가 드래그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었음을 가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핸들러(830)에 발생한 터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즉, 드래그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상기 드래그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좌측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미지들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미지 D 우측에 배열되지만 표시부 상으로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들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 특히, 연락처 리스트에서 각 연락처를 표시하는 화면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9는 드래그 속도와 연락처의 이동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 경우, 연락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연락처를 이동시킨다는 것은 연락처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거나, 또는 현재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연락처를 표시하기 위해 현재 화면을 전환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서, 제어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는 연락처(920)이다. 상기 연락처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표시부에 나열된다. 도 9에서는 복수 개의 연락처 리스트들이 상하 방향으로 알파벳 순서로 순차적으로 나열되었음을 가정한다. 또한, 도 9에서는 상기 연락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영역(910)이 도시된다.
제어부(160)는 상기 제어 영역(910)을 통해 터치 입력이 발생한 후, 상기 터치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즉, 드래그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현재 화면 상에 표시된 연락처를 상기 드래그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래그의 방향과 이미지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드래그 방향과 이미지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인 경우도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10은 드래그 속도와 연락처의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여 연락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제어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는 연락처(1020)이다. 상기 연락처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표시부에 나열된다. 도 10에서는 복수 개의 연락처 리스트들이 상하 방향으로 알파벳 순서로 순차적으로 나열되었음을 가정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상기 연락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영역(1010)이 도시된다.
제어부(160)는 제어 영역(1010)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드래그 속도와 연락처의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서로 다른 속도 비율)로 설정한다. 도 10에서는 이미지의 이동 속도가 드래그 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었음을 가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제어 영역(1010)에 발생한 터치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즉, 드래그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현재 화면 상에 표시된 연락처를 상기 드래그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래그의 방향과 이미지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드래그 방향과 이미지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인 경우도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드래그 속도와 오브젝트 이동 속도를 임의의 비율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오브젝트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글자 간격이 좁은 문장 상에서 커서를 미세하게 움직이거나, 수많은 이미지 상에서 이미지를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입력부 140 : 터치스크린부
141 : 터치 센서부 142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61 : 드래그 제어부

Claims (14)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감지 시 상기 터치 입력 감지 후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을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 비율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제어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과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핸드러(hand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커서, 이미지 또는 연락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커서인 경우,
    상기 커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를 최소 단위로 한 칸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제어 방법.
  8.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제어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감지 시 상기 터치 입력 감지 후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 비율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속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제어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과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핸드러(hand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커서, 이미지 또는 연락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커서인 경우,
    상기 커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를 최소 단위로 한 칸씩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082895A 2012-07-30 2012-07-3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16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895A KR20140016454A (ko) 2012-07-30 2012-07-3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952,838 US20140028555A1 (en) 2012-07-30 2013-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g for a moving object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EP13178393.8A EP2693324B9 (en) 2012-07-30 2013-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g for a moving object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N201310325587.9A CN103577065B (zh) 2012-07-30 2013-07-30 控制对于移动终端的移动对象的拖拽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895A KR20140016454A (ko) 2012-07-30 2012-07-3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454A true KR20140016454A (ko) 2014-02-10

Family

ID=4887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895A KR20140016454A (ko) 2012-07-30 2012-07-3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28555A1 (ko)
EP (1) EP2693324B9 (ko)
KR (1) KR20140016454A (ko)
CN (1) CN103577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4086A1 (en) * 2015-06-23 2017-01-26 Jamdeo Canada Ltd.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on and handling of focus elements
CN105677178B (zh) * 2015-12-30 2019-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整控件所属图层的方法及移动终端
KR102509976B1 (ko) * 2017-12-29 2023-03-14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이미지 패닝 방법
CN111399744A (zh) * 2020-03-25 2020-07-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控制光标移动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650437B (zh) * 2020-12-23 2022-06-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光标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20230185424A1 (en) * 2021-11-23 2023-06-15 Cirque Corporation Adjusting Cursor Speed
US11561629B1 (en) * 2021-11-23 2023-01-24 Cirque Corporation Adjusting cursor spee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060A (en) * 1995-02-22 1997-03-11 Microsoft Corporation Auto-scrolling during a drag and drop operation
US6920619B1 (en) * 1997-08-28 2005-07-19 Slavoljub Milekic User interface for removing an object from a display
US6690387B2 (en) * 2001-12-28 2004-0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ouch-screen image scrolling system and method
KR100877829B1 (ko) * 2006-03-21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스크롤링 방법
TW200805131A (en) * 2006-05-24 2008-01-16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of selecting files thereon
US20080042974A1 (en) * 2006-08-17 2008-02-21 Sachs Todd 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ursor speed in a puck-based pointing device
KR101414766B1 (ko) * 2007-09-18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TW200943140A (en) * 2008-04-02 2009-10-16 Asustek Comp Inc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269736B2 (en) * 2009-05-22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Drop target gestures
EP2378406B1 (en) * 2010-04-13 2018-08-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JP5510185B2 (ja) * 2010-08-20 2014-06-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US9047006B2 (en) * 2010-09-29 2015-06-02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726607B1 (ko) * 2010-10-19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8826190B2 (en) * 2011-05-27 2014-09-02 Google Inc. Moving a graphical se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3324A3 (en) 2017-10-18
CN103577065A (zh) 2014-02-12
EP2693324A2 (en) 2014-02-05
EP2693324B1 (en) 2019-02-27
US20140028555A1 (en) 2014-01-30
EP2693324B9 (en) 2019-06-12
CN103577065B (zh)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1001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及电子设备
RU268076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с делением экрана
US201802849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window display
CN107124508B (zh) 悬浮控件的位置调整方法、装置及终端、可读存储介质
CN108121457B (zh) 提供字符输入界面的方法和设备
US10025393B2 (en) Butto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in single-hand mode
KR2014001645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6066092A1 (zh) 多媒体播放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EP32609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10775869B2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70068418A1 (en) Electronic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CN111596818A (zh) 消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8491149B (zh) 一种分屏显示方法及终端
US10007375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on a display of a portable apparatus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117979A (ko)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18541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12505568A (ja) 移動通信装置のためのマルチメディアモジュール
JP2017525076A (ja) キャラクタ特定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6293486B (zh) 一种终端之间的交互方法及装置
US202103116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content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CN111026480A (zh) 一种内容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3157359A (zh) 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3246614A (ja) 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